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293A -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293A
KR20170110293A KR1020160034469A KR20160034469A KR20170110293A KR 20170110293 A KR20170110293 A KR 20170110293A KR 1020160034469 A KR1020160034469 A KR 1020160034469A KR 20160034469 A KR20160034469 A KR 20160034469A KR 20170110293 A KR20170110293 A KR 2017011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od
height
height adjusting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261B1 (ko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6003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8Supports; Devices for holding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in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8Supports; Devices for holding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in working position
    • B25D17/30Pillars and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의 측면에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을 할 때,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봉과 상부봉으로 이루어진 수직높이조절봉; 상기 하부봉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건물 바닥에 밀착 설치되는 바닥밀착부재; 상기 상부봉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건물 천정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정밀착부재; 상기 수직높이조절봉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조절구; 하향 개방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천정밀착부재에 설치된 수평지지대; 및 상기 로울러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에 양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는 공구를 홀딩하는 공구결합부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하부봉의 높이조절공에 끼워져서 작업자가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서 작업을 할 때 공구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걸이구가 구비된 견인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Device for assisting when works using tool}
본 발명은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에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을 할 때,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에 홀을 가공하는가 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공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작업자가 장시간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무거운 공구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릴, 리벳해머 또는 네일건 등의 공구는 작업자가 손으로 들 수 있긴 하지만, 비교적 무거운데다 사용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견디기 위해 작업자가 많은 힘을 가하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구를 장시간 사용하면 그 무게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시의 반발력으로 인해 근골격계의 손상이 초래될 위험이 아주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5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릴을 상부에 탑재하여 드릴의 위치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드릴 리프트 지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그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때마다 작업자 또는 그의 보조자가 이동대차를 움직여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리고 드릴은 전체가 아닌 전방 부분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 때 여전히 많은 힘을 들여서 드릴을 홀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0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라브에 앵커를 타정하게 되는 해머드릴을 지면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 조절 서포터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포터 구조는 단지 해머드릴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게 지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로 이동시켜 작업을 행할 때에는 상기의 서포터 구조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50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08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에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을 할 때, 상기 공구를 지지하는 장치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공구만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가 건물 벽에 홀을 가공할 때 공구를 홀딩해주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는, 다수 개의 높이조절공을 구비한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고정구가 상기 높이조절공에 삽설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높이가 설정되게 하는 상부봉으로 이루어진 수직높이조절봉; 상기 하부봉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건물 바닥에 밀착 설치되는 바닥밀착부재; 상기 상부봉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건물 천정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봉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된 회전구에 장착되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정밀착부재; 상기 하부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이동부재가 기어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높이조절봉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조절구; 하향 개방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천정밀착부재에 설치된 수평지지대; 및 상기 로울러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에 양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는 공구를 홀딩하는 공구결합부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하부봉의 높이조절공에 끼워져서 작업자가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서 작업을 할 때 공구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걸이구가 구비된 견인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견인와이어의 타단부에는, 공구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무게추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의 측면에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을 할 때, 상기 공구를 지지하는 보조장치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그리고 그 보조장치를 이동시키는 보조작업자를 준비할 필요없이 안정적으로 공구를 홀딩한 상태에서 그를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홀을 가공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상기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건물 벽이나 구조물에 홀 등을 가공할 때 공구(5)를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주되 전후,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높이조절봉(10), 바닥밀착부재(20), 천정밀착부재(30), 높이조절구(40), 수평지지대(50) 및 견인와이어(6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높이조절봉(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측에서 길게 늘어선 다수 개의 높이조절공(12)을 구비한 하부봉(11)과, 높이조절공(12)을 하부봉(11)에 대응하여 구비하여 상기 하부봉(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고정구(14)가 높이조절공(12)에 삽설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높이가 설정되게 하는 상부봉(1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봉(13)의 높이는 고정구(14)가 어느 높이조절공(12)에 삽설되는냐에 따라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4)는, 하부봉(11) 및 상부봉(13)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2)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고정시킨다.
한편으로, 상기 고정구(14)는, 미도시되었지만, 하부봉(11)에 장착되되 누르는 힘을 통해서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상부봉(13)의 높이조절공(12)에 삽설가능하게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 대신에 다음에 기술되는 걸이구(62)를 높이조절공(12)에 삽설시켜서 상부봉(13)이 하향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일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밀착부재(20)는 하부봉(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건물 바닥에 밀착 설치되어 보조장치가 건물의 바닥부(1)를 통해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천정밀착부재(30)는 상부봉(1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건물 천정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장치가 건물의 천정부(2)를 통해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밀착부재(30)는 그에 장착된 수평지지대(5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봉(1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된 회전구(31)에 장착되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천정밀착부재(30)에는 천정의 높이가 너무 높거나 천정 상황이 천정밀착부재(30)를 밀착시키기 곤란한 경우를 대비하여 벽면에 기대거나 벽면에 공지의 체결구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대(미도시)가 천정밀착부재(30)의 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5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구(5)를 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안전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높이조절구(40)는 하부봉(11)의 하단부에 결합된 이동부재(41)가 기어봉(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수직높이조절봉(10)의 높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구(40)를 좌우방향으로 돌려서 기어봉(42)을 회전시켜 이동부재(4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부봉(13)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직높이조절봉(1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대(50)는 하향 개방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로울러(51)를 구비하여 천정밀착부재(30)에 회전구(31)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견인와이어(6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와이어(60)는 로울러(51)를 통해 수평지지대(50)에 양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공구(5)를 전후, 상하 또는 좌우방향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자유롭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견인와이어(60)는, 일단부에는 공구(5)를 홀딩하는 공구결합부(61)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하부봉(11)의 높이조절공(12)에 끼워져서 작업자가 공구결합부(61)에 결합된 공구(5)를 통해서 작업을 할 때 공구(5)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걸이구(6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60)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공구(5)를 통해서 작업을 할 때 공구(5)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무게추(65)가 구비되며, 상기 무게추(65)는 물주머니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추들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홀 등을 작업할 위치의 부근에 보조장치를 갖고 와서 바닥밀착부(20)를 건물의 바닥부(1)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수직높이조절봉(10)의 상부봉(13)을 하부봉(11)으로부터 상향 이동시키거나 높이조절구(40)를 통해서 천정밀착부재(30)가 건물의 천정에 밀착되게 한 후 고정구(14)를 높이조절공(12)으로 삽통시켜서 상부봉(13)이 원위치로 하향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수직높이조절봉(10)이 설치되고 난 다음에, 작업자는 견인와이어(60)를 작업할 적정 위치로 오게 하여 공구결합부(61)를 통해서 공구(5)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와어이(60)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는 공구(5)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부(3) 또는 구조물에 홀을 가공하면 된다.
1: 바닥부 2: 천정부
3: 벽부 5: 공구
10: 수직높이조절봉 11: 하부봉
12: 높이조절공 13: 상부봉
14: 고정구 20: 바닥밀착부재
30: 천정밀착부재 31: 회전구
40: 높이조절구 41: 이동부재
42: 기어봉 50: 수평지지대
51: 로울러 60: 견인와이어
61: 공구결합부 62: 걸이구
65: 무게추

