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102A -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102A
KR20050090102A KR1020050076576A KR20050076576A KR20050090102A KR 20050090102 A KR20050090102 A KR 20050090102A KR 1020050076576 A KR1020050076576 A KR 1020050076576A KR 20050076576 A KR20050076576 A KR 20050076576A KR 20050090102 A KR20050090102 A KR 2005009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numbers
password
inpu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헌
Original Assignee
송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헌 filed Critical 송정헌
Priority to KR102005007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102A/ko
Publication of KR2005009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비밀번호 입력 단말기의 비밀번호 입력단계 구성 및 구동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FND 소자등을 이용한 숫자 및 문자의 랜덤(random) 생성 후 비밀번호 입력대기 단계, 입력한 번호를 암기 후 번호를 바로 누르거나 구성된 번호숨기기 기능버튼을 눌러 랜덤 생성된 숫자 또는 문자를 화면에서 숨기는 단계, 입력할 숫자 또는 문자가 있던 숨겨진 버튼을 누르는 단계, 정해진 비밀번호가 모두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입력이 완료되면 지정된 화면으로 전환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랜덤 배열된 숫자 또는 문자의 위치를 암기하고 숨기기 버튼을 눌러 숫자 또는 문자를 숨기게 된 상태로 버튼을 누르기 때문에 옆 사람에게 비밀번호 노출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Number fade Password input System}
본 발명은 전자식단말기의 비밀번호 입력단계 구성 및 구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금융단말기 또는 비밀번호 도어록과 같은 전자식 비밀번호 입력기기의 터치스크린 및 FND소자 등을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 구성 및 구동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식 비밀번호 입력기기는 무인금융단말기, 비밀번호 도어록, 금고, 출입보안 인증시스템, 외 보안의 목적이 있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어 있으며, 생재 인식기는 비용측면을 떠나 본인만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자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비밀번호는 복제가 불가능하고 대리인이 사용가능하며, 공용성이 뛰어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독점적 활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방법으로는 일단 배열방식이 가로3개, 세로4개의 12개의 버튼으로 일반 전화기에 사용되는 숫자버튼배열 형태을 채택하고 있으며, 약4자리에서 12자리의 고유 비밀번호를 눌러 미리 등록해놓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대조하는 방식이 보편적이며, 버튼을 누르는 순간 옆 사람에게 노출되는 가장 커다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숫자배열이 랜덤으로 바뀌어 인식률을 떨어트리는 개선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은 번호 고정식의 경우 옆 사람이 누르는 위치만을 보고도 비밀번호를 암기할 수 있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며, 랜덤으로 번호가 바뀌는 개선방식은 눌리는 순간에 옆 사람이 번호를 암기할 수 있어서 그 보안률이 사용상 번호를 찾아가며 눌러야 한다는 불편함에 비해 높지 않기 때문에 대중화 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밀번호를 눌러 입력하는 순간 옆 사람에게 번호가 암기되어 노출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남녀노소 누구라도 시스템 사용상 불편함이 없도록 손쉬운 구성으로 하며,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방식으로 하여 기를 보급 및 신규생산되는 하드웨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갖긴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또는 FND소자 버튼으로 구비된 전자식단말기에서,
여러 개의 번호입력 버튼(11)이 구비되고, 이 번호들을 숨기거나 표시함을 제어할 수 있는 숨기기 버튼(12)이 구비되고, 비밀번호 입력도중 취소를 하기 위한 취소버튼(13)이 구비되며, 정해진 비밀번호 개수가 없을 때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확인버튼(14)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작동단계는 다음과 같다.
