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653B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653B1
KR101108653B1 KR1020110055773A KR20110055773A KR101108653B1 KR 101108653 B1 KR101108653 B1 KR 101108653B1 KR 1020110055773 A KR1020110055773 A KR 1020110055773A KR 20110055773 A KR20110055773 A KR 20110055773A KR 101108653 B1 KR101108653 B1 KR 10110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ll surface
auxiliary
wall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일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11005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61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65D5/6664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combined with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side edges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그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분할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제1,2바닥면; 상기 제1,2바닥면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격벽을 이루는 제1,2격벽면; 상기 제1,2바닥면의 타단에 연장형성되어 벽체를 이루는 제1,2벽면; 및 상기 제1,2벽면에서 연장형성되어 덮개를 이루는 제1,2덮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A 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그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분할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제품을 포장해서 옮기는 수단으로서 박스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박스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운반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고가 물품들은, 운반도중이나 보관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포장된 물품의 가치를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디자이닝 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된다.
상기한 포장용 박스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포장대상물(물품)이 수납되는 하부박스와, 그 하부박스에 덮여지는 상부박스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물품이 수납되는 박스의 일측에 커버가 연결되고, 커버가 박스를 덮는 형태의 포장용 박스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벽면은 사 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러나, 바닥면에서 벽면을 세우기 위해서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벽면들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 다량의 접착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장 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에 격벽을 세워 수납공간을 구획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장 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에 중요 물품을 수납한 후, 덮개로 덮을 경우 외부의 먼지 또는 오염물이 덮개의 틈 사이를 통해 수납공간 내부로 진입되어 중요 물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장 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에 중요 물품이 수납된 후, 포장 박스를 이동 보관하는 과정에서 포장 박스 하부를 통하여 포장 박스 내부에 수용된 물품이 외부로 쉽게 노출되어 분실 또는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일체로 형성된 바닥면과 벽면 덮개를 통해 용이하게 포장박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포장박스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수납공간에 격벽을 세워 중요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그 제작공정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포장 박스 내부에 수용된 고가의 물품이 포장 박스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노출되어 분실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제1,2바닥면; 상기 제1,2바닥면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격벽을 이루는 제1,2격벽면; 상기 제1,2바닥면의 타단에 연장형성되어 벽체를 이루는 제1,2벽면; 및 상기 제1,2벽면에서 연장형성되어 덮개를 이루는 제1,2덮개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닥면에는, 바닥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제1격벽면의 일부분을 이루는 제1보조면이 포함되고, 상기 제2바닥면에는, 바닥의 다른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제2격벽면의 다른 일부분을 이루는 제2보조면이 포함된다.
상기 제1벽면은, 상기 제1바닥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정벽면과, 상기 제1정벽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벽면은, 상기 제2바닥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정벽면과, 상기 제2정벽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덮개면은, 상기 제1덮개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제2벽면 내측 상부에 밀착되는 제1보조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덮개면은, 상기 제2덮개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2벽면 내측 상부에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덮개면은, 상기 제1벽면과 연결되는 부위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홈이 포함되고, 상기 제2보조덮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체결된다.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제1덮개의 상면을 상기 제2덮개의 하면이 감싸도록 덮는다.
상기 제1,2보조면은, 각각 'Y' 형태로 형성되는 제1,2접힘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격벽면의 높이는, 상기 제1,2벽면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더 낮은 높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벽면에는, 상기 제1벽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벽면 내면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 되도록 하는 접착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접어서 박스 형태를 갖을 수 있도록 바닥면과 벽면 및 덮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완성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포장박스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의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중요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가능하도록 수납공간에 격벽을 세우면서도 그 작업공정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포장 박스의 하부가 결합구조를 이루며 견고하게 형성되어 포장 박스 내부에 수용된 고가의 물품이 포장 박스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박스형태를 이룬 후 개구된 상부가 덮개에 의해 덮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박스형태를 이룬 후 바닥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그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분할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포장용 박스 [ 특히, 제1,2격벽면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접을 수 있는 종이 또는 골판지가 사용된다.
