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32B1 -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32B1
KR102027832B1 KR1020180002650A KR20180002650A KR102027832B1 KR 102027832 B1 KR102027832 B1 KR 102027832B1 KR 1020180002650 A KR1020180002650 A KR 1020180002650A KR 20180002650 A KR20180002650 A KR 20180002650A KR 102027832 B1 KR102027832 B1 KR 10202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ol
weight
pres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649A (ko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8000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28Tool bala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를 홀딩하기 위한 공구고정대와, 상기 공구고정대에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다관절 연결구와, 상기 다관절 연결구에 힌지 결합되고 지주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가 끼워져 승하강가능토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건물의 벽에 전기톱이나 드릴같은 무거운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 및 컷팅작업을 할 때 이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무게추에 의해 밸런스를 잡아줌으로써 무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톱을 사용해 수평과 수직으로 벽을 절단하는 경우는 지그처럼 전기톱을 수직과 수평으로 반듯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정밀하게 벽면을 절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Device for assisting when works using tool}
본 발명은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다양한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또 무거운 공구를 무게추를 이용해 밸런스를 잡아줌으로써 무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벽면에 전기톱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컷팅작업을 할 때 이를 지그처럼 보조해줌으로써 벽면 절단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각종 구조물에 홀을 가공하는가 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공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작업자가 장시간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무거운 공구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릴, 리벳해머 또는 네일건 등의 공구는 작업자가 손으로 들 수 있긴 하지만, 비교적 무거운데다 사용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견디기 위해 작업자가 많은 힘을 가하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구를 장시간 사용하면 그 무게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시의 반발력으로 인해 근골격계의 손상이 초래될 위험이 아주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5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릴을 상부에 탑재하여 드릴의 위치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홀 가공의 정확도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드릴 리프트 지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그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때마다 작업자 또는 그의 보조자가 이동대차를 움직여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리고 드릴은 전체가 아닌 전방 부분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 때 여전히 많은 힘을 들여서 드릴을 홀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0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라브에 앵커를 타정하게 되는 해머드릴을 지면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 조절 서포터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공구의 무게만 지탱해줄 뿐 수직 및 수평 절단과 같이 정밀한 작업까지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아니다. 예를 들면 기존 콘크리트벽면에 문을 새로 형성하고자 할 때는 전기톱을 사용해 수평과 수직으로 벽을 절단해야 하는데 이를 들고 작업자가 수직과 수평으로 반듯하게 절단한다는 것도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50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08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벽에 전기톱이나 드릴같은 무거운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 및 컷팅작업을 할 때 이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무게추에 의해 밸런스를 잡아줌으로써 무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톱을 사용해 수평과 수직으로 벽을 절단하는 경우는 지그처럼 전기톱을 수직과 수평으로 반듯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매우 정밀하게 벽면을 절단할 수 있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를 홀딩하기 위한 공구고정대와, 상기 공구고정대에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다관절 연결구와, 상기 다관절 연결구에 힌지 결합되고 지주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가 끼워져 승하강가능토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레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부의 내측 상하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주는 지주 상단을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고정부와, 지주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하단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고정부는 체결구에 의해 벽면에 결합되는 보강대 또는 유압고정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단고정부는 유압고정잭 또는 바퀴로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지주결합수단과 상기 지주결합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판체와 상기 판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구고정대는 일단에 공구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이 형성되고, 타단에 공구를 얹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절 연결구는 상기 공구고정대에 힌지결합되는 제1관절연결바와 상기 제1관절연결바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높이조절부에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2관절연결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에 얹혀 일단은 높이조절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무게추에 결합되는 견인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밸런스조절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벽에 전기톱이나 드릴같은 무거운 공구를 이용하여 홀 가공 및 컷팅작업을 할 때 이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무게추에 의해 밸런스를 잡아줌으로써 무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엇보다 전기톱을 사용해 수평과 수직으로 벽을 절단하는 경우는 지그처럼 전기톱을 수직과 수평으로 반듯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정밀하게 