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844A - 금형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금형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844A
KR20170092844A KR1020160014027A KR20160014027A KR20170092844A KR 20170092844 A KR20170092844 A KR 20170092844A KR 1020160014027 A KR1020160014027 A KR 1020160014027A KR 20160014027 A KR20160014027 A KR 20160014027A KR 20170092844 A KR20170092844 A KR 2017009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oling
mold
cooling line
regular poly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엠
Priority to KR102016001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844A/ko
Publication of KR2017009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면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와, 상기 금형 본체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MOLD}
본 발명은 금형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과, 제1 금형면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와, 금형 본체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을 포함하고, 냉각 라인은 복수 개의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금형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용융상태의 수지 등을 금형 내의 공간 즉, 캐비티(cavity)에 주입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출금형에는 냉각유로가 형성되어 사출물을 냉각시키고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29467호의 사출금형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출금형 본체는 서로 형합에 의해서 소정 형상의 캐비티(55)를 형성하는 고정측 형판(50)과 가동측 형판(40)이 있고, 형판의 내부에는 냉각수 라인(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냉각수 라인으로는 사출물을 골고루 냉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냉각수 라인은 금형에서 하나의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 복수의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에 적용하면 금형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금형의 냉각이 제대로 행해지지 않으면 금형의 열화에 의해 그 수명이 현격히 감소하게 되고, 파손된 금형의 잦은 교체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294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과, 제1 금형면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와, 금형 본체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을 포함하고, 냉각 라인은 복수 개의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금형 냉각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금형의 수명을 늘리며, 금형 교체 시간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별로 균일한 냉각을 함으로써 제품을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면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와, 상기 금형 본체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금형은 하부 금형이고, 상기 제2 금형은 상부 금형이고, 상기 냉각 라인은 상기 제1 금형에 형성된 제1 냉각 라인과, 상기 제2 금형에 형성된 제2 냉각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입구 라인과, 상기 제1 입구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입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1 입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과, 상기 제1 분배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1 주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과, 상기 제1 회수 라인과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출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1 출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의 중심과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의 중심은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고,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의 반경 방향 단부와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의 반경 방향 단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주냉각 라인은 냉각 볼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입구 라인과, 상기 제2 입구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입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입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는 제2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2 주냉각 라인과 연결되는 제2 회수 라인과, 상기 제2 회수 라인과 연결되는 제2 부냉각 라인과, 상기 제2 부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출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출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2 부냉각 라인은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수 라인은 복수 개 포함되고, 상기 제2 회수 라인의 위치는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삽입 코어와, 상기 제1 삽입 코어가 삽입되는 제1 금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삽입 코어와, 상기 제2 삽입 코어가 삽입되는 제2 금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상기 제1 삽입 코어와 상기 제1 금형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상기 제2 삽입 코어와 상기 제2 금형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공급 라인과, 상기 제1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메인 냉각 라인과, 인접한 제1 메인 냉각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과, 상기 제1 메인 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공급 라인과, 상기 제2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메인 냉각 라인과, 인접한 제2 메인 냉각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과, 상기 제2 메인 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금형과 제2 금형에 각각 제1 냉각 라인과 제2 냉각 라인을 별개로 형성함에 의하여 금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는 제1 주냉각 라인을 냉각 볼트로 형성함에 의하여 각각의 제품에 균일하게 냉각수를 분배하여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주냉각 라인과 제2 부냉각 라인을 런너를 둘러싸는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금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금형 냉각 구조의 제2 실시예는 제1 삽입 코어와 제1 금형 바디의 사이에 제1 냉각 라인을 형성하고, 제2 삽입 코어와 제2 금형 바디의 사이에 제2 냉각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제1 삽입 코어 및 제2 삽입 코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를 채택함에 의해 금형의 열화를 방지하여 금형의 수명이 현저히 늘어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29467호의 사출금형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냉각 라인(25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냉각 라인(25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냉각 라인(26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2 냉각 라인(26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는 제1 금형면(110a)이 형성된 제1 금형(110)과, 제1 금형면(110a)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130)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120a)이 형성된 제2 금형(120)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100)와, 금형 본체(100)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200)을 포함하고, 냉각 라인(200)은 복수 개의 캐비티(130)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캐비티(130)에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어 제품(140)이 성형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제품(140)이 콘택트 렌즈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제품은 콘택트 렌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라인(200)에는 오링(150)이 설치되어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제1 금형(110)은 하부 금형이고, 제2 금형(120)은 상부 금형이고, 냉각 라인(200)은 제1 금형(110)에 형성된 제1 냉각 라인(210)과, 제2 금형(120)에 형성된 제2 냉각 라인(220)을 포함한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에 각각 제1 냉각 라인(210)과 제2 냉각 라인(220)을 별개로 형성함에 의하여 금형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제2 금형(120)에는 런너(300)가 설치되어 복수 개의 캐비티(130)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냉각 라인(210)은 일측(211a)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입구 라인(211)과, 일측(212a)이 제1 입구 라인(211)의 타측(211b)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과,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의 중심인 일측(213a)이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의 타측(212b)과 연결되는 제1 분배 라인(213)과, 일측(214a)이 제1 분배 라인(213)의 타측(213b)(방사상의 제1 분배 라인(213)의 반경 방향 단부)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주냉각 라인(214)과,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의 반경 방향 단부인 일측(215a)이 제1 주냉각 라인(214)의 일측(214a)과 타측(214b)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회수 라인(215)과, 일측(216a)이 제1 회수 라인(215)의 타측(215b)(방사상의 제1 회수 라인(215)의 중심)과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출구측 연장 라인(216)과, 일측(217a)이 제1 출구측 연장 라인(216)의 타측(216b)과 연결되고 타측(217b)으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출구 라인(217)을 포함한다.
