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196A -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196A
KR20170107196A KR1020160030810A KR20160030810A KR20170107196A KR 20170107196 A KR20170107196 A KR 20170107196A KR 1020160030810 A KR1020160030810 A KR 1020160030810A KR 20160030810 A KR20160030810 A KR 20160030810A KR 20170107196 A KR20170107196 A KR 2017010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ray
housing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6003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196A/ko
Priority to CN201710093869.9A priority patent/CN107196087A/zh
Priority to TW106107784A priority patent/TWI616035B/zh
Publication of KR2017010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된 트레이를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구비된 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를 비스듬하게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트레이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구비된 접속단자에 걸리지 않게 되어, 접속단자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with Function of Preventing Card from being Caught by Contact}
본 발명은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삽입된 트레이를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구비된 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규격과 형상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그 크기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에 삽입되어 내부의 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서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하여 카드의 형상 별로 각각 다른 소켓을 단말기에 구비하게 되면, 제품의 단가가 상승됨은 물론,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트레이가 소켓에서 비스듬하게 탈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가 소켓의 제 1 단자에 충돌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소켓에 구비되는 제 2 단자가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소켓(10)은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내부에 실장된다. 트레이(20)에는 그 전방과 후방에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각각 안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트레이(20)가 소켓(10)에 삽입되면,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소켓(10)에 구비된 제 1, 2 단자(12, 14)에 각각 접촉된다.
한편, 트레이(20)를 소켓(10)에서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트레이(20)가 비정상적으로 비스듬하게 탈거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때, 소켓(10) 외부로 배출되는 트레이(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트레이(20)의 비스듬해지는 각도는 점차 커지게 되며, 트레이(20)에 수용된 제 1 카드(c1)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접촉부(C1a)는 트레이(20)를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제 2 단자(14)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제 1 카드(c1)의 접촉부(C1a)의 테두리 즉, 엣지(Edge) 부분이 제 2 단자(14)와 충돌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단자(14)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4a)와, 연결부(14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 즉, 제 1 연결단자(14b)와 제 2 연결단자(14c)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단자(14b)는 트레이(2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4b-1)와, 제 1 돌출부(14b-1)의 상단에서 그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14b-2)를 갖는다. 제 2 연결단자(14c)는 제 1 돌출부(14b-1)와 마주보도록 트레이(2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 1 돌출부(14b-1)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14c-1)와, 제 2 돌출부(14c-1)의 상단에서 그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그 단부(14c-3)가 제 1 돌출부(14b-1)의 단부(14b-3)보다 안쪽에 위치되도록 일정거리(d1)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부(14c-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슬라이딩부(14c-2)의 하부로 경사지는 각도는 85°정도밖에 되지 않아, 제 2 단자(14)의 제 2 슬라이딩부(14c-2)가 제 1 카드(c1)의 접촉부(C1a)에 충돌되면, 제 2 슬라이딩부(14c-2)가 제 1 카드(c1)의 접촉부(C1a)에 걸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무리하게 트레이(20)를 탈거시키게 되면, 제 2 단자(14)의 형상이 도 3과 같이 심하게 변형되어, 접속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8,734,188 B2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삽입된 트레이를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구비된 단자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갖는 단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제 2 연결단자의 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서 외부로 탈거될 때,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와 상기 제 2 연결단자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를 갖는 상기 제 1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의 측방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경사지는 제 2 슬라이딩부를 갖는 상기 제 2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탈거될 때,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복수 개의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전방에서 후방으로 복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 위치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전방에 위치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일반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하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1 라인과, 상기 제 1 라인과 45°가 되도록 상기 접촉부의 하면의 테두리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2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가 상기 접속단자에 걸리도록 위치될 때,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 사이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드수용부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구비되는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의 저면에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상기 단자판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1 단자노출부와 제 2 단자노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수용부의 저부에는 제 3 카드가 상기 단자판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3 단자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 및 상기 제 3 카드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 수용부 또는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및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양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이스와 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된 트레이를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를 비스듬하게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트레이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구비된 접속단자에 걸리지 않게 되어, 접속단자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단자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를 각각 구비하되, 제 2 연결단자의 단부가 제 1 연결단자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카드의 접촉부가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드를 