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400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7400A KR20170077400A KR1020150187253A KR20150187253A KR20170077400A KR 20170077400 A KR20170077400 A KR 20170077400A KR 1020150187253 A KR1020150187253 A KR 1020150187253A KR 20150187253 A KR20150187253 A KR 20150187253A KR 20170077400 A KR20170077400 A KR 20170077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ident
- light
- light source
- exit
- exit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1S48/12—
-
- F21S48/1283—
-
- F21S48/14—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 F21W2101/02—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차량의 외부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하나의 렌즈를 사용해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과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용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출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으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하이빔, 턴 시그널, 포지션 램프들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DRL(daytime running light)이 추가되는 경향이다.
각각의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고, 법규에 만족하는 빔 패턴이 조사되도록 각 램프의 렌즈들이 별도로 설계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렌즈를 사용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출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차량의 외부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후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 상기 후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2 입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1 전방 반사면,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전방 반사면에서 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1 후방 반사면, 상기 제1 전방 반사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에서 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전방 반사면, 상기 제2 입사면로부터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전방 반사면에서 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후방 반사면 및 상기 제2 전방 반사면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에서 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출사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출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출사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2 출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출사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의 경계와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의 경계는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의 경계와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의 경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후방 반사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출사면 및 상기 제2 후방 반사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사이에는 광 차단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 사이에는 광 차단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되어 로우빔 패턴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1 입사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되어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의 렌즈를 사용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과 쉴드 간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과 하이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과 쉴드 간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과 하이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과 쉴드 간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광원(10), 제2 광원(20), 쉴드(30) 및 렌즈(40)를 포함한다.
렌즈(40)는 양측에 제1 입사면(41)과 제2 입사면(45)이 형성되고, 전면에 제1 전방 반사면(42), 제1 출사면(44), 제2 출사면(48) 및 제2 전방 반사면(46)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 후방 반사면(43) 및 제2 후방 반사면(47)이 형성되는 입체 구조를 갖는다.
렌즈(40)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의 중심축은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의 경계와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의 경계를 관통하는 축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사면(41) 및 제2 입사면(45)은 렌즈(40)의 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입사면(41)은 렌즈(40)의 후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입사면(41)의 법선이 제1 전방 반사면(42) 및/또는 제1 출사면(44)을 향하도록 렌즈(40)의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원(10)은 제1 입사면(41)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제1 광원(1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10)과 제1 입사면(41) 사이에는 쉴드(3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30)는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쉴드(30)의 상단에는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 경계 라인(31)과 제2 수평 경계 라인(33)은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경사 경계 라인(32)은 제1 수평 경계 라인(31)과 제2 수평 경계 라인(33)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쉴드(30)의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상부로 진행하는 빛은 제1 입사면(41)으로 입사되지만, 쉴드(30)의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하부로 진행하는 빛은 쉴드(30)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입사면(41)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입사면(41)을 통해 입사되는 빛은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형상과 대응되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빔 패턴으로 입사되고, 렌즈(40)를 통해 컷-오프 라인을 로우빔 패턴으로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쉴드(30)의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형상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가 장착되는 차량이 판매되는 국가 또는 지역의 차량 통행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입사면(45)은 렌즈(40)의 후면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2 입사면(45)의 법선이 제2 전방 반사면(46) 및/또는 제2 출사면(48)을 향하도록 렌즈(40)의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원(20)은 제2 입사면(45)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제2 광원(2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40)의 전면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제1 전방 반사면(42), 제1 출사면(44), 제2 출사면(48) 및 제2 전방 반사면(46)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방 반사면(42)은 렌즈(40)의 전면의 일측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42a)이 증착/코팅되며 형성될 수 있다. 광 반사성의 금속층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 층일 수 있다.
제1 전방 반사면(42)은 제1 광원(10)에 제1 초점이 형성되고 제1 후방 반사면(43)에 제2 초점이 형성되는 타원형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방 반사면(42)은 제1 입사면(41)을 통해 입사되어 제1 전방 반사면(42)으로 입사된 빛(L1)을 렌즈(40)의 후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후방 반사면(43)을 향해 반사한다.
