KR20170115605A -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 Google Patents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05A
KR20170115605A KR1020177025246A KR20177025246A KR20170115605A KR 20170115605 A KR20170115605 A KR 20170115605A KR 1020177025246 A KR1020177025246 A KR 1020177025246A KR 20177025246 A KR20177025246 A KR 20177025246A KR 20170115605 A KR20170115605 A KR 2017011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ring
support
downward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046B1 (ko
Inventor
양밍 리
션원 리
Original Assignee
광씨 우펑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064658.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58471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064514.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620699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131221.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57899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54129.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8177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0316.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9236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0835.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8180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1278.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81083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1283.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8178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1285.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8176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361279.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8179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2851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0433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28328.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0434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28335.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9601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2851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01433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2849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04340B/zh
Application filed by 광씨 우펑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씨 우펑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 A01B33/065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ors carried by an elongate, substantially closed transmission casing, transversely connectable to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01B33/085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specially adapted for tools on a vertical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01B33/106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the rotating shaft being oriented vertically or steep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2Combined machines with two or more soil-working tools of different kind
    • A01B49/022Combined machines with two or more soil-working tools of different kind at least one tool being actively driven
    • A01B49/025Combined machines with two or more soil-working tools of different kind at least one tool being actively driven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15Blades; Levelling or scarif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7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coulters, ploughs, scraper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리지분쇄 장치, 연결장치, 골파기장치, 고름장치 및 볏짚반환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하고,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밑판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설치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고,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되고, 위판에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치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보다 긴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를 공개하였다. 본 발명의 구조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큰 위부 압력을 받은 곳에는 복수의 베어링을 설치하고 또한 작은 외부 압력을 받은 곳에는 적은 수량의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쉽게 이루어져서 동력전달축의 경도와 동력전의 안정성을 향상 시키며, 또한,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리버 플레이트의 용접이 쉽게 이루어지고, 또한 윤활유가 리지분쇄함 내에서 유창하게 흐르는 것을 보정되어, 윤활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본 발명은 경운 리지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경운 리지분쇄기의 주된 역할은 토지에 대하여 경운 및 분쇄를 진행한다. 과거에는, 호미 또는 소 갈이로 경운, 분쇄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는 전통방식으로 힘들고 또한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대량 면적의 경운, 분쇄가 필요한 토지에 대하여, 전통적인 방식은 적용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자동화 경운기가 출시되었다. 예를 들어, 출원번호 제201020514808.9호, 출원일은 2010년9원3일, 공고일은 2011년 7월 20일인 특허문헌에서 회전 연마식 경운 리지분쇄 다기능 기기를 공개하였다. 특허번호 제ZL201420551437. X인 특허문헌에는 나선식 경운기를 공개하였다.
종래의 리지분쇄 경운기는 주로 기체 및 리지분쇄 장치를 포함하며, 리지분쇄 장치는 주로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동력전달 시스템, 나선형 드릴 로드로 구성된다. 경운 리지분쇄 시, 먼저 구동 기구를 작동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 시스템을 통해 나선형 드릴 로드를 회전시키고, 그 다음, 나선형 드릴 로드는 토지 중에 진입 되어, 리지분쇄 경운기가 보행과정에서 연속적으로 경운 리지분쇄를 수행할 수 있다.
리지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경운 및 리지분쇄 시, 나선형 드릴 로드는 축 방향의 힘과 반지름 방향의 힘을 받게 되며,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므로,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상대적으로 큰 축방향의 힘과 반지름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축은 베어링을 통해 리지분쇄함에 설치된다. 상기 리지분쇄함은 동력전달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며, 윤활유박스로도 형성된다. 이를 통해 리지분쇄함의 상단과 하단에 베어링 받침대를 각각 설정하게 되고, 종래의 베어링 받침대와 리지분쇄함은 일체형 구조를 구비하므로, 제조하기 어렵고, 원가가 높다.
또한, 동력전달축의 지지점을 증가하여 동력전달축의 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복수의 베어링을 설정하게 되는데, 때로는 동일 베어링 받침대에 복수의 베어링을 설정한다. 그러면, 이러한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가 증가되어, 강도 보정이 어려워진다.
종래의 경운기의 절삭공구의 대부분은 나선형 드릴 로드이다. 경운 과정에서, 나선형 드릴 로드의 회전은 토지의 역 방향 저항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동력을 출력했으나 나선형 드릴 로드는 걸려서 회전할 수 없거나 회전속도가 늘어진다. 따라서, 지속적인 경운할 수 없거나 경운 효과가 낮다. 또한, 구동 기구의 수명을 감소시키거나 구동 기구를 직접적으로 파손시킨다.
본 발명은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를 제공하며, 이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힘을 많이 받는 위치에 복수의 베어링을, 힘을 적게 받은 위치에 적은 량의 베어링을 편리하게 설치하므로, 동력전달축의 강도를 높이고, 동력전송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도 낮추게 된다; 리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윤활유가 리지분쇄함 내에서 순조롭게 흐르도록 확보하여 윤활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를 제공하며, 이는 기체, 리지분쇄 장치, 연결장치, 골파기장치, 고름장치 및 볏짚반환장치를 포함하며;
기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은 보행 기구에 설치되고,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및 운전석은 기계프레임에 설치되고, 냉각기는 유압 탱크에 설치된다;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 부재 및 나선형 드릴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된다;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 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기계프레임과 리지분쇄 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골파기장치는 스윙 암, 지지 암, 전복형 오일 실린더, 조절 받침대, 골파기 암 및 골파기 쟁기를 포함하며; 스윙 암은 두 개로 구성되고, 지지 암은 두 스윙 암의 중간 부위의 사이에 용접되고, 스윙 암의 일단은 리지분쇄함의 하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모체는 리지분쇄함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된다; 조절 받침대는 지지 암에 설치되고, 골파기 암은 조절 받침대에 설치되고, 골파기 쟁기는 골파기 암에 설치된다;
상기 고름장치는 레이크 판, 레이크 판과 연결되는 연결암과 상기 레이크 판의 반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암은 레이크 판의 양단에 설정되고, 연결 암 하단은 레이크 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단은 고름장치 연결 러그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레이크 판과 리지분쇄함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상기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하고,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상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므로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모두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보호벽화를 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은 사용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한 윤활이 더욱 쉽게 진행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크므로, 베어링 설치할 때, 경운 휴 립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하나의 베어링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강도, 경도 및 동력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적정 수량의 베어링을 선택하므로, 리지분쇄함의 제조원가를 낮추어, 베어링 수량에 의한 원가도 낮추게 된다;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므로, 베어링 받침대의 간도를 높일 수 있고,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 시, 일부로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 윤활유 채널을 남기게 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윤활유가 보강형 리지분쇄함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유통하여 윤활효과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버 플레이트를 더욱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리지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경운 리지분쇄 시, 먼저 볏짚반환장치를이용하여 볏짚, 풀을 제거하여, 경운 리지분쇄 을 편하게 하며, 동시에 고름장치를 이용하여 경운 리지분쇄 후의 토지에 대하여 고르게 할 수 있고, 골파기 장치를 이용하여 골파기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경운 리지분쇄기는 한 번의 보행과정을 통해 여러 고정을 완성할 수 있으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토지를 고르게 할 때, 토양의 입자에 대하여 2차 리지분쇄 을 진행하여, 리지분쇄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진일보로,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의 회 전를 구동 시킬 수 있다; 하향 안내륜은 가이드 및 지탱 역할을 하게 되고, 상향 안내륜은 가이드와 인장 역할을 하게 되어 클롤러의 운행이 더욱 신뢰 되고 또한 안정적이다; 상기 기계프레임은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지지대은 휄프레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와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지지리브의 코너 위치에는 원호형 홈이 설정되어, 응력집중 현상을 줄이고, 지지리브의 강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와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무게가 아주 무겁다. 따라서, 지지리브의 설치를 통해 지지대의 내휨성, 내변형 력을 높여, 지지대의 지탱 력을 향상시킨다. 경사 버팀대의 후부 밑면에는 서로 평행되는 2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어,리버 플레이트와 경사 버팀대 사이에는 삼각 홈이 형성된다.
진일보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하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밑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 하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상 돌기는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위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와 위판 상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은 모두 리지분쇄함 내에 설치되었으므로, 따라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설치, 착탈, 유지보스를 위하여, 진입홀을 설정한다; 상기 플랜지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에 연결되며, 설치홀이 플랜지의 위치에 설정된 후, 볼트를 통해 진입홀을 고정하여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를 설정하고,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 플랜이 두께 보다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계단은 판체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와 판체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므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설치하고, 또한, 기타부품을 수시로 쉽게 착탈한다.
진일보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측 판에는 제1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지지판은 제1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은 측 판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 틈이 쉽게 생기거나 심할 경우 완전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제1지지부을 설치하면, 제1지지판가 제1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를 높인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지지판은 제2지지부를 지지한다. 밑판이 측 판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집중 현상이 쉽게 형성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서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를 설정하면, 제2지지판이 제2지지부에 대한 적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종아 진다. 상기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는 서로 상대로 설정된다. 위판에는 제1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용접판는 위판 위에는 제1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이 측 판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되어, 제2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위판에는 제3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연결 러그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용접판는 제2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은 측 판과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제3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 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그를 포함하며, 두 연결 러가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조 의 힌지 받침대는 가공편의성과 고강도, 또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 원추형 베어링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된다; 동력전달축에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상부에는 스레드를 통해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연결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한다; 동력전달축에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부에는 역 방향 잠금 너트(미도시)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접촉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조절된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은 임의로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 조절의 정밀도가 높고, 동력전달축의 동력 전달 성능이 안정적이다.
진일보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타단은 스크류 로드가 구비된다. 플랜지에는 원추 축과 연동하는 원추홀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는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며,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에는 글랜드가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고정된다.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를 스크류 로드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 자체는 스크류 로드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가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 축과 원추홀이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를 잠근다. 돌기가 존재하고,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한다.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된다;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된다; 수직 빔은 뒤쪽에 인접한 하 종 방향 빔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된다;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된다;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선택한다.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는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오일탱크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위에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아래쪽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딩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하도록 씌우게 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된다.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에 용접된다; 하단의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되고,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에 대하여,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길어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길이도 길어 야한다.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될 경우,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고정점에서 힌지 받침대까지의 거리를 주릴 수 있으며, 승강형 오일 실린더 작동 시, 승강형 오일 실린더는 쉽게 만곡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응력효과가 좋다. 또한, 이러한 고정기구는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상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는 구조에 비해,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많이 낮으므로 연결프레임의 수직높이를 낮추게 되고, 전체적으로 경운 리지분쇄기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을 통과하는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연결된다.
진일보로, 연결장치 이외에 기타 구조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는 도 32 내지 도 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는 2개의연결 로드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제1연결 로드, 제2연결 로드, 제3연결 로드, 제4연결 로드 및 구동 오일 실린더를 포함한다. 연결 로드 받침대 는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1연결 로드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 편 하의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타당은 제1연결 러그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3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2연결 러그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와 제2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된다; 제4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 편상 되는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장치는 리지분쇄 장치의 반전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하여, 경운 리지분쇄에 편리하다.
진일보로, 상기 조절 받침대는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는 지지 암에 홀딩 되고,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를 연결하며, 볼트를 풀게 되면, 조절 받침대를 지지 암에서 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볼트를 잠그게 되면, 조절 받침대를 지지 암에 고정시키므로, 조절 받침대의 휭방향 위치를 편하게 조절하고, 골파기 쟁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가 통과된다. 골파기 암은 두 상 홀딩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는 동시에 두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도 홀딩 된다. 골파기 암에는 복수의 조절 홀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는 일부 조절 홀을 통과한다. 골파기 암이 조절 받침대에 상대하여 그 사이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조절 로드를 풀어, 골파기 암을 필요한 위치로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과 대응되는 조절 홀을 통과하므로, 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이크 판은 스트립 모양이며, 상기 레이크 판은 3개의 평판 유닛이 순차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평판 유닛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는 경운 리지분쇄 된 토지를 고르게 할 뿐만 아니라, 2차 리지분쇄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웃 되는 평판 유닛 사이의 연결부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 유닛을 반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웃 되는 평판 유닛의 연결부 사이에 평판 유닛의 반전을 제한하는 인터 로킹장치가 설정된다.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 측 변에 설정된 제1링, 이웃 되는 평판 유닛 측 변에 설정된 제2링 및 제1링과 제2링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을 포함하고, 제1링 삽입홀과 제2링 삽입홀은 종 방향이고, 이웃 되는 두 평판 유닛이 전개된 후, 제1링과 제2링은 상하 배열된 모양이고, 플러그 핀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링과 제2링을 통과하여 이웃 되는 2개의 평판 유닛을 잠근다. 상기 조절장치는 힌지 받침대, 스크류 로드, 제1스프링, 제2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하단은 레이크 판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레이크 판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고, 제2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한다. 제1스프링의 탄력은 레이크 판에 작용되어 레이크 판이 흙을 고르게 할 때, 더욱 힘이 있고, 또한, 조절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레이크 판의 반전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운 리지분쇄기를 제공하며, 이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힘을 많이 받는 위치에 복수의 베어링을, 힘을 적게 받은 위치에 적은 량의 베어링을 편리하게 설치하므로, 동력전달축의 강도를 높이고, 동력전송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도 낮추게 된다; 리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윤활유가 리지분쇄함 내에서 순조롭게 흐르도록 확보하여 윤활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운 리지분쇄기를 제공하며, 이는 기체, 리지분쇄 장치, 연결장치, 골파기장치, 고름장치 및 볏짚반환장치를 포함한다;
기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은 보행 기구에 설치되고,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및 운전석은 기계프레임에 설치되고, 냉각기는 유압 탱크에 설치된다;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 부재 및 나선형 드릴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며,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된다;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 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기계프레임과 리지분쇄 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하고,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상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므로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모두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보호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은 사용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한 윤활이 더욱 쉽게 진행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크므로, 베어링 설치할 때, 경운 휴 립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하나의 베어링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강도, 경도 및 동력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적정 수량의 베어링을 선택하므로, 리지분쇄함의 제조원가를 낮추어, 베어링 수량에 의한 원가도 낮추게 된다;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므로, 베어링 받침대의 간도를 높일 수 있고,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 시, 일부로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 윤활유 채널을 남긴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윤활유가 보강형 리지분쇄함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유통하여 윤활효과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버 플레이트를 더욱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의 회 전를 구동 시킬 수 있다; 하향 안내륜은 가이드 및 지탱 역할을 하게 되고, 상향 안내륜은 가이드와 인장 역할을 하게 되어 클롤러의 운행이 더욱 신뢰 되고 또한 안정적이다; 상기 기계프레임은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지지대은 휄프레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와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지지리브의 코너 위치에는 원호형 홈이 설정되어, 응력집중 현상을 줄이고, 지지리브의 강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와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무게가 아주 무겁다. 따라서, 지지리브의 설치를 통해 지지대의 내휨성, 내변형 력을 높여, 지지대의 지탱 력을 향상시킨다. 경사 버팀대의 후부 밑면에는 서로 평행되는 2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어,리버 플레이트와 경사 버팀대 사이에는 삼각 홈이 형성된다.
진일보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하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밑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 하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상 돌기는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위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와 위판 상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은 모두 리지분쇄함 내에 설치되었으므로, 따라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설치, 착탈, 유지보스를 위하여, 진입홀을 설정한다; 상기 플랜지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에 연결되며, 설치홀이 플랜지의 위치에 설정된 후, 볼트를 통해 진입홀을 고정하여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를 설정하고,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 플랜이 두께 보다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계단은 판체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와 판체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므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설치하고, 또한, 기타부품을 수시로 쉽게 착탈한다.
진일보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측 판에는 제1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지지판은 제1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은 측 판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 틈이 쉽게 생기거나 심할 경우 완전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제1지지부을 설치하면, 제1지지판가 제1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를 높인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지지판은 제2지지부를 지지한다. 밑판이 측 판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집중 현상이 쉽게 형성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서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를 설정하면, 제2지지판이 제2지지부에 대한 적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종아 진다. 상기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는 서로 상대 설정된다. 위판에는 제1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용접판는 위판 위에는 제1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이 측 판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되어, 제2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위판에는 제3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연결 러그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용접판는 제2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은 측 판과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제3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 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그를 포함하며, 두 연결 러가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조 의 힌지 받침대는 가공편의성과 고강도, 또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 원추형 베어링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된다; 동력전달축에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상부에는 스레드를 통해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연결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한다; 동력전달축에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부에는 역 방향 잠금 너트(미도시)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에 접촉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조절된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은 임의로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 조절의 정밀도가 높고, 동력전달축의 동력 전달 성능이 안정적이다.
진일보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타단은 스크류 로드가 구비된다. 플랜지에는 원추 축과 연동하는 원추홀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는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며,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된다.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를 스크류 로드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 자체는 스크류 로드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가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 축과 원추홀이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를 잠근다. 돌기가 존재하고,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한다.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된다;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된다; 수직 빔은 뒤쪽에 인접한 하 종 방향 빔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된다;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된다;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상기 연결지지판이 각각 용접된다;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하단 연결지지판의 아래쪽에 연결 너트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상단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딩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되도록 씌운다;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된다;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 용접된다; 하단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모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에 대하여, 승강형 오일 실린더 이동거리를 요구하며, 이를 통해,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길이가 긴 경우,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모체의 하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면,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고정점에서 힌지 받침대와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승강형 오일 실린더는 작동 시, 승강형 오일 실린더는 만곡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승강형 오일 실린더가 힘을 견디는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고정기구는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상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는 구조와 비교하면, 연결 프레임의 높이가 많이 낮아, 연결 프레임의 수직 높이는 감소시켜, 경운 리지분쇄기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를 통과하는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시킨다.
진일보로,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선택한다.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는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를 형성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오일탱크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진일보로, 연결장치 이외에 기타 구조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는 도 32 내지 도 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는 2개의연결 로드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제1연결 로드, 제2연결 로드, 제3연결 로드, 제4연결 로드 및 구동 오일 실린더를 포함한다. 연결 로드 받침대 는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1연결 로드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 편 하의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타당은 제1연결 러그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3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2연결 러그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와 제2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된다; 제4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 편상 되는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장치는 리지분쇄 장치의 반전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하여, 경운 리지분쇄 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현재의 경운 리지분쇄기의 운전석, 디젤엔진 등 모두 플랫폼에 설치되는 것과, 현재의 플랫폼은 강도가 충분하면 육중하고, 무게가 가벼우면, 강도가 부족하는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경운 리지분쇄기 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 기체에 있어서, 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에 설치되고, 클롤러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을 회전시킨다;상기 기계프레임는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휄프레임 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 및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경사 버팀대의 뒷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되는 두 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며; 지지대에는 진동 흡수기가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에는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가 설치되며 ; 디젤엔진 어셈블리는 디젤엔진기계프레임, 디젤엔진, 풍동함, 유압펌프 및 디젤엔진 커버를 포함하며; 디젤엔진기계프레임은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를 통해 디젤엔진 어셈블리의 진동을 흡수한다; 디젤엔진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에 고정된다; 풍동함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고,또한, 디젤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압펌프는 디젤엔진의 출력축 위에 연결되고; 디젤엔진 커버는 디젤엔진 및 풍동함 위에 씌우게 된다;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상기 구조에서,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하고, 기타 부품도 호스트플랫폼에 설치하게 되므로, 무게가 아주 무겁다. 따라서, 지지리브의 설정을 통해 또는 지지리브를 아치 모양으로 형성시켜, 지지대의 내휨성, 변형 저항력을 향상시켜 지지대의 지탱 력일 높인다. 동시에 호스트 플랫폼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는, 풍동함이 작동 시, 풍동함은 외부의 바람을 디젤엔진의 앞단에서 후단으로 불어 디젤엔진에서 앞에서 뒤로 가능 기류를 형성시켜, 디젤엔진에 대하여 방열 시켜, 디젤엔진의 수명을 증가한다; 유압펌프는 디젤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디젤엔진 작동 시, 디젤엔진의 출력축은 유압펌프를 구동 시키며; 디젤엔진 커버는 디젤엔진과 풍동함에 씌워지, 디젤엔진에 대하여 방수, 방진, 방충돌의 역할을 하게 된다.
진일보로, 휄프레임은 휄프레임 본체 및 휄프레임 연결 로그를 포함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는 휄프레임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후단에는 종동륜 수용함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종동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1 설치홀이 설정되어 종동윤을 편리하게 설치하며; 휄프레임 본체의 밑면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안내륜 수용함이 형성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어 하향 안내륜을 편리하게 설치하며; 휄프레임 본체의 윗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상향 안내륜 수용함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3 설치홀이 설정되어 상향 안내륜을 편리하게 설치한다; 구동륜은 베어링을 통해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 설치되며,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는 보행구동 장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종동륜의 일부는 종동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종동륜은 제1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하향 안내륜의 아래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안내륜은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또한,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를 설치하므로 하향 안내륜을 더욱 신뢰성 있게 설치한다; 상향 안내륜의 일부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상향 안내륜의 윗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향 안내륜은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또한,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를 설치하므로 상향 안내륜을 더욱 신뢰성 있게 설치한다.
진일보로, 휄프레임 본체의 후단에는 챔퍼가 형성되고, 휄프레임 연결 로그의 전단은 원호형이다. 이를 통해, 클롤러를 설치한 후, 클롤러가 원행과정에서 휄프레임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일보로,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에서 제2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기가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에서 제3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돌기가 설정한다. 제2너트를 잠글 때, 제2너트와 제2돌기가 접촉시키며, 제2돌기를 설치하였으므로, 제2너트와 휄프레임 본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제2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휄프레임 본체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일 수 있다. 제3너트를 잠글 때, 제3너트와 제3돌기가 접촉시키며, 제3돌기를 설치하였으므로 제3너트와 휄프레임 본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제3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휄프레임 본체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인다.
진일보로, 상기 보행구동 장치는 유압 모터이다. 유압 모터를 통해 구동륜을 구동하므로, 무단 변속을 구현하고, 구동력이 크다.
진일보로, 지지리브의 코너 위치에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응력집중의 현상을 줄이고 지지리브의 강도를 높이다.
본 발명은 경운 리지분쇄기 리지분쇄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힘을 많이 받는 위치에 복수의 베어링을, 힘을 적게 받은 위치에 적은 량의 베어링을 편리하게 설치하므로, 동력전달축의 강도를 높이고, 동력전송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도 낮추게 된다; 리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윤활유가 리지분쇄함 내에서 순조롭게 흐르도록 확보하여 윤활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된다;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 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회전시킨다;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하고,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상향 베어링 받침대를 연결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므로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모두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보호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은 사용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베어링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한 윤활이 더욱 쉽게 진행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크므로, 베어링 설치할 때, 경운 휴 립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하나의 베어링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강도, 경도 및 동력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적정 수량의 베어링을 선택하므로, 리지분쇄함의 제조원가를 낮추어, 베어링 수량에 의한 원가도 낮추게 된다;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므로, 베어링 받침대의 간도를 높일 수 있고,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 시, 일부로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 윤활유 채널을 남긴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윤활유가 보강형 리지분쇄함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유통하여 윤활효과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버 플레이트를 더욱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다.
진일보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하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밑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 하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상 돌기는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 돌기가 설정된 후, 한편으로, 위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와 위판상표면에 일정한 거리를 존재하여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은 모두 리지분쇄함 내에 설치되었으므로, 따라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설치, 착탈, 유지보스를 위하여, 진입홀을 설정한다; 상기 플랜지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에 연결되며, 설치홀이 플랜지의 위치에 설정된 후, 볼트를 통해 진입홀을 고정하여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를 설정하고,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 플랜이 두께 보다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와 착탈할 수 있다; 계단은 판체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와 판체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므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설치하고, 또한, 기타부품을 수시로 쉽게 착탈한다.
진일보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측 판에는 제1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지지판은 제1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은 측 판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 틈이 쉽게 생기거나 심할 경우 완전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제1지지부을 설치하면, 제1지지판가 제1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를 높인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지지판은 제2지지부를 지지한다. 밑판이 측 판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집중 현상이 쉽게 형성되며,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서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를 설정하면, 제2지지판이 제2지지부에 대한 적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종아 진다. 상기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는 서로 상대 설정된다.
진일보로, 위판에는 제1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용접판는 위판 위에는 제1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이 측 판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되어, 제2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위판에는 제3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연결 러그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에는 제2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용접판는 제2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은 측 판과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연결 로그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제3연결 로그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진일보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 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그를 포함하며, 두 연결 러가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조 의 힌지 받침대는 가공편의성과 고강도, 또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 원추형 베어링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된다; 동력전달축에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상부에는 스레드를 통해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연결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한다; 동력전달축에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부에는 역 방향 잠금 너트(미도시)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접촉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조절된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은 임의로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원추형 베어링의 간격 조절의 정밀도가 높고, 동력전달축의 동력 전달 성능이 안정적이다.
진일보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타단은 스크류 로드가 구비된다. 플랜지에는 원추 축과 연동하는 원추홀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는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되며,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된다.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를 스크류 로드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 자체는 스크류 로드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가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 축과 원추홀이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를 잠근다. 돌기가 존재하고,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 향 안내륜을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하향 안내륜이 휄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안내륜 이탈 방지형 보행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에 있어서, 이는 보행 기구를 포함하고, 보행 기구는 휄프레임 ,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및 클롤러를 포함하며; 휄프레임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휄프레임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이다;휄프레임의 위부분에는 지지러그가 설정되고, 지지러그에는 상향 개구홈이 설정되며; 휄프레임에서 하향 개구홈에는 이탈방지 조각이 고정되고, 이탈방지 조각에는 환형 홀이 설정되며; 하향 개구홈과 환형 홀에는 설치축이 통과하고, 설치축에는 상기 하향 안내륜이 설치되고, 하향 안내륜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위치되며; 상향 개구홈에는 설치축이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설치축에 설치되고,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상기 구조에서, 휄프레임 밑부분의 하향 안내륜을 설치할 때, 먼저 하향 안내륜을 설치축에 설치한 다음, 하향 안내륜과 설치축을 전체적으로 휄프레임에 설치하여, 하향 안내륜의 부분을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에 수용되게 하고, 설치축을 하향 개구홈의 개구로부터 하향 개구홈 내에 압입된 다음, 이탈방지 조각을 휄프레임에 고정시켜, 설치축이 환형 홀을 통과시킨다. 하향 안내륜과 하향 개구홈이 먼저 맞추는 작업 없이 설치축을 삽입하여, 안내륜을 아주 쉽게 설치한다. 또한, 클롤러가 하향 안내륜으로부터 이탈여부와 상관 없이, 이탈방지 조각에 환형 홀이 설정되므로, 이탈방지 조각을 통해 설치축이 휄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탈방지 조각은 뒤면에서 설치되므로, 하향 안내륜의 설치가 편리 해진다. 휄프레임 위면의 상향 안내륜을 설치할 때, 먼저 상향 안내륜을 설치축에 설치한 다음, 상향 안내륜과 설치축이 전체적으로 휄프레임에 설치되게 하며, 설치축을 상향 개구홈의 개구에서 상향 개구홈 내부로 압입되며, 상향 안내륜과 상향 개구홈이 먼저 맞추는 작업 없이 설치축을 삽입하여, 상 안내륜을 아주 쉽게 설치한다.
진일보로, 하향 개구홈은 하 원호구간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을 포함한다; 상향 개구홈은 상 원호구간과 상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하 직선구간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설치에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이 설치된 후, 휄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가능성을 주린다. 하 원호구간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하향 개구홈이 더욱 잘 맞물리게 접촉하도록 하여,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휄프레임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 직선구간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설치에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이 설치된 후, 지지러그로보투 이탈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상 원호구간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상향 개구홈을 더욱 잘 맞물리게 접촉하도록 하여,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지지러그의 마모를 주릴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휄프레임은 종 방향 빔, 상부뚜껑, 엔드 플레이트 및 연결 로그를 포함하며; 종 방향 빔의 일단에는 위에서 아래로 된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부뚜껑은 종 방향 빔에 용접되어 관통홈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종 방향 빔의 타단에 용접되고; 연결 러그는 엔드 플레이트에 용접된다. 종 방향 빔에는 상부뚜껑이 설정되어, 휄프레임의 내휨성을 높이고, 휄프레임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진일보로, 휄프레임에 관통홈의 양측벽에는 슬리딩 홈이 각각 설정된다; 관통홈 내에는 인장장치가 설정된다; 상기 인장장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직선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슬리딩 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정되고, 직선구동 기구는 슬라이딩 블록의 직선이동을 구동하고, 종동륜은 설치축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다. 상기 슬리딩 홈은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역할을 갖게 된다.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블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 종동륜의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여, 최종으로 클롤러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진일보로,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베어링 받침대, 스크류 로드 및 너트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는 관통홈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에 설정되고, 너트는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와 너트는 서로 맞물린다.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 낮으며, 사용 공간이 적다.
진일보로, 리드 스크류에는 다변형 단면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종 방향 빔에구동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가 설정된다. 구동부를 설정하므로, 스크류 로드를 더욱 편리하게 회전하며, 창구를 설정하므로, 공구를 관통홈 내오 진입시켜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것이 더욱 편리 해졌다.
진일보로, 종 방향 빔에 창구위치에는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방진, 방수, 보호의 역할을 수행한다.
진일보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연결판 및 연결판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U형 모양이며; 지지판에는 직경인 휄축 직경보다 큰 설치홀이 설정된다. U형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고, 두 지지판을 이용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두 지점으로 지지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응력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을 설치하므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설치할 경우,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은 슬라이딩 블록에 비해 정밀하게 조절할 공간이 존재한다.
진일보로, 이탈방지 조각은 스크류를 통해 휄프레임에 고정되어, 이탈방지 조각을 편리하게 설치 및 착탈한다.
