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556B1 -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556B1
KR101207556B1 KR1020090135362A KR20090135362A KR101207556B1 KR 101207556 B1 KR101207556 B1 KR 101207556B1 KR 1020090135362 A KR1020090135362 A KR 1020090135362A KR 20090135362 A KR20090135362 A KR 20090135362A KR 101207556 B1 KR101207556 B1 KR 10120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weigh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532A (ko
Inventor
김지현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9013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5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 형태의 필-오프 (peel-off)타입 팩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알긴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 및 황산칼슘과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로 이루어지는 젤 형태의 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 성분을 원활하게 피부에 공급하여 주어, 피부 탄력 증진을 통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팩, 젤, 필-오프, 탄력, 보습, 진정

Description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Gel type Pack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형태를 갖는 2가지의 제형을 일정 혼합 비율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함으로,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 성분을 원활하게 피부에 공급하여 주어, 피부 탄력 증진을 통한 피부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화 방지용 화장료는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 관련된 주요 작용으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로부터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막아 주는 보습효과와 자외선, 공해, 불규칙적인 식생활등으로 인해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해 단백질, 핵산, 세포막지질 등의 생체성분들이 산화되거나 변성되어 피부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작용 등이 있다.
인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전체 인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인 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
팩은 사용 방법에 따라, 필-오프, 워시-오프, 티슈-오프 방법으로 구분된다. 필-오프 방법은 얼굴에 발라 굳은 후 떼어내는 팩이고, 워시-오프 방법은 얼굴에 발라 일정한 시간 후 물로 제거하는 팩이다. 마지막, 티슈-오프 방법은 팩제를 티슈로 제거하는 제품으로 팩을 제거한 후 팩제가 피부에 남아도 해가 없는 제품에 적용된다.
팩은 제형에 따라, 클레이 타입, 젤 타입, 파우더 타입, 크림 타입, 왁스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특수팩으로 석고 마스크, 모델링 마스크, 콜라겐 마스크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모델링 마스크는 팩이 굳은 후의 형태가 말랑말랑한 고무처럼 보이기 때문에,‘고무팩’이라는 별칭으로 불리운다. 모델링 마스크는 주요 성분인 알긴산나트륨이 칼슘이온과 같은 2가의 양이온과 반응하여 겔화가 이루어지면서 고무처럼 굳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모델링 마스크에는 알긴산나트륨, 황산칼슘이외에도 규조토, 탈크, 머드, 황토등과 같은 충전제가 배합되고,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과 같은 반응속도조절제가 함유된다. 제형 반응의 특징상, 알긴산나트륨과 황산칼슘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는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나, 물과 혼합하면 황산칼슘이 칼슘이온으로, 알긴산나트륨이 알긴산으로 해리되고, 서로 반응하여 겔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에서의 물과의 혼합비 또한 매우 중요하다.
위와 같은 특징으로 모델링 마스크는 파우더 제형으로 만들어지고, 사용 전에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게 된다. 이럴 경우, 파우더와 물을 혼합할 때 가루 날림이 많을 수 있고, 정확한 개량이 어려워 내용물이 너무 빨리 겔화 되거나, 반대로, 겔화되지 못하고 오랫동안 유동성을 유지하여 사용에 불편함을 주기도 한다. 또한, 충전제로 배합되는 규조토, 탈크, 머드, 황토 등이 과량의 피지를 제거하여 건조한 피부 타입에 있어서는 오히려 피부가 건조해 질 가능성도 있으며, 보습제로 배합되는 성분이 물 이외에는 제한적이어서, 보습효과가 저하된다. 또, 파우더와 물의 개어짐이 뻑뻑하고, 덩어리가 발생하는 등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행 기술 조사에서 특허 등록 제 751856, 등록 제 633705이 있었다. 특허 등록 제 633705에서는 알긴산나트륨 0.6 내지 1.6중량%의 용액과 파우더 형태의 칼슘 화합물 0.16 내지 0.26중량%의 혼합하는 것으로, 액상과 파우더상의 혼합 형태이다. 또한, 특허 등록 제 751856에서는 1 내지 6중량 % 알긴산나트륨 수용액과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탈크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즉 액상과 파우더상의 혼합 형태이다.
