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442A - 전력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442A
KR20170098442A KR1020160020343A KR20160020343A KR20170098442A KR 20170098442 A KR20170098442 A KR 20170098442A KR 1020160020343 A KR1020160020343 A KR 1020160020343A KR 20160020343 A KR20160020343 A KR 20160020343A KR 20170098442 A KR20170098442 A KR 2017009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signal
control unit
central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551B1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에스(주) filed Critical 유에이치에스(주)
Priority to KR102016002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5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4Setting up communications; Call and signal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0Systems for transmission between fixed stations via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8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power on the line being D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via DC powe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2선 전력선을 이용하고, 복수개의 동일 신호 생성 장치를 병렬 연결하여 원거리 통신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력선과 그라운드를 하기 위한 제2 전력선이 나란히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직류를 공급하는 전력선부; 제1 전력선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전력선에 타단이 연결되되 각각이 전력선부에 병렬 연결되며, 각각에 고유식별번호를 할당하고 각각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력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복수개의 신호 생성부; 및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신호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 장치{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2선 전력선을 이용하고, 복수개의 동일 신호 생성 장치를 병렬 연결하여 원거리 통신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소켓에 전원선을 꽂으면 음성·데이터·인터넷 등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텔레비전, 전화 퍼스널컴퓨터 등 가정의 모든 정보기기를 연결하는 홈네트워크까지 가능하다.
전력선 통신은 지금까지 유선텔레비전망·전화선·광통신망 등으로 복잡하던 데이터 전송 경로가 전력선 하나로 줄어드는 것이 가능하,며 전원과 통신 데이터를 나누어주는 모뎀이나 시스템 등 별도의 장치만 있으면 되므로 설치 또한 간편하다.
현재 세계 인구의 85% 가량이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전화선이나 초고속통신망 따위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은 12∼15%에 불과하다. 이런 점에서 또 다른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을 깔지 않고 이미 집집마다 연결된 전력선을 활용한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대도시와 농촌 간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일은 한결 수월해질 것이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와 네트워크 구축뿐만 아니라 전력선 기반 지능형 가전제품의 원격제어와 계량기 등의 원격 검침, 각종 전기기계의 원격제어 등도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전력선 통신은 기존에 가설된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네트워크 장치에서 PC와 각종 센서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인장치와 서버 센서간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통신 노드를 연결하면, 원거리 통신시에 에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6717호(2010년 04월 08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2선 전력선을 이용하고, 복수개의 동일 신호 생성 장치를 병렬 연결하여 원거리 통신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장치에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없어지고 2선에서 낮은 전력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먼 거리에서 연결되는데 따른 케이블 비용이 저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와 병렬 연결되는 룸온도 컨트롤러를 연결하기 위해 2선의 직류 전력선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신호의 증폭을 통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빌딩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인체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중앙제어부에 연결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력선과 그라운드를 하기 위한 제2 전력선이 나란히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직류를 공급하는 전력선부; 제1 전력선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전력선에 타단이 연결되되 각각이 전력선부에 병렬 연결되며, 각각에 고유식별번호를 할당하고 각각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력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복수개의 신호 생성부; 및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신호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전력선을 통해 신호 생성부 및 중앙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압값은 12V 내지 24V이고, 제2 전력선에서의 전압값은 0V이며, 신호는 12V 내지 24V에서 1V 내지 3V로 스위칭하며 RS 485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에서 분리되는 신호의 전압값은 3.3V 내지 5V에서 0V로 스위칭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룸온도 컨트롤러이며, 중앙제어부는 고층 건물의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중앙제어부는 화재여부를 판단하거나, 사람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는,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순서 및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구간을 미리 할당하고, 신호 생성부 각각은 해당 신호전송 순서 및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만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 누락되는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 생성부가 고장 상태 또는 정지 상태임을 판단하고, 해당 신호 생성부의 고유식별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에 일측에 연결되는 비상 베터리부; 및 정전시 비상 베터리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신호 생성부 및 중앙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선 통신이 즉시 가능하도록 하는 긴급 전력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2선 전력선을 이용하고, 복수개의 동일 신호 생성 장치를 병렬 연결하여 원거리 통신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장치에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없어지고 2선에서 낮은 전력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먼 거리에서 연결되는데 따른 케이블 비용이 저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와 병렬 연결되는 룸온도 컨트롤러를 연결하기 위해 2선의 직류 전력선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신호의 증폭을 통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고층 빌딩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인체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중앙제어부에 연결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해당 신호 생성부의 고장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정전시에도 전력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신호 생성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전력선부(1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력선(110)과 그라운드를 하기 위한 제2 전력선(120)이 나란히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직류를 공급한다.
