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559A -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559A
KR20170092559A KR1020177014876A KR20177014876A KR20170092559A KR 20170092559 A KR20170092559 A KR 20170092559A KR 1020177014876 A KR1020177014876 A KR 1020177014876A KR 20177014876 A KR20177014876 A KR 20177014876A KR 20170092559 A KR20170092559 A KR 2017009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filter
fluid
filtrate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890B1 (ko
Inventor
마르쿠스 올쇼크
크리스티안 쉰들러
세딕 라립
Original Assignee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7009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5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8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of spirally or helically woun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9/906Special treatment of the feed stream before contacting the filtering element,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2Filtering elements having a conical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16, 18)을 갖는 필터 하우징(14) 내에 수용된 필터 요소(12)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요소는 상기 비여과물을 여과하기 위해 또는 입자 오염물(72)의 세정을 위한 역세척을 위해 양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장치는 또한 역세척될 필터 요소(12)에서 입자 오염물(12)의 세정을 개선하기 위해 차후 흡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압력 제어 장치(36)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요소는 상기 필터 장치(10)가 하나의 필터 요소 솔루션으로 설계되는 것 그리고 사전규정가능한 교환시에 여과용 상기 단일 필터 요소(12)가 역세척 용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를 사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필터 장치(10)의 필터 요소(12)를 역세척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64)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FILTER DEVICE, HYDRAULIC SYSTEM AND BACKWASHING METHOD}
본 발명은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들을 갖는 필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요소는 상기 비여과물을 여과하기 위해 또는 입자 오염물의 세정을 위한 역세척을 위해 양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장치는 또한 역류될 필터 요소에서 입자 오염물의 세정을 개선하기 위해 차후 흡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압력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터 장치를 갖는 유압 시스템 및 이러한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를 역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종래 기술, 예를 들어, 문헌 WO 2009/062644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 장치에서, 복수의 필터 요소들은 피치 원에서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되게 배치되고 장치는 이들 중 각각의 필터 요소들을 역세척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다른 필터 요소들은 따라서 이 목적을 위하여 장치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의 연속적 여과를 허용한다. 역세척을 위하여, 압력 제어 장치는 필터 요소에 대해서 안내되고 동시에 역세척 아암은 필터 요소 아래에서 안내된다. 압력 제어 장치의 플레이트 밸브에 의한 필터 요소 흡입을 폐쇄하면, 필터 요소를 통한 여과물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오염물이 얻어지고 상기 오염물은 역세척될 수 있는 필터 요소 상에 축적되고 역세척 아암에 의해서 장치로부터 넘쳐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을 위해서 이러한 대형 장치 내부에서 이동할 입력 유체의 다량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경우에 역세척이 실형될 수 있도록 필터 요소의 여과물 측 상에서 사용가능한 항상 충분한 높이 압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역세척 영향은 플레이트 밸브 형태의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요소에 의해서, 개선된 세정 효과를 갖는 한 유형의 압력 쇼크가 역세척될 각각의 필터 요소들에서 발생하도록, 필터 요소 유입이 즉각적으로 셧오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로 증가된다.
실제, 해양 기어 유닛들 또는 유압 프레스들과 같은 대형 유압 시스템에서 이러한 역세척가능한 필터 장치를 설치할 뿐 아니라, 예를 들어, 기계 공구들 분야에서 소형 기계들 및 기계 설비에 대해서 상기 필터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바램이 종종 존재한다. 이는 상당히 더욱 컴팩트한 구성이 요구되지만, 사용될 유효 필터 요소 표면들은 크게 감소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다르게는 여과될 유체의 입자 오염물이 빠르게 차단되고 따라서 구형 필터 요소들을 신규 필터 요소들로 조기 교체되고, 이는 필터 장치의 효율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처리되는 문제는 구성에서 더욱 컴팩할 수 있고 세정될 필터 요소를 위한 역세척을 추가로 개선하는 개선된 필터 장치 및 유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더우기, 이러한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를 역세척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필터 장치에 관한 문제점의 일부는 청구항 1의 형태를 갖는 필터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필터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에 기재될 것이다. 유압 시스템에 관한 문제의 일부는 청구항 11의 형태를 갖는 유압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방법에 관한 문제의 일부는 청구항 12에 따른 단계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를 역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방법의 추가 유리한 발전은 청구항 13에 의해서 제공된다.
청구항 1의 교시에 따라서, 필터 장치가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solution)으로 형성되는 것 그리고 사전규정가능한 교환시에 상기 단일 필터 요소가 여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요소 하우징 내의 단일 필터 요소만을 포함하고 이러한 이유만으로, 그 구성에 관하여 매우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회전, 천공 또는 밀링 기계와 같은 기계 공구의 영역에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상기 역세척가능한 필터 장치를 셋업하거나 또는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작업 부재의 가공은 종종 윤활, 냉각 및 유압 유체의 상당한 입자 오염물과 연관되고, 이들 오염물은 각각 시간 기반 또는 요구 기반 역세척으로 인하여 특히 긴 서비스 수명을 갖는 사용된 필터 요소를 구비한 필터 장치에 의해서 신뢰성있고 또한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세정될 수 있다. 분리 속도는 입증된 품질의 토우 필터 요소 기술의 사용으로 인하여 매우 높다. 또한, 특히 유체 연결 지점에서의 비여과물에 대한 특히 고압 유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체를 신뢰성있게 여과하고 역세척을 유발할 수 있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상술한 공지된 솔루션과는 대조적으로, 최대 가능한 유체 입력 량은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에서 상당히 감소되는데, 이는 단지 소량의 유체만이 사전규정가능한 벽 거리를 갖고 필터 요소를 둘러싸는 단지 하나의 필터 하우징의 내벽과 단지 하나의 필터 요소의 외측 사이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터 요소는 대체로 예를 들어, 유압 오일과 같은 비교적 고점성을 갖는 유체로 세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역세척에서 유체의 가속화에 대하여 압력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적당한 작동으로 차후 흡인되어야 하는 소량의 입력만이 사용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이는 역세척에서 자연 저항을 형성하는 유체의 비교적 고점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역세척에서의 입력량은 그럼에도불구하고 차후 흡인 효과로 인하여, 높은 유동 반환 속도를 가지며, 이는 필터 요소의 비여과물 격실 상에 있는 필터 요소로부터의 입자 오염물의 세정을 펄스형의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허용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동등한 구성이 없다.
