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253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253A
KR20170112253A KR1020160039060A KR20160039060A KR20170112253A KR 20170112253 A KR20170112253 A KR 20170112253A KR 1020160039060 A KR1020160039060 A KR 1020160039060A KR 20160039060 A KR20160039060 A KR 20160039060A KR 20170112253 A KR20170112253 A KR 20170112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body
light transmitting
light
cu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253A/ko
Publication of KR2017011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제2 광원,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로 입사된 상기 제1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에서 굴절되며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된 상기 제2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외부로 소정의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하이빔, 턴 시그널, 포지션 램프들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DRL(daytime running light)이 추가되는 경향이다.
각각의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고, 법규에 만족하는 빔 패턴이 조사되도록 각 램프의 렌즈들이 별도로 설계되고 있다.
특히, 로우빔의 경우에는 다른 빔 패턴과 달리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 이하로 빔 패턴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광원과 렌즈 사이에 쉴드를 구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컷-오프 라인을 구현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렌즈를 통해 2가지 이상의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제2 광원,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로 입사된 상기 제1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에서 굴절되며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된 상기 제2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다.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후,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후,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제1 빔 패턴과 상이한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는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며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접하는 제2 광 투과체의 하부면은, 제1 컷-오프 평면,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컷-오프 평면 및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상기 제2 컷-오프 평면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접하는 제2 광 투과체의 하부면은, 제1 컷-오프 평면, 전단을 향해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의 단차가 커치도록 형성되는 제2 컷-오프 평면 및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상기 제2 컷-오프 평면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컷-오프 평면은 비틀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동종 재질 중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이종 재질 중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의 렌즈를 통해 2가지 이상의 빔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의 전방 25m에 설치된 스크린에 조사되는 빔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광원(11), 제2 광원(12), 제1 광 투과체(21), 제2 광 투과체(22) 및 렌즈(30)를 포함한다.
제1 광 투과체(21) 및 제2 광 투과체(22)는 제1, 2 광원(11, 12)과 렌즈(30) 사이에 구비된다.
제1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은 제1 광 투과체(21)로 입사되고,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L3, L4)은 제2 광 투과체(22)로 입사된다. 그리고, 제1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과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L3, L4)은 제1 광 투과체(21) 및/또는 제2 광 투과체(22)를 통과하여 렌즈(30)로 진행한다.
제1 광 투과체(21)는 제2 광 투과체(22)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제1 광 투과체(21)및 제2 광 투과체(22)는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이 렌즈(30)의 광축(A)과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에서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이 광축(A)과 일치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는 상호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는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22)는 제1 광 투과체(21)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는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투과체(21)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크릴산메탈수지(PMMA)로 형성되고, 제2 광 투과체(22)는 1.586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동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투과체(21)는 1.59 이하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되고, 제2 광 투과체(22)는 1.62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은 제1 광 투과체(21)로 입사된다. 그 중 일부(L1)는 제1 광 투과체(21)를 통과한 후 렌즈(30)를 통과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0)의 광축(A)보다 낮게 렌즈(30)를 통과한 빛(L1)은 렌즈(30)를 통과하며 상방으로 굴절된다
한편, 제1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중 일부(L2)는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에서 굴절되며 제2 광 투과체(22)로 입사된다. 제2 광 투과체(22)의 굴절률이 제1 광 투과체(21)의 굴절률보다 크므로, 빛(L2)은 상향 굴절되며 제2 광 투과체(22)를 통과한 이후, 렌즈(30)를 통과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0)의 광축(A)보다 높게 렌즈(30)를 통과한 빛(L2)은 렌즈(30)를 통과하며 하방으로 굴절된다.
제1 광원(11)에서 출사된 빛(L1, L2)은 제1 광 투과체(21)로 입사되지만, 제1 광 투과체(21) 및 제2 광 투과체(22)를 모두 통과하고, 렌즈(30)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굴절되어 제1 빔 패턴(Hb)을 형성한다.
제1 광원(11)에서 출사된 빛(L1, L2)은 렌즈(30)를 통과하며 상방 및 하방으로 굴절되므로, 제1 광원(11)에서 출사된 빛(L1, L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H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하이빔 패턴(Hb)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L3, L4)은 제2 광 투과체(22)로 입사된다. 그 중 일부(L3)는 제2 광 투과체(22)를 통과한 후 렌즈(30)를 통과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0)의 광축(A)보다 높게 렌즈(30)를 통과한 빛(L3)은 렌즈(30)를 통과하며 하방으로 굴절된다.
한편,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L3, L4) 중 일부(L4)는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에서 전반사된다. 제2 광 투과체(22)의 굴절률이 제1 광 투과체(21)의 굴절률보다 크므로, 빛(L4)은 제2 광 투과체(22)에서 제1 광 투과체(21)로 진행하지 못하고 전반사되어 다시 제2 광 투과체(22)를 통과하게 된다.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에서 전반사된 빛(L4) 역시 렌즈(30)의 광축(A)보다 높게 렌즈(30)를 통과하므로 빛(L4)은 렌즈(30)를 통과하며 하방으로 굴절된다.
