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441A -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441A
KR20170113441A KR1020170041717A KR20170041717A KR20170113441A KR 20170113441 A KR20170113441 A KR 20170113441A KR 1020170041717 A KR1020170041717 A KR 1020170041717A KR 20170041717 A KR20170041717 A KR 20170041717A KR 20170113441 A KR20170113441 A KR 2017011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
weight
agent
acrylic thickener
mask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276B1 (ko
Inventor
이범주
정순규
김민태
박수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랜드
Publication of KR2017011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Description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cream modeling mask-pack with high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팩 화장료는 크게 사용 후에 씻어내는 워시오프(wash-off) 타입과 벗기는 필오프(peel-off)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워시오프 타입의 기제는 크림형으로 피부에 도포해 방치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는 것이다. 필오프 타입의 기제는 젤리상 또는 페이스트형으로서, 피부에 도포해 건조시켜 피막을 형성시킨 후, 손으로 벗기는 것이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7556호).
필오프 타입의 일 예로, 알길산염과 2가 이상의 금속염을 배합한 분말을 물과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 물의 낮은 점도로 인하여 분말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서로 뭉치거나 침전됨에 따라, 겔화가 고르게 일어나지 않거나, 응고 후 팩의 표면이 거칠어져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주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빠르게 혼합이 가능하며, 분말이 서로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며, 피부 도포 시 잘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매우 용이한 모델링 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7556호 (2012.11.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빠르게 혼합이 가능하며, 분말이 서로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며, 피부 도포 시 잘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형태인 1제와 파우더 형태인 2제로 각기 구성되어, 사용 시, 쉽고 빠르게 혼합하여 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1제가 크림상을 가짐에 따라 물만을 사용하는 기존 모델링 마스크팩에 비해 피부에 오랫동안 보습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조성 가짐으로써, 2제인 파우더가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액상인 1제와 고르게 잘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겔화 시 팩의 표면이 주름 없이 매끈하게 응고되어 피부의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사용 시, 각질제거가 용이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며, 팩 내 온도가 체온보다 낮아 피부를 진정 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를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점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델링 마스크팩은 알긴과 칼슘이온의 겔화 반응을 통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무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고체로 전환되어 피부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제조된 팩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무팩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델링 마스크팩은 알긴과 칼슘염을 포함하는 파우더를 물에 개어서 사용함으로 사용 시 물이 쉽게 증발되어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액제로 물 대신 다가 알코올류를 과량 함유하는 크림을 사용함으로써, 물만을 사용하는 모델링 마스크팩에 비해 피부에 오랫동안 보습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은 피부에 보습력을 포함하여 미백, 주름개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소비자의 서로 다른 기호를 충족하는 제품군들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모델링 마스크팩의 경우, 유통 중 파우더 자체의 안정도를 위해 카올린 내지 규조토 등의 무기분체를 부형제로 다량 사용해왔다. 그러나 본 제품은 무기분체의 함량을 줄이는 대신 -OH 작용기를 다량 갖고 있는 당류를 사용하여 기존 모델링 마스크에 비해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상인 1제와 파우더 형태인 2제로 각기 구성되어, 사용 시, 쉽고 빠르게 혼합하여 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1제가 크림상을 가짐에 따라 물만을 사용하는 기존 모델링 마스크팩에 비해 피부에 오랫동안 보습감을 줄 수 있다.