먼저, 박스 형태로 접었을 때 바닥면을 이루는 제1,2바닥면(110, 1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의 일단에는, 연장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격벽을 이루는 제1,2격벽면(210, 220)이 연이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의 타단에는, 연장형성되어 벽체를 이루는 제1,2벽면(310, 320)이 연이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2벽면(310, 320)에는,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에서 상기 제1,2벽면(310, 320)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2벽면(310, 320)에서 연장형성되어 덮개를 이루는 제1,2덮개면(410, 420)이 연결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이 바닥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2벽면(310, 320)을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이 바닥을 이루고 상기 제1,2벽면(310, 320)이 벽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바닥면(110)에는, 바닥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제1격벽면(210)의 일부를 이루는 제1보조면(112)이 형성되되, 상기 제1보조면(112)은, 상기 제1바닥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바닥면(120)에는, 바닥의 다른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제2격벽면(220)의 다른 일부를 이루는 제2보조면(122)이 형성되되, 상기 제2보조면(122)은, 상기 제2바닥면(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벽면(310)과 제1바닥면(110) 및 상기 제1격벽면(110)과 상기 제1보조면(112)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벽면(310)은, 상기 제1바닥면(11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정벽면(312)과, 상기 제1정벽면(3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측벽면(3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벽면(320)은, 상기 제2바닥면(12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2정벽면(3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면(32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측벽면(314, 324)과 상기 제1,2정벽면(312,322)의 수평길이는 상호 다르게 형성되거나 또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정벽면(312,322)의 수평길이는 상기 제1,2측벽면(314, 324)보다 길게 형성된 채로, 박스의 벽체를 이루기 때문에 박스가 직사각 육면체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측벽면(32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측벽면(324)의 선단에는 상기 제1벽면(31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면(324)의 말단에는 제2벽면(320)이 배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측벽면(324)에 연결형성되면서 상기 제2측벽면(324) 부위의 바닥면을 이룸과 동시에 접히면서 내부공간 구획을 보조하는 제2보조면(122)은, 상기 제2바닥면(120)과, 상기 제2격벽면(220)과 나란하게 연이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벽면(314)에 연결형성되면서 상기 제1측벽면(314) 부위의 바닥면을 이룸과 동시에 접히면서 내부공간 구획을 보조하는 제1보조면(112)은, 상기 제1바닥면(110)과, 상기 제1격벽면(210)과 나란하게 연이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접히면서 박스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포장용 박스에서, 상기 제1벽면(310)은, 상기 제1정벽면(312)과, 상기 제1정벽면(3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면(3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벽면(320)은, 상기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2정벽면(32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면(32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측벽면(314)에는, 박스형태를 갖추었을 때 상기 제2정벽면(322) 내측 벽면에 접착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착면(315)이 연장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측벽면(324)은, 상기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1정벽면(312)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1정벽면(312)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덮개면(410)은, 상기 제1덮개면(410)에서 연장형성되어 제2벽면(320) 내측 상부에 밀착되는 제1보조덮개(4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덮개면(420)은, 상기 제2덮개면(42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2벽면(310,320) 내측 상부에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덮개(4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덮개면(410)은, 상기 제1벽면(310)과 연결되는 부위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홈(414)이 포함된다.
일 예로, 상기 제2보조덮개(422)는, 접혔을 때 상기 제1,2측벽면(314,324) 내측 상부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제2덮개면(42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4)에 결합 되기 위해 상기 제2덮개면(420)에서 상기 제1벽면(3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보조덮개(422)는, 상기 제2덮개면(420)으로부터 3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박스형태의 개구된 상부를 견고하게 덮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덮개(420)는, 상기 제1덮개(410)의 상면을 상기 제2덮개(420)의 하면이 감싸도록 덮게 된다.
