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925A -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925A
KR20170096925A KR1020160071333A KR20160071333A KR20170096925A KR 20170096925 A KR20170096925 A KR 20170096925A KR 1020160071333 A KR1020160071333 A KR 1020160071333A KR 20160071333 A KR20160071333 A KR 20160071333A KR 20170096925 A KR20170096925 A KR 2017009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keypad
digit
digital device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257B1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ublication of KR2017009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제시번호에 사용자가 설정한 연산에 의해 계산된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비밀번호와 연산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외부에 노출되는 번호표시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디지털기기를 구성하고, 상기 번호표시부에는 '0'을 제외한 무작위로 생성되는 4자리수 이상의 숫자가 표시되는 제시번호가 나타나며, 상기 제시번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연산하고 그 연산값을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은, 고정번호; 번호표시부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 번호표시부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와 상수의 연산값; 중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별명에 의하면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입력번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타인이 비밀번호를 알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Locking and unlock method of digital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일 비밀번호, 은행비밀번호, 디지털도어락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제시번호에 사용자가 설정한 연산에 의해 계산된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타인에게 노출되어도 잠금을 해제하는 비밀번호는 알 수 없도록 한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발달과 인터넷망이 각지에 퍼짐으로써 촉발된 디지털시대는 지금 스마트폰의 급속한 기술적 진보로 인해 디지털혁명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수많은 가지각색의 디지털기기들을 접하고 사용하고 있다.
특히나 기존에는 열쇠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풀었던 불편한 방식에서 이제는 열쇠의 휴대/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른 물리적인 수단에 의한 외부인의 침입을 완벽히 차단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디지털도어락과 현대인들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기기는 그 특성상 보안성이 가장 중요한 기술적 특성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기기의 잠금해제는 화면에 노출된 숫자판에 4~6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푸는 방식으로써, 이는 인접해 있는 제3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24292호 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숫자 입력 및 제스처 입력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한 후 입력 시에는 정수 및 허수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비밀번호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잠금화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3896호 에서는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잠금해제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숫자와 패턴 이미지의 조합으로 자신의 잠금해제를 생성(설정)하는 단계 ; 숫자와 패턴 이미지의 조합을 잠금해제로 저장하는 단계 및 ; 사용자로부터 숫자와 패턴 이미지가 잠금해제가 입력되면 저장된 숫자와 패턴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여 패턴입력과 종래의 4자리 숫자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보안성을 높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의 불편을 강요하는 방법으로 잠금을 비밀번호와 패턴을 같이 입력하므로 해제시간이 길어지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방법들 역시 번호와 패턴이 노출되었을 때는 보안성을 장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2013-0024292 A (2013.03.08.) KR 10-2015-0063896 A (2015.06.10.)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디지털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번호에 사용자만의 연산을 설정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타인이 비밀번호를 알 수 없도록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안성이 높으면서도 암호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참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비밀번호와 연산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외부에 노출되는 번호표시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디지털기기를 구성하고, 상기 번호표시부에는 '0'을 제외한 무작위로 생성되는 4자리수 이상의 숫자가 표시되는 제시번호가 나타나며, 상기 제시번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연산하고 그 연산값을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은, 고정번호; 번호표시부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 번호표시부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와 상수의 연산값; 중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디지털기기에 설정된 연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나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연산식을 바꾸거나 할 때 사용되는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되, 설정방법은 키패드의 *버튼을 누르고 지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차례로 누른 다음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2번 반복함으로써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입력번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타인이 비밀번호를 알 수 없어 잠금을 해지할 시 손이나 몸으로 가려야 하는 불편과 몰래카메라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일소할 수 있다.
덧셈, 뺄셈, 곱셈으로만 연산이 이루어지므로 연산의 기억이 쉽고 암산이 쉬워 누구나 용이하게 잠금을 설정하고 해제할 수 있다.