제공된 공지된 해결방안에서, 복수의 삽입된 필터 요소들에 대한 필터 하우징에 저장된 전체 유체 입력량은 커서 그 점성으로 인하여, 역세척에서 압력 제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되어야 하는 차후 흡인 효과가 개시되기 전에 극복되어야 하는 매우 큰 유동 저항이 생성되고 그리고 또한 서로에 대한 유체 또는 오일 성분들의 부착으로 인하여, 역세척에서 원하는 산출 용적은 상당히 감소되며, 이는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이 회피하는 주파수 및 장기간 유지 역세척 사이클을 필요로 하며, 원칙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인 효과의 관점에서, 여과 및 역세척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요소 솔루션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단지 작은 역할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서로에 대한 여러개의 단일 필터 부재 솔루션의 확실한 연계에 의해서, 이들은 단일 필터 요소들의 섹션을 갖는 연속 여과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조합되고, 단일 필터 요소들의 다른 섹션은 역세척에서 상당히 개선된 차후 흡인 효과에 의해서 추가로 역세척되는데, 그 이유는 사용된 모든 단일 필터 요소들에 대한 증가한 전체 유체 입력량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이들은 비교적 무저항 방식으로 그에 따라서 신속하게 입자 오염물에 대한 각각의 필터 요소의 출력측에 큰 세정 효과와 함께 적용될 수 있는 "소형 패키지"로 분할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지만 유체 운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WO 2009/062644 A1에 제공된 종류의 여러 필터 요소들을 갖는 개별 장치의 전체 성능은 여과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당업자들에게는 놀라울 수 있는 단일 요소 솔루션에 의해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들은 필터 하우징의 헤드 부재에 배열되고 필터 요소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필터 요소의 입력측 및 상기 비여과물 연결 지점 사이의 제 1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의 변위가능한 블록킹 부분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셧오프(shut-off)될 수 있다. 이들 형태들은 필터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다수 단계들에서 블록킹 부분에 의해서 제 1 유체 운반 경로의 셧오프는 역세척 동작의 개별 단계들에서 상이한 효과들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부분이 완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면, 블록킹 부분은 초기에 필터 요소의 내부에 대한 자유 유입 단면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블록킹 부분은 필터 하우징에서의 관련 밸브 시트와 함께 일종의 노즐 또는 제한 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또는 제한 지점에 의해서 입자 오염물에 대한 필터 요소의 출력측을 향하여 흐르는 유체가 가속화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필터 요소의 출력측을 향하여 가속화된 축방향 유동을 얻게 하고 필터 요소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비여과물은 필터 요소의 내부 측벽 상에 발견되는 입자 오염물을 당긴다. 만약, 블록킹 부분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또는 임의의 경우에 밸브 시트와 접촉하기 직전에, 블록킹 부분이 매우 급한 방식으로, 양호하게는 돌발 방식으로 압력 제어 장치에 의해서 폐쇄되면, 이는 결과적으로 출력측에서 필터 요소에 연결된 역세척 라인 또는 방출 라인과 연관된 일종의 압력 서지(pressure surge)가 얻어져서, 필터 하우징의 여과물 격실에 있는 세정 유체는 필터 요소의 벽을 통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속화 방식으로 통과하므로 그 다음 필터 요소의 내측 상에 잔류하는 임의의 입자 오염물을 추가로 세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헤드 부재에서 전환부(diversion)에서 일정 각도로, 양호하게는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블록킹 부분은 상기 전환부에서 해제 개방 위치 또는 출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안내부는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상기 유체 연결 지점들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안내부는 설치된 작동 장치 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으로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의 직각 형성은 압력 제어 장치가 헤드 부재 내에 또는 상에 필터 요소 바로 위에 배열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블록킹 부분은 장치의 헤드 부재에 부착된 액추에이터의 작동 로드에 의해서 헤드 부재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블록킹 부분의 모든 변위 위치에서, 관련된 벽 안내는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블록킹 부분과의 접촉에서 비교적 고압 상태에서 유체 입력 지점을 경유하여 비여과물 측에서 장치에 공급된 유체는 블록킹 부분의 자유 변위 이동 또는 상기 블록킹 부분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고, 특히 블록킹 부분의 상기 자유 변위 이동에서 제한이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필터 요소는 유리하게는 상기 필터 하우징 내의 2개의 유체 운반 용기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용기들 안으로 변이되며, 상기 용기들 중 하나는 상기 제 1 유체 운반 경로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역세척 라인 형태의 제 2 유체 운반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이어지고 역세척 밸브, 특히 2/2 방향 밸브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용기로 인하여, 필터 요소는 필터 하우징에서 안전하게 그리고 압력 변화 부하에 대해서도 내압 방식으로 고정되고 여과물-비여과물 안내를 위한 규정된 변이 지점들을 가진다. 제 2 유체 운반 경로는 역세척 밸브에 의해서 셧오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여과 동작 중에 세정될 유체가 여과 요소에서 비여과물 측으로부터 여과물 측 또는 필터 장치의 세정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고 역세척 중에 필터 요소의 내부가 역세척 라인과 유체 운반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며, 상기 역세척 라인에 의해서 세정될 입자 오염물은 마지막으로 필터 장치로부터 방출된다.
