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539A - 프론트 스톱 장치,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 - Google Patents
프론트 스톱 장치,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2539A KR20170102539A KR1020177022109A KR20177022109A KR20170102539A KR 20170102539 A KR20170102539 A KR 20170102539A KR 1020177022109 A KR1020177022109 A KR 1020177022109A KR 20177022109 A KR20177022109 A KR 20177022109A KR 20170102539 A KR20170102539 A KR 20170102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heet material
- corrugated cardboard
- roll
- inclination ang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1—Adaptations of c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5—Air blast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5—Air blast devices
- B65H29/246—Air blast devices acting on stacking devices
- B65H29/247—Air blast devices acting on stacking devices blowing on upperside of the she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4—Members oscillated in arcuate p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2—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31B2120/3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collapsible into a flat cond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65H2404/721—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2—Corrug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6—Cut-out, multi-layer, e.g. folded blanks o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다양한 시트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하면서 정지시켜, 시트가 앞으로 경사지거나 뒤로 경사지는 상태로 프론트 스톱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회피한다. 호퍼부 상에 수평의 반송 경로를 따라 송출되는 시트를 받아 그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프론트 스톱 장치로서, 시트(10)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완충 부재(101)와, 완충 부재(101)의 상단부,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3, 104)를 갖고, 완충 부재(101)는, 시트(10)의 전부를 받으면 오목면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여 시트(1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탄성 변형의 복원에 따라 시트(10)의 전부를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이 상하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완충 부재(101)는, 지지 부재(103, 104)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지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함기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골판지 상자를 집적 계수하고 배치(batch)로 하여 배출하는 카운터 이젝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프론트 스톱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적중(積重)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 상자를 제조하는 제함기에는, 그 최하류부에서 제함된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이하, 시트라고도 함)를 집적 계수하여 적중하고 소정 매수의 배치(batch)로 하여 배출하는 카운터 이젝터가 설비되어 있다. 이 카운터 이젝터는, 시트를 적중하는 호퍼를 갖고, 송출롤로부터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향하여 호퍼의 상방으로 송출된 시트의 반송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프론트 스톱(프론트 가이드판))에 의하여 정지시키고 호퍼 상에 낙하시켜 소정 매수 적중한다.
프론트 스톱에는, 호퍼 상에 대략 수평으로 송출된 시트의 선단이 충돌하기 때문에, 시트의 선단을 손상시키거나, 프론트 스톱 자체가 손상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최근, 제함기에 있어서도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어, 시트의 선단은 보다 고속으로 프론트 스톱에 충돌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손상의 우려는 보다 현저해진다. 따라서, 시트 선단의 충돌을 완충시키면서 프론트 스톱 자체의 내구성도 향상시키도록 한 프론트 스톱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시트 선단이 충돌하는 보호판과, 보호판의 배면에 맞닿는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의 배면에 스펀지 고무를 개재하여 마련된 지지판을 갖는 프론트 스톱이 개시되어 있다. 보호판은 경질의 수지제이며, 판스프링은 금속제이고, 지지판은 강제(鋼製)이다. 보호판은, 대략 수평으로 반송되어 오는 시트에 대하여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시트 선단을 받는 면을 연직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된다.
보호판은 경질의 수지제로서, 판스프링으로 배면으로부터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보호판에 시트 선단이 충돌하면, 보호판은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따라 변위하면서 시트를 정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보호판 및 시트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시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보호판 및 판스프링을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은, 보호판 및 판스프링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여유를 갖게 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프론트 스톱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고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제함기의 카운터 이젝터의 프론트 스톱은 아니지만, 엽서의 리젝트용 스태커 장치에 있어서, 반입된 엽서의 선단이 충돌하는 부분에 연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판(프론트 스톱에 상당함)을 마련하고, 경사판의 상부에 롤러를 마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엽서의 선단이 경사판에 충돌하면, 엽서의 선단이 경사판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엽서의 선단보다 약간 후방이 롤러에 닿아 상방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롤러에 닿은 개소를 중심으로 엽서가 회전하여, 엽서가 뒤쪽이 처진 안정된 자세로 낙하한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제함기에서는, 1개의 기계에 있어서, 오더에 따라 무거운 시트나 가벼운 시트, 반송 방향으로 긴 시트나 짧은 시트, 강성이 높은 시트나 강성이 낮은 시트와 같이, 다양한 시트를 제조하므로, 카운터 이젝터의 프론트 스톱에는 이러한 다양한 시트가 충돌한다.
무거운 시트나 딱딱한(반송 방향으로 강성이 높음) 시트이면 프론트 스톱에 충돌하는 충격은 크기 때문에, 프론트 스톱은 무거운 시트에 대해서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큰 충격을 흡수하는 데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특허문헌 2의 경사판은 탄성 변형을 이용한 것이 아니며, 골판지 상자와 같이 엽서에 비하여 중량이 있는 시트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단, 탄성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면, 탄성체는 반드시 복원되기 때문에, 이 복원력에 의하여 시트가 진행 방향과 반대로 크게 튀어 나가, 적중 시에 시트가 정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 시트는, 호퍼 상부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송출롤에 의하여 끼워져 송출되기 때문에, 시트는 후단측이 송출롤로 구속되고 전단측은 자유로운 상태로 송출된다. 이로 인하여, 부드러운(반송 방향으로 강성이 낮은 시트) 경우, 자유단(自由端)인 전단측이 처진 상태, 즉, 앞으로 경사진 상태로, 프론트 스톱에 충돌한다. 또한,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길면, 앞으로 경사지는 것은 보다 현저해진다.
앞으로 경사지는 상태에서는 시트의 후단은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프론트 스톱에 의하여 정지된 시트의 후단에 후속의 시트의 전단이 충돌하여, 각 시트가 절곡되는 등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적재부의 잼업을 초래하여 시트를 적정하게 적층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발생한다. 송출롤 부근의 상방에 블로어를 구비하고, 풍압에 의하여 시트 후단을 하방으로 압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이것을 이용해도 풍압이 시트 후단에 작용하는 것은 시트 후단이 송출롤을 벗어난 후가 되므로, 시트의 반송 속도가 빠르면, 시트 후단에 풍압이 작용하기 전에 후속의 시트가 진입해 버려, 후속의 시트의 충돌을 충분히 회피할 수 없다.
또, 반송 방향으로 짧은 시트나 비교적 강성이 있는 시트 중에는, 시트 후단에 풍압이 작용함으로써, 반대로 뒤쪽이 처진 상태(뒤로 경사진 형태)로 프론트 스톱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결과, 시트를 적정하게 적층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다양한 시트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하면서 정지시킴과 함께, 반송되는 시트가 앞으로 경사지거나 뒤로 경사지는 상태로 프론트 스톱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한, 프론트 스톱 장치, 이것을 이용한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론트 스톱 장치는, 송출롤에 의하여 호퍼부의 상방 공간에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를 따라 송출되는 시트의 전부(前部)를 받아,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프론트 스톱 장치로서, 상기 시트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받으면 오목면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시트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탄성 변형의 복원에 따라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이 상하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다.
(2)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연직 상향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시트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 시에 상기 탄성 부재와 함께 변형되는 판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완충 부재의 배면에, 상기 시트의 충돌에 의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제1 지지 부재에는 상기 완충 부재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을,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인 축선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다른 쪽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주요부를 이동시키는 수동 조작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주요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시트의 종류 및 상기 시트의 처리 조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완충 부재의 경사 각도를 오토 세팅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상기 완충 부재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분할된 각 부분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상기 완충 부재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하여, 상기 분할된 각 부분을 일체로 연동시켜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한 연동 기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본 발명의 시트 적중 장치는, 시트를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적중하는 호퍼부와, 상기 시트를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이며 상기 호퍼부의 상방 공간으로 송출하는 송출롤과,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받아 상기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프론트 스톱부를 갖는 시트 적중 장치로서, 상기 프론트 스톱부에는, 상기 프론트 스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14)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의 후부(後部)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시트 누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누름 장치는, 상기 송출롤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하여 동반 회전하는 누름롤과, 상기 누름롤을, 상기 반송 경로 내와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상기 호퍼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에 상방으로부터 하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6) 상기 시트는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상기 제2 지지 부재에는, 상기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한 상기 시트가 상기 송출롤에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시트의 맞닿음에 의하여 상기 누름롤이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누름롤을 상기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누름롤은, 상기 송출롤에 가까운 제1 누름롤과, 상기 송출롤로부터 먼 제2 누름롤을 갖고, 상기 송출롤에 지지된 상기 시트가 맞닿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누름롤의 하부는 상기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고, 상기 제2 누름롤의 하부는 상기 제1 누름롤의 하부보다 많이 상기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1 누름롤 및 상기 제2 누름롤의 회전 중심이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맞닿음에 의하여 상기 제1 누름롤이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누름롤이 상기 반송 경로 내의 상방 또는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상기 시트 누름 장치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누름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암과, 상기 요동암을 지지하여 상기 누름롤 및 상기 지지암의 자체 중량을 캔슬하는 에어 실린더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e)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누름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암과, 상기 요동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로서 기능하는 메커니컬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누름롤을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퇴피 조작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상기 누름롤은, 고무 또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 상기 누름롤은, 적어도 둘레면 근방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스펀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 상기 누름롤의 폭은 상기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의 슬로터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17) 본 발명의 카운터 이젝터는, 제함기의 하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 적중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에,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송출된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한다.
