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539A -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 Google Patents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539A
KR20170091539A KR1020170091089A KR20170091089A KR20170091539A KR 20170091539 A KR20170091539 A KR 20170091539A KR 1020170091089 A KR1020170091089 A KR 1020170091089A KR 20170091089 A KR20170091089 A KR 20170091089A KR 20170091539 A KR20170091539 A KR 2017009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x
long
folding
w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224B1 (ko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황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찬 filed Critical 황규찬
Priority to KR102017009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24B1/ko
Priority to US16/604,165 priority patent/US11001406B2/en
Priority to JP2020507968A priority patent/JP2020516559A/ja
Priority to CN201880025439.6A priority patent/CN110520363A/zh
Priority to PCT/KR2018/004412 priority patent/WO2019017571A1/ko
Priority to EP18834934.4A priority patent/EP3623305A4/en
Priority to AU2018303872A priority patent/AU20183038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adhesive tapes, labels or the like; for deco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76Cooperating flaps glu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31B2120/3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collapsible into a flat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 및 저면의 절첩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접착날개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박스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한 장의 판재가 절개 및 절첩되어 장방형 박스를 형성하는 절첩식 박스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횡방향 중앙부로 구성되고, 각각 절첩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재;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재 또는 상기 하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를 차폐시, 상기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박스를 차폐시, 접착날개부를 이용하여 차폐하므로,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박스의 상/하단부의 차폐가 가능하여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 FOLDING BOX WITH ADHESIVE WINGS }
본 발명은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 및 저면의 절첩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접착날개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박스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및 상품을 판매 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재 내지 플라스틱재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한다.
이때, 포장용 상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일정형태로 절첩선이 형성되어, 상자를 절첩하여 이용하도록 제작되어, 사용자가 재단된 판재를 절첩하여 상자를 만든 뒤, 내부에 상품을 위치시키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상자를 차폐하였다.
이러한 종래방식은 접착방식으로, 일측이 접착된 상태로,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박스를 조립하여, 상단부를 차폐하기 위하여 접착테이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499에서는 최소한의 접착방식을 택하면서도 조립에 의해 상품을 포장하고,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상부차폐가 가능한 제품 포장용박스가 도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상자의 개방면을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차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반복적인 개방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박스의 적치 방향에 따라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박스의 개방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차폐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삿짐 포장 박스와 같이, 적치 방향이 유동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엇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49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품 포장시, 별도의 도구 없이 박스의 상/하단부 차폐가 가능한 절첩식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부재의 일부를 이용한 접착날개부가 형성되어, 판재의 파지율이 감소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한 장의 판재가 절개 및 절첩되어 장방형 박스를 형성하는 절첩식 박스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횡방향 중앙부로 구성되고, 각각 절첩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재;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재 또는 상기 하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를 차폐시, 상기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재는 박스 절첩시, 장변측면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측면부재와; 상기 장변측면부재 측면에 형성되어, 단변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변측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 일측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장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와 면접하여 접착되도록 상기 단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재 및 하부재는 상기 장변측면부재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변상부재 및 장변하부재와; 상기 단변측면부재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변상부재 및 단변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 또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와 인접한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로부터 절개된 절개면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접착날개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상부재 및 상기 하부재의 폭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면을 차폐시,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의 결합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다층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면을 차폐시, 부착단부가 일 지점으로 수렴하도록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의 결합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사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부착력을 갖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이다.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와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갈고리면 또는 고리면으로 각각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이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고정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홈이 형성된 암형스냅단추 또는 결합턱이 형성된 수형스냅단추로 각각 구성되는 스냅단추이다.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와 인접한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로부터 절개된 절개면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접착날개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의 높이 길이 이하이다.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부착력을 갖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이다.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와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갈고리면 또는 고리면으로 각각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이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고정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홈이 형성된 암형스냅단추 또는 결합턱이 형성된 수형스냅단추로 각각 구성되는 스냅단추이다.
상기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 또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면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박스를 차폐시, 접착날개부를 이용하여 차폐하므로,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박스의 상/하단부의 차폐가 가능하여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부재의 일부를 이용한 접착날개부가 형성되어, 판재의 파지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전개도.
