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467B1 -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467B1
KR102037467B1 KR1020190034123A KR20190034123A KR102037467B1 KR 102037467 B1 KR102037467 B1 KR 102037467B1 KR 1020190034123 A KR1020190034123 A KR 1020190034123A KR 20190034123 A KR20190034123 A KR 20190034123A KR 102037467 B1 KR102037467 B1 KR 10203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inner cover
attachment
attachment porti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황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찬 filed Critical 황규찬
Priority to KR102019003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67B1/ko
Priority to PCT/KR2020/003729 priority patent/WO20201971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8Double sided adhesive tape, e.g. for suspension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부,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저면부와 상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는 제1내측덮개부와, 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내측덮개부와, 좌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내측덮개부와 제2내측덮개부의 일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는 제1외측덮개부와, 우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내측덮개부와 제2내측덮개부의 타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며, 외측단부가 제1외측덮개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외측덮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외측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하중에 취약한 상면부와 저면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포장박스 적층 시 발생하는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 시 포장박스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Packing box with multi-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물품의 적층 시 하중에 취약한 상면부와 저면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하중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보관 및 이송 시 포장박스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포장물품을 포장하여 원거리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은 종이나 스티로폼 재질로 제조되며, 이 중 제조방법이나 경제성 및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종이재질의 포장박스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113호는 전, 후판 및 좌, 우판이 사각형태로 연결되어 몸체를 이루고, 상기 몸체의 상단 및 하단에는 덮개를 이루는 플랜지판이 이어진 종이 포장박스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종이 포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이 포장박스는 전, 후판(2a) 및 좌, 우판(2b)이 사각형태로 연결되어 몸체(2)를 이루고, 상기 몸체(2)의 상단 및 하단에는 덮개(4)를 이루는 플랜지판(4a, 4b)이 절곡되어 상부와 하부를 차폐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포장박스는, 한 장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형성되는 구조인 만큼 플랜지판들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상면과 저면이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대부분의 경우 플랜지판들을 절곡하여 상면과 저면을 형성할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플랜지판들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랜지판들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어 포장박스를 적층시켜 보관 및 이송 할 시 적층하중으로 인한 포장박스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113호
본 발명은, 상면부와 저면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포장박스 적층 시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 시 포장박스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면부,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기 상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는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내측덮개부와; 상기 좌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일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는 제1외측덮개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타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며, 외측단부가 상기 제1외측덮개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외측덮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외측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측면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부착 시 양 끝단이 서로 만나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측덮개부 및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상면에는, 각각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1부착부가 형성되고, 절첩 시 상기 제1부착부의 상면으로 상기 제1외측덮개부와 상기 제2외측덮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면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에는, 각각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2부착부가 형성되고, 절첩 시 상기 제2부착부의 상면으로 상기 접착날개부가 접착됨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착부는, 상기 제1부착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제2부착부는, 전개된 포장박스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따.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는, 각각 하나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전개 시 상기 접착날개부에 인접하는 단부에 상기 접착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날개홈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하면에는,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3부착부가 형성되어, 절첩 시 상기 제3부착부의 하면으로 상기 제1외측덮개부, 상기 제1내측덮개부 및 상기 제2내측덮개부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날개부의 하면에는,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4부착부가 형성되고, 절첩 시 상기 제4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접착날개부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부착부는, 상기 제3부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부착부 및 상기 제4부착부는, 전개된 포장박스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외측덮개부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 하부에 중첩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2외측덮개부와 비중첩영역으로 특정되는 차폐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양측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부착부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착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폭으로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덮개부의 양측모서리에는, 상기 차폐부 측면의 들뜸이 방지되도록,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부착부에 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덮개부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첩 시 상기 돌출부의 중첩을 방지하는 절개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다각형 또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부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차폐부 일부가 포함되는 폭으로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중에 취약한 상면부와 저면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포장박스 적층 시 발생하는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 시 포장박스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절첩 후 포장박스 절개면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테이핑작업을 실시하는 종래와는 달리,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포장박스의 전개 상태에서 양면테이핑을 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절첩작업 시 절첩과 동시에 포장박스의 접합도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포장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포장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포장박스의 차폐 시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접착날개부를 이용하여 차폐하기 때문에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별도의 외부 테이핑작업 없이 모든 박스 모서리부분이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의 외측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서 제1외측덮개부의 형상을 달리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측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의 내측 전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서 제1외측덮개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돌출부가 형성된 포장박스의 조립 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서 부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810; 이하 '포장박스'라 한다)는, 한 장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형성되며,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저면부(500)와,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와, 좌측면부(300)와, 우측면부(400)와, 상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100)는, 포장박스(810)의 전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후면부(200)는, 포장박스(810)의 후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후방에 위치하며, 내부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면부(100)와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좌측면부(300)는, 양측 단부가 전면부(100)와 후면부(200) 각각의 좌측 단부와 연결되어 포장박스(810)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면부(400)는, 양측 단부가 전면부(100)와 후면부(200) 각각의 우측 단부와 연결되어 포장박스(810)의 우측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200)와, 우측면부(400)와, 전면부(100)와, 좌측면부(300)는, 포장박스(810)의 측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한 장의 시트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측면접착부(310)에 의하여 접착 연결된다.
