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44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442A
KR20170100442A KR1020170024346A KR20170024346A KR20170100442A KR 20170100442 A KR20170100442 A KR 20170100442A KR 1020170024346 A KR1020170024346 A KR 1020170024346A KR 20170024346 A KR20170024346 A KR 20170024346A KR 20170100442 A KR20170100442 A KR 2017010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lide member
connector
sl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954B1 (ko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준 무쿠노키
다쿠야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끼워맞춤용 피계지부를 갖는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과,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너 하우징은 끼워맞춤용 계지부와,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마련된 로크 아암을 갖는다. 이너 하우징에는, 양측에 로크 아암이 한쌍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는 계지부를 갖는 한쌍의 계지 아암을 갖는다.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가 통과 가능하게 슬라이드 통로를 구성하고, 슬라이드 부재는, 슬라이드 통로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로크 아암의 가압에 의해 한쌍의 계지 아암이 그 간격이 좁게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커넥터 위치 보증(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기능을 갖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에 부가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부재는, 제 1 하우징으로의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대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 2 위치(끼워맞춤 로크 위치)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제 2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양쪽 하우징의 끼워맞춤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CPA 부재로서 기능한다.
일본 특허 제 4657034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는, 선단에 클로부(계지부(係止部))가 마련된 한쌍의 아암부를 갖고 있다.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의 진행에 따라서, 아암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휜다. 이 때문에, 아암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만큼의 공간을 제 2 하우징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 2 하우징이 대형화되고, 나아가서는, 커넥터 전체의 사이즈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끼워맞춤용 피계지부(被係止部)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끼워맞춤용 계지부와,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마련된 로크 아암을 갖고, 양측에 상기 로크 아암이 한쌍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과,
계지부를 갖는 한쌍의 아암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통과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상기 로크 아암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이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로크 아암을 타고넘는 것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의 간격이 넓어져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로크 아암에 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끼워맞춤을 위해,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까지는,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와의 계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되면,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한쌍의 아암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로크 아암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반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는 가계지부가 상기 계지부보다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한쌍의 아암의 상기 계지부는 서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커넥터의 하우징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로크 아암의 가압에 의해 한쌍의 아암이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휜다. 이에 의해, 제 2 하우징 내에, 아암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만큼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분해 YZ 단면도,
도 4는 이너 하우징 및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드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이너 하우징의 간략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슬라이드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는 도 5의 A-A 단면도(그 중 1)이고,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는 도 5의 A-A 단면도(그 중 2)이고,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도,
도 8은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그 중 1),
도 9a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도,
도 10a는 도 5의 D-D 단면도이고, 도 10b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의 XY 단면도,
도 11a는 제 2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의 XY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E-E 단면도이며, 도 11c는 도 11a의 F-F 단면도,
도 12는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그 중 2),
도 13은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1),
도 14는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2),
도 15는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3),
도 16은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4),
도 17은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5),
도 18a는 슬라이드 부재의 CPA(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그 중 1)이고, 도 18b는 슬라이드 부재의 CPA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그 중 2)이며, 도 18c는 슬라이드 부재의 CPA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그 중 3),
도 19는 슬라이드 부재의 CPA(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1),
도 20은 슬라이드 부재의 CPA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2),
도 21은 슬라이드 부재의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1),
도 22는 슬라이드 부재의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2),
도 23a는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그 중 1)이고, 도 23b는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이며(그 중 2), 도 23c는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등의 XY 단면도(그 중 3),
도 24는 슬라이드 부재의 역 슬라이드 이동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그 중 3),
도 25는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YZ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커넥터(1)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비되는 전자 회로 부품에 이용되며, 커넥터 위치 보증(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기능을 갖는 커넥터이다. 커넥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과, 양쪽 하우징(10, 20)이 끼워맞추어지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0)(CPA 부재)를 구비한다.
아우터 하우징(1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S)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아우터 하우징(10)은 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아우터 하우징(10)에는, 복수의 수단자(40)가 조립 장착되어 있다.