도 3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절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의 상하단부 차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의 접착날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서 접착날개부의 길이가 최대연장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날개부가 절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절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의 상하단부 차폐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의 접착날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서 접착날개부의 길이가 최대연장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날개부가 절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판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첩식 박스는 한 장의 판재가 절개 및 절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재(100)와 상부재(200) 그리고 하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재(100)는 상기 판재의 횡방향 중앙부를 구성하고 각각 절첩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100)는 박스 절첩시, 장변측면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측면부재(110)와 상기 장변측면부재(110)측면에 형성되어 단변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변측면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재(200)는 상기 측면부재(100)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철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부재(200)는 상기 장변측면부재(110)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변상부재(210)와 상기 단변측면부재(130)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변상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재(200)는 상기 박스를 절첩선에 따라 절첩시, 상기 박스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재(300)는 상기 측면부재(100)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철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구분된다.
이때, 상기 하부재(300)는 상기 단면측면부재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변하부재(330)와 상기 단변측면부재(130)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변하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재(300)는 상기 박스를 절첩선에 따라 절첩시, 상기 박스의 저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100) 일측에는 박스를 절첩시, 측면부재(100)의 일측 단부와 절첩된 타측단부가 면접하여 고정하도록 연장된 접착부(15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박스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절첩하여 박스를 차폐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재(200) 및 상기 하부재(300)를 절첩하여 상기 박스를 차폐한다.
이때,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는 박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되고,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는 박스 외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된다.
또한,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가 박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되고,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가 박스 외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상하부를 차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박스를 차폐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재 및 하부재의 접철위치가 변경되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는 박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되고,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는 박스 외측에 위치하도록 절첩되어, 박스를 차폐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의 결합단부로부터 절첩되어, 상기 측면부재(100)에 부착되도록,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인접한 단변상부재(230) 및 단변하부재(330)로부터 절개된 절개면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와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 측면에 형성되어 절개면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장변하부재(310)와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 사이에 절개면의 절취 형태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단변하부재(330)의 양측에는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위치되도록,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외곽형태와 대응하여 함몰된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박스를 제작시 상기 접착날개부를 제작함에 있어서, 차폐시 내측에 위치하여 기능상 불필요한 판재 부분으로 상기 접착날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판재 이용면적 효율이 증가하므로, 파지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단변상부재(230) 또는 단변하부재(330)의 일부 면적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판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최대한의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연장길이가 한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연장길이(ℓ)는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인접한 단변상부재(230) 및 단변하부재(330)의 일부 면적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 폭(L) 길이의 절반 이하로 대칭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형 박스일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되어 상부재(200)에 형성되는 접착날개부(211)와 하부재(300)에 형성되는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끝단이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정방형 박스일 경우,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단변상부재(230) 및 상기 단변상부재(230)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 및 상기 단변하부재(330) 그리고 상기 단변하부재(3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정방형의 박스일 경우, 장변 및 단변 구분없이 상부재(200) 및 하부재(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므로, 박스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접착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 시킬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를 절첩하여 개방면을 차폐시,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측면부재(10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재(200) 및 하부재(300)가 개폐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재(200) 및 하부재(300)가 개폐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접착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하여 위치하는 측변부재측에 구비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박스의 차폐를 위한 상기 접착날개부 및 상기 접착부재에 대한 구성과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측면부재(100)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재(200) 및 상기 하부재(300)가 개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착방식, 