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421A -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421A
KR20170094421A KR1020177019424A KR20177019424A KR20170094421A KR 20170094421 A KR20170094421 A KR 20170094421A KR 1020177019424 A KR1020177019424 A KR 1020177019424A KR 20177019424 A KR20177019424 A KR 20177019424A KR 20170094421 A KR20170094421 A KR 2017009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al
layer
attachment part
carrier film
ornamenta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208B1 (ko
Inventor
림 베냐히아
니콜라스 포우르니에르
우베 바이센베르거
마티아스 아쿠아론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318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9442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7009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29Hot stamp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중합체 부품(1)을 제공하고, b) 스탬프(4)를 사용하는 캐리어 필름(5)의 고온 스탬핑을 통해 장식성 요소(2)를 부품(1)의 제1 표면(I)에 형성하고, c) 적어도 제1 표면(I)에 보호 코팅(3)을 제공하는 것인,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VEHICLE PART}
본 발명은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의 제조 방법,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에 관한 요건이 점점 더 엄격해짐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그의 연비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치열하다. 플라스틱 부문에서의 끊임없는 혁신으로 인해, 금속 차체의 큰 부품을 중합체성 물질로 만들어진 상응하게 더 가벼운 요소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일부 또는 심지어 전체 창문 영역이 중합체성 물질로 만들어진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이것은, 훨씬 더 가벼운 중량과 함께, 강으로 만들어진 차체 창문을 갖는 것에 필적할만한 경도, 안정성 및 인성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중량 감소 때문에, 차량의 무게중심이 더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이는 취급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중합체성 물질로 만들어진 성형된 부품은 사실상 모든 요망되는 형상 및 기하학적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많은 물질 부품은 다양한 요건 및 기능에 부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파라미터는 안정성, 파괴 거동, 내긁힘성, 충격 강도, 또는 노치 충격 강도이다. 개별 성분의 중량 및 강도와 같은 기술적 고려사항 외에도, 형상, 기하학적 구조, 및 외관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기계적 특성 외에도, 디자인 및 미감 분야에서의 특징이 또한 매우 중요하다.
시각적 효과를 내기 위한 한 가지 확립된 방법은 필름 인서트 성형 (FIM)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적당한 필름을 사출 금형에 넣고, 적합한 플라스틱을 후방 사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체성 물질의 표면 특성 및 기하학적 구조가 선택적으로 및 다양하게 영향받고 개질될 수 있다. 필름 인서트 성형을 사용하여 중합체성 부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WO2013/050208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온도 안정성 필름이 필름 인서트 성형 방법의 사용을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게다가, 필름 상에 있는 임프린트는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액체 중합체의 후방 사출을 견딜 정도로 충분히 내온도성이어야 한다. 필름은 그것이 이후에 완성된 작업편 상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사출 금형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것은 또한 외부의 기계적 및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되지 않는다. 결국에, 이는 필름 및 필름 상에 함유된 임프린트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필름 인서트 성형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복잡한 방법이다. 더욱이,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 장식성 요소는, 필름이 착색된 중합체성 층 뒤에 배치될 때 종종 간신히 눈에 보일 뿐이며, 이러한 중합체성 층은 종종 예를 들어 차량 창문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단지 낮은 투과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식성 요소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고 판유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용이하게 눈에 보이는 디자인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게다가, 방법은 산업적으로 쉽게 응용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 및 본 발명에 따른 그의 용도는 다른 독립항으로부터 드러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기 방법 단계인
(a) 중합체성 부착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b) 스탬프를 사용하는 고온 스탬핑을 통해 장식성 요소를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부착 부품의 제1 표면 상에 전달하는 단계;
