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92Y1 -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92Y1
KR200485692Y1 KR2020170002442U KR20170002442U KR200485692Y1 KR 200485692 Y1 KR200485692 Y1 KR 200485692Y1 KR 2020170002442 U KR2020170002442 U KR 2020170002442U KR 20170002442 U KR20170002442 U KR 20170002442U KR 200485692 Y1 KR200485692 Y1 KR 200485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vehicle
fastening
mounting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표
Original Assignee
홍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표 filed Critical 홍광표
Priority to KR2020170002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돌사고 등으로 차량에 발생된 찌그러진 부분을 펴기 위한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금이 필요한 부위에 체결되며, 체결된 부위를 잡아당겨 본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 상기 복원부의 상부를 체결한 후 잡아당겨 주기 위한 당김부; 및 상기 당김부가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당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Multi Functional Vehicle Plate Work Device}
본 고안은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돌사고 등으로 차량에 발생된 찌그러진 부분을 펴기 위한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과 같이 금속 패널 형태의 몸체 일부분이 찌그러짐이 발생할 경우 기구를 이용하여 안쪽에 서 외측으로 두드려 복원시키거나 내측에서 기구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압착식으로 당겨 복원시키거나 또는 피스를 설치한 후 당겨 복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6078호(2013.01.16.)는 자동차 몸체의 찌그러진 부분에 수지로 고정부재를 접착시킨 후 이의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헤머를 갖는 봉 형태의 판금장치로 연결한 후 연결봉에 끼워진 슬라이딩 헤머로 타측 손잡이 부분의 일면에 타격되도록 두드려 반대 측의 찌그러진 부분이 당겨져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수지접착식 자동차용 판금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차량의 찌그러진 곳에 실리콘 수지로 부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부를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요홈 및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연결봉 일단에 결합된 지지부재; 상기 연결봉 타단은 손잡이가 결합되며, 연결봉 상에는 슬라이딩 헤머가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딩 헤머는 연결봉 상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손잡이 측을 타격시켜 차체의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여 차체와 고정부재를 접착 함으로써 고정부재에 판금장치를 연결하여 슬라이딩 헤머로 타격시켜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 시 외면에 긁힘이 없고 복원력의 효율성이 증대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981호(2004.02.25.)는, 판금작업을 위한 철재해머, 돌리블록 스프운, 파이프, 정, 뎃고 등 작업자의 감(感)에 의존하는 종래의 수공구를 배제하고 항상 일정하고 균일한 토르크가 발생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판금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임비가 절감되는 자동차의 차체 패널의 판금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자동차 차체 패널에 대한 판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유체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차체의 찌그러진 부분이나 변형된 부위에 반복적으로 스트로크를 가해 차체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판금공구; 작동유체를 발생시켜 상기 판금공구에 공급하는 작동유 공급기; 상기 판금공구와 작동유 공급기 사이에 설치되어 판금공구로 상기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풋 페달이나 손잡이부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랑용 판금장치는,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판금이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장착하기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서 차량에 장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607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981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추돌사고 등으로 차량에 발생된 찌그러진 부분을 펴기 위한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판금이 필요한 부위에 체결되며, 체결된 부위를 잡아당겨 본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 상기 복원부의 상부를 체결한 후 잡아당겨 주기 위한 당김부; 및 상기 당김부가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당김부를 차량에서 지탱해 주기 위한 지탱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당김부는, 상기 복원부의 상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잡아당겨 주며, 상기 체결부재를 잡아당긴 후 당겨주는 정도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당김조절부재; 상기 당김조절부재를 상기 지탱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동시켜 상기 당김조절부재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복원부의 상부를 걸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갈고리수단; 및 상기 갈고리수단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갈고리수단을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재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일측을 회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당김수단; 및 상기 당김수단의 중간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당김수단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당김조절부재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기 위한 들어올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당김수단은, 총중량을 줄이기 위해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탱부는, 중간 부분에 상기 당김부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수평바아부재; 및 상기 수평바아부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아부재를 차량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지탱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수직바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바아부재는, 상기 수평바아부재의 일측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수단;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아부재와 차량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 및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주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 가지부; 및 상기 가지부의 하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지부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주기 위한 두 개의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하부에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추돌사고 등으로 차량에 발생된 찌그러진 부분을 펴기 위한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들 수 있도록 하며, 판금이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장착하도록 하여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당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지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수직바아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받침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는, 복원부(100), 당김부(200) 및 지탱부(300)를 포함한다.
복원부(100)는, 판금이 필요한 부위에 체결되며, 당김부(200)가 체결된 부위를 잡아당겨 찌그러진 부분을 본래의 형태로 복원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복원부(100)는, 차량의 찌그러진 부분에 다수 개의 핀을 용접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체결한 후, 해당 다수 개의 핀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잡아당겨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체결된 핀은, 복원이 끝난 후 체결 부분을 절단하여 차량으로부터 분리한다.