또한, 특허 등록 제 633705에서는 소량의 알긴산나트륨과 칼슘 화합물을 적용함으로, 고화 시간이 늦어지고, 겔의 탄력이 저하되어 도포막이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특허 등록 제 751856에서는 기존의 파우더와 물과의 혼합에 비해서, 알긴산나트륨을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고, 황산칼슘과 같은 2가 이온을 가지는 물질은 파우더 상으로 혼합하는 형태이다. 또한, 파우더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때 함습 등에 의해 파우더간 응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탈크와 같은 무기 분체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파우더 상태의 유동성은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파우더상과 액상의 혼합시 파우더의 날림 현상이 있고, 고점성의 알긴산나트륨 수용액과 파우더 상의 균일한 혼합의 어려움 등이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2009년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크게 사회적인 관심을 일으켰던 문제중 하나가 석면 파동이다. 자세하게는 호흡기를 통해 석면 가루를 흡입할 경우 암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인데, 화장품 원료 중 탈크 성분에 석면이 배합된 것이 확인 되면서 문제의 심각성이 확산되었다. 즉, 석면이 배합된 탈크 성분을 함유한 파우더 제품이 피부에도 도포가 되지만, 가루 날림 현상으로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이런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기 전에도 화장품 회사에서는 파우더 유형의 제품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될 가능성 때문에, 제형의 가장 큰 단점중 하나를 가루 날림 현상으로 생각하여, 최대한 가루 날림이 없는 제품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회사에서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가루 날림은 제조 설비중 집진기 설치와 제조자의 방진복, 방진 마스크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함으로 개선 할 수 있으나, 직접 소비자가 사용할 때의 가루 날림은 처방 및 용기의 설계가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예로, 페이스 파우더를 휴대 간편하고, 가루 날림을 최소화한 팩트 제형으로 변화시킨 사례가 있으며, 또한, 머드 및 황토와 같은 천연의 재료를 사용하는 팩 제형이 가루 타입에서 물이나 오일에 혼합되어진 페이스트 상태로 변화한 사례를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여러 유형에서 파우더 상태를 액상 또는 크림상과 같은 다른 형태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은 지속되었으나, 원료의 특성에 따라, 형태의 개선이 불가능한 영역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지금까지 모델링 마스크 제형에서 액상과 파우더상의 혼합 또는 파우더와 물 상의 혼합으로만 구성되어진 것에는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인 반응의 핵심이 되는 알긴산나트륨과 황산칼슘과 같은 2가 이온을 가지는 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겔이 형성되므로, 두 물질이 물이 있는 처방에 동일하게 배합될 수 없기 때문에 파우더 상태로 만들어진 것이다.
둘째는, 황산칼슘과 같은 2가 이온의 물질이 물에 용해도가 저하되어, 제형상 침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보습과 진정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탄력 증진으로 피부 노화 방지를 효과를 높이며,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액상과 액상의 혼합에 의해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액상과 액상의 형태를 가지는 2가지 제형을 일정 혼합 비율에 따라 사용함으로,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하고,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 성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주어 피부 탄력 증진을 통한 피부 노화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진정,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노화방지용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알긴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 및 황산칼슘과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로 이루어지는 젤 형태의 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형태 수용액 1제는 상기 수용액 1제의 총 중량에 대해 알긴산나트륨을 0.1 내지 6중량%, 피로인산나트륨을 0.01 내지 1.0중량% 함유하고, 액상 형태 수용액 2제는 상기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황산칼슘 4내지 10중량%, 점증제를 0.3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액 1제 및 2제는 1:1 내지 3: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이 필수이며, 잔탄검을 제외한 점증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탄검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잔탄검을 제외한 점증제는 액상 형태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용, 피부 보습용, 피부 탄력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에 피부 진정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피부 보습 성분, 피부 탄력 성분 및 피부 노화 방지 성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오프 타입의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젤 형태의 필-오프 (peel-off)타입 팩 제형을 얻을 수 있으며, 1제와 2제의 일정 혼합 비율에 따라 사용되며,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 성분을 원활하게 피부에 공급하여 주어 피부 탄력 증진을 통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1제는 액상형태로, 알긴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의 혼합액이고, 2제는 액상형태로 황산칼슘과 점증제의 분산액이다. 액상 1과 액상 2는 1:1 내지 3: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 조성물은 팩 제형의 안정화 효과(실험예 1), 피부 진정효과(실험예 2), 피부 보습효과(실험예 3) 및 사용감 개선효과(실험예 4)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젤 형태의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에는 수용액 1제의 총 중량에 대해 알긴산나트륨 0.1 내지 6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된다.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에는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황산칼슘 4 내지 10중량%, 점증제 0.3 내지 3.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알긴산은 보통 나트륨염으로 처리하여 수용성으로 한 것이 사용되었다. 알긴산은 조류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주로 갈조류에 존재하고 건조 중량의 약 40%에 달하는 것도 있다. 생산용 갈조류에는 곰피(Ecklonia stolonifera)와 감태속(Ecklonia), 대황속(Eisenia), 미용속(Undaria)등이 있다. 해조를 씻어 부착물을 제거하고, 희석 염산 수용액 처리를 한후 수산화나트룸 또는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가열 교반하면 알긴산나트륨으로 추출된다. 알긴산은 1957년까지는 D-만누론산만으로 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 와서 L-글루론산도 알긴산의 구성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알긴산은 D-만누론산과 L-글루론산이 수백 개가 연결된 것이며, 분자중에는 S-만누론산만, 또는 L-글루론산만이 길게 결합된 곳이 있다. M/G 비율 (D-만누론산과 L-글론산의 비율)은 해조의 종류나 부위에 따라 약간 다르다. 낮은 M/G 비율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겔을 형성하고, M/G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보다 탄성적인 겔을 형성한다.
