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74U - 개방형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개방형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74U
KR20130005174U KR2020120001372U KR20120001372U KR20130005174U KR 20130005174 U KR20130005174 U KR 20130005174U KR 2020120001372 U KR2020120001372 U KR 2020120001372U KR 20120001372 U KR20120001372 U KR 20120001372U KR 20130005174 U KR20130005174 U KR 20130005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box
open
side wall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건
Original Assignee
삼성포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포장(주) filed Critical 삼성포장(주)
Priority to KR202012000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174U/ko
Publication of KR20130005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no en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개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지가 적게 사용되어 원가절감에서 유리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고, 농산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어 포장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개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네 개의 측벽부재로 이루어진 박스몸체와 그 측벽부재의 하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하면부재로 구성되므로 절취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원지가 적게 사용되어 원가절감에서 유리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고, 하면부재를 접합하게 되면 견고한 박스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완전히 조립되지 전에 박스몸체의 상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농산물을 수납시킬 수 있어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어 포장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박스몸체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덮개부의 삽입편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조립된 후 덮개부가 쉽게 열리지 않아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포장박스{Open type packing box}
본 고안은 농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개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지가 적게 사용되어 원가절감에서 유리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고, 농산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어 포장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개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번에 다량의 농산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농산물 운반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상태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포장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포장박스는 크게 두 분류로 구분되는데, 밀폐형 타입과 개방형 타입이다. 전자는 상부에 내부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는 덮개가 구비되어 포장 후에는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는 타입이고, 후자는 상부가 오픈되어 수시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타입으로, 근래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농산물은 개방형 타입의 포장박스에 포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농산물 같은 경우에는 쉽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를 훼손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방형 포장박스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8-0004630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종래의 개방형 포장박스는 크게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전후면에서 절곡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전/후면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 양 측면에서 절곡 가능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전/후면판부재에 결합되는 삽착편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방형 포장박스가 조립되면 덮개부에 의해서 내부공간이 상부로 완전히 개방된 형상은 아니며 덮개부에 의해서 일부가 덮여 있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로 농산물을 넣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크기가 작은 농산물의 경우에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으나 수박과 같은 큰 농산물은 투입과정에서 덮개부에 부딪혀 농산물 훼손 혹은 포장박스의 훼손이 염려되므로 포장시 주의가 요구되어 포장속도가 떨어지게 되고 곧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덮개부를 결합하지 않고 포장하면 문제될 것이 없으나 덮개부가 결합되지 않으면 전/후면판부재는 물론이고 덮개부 자체도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이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불가능 하였다.
또한, 개방형 포장박스는 각 측벽들의 조립으로 박스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조립을 위한 결합홈, 날개편 및 플랩 등이 각 면에 다수 형성되는데, 이는 곧 원지에서 상기 구성요소를 형성함에 있어 절취에 의해 형성하므로 절취가 많으면 많을수록 원지 낭비를 초래하여 원가절감이 쉽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지가 적게 사용되어 원가절감에서 유리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고, 농산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어 포장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개방형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내지 제4측벽부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접혀져서 상하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재의 상단부 양 측에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박스몸체; 상기 박스몸체를 이루는 각 측벽부재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박스몸체 내측으로 접혀져서 개방된 하면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면부재; 및 상기 박스몸체의 제2 및 제4측벽부재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양단부에는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편이 각각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의 삽입편은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 외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네 개의 측벽부재로 이루어진 박스몸체와 그 측벽부재의 하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하면부재로 구성되므로 절취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원지가 적게 사용되어 원가절감에서 유리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고, 하면부재를 접합하게 되면 견고한 박스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완전히 조립되지 전에 박스몸체의 상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농산물을 수납시킬 수 있어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어 포장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박스몸체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덮개부의 삽입편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조립된 후 덮개부가 쉽게 열리지 않아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조립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개방형 포장박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조립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개방형 포장박스는 소정의 골판지나 종이판재를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크게 박스몸체(10), 하면부재(20) 및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절곡 가능한 네 개의 측벽부재(10a,10b,10c,10d) 즉, 제1측벽부재(10a), 제2측벽부재(10b), 제3측벽부재(10c) 및 제4측벽부재(10d)로 구성되어 사각기둥 형상으로 접혀져서 상하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측벽부재(10a)의 일측에는 접혀져서 사각기둥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4측벽부재(10d)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재(10a,10c)의 상단부 양 측에는 삽입공(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의 각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편(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면부재(2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박스몸체(10) 내측으로 접혀져서 개방된 하면을 밀봉한다. 즉, 상기 하면부재(20)는 네 개로 구성되어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들에 대해 접혀진 상태에서 박스몸체(10)의 개방된 하면을 밀봉하여 농산물을 수용하는 미부호 설명인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제2 및 제4측벽부재(10b,10d)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10)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양단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삽입공(12)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편(3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개방형 포장박스임에도 상기 덮개부(30)가 형성되어 박스몸체(10) 상면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은 포장박스를 적층할 때 상측에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하면을 안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과,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를 더욱 견고히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밑면이 일체로 형성된 종래의 개방형 포장박스와 달리 하면부재(20)를 네 개로 구성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를 서로 조립하지 않고 제1 및 제4측벽부재(10a,10d)만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전개도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와 달리 조립을 위해 절취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원지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원가 절감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방형 포장박스는 하기와 같이 조립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몸체(10)의 제1측벽부재(10a)에 형성된 접착부(16)와 제4측벽부재(10d)를 서로 접합하여("가" 참조) 상하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나" 참조) 각 측벽부재(10a,10b,10c,10d)의 하측에서 연장된 복수의 하면부재(20)를 박스몸체(10) 내측으로 각각 절곡하여서 상하로 개방된 박스몸체(10)의 하면을 밀봉하게 된다.("다" 참조)
이때, 상기 하면부재(20)는 미도시 하였으나 접착테이프를 통해서 접어진 상태에서 부착 고정되는데, 이렇게 하면부재(20)를 접착하고 나면 본 고안의 포장박스는 사각 박스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박스몸체(10) 하면에 구비된 하면부재(20)를 접철하여 부착하게 되면 별도로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를 고정하기 위한 행위를 하지 않아도 사각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박스몸체(10)의 제1 및 제3측벽부재(10a,10c) 상면에 구비된 지지편(14)을 내측으로 접고,("라" 참조) 제2 및 제4측벽부재(10b,10d) 상면에서 연장된 덮개부(30)를 내측으로 접되, 상기 덮개부(30)에 구비된 각 삽입편(32)을 상기 박스몸체(10)의 제1 및 제3측벽부재(10a,10c)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공(12)으로 삽입하면 포장박스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바"의 A-A선 개략적 확대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에 형성된 삽입편(32)은 제1 및 제3측벽부재(10a,10c)에 형성된 삽입공(12)의 상단부 외부 측면에 위치되어 내측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절곡 삽입되면서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통상 박스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조립시 덮개부(30)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이 파지가 용이하여 운반할 때 이 부분을 파지하는 경우가 빈번함에 따라 덮개부(30)가 쉽게 열리거나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제안 된 것이다.
즉, 덮개부(30)에 형성된 삽입편(32)이 종래처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면 덮개부(30)를 파지하고 포장박스를 들었을 때 박스몸체(10)의 무게 때문에 쉽게 열리게 된다. 물론 덮개부(30)가 열리면 다시 조립하면 되나 포장박스 자체는 종이재를 소재로 형성되므로 합성수지재와 달리 여러 번 반복 조립하게 되면 느슨해지거나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 덮개부(30)의 삽입편(32)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덮개부(30)를 파지하더라도 작용되는 힘의 방향이 서로 달라 삽입공(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방형 포장박스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포장박스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개방형 포장박스 역시 농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몸체(10) 내부에 농산물이 저장되는데, 농산물을 저장하는 시점이 종래와 달리 포장박스가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도 가능한 것이다.
즉, 앞서 조립 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하면부재(20)를 접어서 접합하게 되면 각 측벽부재(10a,10b,10c,10d)는 견고한 박스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도 3의 "다"의 상태 즉, 덮개부(30)를 결합하기 전에 농산물을 박스몸체(10) 내부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덮개부(30)가 절곡되어 조립되면 박스몸체(10)의 상면 일부를 덮는 형상을 가지므로 부피가 큰 농산물 일수록 박스몸체(10) 내부로 넣을 때 덮개부(30)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덮개부(30)를 절곡하여 조립하기 전 농산물을 저장 해놓고 최종적으로 도 3의 "라" 및 "마"와 같이 덮개부(30)를 조립하여서 포장을 작업을 완성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경우에는 박스가 완전히 조립되지 않으면 각 측벽(10a,10b,10c,10d)들이 견고하지 못해 내부에 농산물을 저장할 수 없는 구성이여서 본 고안과 같이 덮개부(30)를 조립하지 않고는 농산물 자체를 저장하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새로운 구성으로 인해 덮개부(30)를 조립하지 않고도 농산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박스몸체 10a : 제1측벽부재
10b : 제2측벽부재 10c : 제3측벽부재
10d : 제4측벽부재 12 : 삽입공
14 : 지지편 16 : 접착부
20 : 하면부재 30 : 덮개부
32 : 삽입편

