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492B1 -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492B1
KR101877492B1 KR1020160060656A KR20160060656A KR101877492B1 KR 101877492 B1 KR101877492 B1 KR 101877492B1 KR 1020160060656 A KR1020160060656 A KR 1020160060656A KR 20160060656 A KR20160060656 A KR 20160060656A KR 101877492 B1 KR101877492 B1 KR 10187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temporary
fixed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086A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2016006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4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는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 고정 비밀번호가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 임시 비밀번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산식과 상기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가 저장된 연산식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비밀번호는 상기 기호 또는 숫자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digit)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가 순차로 나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된다.

Description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PASSWORD INPUT APPARATUS AND PASSWORD INPUT METHOD}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를 저장 및 기억하고,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임시 비밀번호는 랜덤으로 변경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성이 요구되는 장치 등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밀번호는 악의의 제3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수단이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기능 외에 전자수첩, 인터넷 접속, 소액결제 등 개인의 사생활 및 금융정보를 담고 있어 비밀번호가 노출될 경우 심각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경제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보안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이는 비단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은행의 현금 지급기나 기타 금융 업무 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단말기, 가정이나 사무실 출입문의 도어락(door lock)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치 등은 공중의 왕래가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바, 제3자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노출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빈번하게 변경하는 수고를 들일 수도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자신이 변경한 비밀번호를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안상의 문제점, 번거로운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비밀번호 입력 장치 또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특히, 임시 비밀번호는 랜덤으로 자동 변경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는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 고정 비밀번호가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 임시 비밀번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산식과 상기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가 저장된 연산식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비밀번호는 상기 기호 또는 숫자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digit)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가 순차로 나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하나의 디지트로 구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는 경우, 입력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가 상기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는 특수 기호 및 연산 기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방법은,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digit)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가 순차로 나열되어 구성된 고정 비밀번호를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미리 설정 저장하는 단계;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진 연산식, 및 상기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연산식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 및 기호 및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에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미지수(x)로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된 임시 비밀번호를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임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하나의 디지트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일치하는 경우, 입력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가 상기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는 특수 기호 및 연산 기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고정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비상 시에는 미리 저장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하게 비밀번호의 유형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하는 경우, 임시 비밀번호는 디스플레이부에 로딩된 임의의 숫자를 미리 설정된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임의의 숫자는 매번 랜덤하게 변경되고, 연산식은 잠금자 본인만이 기억하는 것이므로, 랜덤하게 변경되는 숫자를 잠금자만이 알고 있는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로 설정되는 임시 비밀번호는 제3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면서 잠금자에게는 기억하기 용이한 형태로 설정된다.
또한, 임시 비밀번호는 임의의 숫자를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값과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되고, 고정 비밀번호의 비공개 비밀번호는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설령 제3자가 반복 시도를 통해 연산식을 파악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비공개 비밀번호까지 알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제3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사실상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바, 보다 확실하게 비밀번호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비밀번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비밀번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도시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비밀번호 입력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는 비밀번호 입력부(11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및 판단부(170)를 포함한다.
비밀번호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기호, 연산 기호를 포함하는 기호 또는 숫자가 소정의 방식으로 배열된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입력 패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식 입력 패드로서는 사무실이나 주택의 출입문에 부착된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 금융 기관이나 관공서에 설치된 단말기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 휴대폰의 키패드 등이 될 수 있고, 전자식 입력 패드로서는 비밀번호를 통한 인증이 요구되는 각종 웹사이트에서 디지털 입력 패드 등, 스마트폰의 디지털 입력 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부(110)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아라비아 숫자와 사칙 연산 기호, 또는 #, # 등의 특수 기호가 행과 열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어레이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고정 비밀번호가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 임시 비밀번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를 포함하고,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산식,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가 저장된 연산식 저장부(13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는 각각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와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의 옵션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고정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설정에 의해 세팅되고, 재설정 이전까지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에 저장되는데, 고정 비밀번호는 전술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서 보안을 위하여 복수의 디지트(digit)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비밀번호의 복수의 디지트는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비밀번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고정 비밀번호는 "1234567"의 7개 디지트로 이루어진다. 이 중, 4개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1234"는 공개 비밀번호이고, 3개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567"은 비공개 비밀번호이다.
