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660A -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 Google Patents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660A
KR20170097660A KR1020177016753A KR20177016753A KR20170097660A KR 20170097660 A KR20170097660 A KR 20170097660A KR 1020177016753 A KR1020177016753 A KR 1020177016753A KR 20177016753 A KR20177016753 A KR 20177016753A KR 20170097660 A KR20170097660 A KR 2017009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tc element
bottom plate
attach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912B1 (ko
Inventor
마코토 사카구치
노조미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2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
    • H01M2/30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02Shape, form of a fuel cell
    • H01M8/004Cylindrical, tubular or w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양쪽 끝면에 전극 단자를 구비한 통형 전지의 일방의 전극 단자에 부착되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서, 하방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저판의 상방에 판 형상의 PTC 소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천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PTC 소자는 상기 천판과 상기 저판의 대면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천판은 상기 저판의 평면 영역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면서, 선단이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리드 단자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EXTERNALLY-ATTACHED PTC ELEMENT, AND CYLINDRICAL BATTERY}
본 발명은 전지에 외부 부착되는 외부 부착 PTC 소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된 통형 전지에도 관한 것이다.
이용자에 의해 전지 교환을 할 수 없는 전자 기기에서는 전지 자체가 전자 부품 중 하나로서 그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류를 취급하는 전자 기기에서는 전지 내외의 단락 등에 의해 전지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리튬 전지 등의 대전류 방전이 가능한 전지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PTC 소자는 통상은 저저항이지만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전기 저항이 증대하는 판 형상의 고분자 재료(폴리머)나 세라믹스 재료(이하, PTC 재료라고 함)의 양면에 금속박을 배치한 적층 구조를 갖는 칩 부품이다. 전지 내에 장착되는 PTC 소자는 통상, 전지의 일방의 전극 단자를 겸하는 실링체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PTC 소자를 내장할 수 없는 실링 구조를 구비한 전지도 있다. 또는 전지 내에 장착된 PTC 소자의 전류 차단 특성이 전자 기기측에서 요구되는 특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그러한 경우에 대응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전지의 전극 단자에 외부 부착되는 PTC 소자(이하, 외부 부착 PTC 소자라고 함)가 있다. 그리고,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된 전지를 전자 기기 내에 장착하는 것이다.
도 1은 원통형 전지(110)에 부착된 상태의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10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중에서는 외부 부착 PTC 소자(101)의 구성 부재를 다른 해칭으로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부착 PTC 소자(101)는 판 형상의 칩 부품인 PTC 소자(10)의 표리 각각에 금속판(120, 130)을 적층한 구조를 갖고, 원통형 전지(110)에 있어서의 일방의 끝면에 있는 전극 단자(111)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외부 부착 PTC 소자(101)를 구성하는 일방의 금속판(130)과 원통형 전지(110)의 일방의 전극 단자(111)를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부착 PTC 소자(101)가 원통형 전지(110)에 부착된다. 외부 부착 PTC 소자(101)가 부착된 원통형 전지(110)를 회로 기판 등에 실장할 때에는 외부 부착 PTC 소자(101)의 일방의 금속판(120)에 땜납(40) 등을 이용하여 리드 선(50)을 접속해 둔다.
또한, 원통형 전지(110)의 일방의 끝면에 있는 전극 단자(112)에는, 예를 들면 금속판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판(160)을 부착하고, 역시 그 단자판(160)에 리드 선(50)을 땜납해 둔다. 그리고, 리드 선(50)을 회로 기판에 땜납함으로써 원통형 전지(110)가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또한, 도 1에 예시한 외부 부착 PTC 소자(101) 이외에도, 도 2a, 도 2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2매의 띠 형상의 금속판(220, 230)에 PTC 소자(10)를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외부 부착 PTC 소자(201)가 존재한다.
도 2a는 상기 외부 부착 PTC 소자(201)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b는 원통형 전지(110)에 이 외부 부착 PTC 소자(201)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에 예시되는 외부 부착 PTC 소자(201)는 PTC 소자(10)를 통하여 대면하는 2매의 전극판(220, 230)이 함께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쌍방의 전극판(220, 230)은 기단측(222, 232)이 대면하면서, 각각의 선단측(221, 23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PTC 소자(10)는 쌍방의 전극판(220, 230)이 겹치는 부분인 대면 영역 내에 배치된다.
