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630A -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 Google Patents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630A
KR20170099630A KR1020160021967A KR20160021967A KR20170099630A KR 20170099630 A KR20170099630 A KR 20170099630A KR 1020160021967 A KR1020160021967 A KR 1020160021967A KR 20160021967 A KR20160021967 A KR 20160021967A KR 20170099630 A KR20170099630 A KR 20170099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friction piece
friction
finish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723B1 (ko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채종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술 filed Critical 채종술
Priority to KR102016002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7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되는 복수 개의 이동프레임(30);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도록 마감하고 차량 충돌 시에 서로 겹쳐지면서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50);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이 서로 중첩되게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0); 상기 마감패널(50)의 압축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마감패널(50)과 상기 연결부(70)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마찰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80)는,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일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1마찰편(82); 및 상기 제1마찰편(82)과 대향되도록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타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2마찰편(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ABSORBING IMPACT TYPE END FACILITY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에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고, 압축되는 시간을 연장시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충격 흡수 효과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한 기둥의 양측에 완충기를 개재시킨 상태로 파형으로 굴곡된 패널부재를 차선의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의 단부에는 양측 패널부재의 날카로운 단부를 커버하는 단부마감대가 설치된다.
단부마감대는 평판형의 철판을 "U"자형으로 구부리며, 패널본체의 단부와 결합 설치되는 양단부의 상하부를 패널본체의 경사진 단부와 밀착되게 경사부를 형성하여 그 경사부를 형성한 단부마감대의 양단부를 패널본체의 단부에 볼트로 결합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은 차선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서 차도를 주행하던 차량이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에 부딪칠 때 대부분이 패널본체의 외측면에 경사방향으로 부딪치게 되고,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의 단부에 부딪칠 때는 단부마감대의 중앙부에 부딪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부마감대의 중앙부에 차량이 부딪치게 될 때 패널본체의 날카로운 단부를 둥글게 구부려진 단부마감대로 커버해줌에 따라 차량에 치명적인 손상을 커버할 수 있다.
그러나 단부마감대의 중앙부에 매우 강력한 충격하중이 작용할 때는 평판형태의 철판을 "U"자형으로 구부린 것에 따라 단부마감대는 강력한 충격하중을 완충시키거나 그 충격하중에 지지하는 지지력이 턱없이 부족하여 단부마감대가 휴지조각처럼 구부려짐은 물론이고, 차량과 탑승자가 크게 다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도로용 단부 시설물은,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기둥의 양측에 가드레일이 완충기를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의 단부에 "U"자형으로 구부려진 단부마감대를 설치하고, 단부마감대는 산형돌출부의 사이에 평탄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된 파형으로 형성되고, 단부마감대의 반원형으로 구부려진 라운딩부의 중앙부 후면과 기둥의 정면 사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바 형태로 형성한 완충기가 상하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로용 단부 시설물은, 도로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868호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부 시설물이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정면충돌 및 측면충돌 시에 완충작용을 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390호(2009년 12월 1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완충수단을 구비한 도로용 단부시설물)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단부시설물은, 몸체를 이루를 가드레일이 기둥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가드레일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향상시키기 어려우므로 충돌 사고 발생 시에 인명 피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단부시설물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충돌 시에 부피가 감소되도록 복수 개의 가드레일을 연속되게 연결하는데, 이 경우에는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가드레일이 겹쳐지면서 부피가 감소되는 시간이 단 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고, 압축되는 시간을 연장시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충격 흡수 효과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되는 복수 개의 이동프레임(30);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도록 마감하고 차량 충돌 시에 서로 겹쳐지면서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50);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이 서로 중첩되게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0); 상기 마감패널(50)의 압축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마감패널(50)과 상기 연결부(70)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마찰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80)는,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일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1마찰편(82); 및 상기 제1마찰편(82)과 대향되도록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타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2마찰편(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마찰편(82)은 상기 마감패널(50)의 주름부(52a)를 이루는 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주름부(52a)를 이루는 돌출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돌출부의 곡률과 비교하여 반경이 작게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마찰편(82) 또는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마감패널(50)과 마찰되는 요철부(84a, 