또한, 1제 및 2제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짐으로써, 2제인 파우더가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액상인 1제와 고르게 잘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겔화 시 팩의 표면이 주름 없이 매끈하게 응고되어 피부의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피부에 사용 시, 각질제거가 용이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며, 팩 내 온도가 체온보다 낮아 피부를 진정 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를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점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좋게,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1.5 ≤ WA/WB ≤ 6.0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1제가 우수한 점증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점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피부 도포 시 조성물이 흘러내림 및 뭉침 현상 없이 우수한 도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분체 분산성이 향상되어, 2제와의 혼합 시 10초 내에 2제가 균일하게 분산 혼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각 구성 물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1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제는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각 구성 물질의 함량은 목표하는 모델링 팩의 특성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제 총 중량 중, 알긴 0.1 내지 10 중량%, 아크릴계 점증제 0.05 내지 20 중량% 및 폴리올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재되지 않은 나머지 첨가 성분은 물일 수 있다. 보다 좋게는 알긴 0.5 내지 5 중량%, 아크릴계 점증제 0.1 내지 10 중량% 및 폴리올 2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알긴 1 내지 3 중량%, 아크릴계 점증제 0.5 내지 3 중량% 및 폴리올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증 효과가 우수하여,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해야함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1제는 10,000 내지 50,000 cps의 점도를 가진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5,000 내지 45,000 cps의 점도를 가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도 범위를 가짐으로써 언급한 바와 같이, 파우더 형태인 2제와 혼합 시, 2제가 침전되지 않고 고르게 잘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피부 도포 시 피부에 잘 밀착되어 팩에 의한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잘 흘러내리지 않음으로써 사용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반면, 1제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파우더의 침강이 빠르게 진행되어 분산 안정도가 확보되지 못하며, 피부 도포 시 흘러내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1제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2제인 파우더와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뭉침 현상이 심해 피부 도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크림상을 갖는 1제의 점도는 다양한 종류의 파우더를 분산하고 상안정도를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알긴은 2제와 혼합 시, 2제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에 의해 제공되는 2가 이상의 금속양이온과 반응하여 겔화되어 되는 것으로, 알긴을 사용함으로써 매끈한 혼합액을 수득할 수 있으며, 1제와 2제가 빠르게 혼합되면서도, 고르게 분산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알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2제와 혼합 시 혼합액의 표면이 거칠고 입자의 표면이 뭉글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좋지 않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알긴은 알긴산, 알긴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때 알긴산염은 알긴산나트륨(알긴), 알긴산칼륨, 알긴산암모늄 및 알긴산트리에탄올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물에 잘 용해되는 것으로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아크릴계 점증제는 점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하기 화학식 2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와 하기 화학식 2의 반복단위는 랜덤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화학식 1의 반복단위: 화학식 2의 반복단위의 몰비는 1:9 내지 9:1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M+는 수소이온 또는 알칼리금속이온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L은 직접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기이며, R3는 수소, 또는 SO3 +X-이고, 상기 X는 수소이온,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암모늄이온이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점증제를 알긴과 함께 사용할 경우, 1제가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어, 2제와의 혼합 시 2제가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알칼리금속이온은 Li+, Na+, K+, Rb+ 또는 Cs+ 등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2]
0.5 ≤ M[COO]/M[CONH] ≤ 25
(상기 관계식 2에서, M[COO]는 알긴의 -COO-기의 몰수이며, M[ CONH ]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CONH-기의 몰수이다.)
상기 관계식 2를 만족함으로써 1제가 보다 적절한 점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0.5 ≤ M[COO]/M[ CONH ] ≤ 5를 만족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M[COO]/M[CONH] ≤ 2를 만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1제와 2제가 균일하게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점도를 가져 흘러내림 및 뭉침 현상 없이 얼굴에 도포가 용이하고, 겔링 반응 후 주름 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폴리올은 보습 효과 및 방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올은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자이리톨, 말티톨 및 소르비톨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이때, 각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둘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습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방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혼합 비율은 하기 관계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
20 ≤ WHD/WEHG ≤ 50
(상기 관계식 3에서 WHD는 1,2-헥산디올의 중량%이며, WEHG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중량%이다. 이때, 각 화합물의 중량%는 1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관계식 3을 만족함으로써, 보습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방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30 ≤ WHD/WEHG ≤ 40을 만족하도록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첨가하는 것이 특히 좋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1제는 비이온성 지방족 계면활성제 및 분지형(branched) 지방족 탄화수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이온성 지방족 계면활성제 및 분지형(branched) 지방족 탄화수소가 용제의 역할을 하여 1제의 각 구성 성분이 잘 혼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후 2제와 혼합 시에도 1제와 2제가 더욱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지방족 계면활성제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비 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은 라우레스-7, 라우레스-9 및 라우레스-23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은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는 이소헥사데칸, 이소옥타데칸 등의 탄소수 14 내지 18의 이소알칸, 및 탄소수 13 내지 14의 이소파라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이온성 지방족 계면활성제 및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의 첨가량은 각각 1제 총 중량 중, 0.01 내지 10 중량%, 더욱 좋게는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목표하는 물성을 헤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1제는 기능성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파우더는 계획하는 목적에 따라 달리 선택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 펄제,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펄제 또는 안료는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펄제는 티타늄 코팅된 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코팅된 운모, 산화철 코팅된 티타늄 운모 및 산화크롬 코팅된 티타늄 운모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파우더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진 않으나, 침전이 잘 되지 않고 1제에 잘 분산이 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구체예로, 기능성 파우더의 평균 입경은 1 ㎚ 내지 1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 내지 500 ㎛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5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며, 1제에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기능성 파우더의 첨가량은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헤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첨가될 수 있으나, 좋게는 1제 총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5 내지 3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기능성 파우더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목적한 물성의 확보가 어려우며, 기능성 파우더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겔화 후 팩의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1제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헤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살균제 또는 향료 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2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제는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분체일 수 있다.