그런데, 이 도 2a에 나타낸 외부 부착 PTC 소자(201)를 원통형 전지(110)에 부착하면, 일방의 금속판(230)의 선단측(231)이 전극 단자(111)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2매의 띠 형상의 금속판(220, 230)이 대면 영역을 거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부착 PTC 소자(201)가 원통형 전지(110)의 외향으로 크게 돌출해버린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 전지(11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하면 원통형 전지(110) 자체가 회로 기판으로부터 크게 이간하게 되어, 전자 기기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그래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전극판(220, 230)의 대면 영역이 원통형 전지(110)의 측면과 평행이 되도록 전극 단자(111)와 접촉하는 측의 금속판(230)을 그 연장도 상에서 원통형 전지(110)의 외형을 따라 구부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판 형상의 PTC 소자를 2매의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협지한 구조의 외부 부착 PTC 소자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비특허문헌 1에는 PTC 재료에 폴리머를 사용한, 소위 「폴리 스위치」라고 불리는 PTC 소자의 구조나 특성 등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150918호 공보
Tyco Electronics Japan G. K., "「폴리 스위치 개요 및 선정 방법」「폴리 스위치의 신뢰성」", "[online], [2014년 12월 18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te.com/japan/bu/circuitprotection/polyswitch/pdf/2011_fundamentals.pdf>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부착한 통형 전지를 기판 등에 실장하는 경우, 외부 부착 PTC 소자에 리드 선이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드 선 자체에 의한 부품 코스트, 리드 선의 일단을 외부 부착 PTC 소자에 부착하기 위한 공정에 필요한 제조 코스트, 및 리드 선의 타단을 회로 기판에 땜납하는 공정에 필요한 제조 코스트 등이 걸려, 전지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리드 선을 둘러칠 필요도 있음으로써 전자 기기의 소형화도 저해되어버린다.
2매의 띠 형상의 전극판으로 PTC 소자를 협지한 구조의 외부 부착 PTC 소자에서는 일방의 전극판을 구부리고 있다. 통형 전지에서는 전지통이 양수 일방의 전극의 집전체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띠 형상의 전극판을 구부릴 때 등에 전지통 외주의 절연막에 상처가 나면 전극 단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측의 전극판과 전지통이 전기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되는 측의 전극 단자가 전지통과 같은 극이면, 2매의 전극판이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것이 되어, PTC 소자가 기능하지 않는다. 다른 극이면 전지를 단락시켜버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아 통형 전지를 회로 기판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장할 수 있고, 실장에 필요한 스페이스도 절약할 수 있는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그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부착한 통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쪽 끝면에 전극 단자를 구비한 통형 전지의 일방의 전극 단자에 부착할 수 있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서,
하방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저판의 상방에 판 형상의 PTC 소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천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PTC 소자는 상기 천판과 상기 저판의 대면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천판은 상기 저판의 평면 영역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면서, 선단이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리드 단자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판의 하면이 상기 통형 전지에 있어서의 일방의 끝면의 평면 형상을 따른 형상이며, 상기 저판의 상면에서 상기 천판과의 대면 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일방의 끝면에 용접되는 영역으로서 노출되어 있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형 전지는 원통형이고, 상기 통형 전지의 상기 일방의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외주원과 동심원 형상으로 받침대 형상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판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대 형상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 전지도 포함되고, 상기 통형 전지는 양쪽 끝면을 전극 단자로 해서, 일방의 끝면에 상기 저판의 하면이 접촉한 상태로 부착되고, 일방의 끝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 전지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외부 부착 PTC 소자에 의하면,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아 통형 전지를 회로 기판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부 PTC 소자를 부착한 통형 전지는 실장 영역이 작아, 상기 통형 전지를 내장하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기타 효과에 관해서는 이하의 기재에서 명백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된 원통형 전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의 기타 단자 형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의 부착 대상이 되는 원통형 전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의 부착 대상이 되는 원통형 전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는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b는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c는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의 응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나타내는 도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 출원은 2014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특허 출원 2014-263897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사용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도면에 있어서 부호를 첨부한 부분에 대해서, 불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에서는 그 부분에 부호를 첨부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양쪽 끝면이 전극 단자가 되는 통형 전지, 예를 들면 원통형 전지를 부착 대상으로 한 외부 부착 PTC 소자를 든다.