보안이 필요한 디지털기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스마트폰에 적용할 경우 응급상황시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소유자의 가족이나 지인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이 적용된 디지털기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이 적용된 디지털기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3는 디지털기기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은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실시예1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는 제시번호에 의해 도 5에서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를 설명한 예시도
도 7는 실시예2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서 설정된 비밀번호 연산식에 의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를 설명한 예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이 적용된 디지털기기의 예시도이고, 도 2은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이 적용된 디지털기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는 디지털기기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개인정보의 유출이 염려되는 스마트폰이나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디지털기기(1)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특정 비밀번호나 패턴과 같이 노출되었을 때 타인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었던 잠금방식을 탈피하여, 잠금 해제과정이 노출되더라도 비밀번호를 알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이 극도로 우수한 디지털기기의 잠금설정 및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기기(1)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이 적용된 디지털기기의 시스템은 전원부와, 메모리와, 외부에 노출되는 번호표시부(2)와 키패드(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도어락과 같이 물리적인 잠금쇠를 구비하는 경우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나 배터리와 같이 몸체내부에 구비되어 디지털기기(1)의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번호표시부(2)에는 사용자가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무작위로 생성되는 8자리 숫자가 노출되어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번호표시부(2)의 하측에 형성되는 키패드(3)를 통해 잠금을 설정하고 해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번호표시부(2)에 나타나는 숫자는 8자리수를 기본으로 하되, 설정되는 잠금해제 비밀번호는 4자리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키패드(3)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접근이 쉽도록 가장 보편적이고 익숙한 형태의 *와 #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전화기에 사용되는 순서로 배열되어지는 것으로, 물리적인 키패드의 형태는 물론이고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질 수도 있다.
메모리는 후술할 사용자가 설정하는 초기화 비밀번호와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제어부는 입력화면의 번호표시부(2)에 무작위로 생성되는 8자리 숫자를 발생시키고, 키패드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여부를 대조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등 각부에 명령을 전달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은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기에 앞서 먼저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초기화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디지털기기(1)에 설정된 연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연산식을 바꾸거나 또는 초기화 비밀번호를 바꾸고자 할 때 필요한 것으로, 특정번호만으로 구성된 숫자의 조합으로만 구성하도록 한다.
컴퓨터로 인터넷을 연결하여 웹서핑을 할 시 개별 사이트의 로그인 ID 또는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에는 휴대폰 인증과정을 거쳐서 ID와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을 적용하는 디지털기기에는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이러한 인증절차를 거칠 수 없고, 비밀번호를 모를 경우 사용이 안 되므로 상기와 같은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은 필수다.
설정방법은 키패드(3)의 *버튼을 누르고 지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차례로 누른 다음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2번 반복함으로써 설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잠금해제
(2) 잠금해제/비밀번호 재설정
(3) 잠금해제/초기화 비밀번호 재설정
(4) 잠금해제/비밀번호 미지정
(5) 나가기
초기화 비밀번호를 53005268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 '*53005268#' 를 차례로 키패드를 눌러 입력하고 재차 '*53005268#'를 입력하면 '초기화 비밀번호가 설정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옵션이 나타나도록 프로그램화 한다.
상기 다섯가지 옵션에 대해 지정은 키패드(3)의 해당숫자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며, 각 옵션에 대해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잠금해제 옵션은 초기화 비밀번호와 비밀번호 연산식의 설정은 바꾸지 아니하고 오직 디지털기기의 잠금만 해제시킨다. 도어락의 경우 문의 잠금쇠가 개방되며 스마트폰의 경우 잠금화면이 풀린다.
두 번째 잠금해제/비밀번호 재설정 옵션은, 잠금이 해제되면서 동시에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세 번째 잠금해제/초기화 비밀번호 재설정 옵션은 잠금이 해제되면서 초기화 비밀번호를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한다. 만약, 두 번째와 세 번째 옵션을 선택하고 일정시간 동안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값이 없으면 별도의 버퍼음을 발생시키거나 번호표시부(2)를 깜빡거리는 방법 등으로 사용자에게 주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번째의 잠금해제/비밀번호 미지정 옵션에서는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를 위한 것으로, 보안이 필요치 않는 디지털기기에 적용하거나 또는 치매환자를 위한 옵션이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키패드(3)의 아무키나 터치하기만 하면 잠금해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도어락의 경우 문을 닫을 시 자물쇠가 잠기지만 키패드(3)에 아무키나 누르면 자물쇠가 해제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나가기 옵션은 잠금을 해제시키지 않고 잠금화면으로 복귀할 때 사용한다.
