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49A -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49A
KR20230139649A KR1020220038239A KR20220038239A KR20230139649A KR 20230139649 A KR20230139649 A KR 20230139649A KR 1020220038239 A KR1020220038239 A KR 1020220038239A KR 20220038239 A KR20220038239 A KR 20220038239A KR 20230139649 A KR20230139649 A KR 2023013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ir
bent
wall portion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이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연 filed Critical 이주연
Priority to KR102022003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49A/ko
Publication of KR2023013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B65D5/24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gussets folds comprising more than two guss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33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 B65D5/4241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located in a compartment formed by a double-walled panel projecting out of the plane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어느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1외측벽부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다른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2외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내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박스의 상면 일부를 덮는 한 쌍의 덮개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외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외측플랩 및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플랩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영역 일부가 상호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외측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미리 절곡함과 아울러 절곡된 내외측벽의 일부영역을 미리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함에 따라 조립을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A packing box with improved assembly efficiency}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이 개방되는 포장용 박스의 내외측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미리 절곡함과 아울러 절곡된 내외측벽의 일부영역을 미리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함에 따라 조립을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번에 다량의 물품의 운반이 가능하고, 농산물 운반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상태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 박스는 크게 상부 밀폐형 타입과 상부 개방형 타입의 두 분류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상부에 내부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는 덮개가 구비되어 포장 후에는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는 타입이고, 후자는 상부가 오픈되어 수시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타입이다.
최근에는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에서 고품질의 물품에 대한 공급이 요구되면서 상부 개방형 타입의 포장용 박스에 물품을 수납하고, 포장용 박스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상부 개방형 타입의 포장용 박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5174호에는 제1 내지 제4측벽부재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접혀져서 상하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를 이루는 각 측벽부재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개방된 하면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면부재와, 상기 박스몸체의 대향하는 제2 및 제4 측벽부재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편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개방형 포장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의 상부가 일부 개방되어 있어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호 적층되는 경우, 단일벽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와,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의 상부에 양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덮개부에 의해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하중이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단일벽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와,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의 상부에 양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덮개부만으로는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포장박스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있으며, 포장박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내부에 수납된 물품까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51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되는 포장용 박스의 내외측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미리 절곡함과 아울러 절곡된 내외측벽의 일부영역을 미리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함에 따라 조립을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어느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1외측벽부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다른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2외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내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박스의 상면 일부를 덮는 한 쌍의 덮개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외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외측플랩 및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플랩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영역 일부가 상호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내측벽부는 일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수직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직접힙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단선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와 연결된 상기 내측플랩은 상기 내측벽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수직접힘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플랩을 상기 내측벽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상기 내측벽부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수직접힙부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보강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벽과 연결된 상기 내측플랩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2수직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보강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벽의 폭보다 상기 제2보강벽의 폭이 2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플랩을 상기 내측벽부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상기 제1보강벽은 상기 내측벽부의 내면에 밀착지지되고, 상기 제2보강벽은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플랩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보강벽 및 상기 제2보강벽의 하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아치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외측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미리 절곡함과 아울러 절곡된 내외측벽의 일부영역을 미리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함에 따라 조립을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공급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조립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보강벽 및 제2보강벽이 형성되는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공급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바닥면(10), 제1외측벽부(20), 제2외측벽부(30), 내측벽부(40), 덮개부(50), 외측플랩(60) 및 내측플랩(70)을 포함한다.
바닥면(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S)에 수용되는 포장대상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외측벽부(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바닥면(10)의 4개의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면(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닥면(10)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제2외측벽부(30)와 함께 포장용 박스의 측면을 이루면서 바닥면(10)의 상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외측벽부(30)는 제1외측벽부(20)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바닥면(10)의 4개의 모서리 중 제1외측벽부(20)가 형성되지 않는 2개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면(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닥면(10)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외측벽부(20)와 함께 포장용 박스의 측면을 이루면서 바닥면(10)의 상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벽부(40)는 한 쌍이 상호 대향하는 제1외측벽부(2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제1외측벽부(20)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각각의 내측벽부(40)는 제1외측벽부(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바닥면(10)의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제1외측벽부(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정 길이의 폭을 가지는 상부면으로 후술하는 덮개부(50)가 지지되는 지지면(41)과, 지지면(4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제1외측벽부(20)의 내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벽(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면(41)의 양측단에는 후술하는 덮개부(50)에 형성된 결속돌기(51)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공(41a)이 형성된다.