제2 광원(12)에서 출사된 빛(L3, L4)은 제2 광 투과체(22)로 입사된 후, 제1 광 투과체(21)를 통과하지 않고, 제2 광 투과체(22)만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30)에 의해 하방으로 굴절되어 제2 빔 패턴(Lb)을 형성한다.
제2 광원(12)에서 출사된 빛(L3, L4)은 렌즈(30)를 통과하며 하방으로 굴절되므로, 제2 광원(12)에서 출사된 빛(L3, L4)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L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며 컷-오프 라인(C)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Lb)을 형성하게 된다.
제2 광원(12)에서 출사된 빛(L3, L4) 중 일부(L4)가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에서 전반사되어 진행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에서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은 광축(A)과 일치하는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제2 빔 패턴(Lb)은 직선형의 컷-오프 라인(C)을 갖게 된다.
또한,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이 렌즈(30)의 광축(A)과 일치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빔 패턴(Lb)의 컷-오프 라인(C)은 H선과 일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전방 25m에 설치된 스크린에 조사되는 빔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는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B)이 렌즈(30)의 광축(A)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B)과 광축(A) 사이의 갭(g)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의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형성하는 제2 빔 패턴(L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빔 패턴(Lb)의 컷-오프 라인(C)이 H선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빔 패턴(Lb)의 컷-오프 라인(C)과 H선의 간극은 제1 광 투과체(21)와 제2 광 투과체(22)의 경계면(B)과 광축(A) 사이의 갭(g)에 비례한다.
따라서, 컷-오프 라인(C)이 H선과 일치하는 로우빔 패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를 구성하고, 컷-오프 라인(C)이 H선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로우빔 패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제1 광 투과체(21) 및 제2 광 투과체(22)는 경계면이 광축(A)과 일치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 투과체(22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투과체(221)와 접하는 하부면이 제1 컷-오프 평면(222a), 제2 컷-오프 평면(222b) 및 경사 컷-오프 평면(222c)을 포함한다.
제1 컷-오프 평면(222a)과 제2 컷-오프 평면(222b)은 상호 단차를 형성하며, 제2 컷-오프 평면(222b)이 제1 컷-오프 평면(222a)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컷-오프 평면(222c)은 상호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컷-오프 평면(222a)과 제2 컷-오프 평면(222b)은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제1, 2 광 투과체(21, 22)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221)와 제2 광 투과체(222) 역시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1 광 투과체(221)의 상부면은 제2 광 투과체(222)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2개의 평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2개의 평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제1 광 투과체(221) 및 제2 광 투과체(222)는, 도 6을 기준으로 후면으로 제1 광원(11) 및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고, 전면의 전방에 렌즈(30)가 위치하게 된다.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가 전반사되는 제2 광 투과체(222)의 하부면이 제1 컷-오프 평면(222a), 제2 컷-오프 평면(222b) 및 경사 컷-오프 평면(222c)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L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컷-오프 라인(C)을 갖게 된다.
즉, 컷-오프 라인(C)의 양측이 상호 단차를 형성하고, 컷-오프 라인(C)의 중앙부에서 양측을 연결하는 경사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라인(C)의 우측은 H선 보다 위에 형성되고, 컷-오프 라인(C)의 좌측은 H선 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Lb)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컷-오프 평면(222a)은 렌즈(30)의 광축(A)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컷-오프 평면(222b)은 렌즈(30)의 광축(A)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우측 통행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Lb)을 도시한 것이며, 좌측 통행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은 컷-오프 라인(C)의 좌측은 H선 보다 위에 형성되고, 컷-오프 라인(C)의 우측은 H선 보다 아래에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좌측 통행 차량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제2 광 투과체(222)의 제1 컷-오프 평면(222a)이 제2 컷-오프 평면(222b)보다 낮게 위치하고, 제1 컷-오프 평면(222a)은 렌즈(30)의 광축(A)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컷-오프 평면(222b)은 렌즈(30)의 광축(A)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 투과체(322)는 제1 광 투과체(321)와 접하는 하부면이 제1 컷-오프 평면(322a), 제2 컷-오프 평면(322b), 경사 컷-오프 평면(322c) 및 베이스 평면(332d)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 투과체(322)의 제1 컷-오프 평면(322a)과 제2 컷-오프 평면(322b)은 제2 광 투과체(322)의 전면으로 갈수록 제1 컷-오프 평면(322a)과 제2 컷-오프 평면(322b) 사이의 단차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컷-오프 평면(322a)과 제2 컷-오프 평면(322b)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322c)은 비틀어진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컷-오프 평면(322a)의 후방측과 제2 컷-오프 평면(322b)의 후방측은 베이스 평면(332d)과 연결된다.