Claims (2)

  1. 제1 내지 제4측벽부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접혀져서 상하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재의 상단부 양 측에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박스몸체;
    상기 박스몸체를 이루는 각 측벽부재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박스몸체 내측으로 접혀져서 개방된 하면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면부재; 및
    상기 박스몸체의 제2 및 제4측벽부재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양단부에는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편이 각각 형성된 덮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삽입편은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 외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포장박스.
KR2020120001372U 2012-02-22 2012-02-22 개방형 포장박스 KR201300051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72U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2-02-22 개방형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72U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2-02-22 개방형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74U true KR20130005174U (ko) 2013-08-30

Family

ID=5243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72U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2-02-22 개방형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17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71A1 (ko) * 2017-07-18 2019-01-24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20230139649A (ko) 2022-03-28 2023-10-05 이주연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KR20230139660A (ko) 2022-03-28 2023-10-05 이주연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71A1 (ko) * 2017-07-18 2019-01-24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CN110520363A (zh) * 2017-07-18 2019-11-29 零胶天使箱股份公司 具有粘结翼部的折叠式箱子
US11001406B2 (en) 2017-07-18 2021-05-11 Wingbox Co., Ltd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KR20230139649A (ko) 2022-03-28 2023-10-05 이주연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KR20230139660A (ko) 2022-03-28 2023-10-05 이주연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KR20130005174U (ko) 개방형 포장박스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100781612B1 (ko) 종이 포장상자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KR200468026Y1 (ko) 모서리가 보강된 트레이 박스
KR20110095636A (ko) 단일 판체로 되는 접이식 바구니형 포장 상자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KR200466153Y1 (ko) 포장박스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101164088B1 (ko) 포장박스
KR20210026876A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EP3431403A1 (en) Packaging box, packaging box unfolding plate and assembly method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RU151414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и вставка для нее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KR10132069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JP2014213893A (ja) 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箱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方法
KR200478815Y1 (ko) 2겹 손잡이 일체형 듀얼 뚜껑 상자
RU117410U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KR20090058071A (ko) 덮개가 구비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