벨크로방식, 스냅버튼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접착부재가 접착방식으로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방식이 이용될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측면부재(100)에 면접하여 부착되도록, 접착재가 도포되어 접착력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차폐를 위하여 접착방식의 접착부재를 이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날개부(211)를 상기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부재(100)에 접착하여 박스가 차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착부재가 접착방식의 상기 접착테이프가 이용될 경우,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접착재가 사용되는데, 이는 재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방식의 접착부재가 다수겹으로 형성되어, 다수회 걸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박스의 차폐를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부재 고정방식이 벨크로방식이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벨크로방식이 이용될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측면부재(100)에 고정되도록, 갈고리면 또는 고리면으로 형성되는 벨크로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날개부(211)에는 상기 벨크로테이프 중 상기 갈고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되어 상기 측면부재(100)와 면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갈고리면과 면접하여 봉합력이 발생되는 상기 고리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날개부(211)에는 상기 벨크로테이프 중 상기 고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되어 상기 측면부재(100)와 면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고리면과 면접하여 봉합력이 발생되는 상기 갈고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의 상부면 차폐를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크로테이프의 상기 갈고리면과 상기 고리면이 면접하여 발생하는 봉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측면부에 접착하여 박스의 개방면이 차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박스의 상부면 차폐를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벨크로방식의 상기 접착부재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갈고리면과 상기 고리면의 봉합력 의해 상기 측면부재(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박스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착부재 고정방식이 스냅단추방식이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스냅단추방식이 이용될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측면부재(100)에 고정되도록, 암형스냅단추 또는 수형스냅단추로 형성되는 스냅단추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냅단추는 상기 암형스냅단추와 상기 수형스냅단추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211)에는 상기 스냅단추 중 상기 암형스냅단추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되어 상기 측면부재(100)와 면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암형스냅단추와 결합되는 상기 수형스냅단추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날개부(211)에는 상기 스냅단추 중 상기 수형스냅단추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되어 상기 측면부재(100)와 면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형스냅단추와 결합되는 상기 암형스냅단추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 개폐부 차폐를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형스냅단추와 상기 수형스냅단추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상기 측면부에 접착하여 박스의 개폐부가 차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박스 개폐부 차폐를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상기 스냅단추방식의 상기 접착부재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암형스냅단추와 상기 수형스냅단추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측면부재(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박스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접착날개부 절첩-----------------------
한편, 상기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유통하기 위하여 적재된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된 상태로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된 상태로 적재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날개부가 절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식 박스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재(100) 일측에 형성된 접착부를 상기 측면부재(100) 타측과 면접하여 절첩한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형성된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 내측면에는 상기 접착부재가 구비된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접착날개부(211)를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찹날개부에 상기 접착부재가 밸크로방식이 적용된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절첩하여 면접하는 위치에 서로 봉합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접착날개부(2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면이 부착되고,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면접하여 위치되는 상기 장변상부재(210) 또는 상기 장변하부재(310)에는 상기 고리면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고리면이 상기 접착날개부(211)에 부착된 경우, 상기 갈고리면이 상기 접착날개부(2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박스 적재시, 상기 장변상부재(210) 또는 상기 장변하부재(310)에 면접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접착날개부(211)를 상기 장변상부재(210) 또는 상기 장변하부재(310)에 내측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방식의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박스를 적재시,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접착날개부(2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 없이 장방형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박스 적재에 따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접착날개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서 상기 접착날개부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서는상기 접착날개부(211)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로부터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다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211)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결합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결합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서는 접착날개부(211)의 결합력이 향상되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날개부(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단부가 일지점으로 수렴하도록 상기 장변상부재(210) 및 상기 장변하부재(310)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의 연장 내측이 부담하는 하중부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 면적에서 연장 내측이 더 많은 면적을 할당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날개부가 절첩되어 접착이 시작되는 접착시작부는 접착면적을 최대화하고, 탈착 시작부의 접착면적은 최소화시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박스 차폐시, 결합단부에 대한 부착력은 향상시키면서도, 개폐시에는, 개폐단부의 부착력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날개부(211)를 갖는 절첩식 박스는 상기 접착날개부(211)의 결합력이 유지되면서도, 탈착시,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 및 저면의 절첩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접착날개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박스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박스를 차폐시, 접착날개부를 이용하여 차폐하므로,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박스의 상/하단부의 차폐가 가능하여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10 : 절첩식박스 100 : 측면부재