수단자(40)는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수단자(40)는 +Y측의 단부(40a) 및 -Y측의 단부(40b)가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단자(40)의 +Y측의 단부(40a)는, 아우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맞춤구(11)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수단자(40)의 -Y측의 단부(40b)는, 아우터 하우징(10)의 -Y측의 후단부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대략 S자 형상으로 만곡되며, -Y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단자(40)의 단부(40b)는 배선 기판(S)에 납땜되는 외부 리드부로서 이용된다.
아우터 하우징(10)은 +Y 방향으로 개구되는 끼워맞춤구(11)가 형성된 대략 상자 형상의 부재이다.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구(11)에는, 이너 하우징(20)이 삽입된다. 또한,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D1)은 -Y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를 갖는다.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는 아우터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천정벽부(12)의 +Y측 근방의 하면(12a)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는, 삽입 방향(D1)에 있어서 후단측(+Y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경사면(13a)과 평행면(13b)과 입면(立面)(13c)을 갖는다. 경사면(13a)은 삽입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면(13b)은 삽입 방향(D1)에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13c)은 Z축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하우징(2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선(W)이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이너 하우징(20)은 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너 하우징(20)에는, 복수 개의 암단자(50)가 삽입되어 있다.
암단자(50)는, 예를 들어 도전성의 판재를 휨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암단자(50)의 -Y측의 단부에는, 수단자(40)의 +Y측의 단부(40a)가 삽입되는 대략 각통 형상의 통 형상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부(51)는 수단자(40)의 단부(40a)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을 갖는다. 통 형상부(51)에 삽입된 수단자(40)의 단부(40a)는 통 형상부(51)의 탄성 접촉편의 탄성력에 의해 도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암단자(50)의 +Y측의 단부에는, 전선(W)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는 결속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하우징(20)은 Y축 방향을 약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의 후단부면(+Y측의 단부면)에는, 암단자(50)를 삽입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삽입구(2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실(22)에 통하여 있다.
이너 하우징(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계지 해제부(24)와, 리브(25)와, 한쌍의 로크 아암(60R, 60L)을 갖는다.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에 계지된다.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로크 아암(60R)과 로크 아암(60L) 사이에, 로크 아암(60R)과 로크 아암(60L)을 접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이너 하우징(20)의 삽입 방향(D1)에 있어서 선단측(-Y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경사면(23a)과, 상측 평행면(23b) 및 하측 평행면(23d)과, 입면(23c)을 갖는다. 경사면(23a)은 삽입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평행면(23b) 및 하측 평행면(23d)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23a)과 상측 평행면(23b)은,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따라서,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로 안내되는 피안내면으로서 이용된다. 입면(23c)은 Z축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23c)이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입면(13c)과 대향하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계지가 완료된다. 하측 평행면(23d)은, 슬라이드 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30)의 돌출부(35)를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슬라이드 부재(30)가 갖는 돌출부(35)에 계지된다. 이 때문에,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돌출부용 피계지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계지 해제부(24)는 로크 아암(60R, 60L)에 마련되어 있다. 계지 해제부(24)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계지를 해제한다. 이러한 계지의 해제에 의해, 사용자는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이너 하우징(2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리브(2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의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리브(25)는 Y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60R)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61R)과, 평행 로크 아암 부분(62R)과,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61R)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하우징(20)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천정벽부(26)의 선단 부분(-Y측 단부 부분) 근방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설(延設)되어 있다. 단,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61R)은 수직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어도 좋다.