(c) 적어도 제1 표면에 보호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부착 부품 (또는 플라스틱 부착 부품)은 외부 부착 부품, 즉 차량 내부가 아닌 차량 외부를 위한 부착 부품이다. 부착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부착 부품이다. 부착 부품은, 특히, 판유리 (특히 차량 창문 판유리, 예를 들어, 지붕 패널, 뒷 창문 판유리, 옆 판유리), 필러 커버, 조명기구 커버, 라디에이터 그릴 패널, 또는 스포일러이다. 판유리는 차량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고온 스탬핑 방법을 차량의 외부 상의 부착 부품 상에 사용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외부 상의 부착 부품은 내부 부품보다 훨씬 더 강한 응력에 노출된다. 응력은 특히 기계적 응력, 예를 들어, 돌 충격, 마모, 및 침전이다. 본 발명 이전에는, 외부적으로 형성된 장식성 요소는 오랜 기간에 걸쳐 응력을 견딜 정도로 충분히 안정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부착 부품 및 장식성 요소에 보호 코팅 (또는 하드코트)에 의해 외부 상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안정성 및 강도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은, 다른 무엇보다도, 플라스틱 차량 창문의 눈에 보이는 표면의 시각적 향상 및 개량, 정보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의 도입, 다수의 시각적 효과의 표시, 및 다수의 이용 가능한 고온 스탬핑 호일에 의한 부착 부품의 색상 디자인의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
부착 부품은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심지어 판상이도록 디자인되고 두 개의 주요 표면 및 주변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주요 표면 중 하나는, 장식성 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부착 부품의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면이다. 이러한 제1 주요 표면은, 특히 부착 부품의 외부 표면으로서 제공되는 표면이다. 용어 "외부 표면"은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의 외부 환경을 향하는 표면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식성 요소는 고온 스탬핑에 의해 부착 부품 상에 형성된다. 고온 스탬핑은 통상적으로 수직 스탬핑이라고도 지칭된다. 장식성 요소를 갖는 캐리어 필름은 장식성 요소가 부착 부품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장식성 요소가 제1 표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스탬프가 장식성 요소 반대편의 캐리어 필름 표면 상에 작용한다. 이어서, 캐리어 필름은 박리되고, 이때 장식성 요소는 제1 표면 상에 남는다. 장식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부착 부품의 제1 표면의 국부적 부분영역만을 점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은 롤 상의 평필름의 형태를 갖고 다수의 장식성 요소를 보유하고, 이때 장식성 요소는 고온 스탬핑 동안에 각각의 경우에 스탬프 하에 (달리 말해서, 스탬프와 부착 부품 사이에) 배치된다.
롤에 의해, 평필름은, 그 다음의 장식성 요소가 스탬프 하에 전진하여 그 다음의 부착 부품 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더 나아갈 수 있다. 그리하여, 경제적인 산업적 대량 제조가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전체 캐리어 필름에는 표면 상에 연속적인 단일층 또는 다층 장식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개별 장식성 요소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개별 장식성 요소는 고온 스탬핑 동안에만 접착 작용에 의해 나머지 코팅으로부터 부착 부품 상에 박리되어 개별화된다. 장식성 요소의 형상은 스탬프의 접촉 표면의 디자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장식성 요소는 또한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전체 코팅 내의 절취선 또는 절개선에 의해 이미 캐리어 필름 상에서 개별화될 수 있다.
스탬프는, 캐리어 필름 및 장식성 요소로 전달되는, 부착 부품에의 장식성 요소의 접착을 촉진하는 승온을 갖는다. 스탬프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00℃의 온도를 갖는다. 그리하여, 특히 우수한 결과가 수득된다. 정확한 온도는 또한 사용된 필름에 따라 달라지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제조사 데이터로부터 확인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예비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스탬프의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함유하거나 실리콘으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접촉 표면은 또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다른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수 있거나 그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부품의 손상이 회피될 수 있게 하는 접촉 표면의 유연한 디자인이 이점이다. 그러나, 접촉 표면은 또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탬프의 접촉 표면은 본래 부착 부품의 제1 표면보다 훨씬 더 작고 제1 표면의 국부적 부분영역 상에서만 작용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스탬프는 제1 표면 상에 15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35 ㎏/㎠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장식성 요소의 특히 우수한 접착이 획득되지만, 부착 부품에는 흠이 생기지 않는다.
장식성 요소의 형성을 위한, 부착 부품의 제1 표면 상에서의 스탬프의 작용 지속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s,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s이다. 작용 지속시간은, 예를 들어, 1 s 내지 10 s, 바람직하게는 2 s 내지 4 s일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우수한 접착 및 다른 한편으로는 짧은 사이클 시간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장식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필름과 유사하게 구현된다. 장식성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으로서 구현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장식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성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층들은 캐리어 필름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명시된 순서로 캐리어 필름 상에 배치된다. 장식성 요소는 접착제 층을 통해 부착 부품과 접촉한다. 장식성 요소가 부착 부품 상에 전달될 때, 순서는, 제1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제 층 - 장식성 층이다.
