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022A - 양변기 세척기구 - Google Patents

양변기 세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022A
KR20170092022A KR1020160013031A KR20160013031A KR20170092022A KR 20170092022 A KR20170092022 A KR 20170092022A KR 1020160013031 A KR1020160013031 A KR 1020160013031A KR 20160013031 A KR20160013031 A KR 20160013031A KR 20170092022 A KR20170092022 A KR 2017009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toilet bowl
cover
flow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210B1 (ko
Inventor
김운수
Original Assignee
김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수 filed Critical 김운수
Priority to KR102016001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기로 된 변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변기 커버; 상기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세척하는 변기 세척부; 변기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세척신호 입력부; 및 상기 세척신호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기 세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세척기구{Cleaning device for a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양변기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라고도 불리는 양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를 가리킨다. 아파트 등의 모든 건물에 양변기가 적용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기로 된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변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변기 커버는 통상의 좌판(좌대)일 수도 있고 아니면 소위, 비데라 불리는 커버일 수도 있다.
한편, 여성과 달리 남성의 경우에서는 서서 소변을 보기 때문에 소변이 양변기의 벽면, 특히 상부의 내벽으로 튈 수 있는데, 샤워호스 등을 이용해서 별도로 세척을 하지 않는 한 양변기를 청결하게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의 벽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 세척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3334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179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473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067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양변기 세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도기로 된 변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변기 커버; 상기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세척하는 변기 세척부; 변기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세척신호 입력부; 및 상기 세척신호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기 세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변기 세척부는, 상기 변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켓(pocket)에 배치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물 탱크로부터의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물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이 유동되는 라인을 이루는 물 유동라인; 상기 물 유동라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되 상기 물 유동라인을 통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 상기 물 유동라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되 상기 물 유동라인을 통해 물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펌프; 및 일단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밸브가 온(on)되고 상기 펌프가 동작될 때, 상기 물 저장부 내의 물을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으로 분사하는 물 분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모듈은 물 분사용 파이프일 수 있으며, 상기 물 분사용 파이프는, 상기 물 저장부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수직 구간부; 및 상기 수직 구간부와 연통되고 단부가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 커버는, 상기 물 저장부를 둘러싸되 앉는 자리를 형성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하부 일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 바디와 함께 상기 물 저장부를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용 파이프의 수직 구간부에는 상기 경사 구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가 적용된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양변기 세척기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양변기 세척기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가 적용된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양변기 세척기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100)는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변기 커버(110), 변기 세척부(120), 세척신호 입력부(150), 그리고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변기 커버(110)는 변기 본체(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참고로, 변기 본체(130)는 도기로 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용변이 저장되는 저장부(130a)가 형성되며, 저장부(130a)는 배출라인(130b)에 연결된다. 변기 본체(130)의 상부 일측에는 물 탱크(132)가 갖춰진다.
본 실시예에서 변기 커버(110)는 통상의 좌판(좌대) 구조를 가지며, 변기 본체(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변기 커버(110)의 일측에는 힌지(H)에 의해 변기 커버(110)와 상대회전이 가능한 커버 덮개(115)가 마련된다. 힌지(H)로 인해 변기 커버(110)와 커버 덮개(115)는 개별적으로 혹은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변기 세척부(120)는 변기 커버(110)에 결합되며,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기 세척부(120)는 모듈(module) 형태로 제작되며, 변기 본체(130) 내의 포켓(pocket, 110a)에 배치되어 물 탱크(1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변기 세척부(120)는 물 저장부(121), 물 유동라인(122), 밸브(123), 펌프(124), 그리고 물 분사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저장부(121)는 변기 커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켓(110a)에 배치되며, 변기 본체(13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물 탱크(132)로부터의 물이 저장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처럼 물 저장부(121)는 변기 커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켓(110a)에 배치될 수 있게끔 변기 커버(110)는 물 저장부(121)를 둘러싸되 앉는 자리를 형성하는 커버 바디(111)와, 커버 바디(111)의 하부 일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 바디(111)와 함께 물 저장부(121)를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11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121)를 설치하거나 유지보수하려 할 때, 커버 바디(111)에 대해 커버 플레이트(112)를 분리하거나 회전시켜 작업하면 된다.
물 유동라인(122)은 물 저장부(121)와 물 탱크(132)에 연결되며, 물 탱크(132)에서 물 저장부(121)로 물이 유동되는 라인을 이룬다. 물 유동라인(122)이 물 저장부(121)와 물 탱크(132)에 연결되려면 커넥터나 유니온 등의 연결부품이 필요하나 도면에는 편의상 생략했다.