잠금해제 비밀번호는 상기 네 가지 옵션 중 두 번째 옵션을 선택하였을 때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 및 그 연산식의 입력이 끝나면 프로그램에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인식시키기 위해 키패드(3)의 *와 #를 동시에 일정시간(3초정도) 눌러 잠금해제 비밀번호의 설정을 완료시키면, 해당 비밀번호는 메모리에 잠금해제 인증번호로 저장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해제 비밀번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첫째, 특정한 고정번호를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것이다. 치매 환자나 유아와 같이 간단한 연산도 힘든 사용자를 위해 기존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특정번호로만 구성된 잠금해제 비밀번호도 설정가능하다.
둘째,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로 설정하는 것이다. 번호표시부(2)에 나타나는 여덟 자리의 제시번호에서 n번째 자릿수에 나타는 숫자를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다섯 번째 자리에 표현되는 숫자를 비밀번호로 설정할 경우 키패드(3)의 숫자 5를 일정시간(3초) 누르면 5가 나타나는데, 이 숫자가 5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시번호의 다섯 번째 자리수를 의미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자리식별마크(22)가 함께 타나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같이 숫자에 동그라미를 부가한 '⑤'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상기 제시번호는 "0"을 제외하되 중복가능하며, 켤 때마다 무자위로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제시번호에 의한 연산이 어렵거나, 다른 제시번호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키패드에 별도의 재버튼을 마련하여 다른 숫자배열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연산식을 입력하여 그 연산값을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제시번호의 자릿수만으로 비밀번호를 결정한다 하더라도 CCTV나 몰래카메라에 의해 잠금해제 과정이 녹화가 된다면 그 비밀번호는 금방 파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도 비밀번호를 파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연산식을 입력하고 그 연산값으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연산식의 구성은 연산숫자와 연산자를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연산자는 2개 이상도 입력이 가능하다.
연산자는 도 3에서와 같이 키패드(3)의 *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덧셈(+), 키패드의 0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곱셈(x), #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뺄셈(-) 만을 사용하며, 상기 # 버튼은 백스페이스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되 설정시간(2초 내지 3초)동안 눌렀을 때 마지막 입력값이 지워질 수 있도록 한다.
연산식에 사용되는 연산숫자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를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하며, 연산숫자로 고정상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1~9까지의 자연수만 입력토록 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산식이 만들어질 수 있다.
⑥+⑧, ④-①, 2+④, ③x4-6, ⑨x2+①, ⑥+3-③
한편, 곱셈이 연산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비밀번호에 부여되는 연산값은 두자리수를 차지하며, 곱셈이 연산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십자리수를 제외한 한자리수의 절대값이 연산값으로 입력된다.
연산식 비밀번호
2x3 06
5+9 4
2-5 3
구체적으로 상기 표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산식 2x3의 연산값은 6으로 한 자리 숫자이지만 연산자에 곱셈이 포함되므로 06 이라는 두 자리 수가 비밀번호로 설정된다.
또한 연산식 5+9의 결과값은 14이지만 십자리수를 제외한 4가 비밀번호로 설정되며, 연산식 2-5의 결과값은 -3 이지만 이의 절대값인 3이 비밀번호로 설정되는 것이다.
넷째,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방법 중 2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밀번호는 네자리 수로 구성한 예를 설명하지만, 비밀번호의 자릿수는 사용자에 의해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1] - 사용자의 마음속 고정번호가 72 이고, 제시번호의 네 번째 수와 여덟 번째 수를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경우. (첫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으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방법)
도 5는 실시예1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번호표시부(2)의 첫 번째 자리에 커서(21)가 깜빡일 때 고정번호 7을 입력한다.