본 발명은 상/하향 안내륜을 편리하게 설치하는 경운 클롤러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심오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에 있어서, 이는 휄프레임을 포함하고, 휄프레임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 휄프레임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이다; 휄프레임의 위부분에는 지지러그가 설정되고, 지지러그에는 상향 개구홈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오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상기 구조에서, 휄프레임 밑부분의 하향 안내륜을 설치할 때, 먼저 하향 안내륜을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에 설치한 다음, 하향 안내륜과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전체적으로 휄프레임에 설치하여, 하향 안내륜의 부분이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은 하향 개구홈의 개구로 하향 개구홈 내에 압입된다. 하향 안내륜과 하향 개구홈이 먼저 맞추는 작업 없이 설치축을 삽입하여, 안내륜을 아주 쉽게 설치한다. 휄프레임 윗면의 상향 안내륜을 설치할 때, 먼저 상향 안내륜을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에 설치한 다음, 상향 안내륜과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전체적으로 휄프레임에 설치하여,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상향 개구홈의 개구에서 상향 개구홈 내로 압입된다. 상향 안내륜과 상향 개구홈이 먼저 맞추는 작업 없이 설치축을 삽입하여, 상 안내륜을 아주 쉽게 설치한다.
진일보로, 하향 개구홈은 하 원호구간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을 포함한다; 상향 개구홈은 상 원호구간과 상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하 직선구간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설치에 가이드 역할을 갖게 된다. 또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이 설치된 후, 휄프레임을 이탈하는 가능성이 감소된다. 하 원호구간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하향 개구홈이 더욱 맞물려 접촉하게 하여,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휄프레임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상 직선구간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설치에 가이드 역할을 갖고 있다. 또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이 설치된 후, 지지러그로부터 이탈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 원호구간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상향 개구홈이 더욱 맞물려 접촉시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과 지지러그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휄프레임은 종방향 빔, 상부뚜껑, 엔드 플레이트 및 연결 로그를 포함하며; 종방향 빔의 일단에는 위에서 아래로 된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부뚜껑은 종방향 빔에 용접되어 관통홈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종방향 빔의 타단에 용접되고; 연결 러그는 엔드 플레이트에 용접된다. 종방향 빔에는 상부뚜껑이 설정되어, 휄프레임의 내휨성을 높이고, 휄프레임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진일보로, 휄프레임에 관통홈의 양측벽에는 슬리딩 홈이 각각 설정된다; 관통홈 내에는 인장장치가 설정된다; 상기 인장장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직선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슬리딩 홈에 스라이딩하게 설정되고, 직선구동 기구는 슬라이딩 블록의 직선이동을 구동하고, 종동륜은 설치축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다. 상기 슬리딩 홈은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역할을 갖게 된다.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블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 종동륜의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여, 최종으로 클롤러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진일보로,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베어링 받침대, 스크류 로드 및 너트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는 관통홈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에 설정되고, 너트는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와 너트는 서로 맞물린다.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 낮으며, 사용 공간이 적다.
진일보로, 리드 스크류에는 다변형 단면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종방향 빔에 대응되는 구동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가 설정된다. 구동부를 설정하므로, 스크류 로드를 더욱 편리하게 회전하며, 창구를 설정하므로, 공구를 관통홈 내오 진입시켜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것이 더욱 편리 해졌다.
진일보로, 종방향 빔에 창구 위치에 커버 플레이트가 고저오디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방진, 방수, 보호역을 수행한다.
진일보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연결판 및 연결판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U형 모양이며; 지지판에는 직경인 휄축 직경보다 큰 설치홀이 설정된다. U형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고, 두 지지판을 이용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두 지점으로 지지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응력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을 설치하므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을 설치할 경우,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은 슬라이딩 블록에 비해 정밀하게 조절할 공간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복잡한 지형에서 주행수요에 적응하는 나선형 경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선형 경운기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차프레임, 클롤러 장치, 운전석, 유압 탱크, 디젤엔진 어셈블리, 연결장치, 리지분쇄 장치 및 냉각기를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의 하부의 양측에 두 세트 이상의 클롤러 장치가 설정되고, 차프레임의 플랫폼의 면에 운전석,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연결장치가 설정되고, 연결장치에는 리지분쇄 장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경운기. 상기 나선형 경운기가 리지분쇄 장치를 통해 작업을 수행 시, 상기 나선형 심오 경운기의 차프레임의 하부의 양측에 두 세트 이상의 클롤러 장치가 각각 설정되므로, 각 클롤러 장치의 구동을 통해, 상기 나선형 경운기는 강한 운행 력을 구비되어 복잡한 지형의 운행수료를 적응한다.
본 발명 진일보로 개선한 것으로, 상기 클롤러 장치는 클롤러 휠 및 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클롤러휄은 차프레임에 설정되고, 상기 클롤러는 클롤러휄에 설치된다.
본 발명 진일보로 개선한 것으로, 차프레임의 플랫폼의 면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를 씌운 디젤엔진 커버가 설정된다.
상기 내용에 의하면, 상기 나선형 심오 경운기의 장점은 복잡한 지형의 운행수요를 적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과제는 나선형 경운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구조 간단하고, 배정은 긴밀하되 합리적이고, 방열효과는 우수하고, 열량과 소음이 운전자에 대하여 영향이 적으며, 에너지 소모가 낮다.
리지분쇄함의 강도가 낮고, 설치가 불편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측 판을 포함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상기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고,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고,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면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상기 구조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를 설정하므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고, 기타부품의 착탈도 편리하게 수시로 할 수 있다. 이르 통해, 리지분쇄함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가공 고정도 간단하다; 또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면으로 접촉되므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의 연결 강도는 높다.
진일보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구조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의 연결 강도는 높다.
진일보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스크류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구조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의 설치와 착탈은 편리하다.
진일보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된다. 판체를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상기 힌지 받침대는 기타부품과 편리하게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진일보로,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변으로부터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그를 포함한다. 두 연결 러가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정된다. 상기 구조의 힌지 받침대는 가공이 편리하고, 또한 강도가 높다.
진일보로, 판체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설정된다. 상기 고름장치연결 러그는 고름장치를 편리하게 연결하되 측 판을 파괴하지 않는다.
진일보로, 고름장치연결 로그의 중부에 제2지지판가 후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은 리지분쇄함의 밑부분을 받쳐준다. 따라서, 고름장치연결 러그는 판체와 단절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리지분쇄함 내에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쉽게 설치하기 위하여, 또한리지분쇄함에 기타부품을 연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입홀 커버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측 판을 포함하는 진입홀 커버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고,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진입홀을 설정하였으므로, 진입홀을 통해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리지분쇄함에 투입할 수 있고, 또한, 리지분쇄함 내에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의 설치, 착탈이 편리해지고, 또한,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의 현장 튜닝, 조절, 유지보수가 편리 해진다. 확장형 설치 플랜지를 설정하므로, 리지분쇄함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서 수시로 기타 부품을 연결하고, 기타부품을 수시로 편리하게 착탈할 수도 있다.
진일보로, 판체에 진입홀의 주위에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에는 설치홀이 설정된다. 진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일반적으로 볼트를 통해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다. 플랜지를 설정한 후, 설치홀은 플랜지 및 대응된 판체에 설정하므로, 볼트 통과된 부분의 두께는 증가되어, 판체의 강도를 높인다; 또한, 플랜지를 설정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설치 후,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는 플랜이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거리가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진입홀 커버의 설치와 착탈이 편리하게 된다.
진일보로,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는 일반적으로 용접방식으로 판체에 연결되며, 계단이 형성 후, 플랜지 내측과 판체 사이의 용접 틈새가 증가하게 되므로, 플랜지와 판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측 판과 진입홀 커버 사이에 밀봉환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계단은 막아서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밀봉성능을 향상시킨다.
진일보로, 플랜지에는 밀봉홈이 설정된다. 상기 밀봉홈은 밀봉환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 한정할 수 있어, 밀봉성능을 향상시킨다.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밀봉환을 설정하지 않으면, 밀봉홈에 밀봉오일을 주입하여 밀봉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진일보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된다. 판체를 파괴하지 않는 조건하에, 상기 힌지 받침대는 기타부품과 힌지를 통해 편리하게 연결한다.
진일보로,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변으로부터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그를 포함한다. 두 연결 러가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정된다. 상기 구조의 힌지 받침대는 가공이 편리하고, 또한 강도가 높다.
진일보로, 판체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설정된다. 상기 고름장치연결 러그는 고름장치를 편리하게 연결하되 측 판을 파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조가 편리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밑판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여 베어링 받침대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본 발명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와 밑판은 분리 구조를 이용하며, 연결 시, 비로서 함께 용접 시킨다. 따라서, 밑판과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단독으로 제조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낮추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한편으로는, 리지분쇄함의 외형의 크기를 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지분쇄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선택할 경우,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하여 더욱 쉽게 윤활을 진행하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돌출 높이가 2개 이상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진일보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항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의 설치에 사용된다. 하 돌기를 설치하면, 한편으로는, 밑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 하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의 설치와 착탈이 편해진다.
진일보로, 이웃 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가 크므로, 리버 플레이트를 설정한 후,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진일보로, 밑판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하며, 측 판에는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설정되어, 지지선반은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은 측 판에 용접되므로, 용접 틈새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쉽게 형성된다.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 틈새가 형성되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지지부를 설정한 후, 지지부의 밑판에 대한 지지역할을 이용하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가 더욱 우수해진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리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또한, 윤활유가 보강형 리지분쇄함 내에서 유창하게 흐르도록, 본 발명은 보강형 리지분쇄함을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보강형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이는 밑판, 측 판 및 위판으로 구성된 함체를 포함하며; 밑판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웃 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고, 리브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된다.
상기 구조에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이 편리 해진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상향으로 연장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한편으로, 보강형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감소하고, 다른 한편으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생할 수 있다. 또한, 보강형 리지분쇄함은 사용되는 과정에서 윤활유를 담게 된다.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보강형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하여 더욱 쉽게 윤활을 진행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므로,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 시, 리브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서 일부로 윤활유 채널을 남기면, 한편으로, 윤활유가 보강형 리지분쇄함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흐르게 하여, 윤활효과를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리버 플레이트를 더욱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다.
진일보로,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돌출 높이가 2개 이상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어, 더욱 안정하게 지탱할 수 있다.
진일보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되고,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며, 하 돌기를 설정한 후, 한편으로, 밑판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 하표면에 일정한 거리가 구비하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의 설치 및 착탈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진일보로,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하며, 측 판에는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설정되어, 지지선반은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은 측 판에 용접되므로, 용접 틈새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쉽게 형성된다. 따라서, 밑판과 측 판의 연결 위치에 틈새가 형성되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지지부를 설정한 후, 지지부의 밑판에 대한 지지역할을 이용하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가 더욱 우수해진다.
종래의 농경 기계의 동력전달 장치에 존재한 불 합리적인 베어링 배치, 축 방향 큰 부하를 견디지 못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이 약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 간단하고, 베어링 배치가 합리적이고, 축 방향의 큰 부하를 견뎌내는 전체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역방향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설비의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에 있어서, 플랜지, 下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부재, 상향 베어링 받침대, 베어링, 잠금 너트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포함하고, 플랜지와 동력입력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베어링은 동력입력부재의 양단에 설치되고,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에 베어링이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샤프트 숄더를 통해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잠금 너트를 통해 베어링 틈새를 조절한 후 잠겨 위치 고정하며,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를 제공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의 크기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잠금 너트 사이에는 탄성 개스킷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상부에는 완충 슬리브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원리: 본 발명은 역으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하며, 이러한 역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정 방향 설치방식보다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성이 좋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동력입력 부재의 양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축의 휨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샤프트 숄더를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동력전달축이 작동할 경우, 동력전달축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 작용력을 견디고, 지면의 반 작용력은 샤프트 숄더로부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에게 전달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을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에 전달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은 자체 무계로 지면의 반작용형을 완충시켜, 동력전달축을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금 너트를 통해 잠겨 위치 고정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잠금 너트로 편리하게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보다 크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작동 시 지면으로부터의 반 작용력을 견뎌야 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의 받은 힘이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보다 훨씬 많으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의 크기를 증가하는 것이 지면으로부터의 반 작용력을 견디는데 유리하고, 작동효과도 더욱 우수하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잠금 너트 사이에는 탄성 개스킷이 설정된다. 탄성 개스킷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잠금 너트가 더욱 충분히 결합시키며, 일정한 초기 결합력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축방향의 부하를 완충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플랜지 상부에는 완충 슬리브가 설정되며, 동력전달축은 작동 시, 플랜지과 연결된 부품에 전달된 축 방향 부하를 완충할 수 있다.
유익한 효과:
본 발명은, 종래의 농경 기계의 동력전달 장치에 존재한 불 합리적인 베어링 배치, 축 방향 큰 부하를 견디지 못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이 약한 결함을 극복하였으며, 본 발명은 구조 간단하고, 베어링 배치가 합리적이며, 축 방향의 큰 부하를 견뎌내는, 전체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잠금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 축과 연결부품이 신뢰 있게 연동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을 연결하는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축과 플랜지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에는 스크류 로드가 구비되며; 연결부품에는 원추 축과 배합하는 원추홀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설정하고, 원추홀과 관통홀은 서로 연통된다;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고,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가 설정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에 있어서, 스크류 로드에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는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을 가하여 합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를 스크류 로드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 자체는 스크류 로드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가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 축과 원추홀이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를 잠근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진일보로, 연결부품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카운터 보어와 관통홀은 서로 연통되고, 스크류 로드는 카운터 보어 내로 진압되고, 상기 잠금 너트와 글랜드는 카운터 보어 내에 위치된다.
글랜드에는 카운터 보어 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는 카운터 보어 홀 내에 위치된다. 록킹 스규류의 헤드부를 카운터 보어홀 네에 숨겨두면 록킹 스규류의 헤드부에 대한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진일보로,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그랜드에게 일정한 이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잠금 너트를 진일보로 잠그며, 록킹 스규류를 진일보로 잠그면, 글랜드는 계속하여 잠금 너트를 압제할 수 있다.
진일보로,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의 측벽은 임시 연동이다. 글랜드를 이용하여 잠금 너트를 보호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연결부품은 샤프트 연결 장치 또는 플랜지이다.
본 발명은, 나선형 드릴 로드가 더욱 쉽게 입토하도록, 입토 시, 나선형 드릴 로드가 받은 힘이 더욱 균일하도록, 나선형 드릴 로드가 경운 과정에서, 토지의 수직 방향 상의 두석 성능과 분쇄 정도가 다르게 하여, 직물의 성장에 더욱 유리하도록,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표층 토양의 고름의 2차 분쇄 하는 경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리지분쇄함을 포함하고, 리지분쇄함 내에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축을 설정되고,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리지분쇄함에서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전달축의 밖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나선형 드릴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드릴 로드는 로드 본체, 로드 본체에 회전하는 나선형 플레이드 및 나선형 플레이드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경운 장치에 있어서, 같은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에는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외측 단부에서 위쪽 또는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만곡 되어 성형된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에 고정되고;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과 칼등을 구비하고, 절토 칼날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과 대응되고, 칼등은 절토 칼날과 대응하여 설정되고;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는 제1입토 블레이드가 고정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는 제1연결부와 제1칼날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쐐기 모양이 되며, 제1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함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1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으며, 제1 입토 블레이드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1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다;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제2 입토 블레이드가 연결되고,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제2 연결부와 제2 칼날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는 로드 본체에 연결되고, 제2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2칼날이 쐐기 모양이 되며, 제2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함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으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2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은 제2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 방향과 반대된 방향과 일치하며; 로드 본체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로드 본체의 축방향에서 위치를 어근 나게 설정하고, 삽입연결 받침대에는 삽입연결 홈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에는 분쇄 고름 블레이드가 삽입 연결되고, 상기 분쇄 고름 블레이드는 삽입연결부,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포함하고, 제1만곡부는 삽입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와 회전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만곡부는 제1만곡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분쇄 고름 블레이드의 외 측에는 분쇄 칼날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동일 나선형 블레이드에 서로 다른 피치 내에 서로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설정하므로, 나선형 드릴 로드는 경운 과정에서, 블레이드가 많은 피치 내에서 토지를 더욱 충분하게 분쇄하여 더욱 푸석하게 하고, 반대일 경우, 토지의 분쇄와 푸석함이 부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식물 성장에 더욱 적절하다.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를 설정하고, 복수의 제2입토 블레이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모두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모두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경사각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과 같으므로, 나선형 드릴 로드는 입토 시,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동시에 토양을 절개하여, 로드 본체 원주에서의 응력이 균일하게 하여, 입토가 용이하다. 따라서, 로드 본체는 변형과 절단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응력이 균일 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변형과 갈라지는 것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1입토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신뢰성이 우수하고,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의 연결 신뢰성도 우수하다; 상기 구조를 이용할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는 일부가 로드 본체와 연결되므로, 균일한 힘을 받을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 있는 연결위치에서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강도가 높다. 제1합금 블레이드와 제2합금 블레이드를 설정하므로, 합금 블레이드의 경도가 커지고, 나선형 드릴 로드가 입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특히, 나선형 드릴 로드가 입토하여 휭방향으로 토양을 분쇄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밑층에서 토양을 깎은 역할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밑층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나선형 드릴 로드가 휭방향 절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돌과 접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합금 블레이드를 박으므로, 강도를 추가로 증가하고,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이 구비되므로, 로드 본체가 회전 시, 절토 칼날은 토양을 깎으므로, 한편으로, 블레이드가 더욱 쉽게 토양 중으로 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 나선형 드릴 로드의 휭방향 전단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 구조에 따른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설정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어근 나게 설정되고, 또한, 이웃 되는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므로, 경운 후의 토양을 고르 때,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통해 층 단계별 고르게 하고, 로드 본체가 회전 시, 분쇄된 토양은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 유동 되어, 고름의 저항력을 현저하게 줄인다. 또한, 고름효과가 우수하여, 분쇄된 토양이 쌓이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만곡부가 구비되므로, 제2만곡부는 토양을 다듬어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갖게 되며, 진일보로 고름효과를 높여준다. 분쇄 칼날을 설정되고, 분쇄 칼날은 기본으로 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2만곡부을 구비하므로, 분쇄된 토양을 2차 분쇄하고, 또한 토양 분쇄시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아래에서 위로, 같은 나선형 플레이드에는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의 수량은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하층 토양을 더욱 푸석하게 하고, 분쇄를 더욱 충분하게 하나, 상층 토양을 푸석함이 떨어지고, 분쇄효과가 떨어지게 하므로, 직물이 성장과정에서 뿌리가 더욱 쉽게 아래로 성장하고, 직물의 성장효과가 더운 좋다.
진일보로, 이웃 되는 피치 내에 블레이드의 수량은 1개식 감소한다.
진일보로, 서로 다른 나선형 플레이드에는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가 존재한다.
진일보로, 절토 칼날의 중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원호형을 형성한다. 블레이드가 절토하는 과정에서, 통약으로부터 블레이드 본체에 적용되는 작용력은 절토 칼날과 수식되는 제1분력과와 절토 칼날과 접하는 제2분력으로 분해되어, 토양이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작용력을 감소한다. 한편으로는, 블레이드의 만곡 변형을 감소할 수 있어, 절토 칼날의 마모와 파손을 줄이고, 블레이드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다른 하편으로는, 볼트 어셈블리가 받는 재단 력도 감소되어,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강도를 높여준다.
진일보로, 절토 칼날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절토 칼날은 쐬기 모양이 되고, 절토 칼날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에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가 설정되고, 절토 칼날이 쐬기 모양일 경우, 블레이드 본체는 더욱 쉽게 토양 내로 진입 되고, 블레이드의 강도도 감소된다. 이를 위하여, 제1리브의 설치를 통해 절토 칼날 위치의 강도를 증가하며, 비록 제1리브와 분쇄된 토양 사이에 일정한 저항력이 존재하나 분쇄된 토양이 제1리브를 경과할 때, 제1리브는 분쇄된 토양에 대하여 재차로 분쇄할 수 있어, 분쇄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스크류 캡을 포함하고, 볼트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와 고정부를 통과하고, 볼트의 하단 스레드에는 블레이드를 눌러주는 스크류 캡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 캡은 너트 및 너트와 일체로 된 원형 헤드를 포함한다. 원형 헤드의 외부표면에는 침탄층이 구비된다. 나선형 드릴 로드는 경운할 때, 스크류 캡은 토양과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스크류 캡의 마모를 쉽게 일으킨다. 일반의 너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잠그면, 한편으론, 너트가 마모가 발생하고, 다른 한편으로, 볼트 상의 너트가 파손되어, 너트를 풀어서 착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원형 헤드의 설치를 통해 볼트의 단부가 스크류 캡 내에 숨겨 두어, 볼트의 스레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원형 헤드는 본 발명의 너트를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너트 빠르게 마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스크류 캡이 조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침탄층을 설정한다.
진일보로,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의 연결강도를 높이다.
진일보로, 분쇄고름 블레이드에 분쇄 칼날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가 설정되며, 상기 제2리브는 분쇄고름 블레이드의 강도를 높이고, 또한, 추가로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진일보로,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경삭각은 동일하며, 나선형 드릴 로드 입토 시 더욱 균일하게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용신안은, 경운 절삭공구가 더욱 쉽게 입토 하기 위하여, 입토 시, 경운 절삭공구가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경운 절삭공구를 제공한다.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로드 본체의 중간 아래로 된 부위에는 나선형 플레이드가 돌려서 고정되며, 나선형 플레이드에는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는 제1입토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경운 절삭공구에 있어서,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입토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상기 구조에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를 설정하고, 복수의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운 절삭공구는 입토 시,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동시에 토양을 절개하여, 로드 본체 원주에서의 응력이 균일하게 하여, 입토가 용이하다. 따라서, 로드 본체는 변형과 절단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응력이 균일 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변형과 갈라지는 것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1입토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신뢰성이 우수하고,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의 연결 신뢰성도 우수하다; 상기 구조를 이용할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는 일부가 로드 본체와 연결되므로, 균일한 힘을 받을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 있는 연결위치에서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강도가 높다. 또한, 절삭공구는 쉽게 입토 가능하다.
진일보로, 제1 입토 블레이드와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원주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경운 절삭공구가 입토할 때, 절삭공구에 받는 힘이 더욱 균일하게 하며, 또한, 경운 절삭공구가 휭방향으로 절토할 때, 절삭공구의 밑부분에 받은 힘도 균일하다.
진일보로, 제1 입토 블레이드는 제1 연결부와 제1칼날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 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쐐기모양이 되도록 하며, 제1 입토 블레이드는 경사로 하향 연장되고, 제1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제2 연결부와 제2 칼날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는 로드 본체에 연결되고, 제2 칼날의 하표면은 경사면을 구비되어 제2 칼날이 쐐기모양이 되도록 하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경사로 하향 연장되고, 제2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은 제2연결부 연장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된 방향과 일치하다.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모두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모두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의 경사각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과 동일하게 하여, 칼토구가 더욱 쉽게 입토하여, 또한, 더욱 쉽게 배토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진일보로, 제1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1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으며; 제2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다. 제1합금 블레이드와 제2합금 블레이드를 설정하므로, 합금 블레이드의 경도가 커지고, 경운 절삭공구가 입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가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특히, 경운 절삭공구가 입토하여 휭방향으로 토양을 분쇄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밑층에서 토양을 깎은 역할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밑층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경운 절삭공구가 휭방향 절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와 제2입토 블레이드는 돌과 접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합금 블레이드를 박으므로, 강도를 추가로 증가하고,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진일보로, 로드 본체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로드 본체의 축방향에서 위치 어근 나게 설정되었으며, 삽입연결 받침대에는 삽입연결 홈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에는 분쇄고름 블레이드가 삽입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분쇄고름 블레이드는 삽입연결부, 제1만곡부 및 제2만곡부을 포함하고, 제1만곡부는 삽입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만곡부는 제1만곡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의 외 측에는 분쇄 칼날이 설정되는. 본 실용신안의 구조에 따른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설정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어근 나게 설정되고, 또한, 이웃 되는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므로, 경운 후의 토양을 고르 때,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통해 층 단계별 고르게 하고, 로드 본체가 회전 시, 분쇄된 토양은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 유동 되어, 고름의 저항력을 현저하게 줄인다. 또한, 고름효과가 우수하여, 분쇄된 토양이 쌓이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만곡부가 구비되므로, 제2만곡부는 토양을 다듬어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갖게 되며, 진일보로 고름효과를 높여준다. 분쇄 칼날을 설정되고, 분쇄 칼날은 기본으로 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2만곡부을 구비하므로, 분쇄된 토양을 2차 분쇄하고, 또한 토양 분쇄시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이 구비되고, 절토 칼날의 중간 부위는 밖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을 형성된다. 블레이드가 절토하는 과정에서, 통약으로부터 블레이드 본체에 적용되는 작용력은 절토 칼날과 수직 되는 제1분력과와 절토 칼날과 접하는 제2분력으로 분해되어, 토양이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작용력을 감소한다. 한편으로는, 블레이드의 만곡 변형을 감소할 수 있어, 절토 칼날의 마모와 파손을 줄이고, 블레이드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다른 하편으로는, 볼트 어셈블리가 받는 재단 력도 감소되어,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강도를 높여준다.
진일보로, 절토 칼날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절토 칼날은 쐬기 모양이 되게 하며, 절토 칼날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에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가 설정되고, 절토 칼날이 쐬기 모양일 경우, 블레이드 본체는 더욱 쉽게 토양 내로 진입 되고, 블레이드의 강도도 감소된다. 이를 위하여, 제1리브의 설치를 통해 절토 칼날 위치의 강도를 증가하며, 비록 제1리브와 분쇄된 토양 사이에 일정한 저항력이 존재하나 분쇄된 토양이 제1리브를 경과할 때, 제1리브는 분쇄된 토양에 대하여 재차로 분쇄할 수 있어, 분쇄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진일보로, 블레이드는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에 고정되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스크류 캡을 포함하며, 볼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와 고정부를 통과하며, 볼트의 하단 스레드에는 블레이드를 눌러주는 스크류 캡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 캡은 너트 및 너트와 일체로 된 원형 헤드를 포함한다. 원형 헤드의 외부표면에는 침탄층이 구비된다. 경운 절삭공구는 경운할 때, 스크류 캡은 토양과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스크류 캡의 마모를 쉽게 일으킨다. 일반의 너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잠그면, 한편으론, 너트가 마모가 발생하고, 다른 한편으로, 볼트 상의 너트가 파손되어, 너트를 풀어서 착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원형 헤드의 설치를 통해 볼트의 단부가 스크류 캡 내에 숨겨 두어, 볼트의 스레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원형 헤드는 본 실용신안의 너트를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너트 빠르게 마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스크류 캡이 조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침탄층을 설정한다.
진일보로, 제2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의 연결강도를 높이다.
진일보로, 분쇄고름 블레이드에 분쇄 칼날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가 설정되며, 상기 제2리브는 분쇄고름 블레이드의 강도를 높이고, 또한, 추가로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흙 쌓이는 것을 피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통해 구현된다.
로드 본체, 나선형 플레이드를 포함하고, 나선형 플레이드는 로드 본체의 하부에 둘려서 설정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에 있어서, 로드 본체의 상부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의 위쪽에 위치하는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여기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는 일체형 연결 슬리브와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연결 슬리브는 로드 본체의 상부에 설정되고,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연결 슬리브의 측벽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여기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적어도 두개가 있어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연결 슬리브의 측벽에 균일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의 외부 단부에는 칼끝이 설정되고, 칼끝은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원주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적어도 두개이어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배포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본체와 블레이드 본체의 밑부분이 만곡 되어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블레이드 본체는 로드 본체의 위쪽 단부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고정부과 연결하여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는 90°내지 120°이다.
여기서, 상기 로드 본체의 밑단에는 역삼각형의 드릴팁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 구조은 간단하며, 로드 본체의 상부에는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가 설정되므로,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는 용접 또는 고정부품을 통해 로드 본체의 상반부에 연결되며, 경운 작업 시, 로드 본체는 회전하면서 경운기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는 경운 후 로드 본체 앞에 생성된 무덤을 밀어서 편한 하게 할 수 있으며, 흙 쌓이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경운 작업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입토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통해 구현된다.
로드 본체, 나선형 플레이드를 포함하며, 나선형 플레이드는 로드 본체의 하부에 둘려서 설정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에 있어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꼬리 부위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위치하는 제1입토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여기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는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와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의 밑부분이 만곡 되어 수평 연장하여 형성된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연결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는 로드 본체의 밑단으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는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와 연결되어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는 120° 내지 150°이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원주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 구조가 간단하고, 경운 작업 시, 로드 본체는 회전하면서 경운기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나선형 플레이드의 꼬리부의 하표면에는 제1입토 블레이드가 설정되므로, 로드 본체가 회전하면서 입토되는 것이 편리하며, 동시에 나선형 플레이드의 마모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어, 나선형 플레이드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실용성 측면에서 강하다.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의 개략도.
도 2는 실시예1에 따른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의 분해도.
도 3은 보행 기구와 기계프레임의 개략도.
도 4는 다른 뷰에 따른 보행 기구와 기계프레임의 개략도.
도 5는 보행 기구와 기계프레임의 분해도.
도 6은 보행 기구와 기계프레임의 측면 개략도.
도 7은 휄프레임과 기계프레임의 개략도.
도 8은 다른 뷰에 따른 휄프레임과 기계프레임의 개략도.
도 9는 리지분쇄 장치의 개략도.
도 10은 다른 뷰에 따른 리지분쇄 장치의 개략도.
도 11은 리지분쇄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리지분쇄함의 개략도.
도 13은 리지분쇄함의 단면도.
도 14는 밑판과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개략도.
도 15는 위판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개략도.
도 16은 한 측 판의 개략도.
도 17은 다른 뷰에 따른 한 측 판의 개략도.
도 18은 원추형 베어링이 설치되고 구동 기구와 나선형 드릴 로드를 제거한후의 리지분쇄 장치의 개략도.