제1 입구 라인(211), 제1 분배 라인(213), 제1 회수 라인(215), 제1 출구 라인(217)은 수평으로 위치하고,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과, 제1 주냉각 라인(214), 제1 출구측 연장 라인(216)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는 제1 입구 라인(211)과 제1 출구 라인(217)이 서로 평행하면서 내부의 냉각수의 유동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게 위치하고 있으나, 제1 입구 라인(211)과 제1 출구 라인(217)의 상대적인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캐비티(130)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213)의 중심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215)의 중심은 정다각형의 중심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213)의 반경 방향 단부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215)의 반경 방향 단부는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한다. 정다각형의 꼭지점의 개수 n은 3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고, 도 2는 n = 8인 경우(즉, 복수 개의 캐비티(130)가 정8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제1 주냉각 라인(214)은 일반적인 파이프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금형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냉각 볼트(23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볼트(230)는 내부로 냉각수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제1 냉각 라인(210)을 제1 금형(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 볼트(2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머리부(231)와, 일측이 머리부(231)에 연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232)와, 몸체부(232)의 타측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233)와, 머리부(231)와 몸체부(232)를 관통하는 관통공(234)과, 몸체부(232)의 타측 중 나사부(233)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고 관통공(234)과 연결되는 연결공(235)을 포함한다.
제1 금형(110)에는 냉각 볼트(230)의 몸체부(232)의 외경보다 지름이 큰 삽입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볼트(230)가 삽입공(111)을 통과하여 나사부(233)에 의해 제1 금형(110) 중 제1 금형면(110a)의 하부에 고정되면, 몸체부(232)의 외부와 삽입공(111)의 사이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2 냉각 라인(220)은 일측(221a)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입구 라인(221)과, 일측(222a)이 제2 입구 라인(221)의 타측(221b)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입구측 연장 라인(222)과, 제2 입구측 연장 라인(222)의 타측(222b)과 연결되는 제2 주냉각 라인(223)과, 일측(224a)이 제2 주냉각 라인(223)과 연결되는 제2 회수 라인(224)과, 제2 회수 라인(224)의 타측(224b)과 연결되는 제2 부냉각 라인(225)과, 일측(226a)이 제2 부냉각 라인(225)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출구측 연장 라인(226)과, 일측(227a)이 제2 출구측 연장 라인(226)의 타측(226b)과 연결되고 타측(227b)으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출구 라인(227)을 포함한다.
제2 입구 라인(221), 제2 주냉각 라인(223), 제2 부냉각 라인(225), 제2 출구 라인(227)은 수평으로 위치하고, 제2 입구측 연장 라인(222), 제2 회수 라인(224), 제2 출구측 연장 라인(226)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는 제2 입구 라인(221)과 제2 출구 라인(227)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제2 입구 라인(221)과 제2 출구 라인(227)의 상대적인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제2 주냉각 라인(223)과 제2 부냉각 라인(225)은 복수 개의 캐비티가 위치하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런너(300)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제2 회수 라인(224)은 복수 개 포함되고, 제2 회수 라인(224)의 위치는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한다.