신호 생성부(200)는 복수개(210, 220, 230)로 마련되며, 제1 전력선(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전력선(120)에 타단이 연결되되 각각이 전력선부(100)에 병렬 연결되며, 각각에 고유식별번호(ID)를 할당하고 각각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력선부(100)를 통하여 전송한다.
중앙제어부(300)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신호증폭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력선(110)을 통해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에 공급되는 전압값은 12V 내지 24V이고, 제2 전력선(120)에서의 전압값은 0V이며, 신호는 12V 내지 24V에서 1V 내지 3V로 스위칭하며 RS 485 통신한다.
또한, 중앙제어부(300)에서 분리되는 신호의 전압값은 3.3V 내지 5V에서 0V로 스위칭하는 신호가 된다. 즉,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5V 이하의 스위칭 신호는 전력선의 전압값 즉 12V 또는 24V로 승압되어 스위칭 신호로 공급되므로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되는 작용을 하므로,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송시에는 로우(row)신호가 0V가 아닌 1V 내지 3V로 유지함으로써,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신호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선 전력선을 이용한 RS 485 통신장치는, 2선 전력선과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와, 입력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안정화 회로와, 신호 생성부에 마련되며, 송신 펄스에 따라 상기 전원을 접지시키거나 접지와의 연결을 차단하여, 전원에 송신 펄스를 삽입하는 송신신호 발생부와, 중앙제어부에 마련되며, 전원을 입력받아 미리 정해둔 전위를 기준으로 차동 증폭하여 수신 펄스를 분리하는 수신신호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2선 전력선을 이용하여 RS 485 통신을 이행함으로써, 여러 대의 정보기기를 장거리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장치 등에서도 RS 485 통신프로토콜을 활용해 저속전력선 통신(PLC)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RS 485통신 방식은 산업에서 지원하는 일종의 시리얼 통신프로토콜 표준 규격으로, 종래의 RS 232나 RS 422에 비해 여러 대의 정보기기를 장거리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전기처럼 한쪽만 일방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반이중 방식과 휴대폰과 같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이중 방식 두 가지를 모두 지원한다. RS 485 규격에는 내부적으로 연결단자를 끊기도 붙이기도 할 수 있는 트라이-스테이터스 단자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단자를 제어하면 송신기기가 수십 대 연결돼 있어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속을 끊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2선 전력선을 이용하고, 복수개의 동일 신호 생성 장치를 병렬 연결하여 원거리 통신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장치에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없어지고 2선에서 낮은 전력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먼 거리에서 연결되는데 따른 케이블 비용이 저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력선부(100), 룸온도 컨트롤러(400) 및 중앙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룸온도 컨트롤러(400) 및 중앙제어부(500)의 기본 구성 및 기본 동작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룸온도 컨트롤러(400)로 구성되며, 중앙제어부(500)는 고층 건물의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인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와 병렬 연결되는 룸온도 컨트롤러를 연결하기 위해 2선의 직류 전력선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신호의 증폭을 통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룸온도 컨트롤러가 100대 이상인 경우 이들의 신호를 충분히 수신하여 각각의 룸온도 설정에 맞추어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력선부(100),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600) 및 중앙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600) 및 중앙제어부(700)의 기본 구성 및 기본 동작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중앙제어부(700)는 화재여부를 판단하거나, 사람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고층 빌딩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인체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중앙제어부에 연결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 신호 생성부 및 중앙제어부의 기본 구성 및 기본 동작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중앙제어부는,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순서 및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구간을 미리 할당하고, 신호 생성부 각각은 해당 신호전송 순서 및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만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 누락되는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 생성부가 고장 상태 또는 정지 상태임을 판단하고, 해당 신호 생성부의 고유식별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해당 신호 생성부의 고장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5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중앙제어부(300), 비상 베터리부(800) 및 긴급 전력선 통신부(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의 기본 구성 및 기본 동작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100),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전력선에 일측에 연결되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베터리부(800) 및 정전시 이를 판단하여 비상 베터리부(80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신호 생성부(200) 및 중앙제어부(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선 통신이 즉시 가능하도록 하는 긴급 전력선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는 정전시에도 전력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6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를 실제 구현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전력선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7의 정류회로 등을 통하여 제1 전력선의 전압값 12V 내지 24V와 제2 전력선의 전압값 0V가 생성되어 공급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신호 생성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8의 회로를 이용하여, RS422/485 통신을 이용하여 4800 bits/s, 8 data bits 속도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화재 감시 동작의 신호를 나타낸 표이다.