두 번째 자리로 커서(21)가 넘어가는 것은 컴퓨터 자판과 같은 경우는 엔터키를 눌러 즉시 커서를 다음 칸으로 옮길 수도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키패드(3)에 물리적인 엔터키가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입력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다음 칸에 커서가 깜빡거리도록 구현되게 한다. 이 때 연산자 버튼인 *,0,#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입력대기시간이 1초 정도로 짧게 설정하고, 연산자 버튼(*,0,#)이 입력되는 경우는 5초 후 다음 칸으로 커서(21)가 이동하도록 구현한다.
두 번째 칸으로 커서가 이동하면 2를 입력한다.
세 번째 칸으로 커서가 이동하면 제시번호의 4를 일정시간(3초)간 눌러 도면에서와 같이 4에 동그라미로 표시되는 자리식별마크(22)가 나타나게 한다.
네 번째 칸으로 커서(21)가 이동하면 8을 일정시간(3초)간 눌러 도면에서와 같이 8에 동그라미로 표시되는 자리식별마크(22)가 나타나게 한다.
입력이 끝나면 키패드(3)의 *와 #를 동시에 일정시간(3초) 누르면 잠금해제 비밀번호의 설정이 완료되며 해당 비밀번호는 메모리에 잠금해제 인증번호로 저장이 된다.
도 6은 제시번호에 의해 도 5에서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번호표시부(2)에 무작위로 생성된 제시번호가 '7274 3754'라고 가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설정한 잠금해제 비밀번호는 72④⑧ 이므로 입력해야 할 비밀번호는 고정번호 72, 제시번호의 네 번째 자릿수 4, 제시번호의 여덟 번째 자릿수 8을 조합한 7244가 입력해야할 실제 비밀번호가 된다.
[실시예2] - 제시번호의 네 번째 수와 다섯 번째 수를 곱한 후 2를 뺀 값과, 일곱 번째 수에 2를 더하고 여덟 번째 수에 2를 더한 값을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경우. (세번째 방법인 연산식을 입력하여 그 연산값을 잠금해제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방법)
도 7는 실시예2의 잠금해제 비밀번호로 저장되는 연산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비밀번호의 첫 두자리에 들어갈 연산식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먼저 키패드(3)의 숫자 4를 일정시간(3초) 누르고, 곱셈 입력버튼 0을 짧게 누르며, 숫자 5를 일정시간(3초) 누르며, 뺄셈 입력버튼 #을 짧게 누르고, 키패드(3) 2를 짧게 누른다. 연산자에 곱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에 의해 입력된 수식 '④x⑤-2'의 연산값이 비밀번호의 첫 두 자리 수로 입력된다.
엔터키 또는 5초 후에는 상기 수식이 사라지고 다시 커서(21)는 첫 번째 자리에 위치된다. 이 때 키패드(3) 7을 일정시간 누르고 덧셈 입력버튼 *를 짧게 누른 다음 숫자2를 짧게 누르면, 수식 ⑦+2 의 연산값이 비밀번호의 세 번째 자리로 설정된다.
다시 엔터키 또는 5초 후 키패드(3) 8을 일정시간 누르고 덧셈 입력버튼 *를 짧게 누른 다음 숫자2를 짧게 누르면, 수식 ⑧+2 의 연산값이 비밀번호의 네 번째 자리로 설정되도록 한 다음 *와 #을 동시에 눌러 잠금해제 비밀번호의 설정을 마친다.
도 8은 제시번호에 의해 도 7에서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번호표시부(2)에 무작위로 생성된 제시번호가 [7274 3754]라고 가정한다.
가정 먼저 입력된 연산식이'④x⑤-2'이므로 첫 번째와 두 번째 칸에 입력될 비밀번호는 7274 3754의 네 번째 자릿수 4와 다섯 번째 자릿수 3의 곱에 상수 2를 뺀 10이다.