제1 냉각 라인(21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입구 라인(211)의 일측(211a)으로 수평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1 입구 라인(211)의 타측(211b)을 지나면서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으로 유입되어 유동 방향이 90도 꺾여 수직으로 올라간다. 냉각수는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을 지나 제1 분배 라인(213)에 도달하면 냉각수는 방사상의 중심인 일측(213a)으로부터 방사상의 반경 방향 단부인 타측(213b)으로 퍼져 나간다. 냉각수는 제1 입구측 연장 라인(212)의 타측(213b)을 지나 제1 주냉각 라인(214)에 도달한다. 제1 주냉각 라인(214)이 냉각 볼트(230)로 형성되는 경우, 냉각수는 관통공(234)을 따라 위쪽으로 올라가서 제1 금형면(110a)의 하부에 도달하고 연결공(235)을 지나 몸체부(232)의 외부와 삽입공(1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온다. 냉각수는 몸체부(232)의 중간 부근에서 제1 회수 라인(215)으로 들어가는데, 냉각수는 방사상의 반경 방향 단부인 일측(215a)으로부터 방사상의 중심인 타측(215b)으로 모인다. 냉각수는 제1 회수 라인(215)의 타측(215b)을 지나 제1 출구측 연장 라인(216)으로 유입되면서 유동 방향이 90도 꺾여 수직으로 내려간다. 냉각수는 제1 출구 라인(217)을 수평으로 지나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제품(140)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130)에 냉각수가 충분히 공급되고 따라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냉각 라인(22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입구 라인(221)의 일측(221a)으로 수평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2 입구 라인(221)의 타측(221b)을 지나면서 제2 입구측 연장 라인(222)으로 유입되어 유동 방향이 90도 꺾여 수직으로 올라간다. 냉각수는 제2 입구측 연장 라인(222)을 지나 제2 주냉각 라인(223)에 도달하면 냉각수는 방향이 양쪽으로 나뉘어 원형의 제2 주냉각 라인(223)를 지나가면서 제2 회수 라인(224)를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제2 부냉각 라인(225)으로 유입된다. 냉각수는 원형의 제2 부냉각 라인(225)을 지나 제2 출구측 연장 라인(226)으로 유입되면서 유동 방향이 90도 꺾여 수직으로 올라간다. 냉각수는 제2 출구 라인(227)을 수평으로 지나 배출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금형(110)은 제1 금형면(110a)이 형성된 제1 삽입 코어(115)와, 제1 삽입 코어(115)가 삽입되는 제1 금형 바디(116)를 포함하고, 제2 금형(120)은 제2 금형면(120a)이 형성된 제2 삽입 코어(125)와, 제2 삽입 코어(125)가 삽입되는 제2 금형 바디(126)를 포함한다. 제1 냉각 라인(250)을 제1 삽입 코어(115)와 제1 금형 바디(116)의 사이에 형성하고, 제2 냉각 라인(260)을 제2 삽입 코어(125)와 제2 금형 바디(126)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제1 냉각 라인(250)은 제1 삽입 코어(115)를 완전히 둘러싸고 제2 냉각 라인(260)은 제2 삽입 코어(125)를 완전히 둘러싸게 되어 제1 삽입 코어(115) 및 제2 삽입 코어(125)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250)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공급 라인(251)과, 제1 공급 라인(251)과 연결되고 중심이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메인 냉각 라인(252)과, 인접한 제1 메인 냉각 라인(252)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253)과, 제1 메인 냉각 라인(252)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 라인(254)을 포함한다.
제2 냉각 라인(260)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공급 라인(261)과, 제2 공급 라인(261)과 연결되고 중심이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메인 냉각 라인(262)과, 인접한 제2 메인 냉각 라인(262)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263)과, 제2 메인 냉각 라인(262)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 라인(264)을 포함한다.
제1 공급 라인(251), 제1 배출 라인(254), 제2 공급 라인(261), 제2 배출 라인(264)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9에는 제1 공급 라인(251)과 제1 배출 라인(254)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고, 제2 공급 라인(261)과 제2 배출 라인(264)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제1 공급 라인(251)과 제1 배출 라인(254)의 상대적인 위치와 제2 공급 라인(261)과 제2 배출 라인(264)의 상대적인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25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공급 라인(251)으로 수평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원형의 제1 메인 냉각 라인(252)을 지나는데, 냉각수는 제1 연결 라인(253)을 거쳐 인접한 제1 메인 냉각 라인(252)을 순차적으로 지나고, 제1 배출 라인(254)을 수평으로 지나 배출된다.