제 3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필터 요소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라서 직선으로 상기 압력 제어 장치 및 상기 역세척 밸브 사이에서 연장되므로 일종의 자유 낙하 라인을 형성한다. 제 3 유체 운반 경로의 이러한 직선 라인 연장부는 또한 역세척의 효과에 대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데, 이는 차후 흡인 효과가 제 3 유체 운반 경로 및 연결된 제 2 유체 운반 경로에 있는 이동 유체량의 운동 에너지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사용가능한 에너지는 다음 공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이는 유동 유체의 질량(m) 및 속도(v)가 클 수록, 차후 흡인 효과의 발생을 위해 사용가능한 에너지(W)가 커지고 역세척 결과가 더욱 양호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지된 필터 장치의 경우에, 비교가능한 제 2 유체 운반 경로의 영역에서의 이동한 유체량은 장치의 길이방향 축 또는 작동 축에 대해서 편심으로 배열된 필터 요소로부터 그에 대해서 중심에 배열된 밸브로 전환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에서 에너지 손실을 포함하고, 유체 유동의 운동 에너지는 제 2 및 제 3 유체 운반 경로의 직선 연장부로 인하여, 차후 흡인 효과의 발생을 위해 약해지지 않는 형태로 사용가능하고, 부분 폐쇄된 블록킹 부분을 갖는 제 1 단계에서, 필터 요소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는 비여과물 형태로 규칙적으로 축방향으로 가속화되므로 필터 요소의 내벽들과 평행하게 이동해서 필터 요소로부터 출력측을 향하여 입자 오염물을 운반한다. 완전 폐쇄된 블록킹 부분에 의해서 필터 요소의 여과물 측에서 내부의 비여과물 측으로의 세정 유체의 차후 흡인의 실제 동작이 실현되고, 대부분 방사상 방향으로 필터 요소로 진입하는 세정 여과물은 필터 요소의 길이방향 정렬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입자 오염물의 세정을 실현한다. 상기 자유 낙하 효과의 결과로 인해서, 상기 세정 동작은 또한 가속화되고, 세정 측에서 필터 하우징에 존재하는 유체 입력 량은 고점성의 경우에도 거의 무저항 방식으로 세정 동작에 대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필터 요소로 진입하는 사용가능한 역세척 량으로서 작용한다.
역세척 라인 형태의 제 2 유체 운반 경로의 용적과 조합되는 개별 필터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는 용적은 상기 폐쇄 위치로의 상기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부분의 변위에 의해서, 양호하게는 급격하게 발생하는 폐쇄 후에, 역세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요소에 압력 충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필터 요소 및 제 2 유체 운반 경로의 각각의 자유 유체 단면들(A)은 대응하게 크게 치수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 길이(l)는 충분히 길게 치수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한 수학식 2는 증가하는 용적(V)에 따라서, 다시 말해서, 유체가 관통 유동하는 제 2 및 제 3 유체 운반 경로의 단면들(A) 및 길이(l)에 따라서, 역세척을 위해서 필터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한 유체의 일정한 밀도(p)를 취하는 경우에, 외부 방출될 유체의 질량(m)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세척을 위해서 사용가능한 작동될 유체의 에너지(W)는 수학식 1에 따라서 증가한다. 역세척을 위해 사용가능한 작동될 유체의 에너지(W)는 역세척을 위해 사용가능한 유체는 필터 요소의 내측에 아직 초기에 위치하는 이전 여과 프로세스로부터 비여과물의 양으로 이루어지고, 필터 장치의 내측 상의 블록킹 부분의 완전 폐쇄때까지 대응하게 뒤로 흐르고, 필터 요소의 외측과 필터 하우징의 내측 사이에서 후속 챔버에 있는 여과물의 양 그리고 적당하다면, 필터 장치의 세정측 또는 출구측 상으로 이미 운반된 여과물의 사전규정가능한 역류량은 여과물 격실을 향하여 뒤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스는 양호하게는 압력 제어 장치와 작동 연계되는 대응하는 밸브 제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출구측 또는 세정측에서 작동할 수 있다. 만약 역류 밸브가 개방되고 역류 라인이 대응하게 큰 라인 길이, 양호하게는 수직 안내를 갖는 다운파이프로서 형성되면, 차후 흡인 영향 또는 압력 쇼크 영향은 입자 오염물을 대한 출구측 상의 라인 안내 및 역세척 안내에서 다수의 전환들이 존재하는, 종래 기술의 해결방안과 대조적으로 단일 필터 요소들의 역세척 중에 더욱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파이프 설계로 인하여, 이동될 유체량은 중력으로 인하여 역세척 시에 가속되고, 이는 세정 성능을 더욱 개선한다.