이는 상기 제1덮개(410)로 박스형태의 개구된 상부를 덮고 다시 한번 상기 제2덮개(420)로 상기 제1덮개(410)를 감싸면서 덮음으로써, 박스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은, 각각 'Y' 형태로 형성되는 제1,2접힘선(115, 125)을 포함하고, 하부로 제1,2보조바닥면(112a, 112b, 122a, 122b) 및 제1,2보조격벽면(113a, 113b, 123a, 123b)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접힘선(115, 125)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제1,2보조바닥면(112a, 112b, 122a, 122b)이 상기 박스형태의 바닥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2보조격벽면(113a, 113b, 123a, 123b)이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조바닥면(112a, 112b)은 상기 제1접힘선(115)을 따라 상기 제1보조면(112)으로 절첩되고, 상기 제1보조격벽면(113a, 113b)은 절첩되어 서로 맞닿게 된다. 상기 제1보조바닥면(112a, 112b)은 상기 제1보조면(112)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바닥면(112b)이 상기 제1바닥면(110)의 후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1보조바닥면(112a)가 상기 제2바닥면(120)의 후면과 결합하여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절첩된 상기 제1보조격벽면(113a, 113b)은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사이로 삽입, 결합되어 격벽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보조바닥면(122a, 122b)은 상기 제2접힘선(125)을 따라 상기 제2보조면(122)으로 절첩되고, 상기 제2보조격벽면(123a, 123b)은 절첩되어 서로 맞닿게 된다. 상기 제2보조바닥면(122a, 122b)은 상기 제2보조면(122)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보조바닥면(122b)이 상기 제2바닥면(120)의 후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보조바닥면(122a)가 상기 제1바닥면(110)의 후면과 결합하여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절첩된 상기 제2보조격벽면(123a, 123b)은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사이로 삽입, 결합되어 격벽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면(122)은, 상기 제1바닥면(110) 및 제1격벽면(210)과, 상기 제2바닥면(120) 및 제2격벽면(220)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제1바닥면(110) 및 제1격벽면(210)과는 상호 이격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조면(122)이 상기 제1바닥면(110) 및 제1격벽면(210)과 이격 되게 형성되는 이유는, 접히면서 원활하게 박스형태를 이루기 위해서이다.
상기에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접히면서 박스형태를 이룰 시에 평면에서 입체를 이루는 과정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변화되는 배치형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박스형태를 이룬 후 개구된 상부가 덮개에 의해 덮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병행참조하여 도 2와 도 3을 살펴보면, 제1,2바닥면(110, 120)이 박스 바닥의 양측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바닥면(110, 120) 사이에는 제1,2격벽면(210, 220)이 배치되게 된다.
특히, Y자 형태로 된 상기 제1,2접힘선(115, 125)을 따라 접힌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의 일부는, 상기 제1,2격벽면(210, 220) 사이에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2바닥면(110, 120) 사이에 형성되면서 바닥면의 일부분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의 일부가 접히면서,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은 상호 밀착되어,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은 내부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덮개(410) 하부에는 상기 제1벽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310) 하부에는 상기 제1바닥면(110)이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덮개(420) 하부에는 상기 제2벽면(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벽면(320) 하부에는 상기 제2바닥면(120)이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덮개(410)에는 제1보조덮개(412)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덮개(412)가 상기 제2벽면(320) 내측 상부에 밀착되면서 박스형태의 개구된 상부를 1차적으로 덮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벽면(310)은, 상기 제1정벽면(312)과, 상기 제1측벽면(31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정벽면(312)은, 상기 제1덮개면(410)과 상기 제1바닥면(110) 사이에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벽면(314)은, 상기 제1정벽면(312)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보조면(112) 상부에 연결형성되어 측벽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측벽면(314)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접착면(315)은, 상기 제2정벽면(322)의 내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접착면(315)이 상기 제2정벽면(322)의 내측에 접착고정되고,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이 상호 밀착됨으로 인해 내부가 구획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벽면(320)은, 상기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2측벽면(32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정벽면(322)은, 상기 제2덮개면(420)과 상기 제2바닥면(120) 사이에 연결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측벽면(324)은, 상기 제2정벽면(322)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보저면(122) 상부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면(314)과 상호 마주보면서 다른 측벽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덮개면(410)과 상기 제1정벽면(312)의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통형성되는 상기 결합홈(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덮개(412)가 상기 제2정벽면(322) 내측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덮개면(410)이 박스 형태를 이루는 개구된 상부를 덮개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덮개면(420)의 하면이 상기 제1덮개면(4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더욱 견고하게 박스 형태를 이루는 상부를 덮개 된다.
