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28B1 - 좌변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28B1
KR101958428B1 KR1020180032019A KR20180032019A KR101958428B1 KR 101958428 B1 KR101958428 B1 KR 101958428B1 KR 1020180032019 A KR1020180032019 A KR 1020180032019A KR 20180032019 A KR20180032019 A KR 20180032019A KR 101958428 B1 KR101958428 B1 KR 10195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at
main body
supply pip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8003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 하부에 물이 분사되는 물분사호스를 설치하여 물분사호스에서 물이 본체의 상단면으로 분사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좌판을 덮게 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면서 본체 상단 및 좌판 하부에 분사되는 물분사부와, 상기 물분사부에 설치되어 물공급관에서 물분사부로 물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물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좌판 하부에 물이 분사되는 물분사호스를 설치하여 물분사호스에서 물이 본체의 상단면으로 분사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변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좌변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덮개(1), 좌판(2), 본체(3)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1에서 보듯이 재래식 변기와 달리 사용시 의자처럼 좌판(2)에 앉아 용변을 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직접 피부에 닿는 접촉부분인 좌판(2)은 청결과 위생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대소변으로 오염될 수 있는 좌변기 본체와 좌변기 주변의 청결과 위생도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좌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좌판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상 좌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좌판(2)을 들어올려 소변을 보게 됨에 따라 좌판(2)에는 소변이 묻지 않게 되나, 좌판(2)을 올린 상태로 소변을 보게 되면 본체(3)의 상단부와 좌변기 주변에 소변이 묻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어찌할 수 없이 직접 닦아 내거나 물을 부어 청소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방법은 그 자체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나 상가에서는 좌변기를 자주 청소할 수 없기 때문에 청결 상태가 불량하여 이용자들에게는 불쾌감을 주며, 양호한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므로 관리자에게는 관리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좌변기를 갖춘 공공장소나 상가의 화장실은 일반적으로 좋지 못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세균의 번식 등의 위생적으로 불결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좌변기의 본체 상단에 묻은 소변 등 오물을 좌판의 하부에 설치된 물분사호스를 통해 분사시켜 본체 상단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좌변기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좌판을 덮게 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의 하부에 보조대를 통과하여 설치되고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면서 본체 상단 및 좌판 하부에 분사되는 물분사부와, 상기 물분사부에 설치되어 물공급관에서 물분사부로 물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물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는 좌판의 하부 둘레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호스와, 상기 물분사호스에 연결되는 엘보와, 상기 엘보에 연결되면서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분사호스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호스는 좌판의 하부 전체에 설치되되 좌판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끝단부가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막혀 있고, 하부에 물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본체 상단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본체의 상단면 전체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물공급관을 통해 물분사호스로 공급되는 물이 좌판의 하부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물분사호스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대는 물분사호스를 감싸면서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면으로 닿게 되는 바닥면에 분사노즐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본체의 상단면을 따라 흘러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조절부는 물조절부에 설치되어 수동적으로 물공급관을 통해 물을 물분사호스로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조절부는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이 내려져 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공급관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판의 한 쪽 끝단 측부에 물분사호스가 좌판의 하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에 의하면, 본체 상에 올려지는 좌판의 하부에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공급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본체의 상단면 및 좌판의 하부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된 물분사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청소도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물분사호소의 분사노즐을 통해 본체 상단으로 물을 분사시켜 본체와 함께 좌판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가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가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의 물분사호스의 연결상태를 일부 확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의 물분사호스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가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가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의 물분사호스의 연결상태를 일부 확대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의 물분사호스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는 본체(100)와, 좌판(200)과, 덮개(300)와, 물분사부(400)와, 물조절부(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이 담겨지면서 용변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판(200)은 본체(100)의 상단부에 힌지(h)로 연결되어 힌지(h)를 축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좌판(200)을 힌지(h)를 축으로 내려서 본체(100)의 상단부에 놓게 되면 상기 좌판(200)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좌판(200)을 힌지(h)를 축으로 들어올려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판(200)의 한 쪽 끝단에는 물분사부(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0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는 본체(100) 상부에 얹혀지는 좌판(200)을 받쳐줄 수 있도록 보조대(21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대(210)는 좌판(20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좌판(20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덮개(300)는 