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정벽부(26)의 후단 부분(+Y측 단부 부분) 근방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단,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은 수직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어도 좋다. 평행 로크 아암 부분(62R)은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61R)과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을 접속하는 동시에, Y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60L)은 로크 아암(60R)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크 아암(60L)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61L)과, 평행 로크 아암 부분(62L)과,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L)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L)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크 아암(60R, 60L)은,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따라서,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2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통로(70)와, 리브(25)끼리의 대향면에 형성된 레일(7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통로(7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며, 2개의 하우징의 끼워맞춤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가 통과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통로(70)는 이너 하우징(20)의 천정벽부(26)의 상측(+Z측)에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통로(70)에는, 슬라이드 이동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하면(30a)(-Z측의 면)이 대면하는 슬라이드면(7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슬라이드 통로(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는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도 6b에서는, 계지 해제부(24), 로크 아암(60R, 60L)의 일부 등의 구성 부재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통로(70)의 양측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면(71)에는, 끼워맞춤 부분(71a, 71b, 71c)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부분(71a, 71b, 71c)은 저면을 갖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부분(71a, 71b, 71c)의 저면은 슬라이드면(71)으로부터 -Z 방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면이며, 슬라이드면(71)에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a는 레일(72)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7b에서는, 계지 해제부(24), 로크 아암(60R, 60L) 등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레일(72)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25)를 살 제거하도록 형성되며,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72)은 횡단면적(XZ 단면의 면적)이 다른 제 1 레일 부분(72A)과 제 2 레일 부분(72B)을 갖는다. 제 1 레일 부분(72A)은, 그 횡단면적이 제 2 레일 부분(72B)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레일(72)(상세하게는, 제 1 레일 부분(72A), 제 2 레일 부분(72B))은, 도 6b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73)과 제 1 측면(74) 및 제 2 측면(75)으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73)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이다. 제 1 측면(7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면(71)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측면(74)은, 슬라이드면(71)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면(71)의 일부가 아니어도 좋다. 제 2 측면(75)은 슬라이드면(71)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제 1 레일 부분(72A)과 제 2 레일 부분(72B)의 제 2 측면(75)의 경사 각도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 부분(72A)과 제 2 레일 부분(72B)의 접속 부분에는, 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안내면(G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면(G4)은, 커넥터(1)의 제조·조립시에, 이너 하우징(20)으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에 의해 삽입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0)는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을 로크하는 CPA(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로서 기능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 작업시에,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 상태가 중도 끼워맞춤인지, 완전히 끼워맞춰져 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와, 슬라이드 부재 기부(31)로부터 돌출되는 메인 아암(32), 한쌍의 계지 아암(33R, 33L), 한쌍의 지지 아암(34R, 34L)을 갖는다.
슬라이드 부재 기부(31)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손가락으로 누르는 가압부로서 이용된다.
메인 아암(32)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기부(31)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메인 아암(32)의 선단 부분에는, 상방향(+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5)의 후단부면(35a)은 Y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단부면(35a)은, 슬라이드 부재(30)를 +Y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메인 아암(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구성된다.
계지 아암(33R, 33L)은, 메인 아암(32)을 사이에 두도록, 슬라이드 부재 기부(31)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계지 아암(33R, 33L)은 연결부(32a)에 의해 메인 아암(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계지 아암(33R, 33L) 각각은 계지부(36)와 가계지부(37)를 갖는다.
