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049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049B1
KR101559049B1 KR1020140028722A KR20140028722A KR101559049B1 KR 101559049 B1 KR101559049 B1 KR 101559049B1 KR 1020140028722 A KR1020140028722 A KR 1020140028722A KR 20140028722 A KR20140028722 A KR 20140028722A KR 101559049 B1 KR101559049 B1 KR 10155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cover plate
cov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537A (ko
Inventor
임청섭
Original Assignee
(주)창조프린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프린팩 filed Critical (주)창조프린팩
Priority to KR102014002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0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65D5/2061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of triang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커리와 같은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리한 개봉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며 나아가 심미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사각형의 바닥판(1), 상기 바닥판(1)의 좌우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 상기 바닥판(1)의 전후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덮개판(5); 상기 덮개판(5)이 상기 측판(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측판(3)은 단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바닥판(1)과 함께 삼각 구도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판(5)은 상기 측판(3)과 바닥판(1)이 이루는 삼각 형태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캡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enveloper}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커리와 같은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리한 개봉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며 나아가 심미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다양한 포장기술이 발전되어 왔다. 종이로 되어 있으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는 극히 일반적인 포장수단이다. 포장용 상자는 단순히 상품을 감싸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품의 가치를 높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즉 포장용 상자는 자신의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차별화시키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위주로 하여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상품의 형상 또는 용도 등의 구체적 특성에 맞게끔 개봉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작업 또한 상품성을 높이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80484호는 다수개의 물품을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을 보호하고자 하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특허출원 제10-2009-0066283호는 신속한 포장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조적 개선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8048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6628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내용물을 볼 수 있으며 용이하게 내용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개봉 구조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감흥을 줄 수 있는 상품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덮개판; 상기 덮개판이 상기 측판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측판은 단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함께 종단면 형태가 삼각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측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삼각 형태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캡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판은 상기 측판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판은 상기 측판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고정수단은 상기 측판의 상단 가장자리에 패인 홈에 의해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덮개판을 상기 측판에 끼울 경우, 상기 덮개판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측판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판의 상단에 타공되는 끼움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판은 상기 측판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1단위판, 제2단위판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2단위판, 상기 제2단위판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3단위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위판에는 슬릿 형태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3단위판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는 리드(lid)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3단위판의 상기 측판과 닿는 변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측판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측판 상단에는 손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측판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공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봉 방식을 마치 보자기와 유사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봉하여 내용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독특한 개봉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감흥을 줄 수 있는 상품 포장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덮개판을 내용물을 파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등 기능성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를 위한 시트지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상자를 위한 시트지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며,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주로 식품류를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안출되었으나 내용물에 따라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특히 테이크아웃(take out) 식품을 위한 임시 포장 용도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하나의 바닥판(1), 한쌍의 측판(3) 및 한쌍의 덮개판(5)으로 구성된다. 측판(1)과 덮개판이 함께 상부덮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상부덮개가 없다. 바닥판(1), 한 쌍의 측판(3) 및 한 쌍의 덮개판(5)은 전개도인 도 6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장의 시트지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시트지는 두꺼운 종이, 골판지와 같이 종이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접이식으로 제공된다. 전개도인 도 6과 도 8에서 일점쇄선은 접는선을 의미한다. 다만 일부분은 끼움 결합식이 아닌 접착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사각형으로 된 바닥판(1)이 내용물(C)이 놓이는 바닥을 제공한다. 이 바닥판(1)의 좌우 양단에 한 쌍의 측판(3)이 도 2의 화살표(K2)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바닥판(1)과 측판(3)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덮개판(5)이 바닥판(1)의 전후 양단에 도 2의 화살표(K1,K2)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덮개판(5)과 측판(3)은 바닥판(1) 위에 놓인 내용물(C)을 사방에서 감싸는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서로 결합하여 내용물(C)이 담기게 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끔 되어 있다. 측판(3)과 덮개판(5)은 한데 모인 다음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덮개판 고정수단이 사용된다. 덮개판 고정수단은 덮개판(5)이 측판(3)의 외면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측판(3)은 단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바닥판(1)과 함께 삼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가 제공하는 포장공간은 삼각통과 유사하게 된다(도 4 참조).