알긴산나트륨은 식품에서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로, 아이스크림의 안정제, 케첩, 마요네즈 등의 점착제, 겔화제, 유화제, 증점제 등으로 사용되는 안전하고 유효한 성분이다.
화장품에서는 알긴산나트륨이, 로션, 크림, 메이크업 제품 등에 증점제, 유화 안정제, 분산제로써 사용된다. 이 외에도 피부 위의 노폐물이나 피지, 각질등을 흡착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화장품 중 피부 노폐물과 피지, 각질 등을 관리하고자, 스크럽 제품들이 적용되는 이는 물리적인 힘에 의한 관리로, 피부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반면, 알긴산나트륨의 천연의 성분으로 부드러운 젤 타입으로 도포되어 필-오프로 간편하게 제거됨으로, 피부 자극은 거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알긴산나트륨은 칼슘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 위의 노폐물과 피지, 각질 등을 흡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 함량은 수용액 1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 는 칼슘이온과의 반응이 미약하여 탄력있는 겔을 형성하지 못하고 사용중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6.0중량% 초과시에는 겔의 강도가 너무 강해져, 황산칼슘의 액상과 혼합할 때 균일 혼합이 어려워지고, 빠르게 고화되어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피로인산나트륨은 알긴산나트륨과 황산칼슘 반응의 지연제 역할을 하며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에 투입된다. 그 함량은 수용액 1제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에서 알긴산나트륨과 황산칼슘 사이의 반응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1.0중량% 초과시에는 반응의 지연으로 겔이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황산칼슘은 CaSO4로, 석고(CaSO4?2H2O) 및 경석고 (CaSO4)이라 불리는 광물로서 다량 산출된다. 물에는 가까스로 녹고, 물에 대한 용해도는 0.210g/100g(42℃)인데, 온도가 그보다 높거나 낮아도 감소한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되어, 화장품분야에서는 물과 병행되어 사용되기 보다는 파우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벌킹제, 안티-케이킹제, 현탁화제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황산칼슘의 용해도 특성상, 수상에 용해시키기 보다는 안정적인 분산상태로 존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점증제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황산칼슘은 물에 해리되어 칼슘이온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액상 2에 투입되고, 그 함량은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4 내지 10중량%가 바 람직하다. 황산칼슘이 4중량% 미만에서 알긴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탄력있는 겔을 형성하지 못하고, 10중량% 초과시에는 황산칼슘의 안정화가 어려워, 침전 또는 분리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잔탄검이 필수 성분이고, 잔탄검을 제외한 점증제가 추가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황산칼슘의 안정화제 역할을 하며, 액상 2에 투입된다. 여러 종류의 점증제를 실험한 결과 잔탄검의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잔탄검은 담황색의 분말로, 분자량이 1,000 이상으로 높고, 물에 쉽게 용해된다. 소량 첨가시에도 젤리와 같은 점성을 부여하고, 잔탄검의 복잡한 연결 구조 사이사이에 황산칼슘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침전없이 장기간 보존된다.
