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211B1 -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211B1
KR102215211B1 KR1020190103689A KR20190103689A KR102215211B1 KR 102215211 B1 KR102215211 B1 KR 102215211B1 KR 1020190103689 A KR1020190103689 A KR 1020190103689A KR 20190103689 A KR20190103689 A KR 20190103689A KR 102215211 B1 KR102215211 B1 KR 10221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parallel
horizontal
adhesi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수
Original Assignee
정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수 filed Critical 정승수
Priority to KR102019010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adhesive tapes, labels or the like; for deco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29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에 제 1 측면세로변(1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접이선(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수직하게 제 1 측면가로변(13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소정 이격된 위치에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 1 측면날개(15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면부(100);와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2 측면가로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과 나란하게 제 2 측면접이선(230)이 형성되는 제 2 측면부(200);와 상기 제 2 측면접이선(23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닮음꼴을 이루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 제 3 측면접이선(320), 제 3 측면가로변(330) 및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이 구비되어 제 3 측면날개(350) 한 쌍이 상기 제 3 측면가로변(330)과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측면부(300);와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2 측면부(200)을 마주보는 대향면이 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닮음꼴을 이루도록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의 대향 위치에 제 4 측면세로변(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4 측면가로변(420)과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4 측면부(400);와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으로 수직 접철되어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하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저면세로변(5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세로변(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저면가로변(5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과 나란하게 제 1 저면접이선(5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저면접이선(53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 사이에 저면커버(540)가 구비되는 저면부(500);와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에 수직으로 접철되어 상기 저면부(500)의 대향면으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상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상면세로변(6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세로변(6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상면가로변(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과 나란하게 제 1 상면접이선(6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면접이선(630)과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 사이에 상면커버(640)가 형성되는 상면부(600); 및 상기 상면커버(540), 상기 저면커버(640) 또는 상기 제 1,3 측면날개(150,350)중 어는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수단(700);을 포함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 ADHESIVE PACKING BOX FOR FRIENDLY ENVIRONMENT }
본 발명은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 포장에 사용되는 접착부를 박스에 구비하여 박스 포장에 사용되는 비닐 소재의 접착 테이브프나 결속 스트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폐기물 발생이 줄어들도록 측면부, 상면부, 저면부 및 접착부가 포함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내용물을 담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고, 내용물의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종이, 골판지, 합지 또는 수지재 재질을 사용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즉, 종래와 같이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바닥면을 중심으로 네 면을 상부로 기립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수용하면서 결합하는 뚜껑이 구비되어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형태이다.
또한, 포장박스를 운반할 때 운반자의 부주의로 인해 하부박스가 상부박스에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져 내용물이 훼손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장박스 외부면에 접착 테이프를 서로 교차하도록 접착하거나 또는 벤딩기에 의해 벤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핑 접착이나 벤딩기를 이용하는 테이핑 작업은 필수적으로 접착 테이프가 필요하게되어 원가 상승 요인이되는 것이다.