도 19는 동력전달축과 플랜지의 연결 개략도.
도 20은 실시예 1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략도.
도 21은 실시예 1에 따른 연결장치의 분해도.
도 22는 리지분쇄 장치, 골파기장치와 고름장치의 개략도.
도 23은 골파기장치의 부분 개략도.
도 24는 골파기장치의 부분 구조의 측면 개략도.
도 25는 골파기 쟁기와 골파기 암의 개략도.
도 26은 골파기 쟁기와 골파기 암의 정면 개략도.
도 27은 골파기 쟁기의 개략도.
도 28은 리지분쇄함과 고름장치의 개략도.
도 29는 고름장치의 개략도.
도 30은 볏짚반환장치의 개략도.
도 31은 다른 뷰에 따른 볏짚반환장치의 개략도.
도 32는 실시예 2에 따른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의 개략도.
도 33은 실시예 2에 따른 연결장치와 리지분쇄 장치의 개략도.
도 34는 실시예 2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략도.
도 35는 하향 안내륜 이탈 방지형 보행 기구의 개략도.
도 36은 하향 안내륜 이탈 방지형 보행 기구의 입체도.
도 37은 하향 안내륜 이탈 방지형 보행 기구의 정면 개략도.
도 38은 A-A에 따른 단면도.
도 39는 도 38에서 슬라이딩 블록이 설치된 개략도.
도 40은 인장장치의 개략도.
도 41은 실시예 7에 따른 개략도.
도 42는 실시예 8, 9에 따른 리지분쇄 장치의 개략도.
도 43은 실시예8, 9에 따른 리지분쇄 장치의 단면도.
도 44는 실시예 8, 9에 따른 연결판에 기타부품이 연결된 개략도.
도 45는 실시예 8에 따른 측 판의 개략도.
도 46은 실시예 8에서 다른 뷰에 따른 측 판의 개략도.
도 47은 실시예 9에 따른 측 판의 개략도.
도 48은 실시예 9에서 다른 뷰에 따른 측 판의 개략도.
도 49는 실시예 10, 11에 따른 리지분쇄 장치의 입체도.
도 50은 실시예 10, 11에서 다른 뷰에 따른 리지분쇄 장치의 입체도.
도 51은 실시예 10 리지분쇄 장치의 단면도.
도 52는 실시예 10에 따른 밑판과 베어링 받침대의 입체도.
도 53은 실시예 10에 따른 밑판과 베어링 받침대의 정면 개략도.
도 54는 보강형 리지분쇄 장치의 단면도.
도 55는 밑판과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정면 개략도.
도 56은 실시예 12 내지 15에 따른 구조 개략도.
도 57은 실시예 12 내지 15에 따른 구조 개략도.
도 58은 실시예 12 내지 15 에 따른 3차원 구조 개략도.
도 59는 경운 장치의 개략도.
도 60은 경운 장치의 단면도.
도 61은 나선형 드릴 로드 또는 경운의 절삭공구의 입체도.
도 62는 다른 뷰에 따른 나선형 드릴 로드 또는 경운 절삭공구의 입체도.
도 63은 나선형 드릴 로드 또는 경운 절삭공구의 분해도.
도 64는 볼트 어셈블리의 입체도.
도 65는 볼트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66은 볼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나선형 플레이드와 블레이드를 잠근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7은 흙 쌓임 방지형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입체 구조 개략도.
도 68은 흙 쌓임 방지형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구조 분해 개략도.
도 69는 본 입토 편의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입체 구조 개략도.
도 70은 본 입토 편의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구조 분해 개략도.
이하는 첨부한 도면과 구체적은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는 기체(1), 리지분쇄 장치(2), 연결장치(3), 골파기장치(4), 고름장치(5) 및 볏짚반환장치(6)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는 보행 기구(11), 기계프레임(12), 디젤엔진 어셈블리(13), 유압 탱크(14), 냉각기(15) 및 운전석(16)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행 기구(11)는 상대로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111),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상향 안내륜(115), 클롤러 (116)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111)는 휄프레임 본체(1111)와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를 포함한다.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는 휄프레임 본체(1111)의 전단부에 연결되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후단에는 종동륜 수용홈(11111)이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종동륜 수용홈(11111)을 통과하는 제1 설치홀이 설정된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밑면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이 존재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을 통과하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의 외 측은 제2 설치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돌기(11114)가 설정된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윗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이 구비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을 통과하는 제3 설치홀을 설정하고, 휄프레임 본체(1111)의 외 측은 제3 설치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돌기(11115)를 설정한다.
구동륜(112)은 베어링을 통해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설치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는 보행구동 장치가 고정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보행구동 장치는 유압 모터(117)이고, 유압 모터(117)을 통해 구동륜(112)을 구동시켜, 무단 변속 구현이 가능하고, 구동력이 크다.
종동륜(113)의 일부분은 종동륜 수용홈(11111) 내에 위치하고, 종동륜(113)은 제1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을 통해 설치된다.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분은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 내에 위치하고, 하향 안내륜(114)의 하부는 휄프레임 본체(1111)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안내륜(114)은 제2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에 설치되고,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를 설치하여 제2돌기(11114)과 접촉한다. 제2돌기(11114)를 설치하였으므로, 제2너트와 휄프레임 본체(1111)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제2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휄프레임 본체(1111)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일 수 있다.
상향 안내륜(115)의 일부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 내에 위치하고, 상향 안내륜(115)의 상부는 휄프레임 본체(1111)로부터 돌출되고, 상 향 안내륜(115)은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고, 제3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를 설치하여, 제3너트가 제3돌기(11115)에 접촉하도록 한다.제3돌기(11115)를 설치하였으므로 제3너트와 휄프레임 본체(1111)의 집적 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제3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휄프레임 본체(1111)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인다.
클롤러 (116)는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및 상향 안내륜(115) 위에 씌우게 되고, 구동륜(112)을 구동하므로, 클롤러 (116)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다. 하향 안내륜(114)은 가이드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향 안내륜(115)은 가이드 및 인장의 역할을 한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 본체(1111)의 후단에는 챔퍼가 형성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의 전단은 원호형이다. 따라서, 클롤러 (116)설치된 후, 클롤러 (116)가 이동중에 휄프레임(111)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클롤러식 보행 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경운 리지분쇄기는 연약지반에서도 순조롭게 보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운 리지분쇄기의 보행신뢰성을 향상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에너지 소모는 낮춘다.
상기 보행 기구(11)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베어링을 통해 구동륜(112)을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설치하고, 보행구동 장치를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고정하여, 보행구동 장치의 출력축이 구동륜(112)과 연결하게 한다.
(2) 설치축을 통해 종동륜(113)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한다.
(3)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하향 안내륜(114)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하고, 제2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을 잠그도록 하여, 제2너트을 제2돌기(11114)와 접촉시킨다;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상향 안내륜((115))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하고, 제3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를 잠그도록 하여, 제3너트를 제3돌기(11115)에 접촉시킨다.
(4) 클롤러 (116)를 슬리브在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및 상향 안내륜(115) 상에 씌운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프레임(12)는 지지대(121), 경사 버팀대(122) 및 지지리브(123)를 포함한다.
지지대(121)는 휄프레임(111)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122)는 휄프레임(111)과 지지대(121) 위에 용접되어, 지지강도를 향상시킨다; 지지리브(123)는 지지대(121)의 앞에 위치하고, 지지리브(123)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121)의 아래를 경과하여 다른 일 측의 경사 버팀대(122)로 연장하고, 지지리브(123)의 코너에는 원호형 홈(1231)이 설정되어, 응력집중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지지리브(123)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디젤엔진 어셈블리(13)와 운전석(16)은 지지대(121)의 앞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무게가 아주 무겁다. 지지리브(123)을 설정하므로 지지대(121)의 내휨성, 변형저항 능력을 증가되어 지지대(121)의 지지 력을 향상시킨다. 경사 버팀대(122)의 뒷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하는 2개의 리버 플레이트(124)가 설정되고, 리버 플레이트(124)와 경사 버팀대(122) 사이에는 삼각홈(1241)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프레임(12)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지지리브(123)를 지지대(121)의 밑면에 용접한다.
(2) 경사 버팀대(122)를 지지리브(123)에 용접하고, 지지리브 양단의 모양을 이용하여 경사 버팀대(122)에 대하여 위치 확정하므로 설치 정확도를 향상한다.
(3)리버 플레이트(124)를 경사 버팀대(122)에 용접한다.
(4) 지지대(121)과 경사 버팀대(122)를 휄프레임(111)에 용접한다.
상기 기계프레임(12)의 조립방법은 설치 정확도를 향상하고 조립의 효율을 높이다.
지지대(121)에는 진동 흡수기가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에는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가 설치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젤엔진 어셈블리(13)는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 디젤엔진(132), 풍동함(133), 유압펌프(134) 및 디젤엔진 커버(135)를 포함한다.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은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를 통해 디젤엔진 어셈블리(13)의 진동을 흡수한다; 디젤엔진(132)는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에 고정되다; 풍동함(133)은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의 앞 단에 설치되고, 디젤엔진(132)의 앞에 위치한다. 풍동함(133) 작동 시, 풍동함(133)은 외부의 바람을 디젤엔진(132)의 앞단에서 뒤단으로 불어주며, 디젤엔진에는 앞에서 뒤로 흐름은 기류가 형성되어 디젤엔진(132)을 방열 시킨다. 이를 통해 디젤엔진(132)의 사용수명을 늘인다; 유압펌프(134)는 디젤엔진(132)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디젤엔진(132) 작동 시, 디젤엔진의 출력축은 유압펌프(134)을 구동 시킨다; 디젤엔진 커버(135)는 디젤엔진(132)과 풍동함(133) 위에 씌우게 되고, 디젤엔진에 대하여 방수, 방진, 방충돌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디젤엔진 어셈블리(13)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디젤엔진(132)을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에 고정한다.
(2) 풍동함(133)을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에 설치한다.
(3) 유압펌프(134)를 디젤엔진의 출력축에 연결한다.
(4) 상기 조립된 어셈블리를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평행조절작업을 진행한다.
(5) 디젤엔진 커버(135)는 디젤엔진(132)과 풍동함(133) 위에 씌운다.
상기 조립방법은 공장에서 디젤엔진 커버 외의 디젤엔진 어셈블리를 설치한 다음, 현장에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의 편의성과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13)와 운전석(16)을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 장치(2)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 부재(24), 베어링(25)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지분쇄함(21)는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포함하고, 측 판(212)의 하단면은 밑판(211)에 용접되고, 위판(213)은 측 판(212)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2111)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2111)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밑판(211)의 상표명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큰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웃 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273)가 용접되어 있어,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리버 플레이트(273)와 밑판(211)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274)일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윤활유가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흐르게 하여 윤활효과를 높인다. 다른 한편으로, 리브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이 제한 받은 경우, 리버 플레이트를 더욱 편리하게 용접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항 돌기(272)를 형성한다. 상기 하 돌기(272)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의 설치에 사용된다. 하 돌기(272)를 설치하면, 한편으로는, 밑판(211)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와 밑판(211)하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의 설치와 착탈이 편해진다.
도 13과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판(213)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상향 관통홀(2131)이 설정되고, 상향 관통홀(2131)의 내벽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길이보다 크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는 상향으로 연장되고,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276)를 형성한다; 상기 상 돌기(276)는 베어링 엔드 커버(282)의 설치에 상용된다. 상 돌기(276)를 설치하면, 한편으로는, 위판(213)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와 위판(213)상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하여,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의 설치와 착탈이 편해진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2111)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연결하고, 상향 관통홀(2131)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를 연결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는 하향으로 연장하므로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모두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보호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리지분쇄함은 사용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한 윤활이 더욱 쉽게 진행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길이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길이보다 크므로, 베어링 설치할 때, 경운 리지분쇄 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25)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하나의 베어링(25)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강도, 경도 및 동력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적정 수량의 베어링을 선택하므로, 리지분쇄함의 제조원가를 낮추어, 베어링 수량에 의한 원가도 낮추게 된다.
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2121)를 포함하고, 판체(2121)에는 진입홀(21211)을 설정되고, 판체(2121)에 진입홀의 주위에는 플랜지(21212)가 설정되고, 판체(2121)와 플랜지(21212) 위에는 설치홀(212112)이 설정되고, 플랜지(21212)의 내측과 판체(2121) 상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이 모두 리지분쇄함(21) 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 시스템 등부품을 설치, 착탈, 보수할 수 있도록, 진입홀(21211)을 설정했다; 상기 플랜지(212112)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2121)에 연결되며, 설치홀(21212)이 플랜지(212112)의 위치에 설치된 후, 볼트를 통해 고정진입홀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212112)을 설정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설치하면,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는 플랜지의 두께와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진입홀 커버의 설치 및 착탈이 편해진다; 상기 계단은 판체(2121)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212112)와 판체(2121)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일보로, 플랜지(212112)에는 밀봉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홈은 밀봉환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 한정하여,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밀봉환을 설정하지 않으면, 밀봉홈 내에 밀봉오일을 주입하여 밀봉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측 판(212)에는 제1연결 러그(29)가 용접되고, 제1연결 러그(29)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판(291)이 설정되고, 제1지지판(291)은 제1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211)은 측 판(212)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 틈이 쉽게 생기거나 심할 경우 완전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제1지지부을 설치하면, 제1지지판(291)가 제1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를 높인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212)에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210)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연결 러그(210)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지판(2101)이 설정되고, 제2지지판(2101)은 제2지지부를 지지한다. 밑판(211)이 측 판(212)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집중 현상이 쉽게 형성되며,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서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를 설정하면, 제2지지판(2101)이 제2지지부에 대한 적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종아 진다. 상기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는 서로 상대 설정된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판(213)에는 제1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212)에는 제2연결 러그(220)가 용접되고, 제2연결 러그(220)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용접판(2201)이 설정되고, 제2용접판(2201)는 위판 위에는 제1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213)이 측 판(212)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연결 러그(220)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되어, 제2연결 러그(220)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위판(213)에는 제3연결 러그(230)가 용접되고, 제3연결 러그(230)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용접판(2301)이 설정되고, 측 판(212)에는 제2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용접판(2301)는 제2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213)은 측 판(212)와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연결 러그(230)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제3연결 러그(230)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2121)에는 힌지 받침대가(240)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240)는 연결 받침대 (2401)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2402)를 포함하며,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에는 힌지홀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조 의 힌지 받침대(240)는 가공편의성과 고강도, 또한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판체(2121)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설정되어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연결하거나 착탈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 등 이고, 구동 기구(22)는 위판(213)에 설치되어 한 동력전달축을 회전시키거나, 각 동력전달축에 대응하여 구동 기구를 설치하거나, 일부 동력전달축에 대응하여 구동 기구를 설정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는 베어링(25)가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는 베어링(2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원추형 베어링을 선택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방행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23)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23)의 하단은 리지분쇄함(21)의 밖으로 노출한다. 동력전달축(23)에는 축 방향 관통하는 재료투입홀(231)이 구비된다.
동력입력 부재(24)는 기어이고,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기어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 막는다. 한 동력전달축에 구동 기구를 연결할 경우,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기어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2771)가 설정된다.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23)에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상부에는 스레드를 통해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과 연결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한다; 동력전달축(23)에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상부에는 역 방향 잠금 너트(미도시)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아 접촉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회전시켜,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가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작용시켜,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정 방향 회전 너트(2772)가 회전하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역 방향으로 잠기어서, 역 방향 잠금 너트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가 접촉하도록 하여,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조정된 틈새는 임의로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의 조절 정밀도가 높아지고, 동력전달축의 동력전송 성능은 안정적으로 된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로드 본체(261), 나선형 플레이드(262) 및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261)는 플랜지(265)를 통해 동력전달축(23)에 연결되고, 로드 본체(261)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은 동력전달축 상의 재료투입홀과 서로 연통되며, 로드 본체(261)에는 홀과 연통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배출홀(2611)이 설정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재료투입홀(231)으로 농약, 물, 비료 등을 주입할 수 있으며, 농약, 물 또는 비료는 홀과 재료배출홀(2611)을 통해 에 진입되어, 농약, 물 및 비료의 심층주입의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상기 과정은 경운 시 동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높인다;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로드 본체(261)에 용접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블레이드가 고정된다.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축(23)의 일단은 원추축(232)이고, 원추축(232)의 타단은 스크류 로드(233)가 구비된다. 플랜지(265)에는 원추축과 연동하는 원추홀(2651)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관통홀(2652)이 설정되고, 플랜지(265)에는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 카운터 보어(2653)가 설정되고, 원추홀(2651), 관통홀(2652) 및 카운터 보어(2653)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축(232)은 원추홀(2651)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233)는 관통홀(2652)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2653) 내에 진입되며, 카운터 보어(2653)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266)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233)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가 고정된다. 글랜드(268)의 상표면에는 돌기(2681)가 구비되고, 돌기(2681)는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로 되고,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 단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며,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는 임시 연동하며, 이는 큰 입자의 물질이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 너트(266)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글랜드(268)에는 카운터 보어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는 카운터 보어홀 내에 위치하여, 록킹 스규류 헤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를 스크류 로드(233)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268)자체는 스크류 로드(233)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2681)가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266)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266)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268)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축(233)과 원추홀(2651)가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268)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267)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268)을 잠근다.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2681)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266)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밑판(211)에 용접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를 위판(213)에 용접한다.
(2)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함께 용접하여 리지분쇄함(21)를 형성한다; 제1연결 러그(29), 고름장치연결 러그(210), 제2연결 러그(220), 제3연결 러그(230) 및 힌지 받침대(240)를 리지분쇄함에 용접한다.
(3)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의 베어링은 모두 원추형 베어링이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역 방향으로 설치된다.
(4) 동력전달축(23)을 리지분쇄함의 하단에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을 통해 리지분쇄함 내로 진입한다. 동력전달축(23)의 상단이 리지분쇄함의 중간 부위에 진입 될 경우, 동력의 출력부품(24)을 동력전달축(23)에 설치한 다음, 동력전달축(23)에 샤프트 슬리브(2771)를 씌우고, 그 다음 위쪽으로 동력전달축을 밀어서, 동력전달축의 상단이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5) 동력전달축(23)의 상단에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을 잠그도록 하여,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와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환이 접촉작용이 발생시켜,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환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촉진하여,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가 조절되며,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역 방향으로 잠근다.
(6)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설치한다.
(7) 구동 기구(22)를 설치한다.
(8) 플랜지(265)를 설치하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원추홀(2651), 관통홀(2652) 및 카운터 보어(2653)를 스크류 로드(233)에 관통 시키고, 원추축(232)과 원추홀(2651)을 연통 시켜, 스크류 로드(233)의 하단에 잠금 너트(266)를 잠근 다음, 카운터 보어(2653) 내로 글랜드(268)를 압입하여, 돌기(2681)와 잠금 너트(266)의 단면이 접촉시킨 다음, 록킹 스규류(267)를 잠근다.
(9) 플랜지(265)에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설치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은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다.
도 1, 도 2,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연결프레임(31), 연결지지판(32),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연결 너트(34),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를 포함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1)는 크로스 빔(311), 종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포함한다. 크로스 빔(311)는 복수로 구성된다; 종방향 빔(312)은 하 종방향 빔과 상 종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311)의 양단에는 하 종방향 빔이 용접되고, 크로스 빔(311)의 중간 부위에도 하 종방향 빔을 용접할 수 있다; 수직 빔(313)은 뒤쪽에 인접한 하 종방향 빔에 용접되고; 상 종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된다; 제1 경사선반(314)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315)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된다. 이런 구조의 연결프레임(311)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응력 성능을 좋아서 무거운 리지분쇄 장치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빔(311), 종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은 모두 사각관을 선택한다. 크로스 빔(311), 종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는 서로 연통 하여, 크로스 빔(311), 종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서 오일 챔버를 형성하여, 경유를 담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오일탱크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종방향 빔과 상 종방향 빔에는 상기 연결지지판(32)이 각각 용접되어 있다.
지지 연결판(32)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가 통과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본체 및 그 외부 표면에 도포된 크롬층을 포함한다. 상기 크롬층은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을 높여준다.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위에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아래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며, 상하의 연결 너트(34)를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아주 쉽게 설치 또는 착탈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는 슬라이딩 슬리브(351),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352)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351)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슬라이딩 하도록 씌우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에 또한 슬라이딩 슬리브(35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방진환이 설정되어, 방진, 방수의 역할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의 윤활유가 단시간내에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윤활성능이 높인다.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는 슬라이딩 슬리브(351)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는 설치홀(3521)이 설정된다.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 용접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3531)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와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2) 사이에 용접된 리버 플레이트(3532)를 포함한다.
하단의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37)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되고,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에 대하여,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길어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길이도 길어야 한다.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될 경우,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고정점에서 힌지 받침대(37)까지의 거리를 주릴 수 있으며, 승강형 오일 실린더(36) 작동 시,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는 쉽게 만곡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응력효과가 좋다. 또한, 이러한 고정기구는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상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는 구조에 비해,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많이 낮으므로 연결프레임의 수직높이를 낮추게 되고, 전체적으로 경운 리지분쇄기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3521)를 통과하는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3)에 고정되므로, 리지분쇄 장치의 설치가 편리하고 신속해지 뿐만 아니라, 리지분쇄 장치를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크로스 빔(311), 종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함께 용접 시켜 연결프레임(31)을 형성한다.
(2) 하 종방향 빔과 하 종방향 빔에 각각 연결지지판(32)을 용접한다.
(3)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일단을 상단의 연결지지판을 통해 하향으로 통과한 다음,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의 슬라이딩 슬리브(351)를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씌우고, 그 다음, 지속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하단의 연결지지판을 통과시킨 다음,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너트(34)를 각각 잠그도록 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고정한다.
(4) 하단의 연결지지판에 힌지 받침대(37)를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몸체를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도 1, 도 2 및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파기장치(4)는 스윙 암(41), 지지 암(42), 전복형 오일 실린더(43), 조절 받침대(44), 골파기 암(45) 및 골파기 쟁기(46)를 포함한다.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는 힌지 받침대(47)가 고정되고, 스윙 암(41)의 일단은 힌지 받침대(47)에 현지를 통해 연결되고, 스윙 암(41)의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스윙 암은 서로 평행되는 2개가 있으며, 두 스윙 암의 중간 부위의 사이에 단면이 정 다변형인 상기 지지 암(42)를 용접한다.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몸체는 제3연결 러그(23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받침대(44)는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는 지지 암(42)에 홀딩 되고,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를 연결하며, 볼트를 풀게 되면,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에서 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볼트를 잠그게 되면,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42)에 고정시키므로, 조절 받침대의 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441)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442)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47)가 통과된다. 골파기 암(45)은 두 상 홀딩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는 동시에 두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도 홀딩 된다. 골파기 암(45)에는 복수의 조절 홀(451)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47)는 일부 조절 홀(451)을 통과한다. 골파기 암이 조절 받침대(44)에 상대하여 그 사이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조절 로드(47)을 풀어, 골파기 암(45)을 필요한 위치로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47)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과 대응되는 조절 홀을 통과하므로, 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2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파기 쟁기(46)는 골파기 암(45)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골파기 쟁기는 제1골파기 쟁기판(461)을 포함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의 양측에는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이 설정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 제2골파기 쟁기판(462) 및 제3골파기 쟁기판(463) 사이에는"U"형 홈(464)이 설정되고, "U"형 홈(464) 내에는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방향 보강 리브(466)가 설정되고,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방향 보강 리브(466)는 서로 교차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의 하단은 제2골파기 쟁기판(462)의 하단,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하단과 서로 교차하여 쟁기 끝날부(467)을 형성하고, 쟁기 끝날부(467)의 횡단면은 삼각형이고, 쟁기 끝날부(467)의 두께는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두께보다 크다. 경작하는 과정에서, 쟁기 끝날부(467)는 토양중의 돌, 나무뿌리 또는 관목 등 견고한 장애물에 접촉되며, 그러나 쟁기 끝날부(467)의 두께가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두께보다 크게 되면, 쟁기 끝날부(467)의 강도가 높아져, 쟁기 끝날부(467)의 해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쟁기 구조가 아주 든든하다. 동시에 제1골파기 쟁기판(461), 제2골파기 쟁기판(462) 및 제3골파기 쟁기판(463) 사이에 "U"형 홈(464)이 형성되므로, 쟁기 구조 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지고, 동시에 "U"형 홈(464) 내에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방향 보강 리브(466)가 설정되고, 쟁기구조가 더욱 든든하게 된다.
상기 골파기장치(4)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지지 암(42)을 두 스윙 암 사이에 용접한 다음,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일단은 제3연결 러그(230)에 힌지를 통해 연결시키고, 그 다음, 스윙 암(52)의 일단을 힌지 받침대(47)에 힌지를 통해 연결시키고, 스윙 암의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2)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52)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2개의하 홀더 받침대(441)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442)를 지지 암(52)에 홀딩 시키고, 그 다음,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하고,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하며, 이때, 잠금 볼트는 상하 홀더 받침대를 잠그지 않았으며, 수요에 의해 조절 받침대(44)가 지지 암(42) 상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잠금 볼트를 조여서 잠그도록 하여, 조절 받침대(44)가 지지 암(42)을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3) 골파기 쟁기(46)를 골파기 암(45)에 용접하고, 골파기 암(45)의 상단은 조절 받침대의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와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설치하고, 수요에 의해 골파기 암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과 이에 대응되는 조절 홀을 통과하여 골파기 암에 대하여 위치를 확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골파기장치의 조립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고 또한, 수요에 의해 골파기 쟁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8과 도 2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름장치(5)는 레이크 판(52), 레이크 판(52)과 연결된 연결 암(58) 및 상기 레이크 판(52)의 반전각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암(58)은 레이크 판(52)의 양단 위치에 설치되고, 연결 암(58)하단은 레이크 판(52)과 고정하여 연결되고, 상단은 고름장치 연결 러그(21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연결 레이크 판(52)을 지지 또는 연결한다. 상기 레이크 판(52)은 스트립 모양이며, 상기 레이크 판(52)은 3개의 평판 유닛(521)이 순차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평판 유닛(521)은 연결부(5211)와 상기 연결부(5211)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5212)를 포함하고,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 사이의 연결부(5211)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 유닛(521)을 반향으로 접을 수 있다; 평판 유닛(521)은 전개된 후, 평판 유닛(52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의 연결부(5211) 사이에 평판 유닛(21)의 반전을 제한하는 인터 로킹장치가 설정된다.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21) 측 변에 설정된 제1링(59),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 측 변에 설정된 제2링(511) 및 제1링(59)과 제2링(511)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510)을 포함하고, 제1링(59) 삽입홀과 제2링(511) 삽입홀은 종방향이고, 이웃 되는 두 평판 유닛(521)이 전개된 후, 제1링(59)과 제2링(511)은 상하 배열된 모양이고, 플러그 핀(510)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링(59)과 제2링(511)을 통과하여 이웃 되는 2개의 평판 유닛(521)을 잠근다. 상기 조절장치는 힌지 받침대, 스크류 로드, 제1스프링, 제2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하단은 레이크 판(52)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레이크 판(52)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고, 제2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한다. 제1스프링의 탄력은 레이크 판(52)에 작용되어 레이크 판(52)이 흙을 고르게 할 때, 더욱 힘이 있고, 또한, 조절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레이크 판(52)의 반전각을 변경시킨다.
상기 고름장치의 작동원리는, 고름장치와 리지분쇄 장치가 연동하여 사용하며, 리지분쇄 장치는 점토를 리지분쇄 한 후, 토양이 푸석하고 흐트러진다; 조절장치를 통해 레이크 판(52)을 반전시켜 지면과 접촉시키고, 경운 리지분쇄기가 보행할 때 고름장치과 협동하여 보행하므로, 고름장치의 레이크 판(52)은 지면을 고르게 한다; 또한, 리지분쇄 장치의 나선형 드릴 로드는 점토에 대하여 리지분쇄 을 진행 시, 분쇄된 점토는 튀게 되며, 리지분쇄 장치 일 측에 설정된 레이크 판(52)은 점토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막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크 판(52)은 스트립 모양이고, 힌지로 연결된 이웃 평판 유닛(521)을 통해 레이크 판(52)의 넓이를 조정하므로 토지의 면적의크기에 의해 레이크 판(52)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반환장치(6)는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 볏짚반환 연결로드기구(62), 볏짚반환 커버(63), 제초칼(64),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65) 및 볏짚반환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도 30과 도 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반환 연결기구(62)는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와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를 포함한다;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의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의 일단은 제1볏짚반환연결로드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의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초칼(64)은 볏짚반환커버(63) 내에 설정된다; 볏짚반환오일 실린더(65)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볏짚반환구동 기구는 모터, 구동기어,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모터는 볏짚반환커버(63)에 고정되고, 구동기어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는 제초칼(64)의 축에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는 서로 맞물리고, 볏짚반환커버의 하 전방에 위치한정 룰러(66)가 설정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와 비교하면, 연결장치 이외에 기타 구조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는 도 32 내지 도 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2개의연결 로드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310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30a), 제1연결 로드(31a), 제2연결 로드(32a), 제3연결 로드(33a), 제4연결 로드(34a) 및 구동 오일 실린더(35a)를 포함한다. 연결 로드 받침대 (30a)는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1연결 로드(31a)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30a)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32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 편 하의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32a)의 타당은 제1연결 러그(29)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3연결 로드(33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33a)의 타단은 제2연결 러그(22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33a)와 제2연결 로드(32a)는 서로 평행된다; 제4연결 로드(34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 편상 되는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34a)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33a)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 오일 실린더(35a)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30a)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35a)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구조의 연결장치는 리지분쇄 장치의 반전과 수직이동을 실현할 수 있어, 경운 리지분쇄 에 편리하다.
