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62A - 이랑쟁기용 보습 - Google Patents

이랑쟁기용 보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62A
KR20160097962A KR1020150020501A KR20150020501A KR20160097962A KR 20160097962 A KR20160097962 A KR 20160097962A KR 1020150020501 A KR1020150020501 A KR 1020150020501A KR 20150020501 A KR20150020501 A KR 20150020501A KR 20160097962 A KR20160097962 A KR 2016009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connecting rod
excavating
bead portio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철
Original Assignee
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철 filed Critical 유종철
Priority to KR102015002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962A/ko
Publication of KR2016009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관리기 등의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견인에 의해 논과 같은 경작지의 흙을 갈아 엎는 이랑 쟁기의 보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습이 형성된 굴삭부의 굴삭날에 내마모성 특수강을 용접하여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습의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높여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랑쟁기용 보습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연결대와 링크연결대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링크연결대는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를 형성하고,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의 중간에는 힌지를 형성하여 링크연결대를 연결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링크연결대에는 농기계의 힌지부에 연결고정하고, 상부링크연결대에는 신축이음부재의 일단과 농기계의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며, 신축이음부재의 타단은 연결대의 중앙부에 고정하고, 연결대의 하측으로는 보습대를 장착하며 보습대의 하단에는 볏과 보습을 고정체결하여 구성된 이랑쟁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은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볏과 고정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굴삭날을 구비하는 굴삭부 및 굴삭부의 굴삭날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비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비드부는 내마모성 특수강 중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굴삭날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굴삭부 전후면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랑쟁기용 보습{The plow for furrow ride plow}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관리기 등의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견인에 의해 논과 같은 경작지의 흙을 갈아 엎는 이랑 쟁기의 보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습이 형성된 굴삭부의 굴삭날에 내마모성 특수강을 용접하여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습의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높여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랑쟁기용 보습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경작지의 토양을 갈고 뒤엎고 작물 잔해를 파묻는 등의 농업용 기구로서, 이러한 쟁기 중 농기계에 의해 견인되는 이랑쟁기는 땅을 갈거나 이랑을 형성하는 보습이 고정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랑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대(2)와 링크연결대(6)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링크연결대(6)는 하부링크연결대(7)와 상부링크연결대(8)를 형성하고, 하부링크연결대(7)와 상부링크연결대(8)의 중간에는 힌지(9)를 형성하여 링크연결대(6)를 연결대(2)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링크연결대(7)에는 농기계의 힌지부에 연결고정하고, 상부링크연결대(8)에는 신축이음부재(10)의 일단과 농기계의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며, 신축이음부재(10)의 타단은 연결대(2)의 중앙부에 고정하고, 연결대(2)의 하측으로는 보습대(5)를 장착하며 보습대(5)의 하단에는 볏(4)과 보습(3)을 고정체결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랑쟁기는 농기계의 조작에 의해 농기계에 장착된 실린더가 작동하면 로드가 전진하여 하부링크연결대(7)를 회전축으로 하여 이랑쟁기를 지면으로 하강시키고, 농기계가 전진함에 따라 보습(3)은 땅속으로 파고들게 되어 흙을 파헤치게되며 파헤쳐진 흙은 볏(4)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배출되어 이랑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이랑쟁기에 고정체결된 보습은 볏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연장형성된 굴삭부로 구성되고, 종래의 보습은 사용되어지는 용도에 따라 굴삭부에 굴삭날이 형성되거나, 결합부의 일측과 굴삭부의 일측에 굴삭날이 형성되어있고, 굴삭날이 형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보습 중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 보습은 땅을 파고들기 어려워 이랑쟁기에 전달되는 압력이 커져 이랑쟁기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굴삭날이 형성된 보습은 보습의 두께에 비해 날의 두께가 얇아 쉽게 닳기 때문에 교체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두께가 동일하면서 굴삭날의 끝단에 약간의 경사를 지도록 형성되어 사용기간을 증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굴삭날의 끝단에 약간의 경사를 지도록 형성된 보습은 제작비용을 