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67B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67B1
KR101707667B1 KR1020150116229A KR20150116229A KR101707667B1 KR 101707667 B1 KR101707667 B1 KR 101707667B1 KR 1020150116229 A KR1020150116229 A KR 1020150116229A KR 20150116229 A KR20150116229 A KR 20150116229A KR 101707667 B1 KR101707667 B1 KR 101707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upper side
panel
folding lin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15011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이동시 손잡이끈을 당겨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절개부에 끼워진 끼움부를 펼침으로써, 제품의 운반이 용이하고, 지붕모양의 형상을 이루게 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확보되며, 또한, 조립시 제4상측면패널의 일부가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절개부에 끼워짐으로써, 수직으로 적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종이박스는 제품의 보호 및 보관 또는 이동, 운반의 편이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지 또는 골판지로 성형된 시트 형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지 또는 골판지로 성형된 시트 형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포장용 종이박스를 만드는 과정은, 포장될 내용물에 따라서 먼저 일정한 상자 양식을 결정한 다음, 판지 또는 골판지 표면에 필요한 사항들을 인쇄하고, 그것을 슬로터에서 전개도대로 제단하거나 꺾을 곳에 선을 넣고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로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판지 또는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용 종이박스는 접을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겹쳐 쌓기가 쉬우며, 운반과 저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을 입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포장용 종이박스의 용도로는 식품, 전자제품, 기계부품, 잡화, 청과물, 육어류 등 매우 광범위한 제품의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
이때, 판지 또는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용 종이박스 중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음료수 등을 수용하여 선물용으로 소비자가 쉽게 구입하는 포장용 종이박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포장 디자인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서 물품의 종류나 포장의 목적 등에 따라서 더욱 고급스럽고 다양한 형태의 포장용 상자가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상품의 가치 증대나 포장 디자인의 개선을 위해서 더욱 새로운 형태의 포장용 상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이동시 손잡이끈을 당겨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절개부에 끼워진 제4상측면패널의 끼움부를 펼침으로써, 지붕모양의 형상을 이루게 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확보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시 제4상측면패널의 끼움부가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절개부에 끼워짐으로써,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제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측면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측면부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부는, 제1측면패널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접이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1상측면패널; 제2측면패널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접이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3상측면패널; 제1패널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제3상측면패널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상측면패널; 및 제2패널의 상단부 및 상기 제3상측면패널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제1덮개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끼움부 및 상기 제2끼움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진 제4상측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상측면패널과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1덮개부에는 한쌍의 손잡이끈용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손잡이끈이 결속되며,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2덮개부에는 상기 제2상측면패널에 결속된 손잡이끈이 통과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상단부에는 결속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상측면패널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결속돌기부가 삽입되는 결속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상측면패널의 하측에는 상기 제1패널과 연결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상측면패널과 상기 결속돌기부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상측면패널과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1덮개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상측면패널과 상기 제1덮개부 중 어느 한쪽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접착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상측면패널은 조립시 상측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제2끼움부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제3상측면패널의 절개부에 끼워지거나 또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상측면이 지붕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제2끼움부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시 손잡이끈을 당겨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절개부에 끼워진 제4상측면패널의 끼움부를 펼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고, 지붕모양의 형상을 이루게 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시 제4상측면패널의 끼움부가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절개부에 끼워짐으로써,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외부면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내부면 전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외부면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내부면 전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00)는, 소정의 제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측면부(130) 및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측면부(150)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100)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부(150)는, 제1측면패널(112)의 상단부에 접는선(e1)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162)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162)의 양측에 접이선(f1, f2)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1상측면패널(152); 제2측면패널(116)의 상단부에 접는선(e3)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164)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164)의 양측에 접이선(f3, f4)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3상측면패널(156); 제1패널(114)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제3상측면패널(152, 156)에 접는선(e2, b1, b2)으로 연결되는 제2상측면패널(154); 및 제2패널(118)의 상단부 및 상기 제3상측면패널(156)에 접는선(e4, b3)으로 연결되는 제1덮개부(158a)와, 상기 제1덮개부(158a)의 상단부에 접는선(i1)으로 연결되는 제1끼움부(158b)와, 상기 제1끼움부(158b)의 상단부에 접는선(i2)으로 연결되는 제2끼움부(158c) 및 상기 제2끼움부(158c)의 상단부에 접는선(i3)으로 연결되는 제2덮개부(158d)로 이루어진 제4상측면패널(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0)는 소정의 제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측면부(130) 및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상측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체(110), 하측면부(130), 상측면부(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1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측면패널(112), 제1패널(114), 제2측면패널(116) 및 제2패널(118)을 포함한다.