실시예 3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 리지분쇄기는 기체(1), 리지분쇄 장치(2), 연결장치(32)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는 보행 기구(11), 기계프레임(12), 디젤엔진 어셈블리(13), 유압 탱크(14), 냉각기(15) 및 운전석(16)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행 기구(11)는 상대로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111),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상향 안내륜(115), 클롤러 (116)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111)은 휄프레임 본체(1111)와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를 포함한다.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은 휄프레임 본체(1111)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후단에는 종동륜 수용홈(11111)이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종동륜 수용홈(11111)을 통과하는 제1 설치홀이 설정된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밑면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이 존재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을 통과하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의 외 측에 제2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돌기(11114)가 설정된다; 휄프레임 본체(1111)의 윗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이 존재하고, 휄프레임 본체(1111)에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을 통과하는 제3 설치홀이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1111)의 외 측에 제3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돌기(11115)가 설정된다.
구동륜(112)은 베어링을 통해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설치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는 보행구동 장치가 고정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는, 보행구동 장치는 유압 모터(117)이고, 유압 모터(117)를 통해 구동륜(112)을 구동 시켜, 무단 변속이 가능하며, 구동력이 크다.
종동륜(113)의 일부는 종동륜 수용홈(11111)에 위치하고, 종동륜(113)은 제1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된다.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11112) 내에 위치하고, 하향 안내륜(114)의 하부는 휄프레임 본체(1111)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안내륜(114)은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고, 제2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를 설치하여, 제2너트와 제2돌기(11114)를 접촉시키며, 제2돌기(11114)를 설치하였으므로 제2너트와 휄프레임 본체(1111)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제2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휄프레임 본체(1111)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인다.
상향 안내륜(115)의 일부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11113)에 위치하고, 상향 안내륜(115)의 상부는 휄프레임 본체(1111)로부터 돌출되고, 상향 안내륜(115)는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고, 제3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를 설치하여,제3너트가 제3돌기(11115)에 접촉하도록 한다. 제3돌기(11115)를 설치하였으므로 제3너트와 휄프레임 본체(1111)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제3너트의 잠금을 편리하게 하여, 잠금력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휄프레임 본체(1111)의 강도와 사용수명을 높인다.
클롤러 (116)는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및 상향 안내륜(115)에 씌우게 되고, 구동륜(112)의 구동을 통해 클롤러 (116)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향 안내륜(114)은 가이드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하였고, 상향 안내륜(115)은 가이드 및 인장 역할을 수행한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 본체(1111)의 후단에는 챔퍼가 형성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의 전단은 원호모양이다. 이를 통해 클롤러 (116)가 설치된 후, 클롤러 (116)가 운행 중에 휄프레임(111)과 간섭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클롤러식 보행 기구를 선택하므로, 경운 리지분쇄기가 연약지반에서 순조롭게의 보행할 수 있으며, 경운 리지분쇄기의 보행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성도 높이고, 에너지 소모도 줄일 수 있다.
상기 보행 기구(11)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베어링을 통해 구동륜(112)을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설치하고, 보행구동 장치를 휄프레임 연결 러그(1112)에 고정하여, 보행구동 장치의 출력축과 구동륜(112)을 연결시킨다.
(2) 설치축을 통해 종동륜(113)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한다.
(3)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하향 안내륜(114)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하고, 제2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를 잠그도록 하여, 제2너트와 제2돌기(11114)를 접촉시킨다;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상향 안내륜(115)을 휄프레임 본체(1111)에 설치하고, 제3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을 잠그도록 하여, 제3너트와 제3돌기(11115)를 접촉시킨다.
(4) 클롤러 (116)을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및 상향 안내륜(115)에 씌운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프레임(12)는 지지대(121), 경사 버팀대(122) 및 지지리브(123)를 포함한다.
지지대(121)는 휄프레임(111)에 용접된다; 경사 버팀대(122)는 휄프레임(111)와 지지대(121)에 용접되어 지지강도를 높인다; 지지리브(123)는 지지대(121)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지지리브(123)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121)의 밑부분을 통해 다른 일 측의 경사 버팀대(122)로 연장하며, 지지리브(123)의 코너에는 원호형 홈(1231)이 설정되어, 응력 집중되는 현상을 줄이고, 지지리브(123)의 강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13)와 운전석(16)은 지지대(121)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무게가 아주 크다. 따라서, 지지리브(123)를 설치하므로 지지대(121)의 내휨성, 변형 저항력을 높이어, 지지대(121)의 지지 력을 높인다. 경사 버팀대(122)의 뒷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하는 2개의 리버 플레이트(124)를 설정하고, 리버 플레이트(124)와 경사 버팀대(122) 사이에는 삼각홈(1241)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프레임(12)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지지리브(123)를 지지대(121)의 밑면에 용접한다.
(2) 경사 버팀대(122)를 지지리브(123)에 용접하고, 지지리브 양단의 모양을 이용하여 경사 버팀대(122)의 위치확정을 하여, 설치정밀도를 높인다.
(3) 리버 플레이트(124)를 경사 버팀대(122)에 용접한다.
(4) 지지대(121)와 경사 버팀대(122)를 휄프레임(111)에 용접한다.
상기 기계프레임(12)의 조립방법은 설치의 정밀도를 높이고, 조립의 효율성도 높인다.
지지대(121)에는 진동 흡수기가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에는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가 설치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젤엔진 어셈블리(13)는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 디젤엔진(132), 풍동함(133), 유압펌프(134) 및 디젤엔진 커버(135)를 포함한다.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은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를통해 디젤엔진 어셈블리(13)의 진동을 흡수한다; 디젤엔진(132)은 디젤엔진기계 프레임(131)에 고정된다; 풍동함(133)은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의 앞 단에 설치되고, 디젤엔진(132)의 앞쪽에 위치한다. 풍동함(133) 작동 시, 풍동함(133)은 외부의 바름을 디젤엔진(132)의 앞단에서 후단으로 불어, 디젤엔진에 앞에서 뒤로 가는 바람 흐름을 형성하여, 디젤엔진(132)을 방열 시켜, 디젤엔진(132)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킨다; 유압펌프(134)는 디젤엔진(132)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디젤엔진(132) 작동 시, 디젤엔진의 출력축은 유압펌프(134)를 작동시킨다; 디젤엔진 커버(135)는 디젤엔진(132)와 풍동함(133) 위에 씌우고, 디젤엔진에 대하여 방수, 방진, 방 충돌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디젤엔진 어셈블리(13)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디젤엔진(132)을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에 고정한다.
(2) 풍동함(133)을 디젤엔진기계프레임(131)에 설치한다.
(3) 유압펌프(134)를 디젤엔진의 출력축에 연결한다.
(4) 상기 조립의 어셈블리를 일체형으로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고정시켜, 평행 조절을 진행한다.
(5) 디젤엔진 커버(135)를 디젤엔진(132)과 풍동함(133) 위에 씌운다.
상기 조립방법은 공장에서 디젤엔진 커버 이외의 디젤엔진 어셈블리를 설치한 다음, 현장에 운송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설치가 편리하고, 또한 설치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13)와 운전석(16)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 장치(2)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 부재(24), 베어링(25)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지분쇄함(21)은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포함하고, 측 판(212)의 하단면은 밑판(211)에 용접되고, 위판(213)은 측 판(212)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2111)이 존재하고, 하향 관통홀(2111)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밑판(211)의 상표면상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273)가 용접되어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고, 리버 플레이트(273)와 밑판(211)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274)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윤활유들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유동하게 하여, 윤활효과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이 제한되는 조건에서,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 돌기(272)를 형성하며, 상기 하 돌기(272)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를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하 돌기(272)를 설정하면, 한편으로는 밑판(211)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와 밑판(211)하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의 설치와 착탈이 편리하게 된다.
도 13과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판(213)에는 2개 이상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과 대응하는 상향 관통홀(2131) 존재하며, 상향 관통홀(2131)의 내벽에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길이보다 크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는 상향으로 연장되고,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276)를 형성한다; 상기 상 돌기(276)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상 돌기(276)를 설정하면, 한편으로는, 위판(213)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와 위판(213)상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의 설치와 착탈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2111)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연결하고, 상향 관통홀(2131)을 설정하므로 편하게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를 연결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는 하향으로 연장하므로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모두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베어링 받침대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보호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리지분쇄함은 사용과정에서 윤활유들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설정을 이용할 경우, 리지분쇄함 내의 윤활유는 상향 또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에 대한 윤활이 더욱 쉽게 진행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길이가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길이보다 크므로, 베어링 설치할 때, 경운 리지분쇄 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25)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하나의 베어링(25)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강도, 경도 및 동력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적정 수량의 베어링을 선택하므로, 리지분쇄함의 제조원가를 낮추어, 베어링 수량에 의한 원가도 낮추게 된다.
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2121)를 포함하고, 판체(2121)에는 진입홀(21211)을 설정되고, 판체(2121)에 진입홀의 주위에는 플랜지(21212)가 설정되고, 판체(2121)와 플랜지(21212) 위에는 설치홀(212112)이 설정되고, 플랜지(21212)의 내측과 판체(2121) 상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이 모두 리지분쇄함(21) 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 시스템 등부품을 설치, 착탈, 보수할 수 있도록, 진입홀(21211)을 설정했다; 상기 플랜지(212112)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2121)에 연결되며, 설치홀(21212)이 플랜지(212112)의 위치에 설치된 후, 볼트를 통해 고정진입홀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212112)을 설정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설치하면,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는 플랜지의 두께와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진입홀 커버의 설치 및 착탈이 편해진다; 상기 계단은 판체(2121)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212112)와 판체(2121)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일보로, 플랜지(212112)에는 밀봉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홈은 밀봉환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 한정하여,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밀봉환을 설정하지 않으면, 밀봉홈 내에 밀봉오일을 주입하여 밀봉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측 판(212)에는 제1연결 러그(29)가 용접되고, 제1연결 러그(29)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판(291)이 설정되고, 제1지지판(291)은 제1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211)은 측 판(212)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 틈이 쉽게 생기거나 심할 경우 완전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제1지지부을 설치하면, 제1지지판(291)가 제1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 강도를 높인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212)에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210)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연결 러그(210)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지판(2101)이 설정되고, 제2지지판(2101)은 제2지지부를 지지한다. 밑판(211)이 측 판(212)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집중 현상이 쉽게 형성되며,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서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제2지지부를 설정하면, 제2지지판(2101)이 제2지지부에 대한 적용을 이용하면, 밑판에 대하여 지탱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종아 진다. 상기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는 서로 상대 설정된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판(213)에는 제1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212)에는 제2연결 러그(220)가 용접되고, 제2연결 러그(220)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용접판(2201)이 설정되고, 제2용접판(2201)는 위판 위에는 제1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213)이 측 판(212)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연결 러그(220)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되어, 제2연결 러그(220)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위판(213)에는 제3연결 러그(230)가 용접되고, 제3연결 러그(230)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용접판(2301)이 설정되고, 측 판(212)에는 제2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용접판(2301)는 제2용접부와 서로 용접된다. 이를 통해 위판(213)은 측 판(212)와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3연결 러그(230)의 용접면적이 증가되고, 또한 두 용접면이 수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제3연결 러그(230)의 연결강도가 높아진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2121)에는 힌지 받침대(240)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240)는 연결 받침대 (2401)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2402)를 포함하며,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로그에는 한지호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조 의 힌지 받침대(240)는 가공편의성과 고강도, 또한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판체(2121)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설정되어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연결하거나 착탈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 등 이고, 구동 기구(22)는 위판(213)에 설치되어 한 동력전달축을 회전시키거나, 각 동력전달축에 대응하여 구동 기구를 설치하거나, 일부 동력전달축에 대응하여 구동 기구를 설정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는 베어링(25)가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는 베어링(2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원추형 베어링을 선택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방행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23)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23)의 하단은 리지분쇄함(21)의 밖으로 노출한다. 동력전달축(23)에는 축방향 관통하는 재료투입홀(231)이 구비된다.
동력입력 부재(24)는 기어이고,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기어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 막는다. 한 동력전달축에 구동 기구를 연결할 경우,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기어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2771)가 설정된다.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23)에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상부에는 스레드를 통해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과 연결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한다; 동력전달축(23)에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상부에는 역 방향 잠금 너트(미도시)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아 접촉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를 회전시켜,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가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작용시켜,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정 방향 회전 너트(2772)가 회전하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역 방향으로 잠기어서, 역 방향 잠금 너트와 정 방향 잠금 너트(2772)가 접촉하도록 하여,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의 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조정된 틈새는 임의로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의 조절 정밀도가 높아지고, 동력전달축의 동력전송 성능은 안정적으로 된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로드 본체(261), 나선형 플레이드(262) 및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261)는 플랜지(265)를 통해 동력전달축(23)에 연결되고, 로드 본체(261)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은 동력전달축 상의 재료투입홀과 서로 연통되며, 로드 본체(261)에는 홀과 연통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배출홀(2611)이 설정된다. 이를 통해 동력전달축의 재료투입홀(231)으로 농약, 물, 비료 등을 주입할 수 있으며, 농약, 물 또는 비료는 홀과 재료배출홀(2611)을 통해 에 진입되어, 농약, 물 및 비료의 심층주입의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상기 과정은 경운 시 동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높인다;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로드 본체(261)에 용접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블레이드가 고정된다.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축(23)의 일단은 원추축(232)이고, 원추축(232)의 타단은 스크류 로드(233)가 구비된다. 플랜지(265)에는 원추 축과 연동하는 원추홀(2651)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관통홀(2652)이 설정되고, 플랜지(265)에는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 카운터 보어(2653)가 설정되고, 원추홀(2651), 관통홀(2652) 및 카운터 보어(2653)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축(232)은 원추홀(2651)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233)는 관통홀(2652)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2653) 내에 진입 되며, 카운터 보어(2653)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266)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233)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가 고정된다. 글랜드(268)의 상표면에는 돌기(2681)가 구비되고, 돌기(2681)는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로 되고,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 단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며,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는 임시 연동하며, 이는 큰 입자의 물질이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 너트(266)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글랜드(268)에는 카운터 보어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는 카운터 보어홀 내에 위치하여, 록킹 스규류 헤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를 스크류 로드(233)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268)자체는 스크류 로드(233)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2681)가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266)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266)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268)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축(233)과 원추홀(2651)가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268)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267)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268)을 잠근다.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2681)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266)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밑판(211)에 용접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를 위판(213)에 용접한다.
(2)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함께 용접하여 리지분쇄함(21)를 형성한다; 제1연결 러그(29), 고름장치연결 러그(210), 제2연결 러그(220), 제3연결 러그(230) 및 힌지 받침대(240)를 리지분쇄함에 용접한다.
(3)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의 베어링은 모두 원추형 베어링이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은 역 방향으로 설치된다.
(4) 동력전달축(23)을 리지분쇄함의 하단에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을 통해 리지분쇄함 내로 진입한다. 동력전달축(23)의 상단이 리지분쇄함의 중간 부위에 진입 될 경우, 동력의 출력부품(24)을 동력전달축(23)에 설치한 다음, 동력전달축(23)에 샤프트 슬리브(2771)를 씌우고, 그 다음 위쪽으로 동력전달축을 밀어서, 동력전달축의 상단이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5) 동력전달축(23)의 상단에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을 잠그도록 하여, 정 방향 잠금 너트(2772)와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환이 접촉작용이 발생시켜,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내의 베어링 내환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촉진하여,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가 조절되며,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역 방향으로 잠근다.
(6) 하 베어링 엔드 커버(281)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설치한다.
(7) 구동 기구(22)를 설치한다.
(8) 플랜지(265)를 설치하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원추홀(2651), 관통홀(2652) 및 카운터 보어(2653)를 스크류 로드(233)에 관통 시키고, 원추축(232)과 원추홀(2651)을 연통 시켜, 스크류 로드(233)의 하단에 잠금 너트(266)를 잠근 다음, 카운터 보어(2653) 내로 글랜드(268)를 압입되어, 돌기(2681)와 잠금 너트(266)의 단면이 접촉시킨 다음, 록킹 스규류(267)를 잠근다.
(9) 플랜지(265)에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설치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은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다.
도 1, 도 2,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연결프레임(31), 연결지지판(32),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연결 너트(34),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를 포함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1)는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포함한다. 크로스 빔(311)는 복수로 구성된다; 종 방향 빔(312)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311)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크로스 빔(311)의 중간 부위에도 하 종 방향 빔을 용접할 수 있다; 수직 빔(313)은 뒤쪽에 인접한 하 종 방향 빔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된다; 제1 경사선반(314)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315)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된다. 이런 구조의 연결프레임(311)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응력 성능을 좋아서 무거운 리지분쇄 장치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은 모두 사각관을 선택한다.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는 서로 연통 하여,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서 오일 챔버를 형성하여, 경유를 담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오일탱크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상기 연결지지판(32)이 각각 용접되어 있다.
지지 연결판(32)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가 통과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본체 및 그 외부 표면에 도포된 크롬층을 포함한다. 상기 크롬층은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을 높여준다.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위에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아래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며, 상하의 연결 너트(34)를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아주 쉽게 설치 또는 착탈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는 슬라이딩 슬리브(351),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352)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351)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슬라이딩 하도록 씌우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에 또한 슬라이딩 슬리브(35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방진환이 설정되어, 방진, 방수의 역할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의 윤활유가 단시간내에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윤활성능이 높인다.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는 슬라이딩 슬리브(351)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는 설치홀(3521)이 설정된다.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 용접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3531)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와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2) 사이에 용접된 리버 플레이트(3532)를 포함한다.
하단의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37)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되고,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에 대하여,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길어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길이도 길어야 한다.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될 경우,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고정점에서 힌지 받침대(37)까지의 거리를 주릴 수 있으며, 승강형 오일 실린더(36) 작동 시,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는 쉽게 만곡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응력효과가 좋다. 또한, 이러한 고정기구는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상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는 구조에 비해,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많이 낮으므로 연결프레임의 수직높이를 낮추게 되고, 전체적으로 경운 리지분쇄기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3521)를 통과하는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3)에 고정되므로, 리지분쇄 장치의 설치가 편리하고 신속해지 뿐만 아니라, 리지분쇄 장치를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함께 용접 시켜 연결프레임(31)을 형성한다.
(2) 하 종 방향 빔과 하 종 방향 빔에 각각 연결지지판(32)을 용접한다.
(3)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일단을 상단의 연결지지판을 통해 하향으로 통과한 다음,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의 슬라이딩 슬리브(351)를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씌우고, 그 다음, 지속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하단의 연결지지판을 통과시킨 다음,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너트(34)를 각각 잠그도록 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고정한다.
(4) 하단의 연결지지판에 힌지 받침대(37)를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몸체를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와 비교하면, 연결장치 이외에 기타 구조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는 도 32 내지 도 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2개의연결 로드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310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30a), 제1연결 로드(31a), 제2연결 로드(32a), 제3연결 로드(33a), 제4연결 로드(34a) 및 구동 오일 실린더(35a)를 포함한다. 연결 로드 받침대 (30a)는 지지대에 고정된다; 제1연결 로드(31a)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30a)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32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 편 하의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32a)의 타당은 제1연결 러그(29)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3연결 로드(33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33a)의 타단은 제2연결 러그(22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33a)와 제2연결 로드(32a)는 서로 평행된다; 제4연결 로드(34a)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 편상 되는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34a)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33a)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다; 구동 오일 실린더(35a)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 (30a)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35a)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31a)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구조의 연결장치는 리지분쇄 장치의 반전과 수직이동을 실현할 수 있어, 경운 리지분쇄 에 편리하다.
실시예 5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안내륜 이탈 방지형 보행 기구는 보행 기구(11)를 포함한다. 통상, 경운기에 있어서, 보행 기구(11)는 2개로 구성되며, 두 보행 기구(11) 사이에는 기계프레임가 고정된다.
보행 기구(11)는 휄프레임(111),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상향 안내륜(115) 및 클롤러 (116)를 포함한다.
도 36과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휄프레임(111)는 종 방향 빔(11a), 상부뚜껑(12a), 엔드 플레이트(13a) 및 연결 러그(14a)를 포함한다.
종 방향 빔(11a)의 일단은 위에서 아래로 관통홈(111a)이 구비된다; 상부 뚜껑(12a)은 종 방향 빔(11a)에 용접되고, 또한 관통홈(111a)의 위쪽에 위치한다; 엔드 플레이트(13a)은 종 방향 빔(11a)의 타단에 용접된다; 연결 러그(14a)는 엔드 플레이트(13a)에 용접된다.
종 방향 빔(11a)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 종 방향 빔(11a)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112a)이다; 도 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개구홈(112a)는 하 원호구간(1121a)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1122a)을 포함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설치할 경우, 하 직선구간(1122a)은 가이드 역할을 구비한다, 또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설치하면 종 방향 빔(11a)으로부터 이탈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하 원호구간(1121a)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과 하향 개구홈(112a)이 더욱 맞물려 접촉시킬 수 있으며,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과 종 방향 빔(11a)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 빔(11a)에 하향 개구홈 근처에 위치한 스크류를 통해 고정된 이탈방지 조각(18)이 존재하며, 이탈방지 조각(18)에는 환형 홀(181)이 설정된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향 안내륜(114)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설치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은 하향 개구홈(112a)과 환형 홀(181)을 통과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이탈방지 조각(18)의 외 측에는 잠금 너트(19)가 설치된다. 휄프레임(111)밑부분의 하향 안내륜(114)을 설치할 때, 먼저 하향 안내륜(114)을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설치하고, 그 다음, 하향 안내륜(114)과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전체적으로 휄프레임(111)에 설치하여,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가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수용하게 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이 하향 개구홈(112a)의 개구에서 하향 개구홈(112a) 내로 끼워 넣은 다음, 이탈방지 조각(18)을 스크류를 통해 종 방향 빔(11a)에 고정시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이 환형 홀(181)을 통과하도록 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하향 안내륜(114)과 상향 개구홈(112a)을 교정할 필요가 없어 하향 안내륜(114)의 설치가 아주 편리하다. 또한, 클롤러 (116)가 하향 안내륜(114)으로부터 이탈여부와 상관 없이, 이탈방지 조각(18)에 환형 홀(181)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 조각(18)을 통해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이 휄프레임(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 제한하며, 또한, 이탈방지 조각(18)은 후면에서 설치하므로, 하향 안내륜(114)의 설치도 편리하다.
종 방향 빔(11a)의 위면 중부에 서로 평행되는 2개의 지지러그(15a)가 용접되고, 지지러그(15a)에는 상향 개구홈(151a)가 설정되며,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홈(151a)은 상 원호구간(1511a)과 상 원호구간(1511a)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1512a)을 포함한다. 상기 상 직선구간(1512a)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설치하는데 있어 가이드 역할을 갖게 된다. 또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설치된 후, 지지러그(15a)를 이탈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상 원호구간(1511a)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과 상향 개구홈(151a)이 더욱 잘 맞물려 접촉시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과 지지러그(15a)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안내륜(115)을 설치할 때, 먼저 상향 안내륜(115)을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에 설치한다. 그 다음, 상향 안내륜(115)과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전체적으로 지지러그(15a)에 설치하여,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이 상향 개구홈(151a)의 개구에서 상향 개구홈(151a) 내에 끼워 넣으며,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상향 안내륜(115)과 상향 개구홈(151a)을 교정할 필요가 없어 상향 안내륜(115)의 설치가 아주 편리하다.
도 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 빔(11a)와 상부뚜껑(12a)의 결합된 위치 또한 휄프레임(111)의 일측에는 U형홈(16a)이 설정되고, 상부뚜껑(12a)에는 회피홈(121a)이 설정된다. 종동륜(113)을 설치한 후, 회피홈(121a)은 종동륜(113)을 회피하는데 사용된다. 종 방향 빔(11a)에는 상부뚜껑(12a)이 설정되어, 휄프레임(111)의 내휨성을 높이고, 휄프레임(111)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도 3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111)에 관통홈(111a)의 양측벽에는 슬리딩 홈(17a)이 각각 설정되다; 관통홈(111a) 내에는 인장장치(1-2)이 설정된다.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장치(1-2)는 슬라이딩 블록(1-21) 및 직선구동 기구(1-22)를 포함한다.
도 39과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1-21)는 연결판(1-211)과 연결판(1-211)양단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1-212)을 포함하고, 지지판(1-212)은 슬리딩 홈(17a) 내에서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21)은 U형 모양이다; 지지판(1-212)에는 직경이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1-2121)이 설정된다.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은 설치홀(1-2121)을 통과하여 지지판(1-212)에 고정되며, 종동륜(113)은 베어링을 통해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에 설치된다. U형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고, 두 지지판을 이용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을 두 지점으로 지지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응력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을 설치하므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을 설치할 경우,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은 슬라이딩 블록에 비해 정미하게 조절할 공간이 존재한다.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구동 기구(1-22)는 베어링 받침대 (1-221), 스크류 로드(1-222) 및 너트(1-223)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 (1-221)는 관통홈(111a)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1-222)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 (1-221)에 설정되며, 너트(1-223)는 슬라이딩 블록의 연결판(1-211)에 연결된다. 리드 스크류(1-222)와 너트(1-223)는 서로 맞물리고, 스크류 로드(1-222)는 연결판(1-2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리드 스크류(1-222)에는 다변형 단면인 구동부(1-2221)가 구비되고, 종 방향 빔(11a)에 구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1111a)가 설정되고, 창구(1111a)를 통해 관통홈(111a) 내로 툴을 투입하여 구동부(1-2221)를 작용하는 역할을 하며, 스크류 로드(1-222)를 회전시키며, 너트(1-223)의 작용 하에 슬라이딩 블록(1-21)은 슬리딩 홈(17a)을 따라 직선이동을 하여, 슬라이딩 블록(1-21)에 설치된 종동륜(113)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실현한다. 휄프레임(111)에 창구근처에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방수, 방진 및 보호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직선구동 기구 구조는 간한하고, 원가 낮고, 공간점유율이 낮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러그(14a)에는 구동륜(112)이 설치된다. 구동륜(112), 하향 안내륜(114), 종동륜(113) 및 상향 안내륜(115) 위에는 클롤러(116)가 씌워져 있다.
실시예 6
도 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기 클롤러 프레임은 휄프레임(111)과 인장장치(1-2)를 포함한다. 도 36과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휄프레임(111)는 종 방향 빔(11a), 상부뚜껑(12a), 엔드 플레이트(13a) 및 연결 러그(14a)를 포함한다.
종 방향 빔(11a)의 일단은 위에서 아래로 관통홈(111a)이 구비된다; 상부 뚜껑(12a)은 종 방향 빔(11a)에 용접되고, 또한 관통홈(111a)의 위쪽에 위치한다; 엔드 플레이트(13a)은 종 방향 빔(11a)의 타단에 용접된다; 연결 러그(14a)는 엔드 플레이트(13a)에 용접된다.
종 방향 빔(11a)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종 방향 빔(11a)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112a)이다; 도 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하향 개구홈(112a)는 하 원호구간(1121a)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1122a)을 포함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설치할 경우, 하 직선구간(1122a)은 가이드 역할을 구비한다, 또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설치하면 종 방향 빔(11a)으로부터 이탈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하 원호구간(1121a)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과 하향 개구홈(112a)이 더욱 맞물려 접촉시킬 수 있으며,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과 종 방향 빔(11a)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향 안내륜(114)은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설치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은 하향 개구홈(112a)과 환형 홀(181)을 통과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이탈방지 조각(18)의 외 측에는 잠금 너트(19)가 설치된다. 휄프레임(111)밑부분의 하향 안내륜(114)을 설치할 때, 먼저 하향 안내륜(114)을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에 설치하고, 그 다음, 하향 안내륜(114)과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전체적으로 휄프레임(111)에 설치하여, 하향 안내륜(114)의 일부가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수용하게 하고,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이 하향 개구홈(112a)의 개구에서 하향 개구홈(112a) 내로 끼워 넣은 다음, 이탈방지 조각(18)을 스크류를 통해 종 방향 빔(11a)에 고정시켜,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이 환형 홀(181)을 통과하도록 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하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4a)을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하향 안내륜(114)과 상향 개구홈(112a)을 교정할 필요가 없어 하향 안내륜(114)의 설치가 아주 편리하다.
종 방향 빔(11a)의 위면 중부에 서로 평행되는 2개의 지지러그(15a)가 용접되고, 지지러그(15a)에는 상향 개구홈(151a)가 설정되며,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홈(151a)은 상 원호구간(1511a)과 상 원호구간(1511a)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1512a)을 포함한다. 상기 상 직선구간(1512a)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설치하는데 있어 가이드 역할을 갖게 된다. 또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설치된 후, 지지러그(15a)를 이탈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상 원호구간(1511a)은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과 상향 개구홈(151a)이 더욱 잘 맞물려 접촉시켜,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과 지지러그(15a)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안내륜(115)을 설치할 때, 먼저 상향 안내륜(115)을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에 설치한다. 그 다음, 상향 안내륜(115)과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전체적으로 지지러그(15a)에 설치하여,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이 상향 개구홈(151a)의 개구에서 상향 개구홈(151a) 내에 끼워 넣으며,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상향 안내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5a)을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상향 안내륜(115)과 상향 개구홈(151a)을 교정할 필요가 없어 상향 안내륜(115)의 설치가 아주 편리하다.
도 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 빔(11a)와 상부뚜껑(12a)의 결합된 위치 또한 휄프레임(111)의 일측에는 U형홈(16a)이 설정되고, 상부뚜껑(12a)에는 회피홈(121a)이 설정된다. 종동륜(113)을 설치한 후, 회피홈(121a)은 종동륜(113)을 회피하는데 사용된다. 종 방향 빔(11a)에는 상부뚜껑(12a)이 설정되어, 휄프레임(111)의 내휨성을 높이고, 휄프레임(111)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도 3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휄프레임(111)에 관통홈(111a)의 양측벽에는 슬리딩 홈(17a)이 각각 설정되다; 관통홈(111a) 내에는 인장장치(1-2)이 설정된다.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장치(1-2)는 슬라이딩 블록(1-21) 및 직선구동 기구(1-22)를 포함한다.