8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마감패널(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72); 상기 슬라이딩홀부(7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80)를 지지하는 볼트부재(72); 및 상기 볼트부재(72)와 결합되는 너트부재(7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상기 마감패널(50)이 압축되면서 이동될 때에 상기 마감패널(50)을 유동시키는 유동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90)는, 상기 슬라이딩홀부(72)가 연속되는 곡선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곡선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딩홀부(72)는 상기 마감패널(50)에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곡선부(92)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은, 복수 개의 마감패널이 연속되게 연결되고, 복수 개의 마감패널이 완충부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마감패널이 서로 중첩되면서 단부시설물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충격을 감소시켜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은, 복수 개의 마감패널을 연속되게 연결하는 완충부에 감속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감속부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 시에 마감패널이 유동되는 시간을 연장하여 충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되는 복수 개의 이동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도록 마감하고 차량 충돌 시에 서로 겹쳐지면서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50)과,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마감패널(50)이 서로 중첩되게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복수 개의 마감패널(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0)와, 마감패널(50)의 압축속도를 저감시키도록 마감패널(50)과 연결부(70)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마찰부(80)를 포함한다.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난간의 단부에는 단부시설물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마감패널(50)이 연결부(70)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차량이 단부시설물의 단부에 충돌되는 경우에는 이동프레임(30)이 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마감패널(50)이 서로 겹쳐지며 단부시설물의 길이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연결부(70)에 의해 마감패널(5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마찰부(80)가 구비되므로 마감패널(50)이 서로 겹쳐지게 슬라이딩될 때에 마감패널(50)의 이동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감패널(50)이 슬라이딩되는 속도가 일정 속도 이하로 느리게 이동되면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므로 운전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마찰부(80)는, 연결부(70)에 의해 마감패널(50)의 일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1마찰편(82)과, 제1마찰편(82)과 대향되도록 연결부(70)에 의해 마감패널(50)의 타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2마찰편(84)을 포함한다.
측면패널(52)이 겹쳐지게 배치되고, 각각의 측면패널(5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72)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부위에는 볼트부재(74)가 삽입되고 너트부재(74a)와 체결되어 한 쌍의 측면패널(52)이 겹쳐지게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홀부(72)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측면패널(52)의 외벽에는 제1마찰편(82)이 볼트부재(74)의 머리부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고, 측면패널(52)의 내벽에는 제2마찰편(84)이 너트부재(74a)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에 제1마찰편(82) 및 제2마찰편(84)이 한 쌍의 측면패널(52)이 중첩되는 부위의 외벽 및 내벽에서 가압하므로 측면패널(52)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슬라이딩홀부(72)가 상측 및 하측으로 벌어지면서 측면패널(52)이 변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제1마찰편(82) 및 제2마찰편(84)이 슬라이딩홀부(72)의 양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슬라이딩홀부(72)가 벌어지면서 측면패널(5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마찰편(82)의 외벽에는 볼트부재(74)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82a)가 형성되므로 볼트부재(74)의 머리부에 의해 제1마찰편(82)이 측면패널(52)에 밀착되도록 가압되고, 볼트부재(74)가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볼트부재(74)가 제1마찰편(8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감패널(50)은, 한 쌍의 이동프레임(30) 양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패널(52)과, 한 쌍의 이동프레임(30)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패널(54)과, 단부시설물의 전단에 설치되는 이동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패널(56)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부시설물은, 측면패널(52), 상면패널(54) 및 정면패널에 의해 단부시설물의 내부가 모두 커버되고, 단부시설물의 전단부에 차량이 충돌되는 경우에는 다수 개의 이동프레임(3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다수 개의 측면패널(52)이 서로 겹치도록 압축되면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측면패널(52)에는 복수 개의 홈부 및 돌출부가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물결 모양의 주름부(52a)가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단부시설물의 측면에 충돌되는 경우에는 주름부(52a)가 보강리브(16b) 역할을 행하면서 측면패널(52)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반대쪽 차로 또는 도로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부시설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52)은 홈부와 홈부, 돌출부와 돌출부가 연속되도록 서로 인전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52)의 단부가 서로 일정량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측면패널(52)에는 각각 슬라이딩홀부(72)가 형성되고, 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52)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홀부(72)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볼트부재(72)와 너트부재(74a)가 설치되므로 한 쌍의 측면패널(52) 단부가 연결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홀부(72)에 동시에 삽입되는 볼트부재(72)에 의해 한 쌍의 측면패널(52)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차량이 단부시설물에 충돌되는 경우에는 볼트부재(72)가 슬라이딩홀부(7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측면패널(52)이 서로 중첩되며 단부시설물의 부피가 감소되므로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동프레임(30)은 한 쌍의 기둥부재(32)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한 쌍의 기둥부재(32) 사이를 다수 개의 연결부재(34)가 연결하여 직립되는 이동프레임(30)을 이루게 된다.
