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47Y1 -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47Y1
KR200383547Y1 KR20-2005-0001778U KR20050001778U KR200383547Y1 KR 200383547 Y1 KR200383547 Y1 KR 200383547Y1 KR 20050001778 U KR20050001778 U KR 20050001778U KR 200383547 Y1 KR200383547 Y1 KR 200383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rail portion
vertical rail
weight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옥
Original Assignee
박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옥 filed Critical 박점옥
Priority to KR20-2005-0001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6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with electr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를, 작동과 이동 및 취급과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콤팩트한 임팩트렌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60)가 장착된 베이스(2)상에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고 상단에 안내로울러(5)를 형성한 수직레일부(7)와, 상기 수직레일부(7)배면으로 상기 수직레일부(7)에 수용되고 관절부(B)를 갖는 임팩트적재틀(11)이 전방으로 장착하여 상기 수직레일부(7)에서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8)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레일부(7) 상단에 위치한 안내로울러(5)를 경유한 와이어줄(10)과 연결되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중량추(9)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전방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힌지(13)연결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레일부(14)와 상기 전후레일부(14)에 수용되어 전후로 레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15)와, 상기 전후이동부재(15)상면에 임팩트랙치(A)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코일스프링(16)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임팩트랙치(A)를 수용하는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AID DEVICE OF IMPATC WRENCH}
본 고안은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인 임팩트렌치와 동일한 중량물인 중량추와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여 중량물인 임팩트렌치를 힘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임팩트렌치(impact wrench)는 압축공기등을 이용하여 충격적으로 너트를 체결하고 푸는 작업공구의 하나이다.
이는 일 예로 차량조립라인이나 차량정비센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차축의 디스크에 휠을 장착하거나 디스크에 장착된 휠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임팩트렌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너트(또는 볼트)를 풀고 조이는 것으로 그 중량이 15kg이상이기 때문에 작업공구인 임팩트렌치를 들어올려 반복적으로 작업하기엔 무리가 따르기 쉽고 무더운 하절기엔 더욱 작업하기가 곤란한 것이었으며, 특히 임팩트렌치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더욱 작업이 곤란하고 안전사고에 주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하여 이를 해결할양으로 종래 공개번호 특2001-0067581호 에서는 도시한 제 1,2도와 같이 구성하였다.
이동 가능한 바디(10) 이 바디상부에 상하좌우로의 선회가 자유로운 연결부재(12)상에 다수개의 링크(22)가 신축되도록 x자형으로 연속하여 연결된 이 x자형일측 끝단에 중량공구를 체결하고 타측 끝단에 상기 중량공구(30)의 중량과 상응하도록 가감시킬 수 있는 균형추(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팩트렌치 보조장치는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x자형 링크(22)등으로 구성하였다.
그 작업과정은 임팩트렌치 보조장치를 작업위치(차량에 체결된 타이어)의 주변에 위치후 x자형 링크(22)에 체결된 작업공구를 타이어의 볼트부에 인접시키면 도 2와 같이 상기 x자형 링크가 연장된다.
이 연장과 동시에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균형추(34)또한 연장된다.
이와 같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넓은 공간확보를 요구하는 문제점과 양쪽(링크)에 15kg이상의 중량을 지지해야하는 x자형은 그 들을 지지하기 위해 휘여지지않는 강판(두께포함)으로 재작해야함으로서 기기(1)전체중량 및 장기간사용으로 휨(x자형전체)이 발생되는 등 기기불작동(에어기기인 작업공구는 진동에 의해 관절로 연결된 x자형은 그 진동에 따라 짧은 시간에 마모된다 할 수 있음)을 감안해 볼 때 정비보조기기로서는 문제점이 있다 하겠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작동과 이동 및 취급과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콤팩트한 임팩트렌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60)가 장착된 베이스(2)상에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고 상단에 안내로울러(5)를 형성한 수직레일부(7)와, 상기 수직레일부(7)배면으로 상기 수직레일부(7)에 수용되고 관절부(B)를 갖는 임팩트적재틀(11)이 전방으로 장착하여 상기 수직레일부(7)에서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8)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레일부(7) 상단에 위치한 안내로울러(5)를 경유한 와이어줄(10)과 연결되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중량추(9)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전방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힌지(13)연결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레일부(14)와 상기 전후레일부(14)에 수용되어 전후로 레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15)와, 상기 전후이동부재(15)상면에 임팩트랙치(A)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코일스프링(16)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임팩트랙치(A)를 수용하는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임팩트렌치의 중량과 동일한 중량의 중량추와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동성, 취급성, 작업성,작업공간확보성을 감안하여 콘팩트한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60)가 장착된 베이스(2)상에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고 상단에 안내로울러(5)를 형성한 수직레일부(7)와, 상기 수직레일부(7)배면으로 상기 수직레일부(7)에 수용되고 관절부(B)를 갖는 임팩트적재틀(11)이 전방으로 장착하여 상기 수직레일부(7)에서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8)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레일부(7) 상단에 위치한 안내로울러(5)를 경유한 와이어줄(10)과 연결되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중량추(9)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전방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힌지(13)연결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레일부(14)와 상기 전후레일부(14)에 수용되어 전후로 레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15)와, 상기 전후이동부재(15)상면에 임팩트랙치(A)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코일스프링(16)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임팩트랙치(A)를 수용하는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로 구성된다.
