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430A -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430A
KR20170100430A KR1020170022664A KR20170022664A KR20170100430A KR 20170100430 A KR20170100430 A KR 20170100430A KR 1020170022664 A KR1020170022664 A KR 1020170022664A KR 20170022664 A KR20170022664 A KR 20170022664A KR 20170100430 A KR20170100430 A KR 2017010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s
roller
dischar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215B1 (ko
Inventor
준야 아카츠카
마사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5/00Recirculating articles, i.e. feeding each article to, and delivering it from, the same machine work-station more than o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9Refeeding path for composite cop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65H2301/33312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forward reverse rollers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는 시트에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화상이 형성된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한다. 상기 반송부는,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롤러 쌍과,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반송한 후,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시트를 재차 상기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는 제2 롤러 쌍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롤러 쌍과 상기 제2 롤러 쌍은, 상기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분적으로 오버랩한다.

Description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SHEET-CONVEYING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설치되는 시트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에서는, 다수 중첩된 시트가 수용된 시트 트레이로부터, 시트를 1매씩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고, 이 화상 형성부가, 입력된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각 시트 위에 화상을 형성한 후, 시트를 화상 형성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장치 중에서, 시트의 한쪽 면(제1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시트를 반전부에 의해 반전시켜서 화상 형성부로 다시 반송하고, 시트의 반대측의 면(제2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한 양면 화상 형성(양면 인쇄)이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가 존재한다.
양면 화상 형성이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의 일부 방식의 반전부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시트를 장치 외부로 일단 배출시키는 반전 롤러를 구비하고, 이 반전 롤러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및 역방향 사이에서 앞뒤로 전환하여 시트를 반전시킨다. 이러한 스위치백 방식의(switching-back-type) 반전부에서는 시트가 반전되는 경우에는, 우선, 반전 롤러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후단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트의 일부가 배출 트레이로 배출된다.
다음에, 반전 롤러의 회전 방향을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반송 방향의 후단이 선두가 되어, 시트가 제2면 인쇄용의 양면 반송로로 보내진다. 제2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에, 배출 롤러에 의해 배출구로부터 시트가 배출 트레이로 배출한다. 이렇게, 화상 형성장치는, 인쇄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 2004-302182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시트를 반전하는 반전부를 별개의 부재로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착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배출 롤러 쌍이 양면 인쇄용의 반전 롤러 쌍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복잡한 반송 경로와 장치의 대형화의 과제가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는 시트에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화상이 형성된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한다. 상기 반송부는,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롤러 쌍과,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반송한 후,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시트를 재차 상기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는 제2 롤러 쌍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롤러 쌍과 상기 제2 롤러 쌍은, 상기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분적으로 오버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 및 이 시트 반송장치를 구비한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설명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설명도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 및 이 시트 반송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 및 이 시트 반송장치를 구비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장치(100)는, 칼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장치의 일례로서 풀 칼라 레이저빔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의 일례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풀 칼라 레이저빔 프린터 뿐만 아니라, 칼라 전자 사진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 등의 다른 화상 형성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장치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는,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가지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9a 내지 9d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9a 내지 9d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레이(26)를 제외한 화상 형성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9a 내지 9d는, 서로 다른 토너 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략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9a 내지 9d는 간단히 프로세스 카트리지 9로도 부른다. 다른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9)는, 시트(14)에 토너 상을 형성하는 토너 상 형성부로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의 앞쪽(본체의 전방측)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28)(개폐부재)가 배치된 측(도 1의 우측)에 해당한다. 도어(28)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의 외벽(44)에 설치된 개구(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닫는다. 트레이(26)는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외벽(44)에 설치된 개구를 통과한다.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의 깊이측(본체의 후방측)은, 시트(14)의 반송 경로(50)가 설치된 측(도 1의 좌측)과 도어(28)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해당한다.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 내에는, 기록재로서의 시트(14)를 수용하는 시트 카세트(13)가 설치된다. 급송 롤러(15) 및 중간 전사 벨트(18)도 여기에 설치된다. 정착부인 정착 장치(60)에 포함되는 정착 필름(20) 및 가압 롤러(21)도 여기에 설치된다. 촬상 노광부인 레이저 스캐너(25)도 여기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에 대해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트레이(26)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2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9)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한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9)에는, 감광 드럼(1), 현상 롤러(5) 및 대전 롤러(6)가 일체로 설치된다. 감광 드럼(1)은 상 담지체이며 드럼 형상의 전자사진 감광체로 각각 이루어진다. 현상 롤러(5)는 대응하는 감광 드럼(1)에 작용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로서의 현상부이다. 대전 롤러(6)는 대전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9)는, 트레이(2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 내의 화상 형성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시트 카세트(13) 내부에 적재된 시트(14)는, 도시하지 않은 분리부와의 협동에 의해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급송 롤러(15)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급송된다. 각각의 시트(14)는 반송 롤러 2에 의해 끼워져 반송되고, 시트(14)의 선단부가 일단 정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24)의 닙부(nip portion)에 부딪쳐, 이 시트(14) 자체의 힘에 의해 시트(14)의 사행이 보정된다.