상기 필터 요소는 원추형, 양호하게는 슬롯형 체관(sieve tube) 형태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필터 요소의 테이퍼링의 증가에 따라서 포트형 수용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 요소를 둘러싸는 여과물 격실이 넓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 요소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기 수용 부분에 수용된다.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여과를 위하여 그리고 역세척을 위하여 양자 모두에 대해서 최적의 유동 조건이 얻어지게 하는데, 그 이유는 단면이 그에 따라서 필터 요소의 내부에서 제 2 유체 운반 경로를 향하여 그리고 필터 요소의 외부에서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을 향하여 증가하게 넓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테이퍼링 연장은 유리하게는 역세척 중에, 상기 원추형 필터 요소의 내부에서 개방된 역세척 밸브의 경우에 역세척 라인을 향하여 등속성 유동 코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등속성 유동 코스는 균일한 차후 흡인 효과가 필터 요소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발생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필터 요소는 예를 들어 단부에 있는 한 영역 뿐 아니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크게 역세척되어서, 필터 요소의 내부에 부착된 입자 오염물이 균일하게 세척된다. 단일 요소 솔루션은 그 다음 전체 오염물 수집 용량으로 여과에 대해서 사용가능하고, 이 목적을 위해서 역세척 밸브는 폐쇄되어야 하고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밸브는 양호하게는 최대 개방 위치까지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압력 제어 장치는 양호하게는 공압 작동식 실린더 형태의 구동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부분은 감소된 질량을 갖는 플레이트형 또는 접시(saucer)형으로 형성된다. 공압 제어 작동 실린더를 사용하여, 최대 개방 위치에서 완전 폐쇄된 차단 위치로 그리고 반대로 급하게, 말하자면 급변 방식으로 차단 부분을 변위시킬 수 있다. 특히, 필터 장치 안으로 삽입된 필터 요소가 고형 금속 재료로 제조된 소위 슬롯형 체관으로 구성될 때, 따라서 필터 요소가 압력 충격으로 손상되지 않고 강력한 압력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블록킹 부분의 플레이트형 또는 접시형 형성으로 인하여, 추가로 필터 요소의 비여과물 입구의 영역에서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유체 운반 경로들의 큰 단면을 취급할 수 있고, 이는 비여과물측 상의 유체가 비록 대형 입자들의 형태일 때에도 상당한 입자 오염물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가 출력측에서 여과물을 위한 필터 장치의 유체 연결 지점에 연결된다. 상기 탱크는 각각의 필요한 역세척으로 인하여 불연속적인 여과물의 공급에 의해서 유발된 필터 장치 이후의 유체 유동의 변화를 보상하도록 보상 장치 또는 버퍼로서 작용한다. 충분한 치수를 갖는 탱크는 여과된 유체를 유체 유동 방향으로 볼 때 하류에 위치하고 유압 공급 회로의 구성요소, 필터 장치와 함께 있는 기계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러한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를 역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필터 요소의 내부에서 역세척 라인으로 유체 운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역세척 밸브를 개방시키는 단계;
b) 상기 비여과물이 상기 필터 요소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역세척 라인 안으로 흐르게 허용하는 단계;
c) 압력 제어 장치의 블록킹 부분을 차단 위치로 변위시키고 따라서 여과물 격실로부터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필터 요소를 통해서 여과물을 흡인하는 흡인 효과가 생성되고 따라서 상기 필터 요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체 유동의 스톨(stall)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필터 요소의 내부를 비여과물로 채우기 위해 상기 블록킹 부분을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역세척 밸브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킹 부분은 최대 2초 동안, 양호하게는 최대 1초 동안 그리고 더욱 양호하게는 최대 0.5초 동안 역세척 작동을 위해 차단 위치에서 잔류하고 그 다음 여과 프로세스의 잔여부 대해서 최대 개방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의 사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필터 장치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필터 요소의 사시 섹션에 기초하여 역세척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역세척에서 필터 요소를 형성하는 등속성 유동 코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필터 요소(1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10)를 도시한다. 필터 요소(12)는 비여과물 또는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을 갖는 필터 하우징(14) 내에 수용된다.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은 필터 요소(12)에 의해서 유체 운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필터 하우징(14)은 헤드 부재(20) 및 포트형 수용 부분(22)으로 구성된다. 헤드 부재(20)는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을 가진다. 비여과물이 비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16)으로부터 제 1 유체 운반 경로(24)를 따라서 필터 요소(12)의 내부를 향하여 안내된다. 제 1 유체 운반 경로(24)는 전환부(26)에서 직각으로 연장된다. 유체는 그 다음 여과 동작 중에 필터 요소(12)를 통해서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하고, 오염물, 특히 입자 오염물은 필터 요소(12)이 내측(28)에 부착된다. 장치로부터 여과물의 제거를 위하여 다른 유체 운반 경로(34)에 의해서 필터 하우징(14)의 유체 연결 지점(18)에 연결되는 여과물 격실 또는 여과물 측(32)이 필터 요소(12)의 외측(30)에 있다.