두 번째로 입력된 연산식은 '⑦+2'이므로 제시번호의 일곱 번째 자릿수 5에 2를 더한 연산값 7을 비밀번호의 세 번째 자리에 입력하며 네 번째 비밀번호 자리에는 제시번호의 여덟 번째 자릿수인 4에 상수 2를 더한 연산값 6을 입력하면 디지털기기(1)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만약 비밀번호 입력 시 연산을 잘못하거나 키패드를 잘못 누르는 등의 실수로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2회 연속으로 잘못입력 했을 경우 3회 이후로는 제시번호에 의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두 번 연속 맞춰야만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안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도어락에만 한정하여 기술하였으나, 보안이 필요한 각종 인터넷 사이트의 비밀번호나 은행보안카드 등에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은행이나 편의점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에 설치된 현금지급기에서 통장비밀번호 또는 카드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현금을 인출 또는 입금하는 경우, 나쁜 목적으로 접근하여 몰래카메라나 초소형 카메라로 입력과정을 촬영하여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도 있는 위험이 항상 도사리므로, 이러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디지털기기(1)에 적용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노출되더라도 본 발명은 고정번호를 비밀번호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와 상수에 의한 연산을 기억하는 방식이므로 입력하는 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더라도 설정된 연산식을 알아낼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위험성을 일소시켜 보안성을 극대화시킨 방법이다.
즉, 어떤 휴대폰 사용자가 35라는 숫자를 입력하여 잠금을 풀었다고 할 때, 35라는 입력숫자는 번호표시부에 무작위로 생성된 제시번호 '7274 3754'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폰에 설정한 잠금해제 비밀번호 연산 ⑦-2,⑦ 에 의해 계산된 결과값인 35를 입력하는 것이므로 옆 사람이 숫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유심히 지켜본다 할지라도 도저히 알 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메일과 로그인 비밀번호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로그인 암호 등의 개인정보를 보관하는 서버가 해킹을 당하더라도 개인정보가 유실되는 우려를 일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덧셈, 뺄셈, 곱셈 중 하나 이상의 연산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억과 암산이 쉽고, 연산이 복잡할 수 있는 사용자를 위해 번호표시부(2)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자릿수와 고정번호를 이용하여도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잠금 설정 방법은 보안성 측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용 디지털기기에 적용되었을 경우 때에 따라서는 불편을 초래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과음을 한다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정신이 혼미한 상태에서 본인이 설정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풀기 힘든 상황에 처할 수가 있다. 또는 산행을 하다가 조난당했을 경우나 지병에 의해 갑자기 쓰러질 경우에 긴급하게 가족이나 지인이게 구조 요청을 해야 할 경우, 긴급전화 112나 119로 구조요청을 하면서 가족이나 지인에게도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택시나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두고 내리거나, 분실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습득한 사람은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알 수 없으므로 잠금을 풀 수가 없으므로 스마트폰 소유자의 가족이나 지인에게 연락할 수가 없다.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족이나 가장 가까운 지인의 연락처를 한자리수의 단축번호로 지정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소유자의 가족이나 지인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화면에 표시된 키패드(3)의 1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해당 번호가 단축번호로 지정된 연락처로 전화가 걸리도록 구현한다.
즉, 1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번호는 잠금화면에서 바로 단축번호로 저장된 연락처로 전화걸기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와 같은 불편사항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 때 스마트폰을 습득한 사람은 입력된 단축번호로만 전화걸기를 할 수 있으므로 다른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악용할 여지를 차단하게 된다.