(18) 본 발명의 제함기는, 골판지 시트를 1매씩 급지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골판지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하여 인쇄된 골판지 시트를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지된 골판지 시트에 홈 절삭 및 괘선 형성을 하는 다이 컷부와, 상기 다이 컷부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 가공을 하여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를 형성하는 폴더 글루어부와, 상기 폴더 글루어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 이젝터부에는, 제17항에 기재된 카운터 이젝터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프론트 스톱 장치에 의하면, 완충 부재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오목면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여 시트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시트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면서 시트의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변형의 복원에 따라 시트의 전부를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이 상하 방향 성분을 포함하게 되어, 시트가 앞으로 경사지거나 뒤로 경사져 충돌하는 경우에, 복원력의 상하 방향 성분이 시트의 경사를 교정한다. 이로써, 시트가 앞으로 경사지거나 뒤로 경사져 완충 부재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각종 문제가 회피된다.
또, 완충 부재는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변형의 복원에 따라 시트의 전부를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이 상하 방향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그 만큼 시트의 전부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 즉 시트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의 탄력이 약해져, 적중 시에 시트가 정렬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 및 카운터 이젝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앞측의 프레임류를 제거하여 카운터 이젝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카운터 이젝터를 구비하는 제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폴더 글루어부 및 카운터 이젝터부의 호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의 동작을 도 5a~도 5d의 순서로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7a,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며, 도 7a는 시트가 개방된 상태, 도 7b는 시트가 송출롤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도 8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의 동작을 도 8a~도 8f의 순서로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9a~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a는 그 측면도, 도 9b, 도 9c는 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1a는 그 측면도, 도 11b는 옆으로 나열한 복수의 프론트 스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카운터 이젝터를 구비하는 제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폴더 글루어부 및 카운터 이젝터부의 호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의 동작을 도 5a~도 5d의 순서로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7a,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며, 도 7a는 시트가 개방된 상태, 도 7b는 시트가 송출롤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도 8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의 시트 누름 장치의 동작을 도 8a~도 8f의 순서로 설명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9a~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a는 그 측면도, 도 9b, 도 9c는 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1a는 그 측면도, 도 11b는 옆으로 나열한 복수의 프론트 스톱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8(도 8a~도 8f)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 시트 적중 장치 및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를, 도 9a~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각각 설명하는 것이며, 이들의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제함기의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운터 이젝터를 구비하는 제함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서는, 골판지 시트가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제함용 시트재, 시트)로 가공되는 과정을, 제함기의 각 공정의 장치 구성의 상방에, 장치 구성과는 나누어 장치 구성에 대응시켜 부기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함기는,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1), 인쇄부(2), 배지부(3), 다이 컷부(4), 폴더 글루어부(5), 카운터 이젝터부(6)가 마련되어 있다.
급지부(1)에서는, 판 형상의 골판지 시트(10a)가 다수 적재된 상태로 반입되고, 이 골판지 시트(10a)를 1매씩 인쇄부(2)에 공급(급지)한다.
인쇄부(2)는, 소정의 색수(여기에서는 4색)의 인쇄 유닛(2a~2d)으로 이루어지고, 인쇄부(2)에서는, 반송 컨베이어(7)에 의하여 1매씩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a)에, 각 색의 잉크를 순차 인쇄한다.
배지부(3)에서는, 인쇄부(2)에서 인쇄된 골판지 시트(10a)에 홈 절삭이나 괘선 형성을 행하여 배지한다.
다이 컷부(4)에서는, 배지부(3)로부터 배지된 골판지 시트(10a)에 펀칭 가공이나 추가적인 홈 절삭이나 괘선 형성을 행한다.
폴더 글루어부(5)에서는, 다이 컷부(4)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10a)의 좌우 방향 일단의 접착 여유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골판지 시트(10a)의 좌우 양단부가 이측(裏側)(하방)에서 중합하도록 절곡 가공을 행한다. 이 폴더 글루어부(5)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10a)는, 좌우 양단부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제함용 시트재)(10)가 된다.
카운터 이젝터부(6)에서는, 폴더 글루어부(5)에서 가공된 제함용 시트재(10)를 계수하면서, 테이블(스태커 테이블)에 적재하는 부분이다. 카운터 이젝터부(6)에 의하여 소정 매수의 제함용 시트재(10)가 적재되면, 이 시트재군(100)을 1단위의 배치(batch)로 하여 출하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제함기의 후반부인 폴더 글루어부(5) 및 카운터 이젝터부(6)의 상류부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지부(3)나 다이 컷부(4)에 있어서, 괘선(C)이 가공되고, 홈(S)이나 접착 여유편(F)이 형성된 골판지 시트(10a)는, 폴더 글루어부(5)에서 가이드 레일(52)에 지지되어, 반송 벨트(53)에 끼워져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도포 장치(54)에 의하여 접착 여유편(F)에 접착제(G)(사선으로 표시)가 도포된다. 접착제(G)가 도포된 골판지 시트(10a)는, 이동하면서 접지바(58)에 의하여 180°까지 접지된다.
접지 후, 상하의 송출롤(22)에서 접착 여유편(F)을 압압하여 접착을 확실히 함과 함께, 골판지 시트(10a)를 카운터 이젝터부(6)의 호퍼부(H)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골판지 시트(10a)는 접지되고, 접착제가 도포되어,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10)가 되며, 카운터 이젝터부(6)에 있어서, 호퍼부(H)에서 적중되어, 소정 매수의 배치(batch)로 구분된다.
[시트 적중 장치 및 카운터 이젝터]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프론트 스톱 장치(28), 시트 누름 장치(70)를 갖는 시트 적중 장치(60), 및 이 시트 적중 장치(60)를 갖는 카운터 이젝터부(카운터 이젝터)(6)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누름 장치(70)를 구비한 것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시트 적중 장치(60)에 있어서, 시트 누름 장치(70)는 필수의 구성 요소는 아니다.
먼저, 카운터 이젝터(6)에 구비되는 시트 적중 장치(60)를 설명하면, 시트 적중 장치(60)는, 시트인 제함용 시트재(10)를 적중하는 호퍼부(H)와, 송출롤(22)과, 프론트 스톱 장치(간단히, 프론트 스톱이라고도 함)(28)와, 송풍 장치(팬)(52, 53)와, 시트 누름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 적중 장치(60)에 특징적인 장치인 시트 누름 장치(70)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이젝터(6)의 입구 부분의 기계 폭 방향 양측에는, 프레임(20)이 각각 세워 마련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20)에는 폴더 글루어부(5)의 출구부(최후부) 컨베이어용 롤러(21)와, 상하 한 쌍의 송출롤(22)이 장착되어 있다. 송출롤(22)은 제함용 시트재(10)를 상하로부터 끼워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에 송출한다. 이들 송출롤(2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스택(제함용 시트재(10)가 복수 매 적중된 것)(50)의 단부를 압압하는 스팽커(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팽커(23)는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이 맞닿는 맞닿음면(23a)을 갖고, 맞닿음면(23a)의 중간부 이하는 연직 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맞닿음면(23a)의 상부는 상단이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 후방으로 시프트하도록 경사져 있다.
송출롤(22)의 출구측의 하방은, 제함용 시트재(10)가 적중되어 감으로써 스택(50)이 형성되는 공간이 호퍼부(H)로 되어 있다. 송출롤(22)은, 이 호퍼부(H)의 상방 공간의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인 궤도(반송 경로) 상에 제함용 시트재(10)를 송출한다.
또, 송출롤(22)의 전방의 대향 위치에는, 폴더 글루어(5)로부터 배출된 제함용 시트재(10)를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키는 가요성의 프론트 스톱(28)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프론트 스톱(28)은, 레지 지지체(38)의 지지부(38a)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프론트 스톱(28)은,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부가 맞닿으면 스스로 탄성 변형하면서 제함용 시트재(10)를 감속시키면서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구비하고 있다. 단,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하방에는, 스팽커(23)로 스택(50)의 후단부가 압압될 때에, 스택(50)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스택(50)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102)가 구비된다.