고려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면적의 농작지를 경작하게 되면 교체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동일하게 발생되었고, 굴삭날이 닳아 날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땅을 파고들기 어려워 이랑쟁기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농가의 실정상 더욱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보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30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119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41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보습에 비해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종래 보습의 굴삭날에 내마모성 특수강을 용접하여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높여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랑쟁기용 보습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수개의 연결대와 링크연결대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링크연결대는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를 형성하고,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의 중간에는 힌지를 형성하여 링크연결대를 연결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링크연결대에는 농기계의 힌지부에 연결고정하고, 상부링크연결대에는 신축이음부재의 일단과 농기계의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며, 신축이음부재의 타단은 연결대의 중앙부에 고정하고, 연결대의 하측으로는 보습대를 장착하며 보습대의 하단에는 볏과 보습을 고정체결하여 구성된 이랑쟁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은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볏과 고정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굴삭날을 구비하는 굴삭부 및 굴삭부의 굴삭날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비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비드부는 내마모성 특수강 중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굴삭날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굴삭부 전후면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드부는 1~2mm의 두께로 굴삭날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1차 비드부를 형성하고, 1차 비드부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1~2cm의 두께로 굴삭부 전후면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2차 비드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랑쟁기용 보습은 땅을 파헤치는 굴삭부에 마모에 강한 특수강을 용접하여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써, 특수강으로 제작된 별도의 굴삭부를 부착하거나, 전체가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굴삭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종래의 보습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경작할 수 있는 효과와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 및 보습의 교체에 의한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작업의 효율의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랑쟁기에 보습이 장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비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보습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관리기 등의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견인에 의해 논과 같은 경작지의 흙을 갈아 엎거나, 이랑을 만드는 이랑쟁기의 보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랑쟁기에 고정체결된 보습의 땅을 파헤치는 굴삭부(14)에 마모에 강한 특수강을 용접하여 비드부(16)를 형성함으로써,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제작된 별도의 굴삭부를 장착하거나, 전체가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굴삭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종래의 보습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경작할 수 있고, 제작이 쉬우며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한편, 보습의 교체에 의한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작업의 효율이 증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로터리에 장착되어 논과 같은 경작지의 흙을 갈아 엎거나, 흙덩어리를 분쇄하기 위한 칼날의 칼날부에도 마모에 강한 특수강을 용접하여 본 발명의 비드부(16)를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연결대와 링크연결대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링크연결대는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를 형성하고,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의 중간에는 힌지를 형성하여 링크연결대를 연결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링크연결대에는 농기계의 힌지부에 연결고정하고, 상부링크연결대에는 신축이음부재의 일단과 농기계의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며, 신축이음부재의 타단은 연결대의 중앙부에 고정하고, 연결대의 하측으로는 보습대를 장착하며 보습대의 하단에는 볏과 보습(10)을 고정체결하여 구성된 이랑쟁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10)은 복수 개의 결합홀(12a)이 형성되어 볏과 고정체결되는 결합부(12);와 결합부(1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굴삭날(13)을 구비하는 굴삭부(14); 및 굴삭부(14)의 굴삭날(13)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비드부(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 