밸브(123)는 물 유동라인(122)의 일측에 마련되며, 컨트롤러(160)에 의해 컨트롤되되 물 유동라인(122)을 통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123)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펌프(124)는 물 유동라인(122)의 타측에 마련되며, 컨트롤러(160)에 의해 컨트롤되되 물 유동라인(122)을 통해 물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 분사모듈(125)은 그 일단부는 물 저장부(121)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향해 배치되며, 밸브(123)가 온(on)되고 펌프(124)가 동작될 때, 물 저장부(121) 내의 물을 변기 본체(130)의 벽면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 분사모듈(125)은 물 분사용 파이프(125)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물 분사용 파이프(125)는 물 저장부(121)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수직 구간부(125a)과, 수직 구간부(125a)와 연통되고 단부가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물 분사모듈(125)에 경사 구간부(125b)가 적용됨으로써, 변기 본체(130)의 벽면 상부 영역을 좀 더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세척신호 입력부(150)는 변기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신호 입력부(150)는 변기 커버(110)의 일측에 버튼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60)는 세척신호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변기 세척부(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컨트롤러(160)는 세척신호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밸브(123)와 펌프(124)의 동작이 온(on)되도록 컨트롤함으로써, 물 분사모듈(125)을 통해 물 저장부(121) 내의 물을 변기 본체(130)의 벽면으로 분사되어 변기 본체(130)의 벽면이 세척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세척신호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변기 세척부(12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110)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110)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세척신호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변기 세척부(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60)가 세척신호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변기 세척부(12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200) 역시, 커버 바디(211) 및 커버 플레이트(212)를 구비하는 변기 커버(210)와, 변기 커버(210) 내에 마련되는 변기 세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 세척부(120)는 전술한 것처럼 물 저장부(121), 물 분사모듈(125)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변기 커버(210)는 통상의 좌대가 아닌 비데용 변기 커버(210)로 적용되고 있는데, 본 실시예처럼 비데용 변기 커버(210)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 도 2 참조)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300) 역시, 포켓(110a)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 바디(111) 및 커버 플레이트(112)를 구비하는 변기 커버(110)와, 변기 커버(110) 내에 마련되는 변기 세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 세척부(320)는 물 저장부(121), 물 유동라인(122), 밸브(123), 펌프(124), 그리고 수직 구간부(325a)와 경사 구간부(325b)를 구비하는 물 분사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변기 세척부(320)의 수직 구간부(325a)에는 경사 구간부(325b)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25c)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325c)는 모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부(325c)가 적용되어 경사 구간부(325b)가 회전될 경우, 변기 본체(130)의 벽면 모두를 깨끗이 세척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400) 역시, 포켓(110a)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 바디(111) 및 커버 플레이트(112)를 구비하는 변기 커버(110)와, 변기 커버(110) 내에 마련되는 변기 세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 세척부(420)는 물 저장부(121), 물 유동라인(122), 밸브(123), 펌프(124), 그리고 물 분사모듈(4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물 분사모듈(425)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물 분사모듈(425)은 파이프 연장용 구동부(425a)와, 파이프 연장용 구동부(425a)에 대해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는 길이 조절 파이프(425b)와, 길이 조절 파이프(425b)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 연장 파이프(425c)와, 절곡 연장 파이프(425c)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사형 노즐 헤드(425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경사형 노즐 헤드(425d)와 연결되는 길이 조절 파이프(425b)가 파이프 연장용 구동부(425a)에 연결되어 파이프 연장용 구동부(425a)로 인해 실선에서 점선, 또는 점선에서 실선으로 구동될 경우, 변기 본체(130)의 벽면 모두를 깨끗이 세척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양변기 세척기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500) 역시, 변기 커버(110), 변기 세척부(120), 세척신호 입력부(150), 그리고 컨트롤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500)에는 세제투입을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세제투입 입력부(550)와, 세제투입 입력부(5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560)에 의해 컨트롤되면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세제 투입부(580)는 변기 커버(110) 내에 마련되는 세제 트레이(581)와, 세제 트레이(581) 내의 세제를 펌핑하는 세제 펌프(582)와, 세제 트레이(581) 및 세제 펌프(582)를 연결하는 세제 라인(583)과, 세제 펌프(582)에 연결되고 단부가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향해 배치되는 세제 분사 라인(5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세제투입 입력부(550)를 입력하면 컨트롤러(560)가 세제 투입부(580)의 세제 펌프(582)가 동작되도록 컨트롤함으로써, 세제 분사 라인(584)을 통해 세제가 변기 본체(130)의 벽면으로 향할 수 있게 되며, 이후에 변기 세척부(120)를 통해 물이 변기 본체(130)의 벽면으로 분사됨으로써, 더욱 깨끗하게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기 본체(130)의 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의 작동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세척기구(600) 역시, 물 분사모듈(625)을 포함한다.
이때, 물 분사모듈(625)은 변기 본체(130)의 상부면(133) 영역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양변기 세척기구(600)는 물 탱크(132) 측의 일부분에 마련되는 상하 이동용 레일(661)에 슬라이더(662)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662)의 상하 이동 동작은 별도의 버튼(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기구식으로 수동 동작될 수도 있다.
이에, 도 12에서 도 13처럼 슬라이더(662)가 상하 이동용 레일(661)에 의해 상부로 약간 업(up)되면 물 분사모듈(625)이 변기 본체(130)의 상부면(133) 영역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데, 특히 소변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변기 본체(130)의 상부면(133) 영역으로 물이 분사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본체(130)의 상부면(133) 영역을 물로 깨끗이 닦아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양변기 세척기구 110 : 변기 커버
110a : 포켓 111 : 커버 바디
112 : 커버 플레이트 115 : 커버 덮개
120 : 변기 세척부 121 : 물 저장부
122 : 물 유동라인 123 : 밸브
124 : 펌프 125 : 물 분사모듈(물 분사용 파이프)
125a : 수직 구간부 125b : 경사 구간부
130 : 변기 본체 132 : 물 탱크
150 : 세척신호 입력부 160 : 컨트롤러

