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74B1 -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274B1
KR102303274B1 KR1020190143847A KR20190143847A KR102303274B1 KR 102303274 B1 KR102303274 B1 KR 102303274B1 KR 1020190143847 A KR1020190143847 A KR 1020190143847A KR 20190143847 A KR20190143847 A KR 20190143847A KR 102303274 B1 KR102303274 B1 KR 10230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ry
cleaning liquid
guide tube
toile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867A (ko
Inventor
이명옥
Original Assignee
투두글로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두글로벌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두글로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2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기의 내면에 묻는 오염 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는, 도기와 시트를 포함한 좌변기에 사용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로,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기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도기 세척액 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Pottery bowl cleaning apparatus for sedentary toile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신체의 노폐물을 처리하기 위한 위생 기구의 하나로,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는 기구이다.
도 1은 기존의 좌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존의 좌변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도기(2)와, 상기 도기(2)의 뒷부분에 놓여 도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부(3)와, 상기 도기(2)의 상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도기(2)에 걸터앉을 경우 사용자의 둔부가 접하는 시트(4)와, 상기 도기(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시트(4)를 포함하여 도기(2)의 상단부를 덮는 커버(5)를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의 좌변기(1)은, 도기(2)의 내면에 소변이나 대변 등의 오염 물질이 묻은 경우, 다음 사용자가 물을 여러 번 내리거나 솔이나 화장지 등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닦은 후 사용하는 실정이어서, 가정이나 공공 시설 등의 화장실을 사용함에 있어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기의 내면에 묻는 오염 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는, 도기와 시트를 포함한 좌변기에 사용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로,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기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도기 세척액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기 세척액 분사부는,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도기 세척액 안내관;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도기의 내면을 향해 상기 세척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액 분사 노즐; 및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으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기 세척액 분사부는,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을 수용하고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를 받치며 상기 도기의 용변홀에 상응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안내관 수용 커버; 상기 안내관 수용 커버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세척액 분사 노즐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 수용 커버는,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액 공급부는,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과 연결되는 메인 공급관; 상기 메인 공급관에 분지되는 제1 및 제2 분지관; 상기 제1 분지관에 연결되며 세제액을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원; 상기 제2 분지관에 연결되며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 상기 메인 공급관과 상기 제1 및 제2 분지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분기관을 상기 메인 공급관에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2 분지관을 상기 메인 공급관에 연통시키는 삼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원은,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는 직수관일 수 있다.
상기 세제액 공급원은, 상기 세제액이 저장되는 세제액 탱크; 및 상기 제1 분지관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액 탱크의 상기 세척액을 상기 메인 공급관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은, 상기 안내관 수용 커버에 폐곡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및 상기 안내관 수용 커버 각각은,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기와 시트를 포함한 좌변기에 사용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로, 도기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도기 세척액 분사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도기 세척액 분사부를 통해 세척액이 도기의 내면으로 분사되면서 도기의 내면에 묻는 오염 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어, 솔이나 화장지 등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닦은 필요가 없는 등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좌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가 좌변기의 도기와 시트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변기의 요부를 잘라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시트가 좌변기에 상향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중 안내관 수용 커버의 상부 덮개를 제거하여 그 내부에 도기 세척액 안내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 덮개가 제거된 안내관 수용 커버를 따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기 세척액 안내관으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안내관 수용 커버가 좌변기에 대해 상향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가 좌변기의 도기와 시트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좌변기의 요부를 잘라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시트가 좌변기에 상향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중 안내관 수용 커버의 상부 덮개를 제거하여 그 내부에 도기 세척액 안내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 덮개가 제거된 안내관 수용 커버를 따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기 세척액 안내관으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안내관 수용 커버가 좌변기에 대해 상향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기(2)와 시트(4)를 포함한 좌변기(1)에 사용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로,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를 포함한다.