0 Header
1 ‘F’: Fire alarm
‘P’: Pre alarm
‘D’: Disconnection of loop and device
2 Event time
3 Type of device:
‘FD’: Generic fire detector
‘FH’: Heat detector
‘FS’: Smoke detector
‘FD’: Smoke and heater detector
‘FF’: Flame detector
‘FM’: Manual call point
‘OT’: Other detector
4 Loop card number
5 Zone number else 000
6 Logical loop unit address else 000
7 ‘A’: Activation
‘V’: Non Activation
8 ‘A’: Acknowledge status
‘V’: Not Acknowledge status
9 End of sentence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고장 감시 동작의 신호를 나타낸 표이다.
0 Header
1 Event time
2 ‘FR’: Identifies fire alarm system
3 Fault Type:
‘MAP’: Main power source fault
‘EMP’: Emergency power source fault
‘BAP’: Batterypowersourcefault
‘ETP’: Positive earth fault
‘ETN’: Negative earth fault
‘RCM’: Repeater communication fault
‘LCM’: Loop board communication fault
‘ECM’: External relay board communication fault
‘ICM’: Interface board communication fault
‘EOP’: External output fault
‘NOM’: Normal
4 Number of fault of this type
5 Unit address (else 000)
6 ‘X’: Activation
‘N’: Deactivation
7 ‘A’: Acknowledge status
‘V’: Not Acknowledge status
8 End of sentence
한편, NMEA 0183 표준 프로토콜(standard protoco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RS232 통신을 이용하여 4800 bits/s, 8 data bits 속도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의 표 3은 NMEA 0183 표준 프로토콜을 활용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각종 감시 동작의 신호를 나타낸 표이다.
구성
$NITS,xxx,xxx,xxx,xxx,xxx,xxx,xxx,xxx,xxx*hh<CR><LF>
│ │ │ │ │ │ │ │ └─ Extra data.
│ │ │ │ │ │ │ └─ Time stamp (number of seconds since 1 Jan 1970).
│ │ │ │ │ │ └─ Message code.
│ │ │ │ │ └─ Type of unit.
│ │ │ │ └─ Last address in interval.
│ │ │ └─ First address in interval.
│ │ └─ Segment number.
│ └─ Node address.
└─ Event type.
Event type - One of the following codes :
5 Fire message
7 Fire mute
9 Fire reset
11 Pre-alarm message
13 Pre-alarm mute
15 Pre-alarm reset
17 Fault message
19 Fault mute
21 Fault reset
23 Disconnection message
25 Reconnection message
27 Set message
29 Reset message
69 Warning message
73 Warning reset
Node address - A number between 2 and 126 identifying the card where the message originated.
Segment number - A number between 1 and 32 identifying the segment of a loop.
First address and last address - Defines the address of the loop unit or loop units.
Type of unit ? Defines the type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