도면에서, 상기 측면접착부(310)는 좌측면부(30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후면부(200)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후면부(200)와, 우측면부(400)와, 전면부(100)와, 좌측면부(300)는, 공지의 포장박스 측면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810)의 저면부(500)와 상면부(600)의 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저면부(500)와 상면부(600)의 구성은 서로 대칭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고 있으며, 이하에서 개재되는 각 구성들은 상기 저면부(500)와 상면부(60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810)는,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저면부(500)와 상면부(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최소 2겹이상 중첩되도록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포장박스(810)의 파손 및 포장물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저면부(500)와 상기 상면부(600)는, 각각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와, 제1외측덮개부(730)와, 제2외측덮개부(740)와, 접착날개부(760)와, 제1부착부(7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1내측덮개부(710)는, 전면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다.
상기 제2내측덮개부(720)는, 후면부(20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는, 상기 좌측면부(30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다.
이때,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는,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일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된다.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는, 상기 우측면부(40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며, 절첩 시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는,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타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된다.
한편,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는, 외측단부가 제1외측덮개부(730)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측단부 일정 부분이 제1외측덮개부(730)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의 외측단부와 제1외측덮개부(730)의 외측단부는 서로 맞닿지 않고 서로 중첩되어 2겹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내측덮개부(710), 제2내측덮개부(720), 제1외측덮개부(730) 및 제2외측덮개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면부(600)와 저면부(500)가, 상기한 구성들이 최소 2겹 이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층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며, 절첩 시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의 측면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에 부착되어 제2외측덮개부(740)를 부착 고정시키고 차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측덮개부(740)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절곡 시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하나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포장박스(810)를 형성할 시 단위시트활용도 및 재단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상면부(600)와 저면부(500)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에 부착될 시 양 끝단이 서로 만나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날개부(760)의 부착 후 포장박스(810)의 외관을 좋게함은 물론 제2외측덮개부(740)의 부착력 및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접착날개부(760)의 상기와 같이 부착 시 양 끝단이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그 연장 길이는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재질 또는 차폐성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사각형상 외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접착부재를 구비하여 부착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제2부착부(752)를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먼저, 접착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하면에 부착력을 갖는 접착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접착부재에 의하여 절첩 시 대면하는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테이프,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날개부(760)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제2부착부(752)에 의하여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2부착부(752)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포장박스(810)는, 상기한 접착날개부(760)를 형성할 시, 하나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전개 시 접착날개부(7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날개홈부(761)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포장박스(810)는, 전개 시 접착날개부(760)와 인접하는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단부에 날개홈부(76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착부(751)는,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면으로 안착되는 구성들이 접착되며, 상기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는, 절첩 시 제1부착부(751)에 의하여 제1외측덮개부(730)와 제2외측덮개부(7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면이 접착된다.
