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355A -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 Google Patents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355A
KR20170101355A KR1020160023481A KR20160023481A KR20170101355A KR 20170101355 A KR20170101355 A KR 20170101355A KR 1020160023481 A KR1020160023481 A KR 1020160023481A KR 20160023481 A KR20160023481 A KR 20160023481A KR 20170101355 A KR20170101355 A KR 2017010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lever
workpiece
plunger
chu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785B1 (ko
Inventor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Priority to KR102016002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85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38 priority patent/WO2017131304A1/ko
Publication of KR2017010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3Retention by pivotal elements, e.g. catches,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2Hydraulic equipment, e.g. pistons, valves, rotary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웨지 플런저의 동작으로 4개 조우를 연동시켜 단면이 정사각형, 원형 봉, 원형 파이프는 물론이고 직사각형, 타원형 등 이형 공작물을 정확하게 센터링(Centering)할 때, 웨지 바의 스트로크를 최소화하면서도 조우에 의한 공작물의 클램핑 부상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체의 전면 중앙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 삽입구멍(11)이 뚫려지고, 후방에는 공작물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직경으로 각종 기구물들이 수용되도록 작동공간(18)이 형성되며, 회전 중심을 향하여 수직방향을 갖고 4개의 조우 가이드 홈(12)이 교차되게 형성된 척 하우징(10)과; 상기 척 하우징(10)의 각 조우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배면에 가압 공간부(23)가 형성된 4개의 마스터 조우(20)와;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방에 형성된 작동공간(18)에 유압실린더의 피스톤과 후방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피스톤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작동공간(18)에서 수평 이동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4개의 레버 장착구멍(31)들이 수직 배치되게 파여지며, 상기 레버 장착구멍(31)들의 양단부가 서로 연통되면서 전방을 향해 파여진 4개의 웨지 삽입구멍(32)이 구비된 웨지 플런저(30)와;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각 레버 장착구멍(31)에 설치되어 레버 장착구멍 내에서 양단의 가압부(42)가 회전 운동하는 웨지 레버(40)와; 상기 웨지 레버(40)의 중심을 통해 웨지 플런저(30)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 장착구멍(31)에서 웨지 레버(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고정볼트(50)와;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각 웨지 삽입구멍(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선단에는 가압레버(70)의 일단이 끼워지는 결합 홈(6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레버장착구멍(31)들에 각각 장착된 웨지 레버(40) 일단의 가압부(42)가 서로 연결되게 끼워지는 레버 끼움 홈(62)이 형성된 웨지 바(60)와; 상기 각 조우 가이드 홈(12)의 후방에 위치하는 척 하우징(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부는 웨지 바(60)에 형성된 결합 홈(63)에 끼워지고 상부는 마스터 조우(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 공간부(23)에 끼워지는 가압레버(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One Wedge Centering Hydraulic Chuck}
본 발명은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웨지 플런저의 동작으로 4개 조우를 연동시켜 단면이 정사각형, 원형 봉, 원형 파이프는 물론이고 직사각형, 타원형 등 이형 공작물을 정확하게 센터링(Centering)할 때, 웨지 바의 스트로크를 최소화하면서도 조우에 의한 공작물의 클램핑 부상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원 웨이 센터링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척은 회전에 의해 가공되는 공작물의 가공 시 가공을 원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척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의 조우(Jaw)에 의해 공작물을 내경 또는 외경에서 지지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 척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중앙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 삽입구멍(11)이 뚫려 있으며, 이 공작물 삽입구멍(11)과 방사상으로 다 수의 조우 가이드 홈(12)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척 하우징(10)과; 상기 척 하우징(10)의 조우 가이드 홈(12)에 결합되어 척 하우징(10)의 중심을 향해 조여지거나 척 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며, 후면에는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이동 경사돌기(4)가 돌출된 조우부재(3)와;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면으로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조우부재(3)의 이동 경사돌기(4)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조우돌기 결합홈(5)이 형성되며, 유압실린더(도시는 생략함)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웨지 플런저(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웨지 플런저(6)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하면 이 웨지플런저(6)에 결합된 조우부재(3)가 가이드면을 따라 밀리는 이동 경사돌기(4)로 인해 공작물을 클램핑시키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로 풀려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우부재(3)는 