그후, 시트(14)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4)에 의해 끼워져 반송되어,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과 2차 전사부인 2차 전사 롤러(17) 사이의 닙부(2차 전사부)로 보내진다. 중간 전사 벨트(18)는, 구동 롤러(16)와 텐션 롤러(3, 19)에 의해 걸쳐 놓아져,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1차 전사부인 1차 전사 롤러 7a 내지 7d가 중간 전사 벨트(18)의 내주면측에 대응하는 감광 드럼 1a 내지 1d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감광 드럼(1)이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할 때, 대응하는 대전 롤러(6)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1)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에는, 레이저 스캐너(25)로부터 화상정보에 따른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이에 따라,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화상정보에 따른 정전잠상이 순차 형성된다.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해 대응하는 현상 롤러(5)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9)는, 서로 다른 색의 현상제를 포함하지만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9a는, 옐로 색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 드럼 1a의 표면에 옐로 색의 토너 상(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9b는, 마젠타 색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 드럼 1b의 표면에 마젠타 색의 토너 상(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9c는, 시안 색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 드럼 1c의 표면에 시안 색의 토너 상(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9d는, 블랙 색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 드럼 1d의 표면에 블랙 색의 토너 상(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으로 1차 전사된다.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옐로 색, 마젠더 색, 시안 색 및 블랙 색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에 순차 중첩되어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8)는, 감광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해서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엔드리스 벨트로 구성되어, 구동 롤러(16)와 텐션 롤러(3, 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걸쳐 놓아져 있다.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에 1차 전사된 전술한 색상의 중첩된 토너 상은, 구동 롤러(16)의 외주면에 감긴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과 2차 전사 롤러(17) 사이의 닙부로 이루어진 2차 전사부로 반송된 시트(14)에 2차 전사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시트(14)에 토너 상(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이 화상 형성부에 해당한다.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 위의 토너 상이 2차 전사된 시트(14)는 다음과 같다. 토너 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토너 상을 시트(14)에 열정착하는 정착부인 정착 장치(60)에 포함된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 사이의 닙부로 이루어진 정착부로 시트(14)가 보내진다. 이 정착부에 있어서, 시트(14)가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에 의해 끼워져 반송될 때, 토너 상이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용융하도록, 가열에 의해 토너 상이 시트(14)에 정착된다. 이에 따라, 시트(14)에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시트(14)에 모노크롬(단색) 화상으로서 블랙 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광 드럼 1d의 표면에 블랙 색의 토너 상 만을 형성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시트(14)에 전사된다.
시트 반송장치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설명도다. 도 2에 나타낸 정착 장치(60)에 의해 토너 상이 열정착된 시트(14)는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 사이에 끼워져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시트 반송장치(34)로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34)는,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가 시트(14)를 사이에 끼워 시트(14)를 반송한 후, 시트(14)를 반송해서 배출 트레이(4)로 배출하는 2개의 배출 롤러(22a, 22b)를 갖는다. 또한, 시트 반송장치(34)는, 해당하는 배출 롤러(22a, 22b)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부세부를 사용하여 가압되는 배출 종동 롤러(23a, 23b)를 갖는다.