또한, 포장박스를 해체하여 내용물을 꺼내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제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게되며, 현재 재활용 분리수거 방식에 따르면 테이프와 포장박스는 동시에 재활용될 수 없으므로 접착 테이프를 포장박스에서 모두 제거하여야만 재활용 처리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포장박스는 공개실용신안 20-2012-0000696에 개시되어 있는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는 바닥판(11)과, 바닥판(1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방 좌우측경사면(12,13)과, 전방 좌우측경사면(12,1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측 안치면(14,15)과, 좌우측 안치면(14,15)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후방 좌우측경사면(16,17)과, 전방 좌측경사면(12)과 전방 우측경사면(13)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탈방지면(1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박스도 배송과 보관에는 테이핑이나 벤딩 작업이 필요하고, 포장박스를 포장하는 측과 포장박스를 해체하는 측 모두가 접착 테이프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여주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696호(2012년02월02일공개) 고안의 명칭 : 포장박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 박스의 날개부 또는 상하면부에 접착부가 구비되어 상품 포장시 별도의 접착 테이프나 벤딩 작업을 배제하여 포장박스 해제시에도 테이핑 제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재활용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2,3,4 측면으로 내용물을 보관하는 사각 형상의 측면부와 측면부를 상하에서 커버하는 육면체로 현재 택배 규격과 우체국 규격에 부합되어 시장 활용성이 높아지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면커버(540), 저면커버(640) 또는 제 1,3 측면날개(150,350)중 어는 한쪽에 접착수단(700)이 구비되어 다양한 연출과 사용자의 변경 요구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상기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면 커버나 저면 커버가 수용 공간의 일정 범위 이상을 침범하지 못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들어 올려지는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주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먼저, 일단에 제 1 측면세로변(1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접이선(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수직하게 제 1 측면가로변(13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소정 이격된 위치에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 1 측면날개(15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2 측면가로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과 나란하게 제 2 측면접이선(230)이 형성되는 제 2 측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 2 측면접이선(23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닮음꼴을 이루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 제 3 측면접이선(320), 제 3 측면가로변(330) 및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이 구비되어 제 3 측면날개(350) 한 쌍이 상기 제 3 측면가로변(330)과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측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2 측면부(200)을 마주보는 대향면이 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닮음꼴을 이루도록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의 대향 위치에 제 4 측면세로변(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4 측면가로변(420)과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4 측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으로 수직 접철되어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하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저면세로변(5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세로변(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저면가로변(5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과 나란하게 제 1 저면접이선(5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저면접이선(53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 사이에 저면커버(540)가 구비되는 저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에 수직으로 접철되어 상기 저면부(500)의 대향면으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상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상면세로변(6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세로변(6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상면가로변(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과 나란하게 제 1 상면접이선(6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면접이선(630)과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 사이에 상면커버(640)가 형성되는 상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상면커버(540), 상기 저면커버(640) 또는 상기 제 1,3 측면날개(150,350)중 어는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측면부(1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상기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바 형상의 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는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방향으로 소구경홀이 지면과 나란하게 하나 이상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들어올려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여,
첫째, 포장 박스의 날개부 또는 상하면부에 접착부가 구비되어 상품 포장시 별도의 접착 테이프나 벤딩 작업을 배제하여 포장박스 해제시에도 테이핑 제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재활용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어 종래의 접착 테이프로 인한 문제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 1,2,3,4 측면으로 내용물을 보관하는 사각 형상의 측면부와 측면부를 상하에서 커버하는 육면체로 현재 택배 규격과 우체국 규격에 부합되어 시장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면커버(540)와 저면커버(640) 또는 제 1,3 측면날개(150,350)중 어는 한쪽에 접착수단(700)이 구비되어 다양한 연출과 사용자의 변경 요구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넷째,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상기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면 커버나 저면 커버가 수용 공간의 일정 범위 이상을 침범하지 못하여 내용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들어 올려지는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8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포장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선출원 문건 발췌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2 내지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고, 도 