잔탄검의 함량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1.5중량%로 포함되고, 잔탄검을 제외한 점증제는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탄검이 0.2중량% 미만에서는 황산칼슘의 침전이 관찰되어 안정화에 문제가 있으며, 1.5중량% 초과시에는 높은 점증력으로 젤 타입 팩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지고, 도포면이 울퉁불퉁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타 점증제를 혼합 배합함으로, 점도를 높게 형성하고, 개어짐과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점증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루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에칠셀룰로오스, 에칠셀룰로오스, 셀루로오스 검,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증제가 0.1중량% 미만에서는 액상 2의 점증 효과가 미약하고, 1.5중량% 초과시에는 고 점도로 인해 액상 1과의 혼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팩 제거후 끈적임 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는 액상형태의 수용액 1제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에 피부 진정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피부 보습 성분, 피부 탄력 성분, 피부 노화방지 성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 보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와 같은 다가 알콜류와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자일리톨과 같은 당류, 알로에추출물, 녹두추출물, 석류추출물, 장뇌삼추출물 등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과 로얄젤리와 같은 성분이 함유될 수 있으며, 공지된 모든 피부 보습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제형의 액상이므로, 파우더 제형에 비해 다량의 보습제 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 피부의 탄력을 높이기 위해서,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콜라겐펩타이드, 예덕나무추출물, 빈랑자추출물, 노니열매추출물, 용안열매추출물 등 다양한 식물 추출물이 함유될 수 있으며, 공지된 모든 피부 탄력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해 공지된 피부 자극 완화 성분이 함유될 수 있으며, 공지된 모든 피부 자극 완화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에서 소량의 산화안정화제, 방부제, 향료 등이 함유될 수도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과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는 1:1 내지 3:1의 혼합비로 균일 혼합하여 젤 형태가 된다. 액상과 액상의 혼합으로 액상과 파우더상의 혼합이나, 물과 파우더 상의 혼합에 비해, 혼합시간이 짧고, 균일 혼합이 잘 되며, 가루날림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도포 후 수 분 후에 고화되기 시작하여 공기 접촉부분은 묻어남이 없는 겔로 굳어지나, 피부 접촉부분은 팩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된 수분과 다량의 보습 성분에 의해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고, 원활한 보습 성분의 공급으로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도포 후 20 여분 경과 후 팩을 제거할 때는 겔 형태로 부드럽게 필-오프 할 수 있어, 자극없이 제거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점증제 종류에 따른 황산칼슘의 안정화 조건 설정
본 발명자들은 황산칼슘이 물이 있는 처방에 동일하게 배합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 8% 황산칼슘을 함유하는 액상에서 다양한 점증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아래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비교하였다. 하기 표의 성분은 중량(g) 단위이다.
점증제 종류에 따른 황산칼슘의 안정화 효과 측정 조건
안정화#1 안정화#2 안정화#3 안정화#4 안정화#5 안정화#6 안정화#7 안정화#8 안정화#9 안정화#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황산칼슘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카보머 1.0 - - - - - - -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1.0 - - - - - - - -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루로오스 - - 1.0 - - - - - - -
셀루로오스 검 - - - 1.0 - - - - -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 - - - 1.0 - - - - -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 - - - - 1.0 2.0 - 1.25 2.0
잔탄검 - - - - - - - 1.0 0.6 0.15
본원 발명의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중 알긴산나트륨은 물속에서 알긴산으로 해리되고, 물에 용해된 황산칼슘(CaSO4)의 칼슘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액상과 파우더상의 혼합 또는 파우더와 물 상을 혼합할 경우, 반응의 핵심이 되는 알긴산나트륨과 황산칼슘과 같은 2가 이온을 가지는 물질의 용해도가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벌킹제, 안티-케이킹제, 현탁화제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는 황산칼슘의 용해도 특성상, 수상에 용해시키기보다는 안정적인 분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점증제의 선정 및 물과의 혼합비가 매우 중요하다.