덮개판(5)은 측판(3)과 바닥판(1)이 이루는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캡(cap)의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측판(3)과 바닥판(1)이 삼각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덮개판(5)은 삼각 형태의 캡으로 되어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바에 의하면 덮개판(5)은 측판(3)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측판(3)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다.
덮개판(5) 역시 한 장의 시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판(1)에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1단위판(5a), 제1단위판(5a)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2단위판(5b) 및 제2단위판(5b)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3단위판(5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3단위판(5a,5b,5c)은 삼각뿔 형태로 모인 다음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1단위판(5a)에는 슬릿 형태로 결합홈(13)이 마련되고, 제3단위판(5c)에는 결합홈(13)에 끼워질 수 있는 리드(11, lid)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판(5)과 측판(3)을 결합시키기 위한 덮개판고정수단은 홈과 돌기에 의한 암수 결합방식이 이용된다. 즉 걸림돌기(8)가 측판의 상단 가장자리에 패인 홈(7)에 의해 마련된다. 또한 덮개판(5)의 상단에 끼움공(9)이 타공 형성된다. 끼움공(9)은 제2단위판(5b)과 제3단위판(5c)의 경계선 상에 위치되며 삼각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덮개판(5)을 측판(3)에 끼울 경우, 덮개판(5)이 걸림돌기(8)에 걸림으로써 측판(3)과 덮개판(5)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걸림돌기(8)의 외측, 즉 덮개판(5)을 향한 면(8a)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다. 결국 측판(3)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측판(3)을 한데 모은 다음 덮개판(5)을 삼각 형태의 개구부를 향해 밀어 올리게 되면 측판(3)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휘면서 걸림돌기(8)가 수직 하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계속해서 덮개판(5)을 밀어 올리게 되면 걸림돌기(8)는 제2단위판(5b)과 제3단위판(5c)의 접힌 경계를 따라 마찰 접촉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이 곧 덮개판(5)이 측판(3)에 끼워지는 과정이다. 걸림돌기(8)가 끼움공(9)까지 이르게 되면 걸림돌기(8)를 구속하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측판(3)이 탄성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걸림돌기(8)는 끼움공(9)에 찰칵하면서 끼워지게 된다.
덮개판(5)을 측판(3)으로부터 분리하려면, 즉 포장용 상자를 개봉하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3)의 상단 중앙부위를 화살표(K3) 방향으로 눌러 걸림돌기(8)가 끼움공(9)에서 빠지도록 한 다음, 덮개판(3)을 화살표(K1,K2)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젖히면 된다. 덮개판(3)이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는 관계로 덮개판(3)의 끝부분을 살짝 밀기만 하면 덮개판(3)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좌우로 젖혀지면서 포장용 상자가 완전히 개방된다. 측판(3)도 각각 양옆으로 젖히게 되면 내용물(C)을 일시에 온전히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마치 보자기를 펼치듯 내용물의 완전한 형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덮개판(5)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측면 형태는 조각배와 같이 밑변이 좁은 마름모 형태이다(도 3 참조). 이러한 형태의 포장용 상자는 핫도그, 김밥 등 좌우로 기다란 식품을 포장하기에 적당한 형태를 가진다.
핫도그, 핫바와 같은 기다란 내용물(C)을 취식하는 과정에서 삼각뿔 형태로 된 덮개판(5)은 내용물(C)의 끝부분을 감쌈으로써 위생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냅킨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측판(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양측 변(3a)은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3단위판(5b,5c)의 측판과 닿는 변(5b',5c')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덮개판(5)이 걸림없이 부드럽게 측판(3)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 상단에 손잡이(19)가 일체형으로 더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19)는 손을 끼울 수 있는 구멍(19a)을 제공한다.