나아가 운전하면서 스마트폰을 켜야 할 경우 잠금해제를 하지 않고도 단축키로 전화걸기가 가능하므로 운전 중 잠금화면을 해제하다가 초래할 수 있는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디지털기기
2:번호표시부 21:커서 22:자리식별마크
3:키패드
4: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비밀번호와 연산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외부에 노출되는 번호표시부(2)와 키패드(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디지털기기(1)에 있어서,
    상기 번호표시부(2)에는 '0'을 제외한 무작위로 생성되는 4자리수 이상의 숫자가 표시되는 제시번호가 나타나며,
    상기 제시번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도출하고 그 값을 키패드(3)를 통해 입력하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잠금해제 비밀번호는
    첫째, 특정한 고정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방법;
    둘째, 번호표시부(2)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를 설정하는 방법;
    셋째, 연산숫자와 연산자를 조합하여 구성된 연산식을 입력하여 그 연산값을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방법; 에서 둘째 또는 셋째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잠금해제 비밀번호가 만들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번호의 입력은 키패드(3)의 숫자 키를 짧게 누름으로써 이루어지고,
    번호표시부(2)에 나타나는 제시번호의 n번째 자릿수의 입력은 키패드(3)의 숫자버튼을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입력한 숫자에 자리식별마크(22)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연산식에 사용되는 연산자는 키패드(3)의 *,0,# 버튼을 이용하여 덧셈, 곱셈, 뺄셈이 입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비밀번호로 설정되는 연산값은,
    곱셈이 연산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두자리 값으로 지정되며, 곱셈이 연산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십자리수를 제외한 한자리수의 절대값이 연산값으로 입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해제 비밀번호를 설정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디지털기기(1)에 설정된 연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나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연산식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되는 초기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되, 초기화 비밀번호의 설정방법은 키패드(3)의 *버튼을 누르고 지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차례로 누른 다음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2번 반복함으로써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기기(1)는 스마트폰이며,
    잠금화면에 표시된 키패드(3)의 1에서 9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해당번호가 단축번호로 지정된 연락처로 전화가 걸리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KR1020160071333A 2016-02-17 2016-06-08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KR101793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696A KR20160034268A (ko) 2016-02-17 2016-02-17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KR1020160018696 2016-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925A true KR20170096925A (ko) 2017-08-25
KR101793257B1 KR101793257B1 (ko) 2017-11-02

Family

ID=556620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696A KR20160034268A (ko) 2016-02-17 2016-02-17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KR1020160071333A KR101793257B1 (ko) 2016-02-17 2016-06-08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696A KR20160034268A (ko) 2016-02-17 2016-02-17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342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71A (ko)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KR102347476B1 (ko) * 2021-03-31 2022-01-05 (주)엔오원 버튼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92B1 (ko) * 2016-05-18 2018-07-13 이상준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KR102055290B1 (ko) 2018-04-05 2019-1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9310A (ja) * 2013-06-06 2014-12-18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ロック状態解除方法及びロック状態解除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71A (ko)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KR102347476B1 (ko) * 2021-03-31 2022-01-05 (주)엔오원 버튼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257B1 (ko) 2017-11-02
KR20160034268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257B1 (ko)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CN108179928B (zh) 一种智能家居门锁
US10223857B2 (en) Keyless entry with visual rolling code display
CN103034798B (zh) 一种随机密码的生成方法及装置
CN106778222A (zh) 解锁方法及装置
CN1952855A (zh) 一种防止被偷窥的密码输入方法和系统
JP5380053B2 (ja) ロッカ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73640B1 (ko) 터치 단말기 및 터치 단말기의 패스워드 생성 방법
JP2009169967A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9025529B (zh) 一种防窥探智能门锁
WO2019210819A1 (zh) 带随机字符段标记的图符式密码认证方法和装置
JP2012119952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セキュリティ向上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88153A (ja) 本人確認方式
Kasat et al. Study and analysis of shoulder-surfing methods
JP4491355B2 (ja) 入退場制御システム、入退場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90102A (ko)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JP2010126915A (ja) 電子錠装置、ロッカー装置及び電子錠装置の制御方法
JP2012203438A (ja) テンキーシステム
JP2005258838A (ja) テンキー操作表示装置
KR20150063896A (ko)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잠금해제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JP2015212481A (ja) 施解錠システム
KR101152711B1 (ko) 사용자별 잠금 설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잠금 설정 방법
KR102173627B1 (ko)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JP2021085315A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
WO2020125667A1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