배출 롤러 22a(제1 구동 롤러)와 배출 종동 롤러 23a(제1 종동 롤러)는 제1 회전체 쌍(제1 롤러 쌍)에 해당하는 배출 회전체 쌍 27a를 구성한다. 배출 롤러 22b(제1 구동 롤러)와 배출 종동 롤러 23b(제1 종동 롤러)는 제1 회전체 쌍(제1 롤러 쌍)에 해당하는 배출 회전체 쌍 27b를 구성한다. 배출 종동 롤러(23a, 23b)는 각각, 배출 롤러(22a, 22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배출 회전체 쌍(27a, 27b)은, 토너 상이 형성된 시트를 화상 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시트 반송장치(34)는, 반전 롤러 30a(제2 구동 롤러)와 반전 종동 롤러 31a(제2 종동 롤러)로 구성된 반전 회전체 쌍 29a(제2 롤러 쌍)와, 반전 롤러 30b(제2 구동 롤러)와 반전 종동 롤러 31b(제2 종동 롤러)로 구성된 반전 회전체 쌍 29b(제2 롤러 쌍)를 구비한다.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가 시트(14)를 사이에 끼워 시트(14)를 반송한 후, 반전 롤러(30a, 30b)가 시트(14)를 반송해서 시트(14)를 반전시킨다.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해당하는 반전 롤러(30a, 30b)에 대해 가압된다. 반전 회전체(29a, 29b)는, 화상 형성부에 의해 토너 상이 형성된 시트(14)를 화상 형성장치(100)의 외부로 시트(14)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반송한 후, 시트(14)의 반송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재차 시트(14)를 화상 형성부로 반송한다.
배출 회전체(27a, 27b) 및 반전 회전체(29a, 29b)는, 정착 장치(60)(정착부)의 시트(14)의 반송 방향 하류(도 2의 상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0)의 시트(14)의 반송 방향 하류(도 2의 상측 방향)이면서 배출 회전체(27a, 27b) 및 반전 회전체(29a, 29b)의 시트(14)의 반송 방향 상류에는 양면 플래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양면 플래퍼(10)는, 시트(14)의 반송 방향을 배출 회전체(27a, 27b)가 설치된 배출로와, 반전 회전체(29a, 29b)가 설치된 양면 반송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이다.
양면 플래퍼(1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회전 축(10a)을 중심으로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동된다. 배출 트레이(4)는, 배출 회전체(27a, 27b)에 의해 시트(14)를 끼워 시트(14)를 반송해서 시트(14)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성한다. 시트(14)의 양면에 토너 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양면 반송로(12)는, 정착 장치(60)가 시트(14)의 한쪽 면에 토너 상을 정착한 후, 시트(14)를 반전 회전체(29a, 29b)에 의해 끼워 시트(14)를 반송해서 시트(14)를 반전시키는 반전부를 구성한다.
정착 장치(60)에 포함된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가 시트(14)를 사이에 끼워 시트(14)를 반송한 후, 배출 회전체(27a, 27b)가 시트(14)를 사이에 끼워 시트(14)를 반송해서 시트(14)를 배출 트레이(4)에 배출한다. 이때, 양면 플래퍼(10)는 회전 축(10a)을 중심으로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윗쪽으로 회동해서 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에 의해 끼워져 반송되는 시트(14)는 다음과 같다. 시트(14)는 양면 플래퍼(10)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배출 회전체(27a, 27b)를 구성하는 도 3에 나타낸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 사이의 닙부에 도달한다. 시트(14)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에 의해, 배출 롤러 22a와 배출 종동 롤러 23a 사이와 배출 롤러 23a와 배출 종동 롤러 23b 사이에 끼워져 반송되어서, 배출 트레이(4)로 배출된다.
시트(14)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양면 플래퍼(10)는 회전 축(10a)을 중심으로 도 2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아래쪽으로 회동해서 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정착 필름(20)과 가압 롤러(21)에 의해 끼워져 반송되는 시트(14)는 다음과 같다. 시트(14)는 양면 플래퍼(1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반전 회전체 쌍(29a, 29b)을 구성하는 도 3에 나타낸 반전 롤러(30a, 30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 사이의 닙부에 도달한다.
시트(14)는, 시트(14)의 후단부가 양면 플래퍼(10)를 통과할 때까지, 반전 롤러(30a, 30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에 의해, 반전 롤러 30a와 반전 종동 롤러 31a 사이와 반전 롤러 30b와 반전 종동 롤러 31b 사이에 끼워져 반송된다. 그후, 반전 롤러(30a, 30b)가 역방향으로 회전해서, 시트(14)의 후단부가 선단부가 되어, 시트(14)가 양면 반송로(12)로 반송된다. 반전부를 구성하는 양면 반송로(12)는 반송 가이드(11)와 반송 롤러(33)를 구비한다. 양면 반송로(12)를 반송 가이드(11)에 의해 가이드되어 반송된 시트(14)는, 반송 롤러(33)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다시 도 1에 나타낸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4)로 반송된다. 시트(14)의 제1면과 마찬가지로 제2면이 인쇄된다.