당김부(200)는, 지탱부(300)에 장착 설치되며, 복원부(100)의 상부를 체결한 후 잡아당겨 준다.
지탱부(300)는, 당김부(200)가 장착 설치되며, 당김부(200)를 차량에서 지탱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는, 추돌사고 등으로 차량에 발생된 찌그러진 부분을 펴도록 함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들 수 있도록 하며, 판금이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장착하도록 하여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당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당김부(200)는, 체결부재(210), 당김조절부재(220), 장착부재(230) 및 손잡이부재(24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10)는, 상부에 당김조절부재(220)가 연결 설치되며, 복원부(100)의 상부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10)는, 복원부(100)의 다수 개의 핀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당김조절부재(220)는, 체결부재(2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장착부재(230)에 의해 지탱부(300)에 장착 설치되며, 체결부재(210)를 잡아당겨 주며, 체결부재(210)를 잡아당긴 후 당겨주는 정도를 미세조절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당김조절부재(220)는, 외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된 후 상부에 형성된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착부재(230)는, 상부 양측에 손잡이부재(240-1, 240-2)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당김조절부재(220)를 지탱부(300)에 장착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장착부재(230)는, 지탱부(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한 체결이 풀리면 지탱부(300)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슬라이딩이 된 후 볼트 드으이 체결 수단 등에 의해 재체결되어 이후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240)는,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동시켜 당김조절부재(22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준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재(21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갈고리수단(211) 및 회동수단(212)을 포함한다.
갈고리수단(211)은, 상수에 회동수단(212)이 연결 설치되어 회동시켜 주며, 복원부(100)의 상부를 건다.
일 실시 예에서, 갈고리수단(211)는, 복원부(100)의 다수 개의 핀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회동수단(212)은, 갈고리수단(211)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갈고리수단(211)을 회동시켜 준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재(240)는, 두 개의 당김수단(241) 및 들어올림수단(242)을 포함한다.
당김수단(241)은, 일측이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일측(즉,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된 부분)을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당김수단(241)은, 총중량을 줄이기 위해 다수 개의 관통홀(2411-1 ~ 2411-N)을 형성할 수 있다.
들어올림수단(242)은, 당김수단(241)의 중간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당김수단(241)의 회동에 대응하여 당김조절부재(22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당김조절부재(220)는, 상부에 작업자가 파지한 후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는, 들어올림수단(24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손잡이부재(240)는,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되지 아니한 다른 일측 부분을 작업자가 두 개의 당김수단(241)을 파지한 후 들어 올리며, 당김수단(241)에 연결 설치된 들어올림수단(242)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들어올림수단(24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당김조절부재(22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지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탱부(300)는, 수평바아부재(310) 및 두 개의 수직바아부재(320)를 포함한다.
수평바아부재(310)는, 양측에 수직바아부재(320-1, 302-2)가 각각 장착 설치되며, 중간 부분에 당김부(200)를 장착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당김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바아부재(310)에서 좌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바아부재(320)는, 수평바아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수평바아부재(310)를 차량에서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10cm 내지 50cm 등)으로 지탱해 준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수직바아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바아부재(320)는, 체결수단(321), 간격조절수단(322) 및 받침수단(323)을 포함한다.
체결수단(321)은, 하부에 간격조절수단(322)이 장착 설치되며, 수평바아부재(310)의 일측에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321)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수평바아부재(3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해당 체결이 풀린 후 수평바아부재(310)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재체결될 수 있다.
간격조절수단(322)은, 체결수단(321)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수평바아부재(310)와 차량과의 간격을 조절한다.
받침수단(323)은, 간격조절수단(32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간격조절수단(322)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 준다.
도 7은 도 6에 있는 받침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받침수단(323)은, 가지부(3231) 및 두 개의 받침부(3232)를 포함한다.