단부시설물의 후단부에는 베이스패널(14)로부터 직립되게 배치되는 배면패널(16)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배면패널(16)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이동프레임(30)이 전방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배치되며, 배면패널(16)과 이동프레임(30) 사이에 한 쌍의 측면패널(52)과 하나의 상면패널(54)이 설치된다.
또한, 이동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0) 사이에 한 쌍의 측면패널(52)과 하나의 상면패널(54)이 설치되고, 전단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3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56)이 설치되어 단부시설물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측면패널(52)이 중첩되게 연결되는 부위에는 각각의 슬라이딩홀부(72)가 겹쳐지게 배치되고, 한 상의 슬라이딩홀부(72)를 관통하도록 볼트부재(72) 및 너트부재(74a)가 설치되어 측면패널(52)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볼트부재(72)에는 제1마찰편(82) 및 제2마찰편(84)이 설치되어 측면패널(52)의 외벽 및 내벽에 가압되므로 측면패널(52)이 슬라이딩될 때에 제1마찰편(82) 및 제2마찰편(84)과 마찰되면서 측면패널(52)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제1마찰편(82)은 마감패널(50)의 주름부(52a)를 이루는 홈부에 안착되고, 제2마찰편(84)은 주름부(52a)를 이루는 돌출부에 안착되므로 볼트부재(72)를 제1마찰편(82), 한 쌍의 측면패널(52) 및 제2마찰편(84)에 동시에 삽입한 후에 볼트부재(72)와 너트부재(74a)를 결합하면 한 쌍의 측면패널(52)을 연결함과 동시에 측면패널(52)의 외벽에 제1마찰편(82)을 밀착시키고, 측면패널(52)의 내벽에 제2마찰편(84)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제1마찰편(82)은 측면패널(52)의 홈부에 안착되어 측면패널(52)을 단부시설물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2마찰편(84)은 측면패널(52)의 돌출부에 밀착되어 단부시설물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한 쌍의 측면패널(52)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제1마찰편(82)과 제2마찰편(84)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단부시설물에 차량이 충돌되는 경우에 측면패널(52)과 측면패널(52)이 서로 중첩되게 이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마찰편(84)은 돌출부의 곡률과 비교하여 반경이 작게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므로 볼트부재(72)와 너트부재(74a)를 결합할 때에 굴곡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되면서 측면패널(52)의 돌출부를 단부시설물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제2마찰편(84)의 가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마찰편(84)이 탄성변형된 상태로 측면패널(52)의 돌출부에 밀착되므로 제2마찰편(84)이 측면패널(52)의 돌출부를 감싸며 잡고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측면패널(52)이 이동되는 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제1마찰편(82) 또는 제2마찰편(84)은 마감패널(50)과 마찰되는 요철부(84a, 84b)를 구비하므로 제1마찰편(82) 또는 제2마찰편(84)과 측면패널(52)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측면패널(52)이 이동될 때에 요철부(84a, 84b)와 간섭되면서 측편패널의 이동 속도를 더 감소시키게 된다.
연결부(70)는, 마감패널(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72)와, 슬라이딩홀부(7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찰부를 지지하는 볼트부재(72)와, 볼트부재(72)와 결합되는 너트부재(74a)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은, 차량 충돌 시에 마감패널(50)이 압축되면서 이동될 때에 마감패널(50)을 유동시키는 유동부(90)를 더 포함한다.