한편, 상기 포장박스(810)는, 접착날개부(760)가 접착되는 제2부착부(7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착부(752)는,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면으로 안착되는 구성들이 접착되며, 접착날개부(760)가 부착되는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부착부(752)는, 제1부착부(7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착부(751)와 동일한 접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시 동일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개된 포장박스(810) 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는, 상면과 하면에 접착면이 형성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는, 전개된 포장박스(810)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는, 상기한 양면테이프 외 상기한 접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박스(810)는, 제1외측덮개부(730)와 제2외측덮개부(740)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면부(600)와 저면부(500)가 최소 2겹이상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적층하중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8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포장박스(810)를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절첩과 동시에 접합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10)는, 제1외측덮개부(730)의 경우에는 제1부착부(751)에 접합되고, 제2외측덮개부(740)의 경우에는 접착날개부(760)에 의하여 접착되도록 구성됨을 전술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20)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가 접착날개부(760) 뿐만 아니라 제1부착부(751)에도 일부 부착되도록 하여, 제2외측덮개부(74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포장박스의 외측면 전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내측면 전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20)는,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와, 좌측면부(300)와, 우측면부(400)의 구성과, 저면부(500)와 상면부(600)를 이루는 구성 중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포장박스(8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포장박스(810)와 비교하여 그 구성이 대별되는 제1외측덮개부(730a)와, 제2외측덮개부(740)의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a)는,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면으로 절곡되며, 지지부(731)와, 차폐부(73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31)는, 제1외측덮개부(730a)에서 제2외측덮개부(740)와 중첩되는 영역으로, 절첩 시 제2외측덮개부(740) 하부에 중첩되며 제1부착부(751)에 하면이 접착된다.
이때, 상기 제1부착부(751)는, 지지부(731)에 대응하는 폭(너비)으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에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734)는, 제1외측덮개부(730a)에서 제2외측덮개부(740)와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영역으로,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면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731)는, 제1부착부(751)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제1내측덮개부(710)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720)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731)는, 양측단부가 절개되어 노출부(732)가 형성되고, 제1외측덮개부(730a)의 절곡 시에도 노출부(732)에 의하여 제1부착부(751)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는, 제1외측덮개부(730a)의 상면으로 중첩되게 절첩될 시, 노출부(732)에 의하여 하면이 제1부착부(751)에 접착된다.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a)는, 지지부(731)의 형성위치와 그 개수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부(731)는, 양측단부가 절개되어 중앙부에 위치하여,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 사이의 이격공간과 중첩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한 장의 사각형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포장박스(820)를 형성할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와, 제1외측덮개부(730a)와, 제2외측덮개부(740)는, 각각 동일한 높이(너비)를 갖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저면부(500)와 상면부(600)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포장박스(820)는, 절첩 시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 각각의 외측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중앙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격공간은 중첩되는 부분이 없는 만큼 포장박스(820)에서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내구성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상기 지지부(731)는, 절첩 시 이러한 이격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이격공간 상에 형성되어, 하중에 취약한 이격공간에 중첩지지구조를 갖도록 하며, 이를 통해 포장박스(82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의 해칭부분은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와, 측면접착부(310)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내며, 도 5의 음영부분은 상기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와, 측면접착부(310)에 의하여 부착되는 부착영역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20)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포장박스(820)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개된 단위시트의 외면으로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에 해당하는 위치에 양면테이핑을 한다. 그런 다음, 전면부(100)와, 후면부(200)와, 좌측면부(300)와, 우측면부(400) 각각의 단부를 따라 절곡한 후 측면접착부(310)를 통하여 접착하여 포장박스(820)의 측면을 조립한다.
이렇게 포장박스(820)의 측면이 조립되면, 포장박스(820)의 상면부(600)와 저면부(500)를 조립한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를 절곡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는 포장박스(820)에서 상면부(600)와 저면부(500) 중 상면부(600)의 조립과정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저면부(500)의 조립과정도 상면부(600)와 동일함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면으로 제1외측덮개부(730a)를 절곡한다. 이때,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a)를 절곡할 시 제1부착부(751)의 양면테이프 이형지를 제거하여 절곡과 함께 제1외측덮개부(730a)의 지지부(731)를 제1부착부(751)에 부착시킨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측덮개부(740)를 절곡시키고, 이 과정에서 노출된 제1부착부(751)가 제2외측덮개부(740)에 접착된다. 도면에서 제2외측덮개부(740)의 음영부분은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한 조립을 마치게 되면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날개부(760)를 절곡시켜 제2부착부(752)에 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착날개부(760)의 부착은, 제2부착부(752)의 양면테이프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제1부착부(751)와 제2부착부(752)가 하나의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술한 제1부착부(751)의 이형지 제거 단계에서 미리 제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3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포장박스(830)는, 제2실시예의 포장박스(820)와 비교하여 제1외측덮개부(730b)에 돌출부(733)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실시예로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와 비교하여 이러한 대별되는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제1부착부(751)는, 지지부(731)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b)의 지지부(731)는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지만, 차폐부(734)는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지 않고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 각각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b)는, 차폐부(734)의 양측면이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제1내측덮개부(710)와 제2내측덮개부(720)의 상면에 대하여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b)의 양측모서리에는, 차폐부(734) 측면의 들뜸이 방지되도록,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7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33)는, 들뜸이 발생할 수 있는 제1외측덮개부(730b) 양측 모서리로부터 노출부(732)를 향하여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하면이 제1부착부(751)에 부착된다.