벽면을 절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보강대와 물분사공급장치가 추가된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유압고정잭을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유압고정잭이 추가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보강대와 물분사공급장치가 추가된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유압고정잭을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작업용 보조장치에 유압고정잭이 추가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는 공구를 홀딩하기 위한 공구고정대(10)와, 상기 공구고정대(10)에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다관절 연결구(20)와, 상기 다관절 연결구(20)에 힌지축 결합되고 지주(40)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30)와,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끼워져 승하강가능토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주(40)와, 상기 지주(40)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구고정대(10)는 건물벽(3)에 홀(4)을 가공할 수 있는 햄머드릴 및 벽면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톱 등과 같은 공구(5)를 홀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공구들을 홀딩하기 위해 일측에는 공구(5)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11)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관절 연결구(20)와 연결하기 위한 고정브라켓(B)이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공구고정대(10)에는 공구(5)를 걸어서 사용하기 위한 공구걸이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관절 연결구(20)는 상기 공구(5)가 결합된 공구고정대(10)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공구고정대(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 구성되어 있는 제1관절연결바(21)와 상기 제1관절연결바(2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 구성되어 있는 제2관절연결바(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관절연결바(22)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와 힌지결합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절연결바(21), 제2관절연결바(22)는 각각 양단부에 고정브라켓(B,B')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공구고정대(10)와 제1관절연결바(21)의 연결구조는 상기 공구고정대(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과 상기 고정브라켓(B)에 대응되는 제1관절연결바(21)에 일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이 힌지축(H)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관절연결바(21)와 제2관절연결바(22)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1관절연결바(21)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과 상기 제2관절연결관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이 힌지축(H)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절연결바(22)와 높이조절부(30)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2관절연결바(22)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과 상기 높이조절부(3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이 힌지축(H)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관절연결바(21), 제2관절연결바(22)는 설명의 편의상 2개로 한정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관절연결바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연결구조는 동일할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지주(40)를 따라 승하강 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높이조절부(30)에 다관절 연결구(2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다관절 연결구(20)와 높이조절부(30)의 연결은 다관절 연결구(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과 상기 높이조절부(3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B')이 힌지축(H)에 의해 힌지결합 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높이조절부(30)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고정레버(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레버(31)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이어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높이조절부(30)를 고정레버(31) 등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다관절 연결구(20)에 홀딩된 공구가 수평으로만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공구로 전기톱을 사용하는 경우는 지그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평으로 벽면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톱의 경우는 일단 처음 절단홈을 형성하게 되면 자체 무게에 의해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벽면을 절단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역시 별도의 지그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직으로 벽면을 반듯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30)의 내부에 부싱(32)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부싱(32)은 높이조절부(30) 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하여 부싱(32)의 상단과 하단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즉 부싱(32)은 높이조절부(3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지주(40)에 마찰력이 높아져서 높이조절부(30)이 승하강함에 있어 원활치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있어 지주(40)는 높이조절부(3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공구의 무게를 견뎌야 하는 등 중심축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주(40)는 지지수단에 의해 지탱되는데, 상기 지지수단은 지주(40)가 공구를 홀딩한 상태라 하더라도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으로 지주결합수단(51)과 상기 지주결합수단(51)의 일측에 형성된 판체(52)와 상기 판체(52)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량체(5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주결합수단(51)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는 원통체로 이루어질수도 있고, 상기 관통공에 지주(40)를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53)는 지주(40)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역시 무게추와 같이 작업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멘트나 벽돌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체(52)의 하부에는 지주(40)와 중량체(53)의 이동 편리성을 위해 바퀴(5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퀴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퀴의 일측에는 받침대(55)를 형성하여 브레이크를 