또, 호퍼부(H)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레지(42)로부터 도중까지 집적된 스택(50)이 전달되고, 이 스택(50) 상에, 프론트 스톱(28)에 닿아 떨어진 제함용 시트재(10)를 받아 이것을 집적하여 소정 매수의 스택(50)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32)는, 송출롤(22)의 반송 방향 전방의 하방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랙(33a)이 마련된 지지축(34)에 지지되어, 랙(33a)과, 랙(33a)에 맞물리는 피니언(33b)과, 피니언(33b)에 결합된 서보 모터(35)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 이젝터(6)에 있어서의 호퍼부(H) 이후의 기계 폭 방향 양측에는, 사이드 프레임(36)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이 사이드 프레임(36)에는 수평으로 레일(37)이 구비되고, 양측의 레일(37)에는 상기 레지 지지체(38)가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레지 지지체(38)에는 레일(37) 상을 주행하는 롤러(39)와, 레일(37)을 따라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랙과 맞물리는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과, 이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레지 전후 서보 모터(40)가 구비되고, 서보 모터(4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레지 지지체(3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레지 지지체(38)에는, 승강 기구(41)를 통하여 수평으로 뻗는 레지(42)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 기구(41)는, 도시하지 않지만, 랙·피니언 기구와, 이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레지 승강 서보 모터 등으로부터 구성되며, 서보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레지 지지체(38)가 승강한다.
이 레지(42)는, 프론트 스톱(28)에 닿아 떨어진 제함용 시트재(10)를 받아 이 제함용 시트재(10)를 집적하여 스택(50)을 형성하고, 스택(50)을 형성하는 도중에 이것을 엘리베이터(32)에 전달하고, 그 후에는 엘리베이터(32) 상에서 추가로 제함용 시트재(10)가 집적되어 스택(50)이 설정 매수에 도달하면, 다시 작동하여 다음의 스택(5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32) 대신에 제함용 시트재(10)를 받는다.
레지(42)에는, 스택(50)을 압압하는 프레스바(44)가 승강 기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승강 기구도, 도시하지 않은 랙·피니언 기구와, 이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바 승강 서보 모터로 구성되며, 서보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프레스바(44)가 승강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32)의 상방(즉, 호퍼부(H)의 상방)으로, 송출롤(22)로부터 송출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상면에, 상방으로부터 하향으로 에어(AF)를 분사하는 팬(송풍 장치)(52, 53)이 마련되어 있다. 팬(52)은 양사이드 프레임(36)에 지지된 빔(36a)에 고정된 고정 팬(고정 송풍 장치)이며, 팬(53)은 프론트 스톱(28)을 지지하는 지지부(38a)에 고정되어, 프론트 스톱(28)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팬(가동 송풍 장치)이다.
이 예에서는, 고정 팬(52)은 어느 쪽도 양사이드 프레임(36)의 상단 부근의 송출롤(22)의 출구의 높이 레벨에 대하여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한편 가동 팬(53)에 대해서도, 어느 쪽도 프론트 스톱(28)의 상단 부근의 송출롤(22)의 출구의 높이 레벨에 대하여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반송 방향의 전단부의 가동 팬(53)은 제함용 시트재(10)에 접근하고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 전단부에 부분적으로 강한 바람을 보낼 수 있고, 고정 팬(52)만으로는 전체 풍량이 부족한 경우에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팬(53)은 프론트 스톱(28)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시트 길이에 따라 자동으로 시트 선단에 바람이 가도록 조정된다.
어느 쪽의 팬(52, 53)도, 송풍 방향을 연직 하방, 즉, 송출롤(22)로부터 송출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면의 적정한 방향인 대략 수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어느 쪽의 팬(52, 53)도 주위가 덕트(52a, 53a)로 덮여 있고, 덕트(52a, 53a)에 의하여 정류되면서 송풍 방향이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카운터 이젝터(6)는, 이와 같은 시트 적중 장치(60)와, 시트 적중 장치(60)의 호퍼부(H)에 제함용 시트재(10)를 적중하여 계수하는 기능과, 소정의 매수 적중된 제함용 시트재(10)를 배출하는 하기의 배출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32)가 가장 하강했을 때의 엘리베이터(3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 레벨에는, 하부 컨베이어(47)가 마련되고, 또한 그 하류측에는 배출 컨베이어(48)가 하부 컨베이어(47)와 동일 레벨의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하부 컨베이어(47) 및 배출 컨베이어(48)는, 각각 하부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47a) 및 배출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48a)에 의하여 구동된다. 하부 컨베이어(47)의 입구 선단 위치는, 최소 길이(반송 방향 길이가 최소)의 제함용 시트재(10)여도 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푸셔(27)와 충분히 가깝게 위치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32)의 안쪽까지 들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컨베이어(47) 및 배출 컨베이어(48)의 상방에는, 하부 컨베이어(47) 및 배출 컨베이어(48)와 함께 스택(50)을 협지하는 상부 컨베이어(49)가 이동 기구(49a)를 통하여 높이 방향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부 컨베이어(49)는,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상자 사이즈에 맞춰 프론트 스톱(28)과 연동하여 이 프론트 스톱(2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스톱 장치]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프론트 스톱(28)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스톱(28)은,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플레이트 형상의 완충 부재)(101)와, 그 하방에 대략 연속하여 형성되는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102)를 갖고 있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지지 부재(제1 지지 부재)(103, 10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탄성 부재(탄성 플레이트)(105)와, 이 탄성 플레이트(105)의 배면에 배치되어, 탄성 플레이트(105)의 변형 시에 탄성 플레이트(105)와 함께 변형하는 판스프링(106)을 갖고 있다. 탄성 플레이트(105)에는 경질 고무가 적용되고, 판스프링(106)에는 철강 등의 금속 재료가 적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판스프링(106)의 상단부가 탄성 플레이트(105)의 배면에 접촉하지만, 이것보다 하방은 탄성 플레이트(105)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이격하도록 구성되어, 제함용 시트재(10)의 충돌에 의하여 탄성 플레이트(105)가 그 배면측으로 오목면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해 가면, 판스프링(106)은 상단부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방의 부분도 점차 탄성 플레이트(105)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 플레이트(105) 자체가 그 배면측으로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하는 경우, 변형량에 따라 탄성 반력(복원력)이 강해지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탄성 플레이트(105)가 그 배면측으로 만곡 변형하는 변형량이 증대하면, 판스프링(106)의 탄성 반력이 이것에 부가되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반력을 강하게 한다. 판스프링(106)의 탄성 반력은, 탄성 플레이트(105)의 변형량의 증대에 따라 강해진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3)는, 레지 지지체(38) 등에 고정된 지지 베이스(28B)에 지지된 지지재(103a)와, 지지재(103a)의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103b)를 구비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 삽통(揷通)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103b)를 지지재(103a)의 나사 구멍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단, 지지재(103a)와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사이에는,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의 스펀지 고무(103c)가 개재하여 마련되어 있다.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의 스펀지 고무는 모두 충격력 흡수 효과를 갖지만, 연속기포의 스펀지 고무의 경우는, 변형 시에 공기의 유동을 수반하거나, 혹은 미세한 구멍 표면이 변형 시에 서로 스쳐 댐퍼의 역할을 하므로, 보다 큰 충격력 흡수 효과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성 플레이트(105) 및 판스프링(106)의 나사 삽통 구멍의 내경은, 볼트(103b)의 외형에 대하여 여유량을 갖고, 또 볼트(103b)의 머리부와 탄성 플레이트(105)의 사이에도 축 방향의 여유량을 갖게 하고 있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4)는, 지지 베이스(28B)에 지지된 지지재(104a)와, 탄성 플레이트(105) 및 판스프링(106)의 하단부에 볼트(104b) 및 너트(104c)로 체결된 경질 수지제의 보강 부재(104d)와, 너트(104c)에 고착된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의 스펀지 고무(104e)를 갖고 있다.
보강 부재(104d)의 상부는, 탄성 플레이트(105)와 판스프링(106)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강 부재(104d)의 상부를 개재한 볼트(104b) 및 너트(104c)의 체결로 탄성 플레이트(105)와 판스프링(106)의 하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보강 부재(104d)의 하부에는 돌기부(104f)가 형성되고, 지지재(104a)에 형성된 홈부(104g) 중에 돌기부(104f)가 여유를 갖고 감입하고 있다. 보강 부재(104d)의 하부의 움직임에 일정한 자유도가 부여되고 있다.