또한, 상기 제2덮개면(420)이 상기 제1덮개면(410) 상면을 감싸면서 박스 형태를 이루는 상부를 덮을 시에는, 상기 제2덮개면(420)에서 3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보조덮개(422) 중 하나가 상기 결합홈(414)에 결합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결합홈(414)에 결합 되는 상기 제2보조덮개(422)를 제외한 상기 제2보조덮개(422)는 각각 상기 제1,2측벽면(314, 324)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은, 상기 제1,2바닥면(110, 120)과 제1,2벽면(310, 320)을 통해 형성된 박스의 내부를 구획하며, 박스 내부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수직 높이는, 상기 제1,2벽면(310, 320)의 수직높이와 같거나 또는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1,2덮개면(410, 420)이 개구된 상부를 덮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을 통해 구획된 공간에는 박스 내부에 수납될 물품을 나누어서 수납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박스형태를 이룬 후 바닥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병행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은 상호 마주보며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2바닥면(110, 120) 사이의 상기 제1,2측벽면(314, 324)이 형성된 방향으로는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의 바닥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면(112)과 상기 제2보조면(122)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닥면(110)은, 상기 제1벽면(310)의 제1정벽면(312) 하부에 연결되면서 바닥의 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면(112)은, 상기 제1벽면(310)의 제1측벽면(314) 하부에 연결되면서 바닥의 다른 한 부분을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격벽면(210)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바닥면(120)은, 상기 제2벽면(320)의 제2정벽면(322) 하부에 연결되면서 바닥의 다른 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면(122)은, 상기 제2벽면(320)의 제2측벽면(324) 하부에 연결되면서 바닥의 또 다른 한 부분을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격벽면(220)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2바닥면(110, 120)과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은, 포장 박스 하부에 배치되되, 각각 포장 박스 하부의 다른 바닥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에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은 상호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면서 포장 박스 내부를 구획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이 상호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면서, 포장 박스 내부의 물품이 상기 제1,2바닥면(110, 120)과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을 통해 포장 박스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 박스의 하부가 결합구조를 이루며 견고하게 형성되어 포장 박스 내부에 수용된 고가의 물품이 포장 박스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접어서 박스 형태를 갖을 수 있도록 바닥면과 벽면 및 덮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완성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요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가능하도록 수납공간에 격벽을 세우면서도 그 작업공정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120 : 제1,2바닥면
112, 122 : 제1,2보조면 115, 125 : 제1,2접힘선
210, 220 : 제1,2격벽면
310, 320 : 제1,2벽면
312, 322 : 제2정벽면 314, 324 : 제1,2측벽면
315 : 접착면
412, 422 : 제1보조덮개 414 ; 결합홈

Claims (9)

  1. 제1,2바닥면(110, 120);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격벽을 이루는 제1,2격벽면(210, 220);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의 타단에 연장형성되어 벽체를 이루는 제1,2벽면(310, 320);
    상기 제1,2벽면(310, 320)에서 연장형성되어 덮개를 이루는 제1,2덮개면(410, 420); 및
    'Y' 형태로 형성된 제1,2접힘선(115, 125)을 따라 절첩되어 상기 제1,2바닥면(110, 120) 및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2보조면(112, 1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은 하부로 제1,2보조바닥면(112a, 112b, 122a, 122b) 및 제1,2보조격벽면(113a, 113b, 123a, 123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보조바닥면(112a, 112b, 122a, 122b)은 상기 제1,2접힘선(115, 125)을 따라 상기 제1,2보조면(112, 122)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바닥면(110, 120)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2보조격벽면(113a, 113b, 123a, 123b)은 서로 맞닿는 상태로 절첩된 후, 상기 제1,2격벽면(210, 220) 사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310)은,