한편, 이와 대응하여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는, 절첩 시 돌출부(733)와 대면하는 위치에 절개홈부(7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부(743)는, 돌출부(73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시 돌출부(733)와 상호 형합되어, 절첩 시 돌출부(733)의 중첩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733)와 절개홈부(7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돌출부(733)와 절개홈부(743)는, 삼각형상 외 다각형 또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포장박스는, 상기한 돌출부(733) 없이 제1외측덮개부(730b)가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도록 하여 들뜸이 방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부착부(7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테이핑을 통하여 형성되며, 상용화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양면테이프는, 상용화된 만큼 그 폭이 정해져 제조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1부착부(751)의 폭(너비)도 상용화된 양면테이프의 폭에 따라 정해져 그 폭의 설정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폭 설정에 한계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부(751)는 제한된 폭 내에서 제2외측덮개부(740)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이므로, 양면테이프 폭에 따라 너비와 그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부착부(751)는, 지지부(731)와, 차폐부(734) 일부가 포함되는 폭으로 제1내측덮개부(710)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7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외측덮개부(730b)는, 지지부(731)와 차폐부(734) 일부가 제1부착부(751)에 부착되어 절첩 시 들뜸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부착부(751)는, 상용화된 양면테이프를 적용할 시, 상기한 바에 따라 양면테이프 폭이 지지부(731)와, 차폐부(734) 일부가 포함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착부(710)는, 양면테이프 폭이 지지부(731) 전부와 차폐부(734) 일부를 포함하는 폭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용화된 폭이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지부(731)의 일부와 차폐부(734)의 일부가 포함하도록 그 위치를 이동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부착부의 구성을 달리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8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포장박스(840)는, 전술한 도 4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820)와 비교하여, 접착면이 형성되는 부착부의 구성을 달리한 실시예로서, 후술하는 제3부착부(753)와 제4부착부(754)의 구성 외 각각의 구성이 서로 대응된다. 때문에, 이하에서는, 대별되는 제3부착부(753)와 제4부착부(754)의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박스(840)에서 상기 제2외측덮개부(740)의 하면에는, 제3부착부(7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착부(753)는,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절첩 시 하면으로 제1외측덮개부(730a), 제1내측덮개부(710) 및 제2내측덮개부(720)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날개부(760)의 하면에는, 제4부착부(75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부착부(754)는, 접착면으로 형성되고, 절첩 시 접착날개부(760)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부착부(754)는, 상기 제3부착부(753)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3부착부(753)와 동일한 접착면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3부착부(753)는, 전개 시 상기 접착날개부(760)와 연결되도록 제2외측덮개부(740)의 외측단부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개된 포장박스(840) 상에 제4부착부(754)와 얼라인(align)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착부(753) 및 제4부착부(754)는, 상면과 하면에 접착면이 형성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포장박스(840)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포장박스(840)를 절첩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의 음영부분은 상기 제3부착부(753)와 제4부착부(754)에 의하여 부착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면부 200 : 후면부
300 : 좌측면부 310 : 측면접착부
400 : 우측면부 500 : 저면부
600 : 상면부 710 : 제1내측덮개부
720 : 제2내측덮개부 730,730a,730b : 제1외측덮개부
731 : 지지부 732 : 노출부
733 : 돌출부 734 : 차폐부
740 : 제2외측덮개부 743 : 절개홈부
751 : 제1부착부 752 : 제2부착부
753 : 제3부착부 754 : 제4부착부
760 : 접착날개부 761 : 날개홈부
810,820,830,840 : 포장박스

Claims (12)

  1. 저면부,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기 상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는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내측덮개부와;
    상기 좌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일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는 제1외측덮개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타측 상면에 중첩되게 절곡되며, 외측단부가 상기 제1외측덮개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외측덮개부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외측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내측덮개부 및 상기 제2내측덮개부의 상면에는,
    각각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1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외측덮개부는,
    외측단부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2외측덮개부 하부에 중첩되는 영역인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은,
    절첩 시 상기 제1부착부 중 일부가 상기 제1외측덮개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부착부의 노출된 영역은,
