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719B1 - 좌변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719B1
KR102258719B1 KR1020200170779A KR20200170779A KR102258719B1 KR 102258719 B1 KR102258719 B1 KR 102258719B1 KR 1020200170779 A KR1020200170779 A KR 1020200170779A KR 20200170779 A KR20200170779 A KR 20200170779A KR 102258719 B1 KR102258719 B1 KR 10225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water supply
nozzle
bow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은
Original Assignee
(주)우성에스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에스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우성에스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7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보울의 상면과 변좌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장치하기 위하여, 상기 변좌 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보울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변좌 덮개의 하면에 설치된 링 기어, 상기 변좌 덮개의 하면에 상기 링 기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전동기, 상기 제1전동기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링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1전동기가 탑재되고, 상기 제1전동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링 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고, 급수관과 연결된 제1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보울의 안쪽 면에 분사하는 제1노즐, 상기 제1물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 및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물공급관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물공급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결하는 스위블 조인트를 포함하는 좌변기 세척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용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보울 안쪽 면에 묻거나 잔류하는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하여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좌변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수세식 화장실은 대부분 사용자가 걸터앉아서 용변을 본 후 사이펀(siphon)의 원리에 의해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의 좌변기(또는 양변기, 이하 '좌변기'로 총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좌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배설물을 세척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하는 보울(1)과, 이 보울(1)의 후방에 설치되고 밸브의 레버(2)를 누르는 조작에 따라 배설물을 세척 및 내려보내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3)와, 보울(1)의 상측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4) 및 보울(1)의 구멍과 변좌(4)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5)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본 후, 밸브의 레버(2)를 눌러 수조(3)에 담긴 세척수를 내려 보울(1)에 공급함으로써 배설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좌변기의 수조(3)에서 보울(1) 내부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약하거나 양이 적은 경우 보울(1)의 안쪽 면에 묻은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하고 잔류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좌변기는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세척수가 빠르게 이동하면서 배설물의 원활한 배출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지만, 세척수에 의한 씻김이 불균일한 경우 세척력이 떨어지면서 보울(1)의 안쪽 면에 묻은 배설물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세척하지 못하고 그대로 흔적이 남아 불쾌감을 줌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이펀 구조(siphon structure) 없이 순수 수압으로 세척수를 내리어 배설물을 밀어내는 이른바 워시 다운(Wash down) 방식의 좌변기는 배설물이 수중에 떨어져 악취 발산이 거의 없지만, 세척수의 수면이 넓지 않아 배설물이 쉽게 부착 및 잔류되어 사용 후 세척수를 내리더라도 한 번에 씻겨 내려가지 않고 잔존 및 고착되기 때문에 청소용 솔로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2025342 B1(2019.09.19) KR 10-1958428 B1(2019.03.08) KR 10-1104119 B1(2012.01.0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좌변기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보울의 안쪽 면에 묻거나 잔류하는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향해 세척용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함으로써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 세척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보울의 안쪽에 묻거나 잔류하는 배설물 등을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보울의 상면과 변좌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장치하는 것으로, 상기 변좌 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보울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변좌 덮개의 하면에 설치된 링 기어, 상기 변좌 덮개의 하면에 상기 링 기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전동기, 상기 제1전동기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링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1전동기가 탑재되고, 상기 제1전동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링 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고, 급수관과 연결된 제1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보울의 안쪽 면에 분사하는 제1노즐, 상기 제1물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 및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물공급관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물공급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결하는 스위블 조인트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좌변기의 보울 안쪽 면에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묻거나 잔류할 경우 세척용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어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고, 상기 제1노즐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전동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좌변기의 보울 안쪽 면에 묻거나 잔류하는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향해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용 물을 분사하여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보울의 안쪽 면 둘레에 다수가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된 제2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보울의 안쪽 면을 따라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분사시켜 그 원심력으로 소용돌이치게 하여 배설물의 배출 시 수압을 높이는 제2노즐 및 상기 제2물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잔류 없이 깨끗하게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어 더욱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좌변기의 보울 안쪽 면에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묻거나 잔류할 경우 자동으로 세척용 물을 고압 분사하여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세척)함으로써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용 솔 등으로 좌변기의 보울을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중 제2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는 보울(1)의 상면과 변좌(4)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5)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장치하며, 센서(10), 제어부(20), 링 기어(30), 가이드 레일(35), 제1전동기(40), 피니언 기어(45), 캐리어(50), 가이드 블록(55), 제1노즐(60), 제1개폐밸브(65), 스위블 조인트(70) 및 제2전동기(80)를 포함하고 있다.