    상기 제1바닥면(11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정벽면(312)과,
    상기 제1정벽면(3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측벽면(3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벽면(320)은,
    상기 제2바닥면(12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정벽면(322)과,
    상기 제2정벽면(3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면(324)을 포함하는 포장용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면(410)은,
    상기 제1덮개면(410)에서 연장형성되어 제2벽면(320) 내측 상부에 밀착되는 제1보조덮개(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덮개면(420)은,
    상기 제2덮개면(42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2벽면(310,320) 내측 상부에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덮개(422)를 포함하는 포장용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면(410)은,
    상기 제1벽면(310)과 연결되는 부위에 관통형성되는 결합홈(414)이 포함되고,
    상기 제2보조덮개(42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홈(414)에 결합체결되는 포장용 박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420)는,
    상기 제1덮개(410)의 상면을 상기 제2덮개(420)의 하면이 감싸도록 덮는 포장용 박스.
  7. 삭제
  8.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1,2격벽면(210, 220)의 높이는,
    상기 제1,2벽면(310, 320)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더 낮은 높이를 갖는 포장용 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310)에는,
    상기 제1벽면(31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벽면(320) 내면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 되도록 하는 접착면(315)을 포함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110055773A 2011-06-09 2011-06-09 포장용 박스 KR10110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73A KR101108653B1 (ko) 2011-06-09 2011-06-09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73A KR101108653B1 (ko) 2011-06-09 2011-06-09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653B1 true KR101108653B1 (ko) 2012-02-08

Family

ID=4583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773A KR101108653B1 (ko) 2011-06-09 2011-06-09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71A1 (ko) * 2017-07-18 2019-01-24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028A (ko) * 2003-02-25 2003-04-18 연우인더스트리(주) 수지복합형 금속 케이스
KR200331028Y1 (ko) * 2003-08-01 2003-10-22 김덕현 포장박스
JP2009023713A (ja) * 2007-07-23 2009-02-05 Rengo Co Ltd 包装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028A (ko) * 2003-02-25 2003-04-18 연우인더스트리(주) 수지복합형 금속 케이스
KR200331028Y1 (ko) * 2003-08-01 2003-10-22 김덕현 포장박스
JP2009023713A (ja) * 2007-07-23 2009-02-05 Rengo Co Ltd 包装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71A1 (ko) * 2017-07-18 2019-01-24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US11001406B2 (en) 2017-07-18 2021-05-11 Wingbox Co., Ltd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323B2 (en) Packaging box
JP5648582B2 (ja) 包装箱
EP3031739A1 (en) Package box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JP6174397B2 (ja) 緩衝中仕切り付き包装用箱
KR101108653B1 (ko) 포장용 박스
WO2014190122A1 (en) Cigarette package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CN111348303A (zh) 一种双层纸盒
KR200430436Y1 (ko) 조립식 포장상자
KR200491906Y1 (ko) 상자
CN107758038A (zh) 一种包装箱及其包装方法
KR200466153Y1 (ko) 포장박스
KR101164088B1 (ko) 포장박스
KR101901274B1 (ko) 포장용 박스
JP3212265U (ja) 包装箱とその包装構造
KR20048902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102075650B1 (ko) 배송용 포장 상자
JP7171303B2 (ja) 梱包箱
JP3186259U (ja) 包装容器
JP2014051298A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CN217673804U (zh) 一种带有缓冲内衬的纸盒
JP3129939U (ja) 手提げ型可能化粧箱
KR20230068862A (ko) 논테이핑 포장용 박스
JP6597977B2 (ja) 被包装物の載置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