조우 가이드홈에 결합되고, 웨지 플런저(6)에 결합되는 이동 경사돌기(4)가 돌출된 마스터 조우(20)와, 상기 마스터 조우(20)에 결합되어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소프트 조우(도시는 생략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조우부재(3)는 클램핑되는 공작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공작물을 척의 중심에 정확히 클램핑할 수 있는 조우부재(3)를 선택하여 작업자가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008853호 - 유압척(등록일자 2011년 01월 11일)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압 척은 웨지 플런저에 조우부재가 직접 결합되어 공작물에 따라 조우부재를 적당한 것으로 교체해서 공작물을 고정시켜야 되었기 때문에, 공작물에 따라 소프트 조우를 교체하거나, 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마스터 조우에서 소프트 조우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 상기 유압 척은 주로 조우부재가 3개인 척을 사용하는 경우이며, 유압 척의 회전 중심에 공작물이나 공구의 중심선을 맞추기 위한 센터링(Centering) 작업으로 높은 정밀도를 갖고 원형의 공작물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것에 유리하였으나, 사각형, 직사각형 및 타원형의 공작물을 정확하게 센터링하여 고정하는 것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직사각형과 같은 이형의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조우부재가 4개인 척을 갖고, 상기 2개씩의 조우부재를 웨지 플런저가 각각 동작시켜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상기 웨지 플런저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또한 2개의 피스톤이 필요하여 제작의 어려움과 함께 높은 정밀도를 갖도록 공작물을 고정시키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즉, 각각의 조우부재들이 공작물을 조이기 위해 척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지만, 한 쌍의 조우부재가 공작물을 클램핑하면 나머지 한 쌍의 조우부재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기가 힘들어져서 센터링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1개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용해 웨지 플런저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웨지 플런저의 작동으로 4개의 마스터 조우를 연동되도록 하여 단면이 정사각형, 원형 봉, 원형 파이프인 공작물의 가공뿐만 아니라 단면이 직사각형, 타원형 등 이형 공작물도 정밀하게 센터링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지 바의 구조를 개선하여 웨지 바의 스트로크를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웨지 바의 이동에 따라 가압레버가 조우를 수직방향으로 직접 가압하여 조우의 클램핑 부상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터 조우에 의해 클램핑된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척 하우징에 원심력이 작용될 때, 웨이트가 원심력에 의해 가압레버를 눌러주도록 하여 척 하우징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공작물의 클램핑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전면 중앙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 삽입구멍이 뚫려지고, 후방에는 공작물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직경으로 각종 기구물들이 수용되도록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회전 중심을 향하여 수직방향을 갖고 4개의 조우 가이드 홈이 교차되게 형성된 척 하우징과; 상기 척 하우징의 각 조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배면에 가압 공간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마스터 조우와; 상기 척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유압실린더의 피스톤과 후방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피스톤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작동공간에서 수평 이동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4개의 레버 장착구멍들이 수직 배치되게 파여지며, 상기 레버 장착구멍들의 양단부가 서로 연통되면서 전방을 향해 파여진 4개의 웨지 삽입구멍이 구비된 웨지 플런저와; 상기 웨지 플런저의 각 레버 장착구멍에 설치되어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레버 장착구멍 내에서 양단의 가압부가 회전 이동하는 웨지 레버와; 상기 웨지 플런저의 레버 장착구멍에서 웨지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고정볼트와; 상기 웨지 플런저의 각 웨지 삽입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선단에는 가압레버의 일단이 끼워지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레버장착구멍들에 각각 장착된 웨지 레버 일단의 가압부가 서로 연결되게 끼워지는 레버 끼움 홈이 형성된 웨지 바와; 상기 각 조우 가이드 홈의 후방에 위치하는 척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부는 웨지 바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지고 상부는 마스터 조우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 공간부에 끼워지는 가압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한 개의 피스톤을 이용하여 웨지 플런저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웨지 플런저에 장착된 웨지 레버가 4개의 마스터 조우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공작물을 동시에 가압하므로 공작물의 클램핑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각형, 직사각형 및 타원형과 같은 이형의 공작물에도 유압 척의 회전 중심에 공작물이나 공구의 중심선을 맞추기 위한 센터링(Centering)작업이 가능하면서 매우 정밀도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마스터 조우가 공작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척 하우징이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가 가압레버를 마스터 조우의 클램핑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척 하우징에서 공작물이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압 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반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웨지 플런저의 이동으로 가압레버가 마스터 조우를 누른 상태를 