Claims (3)

  1. 작업자가 건물 벽에 홀을 가공할 때 공구를 홀딩해주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높이조절공(12)을 구비한 하부봉(11)과, 높이조절공(12)을 하부봉(11)에 대응하여 구비하여 상기 하부봉(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고정구(14)가 상기 높이조절공(12)에 삽설되어서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높이가 설정되게 하는 상부봉(13)으로 이루어진 수직높이조절봉(10);
    상기 하부봉(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건물 바닥에 밀착 설치되는 바닥밀착부재(20);
    상기 상부봉(1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건물 천정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봉(1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된 회전구(31)에 장착되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정밀착부재(30);
    상기 하부봉(11)의 하단부에 결합된 이동부재(41)가 기어봉(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높이조절봉(10)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조절구(40);
    하향 개방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로울러(51)를 구비하여 상기 천정밀착부재(30)에 설치된 수평지지대(50); 및
    상기 로울러(51)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50)에 양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는 공구(5)를 홀딩하는 공구결합부(61)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하부봉(11)의 높이조절공(12)에 끼워져서 작업자가 상기 공구결합부(61)에 결합된 공구(5)를 통해서 작업을 할 때 공구(5)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걸이구(62)가 구비된 견인와이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와이어(60)의 타단부에는, 공구(5)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무게추(6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밀착부재(30)에는 벽면에 기대거나 벽면에 체결구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보강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1020160034469A 2016-03-23 2016-03-23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10180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69A KR101804261B1 (ko) 2016-03-23 2016-03-23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69A KR101804261B1 (ko) 2016-03-23 2016-03-23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293A true KR20170110293A (ko) 2017-10-11
KR101804261B1 KR101804261B1 (ko) 2017-12-04

Family

ID=6013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469A KR101804261B1 (ko) 2016-03-23 2016-03-23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49A (ko) * 2018-01-09 2019-07-17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8011B2 (ja) * 2010-03-26 201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工具用補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49A (ko) * 2018-01-09 2019-07-17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261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31002U (zh) 一种手动升降工作台
US20090194665A1 (en) Adjustable Support Stand for Pre-Cast Concrete Wall Forms
JP2012502204A (ja) 床施工装置
CN210976515U (zh) 隧道施工升降脚手架
KR101804261B1 (ko)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JP2016044315A (ja) メッキ処理用ハンガー掛け装置
US11331817B2 (en) Maintenance apparatus of robot and maintenance method of robot
KR20170003881A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20130085845A (ko) 인양 갱폼의 낙하방지 장치
CN207077338U (zh) 一种机械工程加工专用夹具
KR20090091903A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EP1201328B1 (en) Vehicle repair device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1619204B1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KR102027832B1 (ko)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101490620B1 (ko) 조형물 설치작업용 보조 장치
JP6450820B1 (ja) プレスブレーキ
KR20220126404A (ko) 벽면패널 부착용 보조 장치
CN215471049U (zh) 悬挂支架
CN218535160U (zh) 一种竖向植筋开孔辅助装置
KR200485692Y1 (ko)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CN212398631U (zh) 一种大型焊接变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