유동부(90)는, 슬라이딩홀부(72)가 연속되는 곡선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곡선부(92)를 포함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볼트부재(72)가 슬라이딩홀부(72)를 이동되면서 곡선부(9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측면패널(52)이 이동되는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충격 흡수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홀부(72)는 마감패널(50)에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곡선부(92)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슬라이딩홀부(7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72)는 서로 간격이 좁아졌다가 간격이 넓어지는 곡선 주로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한 쌍의 볼트부재(7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이동을 행할 때에는 곡선부(92)와 볼트부재(72)가 서로 간섭되므로 슬라이딩홀부(7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서 측면패널(52)이 이동되는 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 시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72)가 간격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곡선부(92)를 반복하여 통과하면서 측면패널(52)이 이동되면 볼트부재(72)와 곡선부(92)가 간섭되면서 측면패널(52)이 변형 또는 파손되고, 이때 발생되는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이 현전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부시설물을 시공할 때에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단부에 베이스패널(14)을 고정앵커(14a)로 지면에 설치하고, 베이스패널(14)로부터 직립되게 굴곡되는 배면패널(16)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의 이동프레임(30)을 배치시켜 배면패널(16)과 이동프레임(30) 사이의 간격, 및 이동프레임(30) 사이의 간격에 한 쌍의 측면패널(52)과 하나의 상면패널(54)을 설치하고, 전단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30)에 반사부재(56a)가 구비되는 전면패널(56)을 설치하여 단부시설물을 시공한다.
이후에, 차량이 단부시설물의 전단부에 충돌되면, 측면패널(52)을 연결하는 볼트부재(72)가 슬라이딩홀부(7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다수 개의 측면패널(52)이 중첩되게 이동되면서 단부시설물의 부피가 감소되고, 이때,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측면패널(52)과 측면패널(52)을 연결하는 볼트부재(72)에 제1마찰편(82) 및 제2마찰편(84)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제2마찰편(84)에 구비되는 굴곡부에 의해 제2마찰편(84)이 측면패널(52)의 돌출부를 감싸도록 가압하고, 제1마찰편(82) 또는 제2마찰편(84)에 형성되는 요철부(84a, 84b)가 측면패널(52)과 간섭되면서 측면패널(52)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므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패널(52)이 이동될 때에 볼트부재(72)가 슬라이딩홀부(72)를 따라 통과하면서 곡선부(92)와 간섭되므로 측면패널(52) 및 슬라이딩홀부(72)가 변형 또는 파손되어 측면패널(52)의 이동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측면패널(52)의 이동속도가 감소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이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을 이루는 고정패널(150)에 연결되도록 한 쌍의 측면패널(50)이 연속되게 설치되어 단부시설물을 형성하게 되고, 고정패널(150)과 측면패널(50) 사이에는 경사부(50a)를 이루는 고정패널(150)이 설치되어 한 쌍의 고정패널(150)의 폭과 한 쌍의 측면패널(50)의 폭이 서로 달라도 경사부(50a)에 의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는, 지면에 매립되게 시공되고 상단에 연결플레이트(12a)가 구비되는 제1기둥부재(12)와, 하단에 연결플레이트(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록(13a)을 구비하고 상단에 본체프레임을 구비하는 제2기둥부재(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측면패널(50)이 이동되면서 단부시설물의 부피가 감소하게 되면 슬라이딩블록(13a)이 연결플레이트(12a)로부터 분리되어 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기둥부재(13)가 제1기둥부재(12)와 이격되어 고정패널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측면패널(50)의 주름부를 이루는 홈부에 측면패널(50)이 중첩되게 이동할 때에 주름부를 이루는 홈부의 단부가 제1마찰편(74)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측면패널(5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전방에 배치되는 측면패널(50)의 주름부를 이루는 홈부가 후방에 배치되는 측면패널(50)에 설치되는 볼트부재 및 제1마찰편(74)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면패널(50)이 용이하게 중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걸림방지부는, 측면패널(50)의 주름부를 이루는 홈부의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간섭홈부(76a)를 포함하므로 측면패널(5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 볼트부재 및 제1마찰편(74)이 간섭홈부(76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측면패널(5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운동과 연결부(70) 및 마찰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 충돌 시에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고, 압축되는 시간을 연장시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50)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충격 흡수 효과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단부시설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4 : 베이스패널
