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06A -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06A
KR20170114606A KR1020160041838A KR20160041838A KR20170114606A KR 20170114606 A KR20170114606 A KR 20170114606A KR 1020160041838 A KR1020160041838 A KR 1020160041838A KR 20160041838 A KR20160041838 A KR 20160041838A KR 20170114606 A KR20170114606 A KR 201701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assembly
vehicle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현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주)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도 filed Critical (주)라도
Priority to KR102016004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606A/ko
Publication of KR201701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상하로 분할 가능하며, 제1조립홀부가 형성되는 유입덕트와, 제1조립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곡률덕트와, 곡률덕트와 조립가능하도록 제2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제2조립홀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여, 유입덕트의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을 통해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AIR DUCT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성을 반복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을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데에는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게 되며, 통상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외부로부터 차내로 흡입되어 엔진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차량에는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장치가 설치되는데, 통상의 흡기장치는 에어덕트, 에어클리너, 레조네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에어덕트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에어클리너는 에어덕트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엔진으로 공급한다. 또한, 레조네이터는 흡입 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흡기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 지게 된다.
한편, 흡기장치를 통해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외부 공기는 엔진의 흡기부압에 의해 흡입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유동하는 경우 공기 유동에 따른 흡기소음이 차 실내로 전달되어 안락한 운전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흡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에어 클리너와 연결설치된 에어 덕트 상에 레조네이터를 설치하여 에어 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소음을 감쇄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 덕트는 조립부위가 취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됨은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9441호(공개일:2015년06월23일)에는 "차량용 에어 덕트 및 그 제작방법"가 개시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743호(등록일:2005년08월17일)에는 "차량용 에어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상하로 분할 가능하며, 제1조립홀부가 형성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제1조립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곡률덕트와, 상기 곡률덕트와 조립가능하도록 상기 제2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제2조립홀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덕트는, 상기 제1조립홀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조립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덕트의 테두리부 하면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하부덕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하부커버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측면결합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전후방과 결합되는 보조걸림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결합부는, 상기 안착고정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훅와, 상기 걸림훅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유동방지리브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유입덕트의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을 통해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출부와 안착고정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덕트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덕트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출부와 안착고정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덕트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차량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차량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외기를 에어 클리너(10)로 유도한다.
이러한,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00)와, 유입덕트(100)에 연결되는 곡률덕트(200)와, 에어 클리너(10)에 연결되는 연결덕트(300)를 포함한다.
유입덕트(100)는 차량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110)가 볼트나 스크루를 통해 차량에 장착됨은 물론 곡률덕트(200)가 조립된다.
또한, 유입덕트(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가 결합돌출부(130) 및 안착고정부(140)를 통해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의 조립이 긴밀하게 이루어져 공기 흡입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케이스(11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타단부에 곡률덕트(200)의 조립을 위한 제1조립홀부(110a)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는 개방된 하면이 하부커버(120)의 결합을 통해 커버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하부커버(120)를 조립하기 위한 결합돌출부(130)가 구비된다.
하부커버(120)는 유입덕트(100)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결합돌출부(130) 및 안착고정부(140)를 통해 상부케이스(110)에 결합된다.
결합돌출부(130)는 상부케이스(110)의 하면 테두리부를 따라 구비되며, 안착고정부(140)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출부(130)는 안착고정부(140)에 결합되는 측면결합부(131)와, 하부커버(1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결합되는 보조걸림훅(133)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돌출부(130)는 보조걸림훅(133)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보조걸림훅(133)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착리브(13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안착리브(135)는 하부커버(1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측면결합부(131)는 안착고정부(140)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훅(131a)과, 걸림훅(131a)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안착고정부(140)에 삽입되는 유동방지리브(131b)와, 상부케이스(110)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131c)를 포함한다.
걸림훅(131a)은 안착고정부(140)를 관통하여 하부커버(120)에 걸림 고정되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걸림혹(131a)은 안착고정부(140)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를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하기 위함이다.
유동방지리브(131b)는 안착고정부(140)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하부커버(120)가 상부케이스(110)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유동방지리브(131b)는 그 두께가 안착고정부(140)의 안착슬롯(141) 넓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유동방지리브(131b)가 안착고정부(140)에 긴밀하게 삽입됨에 따라 측면결합부(131)와 안착고정부(14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하부커버(120)가 상부케이스(11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보조걸림훅(133)은 상부케이스(110)의 전방 및 후방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하부커버(120)의 접촉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안착리브(135)는 보조걸림훅(133)와 함께 하부커버(120)의 전방 및 후방을 더욱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안착고정부(140)는 결합돌출부(13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부커버(120)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고정부(140)는 안착슬롯(141)과, 훅걸림홀부(143)와, 훅지지리브(145)와, 보조걸림홀부(147)와, 보조안착홈부(149)를 포함한다.
안착슬롯(141)은 걸림훅(131a) 및 유동방지리브(131b)가 삽입되도록 하부커버(120)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안착슬롯(141)은 유동방지리브(131b)가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그 폭이 유동방지리브(131b)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훅걸림홀부(143)는 안착슬롯(141)으로 삽입되는 걸림훅(131a)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안착슬롯(141)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훅지지리브(145)는 걸림훅(131a)의 측면을 커버하여 걸림훅(131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훅지지리브(145)는 측면결합부(131)의 지지리브(131c) 사이로 삽입되어 걸림훅(131a)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안착고정부(14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보조걸림홀부(147)는 보조걸림훅(133)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부커버(120)의 전방 및 후방 바닥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보조걸림홀부(147)는 보조안착홈부(149)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보조안착홈부(149)는 안착리브(135)가 삽입되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부커버(120)의 전방 및 후방 바닥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 보조걸림홀부(147)가 형성된다. 또한, 보조안착홈부(149)는 그 넓이가 안착리브(135)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의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률덕트(200)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를 에어 클리너(10)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특정 곡률을 가지며, 제1조립홀부(110a)을 통해 유입덕트(100)에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곡률덕트(200)는 일단부가 유입덕트(100)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제1조립홀부(110a)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1결합돌부(210)가 외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결합돌부(210)는 유입덕트(100)에 진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곡률덕트(200)는 연결덕트(300)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타단부의 외면에 제2결합돌부(220)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덕트(300)는 곡률덕트(200)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제2조립홀부(310)가 형성되며, 제2조립홀부(310)에 곡률덕트(200)의 제2결합돌부(22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또한, 연결덕트(300)는 에어 클리너(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덕트(300)는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에어 클리너(10)에 긴밀하게 결합가능하도록 2중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연결덕트(300)는 외면에 보강케이스(320)가 결합되고, 보강케이스(320)가 에어 클리너(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강케이스(320)는 연결덕트(3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안착부(330)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밀폐링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케이스(320)는 내면에 결합돌기(321)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321)가 연결덕트(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고정홈(34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제1결합돌부(210) 및 제2결합돌부(220)를 제1조립홀부(110a) 및 제2조립홀부(310)에 각각 결합하여 유입덕트(100), 곡률덕트(200) 및 연결덕트(300)를 상호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는 내부의 이물질이 쌓여 내부를 청소할 때 유입덕트(100), 곡률덕트(200) 및 연결덕트(300)를 분리하지 않고, 유입덕트(100)의 하부커버(120)만을 분리하여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더하여, 유입덕트(100)는 측면결합부(131)의 걸림훅(131a)이 훅걸림홀부(143)에 결합되고, 유동방지리브(131b)가 안착슬롯(141)에 긴밀하게 삽입되고, 훅지지리브(145)에 의해 걸림훅(131a)의 측면이 커버되므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의 결합구조가 더욱 견고함은 물론 결합 후,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입덕트(100)는 걸림훅(131a)과 보조걸림훅(133)을 내측으로 압축하여 상부케이스(110)에서 하부커버(120)를 분리할 수 있음으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커버(12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입덕트(100)는 지지리브(131c)와 훅지지리브(145)를 통해 측면결합부(131)와 안착고정부(14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걸림훅(131a)이 형성되는 부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유입덕트 110 : 상부케이스
120 : 하부커버 130 : 결합돌출부
140 : 안착고정부 200 : 곡률덕트
300 : 연결덕트