도 39과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1-21)는 연결판(1-211)과 연결판(1-211)양단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1-212)을 포함하고, 지지판(1-212)은 슬리딩 홈(17a) 내에서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21)은 U형 모양이다; 지지판(1-212)에는 직경이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1-2121)이 설정된다.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은 설치홀(1-2121)을 통과하여 지지판(1-212)에 고정되며, 종동륜(113)은 베어링을 통해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에 설치된다. U형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고, 두 지지판을 이용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을 두 지점으로 지지하여,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응력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의 직경보다 큰 설치홀을 설치하므로,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을 설치할 경우, 종동륜에 대응되는 설치축(113a)은 슬라이딩 블록에 비해 정미하게 조절할 공간이 존재한다.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구동 기구(1-22)는 베어링 받침대 (1-221), 스크류 로드(1-222) 및 너트(1-223)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 (1-221)는 관통홈(111a)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1-222)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 (1-221)에 설정되며, 너트(1-223)는 슬라이딩 블록의 연결판(1-211)에 연결된다. 리드 스크류(1-222)와 너트(1-223)는 서로 맞물리고, 스크류 로드(1-222)는 연결판(1-2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리드 스크류(1-222)에는 다변형 단면인 구동부(1-2221)가 구비되고, 종 방향 빔(11a)에 구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1111a)가 설정되고, 창구(1111a)를 통해 관통홈(111a) 내로 툴을 투입하여 구동부(1-2221)를 작용하는 역할을 하며, 스크류 로드(1-222)를 회전시키며, 너트(1-223)의 작용 하에 슬라이딩 블록(1-21)은 슬리딩 홈(17a)을 따라 직선이동을 하여, 슬라이딩 블록(1-21)에 설치된 종동륜(113)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실현한다. 휄프레임(111)에 창구근처에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방수, 방진 및 보호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직선구동 기구 구조는 간한하고, 원가 낮고, 공간점유율이 낮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러그(14a)에는 구동륜(112)이 설치된다. 구동륜(112), 하향 안내륜(114), 종동륜(113) 및 상향 안내륜(115) 위에는 클롤러(116)가 씌워져 있다.
실시예 7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프레임(12b), 클롤러 장치, 운전석(16), 유압 탱크(14), 디젤엔진 어셈블리, 연결장치(3), 리지분쇄 장치(2) 및 냉각기(15)를 포함한다. 차프레임(12b)의 하부 양측에는 두 세트 클롤러 장치(11b)가 각각 설정된다. 상기 클롤러 장치(11b)는 클롤러휄과 클롤러(116)를 포함하고, 상기 클롤러휄은 차프레임(12b)에 설정되고, 상기 클롤러(116)는 클롤러휄에 설치된다. 상기 클롤러휄은 구동륜(112), 종동륜(113), 하향 안내륜(114) 및 상향 안내륜(115)을 포함한다. 차프레임(12b)의 플랫폼의 면에 운전석(16),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14), 냉각기(15) 및 연결장치(3)가 설정되고, 연결장치(3)에는 리지분쇄 장치(3)가 설정된다. 차프레임(12b)의 플랫폼의 면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디젤엔진 커버가 설정된다. 상기 나선형 경운기는 리지분쇄 장치를 통해 작업할 때, 상기 나선형 경운기의 차프레임(12b)의 하부의 양측에 두 세트의 클롤러 장치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클롤러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나선형 경운기가 강한 운행능력을 구비되어, 복잡한 지형에의 주행수요를 적응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42과 도 4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 시스템, 베어링(25)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분쇄함(21)은 밑판, 위판 및 측 판으로 구성되고, 리지분쇄함 내에는 캐비티가 구비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가 될 수 있으며, 구동 기구(22)는 리지분쇄함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22)는 그 중의 하나의 동력전달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 시스템은 동력전달축(23)과 기어를 포함한다. 동력전달 시스템은 리지분쇄함(21) 내에 위치한다. 동력전달축(23)은 베어링(25)통해 리지분쇄함(21)내에 설치되어 리지분쇄함(21)을 통과한다.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플랜지를 통해 동력전달축(23)에 연결한다.
도 45과 도 4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의 하나의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2121)를 포함하고, 판체(2121)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가 설정되고, 확장형 설치 플랜지(13)와 판체는 면으로 접촉하고,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는 판체(2121)에 용접될 수 있으며, 스크류를 통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서 수시로 기타 부품을 연결하고, 기타부품을 수시로 착탈도 쉽게 할 수 있다.
판체(2121)에는 힌지 받침대(240)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240)는 연결 받침대 (2401)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변에서 연결 받침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2402)를 포함한다.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로그에는 한지호이 각각 설정된다. 상기 구조의 힌지 받침대(240)는 가공이 편하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도 4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에서 기타 부품을 연결한다.
판체(2121)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는 고름장치연결 러그(210)가 설정되어, 고름장치를 쉽게 연결된다. 고름장치 연결 러그(210)의 중부에는 후향으로 제2지지판(210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2101)은 리지분쇄함의 밑부분을 막가준다. 따라서, 고름장치 연결 러그는 판체와 쉽게 절단되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9
도 42과 도 4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 시스템, 베어링(25)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분쇄함(21)은 밑판, 위판 및 측 판으로 구성되고, 리지분쇄함 내에는 캐비티가 구비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가 될 수 있으며, 구동 기구(22)는 리지분쇄함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22)는 그 중의 하나의 동력전달축을 구도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 시스템은 동력전달축(23)과 기어를 포함한다. 동력전달 시스템은 리지분쇄함(21) 내에 위치한다. 동력전달축(23)은 베어링(25)통해 리지분쇄함(21)내에 설치되어 리지분쇄함(21)을 통과한다.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플랜지를 통해 동력전달축(21)에 연결한다.
도 47과 도 4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2121)를 포함하고, 판체(2121)에는 진입홀(21211)을 설정되고, 판체(2121)에 진입홀의 주위에는 플랜지(21212)가 설정되고, 판체(2121)와 플랜지(21212) 위에는 설치홀(212112)이 설정되고, 플랜지(21212)의 내측과 판체(2121) 상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동력전달 시스템 등 부품이 모두 리지분쇄함(21) 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 시스템 등부품을 설치, 착탈, 보수할 수 있도록, 진입홀(21211)을 설정했다; 상기 플랜지(212112)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판체(2121)에 연결되며, 설치홀(21212)이 플랜지(212112)의 위치에 설치된 후, 볼트를 통해 고정진입홀 커버의 강도를 높이고, 측 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212112)을 설정하므로, 진입홀 커버를 설치하면, 진입홀 커버와 판체 사이에는 플랜지의 두께와 같거나 큰 거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진입홀 커버의 설치 및 착탈이 편해진다; 상기 계단은 판체(2121)와 플랜지 내측 사이의 용접 틈새를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플랜지(212112)와 판체(2121)의 연결강도를 높인다. 또한, 계단은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한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게 되어, 진입홀 커버와 측 판 사이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일보로, 플랜지(212112)에는 밀봉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홈은 밀봉환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환에 대하여 위치 한정하여, 밀봉성능을 높인다. 진입홀 커버를 설치한 후, 밀봉환을 설정하지 않으면, 밀봉홈 내에 밀봉오일을 주입하여 밀봉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판체(2121)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가 설정된다. 이를 통해, 도 4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함(54)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에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 수시로 기타부품을 연결할 수 있고, 기타 부품을 수시로 편리하게 착탈할 수도 있다.
판체(2121)에는 힌지 받침대(240)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240)는 연결 받침대 (2401)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변에서 연결 받침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2402)를 포함한다.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함이 형성되고, 두 연결 로그에는 한지호이 각각 설정된다. 상기 구조의 힌지 받침대(240)는 가공이 편하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도 4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함(21)을 파괴하지 않는 조건에서 기타 부품을 연결한다.
판체(2121)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는 고름장치연결 러그(210)가 설정되어, 고름장치를 편리하게 연결한다.
실시예 10
도 49 내지 도 5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분쇄 장치(2)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 부품(24), 베어링(25)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분쇄함(21)은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포함하고, 측 판(212)의 하단면은 밑판(211)에 용접되고, 위판(213)은 측 판(212)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가 될 수 있으며, 구동 기구(22)는 위판(213)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22)는 그 중의 하나의 동력전달축을 구도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축(23)은 베어링(25)을 통해 리지분쇄함(21) 내에 설치되고 리지분쇄함(21)을 통과한다. 동력의 입력부품(24)은 기어이고,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플랜지를 통해 동력전달축(23)에 연결된다.
도 51 내지 도 5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밑판(211)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강도를 높인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하향으로 연장되고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 돌기(272)를 형성한다. 상기 하 돌기(271)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하 돌기(272)를 설치하게 되면, 한편으로는, 밑판(211)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211)하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편리하게 설치 및 착탈할 수 있다.
도 5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212)에는 연결 러그(7a)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7a)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판(71a)이 설정되고, 지지선반(71a)는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211)은 측 판(212)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쉽게 형성된다.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지지부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선반(71a)이 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여 밑판에 대하여 지지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좋아진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여 베어링 받침대 (271)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본 실시예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밑판(211)은 분리 구조를 이용하며, 연결 시, 비로서 함께 용접 시킨다. 따라서, 밑판(211)과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단독으로 제조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낮추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상향으로 연장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한편으로는, 리지분쇄함(21)의 외형의 크기를 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지분쇄함(21)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설정을 선택할 경우, 리지분쇄함(21) 내의 윤활유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의 베어링에 대하여 더욱 쉽게 윤활을 진행하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돌출 높이가 2개 이상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49, (50) 및 도 5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형 리지분쇄 장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축(23), 동력의 입력부품(24), 베어링(25)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형 리지분쇄함(21)은 밑판(211), 측 판(212) 및 위판(213)을 포함하고, 측 판(212)의 하단면은 밑판(211)에 용접되고, 위판(213)은 측 판(212)의 상단면에 용접된다.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모터가 될 수 있으며, 구동 기구(22)는 위판(213)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22)는 그 중의 하나의 동력전달축을 구도하여 회전시킨다.
동력전달축(23)는 베어링(25)을 통해 보강형 리지분쇄함(21) 내에 설치하고, 또한 보강형 리지분쇄함(21)을 통과한다. 동력 입력 부품(24)은 기어이고, 각 동력전달축(23)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린다.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플랜지를 통해 동력전달축(23)에 연결된다.
도 54 내지 도 5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밑판(211)의 상표면으로 부토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고, 이웃 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273)가 용접되고, 리버 플레이트(273)와 밑판(211)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274)가 구비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항 돌기(272)를 형성한다. 상기 하 돌기(272)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의 설치에 사용된다. 하 돌기(272)를 설치하면, 한편으로는, 밑판(211)의 강도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밑판(211)하표면이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하여, 하 베어링 엔드 커버의 설치와 착탈이 편해진다.
도 5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11)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212)에는 연결 러그(7a)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7a)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판(71a)이 설정되고, 지지선반(71a)는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211)은 측 판(212)에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 틈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쉽게 형성된다. 따라서, 밑판(211)과 측 판(212)의 연결 위치에 쉽게 갈라지고, 심지어 완전 분리된다. 그러나 지지부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선반(71a)이 지지부에 대한 작용을 이용하여 밑판에 대하여 지지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밑판과 측 판의 연결강도가 더욱 좋아진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하향 관통홀을 설정하여 베어링 받침대 (271)를 편리하게 용접하고, 본 실시예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밑판(211)은 분리 구조를 이용하며, 연결 시, 비로서 함께 용접 시킨다. 따라서, 밑판(211)과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단독으로 제조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낮추게 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상향으로 연장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한편으로는, 보강형 리지분쇄함(21)의 외형의 크기를 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형 리지분쇄함(21)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윤활유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설정을 선택할 경우, 보강형 리지분쇄함(21) 내의 윤활유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내의 베어링에 대하여 더욱 쉽게 윤활을 진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리버 플레이트(273)를 설정하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강도가 더욱 높아지고, 동시에 윤활유 채널(274)을 설정하므로, 윤활유는 보강형 리지분쇄함의 밑부분에서 순조롭게 흐르게 되어, 더 좋은 윤활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리버 플레이트를 용접 시, 양단만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과 용접하므로, 용접공정이 간단하고, 용접이 더욱 쉬워진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의 돌출 높이는 2개 이상의 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므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서 2개 이상의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12
역방향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는, 도 56, 도 5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65), 하 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베어링(25),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부재(24),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잠금 너트(2772)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포함한다. 플랜지(265) 와 동력입력부재(24)는 동력전달축(23)에 설치되고,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된다.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에 설치하고,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샤프트 숄 더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잠금 너트(2772)를 통해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 후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 시킨다.
작동원리: 본 발명은 역으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하며, 이러한 역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정 방향 설치방식보다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성이 좋다.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축(23)의 휨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동력전달축(23)이 작동할 경우, 동력전달축(23)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 작용력을 견디고, 지면의 반 작용력은 샤프트 숄더로부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에게 전달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을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에 전달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은 자체 무계로 지면의 반작용형을 완충시켜, 동력전달축(23)을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금 너트(2772)을 통해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잠금 너트(2772)로 편리하게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다.
실시예 13
역방향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는, 도 56, 도 5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65), 하 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베어링(25),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부재(24),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잠금 너트(2772)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포함한다. 플랜지(265) 와 동력입력부재(24)는 동력전달축(23)에 설치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에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잠금 너트(2772)를 통해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 후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 시킨다.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다 크다.
작동원리: 본 발명은 역으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하며, 이러한 역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정 방향 설치방식보다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성이 좋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축(23)의 휨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동력전달축(23)이 작동할 경우, 동력전달축(23)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 작용력을 견디고, 지면의 반 작용력은 샤프트 숄더로부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에게 전달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을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에 전달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은 자체 무계로 지면의 반작용형을 완충시켜, 동력전달축(23)을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금 너트(2772)을 통해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잠금 너트(2772)로 편리하게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다.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다 크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작동 시 지면의 반작용형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다 더욱 큰 힘을 견뎌내야 한다. 따라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를 증가하는 것이 지면의 반 작용력을 견뎌내는데 더욱 유리하며, 작동효율성도 더욱 좋다.
실시예 14
역방향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는, 도 56, 도 5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65), 하 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부재(24),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 잠금 너트(2772)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포함한다. 플랜지(265)와 동력입력부재(24)은 동력전달축(23)에 설치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에 설치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잠금 너트(2772)를 통해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기어서 위치 고정시키고,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 시킨다.
상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 사이에는 탄성 개스킷이 설정된다.
작동원리: 본 발명은 역으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하며, 이러한 역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정 방향 설치방식보다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성이 좋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축(23)의 휨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더를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동력전달축(23)이 작동할 경우, 동력전달축(23)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 작용력을 견디고, 지면의 반 작용력은 샤프트 숄더로부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에게 전달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을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에 전달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은 자체 무계로 지면의 반작용형을 완충시켜, 동력전달축(23)을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금 너트(2772)을 통해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잠금 너트(2772)로 편리하게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다.
상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 사이에 탄성 개스킷이 설정된다. 탄성 개스킷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를 더욱 충분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일정한 초기 결합력을 생성할 수 있어, 축방향의 부하를 완충하는데 유리한다.
실시예 15
역방향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설비의 동력전송장치는, 도 57, 도 5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65), 하 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 동력전달축(23), 동력입력부재(24),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 잠금 너트(2772)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를 포함한다. 플랜지(265)와 동력입력부재(24)은 동력전달축(23)에 설치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에 설치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275)에 설치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잠금 너트(2772)를 통해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기어서 위치 고정시키고,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282)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 시킨다.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두 크다.
상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 사이에는 탄성 개스킷이 설정된다.
상기 플랜지(265)상부에는 완충 슬리브(265a)가 설정된다.
작동원리: 본 발명은 역으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하며, 이러한 역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정 방향 설치방식보다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성이 좋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동력입력부재(24)의 양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축(23)의 휨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샤프트 숄 더를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동력전달축(23)이 작동할 경우, 동력전달축(23)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 작용력을 견디고, 지면의 반 작용력은 샤프트 숄더로부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에게 전달하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을 통해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에 전달한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271)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은 자체 무계로 지면의 반작용형을 완충시켜, 동력전달축(23)을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베어링 간격을 조절한 후 잠금 너트(2772)을 통해 잠기어서 위치 고정하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잠금 너트(2772)로 편리하게 베어링 가격을 조절한다.
상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다 크다. 하향 베어링 받침대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작동 시 지면의 반작용형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보다 더욱 큰 힘을 견뎌내야 한다. 따라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의 크기를 증가하는 것이 지면의 반 작용력을 견뎌내는데 더욱 유리하며, 작동효율성도 더욱 좋다.
상기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 사이에 탄성 개스킷이 설정된다. 탄성 개스킷은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25)과 잠금 너트(2772)를 더욱 충분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일정한 초기 결합력을 생성할 수 있어, 축방향의 부하를 완충하는데 유리한다.
상기 플랜지(265)상부에는 완충 슬리브(265a)가 설정되며, 동력전달축(23)이 작동할 경우, 플랜지(265)연결의 부품으로부터 전달된 축방향의 부하를 완충할 수 있다.
실시예 16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을 연결하는 고정기구는 동력전달축(23)과 연결부품(265)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축(23)의 일단은 원추축(232)이고, 원추축(232)의 일단에는 스크류 로드(23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품(265)은 샤프트 연결 장치 또는 플랜지이며, 연결부품(265)에는 원추 축과 연동하는 원추홀(2651)과 스크류 로드를 통과시키는 관통홀(2652)을 포함하고, 연결부품(265)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측에는 카운터 보어(2653)가 설정되고, 원추홀(2651), 관통홀(2652) 및 카운터 보어(2653)는 서로 연통된다; 원추축(232)은 원추홀(2651)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233)는 관통홀(2652)을 통과하고 카운터 보어(2653) 내에 깊게 진입되어, 카운터 보어(2653)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하는 잠금 너트(266)가 설정된다.
스크류 로드(233)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가 고정된다. 글랜드(268)의 상표면에는 돌기(2681)가 구비되고, 돌기(2681)는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로 되고,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 단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며,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는 임시 연동하며, 이는 큰 입자의 물질이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 너트(266)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글랜드(268)에는 카운터 보어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는 카운터 보어홀 내에 위치하여, 록킹 스규류 헤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 구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267)를 통해 글랜드(268)를 스크류 로드(3)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글랜드(268)자체는 스크류 로드(233)를 상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글랜드의 돌기(2681)가 잠금 너트(266)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하므로, 잠금 너트(266)는 회전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잠금 너트(266)는 풀리는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신뢰성을 높이고, 동력전달은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글랜드(268)의 고정도 편리하다; 또한, 원추축(233)과 원추홀(2651)가 마모현상이 발생할 경우, 글랜드(268)를 착탈하여,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 다음, 록킹 스규류(267)를 다시 이용하여 글랜드(268)을 잠근다. 글랜드(268)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함으로, 글랜드는 스크류 로드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잠금 너트(266)를 다시 잠근다 해도, 글랜드의 돌기(2681)는 압력을 통해 잠금 너트(266)에 합체되어 잠금 너트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수용에 의해 원추 축과 원추홀의 연통 틈새를 조절하여 부품교체 없이 현재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7
도 59과 도 6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장치는 리지분쇄함(21), 구동 기구(22), 동력전달기구 및 나선형 드릴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분쇄함(21)은 밑판(211), 위판(212) 및 측 판(213)으로 용접되어 형성된다. 위판(212)의 중부에는 돌기(2121b)가 설정된다.
상기 구동 기구(22)는 유압 모터 또는 모토이며, 구동 기구(22)와 돌기(1121b) 사이에는 기어박스(2201b)가 설정되고, 기어박스(2201b)는 돌기(2121b)에 설치되며, 다른 구조로서, 기어박스(2201b)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구동 기구(22)는 돌기(2121b)에 집적 설치되고, 상기 돌기(2121b) 구조는 구동 기구와 연결하는 동력전달박스의 강도를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동 기구의 하단면과 위판위면이 일정한 거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구동 기구(22)를 더욱 편리하게 설치 또는 착탈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동력전달축(23), 기어를 포함하며, 동력전달축(23)은 베어링을 통해 리지분쇄함(21)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23)의 일단은 리지분쇄함(21)의 밖으로 연장되고, 각 동력전달축(23)에는 상기 기어가 설치되고, 이웃 되는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구동 기구(22)는 그 중의 하나의 동력전달축을 회전시킨다.
도 59 내지 도 6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드릴 로드(26)는 로드 본체(261), 나선형 플레이드(262), 블레이드(263), 제1입토 블레이드(4c), 제2입토 블레이드(5c), 삽입연결 받침대 (6c), 분쇄고름 블레이드(7c) 및 플랜지(265)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261)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기타 다변형이 될 수도 있다. 플랜지(265)는 로드 본체(261)의 상단에 용접된다. 플랜지(265)는 밖으로 연장된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연결된다.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나선형으로 로드 본체(261)의 중하부에 용접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좌 나사 또는 우 나사이 될 수 있으며, 로드 본체(261)에는 복수의 나선형 플레이드를 용접할 수 있다.
도 6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2개 이상의 블레이드가 고정되고, 복수의 블레이드는 나선형 플레이드를 따라 순차적으로 위로 분포되며, 동일한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이 다른다. 본 실시방식에서, 아래로부터 위까지, 동일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은 순차적 감소되고, 이웃 되는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은 1개식 감소된다. 이를 통해 나선형 드릴 로드는 경운 과정에서, 블레이드가 많은 피치 내에서 토양을 더욱 충분하게 분쇄하고, 토양이 더욱 푸석하도록 하며, 반대일 경우, 토양의 분쇄효과와 푸석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하층 토양을 더욱 푸석하게 하고, 분쇄를 더욱 충분하게 하나, 상층 토양을 푸석함이 떨어지고, 분쇄효과가 떨어지게 하므로, 직물이 성장과정에서 뿌리가 더욱 쉽게 아래로 성장하고, 직물의 성장효과가 더운 좋다. 다양한 경운 효과를 얻기 위하여, 서로 다른 나선형 플레이드에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263)는 고정부(31c)와 고정부 와 측 단부에서 위쪽 또는 위쪽 사선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블레이드 본체(32c)를 포함한다.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제1고정홀(21c)를 설정하고, 고정부(31c)에는 제2고정홀(33c)가 설정되고, 볼트 어셈블리(9c) 중의 볼트(91c)는 제1고정홀(21c)과 제2고정홀(33c)을 통과하고, 스크류 캡(92c)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63)를 잠근다; 블레이드 본체(32c)의 단부에는 칼날이 구비되어, 토양을 분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쇄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263)에는 절토 칼날(34c)과 칼등(35c)을 포함하며, 절토 칼날(34c)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과 맞댄다. 즉, 나선형 드릴 로드가 회전할 때, 절토 칼날(34c)은 토양을 깎으며, 칼등(35c)은 절토 칼날(34c)과 맞보도록 설정된다. 절토 칼날(34c)의 중부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원호형을 형성하고, 블레이드(263)가 절토하는 과정에서, 통약으로부터 블레이드 본체(32c)에 적용되는 작용력은 절토 칼날과 수직 되는 제1분력과와 절토 칼날과 접하는 제2분력으로 분해되어, 토양이 블레이드 본체(32c)에 대한 작용력을 감소한다. 한편으로는, 블레이드(263)의 만곡 변형을 감소할 수 있어, 절토 칼날(34c)의 마모와 파손을 줄이고, 블레이드(263)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다른 하편으로는, 볼트 어셈블리(9c)가 받는 재단 력도 감소되어,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강도를 높여준다. 절토 칼날(34c)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절토 칼날은 쐬기 모양이 되게 하며, 절토 칼날(34c)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에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c)가 설정되고, 절토 칼날(34c)이 쐬기 모양일 경우, 블레이드 본체(32c)는 더욱 쉽게 토양 내로 진입 되고, 블레이드(263)의 강도도 감소된다. 이를 위하여, 제1리브(36c)의 설치를 통해 절토 칼날 위치의 강도를 증가하며, 비록 제1리브(36c)와 분쇄된 토양 사이에 일정한 저항력이 존재하나 분쇄된 토양이 제1리브(36c)를 경과할 때, 제1리브(36c)는 분쇄된 토양에 대하여 재차로 분쇄할 수 있어, 분쇄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도 62 내지 도 6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어셈블리(9c)는 볼트(91c)와 스크류 캡(92c)를 포함하고, 볼트(91c)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2)와 고정부(31c)를 통과하며, 볼트(91c)의 볼트헤드는 제1고정홀(21c)의 카운터 보어 내에 남아있어, 토양이 볼트헤드에 대한 마모를 줄이고, 볼트(91c)의 하단 스레드에는 블레이드(263)를 눌러주는 스크류 캡(92c)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 캡(92c)는 너트(921c) 및 너트와 일체로 된 원형 헤드(922c)를 포함한다. 원형 헤드(922c)의 외부표면에는 침탄층이 구비된다. 나선형 드릴 로드는 심오 경운할 때, 스크류 캡(92c)은 토양과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스크류 캡의 마모를 쉽게 일으킨다. 일반의 너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63)를 잠그면, 한편으론, 너트가 마모가 발생하고, 다른 한편으로, 볼트 상의 너트가 파손되어, 너트를 풀어서 착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원형 헤드(922c)의 설치를 통해 볼트(91c)의 단부가 스크류 캡(92c) 내에 숨겨 두어, 볼트의 스레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원형 헤드(922c)는 본 발명의 너트(921c)를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너트 빠르게 마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스크류 캡(92c)이 조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침탄층을 설정한다.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제1연결부(41c)와 제1칼날(42c)을 포함하고, 제1연결부(41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칼날(42c)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쐬기 모양으로 나타나며, 제1칼날(42c)의 상표면에는 수용홈(421c)이 구비되고, 수용홈(421c) 내에 제1합금 블레이드(43c)가 박혀 있으며, 제1입토 블레이드(4c)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4c)의 하단은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본 실시방식에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로드 본체 중심축선과의 각도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보다 좀 크고, 1° 내지 3°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 본체(261)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연결되고, 본 실시방식에서,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하나로 되고,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제2연결부(51c)와 제2칼날(52c)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51c)의 일측 변은 로드 본체(261)에 용접된다.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의 연결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된다; 제2칼날(52c)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존재하여, 제2칼날이 쐬기 모양으로 나타난다. 제2칼날(52c)의 상표면에는 수용홈(521c)이 구비되고, 수용홈(521c)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53c)이 박혀 있고,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하단은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52c)는 제2연결부(51c)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된 방향과 일치하며,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경사각은 동일하다.
로드 본체(261)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 (6c)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 (6c)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 (6c)는 로드 본체의 축 방향에서 어근 나게 설정되며, 삽입연결 받침대 (6c)에는 삽입연결 홈(61c)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61c)에는 분쇄고름 블레이드(7c)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분쇄고름 블레이드(7c)는 삽입연결 부(71c), 제1만곡부(72c) 및 제2만곡부(73c)를 포함하고, 제1만곡부(72c)는 삽입연결부의 외부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만곡부(73c)는 제1만곡부(72c)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7c)의 외측에는 분쇄 칼날(74c)이 설정된다. 분쇄고름 블레이드(7c)에 분쇄 칼날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미도시)가 설정된다. 상기 제2리브는 분쇄고름 블레이드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분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2만곡부(73c)의 단부에는 칼날이 구비되어, 2차 분쇄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를 설정하고, 복수의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하단은 모두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모두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경사각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보다 좀 더 크게 형성되므로, 나선형 드릴 로드는 입토 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동시에 토양을 절개하여, 로드 본체(261) 원주에서의 응력이 균일하게 하여, 입토가 용이하다. 따라서, 로드 본체(261)는 변형과 절단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응력이 균일 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변형과 갈라지는 것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신뢰성이 우수하고,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의 연결 신뢰성도 우수하다; 상기 구조를 이용할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일부가 로드 본체(261)아 연결되므로, 균일한 힘을 받을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 사이에 있는 연결위치에서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강도가 높다. 제1합금 블레이드(43c)과 제2합금 블레이드(53c)을 설정하므로, 합금 블레이드의 경도가 커지고, 나선형 드릴 로드가 입토 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특히, 나선형 드릴 로드가 입토하여 휭방향으로 토양을 분쇄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밑층에서 토양을 깎은 역할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밑층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나선형 드릴 로드가 휭방향 절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돌과 접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합금 블레이드를 박으므로, 강도를 추가로 증가하고,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34c)이 구비되므로, 로드 본체(261)가 회전 시, 절토 칼날(34c)은 토양을 깎으므로, 한편으로, 블레이드(263)가 더욱 쉽게 토양 중으로 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 나선형 드릴 로드의 휭방향 전단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 구조에 따른 분쇄고름 블레이드(7c)를 설정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7c)가 수직으로 어근 나게 설정되고, 또한, 이웃 되는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므로, 경운 후의 토양을 고르 때,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통해 층 단계별 고르게 하고, 로드 본체(261)가 회전 시, 분쇄된 토양은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 유동 되어, 고름의 저항력을 현저하게 줄인다. 또한, 고름효과가 우수하여, 분쇄된 토양이 쌓이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만곡부(73c)가 구비되므로, 제2만곡부(73c)는 토양을 다듬어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갖게 되며, 진일보로 고름효과를 높여준다. 분쇄 칼날(74c)을 설정되고, 분쇄 칼날(74c)은 기본으로 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2만곡부(73c)을 구비하므로, 분쇄된 토양을 2차 분쇄하고, 또한 토양 분쇄시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8
도 6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 절삭공구(26)는 로드 본체(261), 나선형 플레이드(262), 블레이드(263), 제1입토 블레이드(4c), 제2입토 블레이드(5c), 삽입연결 받침대 (6c), 분쇄고름 블레이드(7c) 및 플랜지(265)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261)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기타 다변형이 될 수도 있다. 플랜지(265)는 로드 본체(261)의 상단에 용접된다. 플랜지(265)는 밖으로 연장된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연결된다.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나선형으로 로드 본체(261)의 중하부에 용접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좌 나사 또는 우마사이 될 수 있으며, 로드 본체(261)에는 복수의 나선형 플레이드를 용접할 수 있다.