또한,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102)는 지지 베이스(28B)에 고정되어 있다. 또,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102)의 표면(호퍼(H)측의 면)은, 연직 또는 대략 연직 방향을 따름과 함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하단부의 표면(호퍼(H)측의 면)과 대략 연속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지지 부재(103, 104)에 의하여 연직 방향보다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경사각 α만큼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시키고 있는 것은,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변형 후의 복원력을, 제함용 시트재(10)의 전후 방향 자세의 교정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출롤(22)에 의하여 호퍼부(H)의 상부에 반송된 제함용 시트재(10)는, 송출롤(22)에 의하여 끼워져 송출되기 때문에, 후단측이 송출롤(22)로 구속되고 전단측은 자유로운 상태로 송출된다. 제함용 시트재(10)가 부드러운(반송 방향으로 강성이 낮은) 경우, 제함용 시트재(10)의 자유단인 전단측이 처진 상태, 즉, 앞으로 경사진 상태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충돌한다. 제함용 시트재(10)가 반송 방향으로 길면, 앞으로 경사지는 것은 보다 현저해진다.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표면에 제함용 시트재(10)가 충돌하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그 배면측으로 오목면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하면서, 제함용 시트재(1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이 탄성 변형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그 후 복원되기 때문에,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에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되돌린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상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복원력(F)이 수평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보다 약간 상향의 방향으로 발생한다. 즉, 복원력(F)은 수평 방향 성분(Fx)뿐만 아니라, 연직 상방향 성분(Fy)도 포함하게 된다. 이 연직 상방향 성분(Fy)에 의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단부에 상향의 힘이 가해지고,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단부는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또한 상향으로 밀어 되돌려지기 때문에, 제함용 시트재(10)는 앞으로 경사지는 자세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수평인 자세로 교정된다.
또한, 이 연직 상방향 성분(Fy)에 따라 복원력(F)의 수평 방향 성분(Fx)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만큼, 제함용 시트재(10)를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는 힘이 약해져, 제함용 시트재(10)에 대한 불필요한 푸시 백(push back)이 억제된다.
또,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가 만곡 변형하는 배면측의 지지 베이스(28B) 등은, 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가 만곡 변형해도 간섭하지 않도록, 변형 허용 공간(10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변형 허용 공간(107)은, 지지 베이스(28B)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측을 크게 오목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제함용 시트재(10)의 충돌 하중이 최대가 되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가 가장 크게 탄성 변형해도 이것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만큼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제함용 시트재(10)를 정지시킬 때에는, 가능한 한 유연하게 즉 크게 변형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특성을 설정한다. 한편 제함용 시트재(10)의 충돌 하중이 최대가 되는 것은,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속도 및 중량이나 강성에 따르기 때문에, 이것에 근거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충돌 하중의 최대 레벨을 상정할 수 있다. 이들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특성과 상정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최대 충돌 하중으로부터,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최대 탄성 변형량을 산출하여, 변형 허용 공간(107)은 이것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만큼 확보한다.
[시트 누름 장치]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시트 누름 장치(70)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누름 장치(70)는, 송출롤(22)에 의하여 송출된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부를 하방으로 압박하고,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측의 가라앉음을 교정하여 수평인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2개의 시트 누름 장치(70)가 장치 폭 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양프레임(20) 또는 양사이드 프레임(36)에 걸쳐진 도시하지 않은 지지빔에 지지되어 구비되어 있다.
2개의 시트 누름 장치(7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어느 쪽도, 2개의 누름롤(71, 72)과, 누름롤(71, 7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제2 지지 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73)는, 지지빔에 고정되어 마련된 지지부(24)(도 1 참조)에 축(74s)에 의하여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암(74)과, 지지암(74)을 지지하는 에어 실린더(75) 및 부세 부재로서의 메커니컬 스프링(여기에서는, 코일 스프링)(76)을 갖고 있다.
지지암(74)은 중간이 굴곡되어 있으며, 축(74s)에 지지되는 일단부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중간부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중간의 굴곡부에는, 제1 누름롤(71)이 축(71s)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굴곡부로부터 앞의 타단부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 전방에서 약간 하방을 향하여 뻗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2 누름롤(72)이 축(72s)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누름롤(71, 72)은, 예를 들면 제함용 시트재(10)에 가공된 슬로터 홈의 폭(슬로터 폭)보다 큰 소정의 폭을 갖는 차륜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롤(71, 72)의 재료로서는,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NBR계 고무 또는 폴리에스터계 유레테인을 재료로 하여, 스펀지 형상으로 형성한 것(예를 들면, NBR계 고무 스펀지)이거나, 혹은 적어도 바깥둘레면 근방에 강성 경감을 위한 중공부를 형성한 것이 적합하다. 여기에서는, 유연성과 내구성을 겸비한 바깥둘레면 근방에 미소한 중공부(71a, 72a)가 다수 형성된 폴리에스터계 유레테인이 적용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양누름롤(71, 72)에 동일한 롤이 적용된다.
그리고, 제1 누름롤(71)은 송출롤(22)의 바로 옆에 배치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하의 송출롤(22)의 사이로부터 송출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에 하측 가장자리부가 약간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제2 누름롤(72)은 제1 누름롤(71)보다 송출롤(22)로부터 이간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가, 제1 누름롤(71)보다 약간 깊게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에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또,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은, 소정의 직경을 갖고, 또한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장치 폭 방향으로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암(74)의 장치 폭 방향의 일측(도 6 중, 지면(紙面)의 깊이 방향측)에 제1 누름롤(71)이 장착되고, 지지암(74)의 장치 폭 방향의 타측(도 6 중, 지면의 앞측)에 제2 누름롤(72)이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의 직경은,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의 바깥둘레에 맞닿을 때에, 바깥둘레면에 대하여 보다 얕은 각도로 맞닿도록 고려하여 소정 정도의 크기가 확보되어 있다. 또, 양누름롤(71, 72)을 접근하여 배치하는 것은, 시트 누름 장치(70)의 컴팩트화를 도모함과 함께, 양누름롤(71, 72)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부를 눌러 내릴 때에, 제함용 시트재(10)의 가능한 한 후단 부분에 양누름롤(71, 72)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고려한 것이다.
지지암(74)에는, 그 굴곡부의 상방의 일측(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측)에 계지부(74a)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그 일단부(상단부)의 근방의 타측(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의 반대측)에 계지부(74b)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75)는, 상방을 향한 실린더 후단부(상단부)가 지지부(24)에 핀(75a)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하방을 향한 로드 선단부(하단부)가 계지부(74a)에 핀(75b)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또, 메커니컬 스프링(76)도, 상단부가 지지부(24)에 계지 구멍(76a)에 요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하단부가 계지부(74b)의 계지 구멍(76b)에 요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또, 에어 실린더(75)에는, 실린더 내부의 에어압을 조정하는 에어압 조정 장치(75c)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압 조정 장치(75c)를 통하여, 에어 실린더(75)를 신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75)를 수축시켜 핀(75b)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누름롤(71, 72)을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퇴피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압 조정 장치(75c)는 퇴피 조작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에어 실린더(75)는, 누름롤(71, 72)의 각 하측 가장자리부가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로 지지암(74)을 유지하고 있다. 즉, 지지암(74)은, 에어 실린더(75)에 의하여, 도 6 중 시계 방향으로 지지력이 가해져 누름롤(71, 72)이 끌어 올려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누름롤(71, 72)은 반송 경로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누름롤(71, 72) 및 지지암(74)의 자체 중량이 캔슬되는 형태가 된다.
한편, 메커니컬 스프링(76)은, 누름롤(71, 72)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도록, 지지암(74)에, 도 6 중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부세력을 가하고 있다. 단,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스프링 강성(스프링 상수)은 후술하는 소정의 레벨로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도시하지 않지만,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상단을 계지하는 계지 구멍(76a)은, 어저스터(77)에 의하여 상하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누름롤(71, 72)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어 실린더(75)에 의하여, 누름롤(71, 72) 및 지지암(74)의 자체 중량을 캔슬한 후에, 메커니컬 스프링(76)에 의한 부세력을 가함으로써,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스프링 강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에어 실린더(75)만 혹은 메커니컬 스프링(76)만을 구비하는 등, 지지암(74)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1개만으로 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롤(71, 72)이 소정의 상하 위치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탄성 지지 수단의 스프링 강성(스프링 상수)을 어느 정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맞닿을 때의 누름롤(71, 72)의 반력이 커지기 쉽지만, 조정 가능하다.