반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웨지 플런저의 이동 전, 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웨지 레버와 웨지 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반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웨지 플런저의 이동으로 가압레버가 마스터 조우를 누른 상태를 반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하우징(10)의 전면에 4개의 조우 가이드 홈(12)이 크로스(cross)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방에 형성된 작동공간(18)에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된 웨지 플런저(30)가 설치되어 있어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이 웨지 플런저(30)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웨지 플런저(30)가 척 하우징(10)의 작동공간(18)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웨지 플런저(30)에는 웨지 레버(40) 및 웨지 바(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척 하우징(10)의 작동공간(18)에는 웨지 바(60)의 이동에 따라 4개의 마스터 조우(20)를 조여주거나, 벌려주는 가압레버(70)가 핀(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척 하우징(10)은 몸체의 전면 중앙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 삽입구멍(11)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공작물 삽입구멍(11)보다 큰 직경으로 각종 기구물들이 수용되도록 작동공간(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4개의 조우 가이드 홈(12)들이 크로스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척 하우징(10)의 조우 가이드 홈(12)에는 마스터 조우(20)가 각각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척 하우징(10)의 작동공간(18)에 핀(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70)의 상부는 상기 각 마스터 조우(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 공간부(23)에 끼워져 있고 하부는 웨지 바(6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 홈(63)에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웨지 바(60)의 스트로크를 줄이면서도 마스터 조우(20)의 이동량을 최대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압레버(70)의 회동에 따른 힘이 마스터 조우(20)에 직접 전달되므로 척 하우징(10)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 및 클램핑력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가압레버(70)의 후단에 돌출부(7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웨이트(80)의 요입홈(81)을 각각 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데, 이는, 마스터 조우(20)에 의해 공작물(도시는 생략함)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척 하우징(10)이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80)가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이용하여 가압레버(70)가 마스터 조우(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웨지 플런저(30) 및 가압레버(70) 그리고 웨이트(80)는 커버(90)에 의해 감싸지게 설치되므로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방 작동공간(18)에 위치하는 웨지 플런저(30)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피스톤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작동공간(18)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지 플런저(3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4개의 레버장착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레버장착구멍(31)에는 웨지 레버(40)가 조립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각각의 웨지 레버(40) 일단과 서로 연결하여 수평 이동하는 웨지 바(60)의 결합 홈(63)에는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압레버(70)가 끼워져 있어 상기 가압레버(70)에 의해 마스터 조우(20)가 이동됨에 따라 공작물(도시는 생략함)을 유압 척의 회전 중심에 센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형상은 외측 둘레를 따라 4개의 레버 장착구멍(31)이 등 간격으로 수직되게 파여져 있고, 상기 레버 장착구멍(31)들의 양단부에서 각각의 구멍들과 서로 연통되면서 전방을 향해 파여진 웨지삽입구멍(3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레버 장착구멍(31)에는 웨지 레버(40)가 각각 끼워져, 레버장착구멍(31) 내에서 웨지 레버(40) 양단의 가압부(42)가 레버 고정볼트(5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레버장착구멍(31)의 양단을 가압부(42)의 형상보다 크게 성형시켜 웨지 레버(40)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웨지 레버(40)의 중심 상부에서 레버 고정볼트(50)를 체결하면, 상기 레버 고정볼트(50)가 레버 장착구멍(31)에 체결되므로 상기 웨지 레버(40)가 레버 장착구멍(31)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웨지 삽입구멍(32)에 각각 조립되는 웨지 바(60)의 일면에는 가압레버(70)의 하부가 끼워지는 결합 홈(63)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레버장착구멍(31)들에 각각 장착된 웨지 레버(40) 일단의 가압부(42)가 서로 연결되게 끼워지는 레버 끼움 홈(62)이 90°위상 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지 바(60)는 후방 일단이 웨지 플런저(30)의 웨지 삽입구멍(32)에 끼워져 가압부(42)의 동작으로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일면에 형성된 결합 홈(63)에는 척 하우징(10)의 작동공간(18)에 핀(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레버(70)의 하부가 끼워져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웨지 플런저(30)의 이동에 따라 웨지 바(60)에 의해 마스터 조우(20)가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피스톤의 이동으로 웨지 플런저(30)가 도 5a의 좌측으로 후진하면, 상기 웨지 플런저(30)에 설치된 웨지 바(60)도 함께 후진하게 되므로 상기 웨지 바(60)의 결합 홈(63)에 끼워진 가압레버(70)가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4개의 마스터 조우(20)를 조여주게 된다.