제1 후방 반사면(43)은 렌즈(40)의 후면의 일측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이 증착/코팅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 반사면(43)은 제1 전방 반사면(42)에 초점이 형성되는 파라볼릭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방 반사면(42)으로부터 반사되어 제1 후방 반사면(43)으로 입사된 빛(L1)은 제1 후방 반사면(4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출사면(44)을 향해 대략 직진하도록 반사될 수 있다.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입사면(41)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L2)는 제1 전방 반사면(42)으로 입사되지 않고 제1 출사면(44)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제1 출사면(44)은 이 빛(L2)을 제1 후방 반사면(43)을 향해 전반사한다. 이후, 제1 출사면(44)에서 전반사된 빛(L2)은 제1 후방 반사면(43)에서 전방으로 반사되어 제1 출사면(44)을 통해 출사된다.
한편, 제2 전방 반사면(46)은 렌즈(40)의 전면의 타측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이 증착/코팅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 반사면(46)은 제2 광원(20)에 제1 초점이 형성되고 제2 후방 반사면(47)에 제2 초점이 형성되는 타원형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방 반사면(46)은 제2 입사면(45)을 통해 입사되어 제2 전방 반사면(46)으로 입사된 빛(H1)을 렌즈(40)의 후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후방 반사면(47)을 향해 반사한다.
제2 후방 반사면(47)은 렌즈(40)의 후면의 타측에 광 반사성의 금속층이 증착/코팅되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방 반사면(46)으로부터 반사되어 제2 후방 반사면(47)으로 입사된 빛(H1)은 제2 후방 반사면(4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출사면(48)을 향해 대략 직진하도록 반사될 수 있다.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입사면(45)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H2)는 제2 전방 반사면(46)으로 입사되지 않고 제2 출사면(48)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제2 출사면(48)은 이 빛(H2)을 제2 후방 반사면(47)을 향해 전반사한다. 이후, 제2 출사면(48)에서 전반사된 빛(H2)은 제2 후방 반사면(47)에서 전방으로 반사되어 제2 출사면(48)을 통해 출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렌즈(40)는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의 경계가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의 경계와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렌즈(40)는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의 경계와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의 경계를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의 경계와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의 경계 사이의 거리(d2)는 제1 출사면(44)과 제1 후방 반사면(43) 사이의 거리(d1) 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의 경계와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의 경계 사이의 거리(d2)는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의 거리(d3) 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출사면(44)과 제1 후방 반사면(43) 사이를 진행하는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를 진행하는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과 하이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로우빔 패턴(L)과 하이빔 패턴(H)을 각각 출사할 수 있다.
로우빔 패턴(L)은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출사면(44)을 통해 출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고, 하이빔 패턴은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출사면(48)을 통해 출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일부가 쉴드(30)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형상과 대응되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빔 패턴으로 제1 입사면(41)으로 입사되므로, 제1 출사면(44)을 통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L)의 제1 수평 경계 라인(31), 제2 수평 경계 라인(33) 및 경사 경계 라인(32)의 형상과 대응하는 컷-오프 라인(C1, C2, C3)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전방 반사면(42), 제1 후방 반사면(43) 및 제1 출사면(44)은 제1 출사면(44)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이 컷-오프 라인(C1, C2, C3)의 하부에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L)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제2 전방 반사면(46), 제2 후방 반사면(47) 및 제2 출사면(48)은 제2 출사면(48)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이 하이빔 패턴(H)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출사면(48)을 통해 출사되는 빛은 도로 상의 표지판 등을 비추는 시그널 빔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2 광원(20)의 광량을 조절하여 상황에 따라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출사면(48)을 통해 출사되는 빛을 시그널 빔 패턴으로 사용하거나 하이빔 패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렌즈(40)는 제1 출사면(44)이 제2 출사면(4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렌즈(40)는 제1 출사면(44)의 차량의 내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출사면(48)이 차량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가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50)에 삽입되는 광 차단 부재(B)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50)는 광 차단 부재(B)에 삽입되는 삽입홀(49)이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홀(49)은 렌즈(5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광 차단 부재(B)는 렌즈(50)의 전면으로부터 삽입홀(49)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 사이에서 렌즈(50) 내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광 차단 부재(B)를 이용해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역시 렌즈(60)에 삽입되는 광 차단 부재(B)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50)는 광 차단 부재(B)에 삽입되는 삽입홀(49)이 제1 출사면(44)과 제2 출사면(48) 사이에 형성된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60)는 광 차단 부재(B)에 삽입되는 삽입홀(49)이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홀(49)은 렌즈(6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광 차단 부재(B)는 렌즈(60)의 후면으로부터 삽입홀(49)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후방 반사면(43)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에서 렌즈(60) 내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광 차단 부재(B)를 이용해 제1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제2 출사면(48)과 제2 후방 반사면(47) 사이로 진입하는 것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의 렌즈(40, 50, 60)를 이용해 서로 다른 2개의 빔 패턴을 각각 출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램프