필터 요소(12)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필터 요소(12)는 양호하게는 30㎛ 내지 3000㎛의 필터 미세도를 갖는 슬롯형 체관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필터 요소(12)는 또한 다층 와이어 메쉬, 양호하게는 소결되는 특히 3층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요소(12)는 대체로 25㎛ 내지 100㎛의 필터 미세도를 가진다. 이러한 필터 요소(12)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여과 작업에서의 그 용도는 표준화되어서, 그 구성은 더욱 상세하게 언급되지 않는다. 필터 요소(12)는 상기 필터 요소(12)의 테이퍼링의 증가에 따라서, 수용 부분(22)에 형성되고 필터 요소(12)를 둘러싸는 여과물 격실(32)이 도 2의 투시 방향으로 볼 때 단면에서 상향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필터 하우징(14)의 포트형 수용 부분(22)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필터 장치(10)가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solution)으로 형성되고 사전규정가능한 교환시에 그리고 연속적 시기에서, 상기 단일 필터 요소(12)가 여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를 사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는 구성이 예상된다. 유체에 존재하고 필터 요소에 의해서 세정되어야 하는 입자 오염물의 양에 따라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과 동작은 각각의 역세척 동작보다 더욱 많이 수행된다. 여과 동작 자체에서, 입자 오염물은 종종 필터 요소(12)의 내측(28)에 부착된다. 이는 유체 연결 지점들(16, 18) 사이에서 압력차의 증가를 유도한다. 역세척 동작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거나 또는 기술되지 않은 차등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점에서, 소정 압력차가 초과될 때, 역세척은 그 다음 자동으로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제어 또는 수동 방식으로 역세척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 요소(12)는 입자 오염물을 세정하기 위한 역세척을 위해 또는 미여과물의 여과를 위한 양쪽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10)는 역세척 동작을 작동시키는 압력 제어 장치(36)를 가지며, 역세척될 필터 요소(12)의 입자 오염물의 세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제어 장치에 의해서 차후 흡인 효과가 발생된다.
제 1 유체 운반 경로(24)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의 변위가능한 블록킹 부분(40)에 의해서 비여과물측에서 상기 필터 요소(12)의 입력측(38) 및 상기 비여과물 연결 지점(16)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부분 차단 위치에서, 상기 블록킹 부분(40)은 밸브 시트(42)와 함께 일종의 노즐 또는 제한 지점을 형성하고, 이들에 의해서 상기 비여과물의 유체 유동은 상기 필터 요소(12)의 중심(44)을 향하여 그리고 추가로 도 2의 투시 방향으로 볼 때 하향으로 더욱 가속화될 수 있고, 그 효과는 필터 요소(12)의 하향 확대 출력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블록킹 부분(40)은 필터 요소(12)의 입력측(38) 상의 개방 단면을 가능하게 크게 덮을 수 있도록 플레이트형 또는 접시(saucer)형으로 형성된다. 블록킹 부분(40)은 상기 전환부(26)에서 해제 개방 위치(OS)로부터 차단 위치를 향하여 수직 정렬 벽 형태의 안내부(46)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6)는 필터 하우징(14)의 헤드측에서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상기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블록킹 부분(40)은 공압 작동식 실린더(48)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공압 작동식 실린더는 그 개시 위치 또는 개방 위치(OS)와 부분 또는 완전 셧오프(shut-off)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스톤 로드 또는 작동 로드(50)에 의하여 헤드 부재(20)의 상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완전히 개방된 차단 부분 위치는 도 2에 도시된다.
상기 필터 요소(12)는 상기 필터 하우징(14) 내의 2개의 유체 운반 용기들(52, 54) 사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수용 지점들에서 압력 기밀 방식으로 상기 용기들에 연결된다. 하나의 용기(52)는 상기 제 1 유체 운반 경로(24)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역세척 라인 형태의 제 2 유체 운반 경로(56)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필터 하우징(14)으로부터 이어지고 역세척 밸브(58), 특히 2/2 방향 밸브에 의해서, 공압 작동식 실린더(6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 3 유체 운반 경로(62)가 특히 상기 필터 요소(12)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라서 직선으로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 및 상기 역세척 밸브(58) 사이에서 연장된다. 블록킹 부분(40) 및 밸브(58)에 대한 공압 구동 시스템은 또한 전기 서보모터 또는 전기 작동식 마그네트 장치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 라인(56) 및 상기 필터 요소(12)의 내부(44)에 의해서 구성되는 조합 용적은 상기 차단 위치로의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의 블록킹 부분(40)의 빠른 변위에 의해서, 역세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요소(12)에 압력 충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필터 장치는 여과물의 방출을 위한 유체 연결 지점(18)에 의해서 유압 시스템(64)의 일부로서 탱크(T)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는 비록 필터 장치가 역세척 모드에 있을 때에도 예를 들어 탱크(T)로부터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이동형 기계 부분들과 같이 탱크(T)에 연결된 추가 유압 구성요소들에 대한 저장 장치로서 작용한다. 밸브(미도시)는 유리하게는 탱크(T)와 필터 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확실한 작동을 위해 압력 제어 장치와 협력하고 임의의 경우에 탱크(T)로부터의 잔여물 또는 공기의 바람직하지 않은 차후 흡인을 회피하기 위하여 역세척 동작의 일부로서 폐쇄된다. 따라서, 또한, 탱크측 또는 장치측에 배열된 밸브에 의해서 필터 장치의 여과측에 역세척량을 규정할 수 있어서, 최소 입력 용적을 갖는 정확하게 분할가능한 역세척량들(패키지들)이 필터 장치에서 사용가능하고, 이는 그 다음 가끔 고점성에도 불구하고 그 전체 용적으로 그리고 역세척 동작에 대한 즉각적 방식으로 상당히 가속화될 수 있다.
여과 동작에서, 비여과물은 관련 유체 연결 지점(16)에서 필터 장치(10)의 헤드 부재(20) 안으로 흐르고 필터 요소(12)의 내부를 향하여 전환부(26)에서 전환된다. 필터 요소(12)에는 유체가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흐르고, 오염물은 필터 요소(12)의 내측(28)에 모아진다. 여과물 측(32)은 필터 요소(12)의 외측(30)에 형성되고, 여과물 측은 헤드 부재(20)에 있는 대응 개방부(66)에 의해서 여과를 위하여 유체 연결 지점(18)에 연결된다.