접착제 층은 장식성 요소와 부착 부품 사이의 접착을 달성한다. 그리하여, 장식성 요소와 부착 부품 사이의 접착은 장식성 요소와 캐리어 필름 사이의 접착보다 더 강하고, 이로 인해 장식성 요소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접착제 층에 의해, 장식성 요소는 부착 부품의 표면 상에 영속적으로 안정하게 고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접착제 층은 아크릴계 접착제를 함유한다. 이는 공유결합의 형성 및 반데르발스력을 통해 특히 우수한 접착을 달성한다. 이러한 효과는 부착 부품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할 때 특히 두드러진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접착제 층은 접착을 촉진하는 다른 적합한 물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수지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하여, 시각적 인상을 훼손하는 장식성 요소의 두께의 지나친 증가 없이도, 우수한 접착이 획득된다. 접착제 층은, 접착제 층에 의해 부착 부품의 관찰이 방해받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장식성 층은 장식성 요소의 실제 시각적 효과를 보유한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유색 층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장식성 층은 중합체성 층이고, 즉 중합체를 함유한다. 다수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장식성 층을 위한 기본 물질로서 적합하다. 장식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다. 장식성 요소의 시각적 인상을 형성하기 위해, 장식성 층에는, 예를 들어, 인쇄물이 제공되거나 매입된 착색제가 포함된다. 착색제는 본래 무기 또는 유기 및 유색 또는 무색일 수 있는 안료 또는 염료이다. 예를 들어, 온도-안정성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예컨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아조 염료, 또는 폴리시클릭 화합물) 또는 무기 안료 (예컨대 탄소, 이산화티타늄, 카본블랙, 진사, 비스무트 (바나듐산비스무트), 스피넬 안료, 납, 수은, 지르코늄, 철, 카드뮴, 구리, 코발트, 니켈, 및 크로뮴의 안료; 규산알루미늄 (울트라마린))가 잉크 또는 매입물로서 적합하다. 장식성 층은 단색 또는 다색일 수 있고/거나, 가변 색조 (예를 들어, 다양한 회색 색조)을 포함할 수 있고/거나, 전체 또는 부분 표면 효과를 갖도록 디자인될 수 있고/거나 금속성 효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장식성 층은 장식성 요소의 최상부 층이고 보호 코팅과 직접 접촉한다. 보호 코팅이 액체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장식성 층은 부풀 수 있고 보호 코팅의 물질 내로 부분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는 장식성 층이 강화되고 파단에 덜 취약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층 장식성 요소는 접착제 층 및 장식성 층 외에도 보호 층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장식성 요소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명시된 순서로 캐리어 필름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성 층,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 층을 포함한다. 장식성 요소가 부착 부품 상에 전달될 때, 순서는, 제1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제 층 - 장식성 층 - 보호 층이다.
최종 상태에서 부착 부품 상의 장식성 층 위에 위치한 보호 층은 장식성 층을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 층은 바람직하게는 보호 코팅이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층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또는 폴리우레탄 (PU)을 함유한다. 보호 층은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5.0 ㎛의 두께를 갖고, 상기 두께의 경우에 특히 우수한 결과가 획득된다.
보호 층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보호 코팅의 물질과 서로 어울리도록 조정된다. 보호 코팅이 다층인 경우에, 이러한 조정은 보호 층과 직접 접촉하는 층의 물질, 즉 프라이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장식성 요소의 보호 층 및 보호 코팅 (또는 보호 코팅의 최하부 층, 달리 말해서, 부착 부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보호 코팅의 층)은 아크릴계 기재로서 구현되고, 즉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이는 공유결합의 형성 및 반데르발스력뿐만 아니라 중합체 쇄의 상호확산으로 인한 보호 코팅의 접착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장식성 요소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 ㎛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10 ㎛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시각적 효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장식성 요소는 방해가 되는 융기부로서 주의를 끌지는 않을 정도로 충분히 얇다.
장식성 요소의 크기 및 디자인은 개별 경우에서의 요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은 전형적으로 10 ㎛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캐리어 필름은 또한 더 두꺼울 수 있거나 (그러나 이로 인해 더 비싸질 수 있음), 심지어 더 얇을 수 있다 (적절한 안정성이 보장되는 한).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SAN), 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그리하여 적절한 안정성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분리 층이 캐리어 필름과 장식성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 층은 고온 스탬핑 후에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장식성 요소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다. 분리 층은, 예를 들어, 0.1 ㎛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다.
부착 부품 상에서의 반복된 고온 스탬핑을 통해 최종 장식성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부착 부품의 동일한 위치에서, 여러 개의 동일한 형상의 장식성 요소를 그의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부착 부품의 표면 상에 전달하여 합동이 되도록 서로 덮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식성 요소의 상당히 개선된 불투명성 및 광휘 및 개선된 색 인상이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잦은 고온 스탬핑은 장식성 요소의 흐릿한 윤곽을 초래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고온 스탬핑은 두 번 또는 세 번, 특히 두 번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식성 요소의 형성 후에 부착 부품의 적어도 제1 표면에 보호 코팅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부품의 전체 표면에 보호 코팅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보호 코팅은 플로우 코팅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하여, 균질한 코팅이 짧은 사이클 시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다른 코팅 방법, 예를 들어, 침지 또는 분무 코팅 또는 금형내 코팅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코팅은 종종 내긁힘성 코팅 또는 영어 용어 "하드코트"라고도 지칭된다. 특히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에 기초한, 열 경화 또는 UV 경화 코팅이 보호 코팅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호 코팅은 하나의 또는 복수의 따로따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5 ㎛의 총 두께를 갖는다. 이는 부착 부품에 우수한 내긁힘성 및 내후성뿐만 아니라 내화학약품성을 부여한다. 특히, 장식성 요소는 보호된다. 보호 코팅은 또한 UV 차단제, 보존제뿐만 아니라 내긁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성분, 예를 들어,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보호 코팅은 또한 장식성 기능, 예컨대 광택 또는 펄 효과를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코팅은 형성 후에 바람직하게는 가열 및/또는 UV 조사에 의해 경화된다.