덮개부(50)는 상호 대향하는 제2외측벽부(3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외측벽부(3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포장용 박스의 상면 일부는 덮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각의 덮개부(50)의 상단부 양측에는 덮개부(50)의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덮개부(5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결속돌기(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속돌기(51)는 끼움공(41a)에 삽입되어 각각의 덮개부(50)가 지지면(4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외측플랩(60)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외측벽부(20) 각각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각각의 제1외측벽부(2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외측벽부(30)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1외측벽부(20)의 대향하는 일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외측플랩(6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에는 결합돌기(61)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측단에는 결합홈(62)이 절개형성되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각각의 일측단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내측플랩(70)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벽부(40) 중 지지벽(42)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각각의 지지벽(42)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외측플랩(6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한 포장용 박스(1)는 통상 두께가 두껍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각 구성을 절곡형성하는데 큰 힘이 요구됨에 따라 조립을 위한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박스(1)의 제작시 내측벽부(40)를 제1외측벽부(20)의 내측으로 미리 절곡시킨 상태에서 내측벽부(40)와 제1외측벽부(20)가 접하는 각각의 하단부 일부영역을 별도의 접착제로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을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현장에서 포장용 박스의 조립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조립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의 조립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 일부영역이 미리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제1외측벽부(20)와 내측벽부(40)를 바닥면(10)의 상방으로 절곡하여 직립시킨다.
그러면, 제1외측벽부(20)의 양측단에 형성된 외측플랩(60)과 내측벽부(40)의 양측단에 형성된 내측플립(70)도 이와 함께 직립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립된 상태의 외측플랩(60)과 내측플랩(70)의 일측단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로 외측플랩(60)과 내측플랩(70)을 제1외측벽부(20) 및 내측벽부(4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각각의 제1외측벽부(20)의 대향하는 일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외측플랩(60) 중 어느 하나의 외측플랩(60)의 일측단에 형성된 결합돌기(61)를 다른 하나의 일측단에 형성된 결합홈(62)에 체결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외측벽부(30)를 바닥면(10)의 상방으로 절곡하여 직립시키고, 각각의 덮개부(50)를 각각의 제2외측벽부(3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각각의 덮개부(50)의 양단에 형성된 결속돌기(51)를 끼움공(41a)에 삽입하면 포장용 박스(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내측벽부는 양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수직접힘부가 형성되고, 이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양측단으로부터 제1수직접힘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단선이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벽부와 연결된 내측플랩은 내측벽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수직접힘부가 더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내측플랩(70)을 내측벽부(4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각각의 내측벽부(40)의 양측단부가 각각 제1수직접힘부(42a)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보강벽(80)을 형성하고, 제1보강벽(80)과 연결된 각각의 내측플랩(70)의 일측단부가 제2수직접힘부(70a)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보강벽(9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보강벽(80)의 폭(내측벽부(40)의 일측단과 제1수직접힙부(42a) 간 이격거리)보다 제2보강벽(90)의 폭(내측벽부(40)의 일측단과 제2수직접힘부(70a) 간 이격거리)이 2배이상 크게 형성되어 도 7의 확대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보강벽(80)은 내측벽부(40)의 내면에 밀착지지되고, 제2보강벽(90)은 내측벽부(40)와 내측플랩(7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보강벽(80)은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일측단부가 제2보강벽(90)의 일측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벽부(40)의 내면에 밀착지지되어 제2보강벽(90)이 측벽부의 양단부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보강벽(90)은 측벽부의 양단부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1)의 코너 영역에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1)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보강벽(90)은 포장용 박스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의 일부를 분산시켜 지지함에 따라 덮개부(50) 및 지지면(41)에만 적재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하중에 의해 포장용 박스(1)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직접힘부(42a)와 제2수직접힘부(70a) 사이에 형성되는 제1보강벽(80) 및 제2보강벽(90)의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아치형상의 절개부(H)가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7의 확대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보강벽(80) 및 제2보강벽(90)의 하단이 아치구조로 형성되어 제1보강벽(80) 및 제2보강벽(90)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이 아치구조를 따라 분산되어 적재하중을 경감시킴에 따라 적재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보강벽(80) 및 제2보강벽(90)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벽부(40)의 양측단에 각각 제1수직접힘부(42a), 절단선(42b)가 형성되고, 내측플랩(70)에 제2수직접힘부(70a)가 형성되며, 제1수직접힘부(42a) 및 제2수직접힙부(71a) 사이에 아치형상의 절개부(H)가 더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조립과정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제1보강벽 및 