트레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카드 이외의 다른 카드를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 개의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트레이가 소켓에서 비스듬하게 탈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가 소켓의 제 1 단자에 충돌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소켓에 구비되는 제 2 단자가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3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에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촉부가 충돌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1 접속단자에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촉부가 충돌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100) 및 트레이(200)를 포함하며, 이젝트수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각종 카드를 안착시켜서 카드가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카드는 복수 개의 카드,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제 2 카드(C2: 도 6 도시) 및 제 3 카드(C3)를 포함하며,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는 SIM 카드, SD 카드, Micro SD 카드 등으로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젝트수단(300)은 외부 가압에 의하여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하우징(100), 트레이(200) 및 이젝트수단(300)의 세부 구조 및 이들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베이스(110)외 커버(120) 사이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공간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단자판(150), 리테이너(140) 및 이젝트수단(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10)와 커버(120)는 경우에 따라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의 전방은 폐쇄되어 전측부(112)가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의 후방은 개방되어 개방부(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트레이(200)는 개방부(114)를 거쳐 하우징(100)의 공간부(130)로 삽입되며, 이어서 전측부(112)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방이라 함은 전측부(112)와 가까이 위치되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이라 함은 개방부(114)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베이스(110)는 트레이(200)의 삽입부(202)의 하부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그 전방에 상기 전측부(112)가 형성된다. 커버(120)는 베이스(110)의 상부를 커버(120)하는 것으로, 트레이(200)의 삽입부(202)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와 커버(120) 사이의 공간 즉, 공간부(130)에 트레이(200)가 삽입된다.
단자판(150)은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베이스(11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접속단자(152),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2 카드(C2)의 제 2 접촉부(C2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접속단자(154),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3 카드(C3)의 제 3 접촉부(C3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3 접속단자(156) 및 제 1, 2, 3 접속단자(152, 154, 156)를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통부(158)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10)에는 제 1 접속단자(152)가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1 카드(C1)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단자노출부(110a), 제 2 접속단자(154)가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2 카드(C2)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단자노출부(110b) 및 제 3 접속단자(156)가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3 카드(C3)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3 단자노출부(110c)가 형성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단자판(150)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110)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140)는 베이스(110) 또는 커버(120)에 트레이(200)의 후술하는 걸림부(203) 방향으로 형성되어 트레이(200)의 이동을 제한시킨다. 이러한 리테이너(140)는, 베이스(110) 또는 커버(120)에서 걸림부(203)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절곡부(142)와,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절곡부(142)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144)의 걸림부(203)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결착부(146)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부(146)가 걸림부(203)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젝트수단(300)은 하우징(100)의 공간부(130)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이젝트바(310) 및 캠부(320)를 포함한다. 이젝트바(31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그 전방은 캠부(32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그 후방은 하우징(100)의 공간부(130)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캠부(320)는 하우징(100)의 전측부(112)에 형성되는 회전축(11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의 전방으로 삽입된 트레이(20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공간부(1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이젝트바(310)와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이젝트바(310)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이젝트바(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부(320)를 회전시켜서, 캠부(320)가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02)와, 트레이(200)의 삽입부(202)가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삽입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삽입부(202)의 외측에 형성되는 노출부(204)를 포함한다. 그리고 노출부(204)의 이젝트바(310)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출홀(204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삽입부(202)에는 각종 카드가 수용되도록 카드수용부(210)가 구비된다. 카드는 복수 개의 카드,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 도 7 도시)로 구성된다.
카드수용부(210)는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수용되도록 트레이(200)의 삽입부(202) 저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제 3 수용부(2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는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수용되도록 삽입부(20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 1 수용부(212)의 저면 및 제 2 수용부(214)의 저면에는 각각 개방되도록 제 1 개방부(213)와 제 2 개방부(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판(150: 도 5 도시)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152) 및 제 2 접속단자(154)가 제 1 개방부(213)와 제 2 개방부(215)를 통하여 제 1 카드(C1) 및 제 제 2 카드(C2)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3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수용부(210)에는 제 3 수용부(218)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수용부(214)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21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오목부(216)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C3)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218)가 구비된다. 즉, 오목부(216)의 하측에는 오목부(216)의 깊이만큼 걸림면부(217)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면부(217)에 제 3 수용부(2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카드(C3)가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될 때, 상기 제 3 카드(C3)는 상기 걸림면부(217)에 걸림 위치된다.