이로써,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롤(22)에 의하여 송출되는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이, 누름롤(71)에 도달할 때까지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에 의하여, 누름롤(71, 72)의 각 하측 가장자리부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고 있다. 단, 제1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로의 진입량은 근소하다. 또한, 도 7a, 도 7b에는 2개의 제함용 시트재(10)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구별할 때에는, 한쪽(여기에서는, 후속측)의 제함용 시트재(10)를 부호 101로 나타내고, 다른 쪽(여기에서는, 선행측)의 제함용 시트재(10)를 부호 102로 나타낸다.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이, 제1 누름롤(71)에 도달하면, 먼저, 제1 누름롤(71)에 맞닿는다. 제함용 시트재(101)는, 상하의 송출롤(22)로 끼워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반송 경로 상에서 진행되고, 제1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로의 진입량은 근소하기 때문에,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은, 제1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얕은 각도로 맞닿아, 제1 누름롤(7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여 진행되어 간다.
이때,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에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에 의한 반력이 가해지지만,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스프링 강성은 소정의 레벨, 즉,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를 변형시키거나 흠집을 부여하지 않을 정도의 소정의 레벨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는 제1 누름롤(71)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송된다. 또, 제1 누름롤(71)은, 제함용 시트재(101)와 접촉하는 바깥둘레면이 유연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함용 시트재(101)의 이동과 함께 매끄럽게 종동(縱動) 회전하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는 손상되지 않고 반송된다.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가 진행되면, 제2 누름롤(72)에 맞닿지만, 제1 누름롤(72)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있는 단계에서, 제2 누름롤(72)도 밀어 올려져, 제2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로의 진입량은 근소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은,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누름롤(72)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얕은 각도로 맞닿고, 제2 누름롤(72)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여 진행된다.
이때에도,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에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에 의한 반력이 가해지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스프링 강성은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를 변형시키거나 흠집을 부여하지 않을 정도의 소정의 레벨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는 제1 누름롤(71)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송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 누름롤(72)은, 제함용 시트재(101)와 접촉하는 바깥둘레면이 유연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함용 시트재(101)의 이동과 함께 매끄럽게 종동 회전하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제함용 시트재(101)의 선단부는 손상되지 않고 반송된다.
이 결과, 메커니컬 스프링(76)은 2단계의 압축분만큼 압축 변형하고, 제1, 제2 누름롤(71, 72)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로, 제함용 시트재(101)는 진행되어 가지만, 그 후, 도 7a에 나타내는 제함용 시트재(102)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이 상하의 송출롤(22)로부터 빠져 나오면, 제함용 시트재(102)는 자유롭게 되므로, 압축 변형하고 있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이 발휘되고,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눌러 내려진다.
이와 같이, 후단이 눌러 내려지는 제함용 시트재(102)의 선단은,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스톱(28)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28a)에 맞닿지만,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28a)는 가요성이기 때문에, 휘면서 제함용 시트재(102)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제함용 시트재(102)는, 선단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28a)에 맞닿은 후 그 반동으로 상승하면서 후퇴하므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은 하강하면서 후퇴한다.
이때,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은 스팽커(23)의 맞닿음면(23a)에 접근하도록 후퇴하면서 하강하지만, 맞닿음면(23a)의 상부는, 상단이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 후방으로 시프트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후퇴하면서 하강하는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은 맞닿음면(23a)의 상부에 확실히 맞닿고, 맞닿음면(23a)에 가이드되면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60)는, 상기 서술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는, 예를 들면, 도 8a~도 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부(H) 내에 적중되어 간다. 또한, 도 8a~도 8f에 하얀 화살표(A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부(H) 내의 반송 방향 후부 및 전부에는, 송풍 장치(52, 53)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제함용 시트재(10)의 하강을 가세한다.
즉,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가 송출롤(22)로부터 호퍼부(H)의 상방 공간에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에 송출될 때에는, 먼저,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부가, 제1 누름롤(71)에 접근한다. 이 상태에서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에 의하여, 누름롤(71, 72)의 각 하측 가장자리부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에 진입하고 있다.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부가, 제1 누름롤(71)에 맞닿으면, 제함용 시트재(10)는, 상하의 송출롤(22)로 끼워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반송 경로 상에서 진행된다. 제1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로의 진입량은 근소하기 때문에,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은, 제1 누름롤(71)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얕은 각도로 맞닿고, 제1 누름롤(7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여 진행되어 간다.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부가 더 진행되면, 제2 누름롤(72)에 맞닿지만, 제1 누름롤(72)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있으므로, 제2 누름롤(72)도 밀어 올려져, 제2 누름롤(72)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로의 진입량은 근소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은, 제2 누름롤(72)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얕은 각도로 맞닿고, 제2 누름롤(72)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된다.
메커니컬 스프링(76)은 제1 누름롤(72)이 밀어 올려진 단계와 제2 누름롤(72)이 밀어 올려진 단계의 2단계의 압축분만큼 압축 변형하면서, 제1, 제2 누름롤(71, 72)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제함용 시트재(10)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되어 가지만, 제함용 시트재(10)에 후단이 상하의 송출롤(22)로부터 빠져 나오면, 제함용 시트재(10)는 자유롭게 되므로, 압축 변형하고 있는 메커니컬 스프링(76)의 부세력이 발휘되고,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이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에 의하여 눌러 내려진다.
이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에 의한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의 눌러 내려짐이 없으면, 제함용 시트재(10)는 송풍 장치(52, 53)에 의한 공기의 분사와 자체 중량에 의하여, 도 8d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함용 시트재(10')와 같이, 선단측이 하강하여 앞으로 경사진다. 선행하는 제함용 시트재(10)가 앞으로 경사지면, 이 자세인 채 호퍼부(H) 내를 낙하하여 후속의 제함용 시트재(10)를 적정하게 적중할 수 없게 되거나, 후속의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선행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에 충돌(후측 밀기)하거나 하여, 적정하게 적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반송 방향으로 길이가 있는 제함용 시트재(10)의 경우, 이 앞으로 경사지는 것이 커지면, 프론트 스톱(28)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28a)의 하방의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28b)에 맞닿아, 선단부에 흠집이 나거나, 변형되거나 할 우려도 있다.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이 제1 및 제2 누름롤(71, 72)에 의하여 눌러 내려지면, 이와 같은 제함용 시트재(10)의 앞으로 경사지는 것이 회피되어, 제함용 시트재(10)는 대략 수평인 자세로 전진하고, 프론트 스톱(28)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맞닿는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휘면서 제함용 시트재(102)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맞닿은 상태로 탄성 변형한 후 그 복원력으로, 제함용 시트재(10)를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지만,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에 의하여, 복원력의 일부가 샹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는 선단부를 상승시킨 자세로 하강하면서 후퇴한다. 이때, 제함용 시트재(102)의 후단은 스팽커(23)의 맞닿음면(23a)을 향하면서 하강하지만, 맞닿음면(23a)의 상부는 경사지고 있으므로, 후퇴하면서 하강하는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은 맞닿음면(23a)의 상부에 확실히 맞닿고, 맞닿음면(23a)에 가이드되면서, 도 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한다.
이와 같이, 제함용 시트재(10)가 앞으로 경사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충돌하는 경우에,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복원력의 상하 방향 성분이 제함용 시트재(10)의 경사를 교정하므로, 프론트 스톱(28)에 의하여 정지된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에 후속의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단이 충돌하여, 각 제함용 시트재(10)가 절곡되는 등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적재부의 잼업을 초래하여 제함용 시트재(10)를 적정하게 적층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회피된다.
특히, 지지 베이스(28B)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측을 크게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 변형 허용 공간(107)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강성을 억제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크게 변형시키면서 제함용 시트재(1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제함용 시트재(10)가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충돌하여 변형이나 손상될 우려를 더 경감할 수 있다.
제함용 시트재(10)가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충돌할 때의 에너지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변형이나 손상에 사용되지 않는 분만큼,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탄성 에너지분이 증가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복원력(F)이 커져, 제함용 시트재(10)가 큰 복원력(F)으로 반송 방향과 반대측으로 밀어 되돌려지기 쉬워, 제함용 시트재(10)의 적정한 적층의 방해가 되지만, 복원력(F)의 일부가 제함용 시트재(10)에 상향으로 작용하는 분만큼 이 밀어 되돌리는 힘이 경감되어 제함용 시트재(10)가 적정하게 적층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제함용 시트재(10)는 대략 수평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적정하게 적중되고, 적정한 스택(50)이 소정 매수 적중되어 배치(batch)가 형성되어 배출된다.
또, 누름롤(71, 72)은, 둘레면이 제함용 시트재(10)와 접촉함으로써 제함용 시트재(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종동 회전하므로, 누름롤(71, 72)을 회전 구동하는 기구도 불필요하여 장치의 복잡화나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제함용 시트재(10)가 누름롤(71, 72)의 바깥둘레면에서 스쳐 흠집이나 오염이 발생할 우려도 억제된다.