Claims (4)

  1. 도기로 된 변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변기 커버;
    상기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세척하는 변기 세척부;
    변기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세척신호 입력부; 및
    상기 세척신호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기 세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척부는,
    상기 변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켓(pocket)에 배치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물 탱크로부터의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물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이 유동되는 라인을 이루는 물 유동라인;
    상기 물 유동라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되 상기 물 유동라인을 통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
    상기 물 유동라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되 상기 물 유동라인을 통해 물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펌프; 및
    일단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밸브가 온(on)되고 상기 펌프가 동작될 때, 상기 물 저장부 내의 물을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으로 분사하는 물 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모듈은 물 분사용 파이프이며,
    상기 물 분사용 파이프는,
    상기 물 저장부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수직 구간부; 및
    상기 수직 구간부와 연통되고 단부가 상기 변기 본체의 벽면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 커버는,
    상기 물 저장부를 둘러싸되 앉는 자리를 형성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하부 일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 바디와 함께 상기 물 저장부를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용 파이프의 수직 구간부에는 상기 경사 구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세척기구.
KR1020160013031A 2016-02-02 2016-02-02 양변기 세척기구 KR10181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31A KR101813210B1 (ko) 2016-02-02 2016-02-02 양변기 세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31A KR101813210B1 (ko) 2016-02-02 2016-02-02 양변기 세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22A true KR20170092022A (ko) 2017-08-10
KR101813210B1 KR101813210B1 (ko) 2017-12-29

Family

ID=5965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31A KR101813210B1 (ko) 2016-02-02 2016-02-02 양변기 세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5189A (zh) * 2022-01-25 2022-04-12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智能感应消毒杀菌空气净化马桶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59B1 (ko) 2021-01-22 2021-11-01 이경일 자동 변기 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83Y1 (ko) * 2000-03-17 2000-08-16 장병진 좌변기용 국부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5189A (zh) * 2022-01-25 2022-04-12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智能感应消毒杀菌空气净化马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10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10B1 (ko) 양변기 세척기구
JP2019042481A (ja) 自動洗浄装置、及び、自動洗浄装置の使用方法
TW202045797A (zh) 衛生洗淨裝置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JP2017048673A (ja) 水洗大便器
JP2008002138A (ja) 洋風便器装置
JPH11350578A (ja) 水洗式大便器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KR101958428B1 (ko) 좌변기 세척장치
JP7265698B2 (ja) 衛生洗浄装置
JP6921377B2 (ja) 便器装置
RU80863U1 (ru) Унитаз с поворотной чашей
JP2017066677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2504443B1 (ko) 절수형 친환경 좌변기
JP4188272B2 (ja) 便器装置
JP5849850B2 (ja) 衛生洗浄装置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JP2006233583A (ja) トイレ装置
JP2020130717A (ja) 風呂蓋および風呂システム
JP2013032645A (ja) 温水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JP2019154724A (ja) 浴室システム
JP7353585B2 (ja) 浴槽洗浄装置
KR200434589Y1 (ko) 변기 세척수 자동 공급장치
KR20210056856A (ko)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TW201634792A (zh) 沖水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