상호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컷-오프 평면(322a)과 제2 컷-오프 평면(322b)이 형성되고, 제1 컷-오프 평면(322a)과 제2 컷-오프 평면(322b)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322c)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Lb) 역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컷-오프 라인(C)을 갖게 된다.
제2 광원(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형상은 제2 광 투과체(322)의 하부면의 전단 부분의 형상에 영향을 받지만, 제2 빔 패턴의 하부 영역(차량 전방의 근거리 영역)의 광 이미지는 제2 광 투과체(322)의 하부면의 후단 부분의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제2 광 투과체(322)의 하부면의 후단 부분에서 전반사된 빛이 제2 광 투과체(322)의 하부면의 전단 부분에서 전반사된 빛 보다 렌즈(30)의 상부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 투과체(322)는 하부면 후단측에 편평한 베이스 평면(332d)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12)에 의해 형성된 제2 빔 패턴의 하부 영역의 광 이미지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광원(12)에 의해 형성된 제2 빔 패턴의 하부 영역의 광 이미지보다 일그러짐이 덜하고 광도가 균일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 투과체(421) 및 제2 광 투과체(422)는 전단이 대략 U자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광 투과체(421) 및 제2 광 투과체(422)는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전단을 향해 길이가 길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투과체(421) 및 제2 광 투과체(422)는 제1 광원(11) 및 제2 광원(12)으로 LED가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LED의 광 출사 특성에 의해 제1 광 투과체 및 제2 광 투과체의 전단이 일자형인 경우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이 대략 U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광 투과체(421) 및 제2 광 투과체(422)를 사용한 경우에 제2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양측 각각이 보다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1 컷-오프 평면(422a)과 제2 컷-오프 평면(422b)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단차를 형성하도록 형성되거나,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광 투과체(422)의 전면으로 갈수록 단차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컷-오프 평면(422c)은 제1 컷-오프 평면(422a)과 제2 컷-오프 평면(422b)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비틀린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2개의 광 투과체 및 2개의 광원을 이용해 서로 다른 2개의 빔 패턴을 출사한다.
특히, 제1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용해 하이빔을 출사시키고, 제2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용해 로우빔을 출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 내에 위치가 가변되는 별도의 가동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2개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기대 수명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빛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소실시키지 않고 제2 광원(12)에서 나오는 빛을 그대로 사용하여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므로, 로우빔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차량용 램프
11: 제1 광원
12: 제2 광원
21, 221, 321, 421: 제1 광 투과체
22, 222, 322, 422: 제2 광 투과체
30: 렌즈
222a, 322a, 422a: 제1 컷-오프 평면
222b, 322b, 422b: 제2 컷-오프 평면
222c, 322c, 422c: 경사 컷-오프 평면
322d: 베이스 평면
A: 광축
B: 경계면
C: 컷-오프 라인

Claims (10)

  1. 제1 광원;
    제2 광원;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되며, 상기 제2 광 투과체로 입사된 상기 제2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통과하지 않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광 투과체 및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후,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통과한 후,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제1 빔 패턴과 상이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경계는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광축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며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접하는 제2 광 투과체의 하부면은,
    제1 컷-오프 평면;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컷-오프 평면 및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상기 제2 컷-오프 평면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접하는 제2 광 투과체의 하부면은,
    제1 컷-오프 평면;
    전단을 향해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의 단차가 커치도록 형성되는 제2 컷-오프 평면 및
    상기 제1 컷-오프 평면과 상기 제2 컷-오프 평면을 연결하는 경사 컷-오프 평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컷-오프 평면은 비틀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동종 재질 중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이종 재질 중 상기 제1 광 투과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039060A 2016-03-31 2016-03-31 차량용 램프 KR20170112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60A KR20170112253A (ko) 2016-03-31 2016-03-3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60A KR20170112253A (ko) 2016-03-31 2016-03-3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53A true KR20170112253A (ko) 2017-10-12

Family

ID=6014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60A KR20170112253A (ko) 2016-03-31 2016-03-3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2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37A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10101618A (ko) *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EP4130569A4 (en) * 2020-03-24 2023-10-04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37A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10101618A (ko) *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EP4130569A4 (en) * 2020-03-24 2023-10-04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08B (zh) 具有光学波导的照明装置
KR20190080506A (ko) 차량용 램프
KR20170112253A (ko) 차량용 램프
CN114383110A (zh) 车辆用灯具
CN114110525A (zh) 车辆用灯具
KR20220021168A (ko) 차량용 램프
CN113195969A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照明设备以及机动车前照灯
CN114659066A (zh) 车辆用灯具
KR10258575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384541B1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86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20160123138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78814A (ko) 차량용 램프
KR102160529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35391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06316A (ko) 차량용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20170077400A (ko) 차량용 램프
KR102250659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58126A (ko) 차량용 램프
CN219283146U (zh) 车辆用灯具
US10502386B2 (en) Vehic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