보호 코팅은 단일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 코팅은 복수의 개별 층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보호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접착 촉진 코팅, 소위 "프라이머"를 실제 하드코트 아래에 포함한다. 용어 "아래에"는 프라이머가 부착 부품과 실제 하드코트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UV 흡수제, 및 알콜계 용매를 함유한다. 프라이머의 층 두께는, 예를 들어, 0.2 ㎛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4.0 ㎛이다.
중합체성 부착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중합체성 부착 부품은 단일의 균질한 물질 성분 (또는 물질 상)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물질 상은 (창문 판유리의 경우에서와 같이) 투명하게 또는 (필러 커버의 경우에서와 같이) 불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부착 부품은 복수의 물질 상, 특히 두 개의 물질 상을 포함하며, 이때 하나의 물질 상은 투명하게 구현되고 다른 물질 상은 불투명하게 구현된다. 장식성 요소가 제공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향하는 부착 부품의 제1 표면은 전형적으로 투명 물질 상의 표면이다. 투명 물질 상 및 불투명 물질 상은 실질적으로 합동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체 부착 부품은 불투명하고, 이때 유리-유사 시각적 효과가 투명 물질 상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불투명 성분은 또한 부착 부품의 부분영역 내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창문 판유리의 경우로서, 여기서 불투명 성분은 전형적으로 주변 가장자리 영역 내에 배치되어 판유리가 관찰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차체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성 요소는 판유리의 불투명 또는 투명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불투명"은 관찰자가 성분을 통해 볼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의 투과율은 상당히 감소하며,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특히 대략 0%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관찰자가 성분을 통해 볼 수 있고 관찰자의 관점으로부터 성분 뒤에 있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시 스펙트럼 범위 (400 ㎚ 내지 800 ㎚)에서의 투과율의 수준은 적어도 10%이다.
복수의 물질 상을 포함하는 부착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 또는 다성분 사출 압축 방법,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기술, 회전 테이블 기술, 및/또는 인덱스 플레이트 기술과 조합된 방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플라스틱 자동차 부착 부품은 또한 인서트 기술, 회전 테이블 기술, 및/또는 인덱스 플레이트 기술 단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부착 부품은, 원칙적으로, 적절한 안정성을 보장하는 모든 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부품은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에스테르 (AS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폴리카르보네이트 (ABS/PC), PET/PC, PBT/PC, 또는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PC, PMMA, SAN, ASA, PET,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성 부착 부품은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SiO2, Al2O3, TiO2, 점토 광물, 규산염, 제올라이트,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유리 비드, 유기 섬유,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충전제는 부착 부품의 안정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충전제는 중합체성 물질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착 부품의 두께 (또는 물질 두께)는, 특히 부착 부품이 필러 커버 또는 판유리일 때, 전형적으로 1 ㎜ 내지 20 ㎜, 특히 2 ㎜ 내지 10 ㎜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 중합체성 부착 부품,
- 고온 스탬핑에 의해 부착 부품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된 장식성 요소, 및
- 적어도 장식성 요소를 갖는 제1 표면 상의 보호 코팅
을 포함하는,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을 또한 포함한다.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부착 부품에 준용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부 응용을 위한, 즉 자동차를 위한 외부 부착 부품으로서의, 바람직하게는 차량 창문, 특히 창문 판유리, 필러 커버, 조명기구 커버, 라디에이터 그릴 패널, 또는 스포일러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의 용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개략적인 표현이고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동안의 중합체성 부착 부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장식성 요소를 갖는 캐리어 필름의 한 실시양태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부착 부품의 한 실시양태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흐름도를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다양한 시간에서의 중합체성 부착 부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a) 고온 스탬핑 전, (b) 고온 스탬핑 동안, (c) 고온 스탬핑 후, 및 (d) 보호 코팅의 형성 후. 중합체성 부착 부품(1)은,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플라스틱 창문, 예를 들어 뒷 창문 판유리이다. 그러나, 중합체성 부착 부품(1)은 또한 자동차의 또 다른 외부 부착 부품, 예를 들어 필러 커버, 스포일러, 또는 조명기구 커버일 수 있다. 중합체성 부착 부품(1)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만들어지고 4 ㎝의 두께를 갖는다. 실제로, 전형적으로 두 개의 물질 상 또는 물질 성분, 즉 전체 표면을 구성하는 투명 물질 상 및 그것 상에 주변에 가장자리 영역 내에 형성된 불투명 성분으로 이루어진 창문 판유리는, 단순성을 기하기 위해, 도면에는 균질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부착 부품(1)의 모든 위치에서, 즉 투명 영역과 불투명 영역 둘 다에서 수행될 수 있어서, 부착 부품(1)의 정확한 구조는 중요하지 않다.
