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530A -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530A
KR20170103530A KR1020160026559A KR20160026559A KR20170103530A KR 20170103530 A KR20170103530 A KR 20170103530A KR 1020160026559 A KR1020160026559 A KR 1020160026559A KR 20160026559 A KR20160026559 A KR 20160026559A KR 20170103530 A KR20170103530 A KR 2017010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pair
seat
electric ca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425B1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엘 filed Critical (주)케이피엘
Priority to KR102016002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차체 프레임과 조향장치가 관절로 연결되고, 핸들의 조작을 통해 출발과 정지 및 속도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장 부분의 접철 구조를 통해 보드와 스쿠터로의 듀얼모드 전환이 가능한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카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이 장착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으로 위치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에서 전후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는 발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는, 승하강구동수단을 통해 상하 회전되며 접철되는 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3WAY ELECTRONIC CAR}
본 발명은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차체 프레임과 조향장치가 관절로 연결되고, 핸들의 조작을 통해 출발과 정지 및 속도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장 부분의 접철 구조를 통해 보드와 스쿠터로의 듀얼모드 전환이 가능한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카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제공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전동 스쿠터나 3륜 또는 4륜 오토바이로 불리기도 하고, 일반인은 물론이고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제3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이동하는 데도 사용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카의 일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카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 개의 휠(11)들에 의해 본체(10)가 지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휠(11)들을 진행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핸들(3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 상에는 탑승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40)가 부착되고,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에는 구동 및 이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 브레이크와 같은 제동장치, 기타 각종 편의장치들도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카는 배터리(2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0)의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지고,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이 조절되며,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일시 정지시키거나 전원 차단시 제동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요크의 일측에 라이닝판, 브레이크 패드 및 마찰판이 구비되어 모터의 일측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패드에는 모터의 키이축이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는 전동 스쿠터의 브레이크 해제 장치로서, 라이닝판과 마찰판의 사이에는 회동 조작에 따라 간격을 이격시켜서 브레이크 패드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양 선단에 형성시킨 조작레버가 결합된 전동 스쿠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카는 전동카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가 고정식이어서,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에서 탑승자의 올바른 자세 유지가 힘들어 착석이 불편하고, 자세가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보관은 물론이고 휴대 및 운반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카들은 출발, 정지 및 속도제어가 스로틀악셀 방식이나 레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여가활동으로서의 특별한 재미를 부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특별한 관심을 유발하지 못하는 획일화된 구조의 것이 대다수였던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방향의 3륜 구조를 이루어 무게중심을 향상된 차대를 구성하고, 차체 프레임과 핸들을 관절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회전이나 요철 발생시 바퀴의 상하 롤링이 유연하게 이루어져 주행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을 상하 또는 전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동카의 출발과 정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 상부에 시트가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 이용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 이용될 수 있는 듀얼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카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이 장착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으로 위치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에서 전후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는 발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는, 승하강구동수단을 통해 상하 회전되며 접철되는 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한 쌍의 전륜 각각의 좌우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전륜 각각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은, 상호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도록 각각의 일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지지링크가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전륜이 상호 연동하며 좌우 회전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역방향의 3륜 구조를 이루어 무게중심을 향상된 차대를 구성하고, 차체 프레임과 핸들을 관절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회전이나 요철 발생시 바퀴의 상하 롤링이 유연하게 이루어져 종래의 전동카에 비해 주행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핸들을 상하 또는 전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동카의 출발과 정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이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여가 활동으로써 전동카의 이용이 매우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차체 상부에 시트가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 이용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 이용될 수 있는 듀얼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평지나 오르막길 등의 장소에 구애 없이 전천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이하에서는 "전동카"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카(1)에 있어서, 바디프레임(10)과, 시트부(20)와, 핸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한 쌍의 전륜(10a)과 하나의 후륜(10b)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후술되는 상기 시트부(20)의 양측에서 전후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는 발받침부(1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부(20)는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전동카를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1)는 상기 시트부(20)가 상기 바디프레임 상부에서 승하강 구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시트부(20)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상부로 설치되는 차체커버와, 상기 차체커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쿠션을 제공하는 시트와, 상기 차체커버 및 상기 시트를 상하로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부(20)는 상기 승하강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가 승하강 되며 접철됨으로써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승하강구동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승하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전방으로 위치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 전동카의 방향 전환과 상기 전륜의 상하 롤링 제어는 물론, 출발과 정지 및 속도제어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한 쌍의 전륜(10a) 각각의 좌우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전륜(10a) 각각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프레임(31,3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31,32)이 상호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도록 각각의 일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지지링크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장착된 상기 한 쌍의 전륜은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31,32)의 조작에 따라 양측의 바퀴가 상호 연동하며 좌우 회전되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1)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전방의 양측에서 상호 일정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각각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관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관절프레임은 각각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핸들프레임(31,32)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전륜(10a) 각각의 바퀴의 유동에 따라 롤링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전륜은 각각의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한 쌍의 관절프레임 각각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31,32) 중 어느 하나의 핸들프레임을 당기게 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륜 중 상기 핸들프레임이 당겨진 방향에 대응하는 바퀴가 들려지며 상하로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31,32) 각각이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수평의 힌지축을 통해 각각 소정 각도만큼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본 발명 전동카의 출발과 정지 및 속도 제어가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의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핸들프레임이 승하강 또는 전후 회전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경우, 속도가 1단계식 증가하도록 하는 실시예와 출발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상기 핸들프레임을 하강시킨 경우 전동카가 출발하고, 상기 핸들프레임을 상승시킨 경우 전동카의 동력이 차단되어 중립 상태가 되도록 하는 실시예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핸들프레임에는 후륜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핸들프레임에는 속도가 1단계씩 증강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위치 등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1)는 경량이고, 컴팩트한 소형의 크기로 구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계단 등이 있는 장애물 지역은 물론,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동카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평지나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 등의 장소에 구애 없이 탑승자가 편한 자세로 안전하고 편안하게 전동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부를 상하 또는 전후 회전시키는 간편한 동작에 의해 전동카의 출발과 정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이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여가 활동으로써 전동카의 이용이 매우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작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전동카 10 바디프레임
10a 한 쌍의 전륜 10b 후륜
11 시트 12 발받침부
13 승하강구동수단 20 시트부
30 핸들부 31,32 한 쌍의 핸들프레임