    절첩 시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하면이 접착되고:
    상기 제1외측덮개부의 양측모서리에는,
    상기 제1외측덮개부 측면의 들뜸이 방지되도록,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부착부에 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외측덮개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첩 시 상기 돌출부와의 중첩을 방지하는 절개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절첩 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측면에 부착되는 접착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는,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부착 시 양 끝단이 서로 만나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에는,
    각각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2부착부가 형성되고, 절첩 시 상기 제2부착부의 상면으로 상기 접착날개부가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부는,
    상기 제1부착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제2부착부는,
    전개된 포장박스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덮개부와 상기 제2내측덮개부는,
    각각 하나의 단위시트를 재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전개 시 상기 접착날개부에 인접하는 단부에 상기 접착날개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날개홈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덮개부의 하면에는,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3부착부가 형성되어, 절첩 시 상기 제3부착부의 하면으로 상기 제1외측덮개부, 상기 제1내측덮개부 및 상기 제2내측덮개부가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날개부의 하면에는,
    접착면으로 형성되는 제4부착부가 형성되고, 절첩 시 상기 제4부착부를 통하여 상기 접착날개부가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부착부는,
    상기 제3부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착부 및 상기 제4부착부는,
    전개된 포장박스 상에 양면테이핑을 통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KR1020190034123A 2019-03-26 2019-03-26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KR10203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3A KR102037467B1 (ko) 2019-03-26 2019-03-26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PCT/KR2020/003729 WO2020197161A1 (ko) 2019-03-26 2020-03-18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3A KR102037467B1 (ko) 2019-03-26 2019-03-26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467B1 true KR102037467B1 (ko) 2019-10-28

Family

ID=6842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23A KR102037467B1 (ko) 2019-03-26 2019-03-26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7467B1 (ko)
WO (1) WO20201971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61A1 (ko) * 2019-03-26 2020-10-01 황규찬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52A (ko) * 1998-04-06 1998-07-06 박찬식 접착수단이 결합된 포장용 박스
KR200273113Y1 (ko) 2002-02-02 2002-04-20 최동일 종이 포장박스
US20030201315A1 (en) * 2002-04-26 2003-10-30 Jamison George D. Multiple use box with security feature and methods for using
JP6266508B2 (ja) * 2011-05-26 2018-01-24 エンバラヘス カプサ,エス.エル. 保管及び輸送ボックス
KR101813224B1 (ko) * 2017-07-18 2018-01-30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20180100081A (ko) * 2018-08-17 2018-09-07 황규찬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467B1 (ko) * 2019-03-26 2019-10-28 황규찬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52A (ko) * 1998-04-06 1998-07-06 박찬식 접착수단이 결합된 포장용 박스
KR200273113Y1 (ko) 2002-02-02 2002-04-20 최동일 종이 포장박스
US20030201315A1 (en) * 2002-04-26 2003-10-30 Jamison George D. Multiple use box with security feature and methods for using
JP6266508B2 (ja) * 2011-05-26 2018-01-24 エンバラヘス カプサ,エス.エル. 保管及び輸送ボックス
KR101813224B1 (ko) * 2017-07-18 2018-01-30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20180100081A (ko) * 2018-08-17 2018-09-07 황규찬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61A1 (ko) * 2019-03-26 2020-10-01 황규찬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161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5800A1 (en) Foldable box
JP2010058798A (ja) コーナーパッド
KR102037467B1 (ko) 중첩지지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JP5757447B2 (ja) 照明器具用包装部材
KR102375332B1 (ko) 접이식 포장 용기
KR20230008401A (ko) 간편 조립용 포장박스
KR20220052472A (ko) 포장용 상자
JP5172994B2 (ja) 衝撃緩和運搬容器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JP2010030638A (ja) 包装装置
JP2021014274A (ja) 包装ケース、物品包装体、及び、包装方法
JP3048955U (ja) 包装箱
KR20210000496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JP2020093800A (ja) 包装箱構造
JP6188646B2 (ja) 収容部材
JPH11310224A (ja) 緩衝構造付き段ボール箱
KR102348828B1 (ko) 골판지용 포장박스
JP3233332U (ja) シートセット
CN209956583U (zh) 一种缓冲包装盒
JPS5847020Y2 (ja) 環形螢光ランプの包装容器
KR200467012Y1 (ko) 포장상자
JP3138257U (ja) 包装箱
JP2014088184A (ja) 封止シート収容器
JP4681276B2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