부착 부품(1)은 스탬프(4) 하에 위치하고 (도 1(a)), 이때 이후에 설치된 위치에서 외부 표면으로서 제공되는, 부착 부품의 제1 표면(I)은 스탬프(4)를 향한다. 캐리어 필름(5) 상의 장식성 요소(2)는 스탬프(4)와 부착 부품(1) 사이에 위치한다. 캐리어 필름(5)은 두 개의 롤러들 (도시되지 않음) 상에 롤링되는 복수의 장식성 요소(2)를 갖는 평필름이다. 그리하여, 캐리어 필름(5)은, 또 다른 장식성 요소(2)가 스탬프(4) 하에 운반되어 또 다른 부착 부품(1) 상에 형성되기 위해 제공되도록, 더 나아갈 수 있다.
장식성 요소(2)는 다층 필름으로서 구현되고, 이는 하기에 더 정확히 기술될 것이다. 더 충분한 이해를 위해, 다양한 장식성 요소(2)가 캐리어 필름(5) 상의 개개의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실제로, 다층 필름은 실질적으로 그의 표면 전체에 걸쳐 캐리어 필름을 덮고, 이때 개별 장식성 요소(2)는 부착 부품(1) 상에의 접착 작용에 의해 전체 필름으로부터 박리될 것이다. 이러한 박리는 또한 전체 필름 내의 절개선 또는 절취선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스탬프(4)는, 장식성 요소(2)가 부착 부품(1)의 제1 표면(I) 상에 가압되도록, 장식성 요소(2) 반대편의 캐리어 필름(5) 표면 상에, 예를 들어 30 ㎏/㎠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도 1(b)). 스탬프(4)는, 예를 들어, 대략 160℃의 온도를 갖는다. 부착 부품(1)의 표면(I) 상에서의 스탬프(4)의 작용 지속시간은, 예를 들어, 2.5 s이다. 스탬프(4)의 작용은 전형적으로 그것이 부착 부품(1) 상에 하강함으로써 달성되지만, 또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부착 부품(1)이 스탬프(4) 쪽으로 상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스탬프(4)와 부착 부품(1)은 다시 서로 분리되고 캐리어 필름(5)이 박리되고, 이때 장식성 요소(2)는 부착 부품(1)의 표면(I) 상에 남는다 (도 1(c)).
이어서, 장식성 요소(2)를 갖는 부착 부품(1)에, 예를 들어, 두 개의 층으로서 구현되고 아크릴계 프라이머 및 그것 상에 형성된 폴리실록산계 하드코트를 포하는 보호 코팅(3)이 제공된다 (도 1(d)).
장식성 요소(2)가 부착 부품(1)의 외부 표면(I) 상에 형성된다는 사실 때문에, 그것은 이후에, 심지어 부착 부품이 낮은 또는 0인 광 투과율을 가질 때에도, 설치된 위치에서 항상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이는, 관찰 방향으로 부착 부품 또는 부착 부품의 적어도 한 성분의 뒤에 배치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도입된 몇몇 종래의 장식성 요소에 비해 주요 이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식성 요소(2)는 보호 코팅(3)에 의해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며, 이로 인해 고온 스탬핑 기술은 외부 부품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까다로운 안정성 요건에 부합한다 (Rigid Plastic Glazings, ECE R43 Appendix 14, Class /M). 이러한 발견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도 2는 장식성 요소(2)를 갖는 적합한 캐리어 필름(5)의 구조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캐리어 필름은 PET로 만들어지고 20 ㎛의 두께를 갖는다. 장식성 요소(2)는 세 개의 층, 즉 캐리어 필름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보호 층(2a), 장식성 층(2b), 및 접착제 층(2c)으로 이루어진다. 장식성 요소(2)는 접착제 층(2c)을 통해 부착 부품(1)과 접촉한다. 접착제 층(2c)은 장식성 요소(2)와 부착 부품(1) 사이의 강한 접착을 달성한다. 접착제 층(2c)은, 예를 들어, 1.0 ㎛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계 접착제의 층이다. 장식성 층(2b)은 장식성 요소(2)의 실제 시각적 인상을 달성한다. 장식성 층(2b)은, 예를 들어, 요망되는 장식의 형태의 매입 또는 인쇄된 안료 또는 염료에 의해 착색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에 기초한 5.0 ㎛의 두께를 갖는 층이다. 보호 층(2a)은, 예를 들어, 1.0 ㎛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성 층이다. 보호 층은, 장식성 요소(2)가 부착 부품(1) 상에 형성될 때, 장식성 층을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캐리어 필름(5)으로부터의 장식성 요소(2)의 박리를 촉진하는 분리 층(6)이 캐리어 필름(5)과 장식성 요소(2)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 층은, 예를 들어, 0.5 ㎛의 두께를 갖는다.