도 6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2개 이상의 블레이드가 고정되고, 복수의 블레이드는 나선형 플레이드를 따라 순차적으로 위로 분포되며, 동일한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이 다른다. 본 실시방식에서, 아래로부터 위까지, 동일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은 순차적 감소되고, 이웃 되는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은 1개식 감소된다. 이를 통해 경운 절삭공구는 경운 과정에서, 블레이드가 많은 피치 내에서 토양을 더욱 충분하게 분쇄하고, 토양이 더욱 푸석하도록 하며, 반대일 경우, 토양의 분쇄효과와 푸석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하층 토양을 더욱 푸석하게 하고, 분쇄를 더욱 충분하게 하나, 상층 토양을 푸석함이 떨어지고, 분쇄효과가 떨어지게 하므로, 직물이 성장과정에서 뿌리가 더욱 쉽게 아래로 성장하고, 직물의 성장효과가 더운 좋다. 다양한 경운 효과를 얻기 위하여, 서로 다른 나선형 플레이드에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263)는 고정부(31c)와 고정부 와 측 단부에서 위쪽 또는 위쪽 사선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블레이드 본체(32c)를 포함한다. 나선형 플레이드(262)에는 제1고정홀(21c)를 설정하고, 고정부(31c)에는 제2고정홀(33c)가 설정되고, 볼트 어셈블리(9c) 중의 볼트(91c)는 제1고정홀(21c)과 제2고정홀(33c)을 통과하고, 스크류 캡(92c)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63)를 잠근다; 블레이드 본체(32c)의 단부에는 칼날이 구비되어, 토양을 분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쇄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263)에는 절토 칼날(34c)과 칼등(35c)을 포함하며, 절토 칼날(34c)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과 맞보게 되며, 즉, 경운 절삭공구가 회전할 때, 절토 칼날(34c)은 토양을 깎으고, 칼등(35c)은 절토 칼날(34c)과 맞보도록 설정된다. 절토 칼날(34c)의 중부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원호형을 형성하고, 블레이드(263)가 절토하는 과정에서, 통약으로부터 블레이드 본체(32c)에 적용되는 작용력은 절토 칼날과 수직 되는 제1분력과와 절토 칼날과 접하는 제2분력으로 분해되어, 토양이 블레이드 본체(32c)에 대한 작용력을 감소한다. 한편으로는, 블레이드(263)의 만곡 변형을 감소할 수 있어, 절토 칼날(34c)의 마모와 파손을 줄이고, 블레이드(263)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다른 하편으로는, 볼트 어셈블리(9c)가 받는 재단 력도 감소되어, 블레이드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강도를 높여준다. 절토 칼날(34c)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절토 칼날은 쐬기 모양이 되게 하며, 절토 칼날(34c)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에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c)가 설정되고, 절토 칼날(34c)이 쐬기 모양일 경우, 블레이드 본체(32c)는 더욱 쉽게 토양 내로 진입 되고, 블레이드(263)의 강도도 감소된다. 이를 위하여, 제1리브(36c)의 설치를 통해 절토 칼날 위치의 강도를 증가하며, 비록 제1리브(36c)와 분쇄된 토양 사이에 일정한 저항력이 존재하나 분쇄된 토양이 제1리브(36c)를 경과할 때, 제1리브(36c)는 분쇄된 토양에 대하여 재차로 분쇄할 수 있어, 분쇄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도 62 내지 도 6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어셈블리(9c)는 볼트(91c)와 스크류 캡(92c)를 포함하고, 볼트(91c)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2)와 고정부(31c)를 통과하며, 볼트(91c)의 볼트헤드는 제1고정홀(21c)의 카운터 보어 내에 남아있어, 토양이 볼트헤드에 대한 마모를 줄이고, 볼트(91c)의 하단 스레드에는 블레이드(263)를 눌러주는 스크류 캡(92c)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 캡(92c)는 너트(921c) 및 너트와 일체로 된 원형 헤드(922c)를 포함한다. 원형 헤드(922c)의 외부표면에는 침탄층이 구비된다. 경운 절삭공구는 심오 경운할 때, 스크류 캡(92c)은 토양과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스크류 캡의 마모를 쉽게 일으킨다. 일반의 너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63)를 잠그면, 한편으론, 너트가 마모가 발생하고, 다른 한편으로, 볼트 상의 너트가 파손되어, 너트를 풀어서 착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원형 헤드(922c)의 설치를 통해 볼트(91c)의 단부가 스크류 캡(92c) 내에 숨겨 두어, 볼트의 스레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원형 헤드(922c)는 본 발명의 너트(921c)를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너트 빠르게 마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스크류 캡(92c)이 조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침탄층을 설정한다.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제1연결부(41c)와 제1칼날(42c)을 포함하고, 제1연결부(41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칼날(42c)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쐬기 모양으로 나타나며, 제1칼날(42c)의 상표면에는 수용홈(421c)이 구비되고, 수용홈(421c) 내에 제1합금 블레이드(43c)이 박혀 있으며, 제1입토 블레이드(4c)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4c)의 하단은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본 실시방식에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로드 본체 중심축선과의 각도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보다 좀 크고, 1° 내지 3°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 본체(261)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연결되고, 실시방식에서,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하나로 되고,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제2연결부(51c)와 제2칼날(52c)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51c)의 일측 변은 로드 본체(261)에 용접된다.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의 연결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된다; 제2칼날(52c)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존재하여, 제2칼날이 쐬기 모양으로 나타난다. 제2칼날(52c)의 상표면에는 수용홈(521c)이 구비되고, 수용홈(521c)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53c)이 박혀 있고,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하단은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52c)는 제2연결부(51c)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된 방향과 일치하며,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경사각은 동일하다.
로드 본체(261)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 (6c)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 (6c)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 (6c)는 로드 본체의 축 방향에서 어근 나게 설정되며, 삽입연결 받침대 (6c)에는 삽입연결 홈(61c)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61c)에는 분쇄고름 블레이드(7c)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분쇄고름 블레이드(7c)는 삽입연결 部(71c), 제1만곡부(72c) 및 제2만곡부(73c)를 포함하고, 제1만곡부(72c)는 삽입연결부의 외부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만곡부(73c)는 제1만곡부(72c)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7c)의 외측에는 분쇄 칼날(74c)이 설정된다. 분쇄고름 블레이드(7c)에 분쇄 칼날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미도시)가 설정된다. 상기 제2리브는 분쇄고름 블레이드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분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2만곡부(73c)의 단부에는 칼날이 구비되어, 2차 분쇄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를 설정하고, 복수의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하단은 모두 로드 본체(261)의 밑면보다 낮으며,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모두 하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경사각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각보다 좀 더 크게 형성되므로, 경운 절삭공구는 입토 시,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동시에 토양을 절개하여, 로드 본체(261) 원주에서의 응력이 균일하게 하여, 입토가 용이하다. 따라서, 로드 본체(261)는 변형과 절단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의 응력이 균일 되어,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변형과 갈라지는 것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나선형 플레이드의 연결신뢰성이 우수하고,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의 연결 신뢰성도 우수하다; 상기 구조를 이용할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일부가 로드 본체(261)아 연결되므로, 균일한 힘을 받을 경우, 제2입토 블레이드(5c)와 로드 본체(261) 사이에 있는 연결위치에서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강도가 높다. 제1합금 블레이드(43c)과 제2합금 블레이드(53c)을 설정하므로, 합금 블레이드의 경도가 커지고, 경운 절삭공구가 입토 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가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특히, 경운 절삭공구가 입토하여 휭방향으로 토양을 분쇄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밑층에서 토양을 깎은 역할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밑층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경운 절삭공구가 휭방향 절토할 때, 제1입토 블레이드(4c)와 제2입토 블레이드(5c)는 돌과 접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합금 블레이드를 박으므로, 강도를 추가로 증가하고,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34c)이 구비되므로, 로드 본체(261)가 회전 시, 절토 칼날(34c)은 토양을 깎으므로, 한편으로, 블레이드(263)가 더욱 쉽게 토양 중으로 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 경운 절삭공구의 휭방향 전단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 구조에 따른 분쇄고름 블레이드(7c)를 설정되고, 분쇄고름 블레이드(7c)가 수직으로 어근 나게 설정되고, 또한, 이웃 되는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므로, 경운 후의 토양을 고르 때,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를 통해 층 단계별 고르게 하고, 로드 본체(261)가 회전 시, 분쇄된 토양은 각 분쇄고름 블레이드 사이에 유동 되어, 고름의 저항력을 현저하게 줄인다. 또한, 고름효과가 우수하여, 분쇄된 토양이 쌓이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만곡부(73c)가 구비되므로, 제2만곡부(73c)는 토양을 다듬어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갖게 되며, 진일보로 고름효과를 높여준다. 분쇄 칼날(74c)을 설정되고, 분쇄 칼날(74c)은 기본으로 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2만곡부(73c)을 구비하므로, 분쇄된 토양을 2차 분쇄하고, 또한 토양 분쇄시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9
도 67, 도 6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향은 도 67에서 도시된 흙 쌓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배치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흙 쌓음 방지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는 로드 본체(261),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포함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로드 본체(261)의 하부를 둘러 쌓여 설정하며, 이는 횡방향 절단 블레이드(3d)를 더 포함한다. 횡방향 절단 블레이드(3d)는 로드 본체(261)의 상부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위쪽에 위치된다. 본 발명 구조은 간단하며, 로드 본체(261)의 상부에는 횡방향 절단 블레이드(3d)가 설정되므로, 횡방향 절단 블레이드(3d)는 용접 또는 고정부품을 통해 로드 본체(261)의 상반부에 연결되며, 경운 작업 시, 로드 본체(261)는 회전하면서 경운기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횡방향 절단 블레이드(3d)는 경운 후 로드 본체(261) 앞에 생성된 무덤을 밀어서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흙 쌓이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경운 작업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3d)는 일체형 연결 슬리브(31d)와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를 포함하고, 연결 슬리브(31d)는 로드 본체(261)의 상부에 씌워서 설정되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는 종방향으로 연결 슬리브(31d)의 측벽에 연결된다. 연결 슬리브(31d)는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를 편리하게 로드 본체(261)에 설치하고, 또한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는 연결 슬리브(31d)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이 견고하고 신뢰성 있어,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3d)는 쌓인 흙을 밀어 평판하게 하는 것을 확보하여, 흙 쌓이는 현상을 해소하여, 경운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는 적어도 두개이고, 적어도 두개의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는 모두 연결 슬리브(31d)의 측벽에 설정된다.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의 수량을 증가하면, 쌓인 흙을 밀어 평판하게 하는 효율을 높이고, 또한 땅을 깎는 효과를 증가하여 경운 작업의 생산성을 진일보로 높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32d)의 외부 단부에는 칼끝(33d)이 설정되고, 칼끝(33d)은 삼각형 모양을 나타낸다. 삼각형 칼끝(33d)은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3d)가 쌓인 흙 내부에 진입하는데 더욱 유리하여, 땅을 깎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 본체(261)의 하부 단부에는 드릴팁(5d)이 설정되고, 드릴팁(5d)은 역삼각형 모양을 나타낸다. 드릴팁(5d)은 로드 본체(261)에 용접되고, 고정부품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드릴팁(5d)은 본 발명이 더욱 편리하게 입토하게 하며, 또한 경운된 점토의 최하층에 저수조가 형성되어, 물을 편리하게 저장하여, 농작물이 더욱 내한(耐旱)할 수 있다. 또한, 역삼각형인 드릴팁(5d)은 본 발명의 입토 저항력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실시예 20
본 실시예와 실시예 19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블레이드(263)를 더 포함하며,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주변 가장자리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이용하여 경작할 때,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회전하여 점토를 위로 이랑이 형성하게 하고, 동시에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을 보조하여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작용으로 위로 자동으로 리지분쇄 된 점토를 깎고, 마찰하고, 분쇄하여, 나선형 드릴 비트가 토층을 깎은 효율과 경운기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높이고, 또한 점토 내에 더 많은 공기를 보존하는데도 유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63)는 적어도 두개이며, 적어도 두개인 상기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나선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배치한다. 블레이드(263)의 수량아 많을 수록,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보조하여 점토를 깎고, 분쇄하는데 더욱 유리하며, 따라서, 경작효율이 진일보로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63)는 블레이드 본체(32c)와 블레이드 본체(32c)의 밑부분이 만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31c)를 포함하고, 고정부(31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블레이드 본체(32c)는 로드 본체(261)의 위 단을 향한다. 블레이드 본체(32c)는 점토를 깎는데 유리하고, 고정부(31c)는 블레이드 본체(32c)와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고정 연결하는데 유리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신뢰성 있으며, 깎은 효율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32c)와 고정부(31c)연결되어 각도를 형성된다. 상기 각도는 90° 내지 120°이다. 90°~120°의 각도는 블레이드 본체(32c)가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원주를 상대로 외부를 경사지며, 블레이드 본체(32c)와 점토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본체(32c)가 점토를 깎는데 더욱 유리하여, 경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1
도 69, 도 7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향은 도 69에서 도시된 입토에 편리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배치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토에 편리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는, 드릴 로드(261),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포함하고,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드릴 로드(261)의 하부에 둘러 쌓인 형태로 설정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4c)를 더 포함한다.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꼬리부분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표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작 시, 드릴 로드(261)가 회전하면서 경운기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꼬리 부분의 하표면에 제1입토 블레이드(4c)가 설정되므로, 드릴 로드(261)가 회전하면서 입토하는 것이 편리함과 동시에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마모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어,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실용성면에서 강하다.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예를 들어, 스크류 등 고정부품을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262)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설치 및 착탈할 수 있어,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교체에 유리하다. 드릴 로드(261)는 플랜지를 통해 경운기의 동력전달박스의 출력축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와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의 밑부분이 만국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402c)를 포함하고,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402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표면에 연결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는 드릴 로드(261)의 밑단을 향하게 된다.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402c)는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402c)와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고정 연결하는데 유리하고, 구조는 안정하고 신뢰성이 있다. 또한,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는 드릴 로드(261)의 밑단을 향하므로, 제1입토 블레이드(4c)가 순조롭게 입토하는 것을 확보하며, 본 발명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경작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와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402c)가 연결되어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는 120° 내지 150°이다. 120° 내지 150°의 각도는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가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원주를 상대로 외부로 경사지게 하며,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401c)가 점토에 진입하는 것을 더욱 유리하게 하여 본 발명의 입토 속도를 증강시킨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9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블레이드(263)를 더 포함하며,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주변 가장자리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나선형 드릴 비트를 이용하여 경작할 때, 나선형 플레이드(262)는 회전하여 점토를 위로 이랑이 형성하게 하고, 동시에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을 보조하여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작용으로 위로 자동으로 리지분쇄 된 점토를 깎고, 마찰하고, 분쇄하여, 나선형 드릴 비트가 토층을 깎은 효율과 경운기의 생산성 현저하게 높이고, 또한 점토 내에 더 많은 공기를 보존하는데도 유리한다. 블레이드(263)는 스크류 등 고정부품을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262)에 연결되며, 제1입토 블레이드(4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마모를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표면에 블레이드(263)를 설치하는 너트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63)는 적어도 두개이며, 적어도 두개인 상기 블레이드(263)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나선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배치한다. 블레이드(263)의 수량아 많을 수록,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보조하여 점토를 깎고, 분쇄하는데 더욱 유리하며, 따라서, 경작효율이 진일보로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63)는 블레이드 본체(32c)와 블레이드 본체(32c)의 밑부분이 만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31c)를 포함하고, 고정부(31c)는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하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블레이드 본체(32c)는 로드 본체(261)의 위 단을 향한다. 블레이드 본체(32c)는 점토를 깎는데 유리하고, 고정부(31c)는 블레이드 본체(32c)와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고정하여 연결하는데 유리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신뢰성 있으며, 깎은 효율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32c)와 고정부(31c)연결되어 각도를 형성된다. 상기 각도는 90° 내지 120°이다. 90°~120°의 각도는 블레이드 본체(32c)가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원주를 상대로 외부를 경사지며, 블레이드 본체(32c)와 점토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본체(32c)가 점토를 깎는데 더욱 유리하여, 경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 본체(261)의 하부 단부에는 드릴팁(5d)가 설정되고, 드릴팁(5d)은 역삼각형 모양을 나타낸다. 드릴팁(5d)은 로드 본체(261)에 용접되고, 고정부품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드릴팁(5d)은 본 발명이 더욱 편리하게 입토하게 하며, 또한 경운된 점토의 최하층에 저수조가 형성되어, 물을 편리하게 저장하여, 농작물이 더욱 내한(耐旱)할 수 있다. 또한, 역삼각형인 드릴팁(5d)은 본 발명의 입토 저항력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와 실시예 21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형 플레이드(262)의 직경은 드릴 로드(261)를 따라 드릴 로드(261)의 밑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본 실시예는 전통적인 상하 직경 크기가 동일한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타파하여 직경크기가 상대하소(上大下小)의 나선형 플레이드(262)를 이용하므로, 본 발명의 나선형 드릴 비트의 입토속도를 증진할 뿐만 아니라, 토지표층의 점토를 심층점토 보다 더욱 작은 가루로 분쇄하여, 농업의 수용에 부합된다.
본 실시예의 기타 구조는 실시예 2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않는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와 실시예 21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릴 로드(261)의 횡단면은 다변형 모양을 나타낸다. 다변형은 삼각형, 사변형, 오 변형 또는 육 변형 등이 될 수 있으며, 다변형 모양의 드릴 로드(261)를 이용하면, 드릴 로드(261)가 회전 시, 다변형의 각은 칼날에 해당되어, 흙을 깎은 역할을 구비하여, 경운기가 앞으로 보행할 경우, 다변형 모양의 드릴 로드(261)는 흙을 푸석하게 하면서 앞으로 전진할 수 있어, 경작 효율을 진일보로 향상시킨다. 다변형은 삼각형, 사변형, 오 변형 또는 육변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드릴 로드(261)가 회전 시, 흙을 깎는데 유리하면 모두 가능하다.
실시예 24
도 1, 도 2,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연결프레임(31), 연결지지판(32),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연결 너트(34),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를 포함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1)는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포함한다. 크로스 빔(311)는 복수로 구성된다; 종 방향 빔(312)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311)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크로스 빔(311)의 중간 부위에도 하 종 방향 빔을 용접할 수 있다; 수직 빔(313)은 뒤쪽에 인접한 하 종 방향 빔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된다; 제1 경사선반(314)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315)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된다. 이런 구조의 연결프레임(311)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응력 성능을 좋아서 무거운 리지분쇄 장치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은 모두 사각관을 선택한다.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는 서로 연통 하여,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 내에서 오일 챔버를 형성하여, 경유를 담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오일탱크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상기 연결지지판(32)이 각각 용접되어 있다.
지지 연결판(32)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가 통과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본체 및 그 외부 표면에 도포된 크롬층을 포함한다. 상기 크롬층은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을 높여준다.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위에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아래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34)가 설정되며, 상하의 연결 너트(34)를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아주 쉽게 설치 또는 착탈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는 슬라이딩 슬리브(351),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352)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351)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슬라이딩 하도록 씌우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에 또한 슬라이딩 슬리브(35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방진환이 설정되어, 방진, 방수의 역할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 슬리브(351)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 사이의 윤활유가 단시간내에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윤활성능이 높인다.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는 슬라이딩 슬리브(351)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는 설치홀(3521)이 설정된다.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 (352)에 용접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는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3531)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몸체와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2) 사이에 용접된 리버 플레이트(3532)를 포함한다.
하단의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37)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되고, 본 발명의 경운 리지분쇄기에 대하여,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길어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길이도 길어야 한다.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하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될 경우, 승강형 오일 실린더 몸체의 고정점에서 힌지 받침대(37)까지의 거리를 주릴 수 있으며, 승강형 오일 실린더(36) 작동 시, 승강형 오일 실린더(36)는 쉽게 만곡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응력효과가 좋다. 또한, 이러한 고정기구는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상단을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하는 구조에 비해,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많이 낮으므로 연결프레임의 수직높이를 낮추게 되고, 전체적으로 경운 리지분쇄기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3521)를 통과하는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353)에 고정되므로, 리지분쇄 장치의 설치가 편리하고 신속해지 뿐만 아니라, 리지분쇄 장치를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크로스 빔(311), 종 방향 빔(312), 수직 빔(313), 제1 경사선반(314) 및 제2 경사선반(315)을 함께 용접 시켜 연결프레임(31)을 형성한다.
(2) 하 종 방향 빔과 하 종 방향 빔에 각각 연결지지판(32)을 용접한다.
(3)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일단을 상단의 연결지지판을 통해 하향으로 통과한 다음,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35)의 슬라이딩 슬리브(351)를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에 씌우고, 그 다음, 지속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하단의 연결지지판을 통과시킨 다음,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너트(34)를 각각 잠그도록 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33)를 고정한다.
(4) 하단의 연결지지판에 힌지 받침대(37)를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몸체를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353)에 고정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 받침대(37)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실시예 25
도 1, 도 2 및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파기장치(4)는 스윙 암(41), 지지 암(42), 전복형 오일 실린더(43), 조절 받침대(44), 골파기 암(45) 및 골파기 쟁기(46)를 포함한다.
확장형 설치 플랜지(250)에는 힌지 받침대(47)가 고정되고, 스윙 암(41)의 일단은 힌지 받침대(47)에 현지를 통해 연결되고, 스윙 암(41)의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스윙 암은 서로 평행되는 2개가 있으며, 두 스윙 암의 중간 부위의 사이에 단면이 정 다변형인 상기 지지 암(42)를 용접한다.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몸체는 제3연결 러그(23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받침대(44)는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는 지지 암(42)에 홀딩 되고,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를 연결하며, 볼트를 풀게 되면,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에서 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볼트를 잠그게 되면,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42)에 고정시키므로, 조절 받침대의 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441)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442)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441)와 상 홀더 받침대(442)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47)가 통과된다. 골파기 암(45)은 두 상 홀딩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는 동시에 두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도 홀딩 된다. 골파기 암(45)에는 복수의 조절 홀(451)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47)는 일부 조절 홀(451)을 통과한다. 골파기 암이 조절 받침대(44)에 상대하여 그 사이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조절 로드(47)을 풀어, 골파기 암(45)을 필요한 위치로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47)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과 대응되는 조절 홀을 통과하므로, 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2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파기 쟁기(46)는 골파기 암(45)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골파기 쟁기는 제1골파기 쟁기판(461)을 포함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의 양측에는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이 설정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 제2골파기 쟁기판(462) 및 제3골파기 쟁기판(463) 사이에는 "U"형 홈(464)이 설정되고, "U"형 홈(464) 내에는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 방향 보강 리브(466)가 설정되고,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 방향 보강 리브(466)는 서로 교차되고, 제1골파기 쟁기판(461)의 하단은 제2골파기 쟁기판(462)의 하단,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하단과 서로 교차하여 쟁기 끝날부(467)을 형성하고, 쟁기 끝날부(467)의 횡단면은 삼각형이고, 쟁기 끝날부(467)의 두께는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두께보다 크다. 경작하는 과정에서, 쟁기 끝날부(467)는 토양중의 돌, 나무뿌리 또는 관목 등 견고한 장애물에 접촉되며, 그러나 쟁기 끝날부(467)의 두께가 제2골파기 쟁기판(462)과 제3골파기 쟁기판(463)의 두께보다 크게 되면, 쟁기 끝날부(467)의 강도가 높아져, 쟁기 끝날부(467)의 해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쟁기 구조가 아주 든든하다. 동시에 제1골파기 쟁기판(461), 제2골파기 쟁기판(462) 및 제3골파기 쟁기판(463) 사이에 "U"형 홈(464)이 형성되므로, 쟁기 구조 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지고, 동시에 "U"형 홈(464) 내에 휭방향 보강 리브(465)와 종 방향 보강 리브(466)가 설정되고, 쟁기구조가 더욱 든든하게 된다.
상기 골파기장치(4)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지지 암(42)을 두 스윙 암 사이에 용접한 다음,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일단은 제3연결 러그(230)에 힌지를 통해 연결시키고, 그 다음, 스윙 암(52)의 일단을 힌지 받침대(47)에 힌지를 통해 연결시키고, 스윙 암의 타단을 전복형 오일 실린더(43)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2) 조절 받침대(44)를 지지 암(52)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2개의하 홀더 받침대(441)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442)를 지지 암(52)에 홀딩 시키고, 그 다음,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하고,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하며, 이때, 잠금 볼트는 상하 홀더 받침대를 잠그지 않았으며, 수요에 의해 조절 받침대(44)가 지지 암(42) 상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잠금 볼트를 조여서 잠그도록 하여, 조절 받침대(44)가 지지 암(42)을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3) 골파기 쟁기(46)를 골파기 암(45)에 용접하고, 골파기 암(45)의 상단은 조절 받침대의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와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설치하고, 수요에 의해 골파기 암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과 이에 대응되는 조절 홀을 통과하여 골파기 암에 대하여 위치를 확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골파기장치의 조립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고 또한, 수요에 의해 골파기 쟁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6
도 28과 도 2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의 식 점토 고름장치는 레이크 판(52), 레이크 판(52)과 연결된 연결 암(58) 및 상기 레이크 판(52)의 반전각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암(58)은 레이크 판(52)의 양단 위치에 설치되고, 연결 암(58)하단은 레이크 판(52)과 고정하여 연결되고, 상단은 고름장치 연결 러그(21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연결 레이크 판(52)을 지지 또는 연결한다. 상기 레이크 판(52)은 스트립 모양이며, 상기 레이크 판(52)은 3개의 평판 유닛(521)이 순차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평판 유닛(521)은 연결부(5211)와 상기 연결부(5211)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5212)를 포함하고,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 사이의 연결부(5211)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 유닛(521)을 반향으로 접을 수 있다; 평판 유닛(521)은 전개된 후, 평판 유닛(52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의 연결부(5211) 사이에 평판 유닛(21)의 반전을 제한하는 인터 로킹장치가 설정된다.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21) 측 변에 설정된 제1링(59), 이웃 되는 평판 유닛(521) 측 변에 설정된 제2링(511) 및 제1링(59)과 제2링(511)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510)을 포함하고, 제1링(59) 삽입홀과 제2링(511) 삽입홀은 종 방향이고, 이웃 되는 두 평판 유닛(521)이 전개된 후, 제1링(59)과 제2링(511)은 상하 배열된 모양이고, 플러그 핀(510)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링(59)과 제2링(511)을 통과하여 이웃 되는 2개의 평판 유닛(521)을 잠근다. 상기 조절장치는 힌지 받침대, 스크류 로드, 제1스프링, 제2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하단은 레이크 판(52)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레이크 판(52)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고, 제2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한다. 제1스프링의 탄력은 레이크 판(52)에 작용되어 레이크 판(52)이 흙을 고르게 할 때, 더욱 힘이 있고, 또한, 조절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레이크 판(52)의 반전각을 변경시킨다.
상기 고름장치의 작동원리는 고름장치와 리지분쇄 장치가 연동하여 사용하며, 리지분쇄 장치는 점토를 리지분쇄 한 후, 토양이 푸석하고 흐트러진다; 조절장치를 통해 레이크 판(52)을 반전시켜 지면과 접촉시키고, 경운 리지분쇄기가 보행할 때 고름장치과 협동하여 보행하므로, 고름장치의 레이크 판(52)은 지면을 고르게 한다; 또한, 리지분쇄 장치의 나선형 드릴 로드는 점토에 대하여 리지분쇄 을 진행 시, 분쇄된 점토는 튀게 되며, 리지분쇄 장치 일 측에 설정된 레이크 판(52)은 점토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막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크 판(52)은 스트립 모양이고, 힌지로 연결된 이웃 평판 유닛(521)을 통해 레이크 판(52)의 넓이를 조정하므로 토지의 면적의크기에 의해 레이크 판(52)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7
도 30과 도 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반환장치(6)는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 볏짚반환 연결로드기구(62), 볏짚반환 커버(63), 제초칼(64),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65) 및 볏짚반환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도 30과 도 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반환 연결기구(62)는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와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를 포함한다;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볏짚반환연결로드(621)의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의 일단은 제1볏짚반환연결로드의 중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볏짚반환연결로드(622)의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초칼(64)은 볏짚반환커버(63) 내에 설정된다; 볏짚반환오일 실린더(65)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6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볏짚반환커버(63)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볏짚반환구동 기구는 모터, 구동기어,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모터는 볏짚반환커버(63)에 고정되고, 구동기어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는 제초칼(64)의 축에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는 서로 맞물리고, 볏짚반환커버의 하 전방에 위치한정 룰러(66)가 설정된다.