센서(10)는 보울(1)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을 검지하여 검출 신호를 셍성하고, 이를 제어부(20)에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변좌 덮개(5)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10)의 종류로는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전파 센서, 3차원 감지센서 등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전파를 물체에 송신하여 보울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과의 일정한 거리를 측정하여 배설물의 존재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0)로는 물질에 빛을 대면 물질이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유 전자를 방출하는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광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 센서(optical sensor)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전도 셀, 포토다이오드 등의 내부 광전 효과(전기 전도도를 변화시키는)를 이용한 소자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센서(1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세척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즉, 제어부(20)는 센서(10)의 감지(검출) 신호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스위치 개폐 신호에 따라 보울(1) 안쪽 면의 해당 위치 및 영역으로 세척용 물을 분사하도록 제1전동기(40), 제1개폐밸브(65) 등을 미리 입력된 설정 프로그램에 의해 유기적이고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등 1회 사이클(Cycle)씩 순차적으로 각기 작동 및 일시 정지하도록 전반적인 가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와, 여러 개의 센서(10)로부터 검출 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입력된 설정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PLC 형태의 프로그램(로직 컴퓨터에 수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1전동기(40)의 이동 거리, 범위, 제1개폐밸브(65)의 개폐 등 순차적인 작동과 함께 디지털로 표시하는 등 전반적인 가동 및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스위치 등을 사용자 직접 조작하거나 특정 명령을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링 기어(30)는 캐리어(50)가 보울(1)의 상면 구멍 주위를 따라 회전 이동하도록 변좌 덮개(5)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5)은 캐리어(50)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링 기어(3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변좌 덮개(5)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전동기(40)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피니언 기어(45)를 회전시켜 제1노즐(60)이 장착된 캐리어(50)를 링 기어(30)를 따라 이송하기 위하여 캐리어(50)에 탑재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45)는 그 회전에 따라 캐리어(50)를 보울(1)의 상면 구멍 주위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링 기어(30)와 맞물린 상태로 제1전동기(40)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50)는 제1전동기(40)의 정/역회전에 의해 링 기어(3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캐리어(50)는 제1전동기(40)를 탑재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링 기어(30)와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55)은 캐리어(50)가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캐리어(50)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35)과 가이드 블록(55)은 이송에 따른 관성력 및 편하중 등의 힘을 분산시켜 한층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면서 고도의 정밀한 동작을 유지하도록 좌우 또는 상하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노즐(60)은 급수관(6)과 연결된 제1물공급관(6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보울(1)의 안쪽 면에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캐리어(50)에 탑재되어 있다.
즉, 제1노즐(60)은 캐리어(50)에 탑재된 채로 제1물공급관(61)을 통해 급수관(6)과 연결되어 있다.
제1개폐밸브(65)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 및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물공급관(61)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개폐밸브(65)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바꾸는 전자기력에 의해 그 개폐동작을 전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스위블 조인트(70)는 캐리어(50)가 제1물공급관(61)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제1물공급관(61)과 제1노즐(60)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즉, 스위블 조인트(70)는 제1물공급관(6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캐리어(50)와 제1노즐(60)이 간섭없이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2개로 나누어진 제1물공급관(61)들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스위블 조인트(70)로는 한쪽을 기준으로 다른 쪽이 오링, 베어링 등에 의해 자유롭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면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는 통상의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2전동기(80)는 제1노즐(6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물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캐리어(50)에 탑재되어 있다.
즉, 제1노즐(60)은 제2전동기(80)에 의해 회전하여 분사 방향을 바꾸도록 제2전동기(80)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전동기(40)(80)로는 모터 드라이브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제어부(20)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기(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자 권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과 로터부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인덕션 모터를 사용하는 모터 드라이브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전동기(40)(80)로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 혹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좌 덮개(5)가 보울(1)의 상면과 변좌(4)를 덮은 상태에서 센서(10)가 보울(1)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해당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제1전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하여 그 구동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45)를 회전시킴으로써 그와 치합된 링 기어(30)를 따라 캐리어(50)가 이동하고, 이로 인해 캐리어(50)에 탑재된 제1노즐(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는 제2전동기(80)의 구동을 제어하여 그 구동축에 고정된 제1노즐(60)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노즐(60)의 분사 방향이 보울(1)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20)는 제1개폐밸브(65)의 개폐를 제어하여 세척용 물이 제1노즐(60)을 통해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향해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60)을 갖는 캐리어(50)가 상기 링 기어(30)에 복수개 설치되도록 함이 가능하고, 이때 캐리어(50)는 각각 상기 제1물공급관(61)과 같이 스위블 조인트(70)에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한 경우 변좌(4) 오염시 빠르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는 보울(1)의 상면과 변좌(4)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5)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장치하며, 센서(10), 제어부(20), 링 기어(30), 가이드 레일(35), 제1전동기(40), 피니언 기어(45), 