14a : 고정앵커 16 : 배면패널
16b : 보강리브 30 : 이동프레임
32 : 기둥부재 34 : 연결부재
50 : 마감패널 52 : 측면패널
52a : 주름부 54 : 상면패널
56 : 전면패널 56a : 반사부재
70 : 연결부 72 : 슬라이딩홀부
74 : 볼트부재 74a : 너트부재
76a : 간섭홈부 80 : 마찰부
82 : 제1마찰편 84 : 제2마찰편
84a, 84b : 요철부 90 : 유동부
92 : 곡선부

Claims (7)

  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되는 복수 개의 이동프레임(30);
    상기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도록 마감하고 차량 충돌 시에 서로 겹쳐지면서 부피가 감소되도록 압축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50);
    차량 충돌 시에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이 서로 중첩되게 압축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0);
    상기 마감패널(50)의 압축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마감패널(50)과 상기 연결부(70)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마찰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80)는,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일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1마찰편(82); 및
    상기 제1마찰편(82)과 대향되도록 상기 연결부(70)에 의해 상기 마감패널(50)의 타면과 마찰되도록 가압되는 제2마찰편(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편(82)은 상기 마감패널(50)의 주름부(52a)를 이루는 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주름부(52a)를 이루는 돌출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돌출부의 곡률과 비교하여 반경이 작게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편(82) 또는 상기 제2마찰편(84)은 상기 마감패널(50)과 마찰되는 요철부(84a, 8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마감패널(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72);
    상기 슬라이딩홀부(7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80)를 지지하는 볼트부재(72); 및
    상기 볼트부재(72)와 결합되는 너트부재(7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6. 제5항에 있어서,
    차량 충돌 시에 상기 마감패널(50)이 압축되면서 이동될 때에 상기 마감패널(50)을 유동시키는 유동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90)는, 상기 슬라이딩홀부(72)가 연속되는 곡선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곡선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부(72)는 상기 마감패널(50)에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곡선부(92)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KR1020160021967A 2016-02-24 2016-02-24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KR10182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67A KR101825723B1 (ko) 2016-02-24 2016-02-24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67A KR101825723B1 (ko) 2016-02-24 2016-02-24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30A true KR20170099630A (ko) 2017-09-01
KR101825723B1 KR101825723B1 (ko) 2018-02-06

Family

ID=5992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967A KR101825723B1 (ko) 2016-02-24 2016-02-24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7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723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663B1 (ko) 차실내의 충격에너지흡수구조
JP4884379B2 (ja) 自動車の一部用の支持体を形成する要素
KR101198840B1 (ko) 차량용 니볼스터
JP2006504578A5 (ko)
JP7103438B2 (ja) 自動車ドア
JP3689388B2 (ja) 乗用車用のリッド配置構造
KR101632950B1 (ko) 감속형 도로용 단부시설물
KR101825723B1 (ko) 도로용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KR101974968B1 (ko) 충격 흡수형 단부시설물
KR101376170B1 (ko) 차량방호 안전시설용 충격흡수장치
KR101659995B1 (ko) 충격흡수형 도로용 단부시설물
JP2002283937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080239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구조
KR102002309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빔
JP2007203773A (ja) 車体のバンパー装置
US20150291117A1 (en) Shock absorber member for vehicle, vehicle door panel assembly including shock absorber member and vehicle including door panel assembly
JPH0453318Y2 (ko)
JP7085662B1 (ja) サンルーフ用排水部材
KR100405614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20020086370A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JP6952574B2 (ja) 鉄道車両の衝撃緩衝装置
KR200300036Y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0369028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KR100194709B1 (ko) 차량용 도어
KR100405467B1 (ko) 보행자 보호용 보조 범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