제1측면패널(112), 제1패널(114), 제2측면패널(116) 및 제2패널(118)은 접는선(a1, a2, a3)으로 연결되어 조립시 제1패널(114)과 제2패널(118) 그리고 제1측면패널(112)과 제2측면패널(116)이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되며, 제1측면패널(112)의 끝단에는 접는선(h1)으로 연결되어 조립시 제2패널(118)의 내측으로 접히면서 접착제에 의해 제2패널(118)의 내측에 접착되는 접착판(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판(120)은 조립시 제1측면패널(112)의 내측으로 접히면서 접착제에 의해 제1측면패널(112)의 내측에 접착되도록 제2패널(118)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측면부(130)는 제1하측면패널(132), 제2하측면패널(134), 제3하측면패널(136) 및 제4하측면패널(138)을 포함한다.
제1하측면패널(132)과 제3하측면패널(136)은 접는선(c1, c3)으로 연결되어 본체(110)의 제1측면패널(112) 및 제2측면패널(116)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하측면패널(134)과 제4하측면패널(138)은 접는선(c2, c4)으로 연결되어 본체(110)의 제1패널(114) 및 제2패널(118)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하측면부(130)의 제2하측면패널(134)에는 접는선(d1)을 따라 접혀지는 제1플랩(134a)이 형성되고, 제4하측면패널(138)에는 접는선(d2)을 따라 접혀지는 제2플랩(138a)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제2하측면패널(134)에는 수평 가장자리부(142), 수직 가장자리부(143), 경사 가장 자리부(141, 144)로 이루어진 결속홈(140)이 형성되고, 제4하측면패널(138)에는 수평 가장자리부(147), 수직 가장자리부(148), 경사 가장 자리부(146, 149)로 이루어진 결속홈(1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측면부(130)는 조립시 제2하측면패널(134)의 결속홈(140)과 제4하측면패널(138)의 결속홈(145)이 상호 맞물려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며, 제2하측면패널(134)과 제4하측면패널(138)의 내측은 제1하측면패널(132) 및 제3하측면패널(136)의 외측에 접착제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저면부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말해, 본체(110) 및 하측면부(130)는 조립시 하부가 마감되고 내부에는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부는 열린 사각함체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포장용 박스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접착 부분이 도면에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은 표장용 박스의 제2패널(118)의 접착 부분(g1)과 접착 결합되는 접착판(120)의 접착 부분(g2), 제1덮개부(158a)의 접착 부분(g3)과 접착 결합되는 접착판(122)의 접착 부분(g4), 제1하측면패널(132)의 접착 부분(g5)과 접착 결합되는 제1플랩(134a)의 접착 부분(g6), 제3하측면패널(136)의 접착 부분(g7)과 접착 결합되는 제2플랩(138a)의 접착 부분(g8)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접착제는 풀, 아교, 천연고무, 본드 등의 통상의 접착제가 사용되며, 접착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접착 부분의 중앙부의 일부에만 접차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상측면부(150)는 본체(110)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상측면패널(152), 제2상측면패널(154), 제3상측면패널(156) 및 제4상측면패널(158)을 포함한다.