제2 냉각 라인(260) 내의 냉각수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공급 라인(261)으로 수평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원형의 제2 메인 냉각 라인(262)을 지나는데, 냉각수는 제2 연결 라인(263)을 거쳐 인접한 제2 메인 냉각 라인(262)을 순차적으로 지나고, 제2 배출 라인(264)을 수평으로 지나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 구조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금형 본체(100)에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금형 본체 110: 제1 금형
110a: 제1 금형면 111: 삽입공
115: 제1 삽입 코어 116: 제1 금형 바디
120: 제2 금형 120a: 제2 금형면
125: 제2 삽입 코어 126: 제2 금형 바디
130: 캐비티 140: 제품
150: 오링 200: 냉각 라인
210: 제1 냉각 라인 211: 제1 입구 라인
212: 제1 입구측 연장 라인 213: 제1 분배 라인
214: 제1 주냉각 라인 215: 제1 회수 라인
216: 제1 출구측 연장 라인 217: 제1 출구 라인
220: 제2 냉각 라인 221: 제2 입구 라인
222: 제2 입구측 연장 라인 223: 제2 주냉각 라인
224: 제2 회수 라인 225: 제2 부냉각 라인
226: 제2 출구측 연장 라인 227: 제2 출구 라인
230: 냉각 볼트 231: 머리부
232: 몸체부 233: 나사부
234: 관통공 235: 연결공
250: 제1 냉각 라인 251: 제1 공급 라인
252: 제1 메인 냉각 라인 253: 제1 연결 라인
254: 제1 배출 라인 260: 제2 냉각 라인
261: 제2 공급 라인 262: 제2 메인 냉각 라인
263: 제2 연결 라인 264: 제2 배출 라인
300: 런너

Claims (9)

  1.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면과 함께 복수 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본체와,
    상기 금형 본체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하부 금형이고, 상기 제2 금형은 상부 금형이고,
    상기 냉각 라인은 상기 제1 금형에 형성된 제1 냉각 라인과, 상기 제2 금형에 형성된 제2 냉각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입구 라인과, 상기 제1 입구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입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1 입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과, 상기 제1 분배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1 주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과, 상기 제1 회수 라인과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출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1 출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의 중심과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의 중심은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고,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 라인의 반경 방향 단부와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수 라인의 반경 방향 단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냉각 라인은 냉각 볼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입구 라인과, 상기 제2 입구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입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입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는 제2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2 주냉각 라인과 연결되는 제2 회수 라인과, 상기 제2 회수 라인과 연결되는 제2 부냉각 라인과, 상기 제2 부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출구측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출구측 연장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주냉각 라인과 상기 제2 부냉각 라인은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수 라인은 복수 개 포함되고, 상기 제2 회수 라인의 위치는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면이 형성된 제1 삽입 코어와, 상기 제1 삽입 코어가 삽입되는 제1 금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금형면이 형성된 제2 삽입 코어와, 상기 제2 삽입 코어가 삽입되는 제2 금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상기 제1 삽입 코어와 상기 제1 금형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상기 제2 삽입 코어와 상기 제2 금형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는 정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공급 라인과, 상기 제1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메인 냉각 라인과, 인접한 제1 메인 냉각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과, 상기 제1 메인 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2 공급 라인과, 상기 제2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정다각형의 꼭지점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메인 냉각 라인과, 인접한 제2 메인 냉각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과, 상기 제2 메인 냉각 라인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 구조.

KR1020160014027A 2016-02-04 2016-02-04 금형 냉각 구조 KR20170092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27A KR20170092844A (ko) 2016-02-04 2016-02-04 금형 냉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27A KR20170092844A (ko) 2016-02-04 2016-02-04 금형 냉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44A true KR20170092844A (ko) 2017-08-14

Family

ID=6014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27A KR20170092844A (ko) 2016-02-04 2016-02-04 금형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8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37A1 (ko) * 2017-11-0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금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37A1 (ko) * 2017-11-0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금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40B2 (en) Neck block cooling
KR20170092844A (ko) 금형 냉각 구조
US6702560B2 (en) Plastic tandem extrusion sizer mold
EP3175966A1 (en) Air-cooled sprue bush for mold
JP2005105878A (ja) ウォータジャケット用スペーサの製造方法
JP6462373B2 (ja) 金型冷却構造
KR20110032266A (ko) 사출 금형
CN102555174A (zh) 模具冷却结构及模具
CN104589588A (zh) 一种新型注塑成型模具
KR101743944B1 (ko) 금형 냉각 장치
KR101799899B1 (ko) 코어 교체형 금형
CN102990865A (zh) 一种管子注塑模具
CN212021518U (zh) 一种香薰机圆桶模具内循环冷却装置
KR20050003110A (ko)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구조
KR100334936B1 (ko) 금형의 냉각구조
CN209566475U (zh) 一种模芯冷却水管结构
CN203125857U (zh) 一种管子注塑模具
CN209407383U (zh) 一种生产屏蔽半箱的模具
KR101151251B1 (ko) 대면적 하이 사이클 스팀의 사출성형금형
KR200186738Y1 (ko) 금형의 냉각구조
CN212097294U (zh) 一种注塑模具顶盖
KR101306592B1 (ko) 대형 도광판 사출 금형 장치
KR101991196B1 (ko) 소구경 관의 사출성형 금형장치
CN212495224U (zh) 一种中小型、大批量铸钢件生产铸造模具
CN220049945U (zh) 一种耐磨球铸造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