도 3은 장식성 요소(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부품(1)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부착 부품(1)은 투명 물질 상(1a) 및 불투명 물질 상(1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창문 판유리의 가장자리 영역 내에서 또는 필러 커버의 표면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에, 투명 상은 불투명 상의 표면 상에 시각적으로 매우 매력적인 유리-유사 효과와 함께 깊이 효과를 형성한다. 투명 물질 상(1a)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PC)로 만들어지고 4 ㎜의 두께를 갖는다. 불투명 물질 상(1b)은, 예를 들어, PC/ABS 혼합물로 만들어지고 2.5 ㎜의 두께를 갖는다. 설치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향할 투명 물질 상(1a)은 투명 무색일 수 있지만, 또한 예를 들어 시선차단용 창의 경우와 같이, 색이 입혀지거나 착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식성 요소(2)는 외부 표면(I)에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장식성 요소(2)를 갖는 부착 부품(1)에는 부착 부품(1) 및 특히 또한 장식성 요소(2)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코팅(3)이 제공된다. 보호 코팅(3)이 없다면, 장식성 요소(2)는 마모에 너무 취약할 것이며, 이로 인해 부착 부품(1)은 외부 부착 부품으로서, 즉 차량의 외부에서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보호 코팅(3) 및 장식성 요소(2)의 보호 층(2a)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어울리도록 조정된다. 도 2의 장식성 요소(2)가 아크릴계 보호 층(2a)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폴리실록산 하드코트와 조합된 아크릴계 프라이머가 바람직하게는 보호 코팅(3)으로서 사용된다. 그리하여, 장식성 요소 (2) 상에의 보호 층(3)의 접착이 유리하게 영향받는다.
보호 코팅은 또한 장식성 요소(2)를 UV 조사에 의한 탈색으로부터 보호하는 UV 차단제를 포함한다.
보호 층(3)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20 ㎛이다. 보호 층(3)의 두께는 부착 부품 전체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 층(3)의 두께는 또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성 요소(2)의 영역 내에서 약간 더 얇을 수 있어서, 보호 코팅(3)과 장식성 요소(2)의 총 두께가 장식성 요소(2)를 갖지 않는 제1 표면(I)의 영역 내에서의 보호 코팅(3)의 두께와 대략 같다. 그리하여, 방해가 되는 융기부가 없는 균질한 표면이 생성된다.
도 4는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성 요소를 갖는 부착 부품의 접착 결합의 강도를 DIN EN ISO 2409에 따른 시험 절차뿐만 아니라 많은 자동차 제조사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시험 절차, 예를 들어, H2O 고압 분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내긁힘성 또는 내마모성을 마찰견뢰도 시험기(Crock meter) 시험을 사용하고 세차용 솔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시험하였다. 여기서, 층 구조는 외부 차량 부착 부품의 외부 표면 상에서 사용되기에 접착, 내마모성, 및 내긁힘성의 측면에서 적절하게 안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욱이, UV 내성을 강한 UV 조사를 통해 시험하였다. 변색, 황변, 탈색, 미세-균열, 또는 층분리와 같은 어떠한 방사선-유도된 훼손도 관찰되지 않았다.