계지부(36)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0R, 60L)의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에 계지된다. 이 때문에,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은 계지부(36)가 계지되는 피계지부로서 기능한다. 계지부(36)는 서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지부(36)는 계지 아암(33R)의 -X측의 면과, 계지 아암(33L)의 +X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36)의 -Y측의 면(36a) 및 +Y측의 면(36b)은 Y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지부(36)의 면(36a, 36b)은, 슬라이드 부재(30)의 -Y 방향 및 +Y 방향의 쌍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에 접촉하면서,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가계지부(37)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0R, 60L)의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에 가계지된다. 이 때문에,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은 가계지부(37)가 가계지되는 피계지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가계지부(37)는,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의 가계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여, 슬라이드 부재(30)의 이너 하우징(20)으로부터의 빠짐 방지에 이용된다. 가계지부(37)는, 계지부(36)와 마찬가지로, 서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계지부(37)는 계지 아암(33R)의 -X측의 면과 계지 아암(33L)의 +X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계지부(37)는 계지부(36)보다 선단측(-Y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 아암(33R, 33L)의 선단 부분에는, 도 9a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면(G1)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G1)은 Y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면(G1)은, 커넥터(1)의 제조·조립시에, 이너 하우징(20)으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에 의해 삽입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34R, 34L)은,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33R, 33L)을 사이에 두도록, 슬라이드 부재 기부(31)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34R, 34L)은, 제 1 지지 아암 부분(34A)과, 제 1 지지 아암 부분(34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지지 아암 부분(34B)을 갖는다. 제 2 지지 아암 부분(34B)은, 그 횡단면적(XZ 단면의 면적)이 제 1 지지 아암 부분(34A)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지지 아암 부분(34A)은 레일(72)의 제 1 레일 부분(72A)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 아암 부분(34B)은 레일(72)의 제 2 레일 부분(72B)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 및 이너 하우징(20)은 2개의 결합 부분을 구비하게 되어, 이너 하우징(20)으로부터의 슬라이드 부재(30)의 탈락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지 아암(34R, 34L)은,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72)의 오목형상의 제 2 측면(75)에 대면하는 상면(30b)(제 2 면)과, 레일(72)의 제 1 측면(74)에 대면하는 하면(30a)(제 1 면)을 갖는다. 상면(30b)은 하면(30a)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슬라이드면(71)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아암(34R, 34L)의 각각의 상면(30b)은 지지 아암(34R, 34L)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아암(34R, 34L)이 홈으로 구성된 레일(72)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너 하우징(20)으로부터의 슬라이드 부재(3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면(30b)의 경사 각도는 레일(72)의 제 2 측면(75)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대략 동일한 각도이다. 경사면인 상면(30b)은 제 1 지지 아암 부분(34A)과 제 2 지지 아암 부분(34B)의 어느 쪽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아암(34R, 34L)의 선단 부분에는, 도 9a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면(G2, G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G2, G3)은 Y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면(G2, G3)은, 커넥터(1)의 제조·조립시에, 이너 하우징(20)으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에 의해 삽입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계지 아암(33R, 33L)과 지지 아암(34R, 34L)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a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33R, 33L)과 지지 아암(34R, 34L)의 선단 부분은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계지 아암(33R, 33L)과 지지 아암(34R, 34L)의 선단 부분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P1, P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P1, P2)는, 돌기부(P1)와 돌기부(P2) 사이에 형성된 간극(C)에, 메인 아암(32), 계지 아암(33R, 33L) 및 지지 아암(34R, 34L) 등이 인입되지 않는 형상,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부(P1, P2)는, 커넥터의 제조·조립시에, 슬라이드 부재(30)끼리의 뒤엉킴을 방지한다.
도 12는 하방에서 본 슬라이드 부재(30)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에는, 일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하면(30a)으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후육부(厚肉部)(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후육부(38)는 도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있다. 후육부(38)는, 슬라이드 부재(30)의 실질적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슬라이드 부재(3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육부(38)는, 메인 아암(32)의 하면 부분에 형성된 살올림 부분(38a)과, 지지 아암(34R)의 하면 부분에 형성된 살올림 부분(38b)과, 지지 아암(34L)의 하면 부분에 형성된 살올림 부분(38c)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b의 E-E 단면 단부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육부(38)의 살올림 부분(38a)은 슬라이드면(71)에 형성된 끼워맞춤 부분(71a)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살올림 부분(38b, 38c)은 끼워맞춤 부분(71b, 71c)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살올림 부분(38a~38c)에는, 하면(30a)으로부터 -Z 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오프셋면(3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프셋면(39)은 끼워맞춤 부분(71a~71c)의 저면에 접하며, 그 저면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의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 방법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아암(32)에 형성된 돌출부(35)가 끼워맞춤용 계지부(23)에 계지되고,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너 하우징(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때의 슬라이드 부재(30)는, 계지 아암(33R, 33L)의 계지부(36)가 로크 아암(60R, 60L)에 계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동시에, 가계지부(37)가 로크 아암(60R, 60L)에 가계지되어 있는 제 1 위치(초기 위치)에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을, 슬라이드 부재(30)와 함께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구(11)에 삽입되어 가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에 접촉한다. 