이때, 상기 마스터 조우(20)의 가이드날개(21)는 척 하우징(10)의 조우 가이드 홈(12)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4개의 마스터 조우(20)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조여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지 플런저(30)에 4개의 웨지 바(60)가 구비되어 있고, 척 하우징(10)에는 웨지 바(60)의 이동으로 가압레버(70)에 의해 조여지거나, 벌어지는 4개의 마스터 조우(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이동에 따라 마스터 조우(20)가 중심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벌어지는 이동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웨지 레버(40)와 웨지 바(6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웨지 플런저(30)의 각 레버 장착구멍(31)에 웨지 레버(40)가 레버 고정볼트(50)로 각각 체결되어 있고, 각 웨지 삽입구멍(32)에는 웨지 바(60)가 각각 끼워져 상기 웨지 레버(40)와 결합된다.
상기 웨지 바(60)의 후방에는 레버 장착구멍(31)들에 각각 장착된 웨지 레버(40) 일단의 가압부(42)가 서로 연결되게 끼워지는 레버 끼움 홈(62)이 직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웨지 바(60)의 레버 끼움 홈(62)에 수평방향의 웨지 레버(40)와 수직방향의 웨지 레버(40)의 일단 가압부(42)가 동시에 끼워져 있어, 어느 하나의 웨지 레버(40)를 회동시키면 다른 하나의 웨지 레버(40)는 레버 고정볼트(5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다른 일단의 가압부(42)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가로 10cm × 세로 8cm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공작물을 센터링한 다음 클램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상, 하, 좌, 우에 등 간격으로 4개의 웨지 바(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웨지 바(60)의 레버 끼움 홈(62)에는 상기 웨지 레버(40) 양단의 가압부(42)가 끼워져 있으므로, 피스톤의 이동으로 웨지 플런저(30)가 도면상 좌측으로 후진하면 상기 웨지 플런저(30)에 설치된 4개의 웨지 바(60)도 웨지 플런저(30)와 함께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지 바(60)의 레버 끼움 홈(62)에 끼워진 웨지 레버(40)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아 웨지 레버(40)는 웨지 플런저(30)와 함께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척 하우징(10)의 작동공간(18)에 핀(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레버(70)의 하부가 웨지 바(60)의 결합 홈(63)에 끼워져 있고 상기 가압레버(70)의 상부는 각 마스터 조우(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 공간부(23)에 끼워져 있어 4개의 마스터 조우(20)가 중심축방향으로 동시에 조여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이 웨지 플런저(30)를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후진시켜 상호 어긋나게 대향된 2개의 마스터 조우(20)가 폭이 넓은 세로방향(10cm 부위)의 공작물에 접하면 2개의 마스터 조우(20)의 이동이 중단되는데, 이때 나머지 2개의 마스터 조우는 공작물에 닿지 않은 상태이다.