상기 중량추(9)는 임팩트랙치(A)의 중량이 다양함으로 상기 중량추(9)의 중량이 각각 다른 다수의 중량추(9',9",9"'.9"")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좌'우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수개의 관절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는 전방으로 양'지지대(25)가 형성되고, 상기 양,지지대(25)끝단에 나선을 가변하면 그 가변여부에 따라 수평이 조절되는 나선부(25")가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양'지지대(25)중 일측 지지대(25')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을 경우 공구등을 이용하여 나선부(25")를 나선조임하여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미부호 설명 100은 기기이동시 편리하도록 하는 손잡이이며 101은 커버이고, 50은 수직레일부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로울러이다.
실시예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60)가 장착된 베이스(2)상에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고, 상단에 안내로울러(5)를 형성한 수직레일부(7)와 상기 수직레일부(7)배면으로 상기 수직레일부(7)에 수용되고 관절부(B)를 갖는 임팩트적재틀(11)이 전방으로 장착하여 상기 수직레일부(7)에서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8)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레일부(7) 상단에 위치한 안내로울러(5)를 경유한 와이어줄(10)과 연결되어 바란스를 유지하는 중량추(9)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전방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힌지(13)연결된 상기 임팩트적재틀(11)과,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레일부(14)와 상기 전후레일부(14)에 수용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15)와, 상기 전후이동부재(15)상면에 임팩트랙치(A)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코일스프링(16)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임팩트랙치(A)를 수용하는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로 구성되도록 기계가공 후 조립한다.
그 후 임팩트랙치(A)을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에 수용한 후 임팩트랙치와, 임팩트적재틀(11)과, 전후이동부재(15)및 상'하이동부재(8)의 중량과 동일하도록 중량추(9)를 설정한다. 즉 바란스를 유지시킨다.
상기 중량추(9)는 중량이 각각 다른 다수의 중량추(9'9"9"'9"")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선택하여 설정하면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 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를 정비하려는 차량바퀴를 인접한 후 임팩트렌치의 손잡이 등을 잡고 상하 이동하면 와이어로 연결되어 밸런스 유지하는 중량추 또한 상하 이동한다. 즉 적은 힘으로도 그 임팩트렌치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임팩트랙치(A)를 수평으로 이동할 경우는 임팩트적재틀(11)에 수용된 전후이동부재(15)가 전'후 레일 이동함으로 가능한 것이다.
즉 임팩트렌치 보조장치를 정지한 상태에서 전'후'좌'우 자유로이 움직임이 가능하여 차량바퀴를 분리하는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임팩트렌치를 상'하'좌'우'전'후 자유롭게 움직여서 통상적인 임팩트렌치 작동방법으로 타이어의 휠에 체결된 볼트를 조임하거나 분리하면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신축성을 갖는 X자형 링크(22)로 구성함으로서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과 양쪽으로 15KG이상의 중량을 지지해야 하는 X자형은 그 들을 지지하기 위해 휘여지지않는 강판(두께포함)으로 제작해야 함으로서 가격상승요인과, 또한 기기(1)중량에 따라 이동에 문제점이 있으며, 그리고 장기간 사용으로 휨(X자형 전체)이 발생되는 등 기기불작동(에어기기인 임팩트렌치의 진동에 의해 관절로 연결된 X자형은 그 진동에 따라 짧은 시간에 마모되는 등이 있음 포함) 감안해 볼 때,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는 밸런스를 유지하는 연결수단이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그 작동이 부드럽고 콤팩트하여 필요 이상의 작업공간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이동과 취급에 편리하고
임팩트적재틀(11)에서 임팩트랙치를 장착한 전후이동부재(15)가 레일 이동함으로써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며 원가면에서 저렴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임팩트적재틀(11)이 수개의 관절부(20)를 같도록 함으로써 자유롭게 절곡됨으로 전'후,좌,후이동이 편리하다.