비밀번호 입력상태로 전환되면 먼저 버튼에 배열될 번호들을 랜덤(21)으로 무작위 배열하여 번호를 출력(22)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번호들(11) 중 입력할 번호 한자리를 찾은 후 번호를 숨길지 유지할지를 결정한 후 유지하고 누르면 번호는 입력된 후 버튼 값이 바뀌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번호(11)를 숨길 필요가 없다고 단말기에 알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모든 번호(11)를 숨기지 않은 상태로도 입력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 단계에서 숨기기 버튼(12)을 눌러 번호(15)를 숨긴 후 암기한 버튼위치(15)를 눌러 입력 시킬 수 있다. 숨기기 버튼(12)을 누른 후 암기한 버튼(15)을 눌러야 할 때 번호의 위치를 잊어 버렸다면 도2와 같이 숨기기 버튼(12)을 눌러 번호를 버튼에 출력(22)하여 확인 후 다시 숨기기 버튼(12)을 눌러 번호(15)를 숨기고 누를 수 있다. 숨기기 버튼(12)으로 번호를 숨긴 후 번호가 입력(23)되면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번호의 보안을 유지해야 할 상황이라는 의사로 받아들이고, 번호가 입력(23)된 직후 아직 남은 비밀번호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번호들을 랜덤(21)으로 재배열 한다. 재배열된 번호는 다시 처음의 입력대기 상태로 돌아가고, 이를 반복 하여 번호를 입력한다. 만약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 취소를 하기 위하여 취소버튼(13)을 누르거나 번호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통보로 확인버튼(14)을 누르면 비밀번호 입력상태를 종료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의 개수가 정해져 있어 비밀번호 개수 만큼 번호가 눌리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입력된 번호들을 비밀번호 대조 인증절차(25)로 보낸 후 지정된 화면으로 넘어간다.
상기 랜덤(21)의 버튼 배열시 배열된 모든 버튼(11)의 번호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도6과 같이 번호버튼배열을 2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다. 2개의 군이란 숫자의 경우 1, 2, 3, 4, 5 는 상순A군(16)으로, 6, 7, 8, 9, 0 은 하순B군(17)으로 정의하고 지정된 A군 구역(16)에는 1, 2, 3, 4, 5 만이 랜덤배열 되고, B군 구역(17)에는 6, 7, 8, 9, 0 만이 랜덤 배열되는 형태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른상 비밀번호의 유일한 노출순간인 전자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는 순간에 랜덤(21) 배열된 번호버튼(11)의 위치를 암기한 후 숨기기 기능버튼(12)을 이용하여 번호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누르는 버튼(15)이 어떤 번호인지 옆 사람이 암기할 수 없도록 하여 비밀번호 보안률을 높임과 동시에 암기능력이 부족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은 도2와 같이 번호(11)를 숨기지 않고 입력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의 불편함이 없으며, 기존 보급되어 있는 단말기나 신규로 생산되는 단말기에 소프트웨어적인 추가구성만으로 본 발명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인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기본 플로우차트
도2는 본 발명인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추가구성(번호출력고정) 플로우차트
도3은 본 발명인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추가구성(번호출력랜덤) 플로우차트
도4는 본 발명의 주요 버튼 구성으로, 랜덤배열 후 버튼입력 대기상태
도5는 본 발명의 주요 버튼 구성으로, 숨기기 버튼을 눌러 번호를 숨긴 후의 버튼입력 대기상태
도6은 본 발명의 랜덤 번호번튼 배열을 상순A군과 하순B군으로 분리하여 구비한 버튼배열 형태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설명>
11 : 비밀번호 입력버튼, 12 : 번호 숨기기/보이기 기능버튼, 13 : 취소버튼, 14 : 확인버튼
15 : 비밀번호가 숨겨진 입력버튼, 16 : 랜덤번호 A군, 17 : 랜덤번호 B군
21 : 번호랜덤배열단계, 22 : 번호 표시(출력) 단계, 23 : 버튼 입력 단계, 24 : 번호 숨기기 단계,
25 : 번호입력완료 후 비밀번호인증절차로 저장소번호 보내기 단계,
26 : 총 입력 비밀번호 개수 확인 단계

Claims (5)

  1. 숫자 또는 문자로 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거치는 전자식 단말기에 있어서,
    도1과 같이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숫자 또는 문자가 랜덤(21)으로 버튼에 배열(22)되는 단계, 배열된 버튼에 표시된 숫자 또는 문자를 숨기기 기능버튼(12)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FND소자버튼 표시부에서 숨기는 단계(24), 사용자가 암기한 번호가 표시되었던 버튼(15)을 눌러 입력시키는 단계(23), 입력된 버튼 값의 번호를 저장소에 입력하고 숫자 또는 문자의 배열을 다시 랜덤(21)으로 버튼에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22), 입력된 번호개수가 지정된 비밀번호 개수와 일치(26)하거나 사용자가 확인버튼(14)을 눌렀을 때 저장소에 저당된 번호들을 비밀번호대조 인증절차에 넘기고(25) 지정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2. 상기 1항에 있어서, 도2와 같이 번호가 랜덤(21) 배열된 후 숨기기 버튼(12)을 누르지 않고 버튼에 표시된 해당번호(11)를 눌러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대기상태의 단계, 번호를 숨기지 않고 버튼 입력시 번호의 배열이 바뀌지 않고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가 추가 구성됨을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3. 