또, 누름롤은, 제1 누름롤(71)과 제2 누름롤(72)을 갖고, 제함용 시트재(10)가 맞닿아 메커니컬 스프링(76)이 압축되면서 제1 누름롤(71)이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2 누름롤(72)이 반송 경로 내의 상방으로 시프트하고, 그 후, 제함용 시트재(10)가 제2 누름롤에 맞닿음으로써, 메커니컬 스프링(76)이 더 압축되면서 제2 누름롤(72)이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제함용 시트재(10)에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압축 반력을 급격하게 부여하지 않고, 메커니컬 스프링(76)에 압축에 의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함용 시트재(10)의 흠집이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메커니컬 스프링(76)에 큰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을 강하게 눌러, 그 자세를 확실히 교정할 수 있다.
단, 누름롤은 1개만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을 반송 방향으로 나열해도 된다.
또, 시트 누름 장치(70)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의 후단을 폭 방향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눌러, 그 자세를 확실히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누름 장치(70)는, 장치 폭 방향으로 2개 마련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누름롤의 폭이 충분히 있으면, 시트 누름 장치(70)를 1개로만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롤(71, 7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73)를, 지지암(74)과, 에어 실린더(75) 및 메커니컬 스프링(76)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에어 실린더(75)로 누름롤(71, 72) 및 지지암(74)의 자체 중량을 캔슬하고, 메커니컬 스프링(76)으로 누름롤(71, 72)의 하측 가장자리가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 내에 오도록 조작하고 있으므로, 메커니컬 스프링(76)의 스프링 강성을 작게 하면서 누름롤(71, 72)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누름롤(71, 72)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닿을 때에, 메커니컬 스프링(76)에 의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누름롤(71, 72)은 폴리에스터계 유레테인이라는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고, 둘레면 근방에 강성 경감을 위한 중공부(71a, 7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제함용 시트재(10)가 누름롤(71, 72)에 맞닿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나 누름롤(71, 72)이 굴러가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상면 등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누름롤(71, 72)은 제함용 시트재(10)에 소프트에 접촉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경량인 재료가 바람직하지만, 이 점에서 고무계 재료 또는 수지계 재료가 적합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풍 장치(52, 53)가 제함용 시트재(10)를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므로, 제함용 시트재(10)가 호퍼부(H) 내에서 신속하게 하강하여 스택(50)을 적정하게 형성하기 쉽게 한다. 이 반면, 공기의 속도나 분사하는 범위의 설정이 적정하지 않으면, 제함용 시트재(10)가 앞으로 경사질 우려가 발생하지만, 상기와 같이 시트 누름 장치(70)에 의하여 이러한 우려가 해소된다.
또한, 후단을 누를 필요가 없는 사이즈의 경우, 에어압 조정 장치(75c)를 퇴피 조작 수단으로서 기능시켜, 누름롤(71, 72)을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압 조정 장치(75c)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75)를 수축시켜 핀(75b)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누름롤(71, 72)을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이로써, 제함용 시트재(10)에 대한 누름롤(71, 72)의 불필요한 접촉이 회피되어, 누름롤(71, 72)의 소모도 회피된다.
또한, 제함용 시트재(10)의 사이즈, 두께, 속도에 근거하여, 에어압 조정 장치(75c)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75)를 적절히 신축시켜, 누름롤(71, 72)의 위치를 최적인 위치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함용 시트재(10)의 사이즈가 그다지 크지 않으면, 애초부터 앞으로 경사지기 어렵기 때문에, 압박 스트로크를 짧게 하거나, 혹은 압박 자체를 행하지 않도록 누름롤(71, 72)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 제함용 시트재(10)의 두께가 큰 경우는, 제함용 시트재(10)의 누름롤(71, 72)에 대한 충돌을 보다 가볍게 하도록 누름롤(71, 72)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 제함용 시트재(10)의 속도가 느리면, 적중의 간격(호퍼부에 송출되는 골판지 시트의 시간적인 반송 간격)이 벌어져, 제함용 시트재(10)가 호퍼부(H) 내를 낙하할 시간이 충분히 있으므로, 압박 스트로크를 짧게 하거나, 혹은 압박 자체를 행하지 않도록 누름롤(71, 72)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로써, 제함용 시트재(10)에 대한 누름롤(71, 72)의 불필요한 접촉이 회피되거나, 혹은 경감되어, 누름롤(71, 72)의 소모도 회피된다.
또, 누름롤(71, 72)의 폭은 슬로터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슬로터 홈에 누름롤(71, 72)이 끼워지는 일 없이, 누름롤(71, 72)을 제함용 시트재(10)에 양호하게 접촉시켜 압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프론트 스톱(28)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폭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데, 분할되는 각 부분마다 각도 α를 개별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제함기는, 프론트 스톱 장치를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a~도 9c에 있어서 도 4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28)은,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함용 시트재(10)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플레이트 형상의 완충 부재)(101)와, 그 하방에 대략 연속하여 형성되는 고강성 스톱 플레이트(102)를 갖고 있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지지 부재(103, 10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103, 104)가 가동 지지 부재(203)를 통하여 지지 베이스(28A, 28B)에 지지되어 있다. 즉, 가동 지지 부재(203)의 하단부가,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204)을 통하여 지지 베이스(28B)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동 지지 부재(203)의 상단부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28B)에 형성된 원호 형상 긴 구멍(206)에 삽통된 핀(205)을 통하여 지지 베이스(28B)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지지 부재(103, 104)는 가동 지지 부재(20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베이스(28B)는 지지 베이스(28A)에 볼트(28c)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또, 도 9a~도 9c 중, 도 4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에는, 가동 지지 부재(203)의 각도를 조정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A)가 구비되어 있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A)는,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에 선단이 맞닿는 각도 조정 볼트(수동 조작 수단)(210)와, 지지 베이스(28A)의 나사 구멍(212)과, 고정 너트(211)를 구비하고 있다.
각도 조정 볼트(210)는 지지 베이스(28A)의 나사 구멍(212)에 나합하고 있으며,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 방향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가동 지지 부재(203)는, 도시하지 않은 부세 기구에 의하여, 각도 조정 볼트(210)에 압접되어 있으며, 각도 조정 볼트(210)가 전진하면 가동 지지 부재(203)의 경사는 작아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도 작아지고, 각도 조정 볼트(210)가 후퇴하면 가동 지지 부재(203)의 경사는 커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도 커진다. 또한, 각도 조정 볼트(210)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면, 고정 너트(211)를 체결하여 각도 조정 볼트(21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도 조정 볼트(210)를 회전 조작하여 각도 조정 볼트(210)의 축 방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동 지지 부재(203)의 각도를 조정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함용 시트재(10)의 특성에 맞추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를 설정하고, 복원력의 상하 방향 성분과 수평 방향 성분의 비율을 조정하여, 제함용 시트재(10)의 자세의 교정을 최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를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프론트 스톱 장치는, 가동 지지 부재(203)의 각도를 조정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가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는, 액추에이터로서의 모터(전동 모터)(220)와,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에 선단이 맞닿아 모터(220)에 의하여 진퇴 구동되는 로드(2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9a~도 9c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모터(220)는 회전 모터이며, 로드(221)를 진퇴시키기 위하여,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변환 기구는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A)와 같이, 고정된 나사 구멍에 나합하는 볼트를 로드(221)에 적용하여, 모터(220)에 의하여 로드(221)를 회전하는 것이어도 되고, 랙 앤드 피니언을 적용하여, 랙을 로드(221)에 고정하여 마련하고, 피니언을 모터(220)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동 지지 부재(203)는, 도시하지 않은 부세 기구에 의하여, 그 배면이 로드(221)에 압접되어 있으며, 로드(221)가 전진하면 가동 지지 부재(203)의 경사는 작아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도 작아지고, 로드(221)가 후퇴하면 가동 지지 부재(203)의 경사는 커져,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도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종류 및 제함용 시트재(10)의 처리 조건에 따라 모터(220)를 제어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제어 수단)(230)를 갖고, 제어 장치(230)에 제함용 시트재(10)의 종류 및 제함용 시트재(10)의 처리 조건을 입력하면, 제어 장치(230)가 자동으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프리세팅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동으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프리세팅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프론트 스톱(28)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데, 분할되는 각 부분마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A 혹은 200B)를 마련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각도 α를 개별적으로 조정해도 된다.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각 부분을 제함용 시트재(10)의 거동 특성에 맞추어 각각 적정한 경사 각도로 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자세를 적절히 교정할 수 있다.