필터 요소(12)를 역세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필터 장치의 하측(68) 상의 역세척 밸브(58)는 필터 요소(12)의 내측(44)에서 역세척 라인(56)으로의 유체 운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이 방식에서, 비여과물은 축방향으로 가속화될 때 필터 요소(12)의 내벽으로부터 입자 오염물(72)의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도록 그에 따라 형성된 낙하 라인을 따라서 필터 요소(12)를 통해서 역세척 라인(56)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 요소(12)의 추가 역세척을 유발하기 위하여, 압력 제어 장치(36)의 블록킹 부분(40)은 그 다음 차단 위치로 변위되고 필터 요소(12)로부터 잔여 입자 오염물(72)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필터 요소(12)를 통해서 방사상 방식으로 여과물 격실(32)로부터 여과물(70)을 흡인하는 흡인 효과가 생성되도록 필터 요소(12)의 내측 상의 유체 유동의 스톨이 발생된다.
상기 도 3은 실질적으로 필터 요소(12)를 형성하는 슬롯형 체관의 섹션을 도시한다. 와이어는 서로 대면하고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테이퍼형 길이방향 로드들을 따라서 순환 방식으로 권취되고 상기 길이방향 로드들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테이퍼형 단면 연장부는 유출측에서 여과 동작 중에 유체에 대한 낮은 저항성을 나타내도록 그리고 폭확대 방식으로 각각의 인접 연결 와이어 코일 협소 통로 갭들을 가지고 유입측에 형성되도록 여과측(32)을 향하여 외측으로 테이퍼지고, 이는 입자 오염물(72)이 필터 장치의 세정측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조적으로, 도 3에 개략적 방식으로 도시된 역세척 동작 시에, 따라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와이어 코일들은 원추형 외향 확대 유입 펀넬로 테이퍼링되는 외향 배향 원추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는 바닥측에서 필터 요소(12)를 갖는 필터 장치로부터의 상술한 출력 동작에 대하여 필터 요소(12)의 내부(44)를 향하여 이전 여과에서 축적된 입자 오염물(72)을 운반하기 위하여 자유 갭 단면을 향하여 유체의 가속화된 안내가 가능하게 한다.
역세척 중에, 등속성 유동 코스(74)는 일반적으로 원추형 필터 요소(12)의 내부(44)에서 도 4에 도시된 유동 화살표에 의해서 표시된, 특히 원추형의 슬롯형 체관으로 인하여 역세척 밸브(58)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등속성 유동 코스(74)로 인하여, 필터 요소(12)의 내부 상의 역류 여과물은 그 길이(I)에 걸쳐 대략 도일한 유동 에너지를 가지며 기술된 가속 효과로 인하여, 자체 유동 속도는 개방된 역세척 밸브(58)를 향하여 그리고 이에 연결된 낙하 라인형 역세척 라인(56)을 향하여 하향 방향으로 추가로 증가할 수 있다. 역세척 동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블록킹 부분(40)은 임의의 경우에 다시 도 2에 도시된 개방 위치(OS)로 뒤로 변위되고 필터 요소(12)의 내부(44)는 필터 요소(12)의 내부(44)로부터 입자 오염물(72)을 세척하기 위하여 비여과물로 간략하게 헹구어진다. 마지막으로, 역세척 밸브(58)는 정상 필터 작동이 재개되는 상태에서 필터 장치(10)를 배치하기 위하여 다시 폐쇄된다.
여기서, 블록킹 부분(40)은 최대 2초 동안, 양호하게는 최대 1초 동안, 더욱 양호하게는 최대 0.5초 동안 블로킹 위치에서 필터 요소(12)의 역세척을 위해 잔류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역세척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10)는 단일 필터 요소(12)만을 가지며, 이러한 이유만으로, 상기 필터 장치는 매우 컴팩트하고 공간 절약 방식으로 그리고 또한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의 컴팩트한 구성은 상기 솔루션을 제한된 공간에서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기계 공구와 같이 이미 설치된 기계류 장치에서 재개장할 수 있다. 특히, 작업 부재들의 가공은 종종 윤활유, -냉각 및 유압 유체의 상당한 입자 오염물(72)과 연관된다. 이들 오염물들은 시간 기반 또는 요구 기반 역세척으로 인하여 실제 여과 동작 동안 특히 긴 서비스 수명을 갖는 필터 요소(12)를 갖는 필터 장치(10)에 의해서 신뢰성있게 여과될 수 있다. 분리 속도는 매우 높은데, 이는 입증된 품질의 토우 필터 요소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체 연결 지점(16)에서 비여과물에 대한 특히 높은 압력의 유체는 유체를 신뢰성있게 여과하고 역세척을 유발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단지 요구사항은 적어도 0.7바아(=70kPa)의 입력 압력이다. 필터 장치(10)에서의 압력 손실은 일반적으로 대략 0.5 바아(=50kPa)이다. 필터 장치(10)에서 유체 운반 경로들(24,56,62)의 큰 단면으로 인하여, 필터 장치의 임의의 작동 상태에서 필터 요소(12)에 대한 원하지 않는 차단의 위험성이 최소화된다는 점에서 다른 장점이 있다.