그리고 제 3 수용부(218)의 저부에는 제 3 개방부(219)가 구비되는데, 제 3 개방부(219)는 제 2 개방부(215)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제 3 접속단자(156)가 제 3 개방부(219)를 통하여 제 3 카드(C3)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멀티 카드,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를 구비하고,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를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제 1 카드(C1)와 제 3 카드(C3)를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와 제 3 수용부(218)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복수 개의 카드를 트레이(20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카드 이외의 다른 카드를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 개의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3 수용부(218)는 제 2 수용부(214)에 포개어지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3 수용부(218)는 제 1 수용부(212)에 포개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 중 선택되는 카드가 트레이(200)에 수용되도록 위치된 후,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면, 하우징(100)의 단자판(150)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152), 제 2 접속단자(154) 및 제 3 접속단자(156) 중 상기 카드와 대응되는 접속단자가 상기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제 1 접속단자(152) 내지 제 3 접속단자(156)의 형상은 이에 대응되는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드(C1) 및 제 3 카드(C3)는 심카드로 구성되며, 제 1 접속단자(152) 및 제 3 접속단자(156)는 심카드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드(C2)는 micro SD카드로 구성되며, 제 2 접속단자(154)는 micro SD카드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에서 외부로 탈거시킬 때,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트레이(200)가 비정상적으로 비스듬하게 탈거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때,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는 트레이(20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트레이(200)의 비스듬해지는 각도는 점차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트레이(200)의 전측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는 트레이(200)를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제 3 접속단자(156)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 즉, 엣지 부분이 제 3 접속단자(156)와 충돌하게 된다.
이하, 제 3 접속단자(156)의 형상 및 트레이(200)가 탈거될 때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가 제 3 접속단자(156)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카드(C1) 및 제 3 카드(C3)가 수용된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면, 제 3 접속단자(156)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 3 카드(C3)의 제 3 접촉부(C3a)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3 접속단자(156)는 연결부(156a), 제 1 연결단자(156b) 및 제 2 연결단자(156c)를 포함한다. 연결부(156a)는 제 3 접촉부(C3a)와 대향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단자(156b)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156a)에서 제 3 접촉부(C3a)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제 1 돌출부(156b-1)와, 상기 제 1 돌출부(156b-1)의 단부에서 제 3 접촉부(C3a)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156b-2)를 포함한다. 제 2 연결단자(156c)는 제 1 연결단자(156b)와 마찬가지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156a)에서 상기 제 1 돌출부(156b-1)와 나란하도록 제 3 접촉부(C3a)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돌출부(156b-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단부 즉, 제 2 단부(156c-3)가 상기 제 1 돌출부(156b-1)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156c-1)와, 상기 제 2 돌출부(156c-1)의 단부에서 제 3 접촉부(C3a)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156b-2)의 측방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경사지는 제 2 슬라이딩부(156c-2)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3 접속단자에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촉부가 충돌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배출될 때, 일반적으로 트레이(200)의 측부와 하우징(100)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 트레이(200)는 그 길이방향 절반 이상이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배출된 이후, 트레이(200)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된다. 이때, 트레이(200)의 전측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는 트레이(200)를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하우징(100)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 3 접속단자(156)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3 접속단자(156)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단자(156b)의 제 1 돌출부(156b-1)의 선단부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보다 그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제 1 연결단자(156b)의 제 1 슬라이딩부(156b-2)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제 3 접속단자(156)에 구비되는 제 2 연결단자(156c)의 제 2 돌출부(156c-1)의 선단부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보다 그 상부로 돌출되어 제 2 연결단자(156c)의 제 2 슬라이딩부(156c-2)는 일단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 즉, 엣지 부분에 충돌된다. 