각 구성 물질의 함량은 목표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제 총 중량 중, 단당류 60 내지 95 중량%,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1 내지 25 중량%,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 및 겔화속도조절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좋게는 단당류 70 내지 90 중량%,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2 내지 20 중량%, 충전제 1 내지 10 중량% 및 겔화속도조절제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단당류 75 내지 85 중량%,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5 내지 15 중량%, 충전제 3 내지 8 중량% 및 겔화속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1제와 혼합 시, 균일하게 잘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며, 겔화 시 팩의 표면이 주름 없이 매끈하게 응고되어 피부의 주름을 방지하고, 팩 제거 시 깔끔하고 쉽게 팩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단당류는 보습 효과 및 피부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리보스, 자일로스 및 아라비노스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OH 작용기를 다량 갖고 있는 단당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모델링 마스크에 비해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은 1제와 혼합 시, 금속 양이온을 제공함으로써 알긴과 반응하여 혼합물이 겔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이며, 유해하지 않은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은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및 알루미늄 이온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은 염화칼슘,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질산칼슘, 칼슘아세테이트, 칼슘옥사이드, 칼슘스테아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칼슘치오글라이콜레이트, 칼슘판토테네이트, 칼슘미리스테이트, 칼슘라놀레이트, 칼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칼슘라우릴설페이트, 염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치오글라이콜레이트, 마그네슘판토테네이트,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라놀레이트,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마그네슘라우릴설페이트, 알루미늄디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모노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썩시네이트,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및 알루미늄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충전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규조토, 실리카,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탈크, 이산화티탄, 아연화 및 결정 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규조토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규조토는 높은 공극률을 가진 입자로 액체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수용액인 1제와 2제를 혼합한 후 피부에 도포할 시, 피부에 물이 흐르지 않고 머무르게 함으로써 팩이 쉽게 마르는 것을 막아주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며, 또한, 규조토는 많은 미네랄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겔화속도조절제는 겔화속도를 조절하여 1제와 2제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며, 피부 도포 후에는 빠르게 겔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인산의 알칼리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메타인산나트륨, 오르토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오르토인산칼륨, 피로인산칼륨 및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2제는 기능성 펩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펩타이드는 피부미백, 피부재생,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방지 등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디펩타이드, 트리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올리고펩타이드, 니코티노일 디펩타이드-2,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 구리 트리펜타이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콜라겐 펩타이드 및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2제는 모델링 팩용 조성물의 물성을 헤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살균제 또는 향료 등의 분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은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이처럼, 액제로 물 대신 다가 알코올류를 과량 함유하는 크림을 사용함으로써, 물만을 사용하는 모델링 마스크팩에 비해 피부에 오랫동안 보습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제 및 2제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져 2제인 파우더가 뭉치거나 침전되지 않고 액상인 1제와 고르게 잘 분산 혼합됨으로써, 겔화 후 팩의 표면이 주름 없이 매끈하게 응고되어 피부의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사용 시, 각질제거가 용이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며, 팩 내 온도가 체온보다 낮아 피부를 진정 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때, 상기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폴리올,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에 대한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은 1제와 2제의 혼합에 의해 알긴과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이 겔화 반응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무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고체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알긴 및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의 겔화 반응에 의해 망상 구조(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부로부터 쉽게 박리가 가능하며, 높은 수분 보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1제 :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원료를 계량하여 디스퍼 믹서(Disper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1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화학식 3을 만족하며, 반복단위 m : 반복단위 n의 몰비가 8 : 2인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2제 :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원료를 계량하여 헨슬 믹서 (Henschel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2제를 제조하였다.