상기 비드부(16)는 내마모성 특수강 중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드부(16)는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드부(16)는 1~2mm의 두께로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1차 비드부(17)를 형성하고, 1차 비드부(17)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1~2cm의 두께로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2차 비드부(1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보습(10)의 결합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볏(4)에 볼트로 고정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결합홀(12a)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종래 보습의 어떠한 구조를 이용하여도 무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보습(10)의 굴삭부(14)는
결합부(1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굴삭날(13)을 말단에 구비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굴삭날이 형성된 보습을 이용하여도 무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부(14)의 일단과 측단에 굴삭날(13)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일단과 측단을 이용하여 땅을 파고 들어가는 형태로 이랑을 만들기 위한 구조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굴삭부(14)의 일단과 결합부(12)의 일단에 굴삭날(13)이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굴삭부(14)의 일단과 결합부(12)의 일단에 굴삭날(13)이 형성된 형태는 굴삭부(14)의 일단과 측단에 굴삭날(13)이 형성된 형태보다 더욱 큰 이랑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보습(10)의 비드부(16)는
굴삭부(14)의 굴삭날(13)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굴삭날(13)이 굴삭부(14)와 결합부(12)에 형성되면 굴삭날(1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마모성 특수강을 굴삭날(13)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이는 종래에 마모가 강한 특수강을 복수 개의 비드를 형성하여 강도를 높여왔으나, 날의 특성상 땅을 파고들어가기 위한 말단의 부분에는 비드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날 말단의 강도는 높아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본 발명은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비드부(16)를 형성함으로써, 굴삭날(13) 전체의 강도를 높여 보습(10)의 사용기간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발생되는 굴삭날(13)의 날카로움은 이후에 설명될 1,2차 비드부(17)(18)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땅을 파고들어가기 위한 굴삭날(13)의 날카로움 정도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아울러, 비드부(16)는 내마모성 특수강 중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은 순수한 마그네슘으로 사용하지 않고, 알루미늄, 아연, 망가니즈 등과 합금을 만들어 사용하고, 마그네슘 합금은 보통 Mg을 90% 이상 포함하는데, 밀도가 플라스틱의 밀도와 비슷한 1.76~1.87g/cm3로,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의 밀도 2.56~2.80g/cm3보다 월등히 낮으면서 강도는 비슷하다. 또 강철과 비슷한 강도를 가지면서 무게는 1/4에 불과하다.
즉, 마그네슘은 실용 금속 중에서 가장 가볍고 철이나 알루미늄보다 고강도인 재료로 에너지 절약 등의 관점으로부터 운송기기의 경량화 등에 기대되어 자동차 부재나 전자기기의 케이스 구조 재료 외에 폭넓은 분야의 재료로서 연구 개발되오 있고, 강도나 강성은 철이나 알루미늄과 비교하여도 우수하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으로 비드부(16)를 형성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비드부(16)는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굴삭부 전후면(14a)(14b) 까지 연장형성되어 보습(10)을 사용하고 난 후 보습(10)의 마모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비드부(16)는 도 3에 도시된 거리(d1)와 같이, 1~2mm의 두께로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1차 비드부(17)를 형성하고, 1차 비드부(17)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도3 에 도시된 거리(d2)와 같이, 1~2cm의 두께로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도 3에 도시된 거리(d3)와 같이,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2차 비드부(18)를 더 형성한다.
이는, 사용자가 보습(10)의 마모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작업을 시행하더라도, 2차적으로 1차 비드부(17)에 의해 굴삭날(13)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자는 작업 후 2차 비드부(18)의 마모정도가 크다고 판단될 경우 다시 용접을 통해 2차 비드부(18)를 형성함으로써, 보습(10)의 사용기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부(16)는 굴삭날(13) 전체만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형성되는 1차 비드부(17)를 형성한 후, 마모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2차 비드부(18)를 1차 비드부(18)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하며,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연장형성함으로써, 보습(10)의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1차 비드부(17)의 두께가 1mm 미만으로 형성되면 쟁기의 특성상 말단부분의 마모가 심하기 때문에 마모가 급격히 진행되어 굴삭날(13)을 보호하기 어렵고, 2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2차 비드부(18) 형성 시 굴삭날(13)의 날카로움의 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차 비드부(18)의 두께가 1cm 미만으로 형성되면 쉽게 1차 비드부(17) 및 