가지부(3231)는, 간격조절수단(322)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두 갈래로 갈라지며, 하부에 받침부(3232-1, 3232-2)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받침부(3232)는, 가지부(3231)의 하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가지부(3231)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3232)는, 가지부(32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차량의 형태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받쳐 주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3232)는, 하부에 탄성을 가진 재질(예를 들어, 압축 스펀지(일반 스펀지보다 탄력을 강화시킨 소재로, 유연성이 뛰어나고 쿠션감이 좋으며, 내부 충격에 강하고 흡수가 뛰어나며, 스펀지보다 딱딱한 느낌이다. 새제품에서는 고무 냄새가 날 수 있으나, 인체에 무해함 등)로 형성되는 완충부재(323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복원부
200: 당김부
210: 체결부재
211: 갈고리수단
212: 회동수단
220: 당김조절부재
230: 장착부재
240: 손잡이부재
241: 당김수단
2411: 관통홀
242: 들어올림수단
300: 지탱부
310: 수평바아부재
320: 수직바아부재
321: 체결수단
322: 간격조절수단
323: 받침수단
3231: 가지부
3232: 받침부

Claims (5)

  1. 판금이 필요한 부위에 체결되며, 체결된 부위를 잡아당겨 본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100); 상기 복원부(100)의 상부를 체결한 후 잡아당겨 주기 위한 당김부(200); 및 상기 당김부(200)가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당김부(200)를 차량에서 지탱해 주기 위한 지탱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지탱부(300)는, 중간 부분에 상기 당김부(200)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수평바아부재(310); 및 상기 수평바아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아부재(310)를 차량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지탱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수직바아부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바아부재(320)는, 상기 수평바아부재(310)의 일측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수단(321); 상기 체결수단(321)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아부재(310)와 차량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322); 및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322)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주기 위한 받침수단(323)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323)은, 상기 간격조절수단(322)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 가지부(3231); 및 상기 가지부(3231)의 하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지부(3231)의 하부를 차량에서 받쳐주기 위한 두 개의 받침부(3232)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3232), 상기 가지부(32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하부에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200)는,
    상기 복원부(100)의 상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10);
    상기 체결부재(2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210)를 잡아당겨 주며, 상기 체결부재(210)를 잡아당긴 후 당겨주는 정도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당김조절부재(220);
    상기 당김조절부재(220)를 상기 지탱부(300)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재(230); 및
    상기 장착부재(230)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동시켜 상기 당김조절부재(22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기 위한 손잡이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40)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재(230)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일측을 회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당김수단(241); 및
    상기 당김수단(241)의 중간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당김수단(241)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당김조절부재(22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기 위한 들어올림수단(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241)은,
    총중량을 줄이기 위해 다수 개의 관통홀(2411-1 ~ 2411-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5. 삭제
KR2020170002442U 2017-05-18 2017-05-18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KR200485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42U KR200485692Y1 (ko) 2017-05-18 2017-05-18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42U KR200485692Y1 (ko) 2017-05-18 2017-05-18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92Y1 true KR200485692Y1 (ko) 2018-03-22

Family

ID=6180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442U KR200485692Y1 (ko) 2017-05-18 2017-05-18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9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7322A (ja) * 1984-11-13 1986-06-0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補強くい
JPS61117322U (ko) * 1984-12-28 1986-07-24
JPH0211613U (ko) * 1988-03-05 1990-01-24
KR100232277B1 (ko) * 1996-01-15 1999-12-01 고세이 이시하라 판금용 인출장치
KR200343981Y1 (ko) 2003-12-02 2004-03-06 황경수 자동차의 차체 패널의 판금장치
KR20080101323A (ko) * 2007-05-17 2008-1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측면 부재에 대한 홀 가공장치
KR20130006078A (ko) 2011-07-08 2013-01-16 홍동우 수지접착식 자동차용 판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7322A (ja) * 1984-11-13 1986-06-0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補強くい
JPS61117322U (ko) * 1984-12-28 1986-07-24
JPH0211613U (ko) * 1988-03-05 1990-01-24
KR100232277B1 (ko) * 1996-01-15 1999-12-01 고세이 이시하라 판금용 인출장치
KR200343981Y1 (ko) 2003-12-02 2004-03-06 황경수 자동차의 차체 패널의 판금장치
KR20080101323A (ko) * 2007-05-17 2008-1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측면 부재에 대한 홀 가공장치
KR20130006078A (ko) 2011-07-08 2013-01-16 홍동우 수지접착식 자동차용 판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84411U (ja) 板金用引出し具
CN107971682A (zh) 夹具快换装置
KR200485692Y1 (ko) 다기능 차량 판금 장치
CN210754583U (zh) 一种五金手啤机
CN104907995B (zh) 工件安装与拆卸装置及其安装与拆卸方法
KR101684783B1 (ko) 밴드 클램프 체결장치
KR101767562B1 (ko) 볼트 자동 용접장치
CN205949574U (zh) 扁钢煨弯装置
CN204700822U (zh) 工件安装与拆卸装置
CN204638925U (zh) 一种窗帘罗马圈铆合机
CN202984570U (zh) 一种铆接夹具
CN205128756U (zh) 一种端板铆合机
JP2006315039A (ja) タワー型金属部材修正装置
CN208374792U (zh) 锁定机构及具有其的夹具
JP2008115689A (ja) 床および壁が交わる突角コーナー用の床敷材コーナーピース、取付け器具、ならびに取付け方法
CN105818093B (zh) 一种多规格固态组件通用拔取器
CN210188373U (zh) 快速冲压铆接装置
CN201169682Y (zh) 用于针车的脚踏式倒缝控制装置
CN207240072U (zh) 汽车内饰件翻边梅花卡簧的安装工装
CN201301203Y (zh) 一种托盘搬运车操作手柄
CN206148782U (zh) 一种适用于大型折弯复合母排的卧式铆接装置
CN216780208U (zh) 一种用于导流罩与扩散器固定的扣铆机
CN212330892U (zh) 卡爪安装振动装置的拔轮器
CN205322721U (zh) 助行轮椅扶手的升降定位装置
CN211570108U (zh) 沙发坐板蒙布拉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