한편, 임시 비밀번호는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의 사용시마다 랜덤하게 변경되어 일시적으로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된다. 임시 비밀번호는 잠금자가 직접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제3자가 일시적으로 입력 장치를 사용할 시에 잠금자의 감시 하에서 잠금자로부터 임시 비밀번호를 전달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잠금자는 공개된 장소에서 고정 비밀번호를 노출하는 것을 우려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 있고, 제3자가 일시적으로 잠금자 대신에 비밀번호를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 예컨대, 부동산 관계자나 택배 기사 등과 같이 제3자에게 비밀번호를 부득이하게 공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잠금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제3자에게 전달하여 일시적으로 사용케 할 수 있다. 임시 비밀번호는 전술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서, 보안을 위하여 복수의 디지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비밀번호의 복수의 디지트는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결과값과 고정 비밀번호의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에서 임시 비밀번호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변경되는 디지트는 "결과값"에 배정된 숫자(들)이다. 이 결과값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미리 설정 저장된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산출된 수치이다. 예컨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비밀번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임시 비밀번호는 "211234"의 6개 디지트로 이루어진다. 이 중, 2개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21"은 결과값이고, 4개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1234"는 고정 비밀번호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공개 비밀번호이다. 결과값이 산출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연산식과 연산식 로딩 부호가 저장된 연산식 저장부(135)를 포함한다. 연산식은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임시 비밀번호의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한 산술식으로서, 사용자의 인위적인 설정에 의해 세팅되고, 재설정 이전까지 연산식 저장부(135)에 저장된다. 결과값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가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산식 로딩 부호는 기호 또는 숫자 중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세팅된 명령어로서, 하나의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잠금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고자 할 때, 잠금자가 미리 설정하여 인지하고 있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에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임의의 숫자를 표시한다. 이때, 숫자만 표시하도록 제한되며, 특수 기호나 연산 기호는 표시될 수 없다. 이후, 잠금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숫자를 미리 설정하여 인지하고 있는 연산식에 대입함으로써, 그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연산식 로딩 부호가 "/"이고, 연산식이 "x*3+6"이라고 가정하면, 잠금자가 연산식 로딩 부호 "/"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임의의 숫자 "5"가 표시되고, 이 임의의 숫자 5를 상기 연산식에 대입하면, 그 결과값은 5*3+6=21이 된다. 이 경우에 임시 비밀번호는 결과값 "21"과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인 "1234"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211234"가 된다.
또한, 제3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도 본원발명의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제3자가 잠금자로부터 전달받거나 사전에 인지하고 있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에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임의의 숫자를 표시한다. 이후, 제3자는 잠금자에게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숫자를 고지하고, 잠금자는 미리 설정하여 인지하고 있는 연산식에 전술한 숫자를 대입하여 결과값을 산출하여 이 결과값을 제3자에게 고지할 수 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제3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 "5"를 잠금자에게 고지하고, 잠금자는 "5"를 연산식 "x*3+6"에 대입한 결과값 "21"을 산출하고, 결과값 "21"과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인 "1234"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211234"를 제3자에게 고지한다. 이와 같이 제3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임시 비밀번호의 복수의 디지트 중 제3자에게 노출되는 디지트는 공개 비밀번호인 "1234"의 4개 디지트 뿐이다. 다시 말해, 임시 비밀번호 중 결과값인 "21"은 연산식과 미지수(x)에 의해 결정되는데, 미지수(x)는 매번 랜덤하게 표시되는 값이고, 연산식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3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임의의 숫자로부터 결과값을 스스로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 잠금자가 제3자에게 고정 비밀번호 중 공개 비밀번호를 포함한 임시 비밀번호를 노출한다고 하더라도, 제3자는 임시 비밀번호 중 결과값과 공개 비밀번호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공개 비밀번호가 제3자에게 명백하게 노출된다고 볼 수도 없다. 또한, 고정 비밀번호는 공개 비밀번호 이외에 비공개 비밀번호를 더 포함하여 설정되므로, 제3자가 공개 비밀번호로부터 고정 비밀번호를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비밀번호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임의의 숫자를 표시한다. 임의의 숫자는 1 내지 9 중 하나로 구성된 1의 자리 숫자가 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수가 결합한 10의 자리 숫자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수치는 미리 설정 저장된 연산식의 미지수(x) 자리에 대입되어 결과값으로 산출되고, 이 결과값은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와 결합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예시를 다시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임의의 숫자 "51"이 표시되면, 그 결과값은 "51*3+6=159"가 되고, 공개 비밀번호인 "1234"와 결합하여, 임시 비밀번호는 "1591234"가 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0)는 비밀번호 입력부(110)와 별개의 장치로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고, 비밀번호 입력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부(110)의 숫자나 기호 등이 기계식 또는 전자식 버튼으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150)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숫자 버튼이 발광하는 형태로 되어 임의의 숫자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170)는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또는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가 사용 초기에 연산식 로딩 부호 "/"를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에 입력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임시 비밀번호가 생성되어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판단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임시 비밀번호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사용 초기에 연산식 로딩 부호 "/"를 입력하지 않고, 곧바로 고정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 판단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고정 비밀번호가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미리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표시되는 임의의 숫자를 미리 설정된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를 