또한, 수단자(40)의 단부(40a)의 선단 부분이 암단자(50)의 통 형상부(51)에 삽입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구(11)에 삽입되어 가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슬라이드 부재(30)의 돌출부(35)와 함께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경사면(13a)으로 안내된다. 경사면(13a)에서의 안내에 의해, 이너 하우징(20)의 로크 아암(60R, 60L)과, 슬라이드 부재(30)의 메인 아암(32)이 휜다. 그리고,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돌출부(35)가 하측(-Z측)으로 압입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구(11)에 삽입되어 가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평행면(13b)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슬라이드 부재(30)의 돌출부(35)와 함께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구(11)에 삽입되어 가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입면(23c)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입면(13c)에 도달한다. 입면(23c)이 입면(13c)에 도달하면,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가압이 없어져, 로크 아암(60R, 60L)의 휨이 해소된다. 그리고,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로크 아암(60R, 60L)의 탄성 회복에 근거하여, 화살표(A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Z측)으로 되돌려진다. 그 결과, 입면(23c)과 입면(13c)이 대향하고,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에 계지된다.
또한,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에 계지된 시점에서는, 돌출부(35)는 평행면(13b)으로 안내되고 있는 도중이다. 메인 아암(32)의 휨은 해소되어 있지 않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의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또한,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수단자(40)의 단부(40a)의, 암단자(50)의 통 형상부(51)로의 삽입도 완료되어, 수단자(40)와 암단자(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커넥터(1)의 CPA(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도 16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a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초기 위치를 제 1 위치(대기 위치)로 하고, 도 18c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30)의 이동 후의 위치를 제 2 위치(끼워맞춤 로크 위치)로 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중도 끼워맞춤의 경우에는,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는 비계지 상태에 있다. 그리고, 돌출부(35)는, 돌출부용 피계지부로서의 끼워맞춤용 계지부(23)에 계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는 -Y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된 경우에는,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상측(+Z측)으로 이동하고,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에 계지된다. 한편,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상측(+Z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35)와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계지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는 슬라이드 통로(70)를 -Y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인하는 사용자는 도 18a에 도시하는 제 1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통로(70)를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30)를 이동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0)의 슬라이드 방향(D2)은 -Y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의 돌출부(35)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평행면(13b)으로부터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하측 평행면(23d)으로 이동하고, 하측 평행면(23d)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는 -Y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또한,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가 -Y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하면, 슬라이드 부재(30)의 계지부(36)는 로크 아암(60R, 60L)(상세하게는,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에 접촉한다.
또한,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계지부(36)가 로크 아암(60R, 60L)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계지 아암(33R, 33L)이 휜다. 그리고, 로크 아암(60R, 60L)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A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계지 아암(33R, 33L)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한, 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계지부(36)가 로크 아암(60R, 60L)을 타고넘는 것에 의해, 계지 아암(33R, 33L)이 탄성 회복하여, 계지 아암(33R, 33L)의 간격이 넓어져서, 계지 아암(33R, 33L)이 로크 아암(60R, 60L)에 계지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5)가 끼워맞춤용 계지부(23)를 타고넘어, 메인 아암(32)의 휨이 해소된다. 그리고, 돌출부(35)는, 메인 아암(32)의 탄성 회복에 근거하여, 화살표(A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Z측)으로 되돌려진다. 그 결과, 돌출부(35)가 끼워맞춤용 계지부(23)에 계지된다.
돌출부(35)가 끼워맞춤용 계지부(23)에 계지되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하측(-Z측)에 메인 아암(32)이 위치한다. 이 때문에, 끼워맞춤용 계지부(23)는,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와의 계지가 해제되는데 필요한 양만큼의 이동을 하지 못하고, 이에 의해, 해당 계지가 해제되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이 슬라이드 부재(30)에 의해 로크된다.