점증제 종류에 따른 황산칼슘의 안정화 측정 결과
안정화#1 안정화#2 안정화#3 안정화#4 안정화#5 안정화#6 안정화#7 안정화#8 안정화#9 안정화#10
안정도 : 제형 1일 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양호 양호 양호
안정도 : 제형 7일 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양호 양호 침전
안정도 : 제형 28일 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침전 양호 양호 침전
상기 표 2의 실험 결과에 나타낸 것처럼, 황산칼슘 및 점증제 혼합물은 제형 1일 후부터 대부분 침전이 형성되었고, 점증제로 잔탄검 0.6%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1.25%를 포함하는 안정화#8, 안정화 #9의 샘플만이 침전이 없이 양호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점증제로 잔탄검을 사용하면 황산칼슘의 장기간 안정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액상과 액상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젤 형태의 필- 오프 타입 팩 조성물 제조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성분을 액상 조성물 제조에 유용한 점증제로 잔탄검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알긴산나트륨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1상)과 황산칼슘 및 잔탄검을 포함하는 액상(2상)의 화장료를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함량(중량%)
실시예 2
함량(중량%)
1상
(액상)
정제수 To 100 To 100
알긴산나트륨 3.0 4.0
피로인산나트륨 0.15 0.15
글리세린 3.0 3.0
부칠렌글리콜 5.0 5.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상
(액상)
정제수 To 100 To 100
황산칼슘 6.0 7.0
잔탄검 0.6 0.6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1.25 1.25
부칠렌글리콜 5.0 5.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교예 1: 파우더상과 액상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젤 형태의 필- 오프 타입 팩 조성물 제조
1) 비교예 1
일반적인 (파우더+물) 혼합 팩의 처방예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규조토 To 100
알긴산칼륨 16.0
황산칼슘 16.0
피로인산사나트륨 6.0
방부제 적량
적량
2) 비교예 2
일반적인 (파우더+액) 혼합 팩의 처방예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1상
(액상)
알긴산나트륨 6g
100ml
2상
(파우더)
규조토 To 100
알긴산칼륨 9.0
황산칼슘 8.0
인산나트륨 1.38
탈크 17.24
글루코스 13.79
징크디옥사이드 2.76
글리콜 적량
실험예 2 : 팩의 피부 진정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의 피부 진정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건강한 여성 20명을 각 5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항온 항습실에서 얼굴을 세안 한 후 피부 온도 측정기구인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초기값으로 이마, 눈주위, 뺨, 턱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고, 팩 사용 직후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팩은 표 3으로 얻어진 1상과 2상을 2 : 1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였다. 비교예 1의 팩은 표 4로 얻어진 파우더 25g과 물 50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였다. 비교예 2의 팩은 표 5로 얻어진 파우더 10g과 액상 100ml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였다. 그 후, 팩 사용 전후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각 그룹의 평균값)를 표 6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피부 온도 측정 결과
실험군 이마 눈주위
사용전 사용후 사용전 사용후 사용전 사용후 사용전 사용후
비교예 1 33.12 31.65 32.32 30.26 32.14 30.78 32.97 31.11
비교예 2 32.88 30.91 33.01 30.80 31.78 31.22 33.12 30.85
실시예 1 32.54 29.11 32.97 28.54 32.22 28.70 33.23 29.24
실시예 2 33.05 28.57 33.14 29.16 31.95 29.44 32.69 28.32
상기 표 6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젤 형태의 필-오프 타입 팩 화장료를 사용 후, 비교예 1, 2의 사용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얼굴 전체 부위에 걸쳐 피부 온도가 훨씬 더 많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가 빠른 피부 진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팩의 보습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의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건강한 여성 20명을 각 5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로 제조된 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팩의 사용법은 상기 실험예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팩 화장료를 주 2회씩 4주간 사용하며, 시험 전, 시험 2주후, 4주후에 Corneometer CM820PC(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표 7에 각 그룹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보습 효과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시험전 36.84 37.22 36.88 37.59
2주 후 38.20 38.77 39.66 40.96
4주 후 35.71 40.16 42.59 43.25
상기 표 7의 시험결과를 통해 비교예 1, 2에 비하여 실시예 1, 2의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기기적인 데이터로 확보했다. 특히, 비교예 1은 지속적인 사용으로, 피지의 과다 제거를 통해 오히려 보습효과가 사용 전에 비해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4: 팩의 사용감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에 대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1) 실험방법
건강한 여성 20명을 각 5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비교예2로 제조된 팩 화장료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팩의 사용법은 상기 실험예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사용감의 평가척도는 가루날림 없음, 개어짐, 밀착성, 팩 제거 용이성, 보습, 진정, 탄력향상으로 하였고, 그 평가값은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표기하도록 하였고, 표 8에 각 그룹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평가 값>
매우 좋음 : 5, 좋음 : 4, 보통 : 3, 나쁨: 2, 매우 나쁨 : 1
2) 실험 결과
사용감 평가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가루날림 없음 2.7 3.6 5.0 5.0
개어짐 3.5 3.8 4.6 4.3
밀착성 3.2 3.6 4.1 4.4
팩 제거 용이성 3.5 3.7 4.8 4.8
보습 3.8 4.1 4.5 4.7
진정 3.7 3.9 4.5 4.6