도 3a, 도 3b는 그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PTC 소자(1a)를 상방에서 볼 때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의 기본 구조는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101, 102)와 마찬가지로, 2매의 금속판(20, 30)에 PTC 소자(10)를 협지한 구성이지만, 금속판(20, 30)의 평면 형상이 종래의 외부 부착 PTC 소자(101, 102)와는 다르다.
또한, 이하에서는 PTC 소자(10)를 협지하는 2매의 금속판(20, 30)에 있어서, 원통형 전지(110)의 전극 단자(111)와 접촉하는 금속판(30)을 「저판(30)」이라고 한다. PTC 소자(10)를 통하여 저판(30)과 대면하는 금속판(20)에 대해서는 「천판(20)」이라고 한다. 또한, 저판(30)을 하방으로 하여 저판(30)의 상방에 PTC 소자(10)와 천판(2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부 부착 PTC 소자(1a)에 있어서의 상하의 각 방향을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이하, 외부 PTC 소자(1a)라고 함)에서는 천판(20)의 선단측(21)이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 예에서는 천판(20)의 선단측(21)은 스루홀에 삽입되는 리드 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PTC 소자(1a)는 천판(20)의 기단측(22)과 저판(30) 사이에 칩 부품인 PTC 소자(10)(이하, PTC칩(10)이라고 함)를 협지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외부 PTC 소자(1a)는 천판(20)과 저판(30)이 함께 두께 0.3mm의 니켈판으로 이루어진다. PTC 소자(10)는 고온이 되면 전기 저항이 증대하는 특성을 갖는 도전성 폴리머를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으로 협지한, 소위 「폴리 스위치」이고, PTC 소자(10)의 두께는 0.22mm이다. 그리고, 천판(20)과 PTC 소자(10)의 금속박, 및 저판(30)과 PTC 소자(10)의 금속박이란 리플로우 땜납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외부 PTC 소자(1a)는 원통형 전지(110)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전극 단자(111)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전지이면, 부극 단자에 대응하는 전극 단자(이하, 편의적으로 전극 단자면이라고 함)에 부착된다. 물론,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이용자에 의해 교환을 할 수 없도록 공업용 전지에서는 정극과 부극의 쌍방의 단자가 평탄한 전극 단자면이 있는 것도 있다. 어느 쪽이든 저판(30)은 전극 단자(111)(전극 단자면)의 평면 형상을 따른 원판 형상이고, 이 저판(30)측을 하방으로 하여 외부 PTC 소자(1a)를 상방에서 보면, 저판(30)이 천판(20)에 가려져 있지 않은 원판 형상의 저판(30)의 외주측이 노출되어 있다.
도 4는 원통형 전지(110)에 부착된 상태의 외부 PTC 소자(1a)를 나타냈다. 이 예에서는 지름 φ=17mm, 길이 L=33.5mm의 외형 치수를 갖는 리튬 일차 전지(110)의 전극 단자(111)에 외부 PTC 소자(1a)의 저판(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30)은 원판의 외주 영역의 소정 장소(34)에서 용접되어 전극 단자(111)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저판(30)은 스폿 용접에 의해 전극 단자(111)에 부착되어 있다. 물론, 레이저 용접 등 다른 용접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전극 단자(111)에 대하여 반대측의 끝면(116)에 있는 전극 단자(112)에는 리드 단자판(60)만이 스폿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원통형 전지(110)(이하, 전지(110)라고 함)가 회로 기판에 확실하게 실장되도록 천판(20)의 선단측(21)에 형성되는 리드 핀이 1개이고, 전극 단자(112)측의 리드 단자판(60)의 선단측(61)에는 2개의 리드 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리드 핀이 회로 기판의 스루홀에 삽입되면서 땜납됨으로써 원통형 전지(110)가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그것에 의해, 원통형 전지(110)가 리드 핀이 부착된 각종 전자 부품과 마찬가지로 하여 단락 등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한 실장 스페이스를 압박하는 경우 없이 회로 기판 상의 필요 최소한의 영역을 점유한 상태로 실장된다. 즉, 원통형 전지(110)를 내장한 전자 기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장 부품 과 마찬가지로 리플로우 땜납에 의한 실장도 가능하게 되어 전자 기기의 코스트 다운에도 기여한다.