Claims (3)

  1. 상하로 분할 가능하며, 제1조립홀부가 형성되는 유입덕트;
    상기 제1조립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곡률덕트; 및
    상기 곡률덕트와 조립가능하도록 상기 제2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제2조립홀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연결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덕트는,
    상기 제1조립홀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조립되는 하부커버;
    상기 상부덕트의 테두리부 하면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하부덕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하부커버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측면결합부; 및 상기 하부커버의 전후방과 결합되는 보조걸림훅;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결합부는, 상기 안착고정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훅;
    상기 걸림훅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유동방지리브;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KR1020160041838A 2016-04-05 2016-04-05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KR20170114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838A KR20170114606A (ko) 2016-04-05 2016-04-05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838A KR20170114606A (ko) 2016-04-05 2016-04-05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06A true KR20170114606A (ko) 2017-10-16

Family

ID=6029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838A KR20170114606A (ko) 2016-04-05 2016-04-05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9898A (ja) * 2018-11-15 2021-08-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フック係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パックケース
CN115163361A (zh) * 2022-08-09 2022-10-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进气管结构及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9898A (ja) * 2018-11-15 2021-08-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フック係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パックケース
CN115163361A (zh) * 2022-08-09 2022-10-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进气管结构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285B1 (ko) 에어 크리너
US10132276B2 (en) Drawer type air cleaner having increased maintenance convenience, and intake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20152216A1 (en) Two-stroke engine
US20100133033A1 (en) Air box for a motorcycle
US9440173B2 (en) Air cleaner
US7993424B2 (en) Air cleaner
JP2017057845A (ja) 車両用エアダクト
US6378504B1 (en) Reduced vibration fuel supply systems
KR20170114606A (ko)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JP5673209B2 (ja) エアクリーナの吸気ダクト接続構造
US11813559B2 (en) Interlocked stable filter assembly
JP2011021486A (ja) エンジンカバーの取付構造
JP4759552B2 (ja) 燃料噴射弁の取付構造
US6857859B2 (en) Gasket for jet pump assembly of a fuel supply unit
KR20170114605A (ko) 차량용 에어덕트
KR200471422Y1 (ko)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KR101655527B1 (ko) 차량의 흡기 덕트
KR20180128146A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JP2009079613A (ja) エンジンカバーの取付構造
KR20180102459A (ko) 차량용 흡기덕트
JPH11148432A (ja) 燃料供給装置
KR20090112211A (ko) 공명기 일체형 에어 클리너 장치
JP2003161217A (ja) 吸気装置
KR200472761Y1 (ko)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KR102059406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