Claims (146)

  1.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에 있어서,
    기체, 리지분쇄 장치, 연결장치, 골파기장치, 고름장치 및 볏짚반환장치를 포함하며;
    기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휄프레임은 휄프레임 본체 및 휄프레임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는 휄프레임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후단에는 종동륜 수용홈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종동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1 설치홀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밑면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이 형성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과 제2 설치홀이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돌기가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윗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상향 안내륜 수용홈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3 설치홀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과 제3 설치홀이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돌기가 설정되며;
    구동륜은 베어링을 통해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 설치되며,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는 보행구동 장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종동륜의 일부는 종동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종동륜은 제1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하향 안내륜의 아래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안내륜은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상향 안내륜의 일부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상향 안내륜의 윗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향 안내륜은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에 씌우며;
    상기 기계 프레임은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휄프레임 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 및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디젤엔진 어셈블리 및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 설치되며;
    디젤엔진 어셈블리는 디젤엔진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풍동함, 유압펌프 및 디젤엔진 커버를 포함하며;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은 기계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디젤엔진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 위에 고정되고; 풍동함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또한, 디젤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압펌프는 디젤엔진의 출력축 위에 연결되고; 디젤엔진 커버는 디젤엔진 및 풍동함 위에 씌우게 되고;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동력전달축, 동력 입력부재, 베어링 및 나선형 드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부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부 단면에 용접되고;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되고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 돌기를 형성하고;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에 상 돌기를 형성하고;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되고;
    플랜지 위에는 밀봉홈이 설정되고;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제1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 지지판은 제1 지지부를 지탱하고;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장치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장치의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 지지판은 제2 지지부를 지탱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는 상대되도록 설치되고;
    위판 위에 제1 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 용접판은 위판 상의 제1 용접부와 용접되며; 위판 위에 제3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 연결 러그 위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 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 용접판은 제2용접부와 용접되고;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고;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고;
    구동 기구는 유압모토 또는 모토이고, 구동 기구는 위판 위에 설치되며,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들 중의 하나를 구동하여 회전시키거나, 각 동력전달축별 구동 기구를 설치하거나, 일부 동력전달축에 구동 기구를 대응하여 설치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역 방향 설치하고;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전달축 위에는 축방향 관통된 재료투입홀이 구비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기어이며, 각 동력전달축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기어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기어 사이에는 샤프트 슬리브가 설정되고;
    동력전달축의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위에는 나선을 통해 연결된 정 방향 잠금 너트가 존재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되고; 동력전달축의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위에 역 방향 잠금 너트가 설정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로드 본체, 나선형 플레이드 및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로드 본체는 플랜지를 통해 동력전달축에 연결되고, 로드 본체는 축방향 연장되는 홀이 구비하며, 상기 홀은 동력전달축의 재료투입홀과 연통되고, 로드 본체에는 상기 홀과 연통되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배출홀이 설정되고; 나선형 플레이드는 로드 본체에 용접되고, 나선형 플레이드 위에는 블레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은 스크류 로드이다; 플랜지 위에는 원추 축과 맞은 원추홀과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되고;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고,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된 나선 나트가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의 상표면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돌기는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으로 합체로 되고,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 단면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는 임시로 연동하는 것이다; 글랜드 위에는 카운터 보어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 부위는 카운터 보어홀 내에 위치하고;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및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하고;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되고;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또는 크로스 빔의 중부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된다; 수직 빔은 하 종 방향 빔의 뒤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되고;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이 형성되고;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판이 용접되고;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본체 및 외측 표면에 도포된 크롬층을 포함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하방에는 연결 너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상부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드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딩 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씌우게 되며, 슬라이딩 슬리브와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사이에 또한 슬라이딩 슬리브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방진환이 설정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 용접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본체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 본체 및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사이에 용접된 리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어 있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를 통해 힌지 받침대에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되고;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을 통과한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되고;
    골파기 장치는 스윙 암, 지지 암, 전복형 오일 실린더, 조절 받침대, 골파기 암 및 골파기 쟁기를 포함하고;
    확장형 설치 플랜지에는 힌지 받침대에 고정되고, 스윙 암의 일단은 힌지를 통해 힌지 받침대에 연결되고, 스윙 암의 타단은 힌지를 통해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다; 상기 스윙 암은 서로 평행되는 두개이고, 두 스윙 암의 중간 부위 사이에는 상기 지지 암이 용접되고, 지지 암의 단면은 정 답변형이다;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몸체는 힌지를 통해 제3 연결 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 받침대는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는 지지 암에 홀딩 되고,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및 2개의 항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가 통과하고; 골파기 암은 2개의 상 홀딩 받침대 사이의 홀딩 되고, 동시에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며, 골파기 암에는 복수의 조절홀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는 그 중의 조절홀을 통과하고;
    상기 골파기 쟁기는 골파기 암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골파기 쟁기는 제1 골파기 쟁기판을 포함하고, 제1 골파기 쟁기판의 양측에는 제2 골파기 쟁기판과 제3 골파기 쟁기판이 설정되고, 제1 골파기 쟁기판, 제2골파기 쟁기판 및 제3 골파기 쟁기판 사이에는 "U"형 홈이 설정되고, "U"형 홈 내에는 휭방향 보강 리브와 종 방향 보강 리브가 설정되고, 휭방향 보강 리브와 종 방향 보강 리브는 서로 크로스 되고, 제1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과 제2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 제3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은 서로 크로스 되어 쟁기 끝날부를 형성하고, 쟁기 끝날부의 횡단면은 삼각형이고, 쟁기 끝날부의 두께는 제2 골파기 쟁기판과 제3 골파기 쟁기판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고름장치는 레이크 판, 레이크 판과 연결되는 연결암과 상기 레이크 판의 반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암은 레이크 판의 양단에 설정되고, 연결 암 하단은 레이크 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단은 고름장치 연결 러그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레이크 판은 스트립형 모양이고, 상기 레이크 판은 3 개의 평판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판 유닛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를 포함하고, 이웃 된 평판 유닛 사이의 연결부는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이웃 된 평판 유닛의 연결부 사이에는 평판 유닛이 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로킹 장치가 설정되고;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 일 측에 설정된 제1 링, 이웃 된 평판 유닛 측에 설정된 제2링과 제1링과 제2링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힌지 받침대, 스크류 로드,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의 하단은 레이크 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레이크 판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하고;
    볏짚반환장치는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 볏짚반환 연결로드기구, 볏짚반환커버, 제초칼,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 및 볏짚반환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볏짚반환 연결기구는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와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타단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일단은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중간 부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타단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초칼은 볏짚반환 커버 내에 설정되고;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다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볏짚반환 구동 기구는 모터, 구동기어,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모터는 볏짚반환 커버에 고정되고, 구동기어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는 제초칼의 축에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볏짚반환 커버의 하단 전방에는 위치한정 룰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2.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에 있어서,
    이는 기체, 리지분쇄 장치, 연결장치, 골파기장치, 고름장치 및 볏짚반환장치를 포함하며;
    기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은 보행 기구에 설치되고,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및 운전석은 기계프레임에 설치되고, 냉각기는 유압 탱크에 설치된다;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 부재 및 나선형 드릴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되고;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되고;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 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기계프레임과 리지분쇄 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골파기장치는 스윙 암, 지지 암, 전복형 오일 실린더, 조절 받침대, 골파기 암 및 골파기 쟁기를 포함하며; 스윙 암은 두 개로 구성되고, 지지 암은 두 스윙 암의 중간 부위의 사이에 용접되고, 스윙 암의 일단은 리지분쇄함의 하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모체는 리지분쇄함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된다; 조절 받침대는 지지 암에 설치되고, 골파기 암은 조절 받침대에 설치되고, 골파기 쟁기는 골파기 암에 설치되고;
    상기 고름장치는 레이크 판, 레이크 판과 연결되는 연결암과 상기 레이크 판의 반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암은 레이크 판의 양단에 설정되고, 연결 암 하단은 레이크 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단은 고름장치 연결 러그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레이크 판과 리지분쇄함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의 회전을 구동 시킬 수 있고;
    상기 기계프레임은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지지대은 휄프레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와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경사 버팀대의 윗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된 두 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상 돌기는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제1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 지지판은 제1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 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 지지판은 제2 지지부를 지탱하며; 위판 위에 제1 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된느 제2 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 용접판은 위판 상의 제1 용접부와 용접되며; 위판 위에 제3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 연결 러그 위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 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 용접판은 제2용접부와 용접된다;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원추형 베어링은 정 방향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베어링은 역방향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 상이에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되며; 동력전달축의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위에는 나선을 통해 연결된 정 방향 잠금 너트가 존재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되고; 동력전달축의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위에 역 방향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은 스크류 로드이다; 플랜지 위에는 원추 축과 맞은 원추홀과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되고;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고,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된 나선 나트가 설정되며;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및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하고;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되고;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수직 빔은 하 종 방향 빔의 뒤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되고;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되며;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이 형성되며;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판이 용접되고;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하여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하방에는 연결 너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상부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드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딩 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씌우게 되며;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 용접되고;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어 있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를 통해 힌지 받침대가여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되며;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을 통과한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2개의 연결 로드 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제1 연결 로드, 제2연결 로드, 제3 연결 로드, 제4 연결 로드 및 구동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며; 연결 로드 받침대는 기계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 연결 로드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간 부위보다 좀 낮은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타단은 리지분쇄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의 타단은 리지분쇄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는 제2연결 로드와 서로 평행되고; 제4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부다 좀 높은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구동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간 부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받침대는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는 지지 암에 홀딩 되고,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를 연결하고, 볼트를 풀면, 조절 받침대가 지지 암에서 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볼트를 조이면, 조절 받침대를 지지 암에 고정시키게 되며;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및 2개의 항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가 통과하고; 골파기 암은 2개의 상 홀딩 받침대 사이의 홀딩 되고, 동시에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며, 골파기 암에는 복수의 조절홀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는 그 중의 조절홀을 통과하며;
    상기 레이크 판은 스트립형 모양이고, 상기 레이크 판은 3 개의 평판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판 유닛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를 포함하고, 이웃 된 평판 유닛 사이의 연결부는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이웃 된 평판 유닛의 연결부 사이에는 평판 유닛이 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로킹 장치가 설정되고;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 일 측에 설정된 제1 링, 이웃 된 평판 유닛 측에 설정된 제2링 및 제1링과 제2링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을 포함하며, 제1링의 삽입홀과 제2링의 삽입홀은 중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로드의 하단은 레이크 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레이크 판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하며, 제1스프링의 탄력은 레이크 판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12. 경운 리지분쇄기에 있어서,
    이는 기체, 리지분쇄 장치 및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기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은 보행 기구에 설치되고,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및 운전석은 기계프레임에 설치되고, 냉각기는 유압 탱크에 설치된다;
    리지분쇄 장치는 리지분쇄함, 구동 기구,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 부재 및 나선형 드릴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지분쇄함은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되고;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되고;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기계프레임과 리지분쇄 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의 회전을 구동 시킬 수 있고;
    상기 기계프레임은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지지대은 휄프레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와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경사 버팀대의 윗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된 두 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상 돌기는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된다;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제1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 지지판은 제1 지지부를 지탱한다;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 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 지지판은 제2 지지부를 지탱하며; 위판 위에 제1 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 용접판은 위판 상의 제1 용접부와 용접되며; 위판 위에 제3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 연결 러그 위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 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 용접판은 제2용접부와 용접된다;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원추형 베어링은 정 방향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베어링은 역방향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 상이에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되며; 동력전달축의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위에는 나선을 통해 연결된 정 방향 잠금 너트가 존재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되고; 동력전달축의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위에 역 방향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은 스크류 로드이다; 플랜지 위에는 원추 축과 맞은 원추홀과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되고;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고,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된 나선 나트가 설정되며;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및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하고;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되고;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수직 빔은 하 종 방향 빔의 뒤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되고;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되며;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판이 용접되고;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하여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하방에는 연결 너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상부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드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딩 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씌우게 되며;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 용접되고;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어 있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힌지를 통해 힌지 받침대에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되며;
    상기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을 통과한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2개의 연결 로드 기구와 두 연결 로드기구에 연결된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로드기구는 연결 로드 받침대, 제1 연결 로드, 제2연결 로드, 제3 연결 로드, 제4 연결 로드 및 구동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며; 연결 로드 받침대는 기계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 연결 로드의 하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의 후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간 부위보다 좀 낮은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연결 로드의 타단은 리지분쇄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3연결 로드의 타단은 리지분쇄함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제3연결 로드는 제2연결 로드와 서로 평행되고; 제4연결 로드의 일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부부다 좀 높은 위치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4연결 로드의 타단은 제3연결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구동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연결 로드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 오일 실린더의 타단은 제1연결 로드의 중간 부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
  22.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에 있어서,
    이는 보행 기구, 기계프레임,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운전석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 기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2개의 클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클롤러 어셈블리는 휄프레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클롤러 및 보행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은 휄프레임에 설치되고, 클롤러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고, 보행구동 장치는 휄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륜을 회전시키고;
    상기 기계프레임는 지지대, 경사 버팀대 및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지지대는 휄프레임 위에 용접되고; 경사 버팀대는 휄프레임 및 지지대 위에 용접되며;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앞부분 위치하고, 지지리브는 일 측의 경사 버팀대에서 지지대의 아래를 경과하여 타 측의 경사 버팀대로 연장되며; 경사 버팀대의 뒷부분 밑면에는 서로 평행되는 두 개의 리버 플레이트가 설정되며;
    지지대에는 진동 흡수기가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에는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가 설치되며;
    디젤엔진 어셈블리는 디젤엔진기계프레임, 디젤엔진, 풍동함, 유압펌프 및 디젤엔진 커버를 포함하며;
    디젤엔진기계프레임은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설치되고, 진동 흡수기를 통해 디젤엔진 어셈블리의 진동을 흡수하며; 디젤엔진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에 고정된다; 풍동함은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또한, 디젤엔진의 전방에 위치하며; 유압펌프는 디젤엔진의 출력축 위에 연결되고; 디젤엔진 커버는 디젤엔진 및 풍동함 위에 씌우게 되고;
    운전석은 지지대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휄프레임은 휄프레임 본체 및 휄프레임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는 휄프레임 본체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후단에는 종동륜 수용홈이 설정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종동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1 설치홀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밑면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이 형성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의 윗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상향 안내륜 수용홈이 설정되며, 휄프레임 본체에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을 통과하는 제3 설치홀이 설정되며;
    구동륜은 베어링을 통해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 설치되며,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는 보행구동 장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종동륜의 일부는 종동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종동륜은 제1 설치홀을 통과한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하향 안내륜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하향 안내륜의 아래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안내륜은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또한,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를 설치하며;
    상향 안내륜의 일부는 상향 안내륜 수용홈 내에 위치하며, 상향 안내륜의 윗부분은 휄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향 안내륜은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설치되며, 또한,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휄프레임 본체의 후단에는 챔퍼가 형성되고, 휄프레임 연결 러그의 전단은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에서 제2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기가 설정되고; 휄프레임 본체의 외 측에서 제3 설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돌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보행구동 장치는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지지리브의 코너에는 원호형 홈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기체.
  28.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에 있어서,
    이는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되며;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베어링의 넓이 보다 크며,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이 구비되고;
    위판에는 하향 관통홀의 수직위치와 대응되는 2 개 이상의 상향 관통홀을 설정하고, 상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하향 연장된 상향 베어링 받침대가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의 길이보다 더 크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구동 기구는 위판에 설치되고, 구동 기구는 동력전달축을 회전시키고;
    동력전달축은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축의 하단은 리지분쇄함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동력입력 부재의 하표면은 동력전달축의 샤프트 숄더로부터 저지되고;
    나선형 드릴 로드는 동력전달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으로 연장되고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하 돌기는 하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는 상향 연장되어 위판의 상표면에 상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상 돌기는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여기서, 측 판은 리지분쇄함의 앞부분에 분포되고,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며,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서 진입홀 주위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 위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는 계단이 형성되며;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제1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1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1 지지판은 제1 지지부를 지탱하며; 밑판의 하표면에는 제 2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고름 장치의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지지판이 설정되고, 제2 지지판은 제2 지지부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위판 위에 제1 용접부가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2 연결 러그 위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용접판이 설정되고, 제2 용접판은 위판 상의 제1 용접부와 용접되며; 위판 위에 제3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제3 연결 러그 위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3 용접판이 설정되고, 측 판 위에는 제2 용접부가 설정되고, 제3 용접판은 제2용접부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3. 청구항 28에 있어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고,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4.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원추형 베어링은 정 방향 설치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된 베어링은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동력전달축에 동력입력 부재와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 상이에 샤프트 슬리브가 씌우게 되며; 동력전달축의 상부에 위치한 원추형 베어링의 위에는 나선을 통해 연결된 정 방향 잠금 너트가 존재하고, 정 방향 잠금 너트는 상부의 원추형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되고; 동력전달축의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위에 역 방향 잠금 너트가 설정된다;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은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직경보다 크고, 정 방향 잠금 너트의 상표면은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설정한 동력전달축의 상표면보다 높고, 역 방향 잠금 너트는 정 방향 잠금 너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5.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은 스크류 로드이다; 플랜지 위에는 원추 축과 맞은 원추홀과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설정되고, 플랜지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는 서로 연통되고;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카운터 보어 내에 진입 되고, 카운터 보어 내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된 나선 나트가 설정되며; 스크류 로드에는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는 돌기가 구비하고, 돌기는 잠금 너트를 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리지분쇄 장치.
  36.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에 있어서,
    이는 보행 기구를 포함하고, 보행 기구는 휄프레임 ,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상향 안내륜 및 클롤러를 포함하며; 휄프레임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 구동륜은 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고, 종동륜은 휄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며, 휄프레임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이다;휄프레임의 위부분에는 지지러그가 설정되고, 지지러그에는 상향 개구홈이 설정되며; 휄프레임에 하향 개구홈에는 이탈방지 조각이 고정되고, 이탈방지 조각에는 환형 홀이 설정되며; 하향 개구홈과 환형 홀에는 설치축이 통과하고, 설치축에는 상기 하향 안내륜이 설치되고, 하향 안내륜의 일부는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 내에 위치되며; 상향 개구홈에는 설치축이 설치되고, 상향 안내륜은 설치축에 설치되고, 클롤러는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 위에 씌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하향 개구홈은 하 원호구간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을 포함하며; 상향 개구홈은 상 원호구간과 상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38.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휄프레임은 종 방향 빔, 상부뚜껑, 엔드 플레이트 및 연결 러그를 포함하며; 종 방향 빔의 일단에는 위에서 아래로 된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부뚜껑은 종 방향 빔에 용접되어 관통홈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종 방향 빔의 타단에 용접되고; 연결 러그는 엔드 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휄프레임에서 관통홈의 양측 측벽에는 각각 슬리딩 홈이 설정되고; 관통홈 내에는 인장장치가 설정되고; 상기 인장장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직선 구동 기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되도록 슬리딩 홈에 설정되고, 직선 구동 기구는 슬라이딩 블록을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 시키고; 종동륜은 휄축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베어링 받침대, 스크류 로드 및 너트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는 관통홈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에 설정되고, 너트는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는 너트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리드 스크류에는 다변형 횡단면인 구동부를 구비하고, 종 방향 빔에서 구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종 방향 빔에서 창구 있는 곳에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3.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연결판 및 연결판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U형 모양이며; 지지판에는 직경인 휄축 직경보다 큰 설치홀이 설정되고, 휄축은 설치홀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4. 청구항 36에 있어서,
    이탈방지 조각은 스크류를 통해 휄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안내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행 기구.
  45.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에 있어서,
    이는 휄프레임을 포함하고, 휄프레임의 밑부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가 설정되고, 휄프레임의 밑부분에 하향 안내륜 수용 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설치홀이 설정되고, 제2 설치홀은 하향 개구홈이다; 휄프레임의 위부분에는 지지러그가 설정되고, 지지러그에는 상향 개구홈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46. 청구항 45항에 있어서,
    하향 개구홈은 하 원호구간과 하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하 직선구간을 포함하며; 상향 개구홈은 상 원호구간과 상 원호구간의 양단에서 같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상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47. 청구항 45항에 있어서,
    상기 휄프레임은 종 방향 빔, 상부뚜껑, 엔드 플레이트 및 연결 러그를 포함하며; 종 방향 빔의 일단에는 위에서 아래로 된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부뚜껑은 종 방향 빔에 용접되어 관통홈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종 방향 빔의 타단에 용접되고; 연결 러그는 엔드 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48. 청구항 47항에 있어서,
    휄프레임에서 관통홈의 양측 측벽에는 각각 슬리딩 홈이 설정되고; 관통홈 내에는 인장장치가 설정되고; 상기 인장장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직선 구동 기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되도록 슬리딩 홈에 설정되고, 직선 구동 기구는 슬라이딩 블록을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49. 청구항 4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동 기구는 베어링 받침대, 스크류 로드 및 너트를 포함하고, 베어링 받침대는 관통홈 내에 고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 받침대에 설정되고, 너트는 슬라이딩 블록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는 너트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50. 청구항 49항에 있어서,
    리드 스크류에는 다변형 횡단면인 구동부를 구비하고, 종 방향 빔에서 구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홈과 서로 연통되는 창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51. 청구항 50항에 있어서,
    종 방향 빔에서 창구 있는 곳에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52. 청구항 4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연결판 및 연결판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U형 모양이며; 지지판에는 직경인 휄축 직경보다 큰 설치홀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클롤러 프레임.
  53. 나선형 경운기,
    이는 차프레임, 클롤러 장치, 운전석, 유압 탱크, 디젤엔진 어셈블리, 연결장치, 리지분쇄 장치 및 냉각기를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의 하부의 양측에 두 세트 이상의 클롤러 장치가 설정되고, 차프레임의 플랫폼의 면에 운전석, 디젤엔진 어셈블리, 유압 탱크, 냉각기 및 연결장치가 설정되고, 연결장치에는 리지분쇄 장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경운기.
  54. 청구항 5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롤러 장치는 클롤러휄 및 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클롤러휄은 차프레임에 설정되고, 상기 클롤러는 클롤러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경운기.
  55. 청구항 53항에 있어서,
    차프레임의 플랫폼의 면에는 디젤엔진 어셈블리를 커버 시키는 디젤엔진 커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경운기.
  56. 측 판을 포함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상기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고,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고,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면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57. 청구항 56항에 있어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58. 청구항 56항에 있어서,
    확장형 설치 플랜지와 판체는 스크류를 통해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59. 청구항 56항에 있어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0. 청구항 5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1. 청구항 56항에 있어서,
    판체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기울려 연장되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2. 청구항 61항에 있어서,
    고름장치 연결 러그의 중간 부위에는 후향으로 형성된 제2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3. 측 판을 포함하는 진입홀 커버를 구비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상기 측 판은 판체를 포함하고, 판체에는 진입홀이 설정되고, 판체에는 확장형 설치 플랜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4. 청구항 63항에 있어서,
    판체에서 진입홀의 주변에는 플랜지가 설정되고, 판체와 플랜지에는 설치홀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5. 청구항 64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내측과 판체 사이에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6. 청구항 64항에 있어서,
    플랜지에는 밀봉홈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7. 청구항 63항에 있어서,
    판체에는 힌지 받침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8. 청구항 6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받침대는 연결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양측에서 연결 받침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러그를 포함하고, 두 연결 러그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두 연결 러그 위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69. 청구항 63항에 있어서,
    판체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기울려 연장되는 고름장치 연결 러그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판을 구비한 리지분쇄함.
  70.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된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밑판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분쇄함.
  71. 청구항 70항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분쇄함.
  72. 청구항 70항에 있어서,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분쇄함.
  73. 청구항 70항에 있어서,
    밑판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이 설정되고, 지지선반은 지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분쇄함.
  74. 밑판, 측 판 및 위판을 포함하고, 측 판의 하단면은 밑판에 용접되고, 위판은 측 판의 상단면에 용접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에 있어서,
    밑판 위에는 2개 이상의 하향 관통홀이 설정되고, 하향 관통홀의 내벽에는 위로 연장되는 하향 베어링 받침대가 용접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밑판의 상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웃 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 사이의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으며, 리버 플레이트와 밑판 사이에는 윤활유 채널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75. 청구항 74항에 있어서,
    돌출된 하향 베어링 받침대의 높이는 2개의 베어링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76. 청구항 74항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는 하향 연장하여 밑판의 하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77. 청구항 74항에 있어서,
    밑판의 하표면에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측 판에는 연결 러그가 용접되고, 연결 러그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이 설정되고, 지지선반은 지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리지분쇄함.
  78.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에 있어서,
    플랜지, 下베어링 엔드 커버, 하향 베어링 받침대, 베어링, 동력전달축, 동력입력 부재, 상향 베어링 받침대, 베어링, 잠금 너트 및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포함하고,
    플랜지와 동력입력 부재는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베어링은 동력입력 부재의 양단에 설치되고,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하향 베어링 받침대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의 상향 베어링 받침대에 베어링이 설정되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샤프트 숄더를 통해 위치 고정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은 잠금 너트를 통해 베어링 틈새를 조절한 후 잠금을 통해 위치 고정하며, 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는 리지분쇄함 또는 기계프레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
  79. 청구항 78에 있어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의 크기는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
  80.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위치한 베어링과 잠금 너트 사이에는 탄성 개스킷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
  81.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완충 슬리브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대로 설치한 원추형 베어링을 이용한 경운 설비의 동력전송장치.
  82. 동력전달축과 플랜지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원추 축이고, 원추축의 일단에는 스크류 로드가 구비되며; 연결부품에는 원추 축과 배합하는 원추홀 및 스크류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설정하고, 원추홀과 관통홀은 서로 연통된다; 원추 축은 원추홀 내에 설정되고, 스크류 로드는 관통홀을 통과하고,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잠금 너트가 설정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에 있어서,
    스크류 로드에서 2개 이상의 록킹 스규류를 통해 글랜드가 고정되고, 글랜드는 잠금 너트의 단면에 압력을 가하여 합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3. 청구항 82항에 있어서,
    연결부품에 원추홀과 대응되는 일 측에는 카운터 보어가 설정되고, 카운터 보어와 관통홀은 서로 연통되고, 스크류 로드는 카운터 보어 내로 진입 되고, 상기 잠금 너트와 글랜드는 카운터 보어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4. 청구항 82항에 있어서,
    글랜드에는 카운터 보어 홀이 설정되고, 록킹 스규류의 헤드는 카운터 보어 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5. 청구항 82항에 있어서,
    글랜드와 스크류 로드의 단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6. 청구항 83항에 있어서,
    글랜드와 카운터 보어의 측벽은 임시로 배합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7. 청구항 8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은 샤프트 연결 장치 또는 플랜지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를 통해 샤프트 단부와 연결부품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기구.
  88. 리지분쇄함을 포함하고, 리지분쇄함 내에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축을 설정되고, 동력전달축의 일단은 리지분쇄함에서 밖으로 연장되고, 동력전달축의 밖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나선형 드릴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드릴 로드는 로드 본체, 로드 본체에 회전하는 나선형 플레이드 및 나선형 플레이드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경운 장치에 있어서,
    같은 나선형 플레이드에서 서로 다른 피치 내에는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외측 단부에서 위쪽 또는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만곡되어 성형된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에 고정되고;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과 칼등을 구비하고, 절토 칼날은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과 대응되고, 칼등은 절토 칼날과 대응하여 설정되고;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는 제1입토 블레이드가 고정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는 제1연결부와 제1칼날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쐐기 모양이 되며, 제1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1합금 블레이드가 박게 있으며, 제1 입토 블레이드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1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다;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제2 입토 블레이드가 연결되고,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제2 연결부와 제2 칼날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는 로드 본체에 연결되고, 제2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2칼날이 쐐기 모양이 되며, 제2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가 박게 있으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하향으로 경사되어 연장되며, 제2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은 제2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 방향과 반대된 방향과 일치하며; 로드 본체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로드 본체의 축방향에서 위치를 어근 나게 설정하고, 삽입연결 받침대에는 삽입연결 홈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에는 분쇄 고름 블레이드가 삽입하여 연결되고, 상기 분쇄 고름 블레이드는 삽입연결부,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포함하고, 제1만곡부는 삽입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와 회전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만곡부는 제1만곡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분쇄 고름 블레이드의 외 측에는 분쇄 칼날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89.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아래에서 위로, 같은 나선형 플레이드에는 서로 다른 피치 내의 블레이드의 수량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0. 청구항 89항에 있어서,
    이웃 된 피치 내의 블레이드 수량의 감소량은 한 자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1. 청구항 88항 또는 89항 에 있어서,
    나선형 플레이다 별 서로 다른 수량의 블레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2.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절토 칼날의 중간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원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3.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절토 칼날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절토 칼날이 쐐기모양으로 형성되게 하며, 절토 칼날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을 따라 연장한 제1리브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4.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스크류 캡을 포함하고, 볼트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와 고정부를 통과하며, 볼트의 하단은 스레드를 통해 블레이드를 압제하는 스크류 캡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캡은 너트 및 너트와 일체로 형성된 원형 헤드를 포함하고, 원형 헤드의 외부 표면에는 침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5.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제2 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6.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분쇄 고름 블레이드에 분쇄 칼날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7. 청구항 88항에 있어서,
    제1 입토 블레이드와 제2 입토 블레이드는 같은 경사각도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장치.
  98.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로드 본체의 중간 아래로 된 부위에는 나선형 플레이드가 돌려서 고정되며, 나선형 플레이드에는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는 제1입토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경운 절삭공구에 있어서,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입토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99.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제1 입토 블레이드와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원주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0.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제1 입토 블레이드는 제1 연결부와 제1칼날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 칼날의 하표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제1칼날이 쐐기모양이 되도록 하며, 제1 입토 블레이드는 경사로 하향 연장되고, 제1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제2 연결부와 제2 칼날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는 로드 본체에 연결되고, 제2 칼날의 하표면은 경사면을 구비되어 제2 칼날이 쐐기모양이 되도록 하며, 제2 입토 블레이드는 경사로 하향 연장되고, 제2 입토 블레이드의 하단은 로드 본체의 밑면보다 낮으며, 제2칼날은 제2연결부 연장 방향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된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1. 청구항 100항에 있어서,
    제1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1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으며; 제2칼날의 상표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수용홈 내에는 제2합금 블레이드가 박혀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2.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로드 본체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삽입연결 받침대가 고정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연결 받침대는 로드 본체의 축방향에서 위치 어근 나게 설정되었으며, 삽입연결 받침대에는 삽입연결 홈이 설정되고, 삽입연결 홈에는 분쇄 고름 블레이드가 삽입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분쇄 고름 블레이드는 삽입연결부, 제1만곡부 및 제2만곡부을 포함하고, 제1만곡부는 삽입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만곡부는 제1만곡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분쇄 고름 블레이드의 외 측에는 분쇄 칼날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3.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블레이드에는 절토 칼날이 구비되고, 절토 칼날의 중간 부위는 밖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4. 청구항 103항에 있어서,
    절토 칼날의 상표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절토 칼날이 쐐기모양으로 형성되게 하며, 절토 칼날의 하표면에는 절토 칼날을 따라 연장한 제1리브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5.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나선형 플레이드에 고정되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스크류 캡을 포함하고, 볼트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선형 플레이드와 고정부를 통과하며, 볼트의 하단은 스레드를 통해 블레이드를 압제하는 스크류 캡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캡은 너트 및 너트와 일체로 형성된 원형 헤드를 포함하고, 원형 헤드의 외부 표면에는 침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6. 청구항 98항에 있어서,
    제2 입토 블레이드와 로드 본체 사이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7. 청구항 102항에 있어서,
    분쇄 고름 블레이드에 분쇄 칼날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분쇄 칼날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절삭공구.