비여과측에서 필터 요소(1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유체 용적은 대략 0.3 내지 0.6 리터, 양호하게는 0.4 리터이다. 필터 하우징(14) 내의 여과측에서의 용적인 대략 1 내지 4 리터, 양호하게는 대략 2리터이다. 따라서, 필터 하우징(14) 대 필터 요소(12)의 양호한 용적 비율은 대략 5:1이지만; 2:1 내지 7:1의 비율 값들도 역시 예상할 수 있다. 입구 연결부(16)에서 그리고 필터 요소(12)의 출구 및 밸브(58) 사이의 런-오프(run-off) 영역에서 그리고 그에 따른 비여과물측에서의 유체 용적은 대략 0.1 내지 0.4 리터, 양호하게는 대략 0.2리터이다. 여과물 측에서 출구 연결부(18)의 유체 용적은 대략 0.1 내지 0.4 리터, 양호하게는 대략 0.23리터이다. 필터 하우징(14) 대 필터 요소(12)의 대략 5:1의 용적 비율로 인하여, 비록 고점성 유체의 역세척에서도 필터 요소(12)에서의 상술한 자체 세정 동작이 이루어졌다. 여과물측의 필터 하우징(14) 내부의 용적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터 하우징(14) 내의 가능한 전체 유체 용적은 필터 요소(1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적은 유체량으로 고려된다.

Claims (13)

  1.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을 갖는 필터 하우징(14) 내에 수용된 필터 요소(12)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로서, 상기 요소는 상기 비여과물을 여과하기 위해 또는 입자 오염물(72)의 세정을 위한 역세척을 위해 양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장치는 또한 역세척될 상기 필터 요소(12)에서 입자 오염물(12)의 세정을 개선하기 위해 차후 흡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압력 제어 장치(36)를 포함하는, 상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치(10)가 단일 필터 요소 솔루션(solution)으로 형성되는 것 그리고 사전규정가능한 교환시에 상기 단일 필터 요소(12)가 여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를 사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상기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은 상기 필터 하우징(14)의 헤드 부재(20)에 배열되고 상기 필터 요소(1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 그리고 상기 필터 요소(12)의 입력측(38) 및 상기 비여과물 연결 지점(16) 사이의 제 1 유체 운반 경로(24)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의 변위가능한 블록킹 부분(4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셧오프(shut-off)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셧오프 위치에서, 상기 블록킹 부분(40)은 밸브 시트(42)와 함께 노즐을 형성하고, 상기 비여과물의 유체 유동은 상기 노즐에 의해서 상기 필터 요소(12)의 내부(44)를 향하여 가속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운반 경로(24)는 상기 헤드 부재(20)에 있는 전환부(diversion;26)에서 일정 각도로, 양호하게는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 그리고 상기 블록킹 부분(40)은 상기 전환부(26)에서 해제 개방 위치(OS)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안내부(46)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안내부는 비여과물 및 여과물에 대한 상기 유체 연결 지점들(16, 18)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12)는 상기 필터 하우징(14) 내의 2개의 유체 운반 용기들(52, 54)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용기들(52, 54) 안으로 변이되며, 상기 용기들(52, 54) 중 하나는 상기 제 1 유체 운반 경로(24)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역세척 라인(56) 형태의 제 2 유체 운반 경로(56)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체 운반 경로는 상기 필터 하우징(14)으로부터 이어지고 역세척 밸브(58), 특히 2/2 방향 밸브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유체 운반 경로(62)가 직선으로, 특히 상기 필터 요소(12)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라서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 및 상기 역세척 밸브(58)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라인(56) 및 상기 필터 요소(12)의 내부(44)에 의해서 구성되는 조합 용적은 상기 폐쇄 위치로의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의 블록킹 부분(40)의 변위에 의해서, 역세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요소(12)에 압력 충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12)는 원추형, 양호하게는 슬롯형 체관(sieve tube) 형태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필터 요소(12)의 테이퍼링의 증가에 따라서 포트형 수용 부분(22)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 요소(12)를 둘러싸는 여과물 격실(32)이 넓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 요소(12)는 상기 필터 하우징(14)의 상기 수용 부분(22)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역세척 중에, 등속성 유동 코스(74)가 상기 원추형 필터 요소(12)의 내부에서 상기 역세척 밸브(58)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는 양호하게는 공압 작동식 실린더 형태의 구동 시스템(48)을 가지는 것 그리고/또는 상기 압력 제어 장치(36)의 블록킹 부분(40)은 플레이트형 또는 접시(saucer)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
    탱크(T)가 여과물을 위한 필터 장치의 유체 연결 지점(18)에 연결되는, 유압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필터 요소(12)를 역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필터 요소(12)의 내부에서 역세척 라인(56)으로 유체 운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역세척 밸브(58)를 개방시키는 단계;
    b) 비여과물이 상기 필터 요소(12)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역세척 라인(56) 안으로 흐르게 허용하는 단계;
    c) 압력 제어 장치(36)의 블록킹 부분(40)을 차단 위치로 변위시키고 따라서 여과물 격실(32)로부터 여과물(70)을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필터 요소(12)를 통해서 흡인하는 흡인 효과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유체 유동의 스톨(stall)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필터 요소(12)의 내부를 비여과물로 채우기 위해 상기 블록킹 부분(40)을 개방 위치(OS)로 변위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역세척 밸브(58)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세척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부분(40)은 최대 2초 동안, 양호하게는 최대 1초 동안 그리고 더욱 양호하게는 최대 0.5초 동안 차단 위치에서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방법.
