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60A -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60A
KR20230139660A KR1020220038258A KR20220038258A KR20230139660A KR 20230139660 A KR20230139660 A KR 20230139660A KR 1020220038258 A KR1020220038258 A KR 1020220038258A KR 20220038258 A KR20220038258 A KR 20220038258A KR 20230139660 A KR20230139660 A KR 2023013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ckaging box
folded
wall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이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연 filed Critical 이주연
Priority to KR102022003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60A/ko
Publication of KR2023013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33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 B65D5/4241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located in a compartment formed by a double-walled panel projecting out of the plane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외벽과, 외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수평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어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상단에 형성된 제2수평접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는 내벽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호 대향하는 어느 한 쌍의 내벽의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접힘부와 상기 제2수평접힘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수직접힘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쌍의 내벽을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힙형성하는 경우, 상기 수직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되어 각각의 단부가 이웃하는 다른 한 쌍의 내벽에 지지되는 4개의 보강벽으로 이루어진 보강벽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웃하는 측벽의 양단부 간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보강벽부에 의해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의 코너 영역에 적재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경벽부에 의해 증가된 지지면적을 통해 포장용 박스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분산지지하여 포장용 박스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산지지를 통하여 적재하중이 분배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재질을 기존보다 두께가 얇고 강도가 낮은 재질로 대체할 수 있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A packing box capable of stable carrying via load distribution function}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이 개방되는 포장용 박스의 구조를 개량하여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의 코너영역에 적재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 지지면적을 통해 적재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특정영역에 적재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번에 다량의 물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물품 운반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상태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 박스는 크게 상부 밀폐형 타입과 상부 개방형 타입의 두 분류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상부에 내부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는 덮개가 구비되어 포장 후에는 물품을 확인할 수 없는 타입이고, 후자는 상부가 오픈되어 수시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는 타입이다.
최근에는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에서 고품질의 물품에 대한 공급이 요구되면서 상부 개방형 타입의 포장용 박스에 물품을 수납하고, 포장용 박스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상부 개방형 타입의 포장용 박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5174호에는 제1 내지 제4측벽부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접혀져서 상하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를 이루는 각 측벽부재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개방된 하면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면부재와, 상기 박스몸체의 대향하는 제2 및 제4 측벽부재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박스몸체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박스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편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개방형 포장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장용 박스의 상부가 일부 개방되어 있어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호 적층되는 경우, 단일벽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와,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의 상부에 양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덮개부에 의해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하중이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 개방형 포장박스는 단일벽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와, 제1 내지 제4 측벽부재의 상부에 양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덮개부만으로는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포장박스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있으며, 포장박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내부에 수납된 물품까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51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이 개방되는 포장용 박스의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의 코너영역에 적재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 지지면적을 통해 적재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특정영역에 적재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외벽과, 외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수평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어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상단에 형성된 제2수평접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는 내벽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 중 어느 하나의 내벽의 일측단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접힘부와 상기 제2수평접힘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직접힘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을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는 경우, 상기 수직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되어 일측단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내벽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을 포함하는 보강벽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은 상기 보강벽이 형성된 일측단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증가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의 일측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내벽은 일측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개되어 감소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의 증가된 폭과 상기 다른 하나의 내벽의 감소된 폭이 동일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내벽의 일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을 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웃하는 측벽의 양단부 간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보강벽부에 의해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의 코너 영역에 적재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경벽부에 의해 증가된 지지면적을 통해 포장용 박스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분산지지하여 포장용 박스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산지지를 통하여 적재하중이 분배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재질을 기존보다 두께가 얇고 강도가 낮은 재질로 대체할 수 있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크게 측면부(10)와, 바닥면(20)과, 보강벽부(30)를 포함한다.
측면부(10)는 포장용 박스(1)의 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닥면(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벽(11, 12)과, 상호 대향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측벽(11, 12)보다 길이가 긴 제3 및 제4 측벽(13, 14)를 포함하는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측벽은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과,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과,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내벽(11c, 12c, 13c, 14c)을 포함한다.