탄력 향상 3.3 3.7 4.6 4.6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2)에서는 비교예 1, 비교예 2에 비하여 주관적인 사용감 평가 및 사용 편이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가루날림 없이 쉽게 개어지고, 피부에의 밀착성 및 팩 제거 용이성이 높아졌으며, 사용 후 피부에 보습과 진정, 탄력 향상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알긴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 및 황산칼슘과 점증제로서 잔탄검 또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를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로 이루어지는 젤 형태의 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형태 수용액 1제는 상기 수용액 1제의 총 중량에 대해 알긴산나트륨을 0.1 내지 6중량%, 피로인산나트륨을 0.01 내지 1.0중량% 함유하고, 액상 형태 수용액 2제는 상기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황산칼슘 4내지 10중량%, 점증제로서 잔탄검 또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를 0.3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1제 및 2제는 1:1 내지 3: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은 액상 형태의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는 액상 형태 수용액 2제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상 형태의 수용액 1제 및 2제에 피부 진정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피부 보습 성분, 피부 탄력 성분 및 피부 노화 방지 성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오프 타입의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35362A 2009-12-31 2009-12-31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362A KR101207556B1 (ko) 2009-12-31 2009-12-31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362A KR101207556B1 (ko) 2009-12-31 2009-12-31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532A KR20110078532A (ko) 2011-07-07
KR101207556B1 true KR101207556B1 (ko) 2012-12-03

Family

ID=4491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362A KR101207556B1 (ko) 2009-12-31 2009-12-31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5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43B1 (ko) 2013-09-10 2015-08-18 주식회사 제닉 모델링 팩용 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델링 팩의 제조방법
KR101879423B1 (ko) * 2017-08-14 2018-07-17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87050B1 (ko) * 2017-09-29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87048B1 (ko) * 2017-07-21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WO201901772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20190010492A (ko) * 2018-07-20 2019-01-30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976B1 (ko) * 2018-01-26 2018-06-22 김종우 흔들어서 사용되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6461B1 (ko) * 2018-12-12 2020-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세 마사지 효과가 있는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584719B1 (ko) * 2020-12-31 2023-10-20 (주)씨엔에프 2액형 모델링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81068A (zh) * 2021-04-30 2021-07-30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FR3133309A1 (fr) 2022-03-14 2023-09-15 Technatur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permettant la réalisation d’un masque de beauté auto-gélifiant à texture créme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705B1 (ko) 2004-11-30 2006-10-16 방계룡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부직포형 팩(pack)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856B1 (ko) 2005-04-20 2007-08-23 노석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705B1 (ko) 2004-11-30 2006-10-16 방계룡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부직포형 팩(pack)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856B1 (ko) 2005-04-20 2007-08-23 노석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43B1 (ko) 2013-09-10 2015-08-18 주식회사 제닉 모델링 팩용 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델링 팩의 제조방법
KR101887048B1 (ko) * 2017-07-21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WO201901772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79423B1 (ko) * 2017-08-14 2018-07-17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87050B1 (ko) * 2017-09-29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20190010492A (ko) * 2018-07-20 2019-01-30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961852B1 (ko) 2018-07-20 2019-03-25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532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6B1 (ko)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667937B1 (ko)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1734B1 (ko) 동결건조 방식으로 제조된 2제식 다공성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55306B1 (ko)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2426B1 (ko) 다공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220111928A (ko)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17496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86492B1 (ko) 틱소트로피성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7823A (ko) 워시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JPH11302124A (ja) パック化粧料
KR101681952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4132B1 (ko) 실리카 분체를 함유한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257814B1 (ko) 마스크팩 조성물, 모델링 마스크팩 및 피부미용 마스킹 방법
KR102129355B1 (ko) 팩 조성물
KR20180055375A (ko) 2액형 모델링 팩 조성물
JP2004075635A (ja) 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CN108066239B (zh) 一种diy可剥离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029652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8544A (ko) 알긴산 염 비드를 함유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100072811A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010111A (zh) 一种抗氧化壳寡糖润肤膏及其制备方法
JP2002275027A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KR20070003531A (ko) 황토젤
KR102623084B1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