1제 2제
성분 중량% 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글루코오스 to 100
알긴산나트륨 3.00 황산칼슘 10.00
아크릴계 점증제 1.50 규조토 5.00
글리세린 10.00 피로인산칼륨 2.00
1,2-헥산디올 2.00
디소듐 EDTA 0.02
에틸헥실글리세린 0.06
향료 0.10
(* 디소듐 EDTA: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비교예 1]
실시예 1의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과 보습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우더 타입의 마스크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세하게,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원료를 계량하여 헨슬 믹서 (Henschel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파우더 타입의 마스크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알긴산나트륨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성분 중량%
규조토 56.00
글루코오스 20.00
옥수수 전분 10.00
알긴산나트륨 8.00
황산칼슘 4.50
피로인산칼슘 1.50
[수분 보유도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마스크팩 조성물을 착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제품 간 보습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분 보유도를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표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은 1제 100 g과 2제 20 g을 혼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은 마스크팩 조성물 25 g을 물 50 g과 혼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의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증가율을 하기 계산식을 통해 산출하였다.
보습력 증가율(%) = (A-B)/A × 100
상기 계산식에서 A는 비교예 1의 수분 보유도이며, B는 실시예 1의 수분 보유도이다.
이때, 수분 보유도 평가는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전완부를 물로 씻은 후 30분간 항온 항습 (20 ~ 24℃, 40 ~ 60% RH) 조건에서 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시험부위 (전완부)는 연구 대상자의 왼쪽과 오른쪽팔의 손목으로부터 5 ㎝ 거리의 전박 굴측부 부위로 하였고, 시험 부위마다 가로, 세로 3×3 ㎝ 의 정사각형을 1.5 ㎝ 간격으로 총 5개를 그린 후 수분 보유도를 측정하였다.
수분 보유도 평가의 측정 장비는 Corneometer (CM 825,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였으며, 제품 적용 전, 적용 1시간 후, 적용 3시간 후, 적용 6시간 후 및 적용 24시간 후 등 5회에 걸쳐 각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분 보유도를 측정하고, 그 평균 값을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수분 보유도 (A.U., arbitrary unit) 보습력 증가율
(%)
제품 미사용 A B
착용 전 36.64 36.20 36.75 -
착용 1시간 후 36.55 39.26 45.63 16.23
착용 3시간 후 36.64 37.55 43.21 15.07
착용 6시간 후 36.64 36.85 41.81 13.46
착용 24시간 후 36.65 36.50 40.81 11.81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품 미사용 시 수분 보유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실시예 1은 착용 1시간 후 수분 보유도가 45.63 A.U.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 대비 16.23%나 높은 보습력 증가율을 보였다. 착용 24시간 후에도 역시 실시예 1은 수분 보유도가 40 A.U.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 대비 11.81%나 높은 보습력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 1 대비 수분 보유도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착용 약 6시간 후에는 제품 미사용 시와 유사한 수분 보유도를 보여 보습력 지속효과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우더형 마스크팩 대비 피부에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지속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긴산나트륨과 아크릴계 점증제(WA/WB)의 중량비가 1이 되도록 아크릴제 점증제를 3 중량% 첨가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긴산나트륨과 아크릴계 점증제(WA/WB)의 중량비가 5가 되도록 아크릴제 점증제를 0.6 중량% 첨가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긴산나트륨과 아크릴계 점증제(WA/WB)의 중량비가 10이 되도록 아크릴제 점증제를 0.3 중량% 첨가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긴산나트륨과 아크릴계 점증제(WA/WB)의 중량비가 0.6이 되도록 아크릴제 점증제를 5 중량% 첨가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긴산나트륨과 아크릴계 점증제(WA/WB)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아크릴제 점증제를 0.25 중량% 첨가하였다.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3의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제의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표기하였다. 이때 점도는 점도 측정 기기로 측정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BROOKFIELD RVDV2T로 스핀들 NO. 06, 속도 5 RPM으로 측정한 수치이다.
W A (중량%) W B (중량%) W A /W B 점도 (cps)
실시예 1 3.0 1.5 2 32,000
실시예 2 3.0 3.0 1 67,000
실시예 3 3.0 0.6 5 12,800
실시예 4 3.0 0.3 10 10,000
비교예 2 3.0 5 0.6 130,000
비교예 3 3.0 0.25 12 8,000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마스크팩은 1제와 2제가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었으며, 흘러내림 및 뭉침 현상이 심하지 않아 얼굴에 도포가 용이하였고, 겔링 반응 후 주름 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팩이 제조되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3의 마스크팩은 1제와 2제가 10초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었으며, 흘러내림 및 뭉침 현상이 전혀 없어 매우 우수한 물리적 물성을 보였다.