8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13 은 종래의 포장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선출원 문건 발췌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는 먼저, 제 1 측면부(100), 제 2 측면부(200), 제 3 측면부(300) 및 제 4 측면부(400)가 서로 순서대로 연접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부(100)는 일단에 제 1 측면세로변(1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접이선(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수직하게 제 1 측면가로변(13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소정 이격된 위치에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 1 측면날개(15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사이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2 측면부(200)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2 측면가로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과 나란하게 제 2 측면접이선(23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측면부(300)는 상기 제 2 측면접이선(23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닮음꼴을 이루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 제 3 측면접이선(320), 제 3 측면가로변(330) 및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이 구비되어 제 3 측면날개(350) 한 쌍이 상기 제 3 측면가로변(330)과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측면부(100)를 마주 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측면부(400)는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2 측면부(200)을 마주보는 대향면이 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닮음꼴을 이루도록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의 대향 위치에 제 4 측면세로변(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4 측면가로변(420)과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으로 수직 접철되어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하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저면세로변(5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세로변(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저면가로변(5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과 나란하게 제 1 저면접이선(5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저면접이선(53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 사이에 저면커버(540)로 형성되는 저면부(5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저면부(500)의 지면 방향 상부에는 상기 저면부(500)와 닮은 형태로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에 수직으로 접철되어 상기 저면부(500)의 대향면으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상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상면세로변(6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세로변(6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상면가로변(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과 나란하게 제 1 상면접이선(6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면접이선(630)과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 사이에 상면커버(640)가 형성되는 상면부(6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상저커버(540) 상기 저면커버(640) 또는 상기 제 1,3 측면날개(150,35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서로 접착되도록 접착보호면(710)이 접착면(72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접착수단(700)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측면부(10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상기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500)가 수용 공간부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바닥 부위에 형성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바 형상의 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는 종이재질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방향으로 소구경홀이 지면과 나란하게 하나 이상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포장박스의 겉지가 쉽게 들어 올려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포장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박스의 상부와 하부 양쪽에 모두 상기 제 1,3 측면파지선(151,351)을 두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 높이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본원 발명의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포장 박스의 날개부 또는 상하면부에 접착부가 구비되어 상품 포장시 별도의 접착 테이프나 벤딩 작업을 배제하여 포장박스 해제시에도 테이핑 제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재활용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어 종래의 접착 테이프로 인한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며, 제 1,2,3,4 측면으로 내용물을 보관하는 사각 형상의 측면부와 측면부를 상하에서 커버하는 육면체로 현재 택배 규격과 우체국 규격에 부합되어 시장 활용성이 높아지며, 상면커버(540)와 저면커버(640) 또는 제 1,3 측면날개(150,350)중 어는 한쪽에 접착수단(700)이 구비되어 다양한 연출과 사용자의 변경 요구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상기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면 커버나 저면 커버가 수용 공간의 일정 범위 이상을 침범하지 못하여 내용물을 보호하며,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들어 올려지는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제 1 측면부
110 ... 제 1 측면세로변
120 ... 제 1 측면접이선
130 ... 제 1 측면가로변
140 ... 제 1 측면가로접이선
150 ... 제 1 측면날개
151 ... 제 1 측면파지선
200 ... 제 2 측면부
210 ... 제 2 측면가로변
220 ... 제 2 측면가로접이선
230 ... 제 2 측면접이선
300 ... 제 3 측면부
310 ... 제 3 측면세로접이선
320 ... 제 3 측면접이선
330 ... 제 3 측면가로변
340 ... 제 3 측면가로접이선
350 ... 제 3 측면날개
351 ... 제 3 측면파지선
400 ... 제 4 측면부
410 ... 제 4 측면세로변
420 ... 제 4 측면가로변
430 ... 제 4 측면가로접이선
500 ... 저면부
510 ... 제 1 저면세로변
520 ... 제 1 저면가로변
530 ... 제 1 저면접이선
540 ... 저면커버
600 ... 상면부
610 ... 제 1 상면세로변
620 ... 제 1 상면가로변
630 ... 제 1 상면접이선
640 ... 상면커버
700 ... 접착수단
710 ... 접착보호면
720 ... 접착면
810 ... 제 1 측면돌출부
830 ... 제 3 측면돌출부

Claims (5)

  1. 일단에 제 1 측면세로변(1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접이선(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세로변(110)과 수직하게 제 1 측면가로변(13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소정 이격된 위치에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 1 측면날개(150)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130)과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면부(100);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2 측면가로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21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120)과 나란하게 제 2 측면접이선(230)이 형성되는 제 2 측면부(200);