굴삭날(13)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2c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굴삭날(13)의 날카로움의 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랑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1차 비드부(17)는 1~2mm, 2차 비드부(18)는 1~2cm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비드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날(13)의 형태를 따라 용접하여 굴삭날(13)의 날카로움 정도를 일부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드부(16) 즉, 2차 비드부(18)를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은 육안으로 비드부(16)의 마모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며, 1mm 미만으로 형성하면 그 수치가 미미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5mm를 초과하여 형성하면 굴삭날(13)로부터 멀어진 2차 비드부(18)의 마모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1~5mm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보습
12 : 결합부 12a : 결합홀
13 : 굴삭날 14 : 굴삭부
14a : 굴삭부 전면 14b : 굴삭부 후면
16 : 비드부 17 : 1차 비드부
18 : 2차 비드부

Claims (5)

  1. 다수개의 연결대와 링크연결대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링크연결대는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를 형성하고, 하부링크연결대와 상부링크연결대의 중간에는 힌지를 형성하여 링크연결대를 연결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링크연결대에는 농기계의 힌지부에 연결고정하고, 상부링크연결대에는 신축이음부재의 일단과 농기계의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며, 신축이음부재의 타단은 연결대의 중앙부에 고정하고, 연결대의 하측으로는 보습대를 장착하며 보습대의 하단에는 볏과 보습(10)을 고정체결하여 구성된 이랑쟁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10)은
    복수 개의 결합홀(12a)이 형성되어 볏과 고정체결되는 결합부(12);와
    결합부(1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굴삭날(13)을 구비하는 굴삭부(14); 및
    굴삭부(14)의 굴삭날(13)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마모성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비드부(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로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16)는
    내마모성 특수강 중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로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16)는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로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16)는
    1~2mm의 두께로 굴삭날(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1차 비드부(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로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16)는
    1차 비드부(17)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1~2cm의 두께로 굴삭부 전후면(14a)(14b)에 1~5mm 연장되어 형성되는 2차 비드부(18)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로터리.
KR1020150020501A 2015-02-10 2015-02-10 이랑쟁기용 보습 KR2016009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01A KR20160097962A (ko) 2015-02-10 2015-02-10 이랑쟁기용 보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01A KR20160097962A (ko) 2015-02-10 2015-02-10 이랑쟁기용 보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62A true KR20160097962A (ko) 2016-08-18

Family

ID=5687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501A KR20160097962A (ko) 2015-02-10 2015-02-10 이랑쟁기용 보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7374A (zh) * 2022-01-12 2022-05-13 安徽农业大学 一种可加热的低阻力铧式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179B1 (ko) 1997-03-28 2000-02-01 구자홍 광 픽업장치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179B1 (ko) 1997-03-28 2000-02-01 구자홍 광 픽업장치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7374A (zh) * 2022-01-12 2022-05-13 安徽农业大学 一种可加热的低阻力铧式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2255A1 (zh)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和松耕粉垄机
WO2016127705A1 (zh) 一种扩展型松耕粉垄机和松耕粉垄机
CN104584716B (zh) 一种便于入土的深松耕种机的螺旋钻头
CN205510699U (zh) 一种土壤深松旋耕复合机
JP2009100659A (ja)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CN201378918Y (zh) 一种起垄机具
CN206525114U (zh) 一种农用耕地设备
CN202889891U (zh) 深松整地机
KR20160097962A (ko) 이랑쟁기용 보습
CN105850237A (zh) 一种铧式犁结构总成
JP2010094038A (ja) 粗耕起作業機
CN103749008B (zh) 开沟专用立式旋转耕耘机
CN201045771Y (zh) 种肥分施开沟器
CN206865950U (zh) 新型液压翻转犁
CN109874426A (zh) 一种免耕防堵开沟器
CN109874425A (zh) 一种免耕防堵开沟器
WO2017031684A1 (zh) 一种旋耕机
RU89319U1 (ru) Корпус плуга
CN209339211U (zh) 一种附带沟型整理的农田开沟机
CN203040186U (zh) 马铃薯收获机切土机构
JP2002369602A (ja) 複合耕耘作業機
CN206100807U (zh) 一种松土用犁耙
CN205567021U (zh) 一种牵引阻力小的开沟机械
CN108791551A (zh) 一种农业工程机械用履带式犁田机
CN104541788B (zh) 一种中耕机小半径转向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