반면, 비교예 2는 점도가 너무 높아 2제가 1제에 고르게 혼합되지 않았으며, 뭉침 현상이 너무 심하여 얼굴에 도포 자체가 어려웠다. 비교예 3은 점도가 너무 낮아 1제와 2제의 혼합물이 얼굴에 고정되기 전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은 알긴산, 알긴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화학식 2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M+는 수소이온 또는 알칼리금속이온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L은 직접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기이며, R3는 수소, 또는 SO3 +X-이고, 상기 X는 수소이온,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암모늄이온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속도조절제는 인산의 알칼리금속염인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10,000 내지 5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기능성 파우더를 더 포함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제는 기능성 펩타이드를 더 포함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9. 알긴, 아크릴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1제; 및 단당류,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 충전제 및 겔화속도조절제를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알긴과 아크릴계 점증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관계식 1]
    1.0 ≤ WA/WB ≤ 10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알긴의 중량(g)이며, WB는 아크릴계 점증제의 중량(g)이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은 상기 알긴 및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금속염의 겔화 반응에 의해 망상 구조(IPN)를 가지는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KR1020170041717A 2016-04-01 2017-03-31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915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54 2016-04-01
KR20160040154 2016-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441A true KR20170113441A (ko) 2017-10-12
KR101915276B1 KR101915276B1 (ko) 2018-11-05

Family

ID=6014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17A Active KR101915276B1 (ko) 2016-04-01 2017-03-31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935A (ko) * 2005-09-30 2007-04-04 한국콜마 주식회사 패치형태의 리프팅용 2제형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및 사용방법
KR20120028020A (ko) * 2010-09-14 2012-03-22 학교법인 경덕학원 캡사이신 함유 러버 마스크 분말조성물
KR20130111058A (ko) * 2012-03-30 2013-10-10 (주)아모레퍼시픽 분리 제형 마스크팩
KR20150029301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제닉 모델링 팩용 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델링 팩의 제조방법
CN104490626A (zh) * 2015-01-19 2015-04-08 董庆国 一种干粉凝胶面膜配方
KR20160005672A (ko) * 2012-07-18 2016-01-15 신현우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KR20160012387A (ko) * 2014-07-24 2016-02-03 김인영 나노유화물을 함유하면서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조절형 모델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935A (ko) * 2005-09-30 2007-04-04 한국콜마 주식회사 패치형태의 리프팅용 2제형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및 사용방법
KR20120028020A (ko) * 2010-09-14 2012-03-22 학교법인 경덕학원 캡사이신 함유 러버 마스크 분말조성물
KR20130111058A (ko) * 2012-03-30 2013-10-10 (주)아모레퍼시픽 분리 제형 마스크팩
KR20160005672A (ko) * 2012-07-18 2016-01-15 신현우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KR20150029301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제닉 모델링 팩용 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델링 팩의 제조방법
KR20160012387A (ko) * 2014-07-24 2016-02-03 김인영 나노유화물을 함유하면서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조절형 모델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90626A (zh) * 2015-01-19 2015-04-08 董庆国 一种干粉凝胶面膜配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76B1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6B1 (ko)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N103702652A (zh) 含有钙基磨料的牙膏
KR101841987B1 (ko) 젤 형태의 모델링 마스크 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3407A (ko) 치아 연마 조성물
JP2000309506A (ja) 粉末化粧料
KR101915276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크림 모델링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JP3352381B2 (ja) 美白パウダー
JPS62167723A (ja) すぐれた清浄・磨き特性を持つ歯磨
JP4831948B2 (ja) 歯磨用組成物
JP6613878B2 (ja) 口腔用ポリマーゲル製剤
WO2018221609A1 (ja) 歯磨剤組成物
KR20150067823A (ko) 워시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JP3589513B2 (ja) マッサージ化粧料
JP2001122722A (ja) マッサージ用化粧水
JP4589755B2 (ja) パック料
JP3967017B2 (ja) 乳化型化粧料
JPH0717850A (ja) 浴用組成物
CN105992582A (zh) 皮肤外用剂
JP2020083831A (ja) 歯磨剤組成物
JP5435848B2 (ja) 歯磨剤組成物
JP3671319B2 (ja) 粉末状マッサージ料
JP3285172B2 (ja) 透明ゲル状毛髪処理剤組成物
JP7282763B2 (ja) 2剤式化粧料
CN118450880A (zh) 固体粉末化妆品
JP2011231052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