또한 일측 측판(3)에 내용물을 볼 수 있는 투시공(15)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투시공(15)을 통해 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지(17)가 측판(3)의 내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좌우가 같은 대칭 형태이다. 따라서 이상에서는 한쪽만을 대표하여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반드시 대칭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위에 개시된 각 실시예는 임의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각 조합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바닥판 3 : 측판
5 : 덮개판 7 : 홈
8 : 걸림돌기 9 : 끼움공
11 : 리드(lid) 13 : 결합홈
15 : 투시공 17 : 비닐지
19 : 손잡이

Claims (7)

  1. 사각형의 바닥판(1), 상기 바닥판(1)의 좌우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 상기 바닥판(1)의 전후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덮개판(5); 상기 덮개판(5)이 상기 측판(3)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측판(3)은 단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바닥판(1)과 함께 종단면 형태가 삼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5)은 상기 측판(3)과 바닥판(1)이 이루는 삼각 형태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하되;
    상기 덮개판(5)은 상기 측판(3)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측판(3)의 외측에 끼워지는 삼각뿔 형태의 캡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고정수단은,
    상기 측판(3)의 상단 가장자리에 패인 홈(7)에 의해 마련되는 걸림돌기(8);
    상기 덮개판(5)을 상기 측판(3)에 끼울 경우, 상기 덮개판(5)이 상기 걸림돌기(8)에 걸림으로써 상기 측판(3)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판(5)의 상단에 타공되는 끼움공(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5)은;
    상기 바닥판(1)에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1단위판(5a), 제1단위판(5a)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2단위판(5b), 상기 제2단위판(5b)의 일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 형태의 제3단위판(5c)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위판(5a)에는 슬릿 형태로 결합홈(13)이 마련되고, 상기 제3단위판(5c)에는 상기 결합홈(13)에 끼워질 수 있는 리드(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3단위판(5b,5c)의 상기 측판(3)과 닿는 변(5b',5c')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3)은 상기 바닥판(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 상단에는 손을 끼울 수 있는 구멍(19a)을 제공하는 손잡이(19)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공(15)이 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140028722A 2014-03-12 2014-03-12 포장용 상자 KR10155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22A KR101559049B1 (ko) 2014-03-12 2014-03-12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22A KR101559049B1 (ko) 2014-03-12 2014-03-12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37A KR20150106537A (ko) 2015-09-22
KR101559049B1 true KR101559049B1 (ko) 2015-10-08

Family

ID=5424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722A KR101559049B1 (ko) 2014-03-12 2014-03-12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0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450B2 (ja) * 1993-02-23 2001-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診断装置
CN202728704U (zh) * 2012-07-24 2013-02-13 天津宜药印务有限公司 尖顶正六棱柱形一体料板折叠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450B2 (ja) * 1993-02-23 2001-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診断装置
CN202728704U (zh) * 2012-07-24 2013-02-13 天津宜药印务有限公司 尖顶正六棱柱形一体料板折叠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37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6131A5 (ko)
JP2018502784A5 (ko)
KR101713020B1 (ko) 포장용 종이박스
KR101559049B1 (ko) 포장용 상자
JP7133296B2 (ja) 包装用箱
US20130075293A1 (en) Packaging case
JP3199075U (ja) サンドイッチ用バッグ
JP4901342B2 (ja) 包装箱
KR20140109983A (ko) 작은 크기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 크기의 패킷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JP3182826U (ja) 包装箱
JP7221159B2 (ja) 包装箱
JP5528403B2 (ja) 包装箱
JP5680911B2 (ja) 組立箱
JP2013159369A (ja) 立体物のパッキング及び梱包装置
JP7203571B2 (ja) 包装箱
JP5601031B2 (ja) 包装用容器
JP4634876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2007105337A (ja) ランチボックス
KR101681226B1 (ko) 다면체형 포장상자
JP6862912B2 (ja) 包装箱
KR20170131855A (ko) 내부 후벽 구조의 포장 박스
JP6395109B2 (ja) 組合せカートン
KR101558326B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