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기(2)와 시트(4)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기(2)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공되므로,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를 통해 세척액이 도기(2)의 내면으로 분사되면서 도기(2)의 내면에 묻는 오염 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어, 솔이나 화장지 등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닦은 필요가 없는 등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일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계속 참조하여,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는, 도 3, 도 5,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 복수의 세척액 분사 노즐(120), 그리고 세척액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은 도기(2)와 시트(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세척액 분사 노즐(120)은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에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으며 도기(2)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세척액 공급부(130)는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으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 공급부(130)로부터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으로 세척액이 공급되면 각각의 세척액 분사 노즐(120)을 통해 도기(2)의 내면을 향해 분사되면서 도기(2)의 내면에 묻은 오염 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나아가, 도기 세척액 분사부(A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 수용 커버(140)와 각각의 분사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관 수용 커버(140)는,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을 수용할 수 있고 도기(2)와 시트(4) 사이를 받칠 수 있으며 도기(2)의 용변홀(2a)에 상응하는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분사홀(150)은 안내관 수용 커버(140)의 내주면에 관통될 수 있으며 각의 세척액 분사 노즐(120)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 수용 커버(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관 수용 커버(14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관 수용 커버(140)를 상향 회전시켜 도기(2)의 상단과 안내관 수용 커버(140)의 하면 등에 잔류하는 오염 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액 공급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급관(131), 제1 및 제2 분지관(132)(133), 세제액 공급원(134), 물 공급원(135), 그리고 밸브(13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공급관(131)은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분지관(132)(133)은 메인 공급관(131)에 분지될 수 있다. 세제액 공급원(134)은 제1 분지관(132)에 연결되며 세제액을 공급할 수 있고, 물 공급원(135)은 제2 분지관(133)에 연결되며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밸브(136)는 메인 공급관(131)과 제1 및 제2 분지관(132)(133) 사이의 교차 지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분기관을 메인 공급관에 연통시키거나 제2 분지관(133)을 메인 공급관(131)에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밸브(136)를 통해 물과 세제액을 선택적으로 메인 공급관(13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136)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삼방 밸브나 사방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 공급원(135)은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는 직수관일 수 있다. 또한, 세제액 공급원(1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액이 저장되는 세제액 탱크(134a)와, 제1 분지관(132)에 구비되며 세제액 탱크(134a)의 세척액을 메인 공급관(131)으로 펌핑하는 펌프(13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136)를 통해 제1 분지관(132)과 메인 공급관(131)이 연통되면 펌프(134b)의 가동으로 세제액 탱크(134a)의 세제액이 메인 공급관(131)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밸브(136)를 통해 제2 분지관(133)과 메인 공급관(131)이 연통되면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물이 직수관을 통해 메인 공급관(131)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기 세척액 안내관(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 수용 커버(140)에 폐곡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기(2)의 내면의 전 구간에 대해 세척액을 골고루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4) 및 안내관 수용 커버(140) 각각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내관 수용 커버(140)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트(4) 만을 상향 회전시켜 안내관 수용 커버(140)의 상면 및 시트(4)의 하면 등에 잔존하는 물 때나 오염 물질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안내관 수용 커버(140)를 포함하여 모두 상향 회전시켜 도기(2)의 상단과 안내관 수용 커버(140)의 하면 등에 잔류하는 오염 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좌변기 2: 도기
2a: 도기의 용변홀 4: 시트
100: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A10: 도기 세척액 분사부
110: 도기 세척액 분사관 120: 세척액 분사 노즐
130: 세척액 공급부 140: 안내관 수용 커버
150: 분사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도기와 시트를 포함한 좌변기에 사용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로,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기의 내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도기 세척액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기 세척액 분사부는,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도기 세척액 안내관;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도기의 내면을 향해 상기 세척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액 분사 노즐; 및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으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기 세척액 분사부는,
    상기 도기 세척액 안내관을 수용하고 상기 도기와 상기 시트 사이를 받치며 상기 도기의 용변홀에 상응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안내관 수용 커버; 및
    상기 안내관 수용 커버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세척액 분사 노즐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분사홀;
    을 더 포함하는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KR1020190143847A 2019-11-11 2019-11-11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KR10230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47A KR102303274B1 (ko) 2019-11-11 2019-11-11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47A KR102303274B1 (ko) 2019-11-11 2019-11-11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67A KR20210056867A (ko) 2021-05-20
KR102303274B1 true KR102303274B1 (ko) 2021-09-17

Family

ID=7614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47A KR102303274B1 (ko) 2019-11-11 2019-11-11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2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14B1 (ko) * 2015-10-06 2022-10-19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67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553A (en) Toilet with folding lid
KR102303274B1 (ko) 좌변기용 도기 클리닝 장치
CN101082225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KR20110135246A (ko) 비데 세정기의 세척장치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KR102275208B1 (ko)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JP3116147U (ja) 散り返し防止装置付き便座
KR101516646B1 (ko) 양변기
KR101958428B1 (ko) 좌변기 세척장치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CN106968308B (zh) 自动座便器
KR20080053670A (ko) 좌변기 세척 기능을 갖는 비데
CN220080210U (zh) 具有润湿功能的排便装置
US1069233A (en) Sanitary lavatory.
JP2002266412A (ja) 水洗便器
CN219732193U (zh) 一种带有顽固污渍冲洗装置的马桶
CN219887069U (zh) 具有吹干功能的排便装置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200369228Y1 (ko) 위생세정기
KR200397390Y1 (ko) 국부 세정기
JPH06240726A (ja) 衛生洗浄装置
JPH0679874U (ja) 便 器
JP3017962U (ja) 携帯用シャワ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