또한, 천판(20)의 선단측(21)이나 리드 단자판(60)의 선단측(61)의 단자 형상은 상술한 리드 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의 에지가 끼워 넣어지는 노치(23, 63)가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변형예===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의한 외부 PTC 소자(1a)는 원통형 전지(110)에 있어서 평탄면을 갖는 전극 단자(111)측에 부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도를 확보하는 등의 이유로부터, 일반적인 전지에 있어서의 정극 단자 정도 높이는 아니지만, 표면이 완전한 평탄면이 아닌 동심원 형상의 낮은 받침대 형상 볼록부가 전극 단자(1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6a, 도 6b에, 전극 단자(112)와 비교하여 낮은 볼록부(113)(이하, 원형 볼록부(113) 또는 받침대 형상 볼록부(113)라고 함)가 전극 단자(111)에 형성된 원통형 전지(110)를 나타냈다.
도 6a는 원통형 전지(110)를 그 전극 단자(111)측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전극 단자(112)측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원통형 전지(110)는 전극 단자(111)에, 원통형 전지(110)의 원형 끝면의 외주 원과 동심원을 하는 원형 볼록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원통형 전지(110)는 일방의 끝면(116)에, 원형 볼록부(113)보다 높이가 있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전극 단자(112)(이하, 볼록 형상 단자(112)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의 변형예로서, 원형 볼록부(113)가 있는 전극 단자(111)에도 부착이 가능한 외부 PTC 소자(1b)를 든다.
도 7a, 도 7b, 도 7c에 상기 변형예에 의한 외부 PTC 소자(1b)를 나타냈다. 도 7a는 변형예에 의한 외부 PTC 소자(1b)를 상방에서 볼 때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b-b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c는 원통형 전지(110)에 있어서 원형 볼록부(113)가 있는 전극 단자(111)에 이 외부 PTC 소자(1b)를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외부 부착 PTC 소자(1b)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볼 때의 평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와 동일하지만,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30)의 하면(33)측에 원형으로 개구하는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고,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외부 PTC 소자(1b)를 전극 단자(111)에 부착하면, 전극 단자(111)의 원형 볼록부(113)가 이 오목부(35) 내에 삽입되어 오목부(35)의 바닥(36)에 원형 볼록부(113)의 상단면(114)이 접촉한다.
또한, 저판(30)의 외주측의 하면(33)에 전극 단자(111)의 외주측 상면(115)이 접촉한다. 또한, 이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b)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5)를 보다 깊게 하면, 정극 단자와 같은 보다 높은 볼록 형상 단자(112)를 구비한 끝면(116)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실시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a)나 그 변형예에 의한 외부 부착 PTC 소자(1b)는 저판(30)을 원통형 전지(110)의 일방의 끝면에 있는 전극 단자(111)에 용접함으로써 원통형 전지(110)에 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판(30)은 리드 단자로서도 기능하는 선단측(21)을 갖는 천판(20)의 폭보다 폭이 넓은 원판 형상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원통형 전지(110)의 전극 단자(111)와 접촉하는 저판(30)의 외주 부분을 스폿 용접하고 있었다. 확실히 용접은 부착 강도가 커서 진동 등에 의해 탈락하기 어렵다. 한편, 용접에는 전용 용접기를 필요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시작(試作) 레벨의 전자 회로에 장착하는 전지에 외부 PTC 소자를 부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용접을 전제로 한 외부 PTC 소자를 굳이 채용할 필요는 없고, 보다 범용적인 외부 PTC 소자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도 9a, 도 9b에 범용적인 외부 PTC 소자(1c)를 나타냈다. 도 9a는 그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있어서의 c-c 화살표 단면도이다. 이 도 9a, 도 9b에 나타낸 외부 PTC 소자(1c)에서는 리드 단자로서도 기능하는 선단측(21)을 갖는 천판(20)의 기단측(22)에, 천판(20)과 동일한 정도의 폭의 저판(30)이 대면하고, 그 대면 영역에 PTC 소자(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접착제나 땜납을 사용하는 등 하여 저판(30)의 하면(33)을 전극 단자(111)에 부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도 9a, 도 9b에 나타낸 외부 PTC 소자(1c)이면, 용접을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 단자(111)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 형상 단자(112)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외부 PTC 소자(1a, 1b, 1c)가 부착하여 대상으로 하는 전지는 원통형 전지(110)에 한정되지 않고, 양쪽 끝면이 전극 단자가 되는 통형 전지이면 좋다.