그리고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를 갖도록 함으로써 임팩트랙치 착탈이 용이하는등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제 1도는 종래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 2도는 종래의 발명에서 암을 수축되게 접은 상태의 평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의 측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의 사시도
제 6도는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 7도는 본 고안의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 5. 안내로울러 7. 수직레일부
8. 상'하이동부재 9. 중량추 10. 와이어
11. 임팩트적재틀 13. 힌지 14. 전'후레일부
15. 전'후이동부재 16. 코일스프링 17. 임팩트수용부재
A. 임팩트랙치

Claims (4)

  1.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60)가 장착된 베이스(2)상에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고 상단에 안내로울러(5)를 형성한 수직레일부(7)와, 상기 수직레일부(7)배면으로 상기 수직레일부(7)에 수용되고 관절부(B)를 갖는 임팩트적재틀(11)이 전방으로 장착하여 상기 수직레일부(7)에서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8)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레일부(7) 상단에 위치한 안내로울러(5)를 경유한 와이어줄(10)과 연결되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중량추(9)와, 상기 상'하이동부재(8)전방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힌지(13)연결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레일부(14)와 상기 전후레일부(14)에 수용되어 전후로 레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15)와, 상기 전후이동부재(15)상면에 임팩트랙치(A)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코일스프링(16)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임팩트랙치(A)를 수용하는 임팩트랙치수용부재(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9)는 임팩트랙치(A)의 중량이 다양하므로 상기 중량추(9)의 중량이 각각 다른 다수의 중량추(9',9",9"'.9"")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적재틀(11)은 전,후,좌'우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수개의 관절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는 전방으로 양'지지대(25)가 형성되고, 상기 양,지지대(25)끝단에 나선을 가변하면 그 가변여부에 따라 수평이 조절되는 나선부(25")가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KR20-2005-0001778U 2005-01-20 2005-01-20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KR200383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778U KR200383547Y1 (ko) 2005-01-20 2005-01-20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778U KR200383547Y1 (ko) 2005-01-20 2005-01-20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47Y1 true KR200383547Y1 (ko) 2005-05-06

Family

ID=4368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778U KR200383547Y1 (ko) 2005-01-20 2005-01-20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49A (ko) * 2018-01-09 2019-07-17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49A (ko) * 2018-01-09 2019-07-17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KR102027832B1 (ko) * 2018-01-09 2019-11-04 강민성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773B2 (ja) ねじ締結作業用ジグ装置
JP6963867B2 (ja) 多目的プラットフォーム
US20090049969A1 (en) Workpiece-Advancing Device for a Wood Cutting Apparatus
DE502006004958D1 (de) Greifwerkzeug mit linear beweglicher Greifvorrichtung für einen Roboter
CN212125000U (zh) 用于车用踏板的驱动组件和用于车辆的脚踏组件
CA2538275A1 (e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US7231993B2 (en) Drive track support with vibration isolation
KR200383547Y1 (ko)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EP3509978B1 (en) Apparatus for the reparation of post-collision, damaged or under maintenance vehicles
CA2446992A1 (en) Truck for railroad car
US8113526B2 (en) Linear travel suspension system
JP2017203258A (ja) 移動枕木穿孔機
CA3061397C (en) Tracked vehicle
KR200309064Y1 (ko) 임팩트렌치용 보조장치.
EP1922971B1 (en) A vacuum having wheels and shock absorbing features
CN110406340A (zh) 移动底盘和机器人
KR102286392B1 (ko)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ATE440019T1 (de) Aufhängungseinheit und industriefahrzeug damit
JP6875327B2 (ja) 作業機
CN108944692A (zh) 一种减震踏板
CN213085224U (zh) 一种新型起重机可调节支架
CN110203029A (zh) 移动底盘和机器人
JP3712042B2 (ja) 作業台
CN219324984U (zh) 一种抗弯横梁
US6711795B1 (en) Device to remove joint from axl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