좌판(200)의 상부에서 힌지(h)로 연결되어 힌지(h)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좌판(200)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물분사부(400)는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공급관(600)과 연결되어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본체(100)의 상단 및 좌판(200)의 하부에 분사되어 본체(100)와 좌판(200)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분사부(400)는 물분사호스(410)와, 엘보(420)와, 연결관(43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물분사호스(410)는 좌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600)과 연결되면서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본체(100) 상단과 함께 좌판(200) 하부로 분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호스(410)는 좌판(200)의 하부 전체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 상단에 골고루 물을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호스(410)는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될 때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대(210)를 통과하여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좌변기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물공급관(600)과 연결관(430) 및 엘보(420)로 물분사호스(410)를 연결시키고, 상기 좌판(200) 하부로 연결시키되 상기 보조대(210)의 안쪽으로 끼우면서 설치하게 되어 상기 물분사호스(410)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분사호스(410)의 끝단부는 물공급관(6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물분사호스(410) 내부 전체로 공급되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막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호스(410)는 하부에 물공급관(6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본체(100)의 상단면으로 분사되어 본체 상단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4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411)은 본체(100)의 상단면 전체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411)을 좌판(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물분사호스(410)의 처음부터 끝까지 형성하여 본체(100)의 상단면 전체에 물이 분사되어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411)은 물분사호스(410)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분사될 때 물의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11)은 물분사호스(410)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부 바깥쪽과 안쪽으로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411)은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분사호스(410)로 공급되는 물이 좌판(200)의 하부면으로 분사되어 좌판(200)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분사호스(410)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에서와 같이, 상기 물분사호스(410)의 하부에는 좌판(200) 하부에 설치되는 물분사호스(410)가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방지판(44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방지판(440)이 좌판(200)의 하부면이나 본체(100)의 상단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좌판(200)에 설치되는 물분사호스(410)가 회전되지 않아 상기 분사노즐(41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되어 물이 본체(100)의 상단면 및 좌판(200)의 하부면으로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엘보(420)는 좌판(200)의 끼움홈(201)을 통과하여 물분사호스(410)와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관(430)은 엘보(420)에 연결되고 물공급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을 물분사호스(410)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430)은 힌지(h)를 축으로 좌판(20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대(210)는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0) 상부에 얹혀지는 좌판(200)을 받쳐줄 수 있으며, 안쪽면으로 상기 물분사호스(410)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대(210)는 본체(100)의 상부로 얹혀지는 좌판(20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대(210)의 바닥면에는 분사노즐(411)에서 분사되는 물이 본체(100)의 상단면을 따라 흘러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로(211)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유로(211)는 본체(100) 상단면으로 분사되는 물이 통과되면서 본체(1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유로(211)는 직선 형태나 굴곡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대(210)의 상부에는 좌판(200) 하부에 설치되는 물분사호스(4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물분사호스(410)로 삽입되는 고정핀(212)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 물분사호스(410)가 설치될 때 상기 고정핀(212)이 물분사호스(410)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좌판(200)에 설치되는 물분사호스(410)가 회전되지 않아 상기 분사노즐(41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되어 물이 본체(100)의 상단면 또는 좌판(200)의 하부면으로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조절부(500)는 물분사부(400)에 설치되어 물공급관(6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물공급관(600)으로 통해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조절부(500)는 물공급관(6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절하여 물분사호스(410)로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물조절부(500)는 물분사부(400)에 설치되거나 물공급관(600)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물조절부(500)는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200)이 본체(100) 상에 내려져 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51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감지센서(510)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물분사부(400)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5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좌변기 세척장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통(1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600)에 자바라 형태이 연결관(430)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관(430)에 좌판(200)의 측부에 형성된 끼움홈(201)을 통과시켜 엘보(420)를 연결시키며 상기 엘보(420)에 물분사호스(410)를 연결시켜 상기 물분사호스(410)를 좌판(200)의 하부에 보조대(210)의 안쪽을 통과시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200) 하부로 설치되는 물분사호스(410)를 좌판(200)의 왼쪽에서 오른쪽 끝까지 연결시키고 상기 물분사호스(410)의 하부에 분사노즐(411)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좌판(200)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분사호스(410)로 공급되는 물이 분사노즐(411)로 분사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으로 물이 흘러내려 