고온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 장식성 요소를 자동차 부착 부품의 외부 표면 상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본 발명 이전에는, 어떠한 적절한 내마모성 및 기계적 내성도 보장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
(1a) (1)의 투명 물질 상
(1b) (1)의 불투명 물질 상
(2) 장식성 요소
(2a) (2)의 보호 층
(2b) (2)의 장식성 층
(2c) (2)의 접착제 층
(3) 보호 코팅
(4) 스탬프
(5) 캐리어 필름
(6) 분리 층
(I) (1)의 제1 표면

Claims (15)

  1. a. 중합체성 부착 부품(1)을 제조하고,
    b. 스탬프(4)를 사용하는 고온 스탬핑을 통해 장식성 요소(2)를 캐리어 필름(5)으로부터 부착 부품(1)의 제1 표면(I) 상에 전달하고,
    c. 적어도 제1 표면(I)에 보호 코팅(3)을 제공하는 것인,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방법 단계 (b)에서,
    - 장식성 요소(2)를 갖는 캐리어 필름(5)을 장식성 요소(2)가 부착 부품(1)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 장식성 요소(2)가 제1 표면(I)에 대해 가압되도록 스탬프(4)가 장식성 요소(2) 반대편의 캐리어 필름(5) 표면 상에 작용하고,
    - 캐리어 필름(5)이 박리되고, 장식성 요소(2)가 제1 표면(I) 상에 남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호 코팅(3)이 열 경화 또는 UV 경화 코팅,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식성 요소(2)가 적어도 하나의 장식성 층(2b)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2c)을 포함하고, 이들이 이 순서로 캐리어 필름(5) 상에 배치된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장식성 요소(2)가 또한 보호 층(2a)을 포함하고, 장식성 층(2b)이 보호 층(2a)과 접착제 층(2c) 사이에 배치된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식성 요소의 두께가 10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0 ㎛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층(6)이 캐리어 필름(5)과 장식성 요소(2) 사이에 배치된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 단계 (b)에서, 스탬프(4)가 12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00℃의 온도를 갖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탬프가 제1 표면(I) 상에서 15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35 ㎏/㎠의 압력, 및 적어도 1 s, 바람직하게는 1 s 내지 10 s, 특히 바람직하게는 2 s 내지 4 s의 작용 지속시간으로 작용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코팅(3)을 플로우 코팅을 통해 형성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1)이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에스테르 (AS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1)이 1 ㎜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10 ㎜의 두께를 갖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2c)이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적어도
    - 중합체성 부착 부품(1),
    - 고온 스탬핑에 의해 부착 부품(1)의 제1 표면(I) 상에 형성된 장식성 요소(2), 및
    - 적어도 장식성 요소(2)를 갖는 제1 표면(I) 상의 보호 코팅(3)
    을 포함하는, 장식성 요소를 갖는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
  15. 자동차를 위한 외부 부착 부품으로서의, 바람직하게는 차량 창문, 필러 커버, 조명기구 커버, 라디에이터 그릴 패널, 또는 스포일러로서의 제14항에 따른 중합체성 차량 부착 부품의 용도.
KR1020177019424A 2014-12-18 2015-10-14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KR101960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8782.6 2014-12-18
EP14198782 2014-12-18
PCT/EP2015/073738 WO2016096184A1 (de) 2014-12-18 2015-10-14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ahrzeuganbaute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21A true KR20170094421A (ko) 2017-08-17
KR101960208B1 KR101960208B1 (ko) 2019-03-19

Family

ID=5223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424A KR101960208B1 (ko) 2014-12-18 2015-10-14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70326860A1 (ko)
EP (1) EP3233491B1 (ko)
JP (2) JP2018511506A (ko)
KR (1) KR101960208B1 (ko)
CN (1) CN106457814A (ko)
AU (1) AU2015365866B2 (ko)
BR (1) BR112017011380A2 (ko)
CA (1) CA2969365C (ko)
DE (1) DE202015009817U1 (ko)
EA (1) EA033820B1 (ko)
ES (1) ES2742502T3 (ko)
MA (1) MA40653B1 (ko)
MX (1) MX2017007937A (ko)
MY (1) MY182726A (ko)
PL (1) PL3233491T3 (ko)
PT (1) PT3233491T (ko)
WO (1) WO2016096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3053T3 (es) 2016-06-14 2022-05-31 Saint Gobain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ieza accesoria de plástico para vehículo, dispositivo, producto y uso
FR3081772B1 (fr) 2018-06-05 2020-09-11 Plastic Omnium Cie Marquage a chaud pour la decoration d'une piece de carrosserie
CN109204183A (zh) * 2018-09-10 2019-01-15 广州敏惠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表面高光涂装饰条及生产该饰条的方法
FR3098162A1 (fr) * 2019-07-03 2021-01-08 Compagnie Plastic Omnium Se Elément de pièce de carrosserie comportant un orifice recouvert de revêtement protecteur
DE102020120754A1 (de) * 2020-08-06 2022-02-10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Kunststoffspritzgusstei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7092219B1 (ja) 2021-01-19 2022-06-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移動体用化粧材及び電気自動車
EP4046775A1 (en) 2021-02-19 2022-08-24 GEKA GmbH Process for surface decoration
FR3124757B1 (fr) 2021-07-02 2024-01-19 Cie Plastic Omnium Se Pièce de carrosserie peinte comportant un motif décoré par marquage à chaud