이상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의, 도 18a에 도시하는 제 1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도 18c에 도시하는 제 2 위치(끼워맞춤 로크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부재(30)를 제 2 위치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커넥터(1)의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이너 하우징(20)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이너 하우징(20)을 뽑는 방향(분리 방향(D3))은, +Y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아우터 하우징(10)과 이너 하우징(2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경우, 우선, 슬라이드 부재(30)를, 도 23a에 도시하는 제 2 위치(끼워맞춤 로크 위치)로부터 도 23c에 도시하는 제 1 위치(초기 위치)로, 역 슬라이드 방향(D4)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의 로크를 해제하여,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을 해제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0)의 역 슬라이드 방향(D4)은 슬라이드 방향(D2)의 반대의 방향이다.
슬라이드 부재(30)를 역 슬라이드 방향(D4)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의 돌출부(35)의 후단부면(35a)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로 안내된다. 그리고, 돌출부(35)는, 화살표(A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Z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의 메인 아암(32)이 휜다. 그 결과,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5)와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계지가 해제된다.
또한,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역 슬라이드 방향(D4)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의 계지부(36)가 로크 아암(60R, 60L)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계지 아암(33R, 33L)이 휜다. 그리고, 화살표(A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계지 아암(33R, 33L)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한,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계지부(36)가 로크 아암(60R, 60L)을 타고넘는 것에 의해, 계지 아암(33R, 33L)이 탄성 회복하여, 계지 아암(33R, 33L)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리고, 로크 아암(60R, 60L)이 계지부(36)와 가계지부(37) 사이에 배치되고, 가계지부(37)가 로크 아암(60R, 60L)에 가계지된다. 이러한 가계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의 +Y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더욱 규제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 돌출부(35)가, 화살표(A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하측 평행면(23d)으로부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평행면(13b)까지 이동한다. 이에 의해,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하방에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생겨,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와의 계지의 해제에 필요한 끼워맞춤용 계지부(23)의 하강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20)의 계지 해제부(24)를, 화살표(A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른다. 그러면, 로크 아암(60R, 60L)이 휘고, 화살표(A1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용 계지부(23)가 하측(-Z측)으로 눌린다. 그 결과, 끼워맞춤용 계지부(23)와 끼워맞춤용 피계지부(13)의 계지가 해제된다.
다음에, 이너 하우징(20)을 분리 방향(D3)으로 이동시켜,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뽑는다. 이에 의해,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의 이너 하우징(20)의 분리가 완료된다. 또한, 이너 하우징(20)이 아우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면, 로크 아암(60R, 60L)의 휨이 해소되고, 계지 해제부(24)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0R, 60L)의 가압에 의해 한쌍의 계지 아암(33R, 33L)이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휜다. 이에 의해, 이너 하우징(20) 내에, 계지 아암(33R, 33L)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의 휜 만큼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60R, 60L)은 계지 아암(33R, 33L)의 계지부(36)가 계지되는 피계지부로서 기능한다. 통상, 로크 아암(60R, 60L)은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CPA)을 구비하지 않는 커넥터(1)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커넥터(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를 적용하기 위해, 이너 하우징(20)에, 계지부(36)가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의 적용에 의해, 커넥터(1)의 사이즈가 대형화되는 일이 없으며, 결과적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20)에, 계지 아암(33R, 33L)이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1)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33R, 33L)에는, 가계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계지부(37)는, 로크 아암(60R, 60L)(상세하게는,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에 계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는 슬라이드 방향(D2)과 반대측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해된다. 