그 후, 계속해서 피스톤이 웨지 플런저(30)를 도면상 좌측으로 후진시키면 공작물에 접하고 있던 2개의 마스터 조우(20)는 공작물과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2개의 웨지 바(60)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머지 2개의 마스터 조우(20)는 웨지 바(60)가 계속해서 도면상 좌측으로 후진할 때 웨지 레버(40)가 레버 고정볼트(50)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나머지 2개의 웨지 바(60)를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후진시키게 되므로 공작물의 폭이 좁은 세로방향(8cm 부위)을 클램핑하게 된다.
즉, 4개의 마스터 조우(20)가 공작물의 4면에 각각 접하면서 공작물의 센터링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4개의 마스터 조우(20)가 직육면체의 공작물에 접하면서 센터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웨지 플런저(30)를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더 후진시키면 공작물의 4면에 각각 접하고 있던 마스터 조우(20)가 척 하우징(10)의 중심방향으로 조여지면서 공작물을 강력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한편, 척 하우징(10)에 공작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척 하우징(1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데, 이때에는 공작물을 클램핑하고 있는 마스터 조우(20)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조우(20)를 조여주거나, 벌려주는 가압레버(70)의 후단에 웨이트(80)가 결합되어 있어 척 하우징(1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80)가 가압레버(70)를 눌러주게 되므로 원심력에 의해 마스터 조우(20)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한 개의 피스톤을 이용하여 웨지 플런저(30)를 이동시켜 상기 웨지 플런저(30)에 장착된 웨지 레버(40)의 회전 이동과 웨지 바(60)에 의해 4개의 마스터 조우(20) 중 전체 또는 2개의 마스터 조우를 택일적으로 척 하우징(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센터링(Centering)작업을 실시한 다음 클램핑하므로, 사각형, 직사각형 및 타원형과 같은 이형의 공작물도 유압 척의 회전 중심에 높은 정밀도를 갖고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척 하우징(10)에 공작물을 강력한 힘으로 클램핑할 수 있게 되므로 공작물의 가공 시에 척 하우징(10)에서 공작물이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척 하우징 20 : 마스터 조우
23 : 가압 공간부 30 : 웨지 플런저
31 : 레버 장착구멍 32 : 웨지 삽입구멍
40 : 웨지 레버 42 : 가압부
60 : 웨지 바 62 : 레버 끼움 홈
63 : 결합 홈 70 : 가압레버
72 : 돌출부 80 : 웨이트

Claims (3)

  1. 몸체의 전면 중앙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 삽입구멍(11)이 뚫려지고, 후방에는 공작물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직경으로 각종 기구물들이 수용되도록 작동공간(18)이 형성되며, 회전 중심을 향하여 수직방향을 갖고 4개의 조우 가이드 홈(12)이 교차되게 형성된 척 하우징(10)과; 상기 척 하우징(10)의 각 조우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배면에 가압 공간부(23)가 형성된 4개의 마스터 조우(20)와;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방에 형성된 작동공간(18)에 유압실린더의 피스톤과 후방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피스톤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작동공간(18)에서 수평 이동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4개의 레버 장착구멍(31)들이 수직 배치되게 파여지며, 상기 레버 장착구멍(31)들의 양단부가 서로 연통되면서 전방을 향해 파여진 4개의 웨지 삽입구멍(32)이 구비된 웨지 플런저(30)와;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각 레버 장착구멍(31)에 설치되어 레버 장착구멍 내에서 양단의 가압부(42)가 회전 운동하는 웨지 레버(40)와; 상기 웨지 레버(40)의 중심을 통해 웨지 플런저(30)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 장착구멍(31)에서 웨지 레버(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고정볼트(50)와; 상기 웨지 플런저(30)의 각 웨지 삽입구멍(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선단에는 가압레버(70)의 일단이 끼워지는 결합 홈(6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레버장착구멍(31)들에 각각 장착된 웨지 레버(40) 일단의 가압부(42)가 서로 연결되게 끼워지는 레버 끼움 홈(62)이 형성된 웨지 바(60)와; 상기 각 조우 가이드 홈(12)의 후방에 위치하는 척 하우징(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부는 웨지 바(60)에 형성된 결합 홈(63)에 끼워지고 상부는 마스터 조우(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 공간부(23)에 끼워지는 가압레버(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가압레버(70)의 후단에 돌출부(7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72)에 웨이트(80)를 각각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척 하우징(10)의 후단에 커버(90)가 