이용한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 비밀번호를 선택하는지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부(110)에 최초에 입력하는 한 디지트의 명령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입력한 명령어가 연산식 로딩 부호 "/"라면, 사용자는 임시 비밀번호 옵션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외의 숫자나 기호를 최초로 입력한 경우에는 고정 비밀번호 옵션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역시 본원의 판단부(170)에서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판단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i)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임시 비밀번호가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i)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가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점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와 연산식 로딩 부호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밀번호 입력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도시화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 비밀번호를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에 미리 설정 저장한다(S101). 고정 비밀번호는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가 순차로 나열되어 구성된다. 고정 비밀번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 연산식과 연산식 로딩 부호를 연산식 저장부(135)에 미리 저장한다(S102). 연산식은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임시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결과값"을 생성하기 위한 수식이다. 또, 연산식 로딩 부호는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하나의 디지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비밀번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S103). 이때, 비밀번호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수 기호, 연산 기호를 포함하는 기호 또는 숫자가 소정의 방식으로 배열된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입력 패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의 옵션을 능동적으로 택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부(110)에 최초로 입력하는 명령어에 따라 구별되는데, 사용자가 연산식 로딩 부호를 최초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임시 비밀번호의 사용 방식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후속 단계를 실행하고, 사용자가 연산식 로딩 부호를 제외한 다른 기호 또는 숫자를 최초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고정 비밀번호의 사용 방식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후속 단계를 실행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이 고정 비밀번호인지 임시 비밀번호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도 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에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i)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미지수(x)로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S105). 디스플레이부(150)는 비밀번호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임의의 숫자를 표시하는데, 임의의 숫자는 1 내지 9 중 하나로 구성된 1의 자리 숫자가 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수가 결합한 10의 자리 숫자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수치는 미리 설정 저장된 연산식의 미지수(x) 자리에 대입되어 결과값으로 산출되고, 이 결과값은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와 결합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ii) 상기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된 임시 비밀번호를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한다(S106). 임시 비밀번호는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의 사용시마다 랜덤하게 변경되어 일시적으로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된다. 임시 비밀번호는 전술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서 보안을 위하여 복수의 디지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비밀번호의 복수의 디지트는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결과값과 고정 비밀번호의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에서 임시 비밀번호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변경되는 디지트는 "결과값"에 배정된 숫자이다. 이 결과값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미리 설정 저장된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산출된 수치이다. 앞서 설명한 예시를 다시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임의의 숫자 "51"이 표시되면, 그 결과값은 "51*3+6=159"가 되고, 공개 비밀번호인 "1234"와 결합하여, 임시 비밀번호는 "1591234"가 된다. 임시 비밀번호 "1591234"는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iii) 사용자로부터 임시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S107),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133)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한편, 도 7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로부터 고정 비밀번호 또는 연산식 로딩 부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단계에서, 고정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받은 고정 비밀번호가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131)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장치(100)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잠금자는 평상시에는 고정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비상 시에는 미리 저장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하게 비밀번호의 유형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자에게 부득이하게 비밀번호를 고지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하여 사용케 할 수 있는데, 임시 비밀번호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로딩된 임의의 숫자를 미리 설정된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임의의 숫자는 매번 랜덤하게 변경되며, 연산식은 잠금자 본인만이 기억하는 것이므로, 랜덤하게 변경되는 숫자를 잠금자만이 알고 있는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로 설정되는 임시 비밀번호는 제3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면서, 잠금자에게는 기억하기 용이한 형태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임시 비밀번호는 임의의 숫자를 연산식에 대입한 결과값과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생성되는데, 임시 비밀번호 중 결과값은 연산식과 미지수(x)에 의해 결정되는데, 미지수(x)는 매번 랜덤하게 표시되는 값이고, 연산식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3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임의의 숫자로부터 결과값을 스스로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 잠금자가 제3자에게 고정 비밀번호 중 공개 비밀번호를 포함한 임시 비밀번호를 노출한다고 하더라도, 제3자는 임시 비밀번호 중 결과값과 공개 비밀번호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공개 비밀번호가 제3자에게 명백하게 노출된다고 볼 수도 없다. 또한, 고정 비밀번호는 공개 비밀번호 이외에 비공개 비밀번호를 더 포함하여 설정되므로, 제3자가 공개 비밀번호로부터 고정 비밀번호를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제3자가 임시 비밀번호를 사실상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바, 보다 확실하게 비밀번호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비밀번호 입력 장치 110: 비밀번호 입력부