Claims (3)

  1.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카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이 장착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으로 위치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에서 전후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는 발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는, 승하강구동수단을 통해 상하 회전되며 접철되는 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가 상승되는 경우 스쿠터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시트가 하강하는 경우 보드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한 쌍의 전륜 각각의 좌우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전륜 각각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은, 상호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도록 각각의 일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지지링크가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전륜이 상호 연동하며 좌우 회전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전방의 양측에서 상호 일정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각각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관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전륜은, 각각의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한 쌍의 관절프레임 각각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핸들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핸들프레임을 당긴 경우 당겨진 방향에 대응하는 바퀴가 들려지며 상하로 롤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3WAY 전동카.
KR1020160026559A 2016-03-04 2016-03-04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KR10185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59A KR101859425B1 (ko) 2016-03-04 2016-03-04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59A KR101859425B1 (ko) 2016-03-04 2016-03-04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30A true KR20170103530A (ko) 2017-09-13
KR101859425B1 KR101859425B1 (ko) 2018-05-23

Family

ID=5996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559A KR101859425B1 (ko) 2016-03-04 2016-03-04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94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62084A1 (it) 2006-10-30 2008-04-30 Piaggio & C Spa Veicolo rollante a tre ruote con due ruote anteriori sterzanti ed una ruota posteriore motrice
KR101251054B1 (ko) 2011-11-11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KR101531278B1 (ko) * 2015-02-04 2015-06-24 주식회사 케이씨모터스 자동 폴딩 전동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94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장치
US11267530B2 (en) 2017-11-23 2022-03-08 Lg Electronics Inc.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and movement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25B1 (ko)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278B1 (ko) 자동 폴딩 전동카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JP2007331515A (ja) フロント荷台三輪自転車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JP2001212181A (ja) 車椅子の段差乗り越え装置
JP3395007B2 (ja) 自走車
KR101859425B1 (ko) 듀얼모드 전환 차체 프레임을 갖는 역삼륜 전동카
CN201798860U (zh) 残疾人的多用途车辆
US9433545B2 (en) Wheelchair
JP4529543B2 (ja) 電動車椅子
US8132634B1 (en) Electronic steering assembly for dual motor vehicle
KR101859426B1 (ko) 전륜의 상하롤링 제어가 가능한 3way 전동카
JP2001063645A (ja) 車輪型移動体
KR101382633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차
JP2012076670A (ja) 乗用車両
JPH08154976A (ja) 段差走行輪を備えた走行車
JP6483790B1 (ja) 車椅子
CN106965888B (zh) 一种残疾人专用机动车
CN213008554U (zh) 漂移车
CN220404278U (zh) 一种履带式全地形电动椅
JPH052175Y2 (ko)
JP6483791B1 (ja) 車椅子
JP6892203B2 (ja) 車両
JP6518373B1 (ja) 車椅子
JPH1098932A (ja) 作業台車の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