    상기 제 2 측면접이선(23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닮음꼴을 이루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 제 3 측면접이선(320), 제 3 측면가로변(330) 및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이 구비되어 제 3 측면날개(350) 한 쌍이 상기 제 3 측면가로변(330)과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측면부(300);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2 측면부(200)을 마주보는 대향면이 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닮음꼴을 이루도록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310)의 대향 위치에 제 4 측면세로변(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4 측면가로변(420)과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4 측면부(400);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으로 수직 접철되어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하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저면세로변(5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세로변(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저면가로변(5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저면가로변(520)과 나란하게 제 1 저면접이선(5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저면접이선(530)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220) 사이에 저면커버(540)가 구비되는 저면부(500);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에 수직으로 접철되어 상기 저면부(500)의 대향면으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의 상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상면세로변(610)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세로변(6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상면가로변(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상면가로변(620)과 나란하게 제 1 상면접이선(630)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면접이선(630)과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선(430) 사이에 상면커버(640)가 형성되는 상면부(600); 및
    상기 상면커버(640), 상기 저면커버(540) 또는 상기 제 1,3 측면날개(150,35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서로 접착되도록 접착보호면(710)이 접착면(72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접착수단(70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측면부(1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에서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140)과 나란하게 박스의 공간부 방향으로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돌출부(810)가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340)과 나란하고 제 1 측면돌출부(810)와 동일한 높이로 제 3 측면돌출부(8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측에서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바 형상의 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측면부(100-400)는 종이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제 1,3 측면돌출부(810,830)는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외부에서 수납물이 수용되는 공간 방향으로 소구경홀이 지면과 나란하게 하나 이상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3 측면부(100,3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날개(1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1 측면파지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날개(350)에는 반 원호 형상으로 제 3 측면파지선(351)이 형성되어 접철시 원형의 파지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거나 들어올려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KR1020190103689A 2019-08-23 2019-08-23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KR10221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89A KR102215211B1 (ko) 2019-08-23 2019-08-23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89A KR102215211B1 (ko) 2019-08-23 2019-08-23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211B1 true KR102215211B1 (ko) 2021-02-10

Family

ID=7456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89A KR102215211B1 (ko) 2019-08-23 2019-08-23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96U (ko) 2010-07-19 2012-02-02 태양당인쇄(주) 포장박스
KR20120087041A (ko) * 2011-01-27 2012-08-06 유하정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70091539A (ko) * 2017-07-18 2017-08-09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101937095B1 (ko) * 2018-06-01 2019-01-09 남우승 개폐 및 적재 편의성이 개선된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96U (ko) 2010-07-19 2012-02-02 태양당인쇄(주) 포장박스
KR20120087041A (ko) * 2011-01-27 2012-08-06 유하정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70091539A (ko) * 2017-07-18 2017-08-09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101937095B1 (ko) * 2018-06-01 2019-01-09 남우승 개폐 및 적재 편의성이 개선된 포장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826B2 (en) Wrap around container
CN204489636U (zh) 一种m型衬垫的笔记本电脑缓冲包装
KR20210008765A (ko)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KR102215211B1 (ko)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CN211568539U (zh) 一种高强度包装纸箱
CN205525402U (zh) 一种瓦楞纸箱
CN206068386U (zh) 一种汽车冷却风扇包装纸箱
CN211281809U (zh) 包装盒
CN208842806U (zh) 一种免拆式包装木箱
KR102201403B1 (ko) 포장용 박스
CN207917574U (zh) 一种新型具有保护功能的玩具包装盒
KR20130100644A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CN202264977U (zh) 一种端面封边的新型纸托箱
KR102502119B1 (ko) 포장박스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CN216375405U (zh) 一种自带护角的包装箱
CN205060221U (zh) 一种新型的光盘包装盒
CN211418278U (zh) 新型手提式平板电脑包装盒
CN212530713U (zh) 一种可循环利用的包装护角
KR102553602B1 (ko) 친환경 포장박스
CN216916636U (zh) 一种可重复使用的纸箱
KR102409045B1 (ko) 종이 포장재
CN213769302U (zh) 可便捷开启取出内存物的纸盒
CN218317802U (zh) 一种轮毂包装折纸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