이때, 제 2 슬라이딩부(156c-2)는 그 단부가 제 1 슬라이딩부(156b-2)의 측방에 위치될 정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슬라이딩부(156c-2)는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며, 그 결과, 제 1 접촉부(C1a)는 안전하게 제 2 슬라이딩부(156c-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접촉부(C1a)의 하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1 라인(미도시)과, 상기 제 1 라인과 45°가 되도록 제 2 슬라이딩부(156c-2)와 만나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의 테두리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2 라인(미도시)을 형성한다. 그리고 트레이(200)를 따라 이동되는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가 제 3 접속단자(156)에 걸리도록 위치될 때, 제 1 슬라이딩부(156b-2)는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 사이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2 슬라이딩부(156c-2)는 제 1 슬라이딩부(156b-2)보다 비스듬하게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 사이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슬라이딩부(156b-2)와 제 2 슬라이딩부(156c-2) 모두 45°보다 작은 각도로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에 충돌되므로, 제 1 접촉부(C1a)는 제 1 슬라이딩부(156b-2)와 제 2 슬라이딩부(156c-2)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외부로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200)를 비스듬하게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트레이(200)에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부가 하우징(100)의 후방에 구비된 제 3 접속단자(156)에 걸리지 않게 되어, 제 3 접속단자(156)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00)의 측부와 하우징(100) 간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은 관계로, 트레이(200)는 배출되기 시작할 때에는 트레이(200)는 경사지지 않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똑바로 배출된다. 이때, 트레이(200)의 전측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는 하우징(100)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 1 접속단자(152)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제 3 접속단자(156)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 1 접속단자(152)는 종래 소켓(10: 도 2 도시)에 구비된 제 2 단자(14: 도 2 도시)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접속단자(152)는 후술하는 도 12의 제 1 접속단자(152': 도 12 도시)와 별도로 구분하기 위하여 일반단자라고 정의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의 제 1 접속단자에 트레이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촉부가 충돌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트레이(200)의 측부와 하우징(100)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때, 트레이(200)는 배출되기 시작할 때부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200)의 전측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촉부(C1a)는 트레이(200)를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하우징(100)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 1 접속단자(152')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접속단자(152')와 충돌한다.
이때, 제 1 접속단자(152')는 제 3 접속단자(156)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접속단자(152')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1 접속단자(152')는 연결부(152a')의 일측에 제 1 연결단자(152b')와 제 2 연결단자(152c')가 돌출 형성되되, 제 1 연결단자(152b')의 제 1 돌출부(152b-1')의 선단부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보다 그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제 1 연결단자(152b')의 제 1 슬라이딩부(152b-2')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단자(152c')의 제 2 돌출부(152c-1')의 선단부는 제 1 접촉부(C1a)의 하면보다 그 상부로 돌출되어 제 2 연결단자(152c')의 제 2 슬라이딩부(152c-2')는 일단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 즉, 엣지 부분에 충돌된다. 이때, 제 2 슬라이딩부(152c-2')는 그 단부 즉, 제 2 단부(152c-3')가 제 1 슬라이딩부(152b-2')의 측방에 위치될 정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슬라이딩부(152c-2')는 제 1 접촉부(C1a)의 테두리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며, 그 결과, 제 1 접촉부(C1a)는 안전하게 제 2 슬라이딩부(152c-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하우징 110: 베이스
110a: 제 1 단자노출부 110b: 제 2 단자노출부
110c: 제 3 단자노출부 112: 전측부
112a: 회전축 114: 개방부
120: 커버 130: 공간부
140: 리테이너 142: 절곡부
144: 지지부 146: 결착부
150: 단자판 152, 152': 제 1 접속단자
152a': 연결부 152b': 제 1 연결단자
152b-1': 제 1 돌출부 152b-2': 제 1 슬라이딩부
152c': 제 2 연결단자 152c-1': 제 2 돌출부
152c-2': 제 2 슬라이딩부 152c-3': 제 2 단부
154: 제 2 접속단자 156: 제 3 접속단자
156a: 연결부 156b: 제 1 연결단자
156b-1: 제 1 돌출부 156b-2: 제 1 슬라이딩부
156c: 제 2 연결단자 156c-1: 제 2 돌출부
156c-2: 제 2 슬라이딩부 156c-3: 제 2 단부
158: 연통부 200: 트레이
202: 삽입부 203: 걸림부
204: 노출부 204a: 인출홀
210: 카드수용부 212: 제 1 수용부
213: 제 1 개방부 214: 제 2 수용부
215: 제 2 개방부 216: 오목부
217: 걸림면부 218: 제 3 수용부
219: 제 3 개방부 300: 이젝트수단