또, 폭 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프론트 스톱(28)의 각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일체로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마련하여, 각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연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이로써,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여기서, 도 11a, 도 11b를 참조하여, 복수의 프론트 스톱 장치가 연동 기구에 의하여 연동되는 구성을 제4 실시형태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도 9a~도 9c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론트 스톱 장치는, 가동 지지 부재(203)의 각도를 조정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가 제2, 3 실시형태의 것과 다르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스톱(28)은, 제함용 시트재(1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옆으로 나열되어 복수 병설되어 있으며, 각 프론트 스톱(28)에는, 도 11a에 나타내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는,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에 선단이 맞닿는 각도 조정 로드(240)와, 각도 조정 로드(240)를 진퇴 이동시키는 캠 기구(250)를 구비하고 있다. 각도 조정 로드(240)는, 선단에 의하여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을 압압하는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 베이스(28A)에 지지된다. 또한, 가동 지지 부재(203)를 각도 조정 로드(240)의 측에 부세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세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동 지지 부재(203)의 배면은 항상 각도 조정 로드(240)에 압접하고 있다.
캠 기구(250)는, 캠(251)과, 캠(251)을 지지하는 캠축(252)과, 캠축(252)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 레버(수동 조작 수단)(253)를 구비하고 있다. 각도 조정 로드(240)의 기단(基端)에는, 캠(251)의 캠면(251a)과 맞닿아 각도 조정 로드(240)를 진퇴 작동시키는 작동편(241)이 구비되어 있다.
캠축(252)은, 각 프론트 스톱(28)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의 각도 조정 로드(240)를 연동시키고 진퇴시키는 1개의 연동축으로서 구비된다. 캠축(252)은, 지지 베이스(28A)를 지지하는 프레임(28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비되고, 조작 레버(253)는, 캠축(252)의 일단의 프레임(28F)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 캠축(252)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254)가, 프레임(28F)의 외측에 조작 레버(253)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로크 기구(254)를 해제하여 조작 레버(253)를 조작함으로써, 각 프론트 스톱(28)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의 각도 조정 로드(240)를 연동시키고 진퇴시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의 연동축으로서의 캠축(252)을, 전동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고, 이 액추에이터를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작동시키도록 함과 함께, 로크 기구(254)도 로크 및 로크 해제를 하는 액추에이터를 마련하며, 이 액추에이터를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작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C)의 액추에이터나, 로크 기구(254)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제3 실시형태에 예시한 제어 장치(제어 수단)(230)를 더 마련하고, 제어 장치(230)에 제함용 시트재(10)의 종류 및 제함용 시트재(10)의 처리 조건을 입력하면, 제어 장치(230)가 자동으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를 적절한 상태로 프리세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복수의 프론트 스톱 장치의 각각에, 제3 실시형태에 예시한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를 적용하고, 1개의 제어 장치(230)에 의하여, 각 프론트 스톱(28)의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를 연동하여 조작하도록 해도, 연동 기구가 실현된다.
제3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인 경우, 제어 장치(230)에 의한 각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로의 지령에 의하여, 각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연동 작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30)에 의한 각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의 모터(220)에 지령하는 회전량을 동일하게 하면, 연동 작동시킬 수 있고, 각 모터(220)에 지령하는 회전량을 개별적으로 하면,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 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 혹은 생략 혹은 조합을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제함용 시트재)(10)의 선단이 하강한 자세로 프론트 스톱에 맞닿는 경우를 상정하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연직 방향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시키고 있지만, 짧은 시트의 경우, 시트(10) 선단이 상승한 자세로 프론트 스톱에 맞닿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며, 이 대책으로서는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를 하향으로 경사시키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0)의 자세 교정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로서, 프론트 스톱 장치(28) 외에, 고정 팬(고정 송풍 장치)(52) 및 가동 팬(가동 송풍 장치)(53) 및 시트 누름 장치(70)가 있으며, 이들이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되지만, 프론트 스톱 장치(28)의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가 일정하다면, 시트(10)의 특성에 따라, 각 장치의 작동, 비작동의 조합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각 α가 작게 고정되어 있어,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의하여 상향의 반력을 부여해도 시트(10)의 선단측의 처짐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는 시트인 경우에는, 시트(10)의 선단측의 가동 팬(53)을 정지시키거나 약하게 하거나 하는 것도 유효하다. 반대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에 의하여 상향의 반력이 너무 크면, 선단측의 가동 팬(53)을 강하게 하거나 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함용 시트재(10)의 종류 및 제함용 시트재(10)의 처리 조건에 따라 모터(220)를 제어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 α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제어 수단)(230)를 갖고, 제어 장치(230)에 제함용 시트재(10)의 종류 및 제함용 시트재(10)의 처리 조건을 입력하면, 제어 장치(230)가 자동으로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프리세팅한다고 했지만, 오퍼레이터가 임의의 경사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는 제함기 운전 중에 호퍼부(H) 내의 제함용 시트재(10)의 자세를 확인하여, 프리세팅된 경사 각도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제어 장치(230)에 임의의 경사 각도를 입력한다. 제어 장치(230)는 입력된 경사 각도에 근거하여, 경사 각도 조정 기구(200B)를 제어하여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한다. 이로써, 제함기를 정지하지 않고 가요성 스톱 플레이트(10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는, 적어도 호퍼부(H)와, 송출롤(22)과, 프론트 스톱(28)을 구비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시트 누름 장치에 대해서는 생략 가능하다. 또, 송풍 장치에 대해서도 생략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론트 스톱 장치의 정지 대상이나 시트 적중 장치의 적중 대상인 시트는, 제함용 시트재(10)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순한 골판지 시트 등, 일정한 강성을 갖는 판 형상의 시트이면 모두 적중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적중 장치는, 제함기의 카운터 이젝터부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카운터 이젝터나 제함기의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일례이며, 이들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할 수 있다.
1: 급지부
2: 인쇄부
3: 배지부
4: 다이 컷부
5: 폴더 글루어부
6: 카운터 이젝터부(카운터 이젝터)
10, 101, 102: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제함용 시트재, 시트)
10a: 골판지 시트
20: 프레임
21: 컨베이어용 롤러
22: 송출롤
23: 스팽커
23a: 맞닿음면
24: 지지부
27: 푸셔
28: 프론트 스톱(프론트 스톱 장치)
28A, 28B: 지지 베이스
32: 엘리베이터
33a: 랙
33b: 피니언
34: 지지축
35: 서보 모터
36: 사이드 프레임
37: 레일
38: 레지 지지체
39: 롤러
40: 레지 전후 서보 모터
41: 승강 기구
42: 레지
44: 프레스바
47: 하부 컨베이어
47a: 하부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
48: 배출 컨베이어
48a: 배출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
49: 상부 컨베이어
49a: 이동 기구
50, 50a: 스택
52: 고정 팬(고정 송풍 장치)
53: 가동 팬(가동 송풍 장치)
2: 인쇄부
3: 배지부
4: 다이 컷부
5: 폴더 글루어부
6: 카운터 이젝터부(카운터 이젝터)
10, 101, 102: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제함용 시트재, 시트)
10a: 골판지 시트
20: 프레임
21: 컨베이어용 롤러
22: 송출롤
23: 스팽커
23a: 맞닿음면
24: 지지부
27: 푸셔
28: 프론트 스톱(프론트 스톱 장치)
28A, 28B: 지지 베이스
32: 엘리베이터
33a: 랙
33b: 피니언
34: 지지축
35: 서보 모터
36: 사이드 프레임
37: 레일
38: 레지 지지체
39: 롤러
40: 레지 전후 서보 모터
41: 승강 기구
42: 레지
44: 프레스바
47: 하부 컨베이어
47a: 하부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
48: 배출 컨베이어
48a: 배출 컨베이어용 서보 모터
49: 상부 컨베이어
49a: 이동 기구
50, 50a: 스택
52: 고정 팬(고정 송풍 장치)
53: 가동 팬(가동 송풍 장치)
Claims (18)
- 송출롤에 의하여 호퍼부의 상방 공간에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를 따라 송출되는 시트의 전부를 받아,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프론트 스톱 장치로서,
상기 시트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받으면 오목면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시트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탄성 변형의 복원에 따라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밀어 되돌리는 복원력이 상하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연직 상향으로 경사져 지지되어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시트의 전부가 직접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 시에 상기 탄성 부재와 함께 변형되는 판스프링을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배면에 상기 시트의 충돌에 의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의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고정되어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는 상기 완충 부재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사 각도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한쪽을,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인 축선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다른 쪽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주요부를 이동시키는 수동 조작 수단을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완충 부재의 주요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종류 및 상기 시트의 처리 조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완충 부재의 경사 각도를 오토 세팅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분할된 각 부분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장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하여, 상기 분할된 각 부분을 일체로 연동시켜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한 연동 기구를 갖고 있는 프론트 스톱 장치. - 시트를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적중하는 호퍼부와,