1 All types of units/cards/equipment.
4 All types of loop units.
6 All loop units generating fire alarms.
8 All fire detectors.
9 Combined smoke and heat detectors.
10 Smoke detectors.
12 Heat detectors.
14 Flame detectors.
18 Sprinkler alarms.
20 IS/EX alarms.
32 All non-automatic fire units.
34 Manual call-point.
64 All loop units not generating fire alarms.
66 Loop input.
68 Short circuit isolators.
72 All loop I/O units.
74 I/O unit for bells.
76 I/O unit for ventilation.
78 I/O unit for doors.
128 All types of cards.
144 Loop card.
146 Loop related messages from a loop card.
150 Zone messages.
176 Node card.
178 Node card external LAN, channel A.
180 Node card external LAN, channel B.
182 Node card battery input.
184 Node card AC supply.
186 Node card DC supply, input A.
188 Node card DC supply, input B.
192 Control panel.
216 Digital input.
220 Digital input, fault.
224 Digital output, general type.
226 Digital output, sprinkler.
228 Digital output, door.
230 Digital output, bell.
232 Digital output, fire.
234 Digital output, fault.
236 Digital output, ventilation.
238 Digital output, indication.
242 Output delay.
250 Swap to privilege C.
251 Swap privilege.
252 Customer key
0 No message code defined/applicable.
8 No answer from unit.
9 Detector (sensor) fault
11 Manual disconnection.
12 Local disconnection.
13 Disconnect until...
14 Periodical disconnection.
17 Set system time.
21 Dirty sensor element.
22 Disconnect for...
23 Read/return status.
26 Node/card missing.
27 Not defined node/card answering.
28 Too few units found.
29 Too many units found.
34 Cable break on input 1.
35 Cable break on input 2.
36 External 24V fault.
37 Door feedback fault.
38 Door position fault.
39 Short circuit on loop cable.
40 Loop cable short circuit, terminals A.
41 Loop cable short circuit, terminals B.
43 High current on loop.
44 Loop power loss.
45 Short circuit detection loss.
46 Positive earth fault.
47 Negative earth fault.
48 Fuse fault.
49 Battery fuse fault.
50 Loop cable break, positive terminal.
51 Loop cable break, negative terminal.
52 Cable break.
53 Cable overload.
54 Power supply fault.
56 System on emergency power.
57 Bad battery detected.
58 Loss of battery charge capability.
59 Active input.
61 Output delay off.
62 Set zone in test.
64 Communication error.
65 Wrong type of unit.
66 Output automatic set.
67 Unknown type of unit.
70 Disconnect card.
71 Output set manually.
75 Set high sensitivity.
79 Local timer stuck.
87 Mute.
88 Resound.
89 External fault.
91 Low sensitivity.
92 Units has been double addressed.
94 Cable short circuit.
95 Loss of earth fault detection circuit.
96 Configuration fault.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력선부
110 : 제1 전력선부
120 : 제2 전력선부
200, 210, 220, 230 : 신호 생성부
300, 500, 700 : 중앙제어부
400, 410, 420, 430 : 룸온도 컨트롤러
600, 610, 620, 630 :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
800 : 비상 베터리부
900 : 긴급 전력선 통신부

Claims (7)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력선과 그라운드를 하기 위한 제2 전력선이 나란히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직류를 공급하는 전력선부;
    상기 제1 전력선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력선에 타단이 연결되되 각각이 상기 전력선부에 병렬 연결되며, 각각에 고유식별번호를 할당하고 각각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전력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복수개의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신호증폭기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중앙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선을 통해 상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압값은 12V 내지 24V이고, 상기 제2 전력선에서의 전압값은 0V이며, 상기 신호는 12V 내지 24V에서 1V 내지 3V로 스위칭하며 RS 485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분리되는 상기 신호의 전압값은 3.3V 내지 5V에서 0V로 스위칭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룸온도 컨트롤러이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고층 건물의 보일러의 중앙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 각각은 고층 건물의 각 룸에 마련되는 화재감지 센서 또는 인체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화재여부를 판단하거나, 사람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순서 및 상기 신호 생성부 각각의 신호전송 구간을 미리 할당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 각각은 해당 신호전송 순서 및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만 상기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신호전송 구간에 누락되는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 생성부가 고장 상태 또는 정지 상태임을 판단하고, 해당 신호 생성부의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에 일측에 연결되는 비상 베터리부; 및
    정전시 상기 비상 베터리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선 통신이 즉시 가능하도록 하는 긴급 전력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KR1020160020343A 2016-02-22 2016-02-22 전력선 통신 장치 KR10180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43A KR101801551B1 (ko) 2016-02-22 2016-02-22 전력선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43A KR101801551B1 (ko) 2016-02-22 2016-02-22 전력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442A true KR20170098442A (ko) 2017-08-30
KR101801551B1 KR101801551B1 (ko) 2017-11-27

Family

ID=5976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343A KR101801551B1 (ko) 2016-02-22 2016-02-22 전력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6133A (zh) * 2023-09-27 2023-11-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常州供电分公司 电力线载波通信设备身份认证及窃听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2999A (ja) * 2006-08-02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供給装置
KR101043218B1 (ko) * 2010-04-09 2011-06-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선 전력선을 이용한 rs 485 통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6133A (zh) * 2023-09-27 2023-11-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常州供电分公司 电力线载波通信设备身份认证及窃听定位方法
CN116996133B (zh) * 2023-09-27 2023-12-05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常州供电分公司 电力线载波通信设备身份认证及窃听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551B1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8781B2 (en) Alarm of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nnected to a LAN
KR101801551B1 (ko) 전력선 통신 장치
JP2024016274A (ja) ブースター
JPS62207033A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KR101570095B1 (ko) 모듈화된 입출력 확장 구조를 가진 p형 및 r형 겸용 화재 감시 수신기, 이를 이용한 p형 화재 감시 시스템 및 r형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22986B1 (ko)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고속으로 스캔하는 방법
CN110089133B (zh) 用于监测至少一个扬声器线的方法和装置
KR20020004248A (ko) 화재 검출장치와 제어기간 선로를 간소화한 화재경보 시스템
JP3803075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6917572B2 (ja) 制御装置及び自火報システム
JP2011175554A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の動作試験装置及び動作試験方法
KR20110059682A (ko) 전기 접속구 내의 접촉 불량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JP2016139285A (ja) 無線防災システム及び中継器ノード
EP3133568B1 (e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base device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US2018009132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aulty connection between poc and poe
JPH087189A (ja) 防災監視装置
US11501631B2 (en) Fire alarm system and booster
JP7336891B2 (ja) 中継器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H1151979A (ja) 通電表示装置及び信号表示装置
JP2007249775A (ja) ケーブル断線検出システム
JP6519918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の子機、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の親機、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1101550A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WO2004034348A1 (fr) Procede de formation et de transmission de signaux
JP2020028127A (ja) 棟内共聴装置
JP2000341180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