시트(14)의 제2면에 인쇄한 후, 양면 플래퍼(10)는 회전 축(10a)을 중심으로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윗쪽으로 회동해서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시트(14)는 양면 플래퍼(1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 사이의 닙부에 도달한다. 시트(14)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에 의해, 배출 롤러 22a와 배출 종동 롤러 23a 사이와 배출 롤러 22b와 배출 종동 롤러 23b 사이에 끼워져 반송되어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4)로 배출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회전체(27a, 27b)는 다음과 같다. 배출 회전체(27a, 27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인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배출 롤러(22a, 22b)와, 이 배출 롤러(22a, 22b)에 대해 각각 가압되어 회전하는 배출 종동 롤러(23a, 23b)를 구비한다. 반전 회전체(29a, 29b)는 다음과 같다. 반전 회전체(29a, 29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반전 롤러(30a, 30b)와, 반전 롤러(30a, 30b)에 대해 각각 가압되어 회전하는 반전 종동 롤러(31a, 31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출 롤러(22a, 22b)는, 도 3에 나타낸 한 쌍의 측판(8a, 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22c(제1 축)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반전 롤러(30a, 30b)는, 측판(8a, 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30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배출 종동 롤러(23a, 23b)는, 측판(8a, 8b)에 연결된 지지판 8c에 형성된 절결부(8d, 8e)의 벽면들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 23c, 23d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측판(8a, 8b)을 연결되는 지지판 32에 형성된 절결부(32c, 32d)의 벽면들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 31c, 31d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절결부 32e, 32f가 지지판 32의 배출 롤러(22a, 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배출 롤러(22a, 22b)를 회전가능하게 배출 롤러(22a, 22b)를 수용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롤러(30a, 30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시트(14)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하, "시트(14)의 폭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는, 시트(14)의 폭 방향으로, 시트(14)의 폭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롤러 30a와 반전 종동 롤러 31a의 쌍과 반전 롤러 30b와 반전 종동 롤러 31b의 쌍 사이의 시트(1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W1은 다음과 같다. 거리 W1은, 배출 롤러 22a와 배출 종동 롤러 23a의 쌍과 배출 롤러 22b와 배출 종동 롤러 23b의 쌍 사이의 시트(1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W2보다도 크다. 즉, 배출 회전체(27a, 27b)는, 시트(14)의 폭 방향으로, 시트(14)의 폭 방향에 배치된 반전 회전체(29a, 29b) 사이의 시트(14)의 폭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는 다음과 같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는 그들의 회전축 방향(회전축 22c, 23c, 23d, 30c, 31c, 31d의 방향)에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 롤러(22a, 22b)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면,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반경 방향에서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 중에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여 놓인 회전체들을 고려한다. 이와 같은 회전체들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하도록 배치된 전 종동 롤러(31a, 31b)와 배출 롤러(22a, 22b)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종동 롤러 31a와 배출 롤러 22a 사이와 반전 종동 롤러 31b와 배출 롤러 22b 사이에 이격부재인 누름부재(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부재(32a, 32b)는 지지판 32의 일부이다. 누름부재(32a, 32b)는, 반전 종동 롤러(31a, 31b)가 배출 롤러(22a, 22b)와 반경 방향에서 오버랩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누름부재(32a, 32b)는, 반전 종동 롤러(31a, 31b)의 외주면과 배출 롤러(22a, 22b)의 회전축 22c의 접촉을 방지하는 스톱퍼다.