상기 시트를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의 반송 경로이며 상기 호퍼부의 상방 공간으로 송출하는 송출롤과,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의 전부를 받아 상기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프론트 스톱부를 갖는 시트 적중 장치로서,
상기 프론트 스톱부에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론트 스톱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트 적중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의 후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시트 누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누름 장치는,
상기 송출롤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하여 동반 회전하는 누름롤과,
상기 누름롤을, 상기 반송 경로 내와 상기 반송 경로의 상방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적중 장치.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송출롤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시트에 상방으로부터 하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시트 적중 장치.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인 시트 적중 장치. - 제함기의 하류부에 구비되어, 제16항에 기재된 시트 적중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에,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송출된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하는 카운터 이젝터. - 골판지 시트를 1매씩 급지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골판지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하여 인쇄된 골판지 시트를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지된 골판지 시트에 홈 절삭 및 괘선 형성을 하는 다이 컷부와,
상기 다이 컷부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 가공을 하여 시트 형상의 골판지 상자를 형성하는 폴더 글루어부와,
상기 폴더 글루어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 이젝터부에는, 제17항에 기재된 카운터 이젝터가 마련되어 있는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23249A JP6264619B2 (ja) | 2015-02-09 | 2015-02-09 | フロントストップ装置,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
JPJP-P-2015-023249 | 2015-02-09 | ||
PCT/JP2016/051667 WO2016129348A1 (ja) | 2015-02-09 | 2016-01-21 | フロントストップ装置,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2539A true KR20170102539A (ko) | 2017-09-11 |
KR101962057B1 KR101962057B1 (ko) | 2019-03-25 |
Family
ID=5661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2109A KR101962057B1 (ko) | 2015-02-09 | 2016-01-21 | 프론트 스톱 장치,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015682A1 (ko) |
EP (1) | EP3266733B1 (ko) |
JP (1) | JP6264619B2 (ko) |
KR (1) | KR101962057B1 (ko) |
CN (1) | CN107207175B (ko) |
WO (1) | WO201612934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2655A (ko) | 2019-12-26 | 2021-07-06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합포 주문의 포장을 위한 화물 처리 시스템, 화물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96852B2 (ja) * | 2016-07-07 | 2020-12-09 | 株式会社Isowa | 段ボールシート製函機、およびシート給送制御装置 |
JP6832133B2 (ja) * | 2016-11-08 | 2021-02-24 |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 シート折り畳み装置及び方法並びに製函機 |
CN107867588A (zh) * | 2017-12-01 | 2018-04-03 | 浙江东经科技股份有限公司 | 纸板堆叠装置 |
JP7228396B2 (ja) * | 2019-02-01 | 2023-02-24 |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製函機 |
CN110125048A (zh) * | 2019-06-18 | 2019-08-16 | 四川卡库机器人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片状物料的吹气式分路传输剔除装置 |
WO2021116325A1 (en) * | 2019-12-10 | 2021-06-17 | Bobst Mex Sa | Stacking device and transport block for a stacking device |
JP2023536639A (ja) * | 2020-08-03 | 2023-08-28 |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 変換機械用のスタッカーモジュール |
JP7187055B2 (ja) * | 2021-02-22 | 2022-12-12 | 株式会社上田紙工機 | シート搬送装置 |
CN113752629B (zh) * | 2021-09-09 | 2023-10-27 | 南京横溪农业发展有限公司 | 一种高档商务笔盒内置棉压入机器 |
CN113910679B (zh) * | 2021-11-08 | 2023-02-03 | 唐山佳捷包装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下折式糊箱机分纸器 |
US12024367B1 (en) * | 2022-02-04 | 2024-07-02 | Amazon Technologies, Inc. | Automated container provisioning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26800A (en) * | 1948-07-20 | 1953-01-27 | Dexter Folder Co | Sheet delivering apparatus |
US3022999A (en) * | 1959-05-25 | 1962-02-27 | Lamb Grays Harbor Co Inc | Spring loaded pivoted forward stop for paper stacking mechanism |
JPH03143866A (ja) * | 1989-10-27 | 1991-06-19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10236711A (ja) | 1997-02-28 | 1998-09-08 | Toppan Forms Co Ltd | 単片用紙のスタッカ装置 |
JP2010052356A (ja) | 2008-08-29 | 2010-03-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フォルダグルアのホッパ装置 |
US20140148321A1 (en) * | 2011-01-31 | 2014-05-29 | Osamu Hatano | Counter ejector and box former |
JP2015009935A (ja) * | 2013-06-27 | 2015-01-19 | 株式会社リコー |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72550A (en) * | 1981-04-30 | 1983-02-08 | Woods Kenneth D | Air flow delivery system |
JPS6453986A (en) * | 1987-08-25 | 1989-03-01 | Ricoh Kk | Paper discharger |
JP3746096B2 (ja) * | 1996-01-05 | 2006-02-15 |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 複写装置又は印刷装置の排紙台 |
US6494450B2 (en) * | 2000-01-31 | 2002-12-17 | Riso Kagaku Corporation | Paper discharge bas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JP4209271B2 (ja) * | 2003-06-26 | 2009-01-1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フォルダグルアのホッパ装置 |
JP5101337B2 (ja) * | 2007-03-23 | 2012-12-1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シート材集積装置及びシート材集積方法 |
JP5006256B2 (ja) * | 2008-05-23 | 2012-08-2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スタック装置及びそのスタック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WO2013153706A1 (ja) * | 2012-04-13 | 2013-10-17 | 株式会社ニコン | カセット装置、基板搬送装置、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
-
2015
- 2015-02-09 JP JP2015023249A patent/JP6264619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1-21 US US15/548,701 patent/US2018001568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1-21 CN CN201680009259.XA patent/CN107207175B/zh active Active
- 2016-01-21 EP EP16748993.9A patent/EP3266733B1/en active Active
- 2016-01-21 KR KR1020177022109A patent/KR1019620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21 WO PCT/JP2016/051667 patent/WO201612934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26800A (en) * | 1948-07-20 | 1953-01-27 | Dexter Folder Co | Sheet delivering apparatus |
US3022999A (en) * | 1959-05-25 | 1962-02-27 | Lamb Grays Harbor Co Inc | Spring loaded pivoted forward stop for paper stacking mechanism |
JPH03143866A (ja) * | 1989-10-27 | 1991-06-19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10236711A (ja) | 1997-02-28 | 1998-09-08 | Toppan Forms Co Ltd | 単片用紙のスタッカ装置 |
JP2010052356A (ja) | 2008-08-29 | 2010-03-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フォルダグルアのホッパ装置 |
US20140148321A1 (en) * | 2011-01-31 | 2014-05-29 | Osamu Hatano | Counter ejector and box former |
JP2015009935A (ja) * | 2013-06-27 | 2015-01-19 | 株式会社リコー |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2655A (ko) | 2019-12-26 | 2021-07-06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합포 주문의 포장을 위한 화물 처리 시스템, 화물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66733B1 (en) | 2019-04-24 |
EP3266733A4 (en) | 2018-02-21 |
JP2016145104A (ja) | 2016-08-12 |
CN107207175A (zh) | 2017-09-26 |
KR101962057B1 (ko) | 2019-03-25 |
CN107207175B (zh) | 2020-04-28 |
US20180015682A1 (en) | 2018-01-18 |
WO2016129348A1 (ja) | 2016-08-18 |
EP3266733A1 (en) | 2018-01-10 |
JP6264619B2 (ja) | 2018-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2057B1 (ko) | 프론트 스톱 장치,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 | |
KR101464905B1 (ko) | 카운터 이젝터 및 제함기 | |
KR102025025B1 (ko) |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제함기 | |
US20130296151A1 (en) | Counter ejector and box former | |
EP3889085B1 (en) | Sheet stacking device, sheet stacking method, counter ejector, and box making machine | |
KR20190097178A (ko) | 시트 적중 장치, 카운터 이젝터, 제함기 | |
WO2020158204A1 (ja) |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製函機 | |
JP3068561B2 (ja) | プレート状ワークピースのコンベアにおける選別装置 | |
JP2016132119A (ja) |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 |
JP4610232B2 (ja) | 排紙・紙受け装置 | |
JP4209271B2 (ja) | フォルダグルアのホッパ装置 | |
CN217024342U (zh) | 上料控制机构 | |
JP4171187B2 (ja) | 平版印刷版の集積装置及び平版印刷版束の製造方法 | |
JPH0641963Y2 (ja) | 切断シート積載装置 | |
JP2009067572A (ja) | シートの集積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