130: 저장부 131: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
133: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 135: 연산식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부 170: 판단부

Claims (10)

  1.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
    고정 비밀번호가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 임시 비밀번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산식과 상기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가 저장된 연산식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산식 로딩 부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고정 비밀번호인지 임시 비밀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비밀번호는 상기 기호 또는 숫자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digit)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로 구성되고,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로 구성되며,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하나의 디지트로 구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고정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상기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임시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임의의 숫자가 상기 미지수(x)로서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후속하여 입력받는 번호가 상기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입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서로 상이한 것인, 비밀번호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특수 기호 및 연산 기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비밀번호 입력 장치.
  6. 고정 비밀번호와 임시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방법에 있어서,
    기호 또는 숫자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디지트(digit)로 이루어진 공개 비밀번호와 하나 이상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비공개 비밀번호로 구성된 고정 비밀번호를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미리 설정 저장하는 단계;
    미지수(x), 숫자 및 연산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진 연산식, 및 상기 기호 또는 숫자 중, 상기 연산식을 로딩하기 위한 연산식 로딩 부호를 연산식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 및
    기호 및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고정 비밀번호인지 임시 비밀번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고정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상기 고정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고정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임시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미지수(x)로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를 상기 연산식의 미지수(x)에 대입하여 얻은 결과값과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공개 비밀번호로 구성된 임시 비밀번호를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번호가 상기 임시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임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하나의 디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입력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비밀번호의 첫 번째 디지트와 상기 연산식 로딩 부호는 서로 상이한 것인, 비밀번호 입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특수 기호 및 연산 기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비밀번호 입력 방법.
KR1020160060656A 2016-05-18 2016-05-18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KR10187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56A KR101877492B1 (ko) 2016-05-18 2016-05-18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56A KR101877492B1 (ko) 2016-05-18 2016-05-18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86A KR20170130086A (ko) 2017-11-28
KR101877492B1 true KR101877492B1 (ko) 2018-07-13

Family

ID=6081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656A KR101877492B1 (ko) 2016-05-18 2016-05-18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8298B (zh) * 2019-06-26 2022-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门锁的快递收发系统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72B1 (ko) * 2005-02-28 2005-12-14 주식회사 소리나무미디어 비밀정보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해석 방법
KR20160034268A (ko) * 2016-02-17 2016-03-29 이길수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72B1 (ko) * 2005-02-28 2005-12-14 주식회사 소리나무미디어 비밀정보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해석 방법
KR20160034268A (ko) * 2016-02-17 2016-03-29 이길수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86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07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assword input program
CN106534570B (zh) 一种隐私保护方法及装置
KR100557132B1 (ko)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3902862B (zh) 一种移动设备管理方法、装置及一种移动设备
US20060248344A1 (en) Method for verifying authorized access
US200702945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a password
KR20100060192A (ko)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EP1845474A1 (en) A method for verifying authorized access
US20080026723A1 (en) Ev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28090B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2007124470A (ja) 携帯電話機、その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GB2086187A (en) Toll barring
KR101877492B1 (ko)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입력 방법
KR101330113B1 (ko) 자릿값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09237698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CN107315946A (zh) 锁屏密码生成方法及装置
WO2011124267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8518779A (ja) 少なくとも1つのパスワードを生成する方法とデバイス
JP2006011940A (ja) 個人認証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認証用データ入力処理プログラム、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2005005097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 해킹 검출 방법
JP4491355B2 (ja) 入退場制御システム、入退場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52711B1 (ko) 사용자별 잠금 설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잠금 설정 방법
KR102650238B1 (ko) 암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암호 입력방법
KR20170139902A (ko)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무인 보관함 인증시스템
JP5078492B2 (ja) 不正入力防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