지지판 32의 절결부 32c, 32e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부재인 누름부재 32a와, 절결부 32d, 32f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부재인 누름부재 32b는 다음을 달성한다. 반전 종동 롤러(31a, 31b)와 배출 롤러(22a, 22b)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부재인 누름부재(32a, 32b)는 다음과 같다.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 중에서 회전축 22c, 23c, 23d, 30c, 31c 또는 31d가 이들 회전체에 중심을 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는 회전체들을 고려한다. 이 회전체들은, 회전축 22c, 31c 및31d 방향(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롤러(30a, 30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로 이루어지는 반전 회전체(29a, 29b)가 다음과 같다. 일례로서, 배출 롤러(22a, 22b)와 배출 종동 롤러(23a, 23b)로 이루어지는 배출 회전체(27a, 27b)에 대해, 반전 회전체(29a, 29b)가 배출 트레이(4)와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부에 설치되는 배출 회전체(27a, 27b)의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부에 설치되는 반전 회전체(29a, 29b)의 반전 종동 롤러(31a, 31b)가 다음과 같다.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회전축 22c, 31c 및 31d가 대응하는 롤러에 중심을 두면서 반경 방향에서 오버랩하도록, 회전축 22c, 31c 및 31d의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 반송장치(34)의 사이즈를 소형화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100)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 및 제2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거나, 또는 부호가 달라도 동일한 부재명을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설명도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 롤러(30a, 30b)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인가될 때 회전한다. 배출 종동 롤러(23a, 23b)는 배출 롤러(22a, 22b)에 대해 각각 가압되어 회전한다. 반전 종동 롤러(31a, 31b)는 각각 반전 롤러(30a, 30b)에 대해 가압되어 회전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 쌍에 해당하는 배출 회전체 쌍 27a(제1 롤러 쌍)가 배출 롤러 22a(제1 구동 롤러)와 배출 롤러 42a(제1 종동 롤러)로 구성되고, 제1 회전체 쌍에 해당하는 배출 회전체 쌍 27b(제1 롤러 쌍)가 배출 롤러 22b(제1 구동 롤러)와 배출 롤러 42b(제1 종동 롤러)로 구성된다. 배출 롤러(22a, 22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제2 회전체 쌍에 해당하는 반전 회전체 쌍 29a는 반전 롤러 30a와 반전 롤러 70a로 구성되고, 제2 회전체 쌍에 해당하는 반전 회전체 쌍 29b는 반전 롤러 30b와 반전 롤러 70b로 구성된다. 반전 롤러 30a, 30b, 70a 및 70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롤러 30a 및 70a의 쌍(제2 구동 롤러)과 반전 롤러 30b 및 70b의 쌍(제2 구동 롤러)의 시트(14)의 폭 방향에서의 거리 W1은 다음과 같다. 이 거리 W1은, 배출 롤러 22a 및 42a의 쌍과 배출 롤러 22b 및 42의 쌍의 시트(1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W2보다도 크다. 이 경우, 배출 회전체(27a, 27b)(2개의 제1 회전체 쌍 또는 2개의 제1 롤러 쌍)와, 반전 회전체(29a, 29b)(2개의 제2 회전체 쌍 또는 2개의 제2 롤러 쌍)는, 그들의 회전축 방향(회전축 22c, 42c, 30c 및 70c의 방향)에서 오버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 중에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여 놓인 회전체들을 고려한다. 이 회전체들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하도록 배치되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 롤러(70a, 70b)이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롤러 22a, 22b는, 도 6에 나타낸 한 쌍의 측판(8a, 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22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배출 롤러 42a, 42b는, 측판(8a, 8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42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반전 롤러 30a, 30b는, 측판(8a, 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30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반전 롤러 70a, 70b는, 측판(8a, 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70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절결부 32c 내지 32f가 측판(8a, 8b)에 연결되는 지지판 32의 반전 롤러(70a, 70b) 및 배출 롤러(22a, 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반전 롤러(70a, 70b) 및 배출 롤러(22a, 22b)를 회전가능하게 반전 롤러(70a, 70b) 및 배출 롤러(22a, 22b)를 수용한다.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 중에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게 놓인 회전체들을 고려한다. 이 회전체들은, 그들의 회전축 방향(회전축 22c 및 70c의 방향)에 있어서 이격부재인 누름부재(32a, 32b)에 의해 이격되는 배출 롤러(22a, 22b)와 반전 롤러(70a, 70b)이다. 지지판 32의 절결부 32c, 32e의 사이에 설치되는 누름부재 32a(이격부재)와, 절결부 32d, 32f의 사이에 설치되는 누름부재 32b(이격부재)는 다음을 달성한다. 반전 롤러(70a, 70b)의 외주면과 배출 롤러(22a, 22b)의 회전축 22c의 접촉을 각각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롤러(30a, 30b, 70a, 70b)로 이루어진 반전 회전체(29a, 29b)가 다음과 같다. 일례로서, 반전 회전체(29a, 29b)가 배출 롤러(22a, 22b, 42a, 42b)로 이루어지는 배출 회전체(27a, 27b)에 대해 배출 트레이(4)와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배출 회전체(27a, 27b)의 배출 롤러(22a, 22b, 42a, 42b)와 반전 회전체(29a, 29b)의 반전 롤러(30a, 30b, 70a, 70b)를 고려한다. 배출 회전체(27a, 27b)와 반전 회전체(29a, 29b)가 회전축 22c, 42c, 30c, 70c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회전축 22c, 70c가 대응하는 롤러에 중심을 두어 배출 롤러(22a, 22b)과,반전 롤러(70a, 70b)가 반경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반송장치(34)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고, 화상 형성장치(100)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4)

  1.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시트에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화상이 형성된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롤러 쌍과, 상기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반송한 후,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시트를 재차 상기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는 제2 롤러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롤러 쌍과 상기 제2 롤러 쌍은, 상기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쌍은,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종동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롤러 쌍은, 제2 구동 롤러와, 상기 제2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종동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제2 종동 롤러는,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2 롤러 쌍은, 상기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2개의 상기 제1 롤러 쌍은, 상기 시트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2개의 제2 롤러 쌍 사이에서, 상기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제1 구동 롤러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장치.