상기 1항에 있어서, 도3과 같이 번호가 랜덤(21) 배열된 후 숨기기 버튼(12)을 누르지 않고 버튼에 표시된 해당번호(11)를 눌러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대기상태의 단계, 번호를 숨기지 않고 버튼 입력시 번호의 배열이 다시 랜덤(21)배열 되고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가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4. 상기 1항과 2항 그리고 3항에 있어서, 도2 또는 도3과 같이 번호 숨기기 버튼(12)을 누를 때마다 번호가 숨겨지고, 표시됨을 선택 제어할 수 있는 단계가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5. 상기 1항에 있어서, 랜덤(21) 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번호 버튼배열을 상순의 A군(16)과 하순의 B군(17)으로 분리 후 랜덤으로 버튼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KR1020050076576A 2005-08-22 2005-08-22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KR20050090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576A KR20050090102A (ko) 2005-08-22 2005-08-22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576A KR20050090102A (ko) 2005-08-22 2005-08-22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102A true KR20050090102A (ko) 2005-09-12

Family

ID=372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576A KR20050090102A (ko) 2005-08-22 2005-08-22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1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4898A2 (ko) * 2011-03-14 2012-09-20 Ryu Jongbin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WO2021040132A1 (ko) * 2019-08-29 2021-03-04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026987A (ko) * 2019-08-29 2021-03-1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4898A2 (ko) * 2011-03-14 2012-09-20 Ryu Jongbin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WO2012124898A3 (ko) * 2011-03-14 2012-11-08 Ryu Jongbin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US8776200B2 (en) 2011-03-14 2014-07-08 JongBin Ryu Method for inputting a password into an electronic terminal
WO2021040132A1 (ko) * 2019-08-29 2021-03-04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026987A (ko) * 2019-08-29 2021-03-1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2438A (ko) * 2019-08-29 2021-12-15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368B1 (ko) 비밀번호 키의 이동값을 이용하는 비밀번호 안전 입력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안전 입력 방법
KR20100060192A (ko)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CN1952855A (zh) 一种防止被偷窥的密码输入方法和系统
CN104598783A (zh) 一种智能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JP4734965B2 (ja) 暗証番号入力装置
WO2013182097A1 (zh) 屏幕显示界面的解锁方法及装置
WO2011136464A1 (ko) 비밀번호 키의 이동값을 이용하는 비밀번호 안전 입력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안전 입력 방법
KR101793257B1 (ko)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CN106407761B (zh) 一种解锁方法及解锁装置
KR20050090102A (ko)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CN108512858A (zh) 实现静态密码的动态输入系统及方法
JP2004288153A (ja) 本人確認方式
JP20141098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認証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認証プログラム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102401127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CN100447662C (zh) 投影显示装置以及提高投影显示装置安全性的方法
Kasat et al. Study and analysis of shoulder-surfing methods
WO2015122221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受付装置及び認証方法
CN101833797A (zh) 一种电子密码锁和用户之间的验证方法
CN105469002A (zh) 一种加锁设备和解锁设备
KR102390173B1 (ko) 패스워드 입력방법
JP2005078251A (ja) 文字入力方法
KR101152711B1 (ko) 사용자별 잠금 설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잠금 설정 방법
JP2568754Y2 (ja) 暗証番号装置
WO2020125667A1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