상기한 4개의 측벽(11, 12, 13, 14)는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의 측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간 연결부위에는 수직으로 접힘선(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힘선(15)는 측면부(10)를 사각기둥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각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간 연결부위가 접혀지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2 및 제3 외벽(12a, 13a)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의 측단부에는 제2 및 제3 외벽(12a, 13a)을 연결하는 결합편(13aa)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외벽(13a)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합편(13aa)은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을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2 외벽(12a)의 내면에 제3 외벽(13a)의 결합편(13aa)을 부착하여 상기한 사각기둥형상을 보다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4개의 측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의 상부에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과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의 연결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수평접힘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의 상부에 제1 내지 제4 외벽(11a, 12a, 13a, 14a)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내지 제4 내벽(11c, 12c, 13c, 14c)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과 제1 내지 제4 내벽(11c, 12c, 13c, 14c)의 연결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제2수평접힘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지지면(11b, 12b, 13b, 14b)은 각 외벽(11a, 12a, 13a, 14a)의 상단과 각 내벽(11c, 12c, 13c, 14c)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벽(11a, 12a, 13a, 14a)과 내벽(11c, 12c, 13c, 14c)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 구조의 측면부(10)의 두께방향을 보강함과 아울러, 외벽(11a, 12a, 13a, 14a)의 상단으로부터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수직 접힘형성되어 포장용 박스(1)의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1)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면(20)은 제1 및 제2 측벽(11, 12)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 바닥부(21, 22)와, 제3 및 제4 측벽(13, 14)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제3 및 제4 바닥부(23, 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포장용 박스(1)의 바닥면(20)을 이루면서 포장대상물품이 포장용 박스(1) 내에 수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20)이 제1 내지 제4 측벽(11, 12, 13, 14) 각각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바닥부(21, 22, 23, 24)를 상호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성형 박스로 제작되는 경우 한 장의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바닥면(20)의 형상 및 결합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강벽부(30)는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접힘부(17)와, 제1 및 제2 내벽(11c, 12c)과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11b, 12b)을 연결하는 각각의 제2수평접힘부(16b)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접힘부(17)와의 교차영역까지 절개 형성된 절개부(18)에 의해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각각의 양단에 형성되는 4개의 보강벽(3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벽(31)는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을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수직접힙부(17)를 기준으로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힘되어 각각의 측단부가 이웃하는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의 내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보강벽(31)은 포장용 박스(1)의 측면부(10)를 형성되는 4개의 측벽(11, 12, 13, 14)의 이웃하는 양단부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다단 적재시 포장용 박스의 코너 영역에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포장용 박스(1)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보강벽(31)을 통해 포장용 박스(1)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의 일부를 분산시켜 지지함에 따라 포장용 박스(1)의 상부에 인가되는 적재하중이 제1 내지 제4 지지면(11b, 12b, 13b, 14b)에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하중에 의해 포장용 박스(1)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벽부(30)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각각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의 각각의 양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20)을 제1 내지 제4 측벽(11, 12, 13, 14)에 직교되게 접은 상태에서 제2 측벽(12)과 제3 측벽(13)을 내측으로 접힘형성한다.