KR1020177014876A 2014-12-03 2015-08-27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 KR102500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7860.9A DE102014017860A1 (de) 2014-12-03 2014-12-03 Filtervorrichtung, Hydrauliksystem und Rückspülverfahren
DE102014017860.9 2014-12-03
PCT/EP2015/001746 WO2016087011A1 (de) 2014-12-03 2015-08-27 Filtervorrichtung, hydrauliksystem und rückspül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559A true KR20170092559A (ko) 2017-08-11
KR102500890B1 KR102500890B1 (ko) 2023-02-20

Family

ID=5425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876A KR102500890B1 (ko) 2014-12-03 2015-08-27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05980B2 (ko)
EP (1) EP3226996B1 (ko)
JP (1) JP6585715B2 (ko)
KR (1) KR102500890B1 (ko)
CN (1) CN107106949B (ko)
DE (1) DE102014017860A1 (ko)
WO (1) WO2016087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2283A1 (de) 2017-03-10 2018-09-13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für eine Werkzeugmaschine
JP7219475B2 (ja) * 2017-11-17 2023-02-08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IT201800002685A1 (it) * 2018-02-14 2019-08-14 Ivar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la filtrazione di un fluido circolante in un impianto termoidraulico
IT201800006093A1 (it) * 2018-06-06 2019-12-06 Dispositivo e metodo per la filtrazione di un fluido circolante in un impianto termoidraulico
MA53600A (fr) * 2018-09-10 2021-07-21 Ivar Spa Dispositif et procédé de filtrage d'un fluide circulant dans un système de plomberie et de chauffage
DE102020133470B4 (de) * 2020-12-15 2023-12-21 Mack Gmbh 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Filteranordnung
RU206091U1 (ru) * 2021-03-29 2021-08-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ифоил" Фильтр жидкостной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2676A (en) * 1969-08-21 1970-11-24 Universal Oil Prod Co Self-cleaning screen basket
DE2754594A1 (de) * 1977-12-08 1979-06-13 Schultz Johannes Vorrichtung zum kombinierten rueckspuelen und/oder abspuelen eines fluessigkeitsfilters
JP2011502771A (ja) * 2007-11-16 2011-01-27 ハイダック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8983A (en) * 1920-09-04 1922-12-19 George W Collin Self-cleaning strainer for fluids
US1467464A (en) * 1921-09-29 1923-09-11 Hampden Brass Company Safety faucet
US1500820A (en) * 1922-06-02 1924-07-08 John L Jones Valve
US2024753A (en) * 1933-09-06 1935-12-17 Zwicky Ltd Filter
US3394812A (en) * 1963-07-10 1968-07-30 Dynalectron Corp Hydraulic system conditioning apparatus
JPS485379U (ko) * 1971-06-04 1973-01-22
DE3247440C2 (de) 1981-09-25 1986-01-16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Filterapparat
DE3138184A1 (de) 1981-09-25 1983-04-14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Filterapparat
DE19956859A1 (de) * 1999-11-25 2001-06-07 Hydac Filtertechnik Gmbh Rückspülfiltervorrichtung
JP4345318B2 (ja) * 2003-02-18 2009-10-14 栗田工業株式会社 浮上濾過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2676A (en) * 1969-08-21 1970-11-24 Universal Oil Prod Co Self-cleaning screen basket
DE2754594A1 (de) * 1977-12-08 1979-06-13 Schultz Johannes Vorrichtung zum kombinierten rueckspuelen und/oder abspuelen eines fluessigkeitsfilters
JP2011502771A (ja) * 2007-11-16 2011-01-27 ハイダック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7011A1 (de) 2016-06-09
DE102014017860A1 (de) 2016-06-09
CN107106949B (zh) 2019-12-17
US10905980B2 (en) 2021-02-02
EP3226996B1 (de) 2019-08-14
JP2018501088A (ja) 2018-01-18
KR102500890B1 (ko) 2023-02-20
EP3226996A1 (de) 2017-10-11
US20170333816A1 (en) 2017-11-23
JP6585715B2 (ja) 2019-10-02
CN107106949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559A (ko) 필터 장치, 유압 시스템 및 역세척 방법
KR102388304B1 (ko) 여과 장치
US6461513B1 (en) Secondary-flow enhanced filtration system
KR101464573B1 (ko) 자성 여과 장치
US8518274B2 (en) Filter device operating method
US10780378B2 (en) Process for filtration of fluids and filter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rocess
JP2008517754A (ja) 同心フィルタ要素を有するクロス・フロー・フィルタ・デバイス
JP2007038205A (ja) 濾過装置
KR200475293Y1 (ko)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필터형 시료 전처리 시스템
US10328365B2 (en) Transverse flow self-cleaning strainer
JP5014141B2 (ja) 流体内の懸濁液中または溶液中の粒子を含む素材を濾過する方法
JP6469198B1 (ja) 濾過装置
JP2018507099A5 (ko)
US5762783A (en) Filter flushing arrangement
US20130233414A1 (en) Quiescent Zone Fluid Filter
US20080099399A1 (en) Filtration system
JP3394490B2 (ja) 濾過装置
JP2000317224A (ja) 濾過装置、その保守方法及び濾過器
WO2014054086A1 (ja) 流体浄化装置
US20130180908A1 (en) Filter Backflush System for Entrained Filtration Elements
CN202467724U (zh) 洗井液处理设备
EP1792645A1 (en) Combination wash and barrier filter
JP6190433B2 (ja) 濾過装置
JP2021518258A (ja) 再使用可能オイルフィルタを含むシステム
CN106178634B (zh) 一种高效吸污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