110 : 장변측면부재 130 : 단변측면부재
150 : 접착부 200 : 상부재
210 : 장변상부재 211 : 접착날개부
230 : 단변상부재 300 : 하부재
310 : 장변하부재 330 : 단변하부재
400 : 접착부재 500 : 고정부재

Claims (12)

  1.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한 장의 판재가 절개 및 절첩되어 장방형 박스를 형성하는 절첩식 박스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횡방향 중앙부로 구성되고, 각각 절첩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재;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첩방향에 따라 절개선에 의해 구분되어, 상기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재 또는 상기 하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를 차폐시, 상기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박스 절첩시, 장변측면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측면부재와;
    상기 장변측면부재 측면에 형성되어, 단변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변측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 일측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장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와 면접하여 접착되도록 상기 단변측면부재 또는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 및 하부재는,
    상기 장변측면부재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변상부재 및 장변하부재와;
    상기 단변측면부재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변상부재 및 단변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 또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측면부재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와 인접한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로부터 절개된 절개면을 이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박스의 상하부면을 차폐시,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의 결합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다층형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 또는 상기 단변측면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부착력을 갖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와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갈고리면 또는 고리면으로 각각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고정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홈이 형성된 암형스냅단추 또는 결합턱이 형성된 수형스냅단추로 각각 구성되는 스냅단추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단변상부재 및 상기 단변하부재와 인접한 상기 장변상부재 및 상기 장변하부재로부터 절개된 절개면을 이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 또는 상기 장변측면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부착력을 갖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 내측면에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장변측면부재에 부착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와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갈고리면 또는 고리면으로 각각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날개부가 상기 단변측면부재에 고정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측면부재에는,
    박스 절첩시, 상기 절첩날개부가 면접하는 지점에 상기 접착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홈이 형성된 암형스냅단추 또는 결합턱이 형성된 수형스냅단추로 각각 구성되는 스냅단추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1020170091089A 2017-07-18 2017-07-18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10181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89A KR101813224B1 (ko) 2017-07-18 2017-07-18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US16/604,165 US11001406B2 (en) 2017-07-18 2018-04-17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JP2020507968A JP2020516559A (ja) 2017-07-18 2018-04-17 接着羽部を有する折り畳み式ボックス
CN201880025439.6A CN110520363A (zh) 2017-07-18 2018-04-17 具有粘结翼部的折叠式箱子
PCT/KR2018/004412 WO2019017571A1 (ko) 2017-07-18 2018-04-17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EP18834934.4A EP3623305A4 (en) 2017-07-18 2018-04-17 FOLDABLE BOX WITH ADHESIVE LEAF SECTIONS
AU2018303872A AU2018303872A1 (en) 2017-07-18 2018-04-17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89A KR101813224B1 (ko) 2017-07-18 2017-07-18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539A true KR20170091539A (ko) 2017-08-09
KR101813224B1 KR101813224B1 (ko) 2018-01-30

Family

ID=5965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89A KR101813224B1 (ko) 2017-07-18 2017-07-18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1406B2 (ko)
EP (1) EP3623305A4 (ko)
JP (1) JP2020516559A (ko)
KR (1) KR101813224B1 (ko)
CN (1) CN110520363A (ko)
AU (1) AU2018303872A1 (ko)
WO (1) WO2019017571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081A (ko) * 2018-08-17 2018-09-07 황규찬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20190067133A (ko) 2019-05-27 2019-06-14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190088928A (ko) 2019-07-09 2019-07-29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190104097A (ko) 2019-08-19 2019-09-06 황기찬 간섭 현상에 의해 결합되는 포장용 케이스
KR20210006871A (ko) 2019-07-09 2021-01-19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2215211B1 (ko) * 2019-08-23 2021-02-10 정승수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KR20210092168A (ko) 2020-11-30 2021-07-23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US11136161B2 (en) 2019-05-22 2021-10-05 Pegatron Corporation Packaging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467B1 (ko) * 2019-03-26 2019-10-28 황규찬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1310A (en) * 1918-06-01 1919-04-22 American Metal Seal Company Metal seal and fastener.