310: 이젝트바 320: 캠부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갖는 단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제 2 연결단자의 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서 외부로 탈거될 때,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와 상기 제 2 연결단자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를 갖는 상기 제 1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의 측방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경사지는 제 2 슬라이딩부를 갖는 상기 제 2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탈거될 때,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를 누르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복수 개의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전방에서 후방으로 복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 위치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전방에 위치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일반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하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1 라인과, 상기 제 1 라인과 45°가 되도록 상기 접촉부의 하면의 테두리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제 2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가 상기 접속단자에 걸리도록 위치될 때, 상기 제 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 사이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용부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구비되는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의 저면에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상기 단자판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1 단자노출부와 제 2 단자노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수용부의 저부에는 제 3 카드가 상기 단자판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3 단자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 및 상기 제 3 카드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 수용부 또는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및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양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이스와 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KR1020160030810A 2016-03-15 2016-03-15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KR20170107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10A KR20170107196A (ko) 2016-03-15 2016-03-15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CN201710093869.9A CN107196087A (zh) 2016-03-15 2017-02-21 具有防止端子卡住功能的连接器装置
TW106107784A TWI616035B (zh) 2016-03-15 2017-03-09 具有防止端子卡住功能的連接器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10A KR20170107196A (ko) 2016-03-15 2016-03-15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96A true KR20170107196A (ko) 2017-09-25

Family

ID=5987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10A KR20170107196A (ko) 2016-03-15 2016-03-15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107196A (ko)
CN (1) CN107196087A (ko)
TW (1) TWI616035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KR101356078B1 (ko) * 2012-12-07 2014-01-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나노 심 카드용 소켓
CN203339404U (zh) * 2013-05-27 2013-12-1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连接电子卡的连接器
JP5798214B2 (ja) * 2013-06-17 2015-10-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ソケットのための接触端子
TWI524606B (zh) * 2013-07-26 2016-03-01 Sonetek Technology Corp Micro USB connector with card function
TWI525916B (zh) * 2013-09-23 2016-03-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抽屜座及具有該抽屜座之電子卡連接器
KR101627697B1 (ko) * 2014-08-12 2016-06-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TWM511139U (zh) * 2015-06-05 2015-10-21 Tai Sol Electronics Co Ltd 具有用來導引托盤的結構之卡片連接器
TWM512830U (zh) * 2015-06-17 2015-11-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子卡連接器
CN105207025B (zh) * 2015-10-14 2018-08-03 昆山捷皇电子精密科技有限公司 便于更换卡片的手机卡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96087A (zh) 2017-09-22
TW201735468A (zh) 2017-10-01
TWI616035B (zh)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JP5893915B2 (ja)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US8061608B2 (en) Card reader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US7804683B2 (e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US9246249B2 (en) Card connector for different specifications of electronic cards
KR102042082B1 (ko) 적층형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10511112B2 (en) Multi-portion connector for use with differently-sized cards
JP5824357B2 (ja) コネクタ
KR1020463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EP1508874B1 (en) Memory card connector
KR20160020011A (ko)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666851B1 (ko) 트레이의 혼용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1823332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커넥터 장치
KR101833722B1 (ko) 적층형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JP200520957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836312B1 (ko)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KR20170107196A (ko) 단자 걸림 방지를 위한 커넥터 장치
KR101774437B1 (ko) 통합단자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806248B1 (ko)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806107B1 (ko)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KR101633918B1 (ko) 오삽입 방지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US20090137139A1 (en) Fool-proof card connector
KR10184477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