제1상측면패널(152)과 제3상측면패널(156)은 접는선(e1, e3)으로 연결되어 본체(110)의 제1측면패널(112) 및 제2측면패널(116)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2상측면패널(154)과 제4상측면패널(158)은 접는선(e2, e4)으로 연결되어 본체(110)의 제1패널(114) 및 제2패널(118)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상측면패널(152), 제2상측면패널(154), 제3상측면패널(156) 및 제4상측면패널(158)은 접는선(b1, b2, b3)으로 연결되며, 제1상측면패널(152)의 끝단에는 접는선(h2)으로 연결되어 조립시 제4상측면패널(158)의 제1덮개부(158a) 내측으로 접히면서 접착제에 의해 제1덮개부(158a)의 내측에 접착되는 접착판(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판(122)은 조립시 제1상측면패널(152)의 내측으로 접히면서 접착제에 의해 제1상측면패널(152)의 내측에 접착되도록 제1덮개부(158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4상측면패널(158)은 제2패널(118)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조립시 제1상측면패널(152) 및 제3상측면패널(156)의 일부를 덮는 제1덮개부(158a)와, 제1덮개부(158a)의 상단부에 접는선(i1)으로 이어지는 제1끼움부(158b)와, 제1끼움부(158b)의 상단부에 접는선(i2)으로 이어져 제1끼움부(158b)와 겹쳐지는 제2끼움부(158c) 및 제2끼움부(158c)의 상단부에 접는선(i3)으로 이어져 제2상측면패널(154)을 덮는 제2덮개부(158d)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상측면패널(152)의 중앙에는 조립시 제1끼움부(158b)와 제2끼움부(158c)가 겹쳐진 상태로 끼워지는 절개부(162)가 절개 형성되고, 절개부(162)의 좌우측으로 접이선(f1, f2)이 사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상측면패널(156)의 중앙에는 조립시 제1끼움부(158b)와 제2끼움부(158c)가 겹쳐진 상태로 끼워지는 절개부(164)가 절개 형성되며, 절개부(164)의 좌우측으로 접이선(f3, f4)이 사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4상측면패널(158)이 제2상측면패널(154)에 결속시, 제1상측면패널(152)과 제3상측면패널(156)은 접는선(b1, b2, b3, ,e1, e3, h2)과 접이선(f1, f2, f3, f4)에 의해 접이선(f1, f2, f3, f4)을 중심으로 포개지게 되고, 동시에 절개부(162, 164)에 제1, 제2끼움부(158b, 158c)가 겹쳐진 상태로 끼워져 본체(110)의 상부를 제1덮개부(158a)와 제2덮개부(158d)가 덮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2덮개부(158d)의 상단부에는 결속돌기부(180)가 형성되고, 제2상측면패널(154)의 하측에는 결속돌기부(180)가 삽입되는 결속홀(182)이 형성되며, 조립시 결속돌기부(180)가 결속홀(182)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제2상측면패널(154)의 하측에는 제1패널(114)과 연결된 고정돌기부(184)가 형성되고, 결속돌기부(180)의 하측에는 고정돌기부(184)가 끼워지는 고정홀(186)이 형성되며, 조립시 결속돌기부(180)가 결속홀(18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돌기부(184)가 고정홀(186)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 박스(100)의 조립시 결속돌기부(180)가 결속홀(18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돌기부(184)가 고정홀(186)에 끼워짐으로써, 제2상측면패널(154)과 제4상측면패널(158)이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돌기부(184)는 제1패널(114)의 일부(114a)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패널(114)의 일부(114a)는 양측에 절개선이 형성되고, 하측에 접이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 제2상측면패널(154)과 제4상측면패널(158)이 서로 결속되어, 수납된 상품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2상측면패널(154)과 제4상측면패널(158)의 제1덮개부(158a)에는 한쌍의 손잡이끈용 체결공(170)이 각각 형성되며, 손잡이끈용 체결공(170)에는 섬유사재질이나 수지재질의 손잡이끈(190)이 결속된다.