대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으로 지주(40) 상단을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고정부(60)와, 지주(40)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하단고정부(5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고정부(60)는 콘크리트앵커볼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구에 의해 벽면에 결합되는 보강대(61) 또는 유압고정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단고정부(50)는 유압고정잭(50a) 또는 바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단고정부(60)와 하단고정부(50)에 의해 지주(40)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밸런스조절부(70)는 상기 지주(4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레(71)와, 상기 도르레(71)를 통해 양방향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높이조절부(30)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공구(5)가 적정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무게추(73)에 장착되는 견인와이어(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르레(71)를 중심에 두고 공구의 무게에 해당하는 무게추(73)를 높이조절부(30) 반대편에 걸어줌으로써 작업자에게 느껴지는 공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무게추(73)는 바스켓과 같은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에 작업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벽돌이나 시멘트와 같은 중량물을 채워넣어 공구의 무게와 맞춰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무게추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물분사공급장치(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공구(5)를 이용하여 건물 벽(3)에 홀(4) 또는 절단가공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물분사공급장치(80)는 상기 지주(4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레(81)와 상기 도르레(81)를 통해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하단고정부(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통(83)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82)와, 상기 물통(83)에 연결되어 벽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호스(8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바닥부 2: 천정부
3: 벽부 4: 홀
5: 공구 B,B': 고정브라켓
H: 힌지축 T: 통공
10: 고정공구대 11: 결속끈
20: 다관절 연결구 21: 제1관절연결바
22: 제2관절연결바
30: 높이조절부 31: 고정레버
32: 부싱 33: 보조연결바
40: 지주 50: 하단고정부
50a: 유압고정잭 51: 지주결합수단
52: 판체 53: 중량체
54: 바퀴 55: 받침대
60: 상단고정부 61: 보강대
70: 밸런스조절부 71: 도르래
72: 견인와이어 73: 무게추
80: 물분사공급장치 81: 도르레
82: 견인와이어 83: 물통
84: 호스

Claims (10)

  1. 공구를 홀딩하기 위한 공구고정대와, 상기 공구고정대에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다관절 연결구와, 상기 다관절 연결구에 힌지 결합되고 지주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가 끼워져 승하강가능토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주에 끼워져 지주를 중심축으로 승하강 및 회전가능토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에는 높이조절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레버가 형성되고, 내측 상하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쌍의 부싱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측에는 힌지축(H)에 의해 다관절 연결구가 결합되되, 상기 다관절 연결구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지주에는 지주의 상단을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고정부와 지주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하단고정부를 구비되되 상기 상단고정부는 체결구에 의해 벽면에 결합되는 보강대 또는 유압고정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는 도르레를 설치하되, 상기 도르레에 얹혀 일단은 높이조절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무게추에 결합되는 견인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밸런스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02650A 2018-01-09 2018-01-09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10202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50A KR102027832B1 (ko) 2018-01-09 2018-01-09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50A KR102027832B1 (ko) 2018-01-09 2018-01-09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49A KR20190084649A (ko) 2019-07-17
KR102027832B1 true KR102027832B1 (ko) 2019-11-04

Family

ID=6751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50A KR102027832B1 (ko) 2018-01-09 2018-01-09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458B1 (ko) 2022-09-23 2023-07-11 안택근 다관절 드릴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47Y1 (ko) * 2005-01-20 2005-05-06 박점옥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7846A (ja) * 1991-08-15 1993-12-21 Takachiho Koeki Kk 締めつけ工具用補助アーム及び締めつけ装置
KR101804261B1 (ko) * 2016-03-23 2017-12-04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47Y1 (ko) * 2005-01-20 2005-05-06 박점옥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458B1 (ko) 2022-09-23 2023-07-11 안택근 다관절 드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49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034B1 (en) Door mounting apparatus
US20060186281A1 (en) Portable articulating tool support
JP3892029B2 (ja) 床面仕上げ装置
KR102027832B1 (ko)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CN111270839A (zh) 柔性转弯的地面处理机器人
US3703269A (en) Adjustable support beam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CN111287433A (zh) 连接支架及地面整平机器人
US3570606A (en) Portable tool mount
WO2019030590A1 (en) RAIL TOOL CARRIER
CN211736503U (zh) 一种建筑机械用支撑架
CN211286535U (zh) 一种用于室内砌筑、抹灰施工的移动操作平台
CN212534966U (zh) 连接支架及地面整平机器人
CA2497753C (en) Portable articulating tool support
JP2007154643A (ja) 自走式処理装置
KR102664102B1 (ko) 시스템 동바리 핸들링 장치
CN215520122U (zh) 一种使用便捷的建筑施工用移动施工支架
CN214989862U (zh) 一种可移动轻量化设计的阳台吊车
JPH0930771A (ja) 側溝蓋の移動装置
JP4039559B2 (ja) 解体機械
CN208578037U (zh) 一种桩身预埋装置
CN213115404U (zh) 吊顶/墙壁上板装置
KR101401376B1 (ko) 휴대용 금속기와 절곡 및 절단 장치
CN213574128U (zh) 一种隧道工程钢拱架定位辅助装置
CN212893611U (zh) 一种建筑用悬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