설치되어 웨지 플런저(30) 및 웨이트(80)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KR1020160023481A 2016-01-29 2016-02-26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KR10194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81A KR101948785B1 (ko) 2016-02-26 2016-02-26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PCT/KR2016/008338 WO2017131304A1 (ko) 2016-01-29 2016-07-29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81A KR101948785B1 (ko) 2016-02-26 2016-02-26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355A true KR20170101355A (ko) 2017-09-06
KR101948785B1 KR101948785B1 (ko) 2019-02-18

Family

ID=5992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81A KR101948785B1 (ko) 2016-01-29 2016-02-26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77A (ko) * 2018-09-06 2020-03-17 산동 레이밍 씨엔씨 레이저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공압 클램핑 척
CN112719328A (zh) * 2020-12-22 2021-04-30 上海纳错机械制造厂 一种模块化台阶卡盘
CN113199049A (zh) * 2021-05-14 2021-08-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前钢板弹簧支架的四爪定心夹紧车床夹具
CN114131386A (zh) * 2021-12-01 2022-03-04 浙江金汤机床有限公司 一种多通道管件及阀门高效加工数控专用车床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8685A (ja) * 1988-04-07 1989-10-16 Sumitomo Pharmaceut Co Ltd セフェム系化合物
KR20100012261A (ko) * 2008-07-28 2010-02-08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유압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8685A (ja) * 1988-04-07 1989-10-16 Sumitomo Pharmaceut Co Ltd セフェム系化合物
KR20100012261A (ko) * 2008-07-28 2010-02-08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유압척
KR101008853B1 (ko) 2008-07-28 2011-01-19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유압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77A (ko) * 2018-09-06 2020-03-17 산동 레이밍 씨엔씨 레이저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공압 클램핑 척
CN112719328A (zh) * 2020-12-22 2021-04-30 上海纳错机械制造厂 一种模块化台阶卡盘
CN112719328B (zh) * 2020-12-22 2024-04-12 上海纳错机械制造厂 一种模块化台阶卡盘
CN113199049A (zh) * 2021-05-14 2021-08-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前钢板弹簧支架的四爪定心夹紧车床夹具
CN114131386A (zh) * 2021-12-01 2022-03-04 浙江金汤机床有限公司 一种多通道管件及阀门高效加工数控专用车床及其工作方法
CN114131386B (zh) * 2021-12-01 2024-05-24 浙江金汤机床有限公司 一种多通道管件及阀门高效加工数控专用车床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85B1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86B1 (ko) 두께가 얇은 파이프 고정용 유압 척
KR101948785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KR20170091205A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JP5343103B2 (ja) 電動チャック
US20140001712A1 (en) Power operated chuck
US6354606B1 (en) Chuck adapt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for converting a fixed chuck to a compensating chuck
JP200610288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20180096749A (ko) 인입형 척
US3365206A (en) Work holding chuck
KR101599513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US11213902B2 (en) Broaching machine and lathe comprising same
CN105665845B (zh) 一种手持式涨套定心剃齿夹具
JP2000117572A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クランプ装置
CN110103049A (zh) 一种轴端铣槽的轴类零件快速装夹工装
CN211438994U (zh) 一种中心轴加工专用工装
JPS62255042A (ja) クランプ装置
JPH03277408A (ja) 薄肉ワーク加工用チャック
CN114799979A (zh) 一种可快速夹紧的金属切削加工机床
CN107838724A (zh) 一种压板联动四工位夹紧机构
US3663029A (en) Chuck jaw locking mechanism
CN103978240A (zh) 机床夹具及使用该机床夹具的机床
CN108098377A (zh) 一种三点联动定心抱轴机构
JP2010221376A (ja) センタリングバイス
JP2017221990A (ja) フェースクランプチャック装置
US2807873A (en) Clamp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