제2보강벽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보강벽 및 제2보강벽이 형성되는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외측벽부(20) 및 내측벽부(40)가 바닥부(10)의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내측플랩(70) 및 외측플랩(60)은 제1외측벽부(20) 및 내측벽부(3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내측플랩(70) 및 외측플랩(60)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내측플랩(70) 및 외측플랩(60)을 제1외측벽부(20) 및 내측벽부(4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절곡하면, 제1보강벽(80)은 제1수직접힘부(42a)를 기준으로 내측벽부(40)의 내측방향으로 90°이상 절곡되고, 제2보강벽(90)은 제2수직접힘부(70a)를 기준으로 내측플랩(7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플랩(60)과 함께 내측플랩(70)을 제1외측벽부(20) 및 내측벽부(40)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절곡하면, 제1보강벽(80)은 내측벽부(40)의 내측방향으로 180°절곡되어 내측벽부(40)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제1보강벽(80)과 연결된 제2보강벽(90)의 일측단부는 내측벽부(40)에 근접하게 배치되면서 외측플랩(60)과 내측벽부(4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포장용 박스 10 : 바닥면
20 : 제1외측벽부 30 : 제2외측벽부
40 : 내측벽부 41 : 지지면
41a : 끼움공 42 : 지지벽
42a : 제1수직접힘부 42b : 절단선
50 : 덮개부 51 : 결속돌기
60 : 외측플랩 61 : 결합돌기
62 : 결합홈 70 : 내측플랩
70a : 제2수직접힘부 80 : 제1보강벽
90 : 제2보강벽 H : 절개부
S : 수납공간

Claims (4)

  1.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어느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1외측벽부와;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 중 상호 대향하는 다른 두 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제2외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내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제2외측벽부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박스의 상면 일부를 덮는 한 쌍의 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외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외측플랩과;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플랩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내측벽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영역 일부가 상호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내측벽부는 일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수직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벽부와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직접힙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단선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와 연결된 상기 내측플랩은 상기 내측벽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수직접힘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플랩을 상기 내측벽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상기 내측벽부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수직접힙부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보강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벽과 연결된 상기 내측플랩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2수직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보강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벽의 폭보다 상기 제2보강벽의 폭이 2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플랩을 상기 내측벽부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상기 제1보강벽은 상기 내측벽부의 내면에 밀착지지되고, 상기 제2보강벽은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플랩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벽 및 상기 제2보강벽의 하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아치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KR1020220038239A 2022-03-28 2022-03-28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KR20230139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39A KR20230139649A (ko) 2022-03-28 2022-03-28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39A KR20230139649A (ko) 2022-03-28 2022-03-28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49A true KR20230139649A (ko) 2023-10-05

Family

ID=8829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239A KR20230139649A (ko) 2022-03-28 2022-03-28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3-08-30 삼성포장(주) 개방형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3-08-30 삼성포장(주) 개방형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01786B (zh) 具有底部支撑件的纸板容器
US7331508B2 (en) Stackable container with support flanges
US9096349B2 (en) Divider boxes and their assembly
US8800854B2 (en) Reinforcing support assemblies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96178B1 (en) Container with triangular corner posts
US20120061457A1 (en) Carton With Angled Corner Panels
KR20070010189A (ko) 플랫폼
JP5648582B2 (ja) 包装箱
US4068794A (en) Container particularly, but not exclusively for use in shipping perishables
JP2010111421A (ja) 紙製収容箱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EP1015328A1 (en) Sealable carton
KR20230139649A (ko)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JP2017507857A5 (ko)
KR102248198B1 (ko)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KR20230139660A (ko)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JP6742148B2 (ja) スタッキング機能付き包装容器
RU159340U1 (ru) Складной лоток
RU208282U1 (ru) Короб с двойными бортами
RU2669935C1 (ru) Упаковка и колонна из этих упаковок
KR101476636B1 (ko)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KR20130071330A (ko) 포장용 박스
RU2808300C1 (ru) Поддон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US11618607B2 (en) Leak resistant feature for bliss box
RU2483994C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