그리고, 제2상측면패널(154)을 덮는 제2덮개부(158d)에는 손잡이끈 끼움홀(172)이 형성되며, 조립시 제2상측면패널(154)에 결속된 손잡이끈(190)이 끼움홀(172)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용 박스(100)를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접착 부분을 상호 접착하여 조립된 상태로 손잡이끈(190)을 잡고 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62, 164)에 끼워진 제1, 제2끼움부(158b, 158c)가 펼쳐지며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지붕모양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수직으로 쌓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62, 164)에 제1, 제2끼움부(158b, 158c)가 겹쳐진 상태로 끼워져 사각함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이동시 손잡이끈(190)을 당겨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절개부(162, 164)에 끼워진 제1, 제2끼움부(158b, 158c)를 펼침으로써, 지붕모양의 형상을 이루게 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확보되며, 또한, 제4상측면패널(158)의 일부가 접는선(i1, i2, i3)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절개부(162, 164)에 끼워짐으로써, 사각함체 형상을 이루게 되어 수직으로 적층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12 : 제1측면패널
114 : 제1패널 116 : 제2측면패널
118 : 제2패널 120 : 접착판
130 : 하측면부 132 : 제1하측면패널
134 : 제2하측면패널 136 : 제3하측면패널
138 : 제4하측면패널 140, 145 : 결속홈
150 : 상측면부 152 : 제1상측면패널
154 : 제2상측면패널 156 : 제3상측면패널
158 : 제4상측면패널 170 : 체결공
172 : 끼움홀 180 : 결속돌기부
182 : 결속홀 184 : 고정돌기부
186 : 고정홀

Claims (6)

  1. 소정의 제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측면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측면부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측면패널, 제1패널, 제2측면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 상기 제2측면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각각 접는선으로 연결되며, 조립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이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되며,
    상기 상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패널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접이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1상측면패널;
    상기 제2측면패널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조립시 포개지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접이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3상측면패널;
    상기 제1패널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제3상측면패널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상측면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상단부 및 상기 제3상측면패널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제1덮개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끼움부 및 상기 제2끼움부의 상단부에 접는선으로 연결되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진 제4상측면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측면패널과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1덮개부에는 한쌍의 손잡이끈용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손잡이끈이 결속되며,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2덮개부에는 상기 제2상측면패널에 결속된 손잡이끈이 통과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상단부에는 결속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상측면패널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결속돌기부가 삽입되는 결속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측면패널의 하측에는 상기 제1패널과 연결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상측면패널과 상기 결속돌기부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측면패널과 상기 제4상측면패널의 제1덮개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상측면패널과 상기 제1덮개부 중 어느 한쪽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접착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상측면패널은 조립시 상측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제2끼움부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 제3상측면패널의 절개부에 끼워지거나 또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상측면이 지붕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제2끼움부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150116229A 2015-08-18 2015-08-18 포장용 박스 KR10170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29A KR101707667B1 (ko) 2015-08-18 2015-08-18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29A KR101707667B1 (ko) 2015-08-18 2015-08-18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67B1 true KR101707667B1 (ko) 2017-02-17

Family

ID=5826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29A KR101707667B1 (ko) 2015-08-18 2015-08-18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62B1 (ko) * 2019-06-03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4622U (ko) * 1978-11-20 1980-05-22
JPH0577224U (ja) * 1992-03-26 1993-10-22 トーヨー産業株式会社 板ガラスの異形及びサークルカッター
US5413273A (en) * 1992-07-28 1995-05-09 M-Pak Limited Merchandise containers
KR20100057385A (ko) * 2008-11-21 2010-05-31 일원판지(주) 포장용 팔각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4622U (ko) * 1978-11-20 1980-05-22
JPH0577224U (ja) * 1992-03-26 1993-10-22 トーヨー産業株式会社 板ガラスの異形及びサークルカッター
US5413273A (en) * 1992-07-28 1995-05-09 M-Pak Limited Merchandise containers
KR20100057385A (ko) * 2008-11-21 2010-05-31 일원판지(주) 포장용 팔각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62B1 (ko) * 2019-06-03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680B2 (en) Sheet and folding method for self-latching clamshell folded box
US8579183B2 (en) Lid assembly for shipping container
CA2508954C (en) Combination shipping/display container
US9457929B2 (en) Leakage-resistant packaging
US4311268A (en) Footwear box with handles
US20110000956A1 (en) Folding box for carrying
KR101707667B1 (ko) 포장용 박스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KR102366485B1 (ko) 조립식 배송용 박스
KR101707665B1 (ko) 포장용 박스
KR200394927Y1 (ko) 포장박스
KR101835976B1 (ko) 포장용 박스
KR102019553B1 (ko) 포장용 박스
CA261363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KR101692957B1 (ko) 포장용 박스
KR101986559B1 (ko) 개폐식 플립형 케이스
KR101926465B1 (ko) 포장용 박스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20180022196A (ko) 포장용 박스
KR20190003259U (ko) 포장재
KR102137070B1 (ko) 조립식 상자를 이용한 재활용 상자
CN211281811U (zh) 一种十字锁扣托盘式多层包装盒
US20170275048A1 (en) Boxes
JP7182909B2 (ja) 梱包容器及び梱包容器用シー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