이에 의해, 끼워맞춤 전의 이너 하우징(20)으로부터의 슬라이드 부재(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쪽 하우징(10, 20)의 끼워맞춤 작업을 실행하는 사용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60R, 60L)은 가계지부(37)가 가계지되는 피계지부로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이너 하우징(20)에, 가계지부(37)가 가계지되는 피계지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커넥터(1)의 사이즈가 대형화되는 일이 없으며, 결과적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계지부(36) 및 가계지부(37)는 모두 로크 아암(60R, 60L)에 계지된다. 로크 아암(60R, 60L)은 계지부(36)와 가계지부(37)의 모든 피계지부도 겸하고 있으므로, 계지부(36)용의 피계지부와 가계지부(37)용의 피계지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커넥터(1)의 사이즈가 대형화되는 일이 없으며, 결과적으로,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을 가지면서, 커넥터(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하우징(10)은 배선 기판(S)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이며, 이너 하우징(20)은 전선(W)이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쌍방의 커넥터가 단자를 갖고, 그 단자에 전선(W)이 접속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정벽부(26)의 후단 부분(+Y측 단부 부분) 근방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63R, 63L)은 계지부(36) 및 가계지부(37)를 계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본 실시형태의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 커넥터, 10 : 아우터 하우징(제 1 하우징), 11 : 끼워맞춤구, 12 : 천정벽부, 12a : 하면, 13 : 끼워맞춤용 피계지부, 13a : 경사면, 13b : 평행면, 13c : 입면, 20 : 이너 하우징(제 2 하우징), 21 : 단자 삽입구, 22 : 단자 수용실, 23 : 끼워맞춤용 계지부(돌출부용 피계지부), 23a : 경사면, 23b : 상측 평행면, 23c : 입면, 23d : 하측 평행면, 24 : 계지 해제부, 25 : 리브, 26 : 천정벽부, 30 : 슬라이드 부재, 30a : 하면, 30b : 상면, 31 : 슬라이드 부재 기부, 32 : 메인 아암, 32a : 연결부, 33R, 33L : 계지 아암(아암), 34R, 34L : 지지 아암, 34A : 제 1 지지 아암 부분, 34B : 제 2 지지 아암 부분, 35 : 돌출부, 35a : 후단부면, 36 : 계지부, 36a, 36b : 면, 37 : 가계지부, 38 : 후육부, 38a, 38b, 38c : 살올림 부분, 39 : 오프셋면, 40 : 수단자, 40a, 40b : 단부, 50 : 암단자, 51 : 통 형상부, 52 : 결속부, 60R, 60L : 로크 아암, 61R, 61L : 선단측 로크 아암 부분, 62R, 62L : 평행 로크 아암 부분, 63R, 63L : 후단측 로크 아암 부분, 70 : 슬라이드 통로, 71 : 슬라이드면, 71a, 71b, 71c : 끼워맞춤 부분, 72 : 레일, 72A : 제 1 레일 부분, 72B : 제 2 레일 부분, 73 : 저면, 74 : 제 1 측면, 75 : 제 2 측면, S : 배선 기판, W : 전선, G1 내지 G4 : 안내면, P1, P2 : 돌기부, D1 : 삽입 방향, D2 : 슬라이드 방향, D3 : 분리 방향, D4 : 역 슬라이드 방향

Claims (5)

  1. 끼워맞춤용 피계지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끼워맞춤용 계지부와,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마련된 로크 아암을 갖고, 양측에 상기 로크 아암이 한쌍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끼워맞추는 제 2 하우징과,
    계지부를 갖는 한쌍의 아암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통과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상기 로크 아암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이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로크 아암을 타고넘는 것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의 간격이 넓어져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로크 아암에 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끼워맞춤을 위해,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까지는,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와의 계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가 상기 끼워맞춤용 피계지부에 계지되면, 상기 끼워맞춤용 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드 통로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통과 가능하게 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로크 아암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반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는 가계지부가 상기 계지부보다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의 상기 계지부는 서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커넥터의 하우징인
    커넥터.