KR1020170022664A 2016-02-25 2017-02-21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KR102115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3990 2016-02-25
JP2016033990A JP6758857B2 (ja) 2016-02-25 2016-02-25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30A true KR20170100430A (ko) 2017-09-04
KR102115215B1 KR102115215B1 (ko) 2020-05-26

Family

ID=5967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664A KR102115215B1 (ko) 2016-02-25 2017-02-21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16603B2 (ko)
JP (1) JP6758857B2 (ko)
KR (1) KR102115215B1 (ko)
CN (1) CN107121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7501B2 (ja) * 2019-04-10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152A (ja) * 1995-03-06 1996-09-17 Mita Ind Co Ltd 両面複写機の複写紙搬送機構
JP2007091415A (ja) * 2005-09-29 2007-04-12 Kyocera Mita Corp 用紙反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056484A1 (en) * 2007-09-04 2009-03-05 Ricoh Limited,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08784A (ja) * 2009-03-09 2010-09-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459A (ja) 1989-07-10 1991-02-22 Seiko Epson Corp 排紙装置
JP2672024B2 (ja) * 1990-01-31 1997-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
JP2000016661A (ja) 1998-06-29 2000-01-18 Ricoh Co Ltd 用紙反転装置
JP3817424B2 (ja) * 2000-12-28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折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099293A (ja) * 2002-09-12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23848B2 (ja) 2003-03-31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15911B2 (ja) * 2005-07-25 2010-02-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66292B2 (ja) * 2005-08-08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反転装置、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複写機、ファクシミリ、プリンタ、スキャナ
JP2007322774A (ja) * 2006-06-01 2007-12-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TW201040034A (en) * 2009-05-11 2010-11-16 Asia Optical Co Inc Double-sided paper feeding device capable of reverting to an original sequence
JP5453940B2 (ja) * 2009-06-09 2014-03-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20513B1 (ja) * 2013-01-07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1521B2 (ja) * 2013-04-16 2017-08-02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搬送方向切替装置、搬送方向切替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5066B2 (ja) * 2013-09-30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36893B2 (ja) * 2013-11-27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152A (ja) * 1995-03-06 1996-09-17 Mita Ind Co Ltd 両面複写機の複写紙搬送機構
JP2007091415A (ja) * 2005-09-29 2007-04-12 Kyocera Mita Corp 用紙反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056484A1 (en) * 2007-09-04 2009-03-05 Ricoh Limited,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62100A (ja) * 2007-09-04 2009-03-26 Ricoh Co Ltd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08784A (ja) * 2009-03-09 2010-09-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21912A (zh) 2017-09-01
KR102115215B1 (ko) 2020-05-26
JP6758857B2 (ja) 2020-09-23
CN107121912B (zh) 2020-12-25
US20170248891A1 (en) 2017-08-31
US10416603B2 (en) 2019-09-17
US20190354058A1 (en) 2019-11-21
US11143999B2 (en) 2021-10-12
JP2017149536A (ja)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32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4347B2 (ja) 画像形成装置
JP517146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91495A (ja) 画像形成装置
JP64688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85593A (ja) 現像担持体への駆動伝達装置および駆動伝達方法、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3184811A (ja) 画像形成装置
KR102115215B1 (ko) 시트 반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JP4861006B2 (ja) 画像形成装置
JP6132196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4223B2 (ja) 画像形成装置
JP4977639B2 (ja) 画像形成装置
JP599079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11316A (ja) 画像形成装置
JP4291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94508A (ja) 画像形成装置
JP5380344B2 (ja) 画像形成装置
JP4018887B2 (ja) 両面印刷記録装置
JP2022069774A (ja) 画像形成装置
JP537774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84228A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560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9267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065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21828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