다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11)을 접고, 제3 측벽(13)의 제3 외벽(13a)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결합편(13aa)을 제2 측벽(12)의 제2 외벽(12a)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포장용 박스(1)를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측벽(13, 14)의 제3 및 제4 지지면(13b, 14b)을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수직 접힘형성하고, 제3 및 제4 측벽(13, 14)의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을 바닥면(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여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의 상부를 바닥면(20)에 지지시켜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이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벽(11, 12)의 제1 및 제2 지지면(11b, 12b)을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수직 접힘형성하고, 제1 및 제2 측벽(11, 12)의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을 바닥면(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여 제1 및 제4 내벽(11c, 12c)의 상부를 바닥면(20)에 지지시켜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이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을 바닥면(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내벽(11c, 12c)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4개의 보강벽(31)이 수직접힘부(17)를 기준으로 바닥부(20)의 내측방향으로 접힙되어 각각의 측단부가 이웃하는 제3 및 제4 측벽(13c, 14c)의 내면에 지지되어 포장용 박스(1)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부(10)의 구성 중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폭이 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외벽(11a, 12a)의 폭에 비해 외측방향으로 증가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의 폭이 이와 연결되는 제3 및 제4 외벽(13a, 14a)의 폭에 비해 내측방향으로 감소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내벽(11c, 12c) 각각의 양측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증가되는 폭과 제3 및 제4 내벽(13c, 14c) 각각의 양측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감소되는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제3 및 제4 내벽(13c, 14c)의 일부영역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내벽(11c, 12c)의 양단에 형성되는 보강벽(31)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제1 및 제2 내벽(11c, 12c) 각각의 양단의 폭이 증가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측벽(13c, 14c)의 내면에 지지되는 4개의 보강벽(31)의 폭이 증가되어 보강벽(31)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보강벽부(30)를 통해 상부에서 인가되는 적재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의 조립과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하중 지지력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10 : 측면부 11 : 제1 측벽
11a : 제1 외벽 11b : 제1 지지면
11c : 제1 내벽 12 : 제2 측벽
12a : 제2 외벽 12b : 제2 지지면
12c : 제2 내벽 13 : 제3 측벽
13a : 제3 외벽 13b : 제3 지지면
13c : 제3 내벽 14 : 제4 측벽
14a : 제4 외벽 14b : 제4 지지면
14c : 제4 내벽 15 : 접힘선
16a : 제1수평접힘부 16b : 제2수평접힘부
17 : 수직접힘부 18 : 절개부
20 : 바닥면 30 : 보강벽부
31 : 보강벽

Claims (3)

  1.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포장대상물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외벽과, 외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수평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어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상단에 형성된 제2수평접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되는 내벽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 중 어느 하나의 내벽의 일측단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접힘부와 상기 제2수평접힘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직접힘부와의 교차영역까지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을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형성하는 경우, 상기 수직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힙되어 일측단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내벽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을 포함하는 보강벽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은 상기 보강벽이 형성된 일측단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증가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의 일측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내벽은 일측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개되어 감소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의 증가된 폭과 상기 다른 하나의 내벽의 감소된 폭이 동일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내벽의 일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의 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1020220038258A 2022-03-28 2022-03-28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20230139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58A KR20230139660A (ko) 2022-03-28 2022-03-28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58A KR20230139660A (ko) 2022-03-28 2022-03-28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60A true KR20230139660A (ko) 2023-10-05

Family

ID=8829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258A KR20230139660A (ko) 2022-03-28 2022-03-28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3-08-30 삼성포장(주) 개방형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74U (ko) 2012-02-22 2013-08-30 삼성포장(주) 개방형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4389A (en) Package corner post
CN101001786B (zh) 具有底部支撑件的纸板容器
US8800854B2 (en) Reinforcing support assemblies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76012B1 (en) Displayable modular container for produce
US20120061457A1 (en) Carton With Angled Corner Panels
US3050228A (en) Reinforcing insert for a container
WO2017177347A1 (es) Contenedor plástico para el almacenamiento y transporte de productos agrícolas; método para apilar contenedores
KR20230139660A (ko)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CN112110010A (zh) 组装式运输用包装箱
EP0731032B1 (en) Box and blank for a box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US7083048B2 (en) Display assembly
US20190055050A1 (en) Packaging System
RU162598U1 (ru) Картонный ящик лоткового типа
RU191224U1 (ru) Лоток
RU2704030C1 (ru) Упаковка и листовая заготовка для упаковки
KR20230139649A (ko)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KR200339510Y1 (ko) 운반용 상자내의 강도 보강용 구조체
KR200438786Y1 (ko) 포장용 상자
JP6742148B2 (ja) スタッキング機能付き包装容器
RU208282U1 (ru) Короб с двойными бортами
KR101476636B1 (ko)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KR20220034619A (ko) 충격완화 기능이 구비된 포장 박스
RU2808300C1 (ru) Поддон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