본체(100) 상단면 및 좌판(200)의 하부면에 묻은 소변 등 오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11)이 본체(100)의 상단면 전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물분사호스(410)에 일정 간격 및 지그재그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물공급관(600)을 통해 물분사호스(410) 내부 전체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 전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411)이 물분사호스(410)의 양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물분사호스(410)로 물이 공급되면서 분사노즐(411)을 통해 분사될 때 상기 좌판(200)의 하부면 안쪽으로 분사되어 좌판(200)의 하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물분사부(400)에 물조절부(500)를 구비하게 되어 상기 물조절부(500)의 조절에 따라 상기 좌판(200)이 본체(100) 상부에 얹혀지지 않고 들려져 있을 때에는 상기 물분사호스(410)로 물을 공급시키지 않고 상기 좌판(200)이 본체(100)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물분사호스(410)로 물을 임의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대(210)의 바닥면으로 유로(211)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411)에서 분사되는 물이 흘러내려 본체(100) 상단으로 떨어질 때 상기 유로(211)에 의해 물이 유로(211)를 통과하여 흘러갈 수 있어 세척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관(600)에 물분사부(400)의 물분사호스(410)를 연결하면서 상기 물분사호스(410)를 좌판(200)의 하부 전체 면에 설치하고 상기 물분사호스(410)의 하부 및 양측부에 분사노즐(411)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좌판(200)이 본체(100)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411)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 상기 본체(100) 상부로 물을 흘러내리고 좌판(200)의 하부면으로 물이 분사되어 본체(100) 및 좌판(200)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물통 100 : 본체
200 : 좌판 201 : 끼움홈
210 : 보조대 211 : 유로
212 : 고정핀 300 : 덮개
400 : 물분사부 410 : 물분사호스
411 : 분사노즐 420 : 엘보
430 : 연결관 440 : 회전방지판
500 : 물조절부 510 : 위치감지센서
520 : 컨트롤러 600 : 물공급관
h : 힌지

Claims (10)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좌판을 덮게 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의 하부에 보조대를 통과하여 설치되고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면서 본체 상단 및 좌판 하부에 분사되는 물분사부; 및
    상기 물분사부에 설치되어 물공급관에서 물분사부로 물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물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대는 물분사호스를 감싸면서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면으로 닿게 되는 바닥면에 분사노즐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본체의 상단면을 따라 흘러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좌판의 하부 둘레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호스;
    상기 물분사호스에 연결되는 엘보; 및
    상기 엘보에 연결되면서 물공급관과 연결되어 물분사호스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
    을 포함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호스는 좌판의 하부 전체에 설치되되 좌판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끝단부가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막혀 있고, 하부에 물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본체 상단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본체의 상단면 전체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물공급관을 통해 물분사호스로 공급되는 물이 좌판의 하부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물분사호스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조절부는 물조절부에 설치되어 수동적으로 물공급관을 통해 물을 물분사호스로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조절부는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이 내려져 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공급관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한 쪽 끝단 측부에 물분사부의 엘보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KR1020180032019A 2018-03-20 2018-03-20 좌변기 세척장치 KR10195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19A KR101958428B1 (ko) 2018-03-20 2018-03-20 좌변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19A KR101958428B1 (ko) 2018-03-20 2018-03-20 좌변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428B1 true KR101958428B1 (ko) 2019-03-14

Family

ID=6575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19A KR101958428B1 (ko) 2018-03-20 2018-03-20 좌변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19B1 (ko) 2020-12-08 2021-05-31 (주)우성에스케이에스 좌변기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358A (ja) * 1994-12-19 1996-07-02 Kazuko Asari 自動洗浄装置のある水洗便器およびユニットトイレ
KR20060094778A (ko) * 2005-02-26 2006-08-30 김경태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60012363A (ko) * 2014-07-23 2016-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시트의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358A (ja) * 1994-12-19 1996-07-02 Kazuko Asari 自動洗浄装置のある水洗便器およびユニットトイレ
KR20060094778A (ko) * 2005-02-26 2006-08-30 김경태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60012363A (ko) * 2014-07-23 2016-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시트의 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19B1 (ko) 2020-12-08 2021-05-31 (주)우성에스케이에스 좌변기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057B1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CN101021083A (zh) 卫生洗净装置和冲厕装置
CN103735376A (zh) 一种智能护理床垫
KR101958428B1 (ko) 좌변기 세척장치
KR101501750B1 (ko) 노즐 세척부를 구비한 비데 장치
CN101082225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JP4399964B2 (ja) 浴槽洗浄装置
KR20110135246A (ko) 비데 세정기의 세척장치
CN107642135A (zh) 一种防溅水防粘壁喷雾器节水坐便器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CN207211292U (zh) 一种防溅水防粘壁喷雾器节水坐便器
US11879244B2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JP3832378B2 (ja) 局部洗浄装置
KR20100047082A (ko) 좌변기용 비데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JP4889099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170092022A (ko) 양변기 세척기구
CN219699828U (zh) 基站和清洁系统
JP4075122B2 (ja) 浴槽洗浄装置
CN220080210U (zh) 具有润湿功能的排便装置
JPH11155752A (ja) 浴室の洗浄装置
JP2002266412A (ja) 水洗便器
JP2575764Y2 (ja) トイレ洗浄装置
KR102303274B1 (ko)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JP2019180559A (ja) ノズル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