10: 제1 광원
20: 제2 광원 30: 쉴드
31: 제1 수평 경계 라인 32: 경사 경계 라인
33: 제2 수평 경계 라인 40, 50, 60: 렌즈
41: 제1 입사면 42: 제1 전방 반사면
42a, 43a, 46a, 47a: 광 반사성 금속층
43: 제1 후방 반사면 44: 제1 출사면
45: 제2 입사면 46: 제2 전방 반사면
47: 제2 후방 반사면 48: 제2 출사면
49: 삽입홀 B: 광 차단 부재
20: 제2 광원 30: 쉴드
31: 제1 수평 경계 라인 32: 경사 경계 라인
33: 제2 수평 경계 라인 40, 50, 60: 렌즈
41: 제1 입사면 42: 제1 전방 반사면
42a, 43a, 46a, 47a: 광 반사성 금속층
43: 제1 후방 반사면 44: 제1 출사면
45: 제2 입사면 46: 제2 전방 반사면
47: 제2 후방 반사면 48: 제2 출사면
49: 삽입홀 B: 광 차단 부재
Claims (11)
-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차량의 외부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후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
상기 후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2 입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1 전방 반사면;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전방 반사면에서 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1 후방 반사면;
상기 제1 전방 반사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에서 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전방 반사면;
상기 제2 입사면로부터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전방 반사면에서 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후방 반사면; 및
상기 제2 전방 반사면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에서 전방을 향해 반사된 빛을 출사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1 출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제1 후방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2 출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의 경계와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의 경계는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의 경계와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의 경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1 후방 반사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출사면 및 상기 제2 후방 반사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사이에는 광 차단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반사면과 상기 제2 후방 반사면 사이에는 광 차단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되어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1 입사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되어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2 출사면을 통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출사되어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253A KR20170077400A (ko) | 2015-12-28 | 2015-12-28 | 차량용 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253A KR20170077400A (ko) | 2015-12-28 | 2015-12-28 | 차량용 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400A true KR20170077400A (ko) | 2017-07-06 |
Family
ID=5935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7253A KR20170077400A (ko) | 2015-12-28 | 2015-12-28 | 차량용 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740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39959A (ja) * | 2018-02-09 | 2019-08-22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253A patent/KR20170077400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39959A (ja) * | 2018-02-09 | 2019-08-22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865539B (zh) | 车辆用前照灯 | |
JP2010061902A (ja) | 車両用灯具 | |
JP2008251243A (ja) | 車輌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 |
KR101381862B1 (ko)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
KR20190080506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63275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150131787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90009524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90081309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50051672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05441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1342060B1 (ko)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
KR20160123138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70077400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60035391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40133063A (ko)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
KR101707983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555372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1987295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1735637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032243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064667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00079823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250659B1 (ko) |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 |
KR20190048553A (ko) | 차량용 램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