캐리어(50), 가이드 블록(55), 제1노즐(60), 제1개폐밸브(65), 스위블 조인트(70), 제2전동기(80), 제2노즐(90) 및 제2개폐밸브(95)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2노즐(90)은 배설물의 배출 시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위하여 보울(1)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노즐(90)은 급수관(6)과 연결된 제2물공급관(9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보울(1)의 안쪽 면을 따라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분사시켜 그 원심력으로 소용돌이치게 하여 배설물의 배출 시 수압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노즐(90)은 그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호형으로 휘어진 분사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개폐밸브(95)는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노즐(9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기 위하여 제2물공급관(91)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는 제2노즐(9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용 물이 보울(1)의 안쪽 팬 자리에서 빙빙 돌면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잔류 없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깨끗하게 제거 및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세척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센서 20: 제어부
30: 링 기어 35: 가이드 레일
40: 제1전동기 45: 피니언 기어
50: 캐리어 55: 가이드 블록
60: 제1노즐 65: 제1개폐밸브
70: 스위블 조인트 80: 제2전동기
90: 제2노즐 95: 제2개폐밸브

Claims (5)

  1. 보울(1)의 상면과 변좌(4)를 덮어두기 위한 변좌 덮개(5)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장치하는 것으로, 상기 변좌 덮개(5)에 장착되고, 상기 보울(1)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10); 상기 센서(1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20); 상기 변좌 덮개(5)의 하면에 설치된 링 기어(30); 상기 변좌 덮개(5)의 하면에 상기 링 기어(3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5);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전동기(40); 상기 제1전동기(40)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링 기어(3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5); 상기 제1전동기(40)가 탑재되고, 상기 제1전동기(4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링 기어(30)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50); 상기 캐리어(50)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55); 상기 캐리어(50)에 탑재되고, 급수관(6)과 연결된 제1물공급관(6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보울(1)의 안쪽 면에 분사하는 제1노즐(60); 상기 제1물공급관(61)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65); 및 상기 캐리어(50)가 상기 제1물공급관(61)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물공급관(61)과 상기 제1노즐(60)을 연결하는 스위블 조인트(7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50)에 탑재되고, 상기 제1노즐(6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전동기(80); 상기 보울(1)의 안쪽 면 둘레에 다수가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6)과 연결된 제2물공급관(91)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보울(1)의 안쪽 면을 따라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분사시켜 그 원심력으로 소용돌이치게 하여 배설물의 배출 시 수압을 높이는 제2노즐(90); 및 상기 제2물공급관(91)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노즐(9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9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노즐(90)은 그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호형으로 휘어져 고압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분사구멍(9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30)에 대해 제1노즐(60)을 갖는 캐리어(50)이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척장치.
KR1020200170779A 2020-12-08 2020-12-08 좌변기 세척장치 KR10225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79A KR102258719B1 (ko) 2020-12-08 2020-12-08 좌변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79A KR102258719B1 (ko) 2020-12-08 2020-12-08 좌변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719B1 true KR102258719B1 (ko) 2021-05-31

Family

ID=7615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779A KR102258719B1 (ko) 2020-12-08 2020-12-08 좌변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930A1 (en) * 2021-12-27 2023-07-06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oilet bowl flush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184A (ko) * 2008-03-13 2009-09-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KR101104119B1 (ko) 2009-01-21 2012-01-13 주식회사 파세코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JP2018009439A (ja) * 2016-04-12 2018-01-18 株式会社トクヤマ トイレ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の洗浄方法
KR101958428B1 (ko) 2018-03-20 2019-03-14 이성호 좌변기 세척장치
KR102025342B1 (ko) 2018-09-03 2019-09-25 이민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184A (ko) * 2008-03-13 2009-09-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KR101104119B1 (ko) 2009-01-21 2012-01-13 주식회사 파세코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JP2018009439A (ja) * 2016-04-12 2018-01-18 株式会社トクヤマ トイレ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の洗浄方法
KR101958428B1 (ko) 2018-03-20 2019-03-14 이성호 좌변기 세척장치
KR102025342B1 (ko) 2018-09-03 2019-09-25 이민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930A1 (en) * 2021-12-27 2023-07-06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oilet bowl flus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719B1 (ko) 좌변기 세척장치
JP2017014703A (ja) 便器装置、および局部洗浄装置
TWI481770B (zh) A nozzle device and a sanitary washing device having the nozzle device
KR20060079847A (ko)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배수관 세정 장치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903655B2 (ja) 衛生洗浄装置
JPH0280726A (ja) 単房型公衆衛生施設
CN106491027B (zh) 一种全自动洗手设备
JP2011043005A (ja) 衛生洗浄装置
JP2007247281A (ja) 温水洗浄装置
KR102181438B1 (ko) 휴대용 태양광패널 세척장치
CN110420765B (zh) 一种清洁喷头组件和自清洁浴缸
CN201036531Y (zh) 一种新型马桶座垫自动清洁装置
JP2000160631A (ja) 便座シャワ―クリ―ナ―
JP2009280979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211933857U (zh) 一种马桶座圈组件及智能马桶
KR20110017091A (ko) 회동 가능한 노즐유닛을 갖는 비데
JP5201224B2 (ja) 衛生洗浄装置
JP533802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102446047B1 (ko) 비데 장치
JP3180797B2 (ja) 衛生洗浄装置
JP5246277B2 (ja) 衛生洗浄装置
JP4471796B2 (ja) 衛生洗浄便座
KR102449010B1 (ko) 비데용 노즐 세척장치
CN216379826U (zh) 一种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