1a, 1b, 1c, 101, 102 외부 부착 PTC 소자
10 PTC 소자(PTC칩) 20 천판(금속판)
21 선단측 22 기단측
30 저판(금속판) 33 하면
34 용접 장소 35 오목부
36 바닥 40 땜납
50 리드 선 60 리드 단자판
61 선단측 110 원통형 전지
111 전극 단자 112 전극 단자(볼록 형상 단자)
113 원형 볼록부(받침대 형상 볼록부) 114 상단면
115 외주측 상면 116 끝면
120 금속판 130 금속판
160 단자판 201 PTC 소자
220 금속판(전극판) 221 선단측
222 기단측 230 금속판(전극판)
231 선단측 232 기단측

Claims (4)

  1. 양쪽 끝면에 전극 단자를 구비한 통형 전지의 일방의 전극 단자에 부착되는 외부 부착 PTC 소자로서,
    하방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저판의 상방에 판 형상의 PTC 소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천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PTC 소자는 상기 천판과 상기 저판의 대면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천판은 상기 저판의 평면 영역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면서, 선단이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리드 단자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부착 PTC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의 하면은 상기 통형 전지에 있어서의 일방의 끝면의 평면 형상을 따른 형상이며, 상기 저판의 상면에서 상기 천판과의 대면 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일방의 끝면에 용접되는 영역으로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부착 PTC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전지는 원통형이고, 상기 통형 전지의 상기 일방의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외주원과 동심원 형상으로 받침대 형상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판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대 형상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부착 PTC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외부 부착 PTC 소자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통형 전지로서,
    양쪽 끝면을 전극 단자로 해서, 일방의 끝면에 상기 저판의 하면이 접촉한 상태로 부착되고, 타방의 끝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 전지.
KR1020177016753A 2014-12-26 2015-11-20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KR10231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3897 2014-12-26
JP2014263897A JP6454542B2 (ja) 2014-12-26 2014-12-26 外付けptc素子、および筒形電池
PCT/JP2015/082796 WO2016104009A1 (ja) 2014-12-26 2015-11-20 外付けptc素子、および筒形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660A true KR20170097660A (ko) 2017-08-28
KR102311912B1 KR102311912B1 (ko) 2021-10-13

Family

ID=5615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753A KR102311912B1 (ko) 2014-12-26 2015-11-20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97419B2 (ko)
EP (1) EP3239992B1 (ko)
JP (1) JP6454542B2 (ko)
KR (1) KR102311912B1 (ko)
CN (1) CN107210104B (ko)
WO (1) WO20161040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926B1 (ko) * 2021-11-22 2022-06-23 주식회사 에스엠벡셀 외부 부착형 ptc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지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2502B2 (ja) * 2018-01-11 2021-12-17 Fdk株式会社 端子構造
WO2020005988A1 (en) * 2018-06-25 2020-01-02 American Lithium Energy Corporation Safety layer for battery cells
AU2020269077A1 (en) * 2019-05-06 2021-10-07 Gelion Technologies Pty Ltd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918A (ja) 2000-11-08 2002-05-24 Daito Communication Apparatus Co Ltd 保護素子
JP3576767B2 (ja) * 1997-09-18 2004-10-13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レイケム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に内蔵されるptc素子
JP2005158582A (ja) * 2003-11-27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ホルダ
KR100502337B1 (ko) * 2002-12-26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9440A (ja) 1988-09-05 1990-03-08 Canon Inc 光学活性液晶性化合物、それを含む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JP2563808Y2 (ja) * 1988-11-15 1998-02-25 三洋電機株式会社 過電流及び過熱保護素子