  108. 로드 본체, 나선형 플레이드를 포함하고, 나선형 플레이드는 로드 본체의 하부에 둘려서 설정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에 있어서,
    로드 본체의 상부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의 위쪽에 위치하는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09. 청구항 108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는 일체형 연결 슬리브와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연결 슬리브는 로드 본체의 상부에 설정되고,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연결 슬리브의 측벽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0. 청구항 109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적어도 두개가 있어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는 연결 슬리브의 측벽에 균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1. 청구항 109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절단 블레이드 본체의 외부 단부에는 칼끝이 설정되고, 칼끝은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2. 청구항 108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원주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3. 청구항 1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적어도 두개이어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나선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4. 청구항 1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본체와 블레이드 본체의 밑부분이 만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블레이드 본체는 로드 본체의 위쪽 단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5. 청구항 1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고정부과 연결하여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는 90°내지 120°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6. 청구항 10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본체의 밑단에는 역삼각형의 드릴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쌓인 것을 방지하는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7. 로드 본체, 나선형 플레이드를 포함하며, 나선형 플레이드는 로드 본체의 하부에 둘려서 설정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에 있어서,
    나선형 플레이드의 꼬리 부위에 설정되고 또한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위치하는 제1입토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8. 청구항 1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는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와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의 밑부분이 만곡되어 수평 연장하여 형성된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하표면에 연결되고,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는 로드 본체의 밑단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19. 청구항 1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토 블레이드 본체는 제1입토 블레이드 고정부와 연결되어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는 120° 내지 150°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20. 청구항 117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드릴 비트는 나선형 플레이드의 원주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토 편이성을 구비한 경운기의 나선형 드릴 비트.
  121. 연결프레임, 연결지지판,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 연결 너트,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 승강형 오일 실린더를 포함하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연결지지판이 용접되고; 지지 연결판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가 통과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하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아래 쪽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상단에 위치한 연결지지판의 위쪽에는 연결 너트가 설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은 슬라이딩 슬리브,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 및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슬리브는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씌우게 되며;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는 슬라이딩 슬리브에 용접되고; 상기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는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 용접되고; 하단의 연결지지판에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가 고정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오일 실린더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 본체의 하단은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2. 청구항 121항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은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포함하고; 크로스 빔은 복수로 구성되고; 종 방향 빔은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빔의 양단에는 하 종 방향 빔이 용접되고; 수직 빔은 하 종 방향 빔의 뒤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용접되고; 상 종 방향 빔은 수직 빔의 상단에 용접되고; 제1 경사선반은 크로스 빔의 전단부와 수직 빔의 상단부 사이에 용접되고; 제2 경사선반은 수직 빔 사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3. 청구항 12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모두 사각관을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은 서로 연통되어,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 내에서 오일 챔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4. 청구항 122항에 있어서,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판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5. 청구항 121항에 있어서,
    리지분쇄함 연결 받침대에는 설치홀이 설정되고; 리지분쇄 장치는 설치홀을 통과한 볼트를 통해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6. 스윙 암, 지지 암, 전복형 오일 실린더, 조절 받침대, 골파기 암 및 골파기 쟁기를 포함하며;
    스윙 암의 일단은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스윙 암의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스윙 암 사이에는 상기 지지 암이 용접되고; 지지 암의 횡단면은 정 다변형이고;
    상기 조절 받침대는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는 지지 암에 홀딩 되어, 볼트를 통해 하 홀더 받침대와 상 홀더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골파기 암의 일단은 조절 받침대에 설정되고; 상기 골파기 쟁기는 골파기 암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파기장치.
  127. 청구항 126항에 있어서,
    각 조절 받침대는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및 2개의 항 홀더 받침대를 포함하고, 각 하 홀더 받침대 및 상 홀더 받침대에는 각각 위치고정 홀이 설정되고, 위치고정 홀에는 조절 로드가 통과하고; 골파기 암은 2개의 상 홀딩 받침대 사이의 홀딩 되고, 동시에 2개의 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홀딩 되며, 골파기 암에는 복수의 조절홀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 로드는 그 중의 조절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파기장치.
  128. 청구항 126항에 있어서,
    상기 골파기 쟁기는 제1 골파기 쟁기판을 포함하고, 제1 골파기 쟁기판의 양측에는 제2 골파기 쟁기판과 제3 골파기 쟁기판이 설정되고, 제1 골파기 쟁기판, 제2골파기 쟁기판 및 제3 골파기 쟁기판 사이에는 "U"형 홈이 설정되고, "U"형 홈 내에는 휭방향 보강 리브와 종 방향 보강 리브가 설정되고, 휭방향 보강 리브와 종 방향 보강 리브는 서로 크로스 되고, 제1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과 제2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 제3 골파기 쟁기판의 하단은 서로 크로스 되어 쟁기 끝날부를 형성하고, 쟁기 끝날부의 횡단면은 삼각형이고, 쟁기 끝날부의 두께는 제2 골파기 쟁기판과 제3 골파기 쟁기판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파기장치.
  129. 레이크 판, 레이크 판에 연결한 연결 암 및 상기 레이크 판의 반전각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판은 2개 이상의 평판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판 유닛은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설정된 이빨형 파트를 포함하며, 이웃 된 평판 유닛 사이에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이웃 된 평판 유닛의 연결부 사이에는 평판 유닛의 반전을 제한하는 인터로킹 장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0. 청구항 12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로킹장치는 평판 유닛 일 측에 설정된 제1 링, 이웃 된 평판 유닛 측에 설정된 제2링과 제1링과 제2링을 관통할 수 있는 플러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1. 청구항 12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판은 3 개의 평판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2. 청구항 12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판은 스트립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3. 청구항 1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은 레이크 판의 양단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4. 청구항 1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힌지 받침대, 스크류 로드,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의 하단은 레이크 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힌지 받침대를 통과 후 너트와 연결되고, 제1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레이크 판과 힌지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스프링은 스크류 로드에 씌우게 되고 또한 힌지 받침대와 너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흙 고름장치.
  135.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 볏짚반환 연결로드기구, 볏짚반환 커버, 제초칼,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 및 볏짚반환 구동 기구를 포함하며;
    볏짚반환 연결기구는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와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타단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일단은 제1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중간 부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 볏짚반환 연결로드의 타단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초칼은 볏짚반환 커버 내에 설정되고; 볏짚반환 오일 실린더의 일단은 볏짚반환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다은 볏짚반환 커버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반환장치.
  136. 청구항 135항에 있어서,
    볏짚반환 구동 기구는 모터, 구동기어,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모터는 볏짚반환 커버에 고정되고, 구동기어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는 제초칼의 축에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반환장치.
  137. 청구항 135항에 있어서,
    볏짚반환 커버의 하단 전방에는 위치한정 룰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반환장치.
  138.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기체의 조립방법, 연결장치의 조립방법, 연결장치를 기체에 설치하는 조립방법,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 리지분쇄 장치를 연결장치에 설치하는 조립방법을 포함하며;
    기체의 조립방법은 보행 기구의 조립방법, 기계 프레임의 조립방법 및 기계 프레임을 보행 기구에 설치하는 조립방법을 포함하며;
    연결장치의 조립방법은,
    (1d)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을 같이 용접 시켜 연결프레임을 형성한다;
    (2d) 하 종 방향 빔과 상 종 방향 빔에 연결지지판을 각각 용접한다;
    (3d)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일단을 위쪽 연결지지판을 통해 아래로 통과하고, 그 다음, 슬라이딩 슬리브 프레임의 슬라이딩 슬리브를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에 씌우고, 그 다음, 계속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를 하향으로 이동하여 하단의 연결지지판을 통과하고, 그 다음,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를 고정시키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로드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 너트로 잠근다;
    (4d) 하단의 연결지지판에 힌지 받침대를 고정시키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몸체를 오일 실린더 승강 받침대에 고정시키고, 승강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연결장치를 기체에 설치하는 조립방법은 연결프레임을 기계프레임에 용접하는 것이다;
    리지분쇄 장치의 조립방법은,
    (1e)하향 베어링 받침대를 밑판에 용접 시키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를 위판에 용접 시킨다;
    (2e)밑판, 측 판 및 위판을 같이 용접하여 리지분쇄함을 형성한다;
    (3e)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은 모두 원추형 베어링이고,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원추형 베어링은 정방향으로 설치하고,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원추형 베어링은 반행으로 설정한다;
    (4e)동력전달축을 리지분쇄함의 하단에서 하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을 통해 리지분쇄함 내부에 진입 되고, 동력전달축의 상단이 리지분쇄함의 중간 부의에 진입 된 경우, 동력출력부품은 동력전달축에 설치되고, 그 다음, 동력전달축에 샤프트 슬리브를 씌우고, 그 다음 계속하여, 동력전달축을 위쪽으로 밀어, 동력전달축의 상단을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5e)하 베어링 엔드 커버와 상 베어링 엔드 커버를 설치한다;
    (6e)구동 기구를 설치한다;
    (7e)플랜지를 설치한다;
    (9e)플랜지에 나선형 드릴 로드를 설치한다;
    리지분쇄 장치를 연결장치에 설치하는 조립방법은 상기 조립된 리지분쇄 장치를 볼트를 통해 슬라이드 프레임의 리지분쇄 장치 연결 받침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39.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보행 기구의 조립방법은,
    (1a)베어링을 통해 구동륜을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 연결하고, 보행구동 장치를 휄프레임 연결 러그에 고정시켜, 보행구동 장치의 출력축을 구동륜과 연결시킨다;
    (2a) 설치축을 통해 종동륜을 휄프레임 본체에 설치한다;
    (3a)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하향 안내륜을 휄프레임 본체에 설치하고, 제2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2너트로 잠그며, 제2너트을 제2돌기와 접촉시키며;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을 통해 상향 안내륜을 휄프레임 본체에 설치하고, 제3 설치홀을 통과하는 설치축의 양단에 제3너트로 잠그며, 제3너트을 제3돌기와 접촉시킨다;
    (4a)클롤러 슬리브을 구동륜, 종동륜, 하향 안내륜 및 상향 안내륜에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0. 청구항 139항에 있어서,
    기계프레임의 조립방법은,
    (1b)지지리브를 지지대의 밑면에 용접한다;
    (2b)경사 버팀대를 지지리브에 용접하고, 지지리브 양단의 모양을 이용하여 경사 버팀대에 대하여 위치고정을 한다;
    (3b)리브플레이트를 경사 버팀대에 용접한다;
    기계프레임을 보행 기구에 설치하는 조립방법은 지지대와 경사 버팀대를 휄프레임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1.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기체의 조립방법은 디젤엔진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더 포함하며, 구체적인 단계는,
    (1c)디젤엔진을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에 고정한다;
    (2c)풍동함을 디젤엔진 기계프레임에 설치한다;
    (3c)유압펌프를 디젤엔진의 출력축에 연결한다;
    (4c)기계프레임에 진동 흡수기를 설정하고, 진동 흡수기에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조립된 어셈블리를 일체로 디젤엔진 고정 받침대에 고정하여, 평행조절을 진행한다;
    (5c)디젤엔진 커버를 디젤엔진과 풍동함 위에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2.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d)를 진행 시, 크로스 빔, 종 방향 빔, 수직 빔, 제1 경사선반 및 제2 경사선반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오일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3.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e)를 실행한 후, 제1연결 러그, 고름장치연결 러그, 제2연결 러그, 제3연결 러그 및 힌지 받침대를 리지분쇄함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4.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e)를 실행한 후, 동력전달축의 상단에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잠그고, 정 방향 잠금 너트를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의 내환과 접촉시켜, 상향 베어링 받침대 내의 베어링 내환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촉진시켜,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여, 원추형 베어링의 틈새가 조절되면, 역 방향 잠금 너트를 역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5. 청구항 138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설치과정은, 원추홀, 관통홀 및 카운터 보어가 스크류 로드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원추 축과 원추홀이 배합되어, 스크류 로드의 하단에 잠금 너트를 잠근 다음, 카운터 보어 내로 글랜드 압입하여, 돌기와 잠금 너트의 단면이 접촉시킨 다음, 록킹 스규류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146. 청구항 143항에 있어서,
    골파기장치의 조립방법을 더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1f)지지 암을 두 스윙 암 사이에 용접한 다음,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일단을 제3연결 러그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 다음, 스윙 암의 일단은 힌지 받침대에 힌지를 통해 연결하며, 스윙 암의 타단은 전복형 오일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힌지를 통해 연결한다;
    (2f)조절 받침대를 지지 암에 설치한다, 그 과정은, 2개의 하 홀더 받침대와 2개의 상 홀더 받침대를 지지 암에 홀딩 시킨 다음,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시키고,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잠금 볼트를 연결하며, 이때, 잠금 볼트는 상하 홀더 받침대를 완전히 잠근지 않았으며, 수용에 따라, 지지 암 상의 조절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조절 받침대가 지지 암을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잠금 볼트를 완전히 잠근다;
    (3f)골파기 쟁기를 골파기 암에 용접하고, 골파기 암의 상단을 조절 받침대의 좌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와 우측의 상하 홀더 받침대 사이에 설치하고, 수용에 의해, 골파기 암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조절 로드를 이용하여 위치고정 홀 및 대응된 조절홀을 통과하여 골파기 암에 대항하여 위치 확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 리지분쇄기의 조립방법.
KR1020177025246A 2015-02-09 2015-12-22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KR102064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64658.3 2015-02-09
CN201510064514.8 2015-02-09
CN201510064658.3A CN104584716B (zh) 2015-02-09 2015-02-09 一种便于入土的深松耕种机的螺旋钻头
CN201510064514.8A CN104620699A (zh) 2015-02-09 2015-02-09 一种避免堆土的深松耕种机的螺旋钻头
CN201520131221.2 2015-03-06
CN201520131221.2U CN204578996U (zh) 2015-03-06 2015-03-06 一种采用反装圆锥轴承的耕种设备传动装置
CN201520354129.2 2015-05-28
CN201520354129.2U CN204681779U (zh) 2015-05-28 2015-05-28 一种螺旋式深耕深松机
CN201520360316.1U CN204692360U (zh) 2015-05-29 2015-05-29 一种通过压盖实现轴端与连接件连接的固定结构
CN201520360316.1 2015-05-29
CN201520360835.8 2015-05-30
CN201520360835.8U CN204681804U (zh) 2015-05-30 2015-05-30 一种折叠式泥土刮平装置
CN201520361278.1U CN204810832U (zh) 2015-05-31 2015-05-31 一种粉垄箱
CN201520361278.1 2015-05-31
CN201520361279.6U CN204681798U (zh) 2015-05-31 2015-05-31 一种加强型粉垄箱
CN201520361283.2 2015-05-31
CN201520361285.1U CN204681766U (zh) 2015-05-31 2015-05-31 一种带人孔盖的粉垄箱
CN201520361279.6 2015-05-31
CN201520361285.1 2015-05-31
CN201520361283.2U CN204681788U (zh) 2015-05-31 2015-05-31 一种带连接板的粉垄箱
CN201510328511.0 2015-06-15
CN201510328511.0A CN104904335B (zh) 2015-06-15 2015-06-15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
CN201510328328.0A CN104904348B (zh) 2015-06-15 2015-06-15 一种松耕粉垄机粉垄装置
CN201510328335.0A CN104996014A (zh) 2015-06-15 2015-06-15 一种松耕粉垄机
CN201510328335.0 2015-06-15
CN201510328510.6A CN105014339B (zh) 2015-06-15 2015-06-15 一种松耕粉垄机的组装方法
CN201510328499.3 2015-06-15
CN201510328499.3A CN104904340B (zh) 2015-06-15 2015-06-15 一种松耕粉垄机机体
CN201510328328.0 2015-06-15
CN201510328510.6 2015-06-15
CN201520786933 2015-10-13
CN201520786933.8 2015-10-13
CN201510655869.4 2015-10-13
CN201510655869 2015-10-13
CN201520853053.8 2015-10-30
CN201520853053 2015-10-30
CN201520852842 2015-10-30
CN201520852842.X 2015-10-30
PCT/CN2015/098217 WO2016127705A1 (zh) 2015-02-09 2015-12-22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和松耕粉垄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05A true KR20170115605A (ko) 2017-10-17
KR102064046B1 KR102064046B1 (ko) 2020-01-08

Family

ID=5661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46A KR102064046B1 (ko) 2015-02-09 2015-12-22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6) US20180027722A1 (ko)
EP (1) EP3286996A4 (ko)
JP (1) JP6596515B2 (ko)
KR (1) KR102064046B1 (ko)
AU (1) AU2015382628B2 (ko)
BR (1) BR112017017023A2 (ko)
CA (1) CA2976137A1 (ko)
EA (1) EA201791672A1 (ko)
NZ (1) NZ735292A (ko)
UA (1) UA121128C2 (ko)
WO (1) WO2016127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8476B (zh) * 2016-06-29 2018-07-20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在线检测跳动装置
CN108770495A (zh) * 2018-05-24 2018-11-09 黑龙江省农业机械运用研究所 一种自走式气力输送秸秆深埋机
CN109362266A (zh) * 2018-08-25 2019-02-22 贵州大学 履带式螺旋深耕方法及装置
CN109121493A (zh) * 2018-10-24 2019-01-04 湖南农业大学 一种犁旋组合式开沟起垄机
CN109328504A (zh) * 2018-11-29 2019-02-15 肖桂增 灭茬深松起垄机
CN110832980B (zh) * 2019-11-25 2021-10-19 徐州蔬客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甘薯环形收获犁配重机构
CN110754147B (zh) * 2019-12-07 2024-04-05 天津市农业科学院 一种秸秆捡拾开沟还田机
CN111247893B (zh) * 2019-12-17 2022-12-23 皖西学院 一种农药污染土壤的有害物降解装置
WO2021255653A1 (en) * 2020-06-17 2021-12-23 Jayakumar Karuppusamy A multipurpose farming and gardening machine
CN111729934A (zh) * 2020-06-28 2020-10-02 江苏凯进生态环境有限公司 重金属土壤治理预处理装置
CN111719619A (zh) * 2020-06-30 2020-09-29 朱继飞 一种免整形挖沟机
CN112056038A (zh) * 2020-09-15 2020-12-11 吉林省农业科学院 一种玉米秸秆部分还田的保护性耕作方法
CN112154744A (zh) * 2020-10-16 2021-01-01 湖州海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圆盘式开沟机
CN112922063B (zh) * 2021-02-19 2022-12-30 湖南湘水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地质勘探时的营地排水沟挖设装置
CN114710983B (zh) * 2021-04-26 2023-06-30 通海宏兴工贸有限公司 一种起垄打塘一体化装置
CN113508692A (zh) * 2021-07-12 2021-10-19 李晶 小麦收割和秸秆深埋还田一体机
CN113548122B (zh) * 2021-07-29 2023-07-21 襄阳金美科林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果园内沟渠斜面用遥控行走机器人
RU207956U1 (ru) * 2021-08-24 2021-11-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А. Столыпина"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CN113973515B (zh) * 2021-10-21 2023-04-14 广东皓耘科技有限公司 联合整地机及其中心架
CN114026985B (zh) * 2021-11-20 2023-06-23 华北水利水电大学 可调式秸秆土壤复合管材入沟覆土装置
CN114411851B (zh) * 2021-12-02 2023-01-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一种电动变电站二次屏柜基础的施工辅助装置
CN114175874A (zh) * 2021-12-08 2022-03-15 中国水利水电第九工程局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的土地平整装置
CN114731786B (zh) * 2022-05-11 2023-09-12 东北农业大学 共立轴正反转根茬破碎装置
CN114922240B (zh) * 2022-05-30 2023-12-26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脐橙种植的水利灌溉用沟渠开渠装置
CN114982439B (zh) * 2022-06-06 2023-05-23 王建军 一种林业用多功能施肥装置
CN115136770A (zh) * 2022-06-17 2022-10-04 重庆驰马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农业开沟装置
CN114946283A (zh) * 2022-06-30 2022-08-30 江苏方洋集团有限公司 一种盐碱地土块快速破碎装置
CN115380640A (zh) * 2022-08-30 2022-11-25 北京绿京华生态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树穴松耕器
CN115486217B (zh) * 2022-08-31 2023-08-25 厦门海城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农田综合整治的修复方法及设备
CN115349311B (zh) * 2022-09-23 2024-02-20 河北省农业机械化研究所有限公司 一种秸秆粉碎横向错行分层掩埋机
CN116274327A (zh) * 2023-02-21 2023-06-23 东北大学 新型原位浅层土壤破碎修复装置
CN116326264A (zh) * 2023-02-23 2023-06-27 吉林农业大学 一种多功能开沟筑埂机
CN116210382B (zh) * 2023-05-09 2023-07-11 吉林省农业科学院 用于大豆秸秆灭茬输送的复合传动结构
CN117178673B (zh) * 2023-07-21 2024-04-09 安徽舒州生态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田筑埂机
CN117063638B (zh) * 2023-10-07 2024-01-19 徐州蚂蚁智慧农业装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农业生产的激光平地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1307A1 (en) * 2001-08-01 2003-02-05 George Moate Agricultural implement
JP4041870B2 (ja) * 2002-12-17 2008-02-06 来田農産株式会社 農作業機
KR101391402B1 (ko) * 2012-06-29 2014-05-14 주식회사 그린맥스 킹 로터리 경운장치
CN204119758U (zh) * 2014-09-24 2015-01-28 李深文 一种螺旋式深松耕种机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779A (en) * 1933-02-03 1936-03-24 Storey Norman Choate Tilling machinery of the rotary type
US2034780A (en) * 1933-02-08 1936-03-24 Storey Norman Choate Rotary tilling machinery
US2031188A (en) * 1933-03-30 1936-02-18 Storey Norman Choate Rotary tilling machine
US2050120A (en) * 1935-01-07 1936-08-04 Pizarro Jose Polanco Automatic plow
US3295232A (en) * 1963-11-14 1967-01-03 Wythe County Motors Inc Spiral earth removing blades and rotary cutters therefor
US3598068A (en) * 1969-05-19 1971-08-10 Clyde J Smart Soil treating apparatus
JPS5044994Y2 (ko) * 1971-10-29 1975-12-20
US4359103A (en) * 1978-05-30 1982-11-16 Heitman Leroy M Ground-working implement
DE3582720D1 (de) * 1984-11-26 1991-06-06 Lely Nv C Van Der Bodenbearbeitungsgeraet.
US4842440A (en) * 1988-01-07 1989-06-27 Frink America, Inc. Road grader and scarifier
JPH0468606U (ko) * 1990-10-23 1992-06-17
US5454433A (en) * 1992-07-31 1995-10-03 Turfco Manufacturing, Incorporated High frequency, low amplitude, sod harvesting apparatus
JPH0799801A (ja) * 1993-10-01 1995-04-18 Bizen Hatsujo Kk スクリュー耕耘装置
JPH07213106A (ja) * 1994-01-31 1995-08-15 Serahanzu:Kk 芝生穿孔機用土壌改良材充填装置および芝生穿孔機
US6299381B1 (en) * 2000-02-11 2001-10-09 Sylvester J. Liebrecht, Jr. Trencher plow for laying pipe
JP2002307962A (ja) * 2001-04-09 2002-10-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クローラトラクタ
JP3522718B2 (ja) * 2001-08-28 2004-04-26 株式会社共栄社 芝面穿孔用タインの取付構造
US6854528B2 (en) * 2003-02-27 2005-02-15 Brad Dowdy Livestock bedding conditioning apparatus
JP2004305135A (ja) * 2003-04-09 2004-11-04 Kyoeisha Co Ltd 芝生管理作業方法、及び芝生管理作業機
CN2914612Y (zh) * 2006-03-17 2007-06-27 王本平 种植山药用松土机
US8944176B2 (en) * 2006-06-01 2015-02-03 Absolute Innovations, Inc. Impl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dirt arena footing
US20080000653A1 (en) * 2006-06-07 2008-01-03 Schwartz Scot M Landscaping attachment
JP3137779U (ja) * 2007-09-27 2007-12-06 株式会社サカモト精機 エアレーション機械のタイン装置
JP2009291173A (ja) * 2008-06-09 2009-12-17 Shoryokuka Giken:Kk 庭園穿孔用装置
CN202043417U (zh) * 2011-04-19 2011-11-23 王庄 一种深松机
CN202232040U (zh) * 2011-06-24 2012-05-30 王立成 立式旋耕刀具
US10046214B2 (en) * 2013-03-14 2018-08-14 The Toro Company Powered vehicle and rakes mountable thereon for grooming granular ground surfaces
CN104255090B (zh) * 2014-08-28 2019-01-11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深旋耕粉垄机
CN204119753U (zh) * 2014-09-24 2015-01-28 王江 一种翻转式深松耕种机一体式旋耕施肥装置
CN204119759U (zh) * 2014-09-24 2015-01-28 李深文 一种翻转式深松耕种机
CN104604371B (zh) * 2015-02-02 2017-08-15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系统
CN104904348B (zh) * 2015-06-15 2017-09-01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松耕粉垄机粉垄装置
CN104904340B (zh) * 2015-06-15 2018-02-16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松耕粉垄机机体
CN204810832U (zh) * 2015-05-31 2015-12-02 李深文 一种粉垄箱
CN104996014A (zh) * 2015-06-15 2015-10-28 李深文 一种松耕粉垄机
CN105014339B (zh) * 2015-06-15 2017-08-04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松耕粉垄机的组装方法
CN204681766U (zh) * 2015-05-31 2015-10-07 李深文 一种带人孔盖的粉垄箱
CN204681798U (zh) * 2015-05-31 2015-10-07 李深文 一种加强型粉垄箱
CN204681779U (zh) * 2015-05-28 2015-10-07 李深文 一种螺旋式深耕深松机
CN104584716B (zh) * 2015-02-09 2017-01-04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入土的深松耕种机的螺旋钻头
CN204578996U (zh) * 2015-03-06 2015-08-26 李阳铭 一种采用反装圆锥轴承的耕种设备传动装置
CN104620699A (zh) * 2015-02-09 2015-05-20 李阳铭 一种避免堆土的深松耕种机的螺旋钻头
CN104904335B (zh) * 2015-06-15 2017-10-31 广西五丰机械有限公司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
CN204692360U (zh) * 2015-05-29 2015-10-07 李深文 一种通过压盖实现轴端与连接件连接的固定结构
CN204681804U (zh) * 2015-05-30 2015-10-07 李深文 一种折叠式泥土刮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1307A1 (en) * 2001-08-01 2003-02-05 George Moate Agricultural implement
JP4041870B2 (ja) * 2002-12-17 2008-02-06 来田農産株式会社 農作業機
KR101391402B1 (ko) * 2012-06-29 2014-05-14 주식회사 그린맥스 킹 로터리 경운장치
CN204119758U (zh) * 2014-09-24 2015-01-28 李深文 一种螺旋式深松耕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6996A1 (en) 2018-02-28
US20180206381A1 (en) 2018-07-26
JP6596515B2 (ja) 2019-10-23
CA2976137A1 (en) 2016-08-18
WO2016127705A1 (zh) 2016-08-18
US20180206383A1 (en) 2018-07-26
US20180206384A1 (en) 2018-07-26
US20180206382A1 (en) 2018-07-26
EP3286996A4 (en) 2019-04-17
BR112017017023A2 (pt) 2018-10-23
US20180027722A1 (en) 2018-02-01
US20180160612A1 (en) 2018-06-14
AU2015382628B2 (en) 2019-11-07
EA201791672A1 (ru) 2018-01-31
UA121128C2 (uk) 2020-04-10
AU2015382628A1 (en) 2017-09-28
JP2018514223A (ja) 2018-06-07
NZ735292A (en) 2019-03-29
KR102064046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5605A (ko) 확장형 경운 리지분쇄기 및 경운 리지분쇄기
WO2016202255A1 (zh)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和松耕粉垄机
US20210345552A1 (en) Land preparation tool
CN205510699U (zh) 一种土壤深松旋耕复合机
CN1849428A (zh) 齿系统
US6263930B1 (en) Stump grinder
CN213426814U (zh) 一种大蒜播种机的平地绞龙起垄机构
US6786287B2 (en) Tool for soil cultivating machine, and machine using such tools
CA1210931A (en) Mobile rotary crusher for land reclamation, open mining, rock spoils and similars
CN105014339B (zh) 一种松耕粉垄机的组装方法
US201903356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nd clearing and preparation
CN205320472U (zh) 一种具有倾斜松耕刀具的松耕装置
CN211184843U (zh) 一种多螺旋钻头
CN217546649U (zh) 一种耐磨型两刀式粉垄刀及粉垄机
KR200298924Y1 (ko) 구근식물줄기분쇄장치
KR20160097962A (ko) 이랑쟁기용 보습
US20220279713A1 (en) Apparatus for land clearing and preparation having chamber inserts
JP7011298B2 (ja) 農作業機及びチゼル
JP2023003242A (ja) 代掻き作業機
CN201163866Y (zh) 玉米铲茬机
KR20120090546A (ko) 농기계용 로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