KR1020170024346A 2016-02-25 2017-02-23 커넥터 KR101886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4895A JP6213590B2 (ja) 2016-02-25 2016-02-25 コネクタ
JPJP-P-2016-034895 2016-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42A true KR20170100442A (ko) 2017-09-04
KR101886954B1 KR101886954B1 (ko) 2018-08-08

Family

ID=5810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346A KR101886954B1 (ko) 2016-02-25 2017-02-23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4620B2 (ko)
EP (1) EP3211729B1 (ko)
JP (1) JP6213590B2 (ko)
KR (1) KR101886954B1 (ko)
CN (1) CN107123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7369B2 (ja) * 2016-07-29 2018-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17273B2 (ja) 2017-08-07 2020-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811819B2 (en) 2018-03-12 2020-10-20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PA
US10135172B1 (en) * 2018-03-23 2018-11-2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10340632B1 (en) 2018-06-06 2019-07-0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taged release
JP7123678B2 (ja) * 2018-07-23 2022-08-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9045863U (zh) * 2018-10-19 2019-06-28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端子保持器以及连接器
JP6865725B2 (ja) * 2018-10-31 2021-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05314B1 (en) * 2018-11-02 2019-12-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for a shrouded latch
US10566726B1 (en) * 2018-11-29 2020-02-18 Lear Corporation Connector with slid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P6996487B2 (ja) * 2018-12-25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20220123501A1 (en) * 2019-02-01 2022-04-21 Hirschmann Automotive Gmbh Plug connector with latch
EP3706254B1 (en) * 2019-03-04 2023-1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with cpa assembled on slider
JP2020161360A (ja) * 2019-03-27 2020-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4002604A4 (en) 2019-07-18 2023-08-02 Tyco Electronics Japan G.K. INTERCONNECTS
CN110504590B (zh) * 2019-07-30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推拉锁紧连接器
JP7398238B2 (ja) * 2019-10-17 2023-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1370922B (zh) * 2020-03-24 2021-06-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3471763B (zh) * 2020-03-31 2024-02-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组件
KR102313402B1 (ko) * 2020-05-25 2021-10-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JP7469180B2 (ja) 2020-08-11 2024-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2A (ja) * 1993-11-30 1996-01-12 Whitaker Corp:The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EP1369964A1 (en) * 2002-03-06 2003-1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657034B2 (ja) 2005-07-08 2011-03-2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3092310A1 (en) * 2011-12-23 2013-06-27 Delphi Connection Systems Holding France Electrical connectors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ning assurance
JP2013214495A (ja) * 2012-03-09 2013-10-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77682C (en) 1998-07-30 2007-12-04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module
JP4103333B2 (ja) * 2000-12-28 200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導通検査方法
JP2005251540A (ja) * 2004-03-03 2005-09-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CN101884143B (zh) 2007-10-12 2013-06-05 富加宜汽车控股公司 具有连接器定位装置的电连接器组件
US8678846B2 (en) * 2012-03-28 2014-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2A (ja) * 1993-11-30 1996-01-12 Whitaker Corp:The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EP1369964A1 (en) * 2002-03-06 2003-1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657034B2 (ja) 2005-07-08 2011-03-2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3092310A1 (en) * 2011-12-23 2013-06-27 Delphi Connection Systems Holding France Electrical connectors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ning assurance
JP2013214495A (ja) * 2012-03-09 2013-10-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23900A (zh) 2017-09-01
KR101886954B1 (ko) 2018-08-08
EP3211729B1 (en) 2018-09-26
US10014620B2 (en) 2018-07-03
CN107123900B (zh) 2019-05-03
JP6213590B2 (ja) 2017-10-18
EP3211729A1 (en) 2017-08-30
JP2017152272A (ja) 2017-08-31
US20170250492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954B1 (ko) 커넥터
KR101886955B1 (ko) 커넥터
KR101886956B1 (ko) 커넥터
KR101886959B1 (ko) 커넥터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JP5947678B2 (ja) コネクタ装置
CN110061375B (zh)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7090584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端子位置保証ジョイントクリップサイト
CN110098532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22066930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JP4475185B2 (ja) コネクタ
TWI707504B (zh) 端子以及連接器
JP2022134174A (ja) コネクタ
JP202206692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201943154A (zh) 具有端子按壓構造的連接器裝置
JP405648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2017084612A (ja) コネクタ構造
CN117996475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CN117996474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CN117996476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JP201708458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1238561A (ja) コネクタの離脱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