US4034909A (en) * 1974-12-29 1977-07-12 Mitsunori Toda Collapsible container
US4556167A (en) * 1984-12-19 1985-12-03 Packing Materials Corporation Velcro fastening arrangement for recloseable carton flaps
FR2748726A1 (fr) * 1996-05-15 1997-11-21 Adam Bernard Caisse americaine amelioree
GB9616515D0 (en) * 1996-08-06 1996-09-25 Rexam Plastic Packaging Containers
US5887782A (en) * 1997-09-24 1999-03-30 Mueller; Charles J. High stacking strength automatic corrugated box
KR19980025252A (ko) * 1998-04-06 1998-07-06 박찬식 접착수단이 결합된 포장용 박스
US6059178A (en) * 1998-09-15 2000-05-09 All Crate, Inc. Tamper evident shipping container
KR200323165Y1 (ko) 2003-05-28 2003-08-14 윤대원 절첩식 박스
US7055734B2 (en) * 2004-08-31 2006-06-06 The Royal Group Collapsible carton
CN201058681Y (zh) * 2007-06-07 2008-05-14 鲜诺塑胶制品(惠州)有限公司 一种折叠式塑料包装箱
US8596519B2 (en) * 2010-10-01 2013-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Frame face display and shipping container
KR101185499B1 (ko) 2010-12-30 2013-04-25 주식회사 미창페케이지 제품 포장용 박스
KR101108653B1 (ko) 2011-06-09 2012-02-08 고문당인쇄(주) 포장용 박스
US10926914B2 (en) * 2011-06-15 2021-02-23 Steve Duniva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US9499309B2 (en) * 2011-07-28 2016-11-22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packaging using a low-tack adhesive fastener
KR20130005174U (ko) * 2012-02-22 2013-08-30 삼성포장(주) 개방형 포장박스
US10583943B2 (en) * 2013-01-29 2020-03-10 Neopost Technologies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blanks for packaging boxes
US20140217162A1 (en) * 2013-02-07 2014-08-07 Paul Chalifoux Foldable sealing container apparatus
US9469430B2 (en) * 2013-04-29 2016-10-18 Phea Ram Reusable,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KR101743354B1 (ko) 2015-07-06 2017-06-16 김남섭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081A (ko) * 2018-08-17 2018-09-07 황규찬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US11136161B2 (en) 2019-05-22 2021-10-05 Pegatron Corporation Packaging box
KR20190067133A (ko) 2019-05-27 2019-06-14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190088928A (ko) 2019-07-09 2019-07-29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210006871A (ko) 2019-07-09 2021-01-19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190104097A (ko) 2019-08-19 2019-09-06 황기찬 간섭 현상에 의해 결합되는 포장용 케이스
KR102215211B1 (ko) * 2019-08-23 2021-02-10 정승수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KR20210092168A (ko) 2020-11-30 2021-07-23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210092167A (ko) 2020-11-30 2021-07-23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220005607A (ko) 2020-11-30 2022-01-13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220013421A (ko) 2020-11-30 2022-02-04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20363A (zh) 2019-11-29
US11001406B2 (en) 2021-05-11
WO2019017571A1 (ko) 2019-01-24
EP3623305A4 (en) 2021-03-10
EP3623305A1 (en) 2020-03-18
JP2020516559A (ja) 2020-06-11
KR101813224B1 (ko) 2018-01-30
US20200122878A1 (en) 2020-04-23
AU2018303872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24B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WO2007011620A2 (en) Collapsible rigid container
CN107000886B (zh) 包装组件、坯件以及制造包装组件的方法
US10683130B2 (en) Packing case
KR200484072Y1 (ko) 접이식 종이컵
KR101255664B1 (ko) 펼침가능 박스
KR20070022377A (ko) 보조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상자
KR20170000553U (ko) 포장용 상자
KR101713017B1 (ko) 포장용 종이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200172072Y1 (ko) 포장용 박스
US8127927B2 (en) Erectable packaging, particularly for a bottle
JP3133668U (ja) 組立式収納箱
CN212149617U (zh) 一种折叠包装盒
KR20170131855A (ko) 내부 후벽 구조의 포장 박스
KR200339435Y1 (ko) 포장용 상자
KR20170082257A (ko) 접이 구조의 종이 포장 박스
JP3168957U (ja) 包装用紙箱
JP4848570B2 (ja) 包装箱
KR20170001021U (ko) 원터치 조립 박스
KR200362212Y1 (ko) 진열 포장용 상자
GB2100229A (en) Carton having separate end closure means
JP3014237U (ja) 折畳み式の箱
KR101707665B1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