KR102484379B1 (ko) * 2022-08-16 2023-01-03 주식회사 하스인더스트리 자동차 실내등용 led 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099A (ko) * 2011-03-25 2014-01-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삼차원 성형용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장식 시트를 사용한 장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329B2 (ja) * 1976-07-19 1983-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成形品もしくはその製造方法
JPS5818220A (ja) * 1981-07-28 1983-02-02 Hashimoto Forming Co Ltd 装飾性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S5954511A (ja) * 1982-09-22 1984-03-29 Hashimoto Forming Co Ltd 異色部分を有する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4486565A (en) * 1983-02-18 1984-12-04 Dow Corning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s for improving adhesion of abrasion resistant silicone coatings to plastic surfaces
JPH03208648A (ja) * 1990-01-12 1991-09-11 Ichikoh Ind Ltd 装飾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5245998A (ja) * 1992-03-03 1993-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制振樹脂層転写シート及び該転写シートを用いた制振積層体の製造方法
JPH10236090A (ja) * 1997-02-24 1998-09-08 Ichikoh Ind Ltd ホットスタンプ処理方法、およびホットスタンプシート
US6620371B1 (en) * 1998-05-22 2003-09-16 Patent Hold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mold laminate component
JP3066743U (ja) 1999-08-20 2000-03-07 技研株式会社 模様入樹脂成形品
JP2002301791A (ja) 2001-04-05 2002-10-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ハードコート積層板
JP2005219299A (ja) 2004-02-04 2005-08-18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合成樹脂製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4459A (ja) * 2005-02-17 2006-08-31 Tsuchiya Co Ltd 樹脂成形品及びそれに使用する表皮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GB0520303D0 (en) * 2005-10-06 2005-11-16 Pilkington Plc Laminated glazing
US20090274922A1 (en) * 2006-01-06 2009-11-05 Roys John E High Gloss Laminates for Decorative Automotive Parts
JP4708289B2 (ja) 2006-08-30 2011-06-22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電波透過性を有する金属色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JP5376994B2 (ja) 2009-02-19 2013-12-25 株式会社倉本産業 フィルム基材および接着シート
PT104442A (pt) * 2009-03-16 2010-09-16 Pedro Da Costa Balas Ferreira Gerador eléctrico esférico de indução magnética
JPWO2011152457A1 (ja) 2010-06-02 2013-08-01 ダイソー株式会社 転写材料
US8349917B2 (en) * 2010-07-28 2013-01-08 Michael J. Stevenson Printing ink, transfers, and methods of decorating polyolefin articles
FR2971969A1 (fr) * 2011-02-28 2012-08-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utillage de marquage a chaud
JP5673281B2 (ja) * 2011-03-25 2015-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三次元成形用加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加飾シートを用いた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28370A (ja) 2011-10-05 2014-10-2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プラスチック加飾部材の製造法
EP2804697A4 (en) * 2012-01-17 2015-10-21 Ballast Energy Inc ELECTRODE AND BATTERY
JP5942927B2 (ja) 2012-05-23 2016-06-29 マツダ株式会社 透明積層体
EP2738204B1 (en) * 2012-11-29 2019-01-09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JP6108173B2 (ja) 2013-09-26 2017-04-05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加飾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099A (ko) * 2011-03-25 2014-01-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삼차원 성형용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장식 시트를 사용한 장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814A (zh) 2017-02-22
MY182726A (en) 2021-02-03
KR101960208B1 (ko) 2019-03-19
JP2018511506A (ja) 2018-04-26
US20170326860A1 (en) 2017-11-16
WO2016096184A1 (de) 2016-06-23
MA40653A1 (fr) 2017-10-31
CA2969365C (en) 2019-08-20
MX2017007937A (es) 2017-09-15
PT3233491T (pt) 2019-09-06
EA201791376A1 (ru) 2017-10-31
MA40653B1 (fr) 2019-07-31
AU2015365866A1 (en) 2017-08-03
EA033820B1 (ru) 2019-11-28
PL3233491T3 (pl) 2020-01-31
BR112017011380A2 (pt) 2018-04-03
EP3233491B1 (de) 2019-05-22
AU2015365866B2 (en) 2018-08-02
EP3233491A1 (de) 2017-10-25
CA2969365A1 (en) 2016-06-23
ES2742502T3 (es) 2020-02-14
JP2019194021A (ja) 2019-11-07
DE202015009817U1 (de) 2020-07-08
JP7097857B2 (ja)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208B1 (ko)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US1060382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vehicle part
JP6297075B2 (ja) プラスチック加飾部材の製造法
JP6876064B2 (ja) 車両用外装ガラストリム要素
US1110411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vehicle add-on part
US20170305245A1 (en) Polymeric pane with extruded-on sealing profile
Crutchley Innovation Trends in Plastics Decoration and Surface Treatment
KR20230063042A (ko) 반사층과 헤어라인을 구비한 장식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