JP2743570B2 (ja) * 1990-10-11 1998-04-22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機の風量制御用抵抗器
EP0508627B1 (en) 1991-04-08 1999-01-1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arry out signals
JPH0638157A (ja) 1992-07-17 1994-02-10 Hitachi Ltd ビデオカメラ
JP2585011Y2 (ja) * 1992-10-29 1998-11-11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手段及びスイッチング手段を内蔵した組電池
JP2003151804A (ja) * 2001-11-15 2003-05-23 Shin Etsu Polymer Co Ltd Ptc素子の製造方法
JP2009193794A (ja) * 2008-02-13 2009-08-27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JP5385218B2 (ja) * 2009-11-16 2014-01-0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の使用方法
CN201725828U (zh) * 2010-06-13 2011-01-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不同形状电极的蓄电池
US9451710B2 (en) * 2010-08-26 2016-09-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199080B1 (ko) * 2010-11-11 2012-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757111B2 (ja) * 2010-11-19 2015-07-2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電力消費機器
JP5797091B2 (ja) * 2011-11-08 2015-10-21 Fdk鳥取株式会社 外付けptc素子ユニット及び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6767B2 (ja) * 1997-09-18 2004-10-13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レイケム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に内蔵されるptc素子
JP2002150918A (ja) 2000-11-08 2002-05-24 Daito Communication Apparatus Co Ltd 保護素子
KR100502337B1 (ko) * 2002-12-26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05158582A (ja) * 2003-11-27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ホル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yco Electronics Japan G. K., "「폴리 스위치 개요 및 선정 방법」「폴리 스위치의 신뢰성」", "[online], [2014년 12월 18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te.com/japan/bu/circuitprotection/polyswitch/pdf/2011_fundamentals.pd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926B1 (ko) * 2021-11-22 2022-06-23 주식회사 에스엠벡셀 외부 부착형 ptc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27034A (ja) 2016-07-11
EP3239992A4 (en) 2018-06-13
US10797419B2 (en) 2020-10-06
WO2016104009A1 (ja) 2016-06-30
JP6454542B2 (ja) 2019-01-16
KR102311912B1 (ko) 2021-10-13
CN107210104B (zh) 2020-01-14
CN107210104A (zh) 2017-09-26
EP3239992A1 (en) 2017-11-01
US10658777B2 (en) 2020-05-19
US20180166817A1 (en) 2018-06-14
EP3239992B1 (en) 2020-02-26
US20190221954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4907B2 (ja) サーミスタが装着された保護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パック
US10658777B2 (en) Externally-attached PTC element and tubular battery
US9241408B2 (en) Electronic component
WO2017090472A1 (ja) 蓄電装置
JP5851041B2 (ja) 新規な構造のトップキャップアセンブリー
JP6074696B2 (ja) 抵抗器の端子接続構造
JPWO2016175180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及びその電池配線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源装置
US20180242454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thod of bonding electrode lead of battery to printed circuit board
JP5797091B2 (ja) 外付けptc素子ユニット及び電池
JP5683252B2 (ja) 外付けptc素子ユニット及び電池
KR102459621B1 (ko) 배터리 팩
JP6590501B2 (ja) 外付けptc素子および筒形電池
JP2002329542A (ja) 圧接型アダプタ
JP5046568B2 (ja) 電池パック
JP5250249B2 (ja) 圧電トランス
JP2014175191A (ja) 回路基板へのリード板取り付け方法及びパック電池の製造方法
JP6596212B2 (ja) 外付けptc素子および筒型電池
CN114557141B (zh) 带端子的柔性印刷基板、配线模块及蓄电模块
JP6905068B2 (ja) 電流遮断装置及び蓄電装置
JP2015201570A (ja) チップ型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81746A (ja) 扁平形電池及びプリント回路板の製造方法
JP2009187749A (ja) 電池パック
JP2019071236A (ja) 電流遮断装置及び蓄電装置
JP2003272585A (ja) リード板取付け構造
JP2005135848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