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008A -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008A
KR20170089008A KR1020177019161A KR20177019161A KR20170089008A KR 20170089008 A KR20170089008 A KR 20170089008A KR 1020177019161 A KR1020177019161 A KR 1020177019161A KR 20177019161 A KR20177019161 A KR 20177019161A KR 20170089008 A KR20170089008 A KR 2017008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lad material
bonding
based alloy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999B1 (ko
Inventor
신지 야마모토
료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2Cu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n alloy based on a non ferrous metal other than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5Magnes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47Plural layers discontinuously bonded [e.g., spot-weld, mechanical fastener,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 클래드재(10)는,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층(11)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12)과,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층과 상기 제2층과의 접합 계면(1a)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13)를 구비한다. 클래드재의 비중은, 2.10 이하이다.

Description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CLADDING MATERIAL AND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클래드재 및 그 클래드재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경량의 재료로서, Mg(마그네슘)기 합금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Mg기 합금은, 내식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Mg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과, Al(알루미늄)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을 접합시킨 클래드재를 제작함으로써, Mg기 합금에 의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Al기 합금에 의해 내식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를 얻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Mg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을 직접적으로 접합시켜 클래드재를 제작한 경우에는, 층간의 접합 계면에 취약한 금속 간 화합물이 석출되어 버려서, 그 결과, 층끼리가 박리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층끼리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서, 종래, Mg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이 Cu로 구성되는 층을 통해 접합된 클래드재가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클래드재는, 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2011/155214호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1/155214호에는, Mg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슘 부재와,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부재와, 마그네슘 부재와 알루미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Cu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구비하는 결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제공개 제2011/155214호에는, 실시예로서, 8질량%의 Al과 1질량% 미만의 Zn과 잔부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AZ80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과, Cu로 이루어지는 인서트재와, A6151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 빌렛이 접합된 결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1/155214호
그러나, 국제공개 제2011/155214호에 기재된 결합 부재에서는, AZ80의 비중은 약 1.80으로 크기 때문에, AZ80보다도 비중이 큰 Cu 및 A6151과 접합함으로써, 결합 부재의 비중이 커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Z80은, Cu와 접합하기 어려워, 그 결과,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클래드재 및 그 클래드재를 사용한 전자 기기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Mg 이외에 Li가 포함되는 경량의 Mg-Li기 합금이, Cu기 합금과 접합하기 쉽다는 점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는,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층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과,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층과 제2층과의 접합 계면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를 구비하고, 비중이 2.1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Mg-Li기 합금」은, Mg 및 Li가 주로 포함된 합금을 의미하고, Mg 및 Li 이외에 다른 원소가 약간 포함된 합금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Mg-Li기 합금」에는, Mg 및 Li 이외에 약간의 Zn이 포함된 Mg-Li-Zn 합금, Mg 및 Li 이외에 약간의 Al이 포함된 Mg-Li-Al 합금, Mg 및 Li 이외에 약간의 Zn 및 Al이 포함된 Mg-Li-Al-Zn 합금 등도 포함된다. 또한, Mg-Li-Zn 합금으로서는, Mg-9Li-1Zn 합금 등이 있고, Mg-Li-Al 합금으로서는, Mg-14Li-1Al 합금 등이 있으며, Mg-Li-Al-Zn 합금으로서는, Mg-8Al-2Li-1Zn 합금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l기 합금」에는, JIS 규격에 규정되는 A1000번대의 순 Al과, A4000번대의 Al-Si 합금, 및 A5000번대의 Al-Mg 합금 등의 Al 합금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Cu기 합금」에는, JIS 규격에 규정되는 C1020(무산소 구리), C1100(터프 피치 구리), C1201(인탈산 구리), 및 C1220(인탈산 구리) 등의 순 Cu와, Cu-Ni 합금 등의 Cu 합금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제1층)이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됨으로써, Li가 포함된 Mg-Li기 합금에 의해,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이 AZ80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층의 비중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래드재의 비중을 2.10 이하로 하여 커지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가 Al층을 구비함으로써, 클래드재의 내식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경량이며, 또한, 내식성이 높은 클래드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층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은,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와 접합하기 쉽기 때문에,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제1층과 제2층이 서로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실험에 의해 확인 완료된다. 또한, 제1 접합부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접합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는, 접합 계면에 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섬 형상」이란, 제1 접합부에 파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제1 접합부의 전체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접합부가 접합 계면의 전체에 층 형상(제1 접합부에 파단이 형성되지 않아, 제1 접합부의 전체가 접속된 상태)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클래드재의 비중을 2.10 이하로 하여 클래드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접합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의 10% 이상 9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의 20% 이상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접합부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의 10% 이상의 부분(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의 90% 이하의 부분(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접합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접합부의 두께는, 0.5㎛ 이상 6㎛ 이하이다. 또한, 「제1 접합부의 두께」는, 제1 접합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의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즉,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접합부가 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접합부가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의 두께는 제로인 것으로 하여, 평균 두께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접합부의 두께가 0.5㎛ 이상임으로써, 제1 접합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접합부의 두께가 6㎛ 이하임으로써,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접합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층의 두께는, 클래드재의 두께의 60% 이상 90% 이하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층의 두께가 클래드재의 두께의 60% 이상임으로써, Mg-Li기 합금, Al기 합금 및 Cu기 합금 중, 가장 비중이 작은 Mg-Li기 합금의 비율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층의 두께가 클래드재의 두께의 90% 이하임으로써, 제2층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클래드재의 내식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층에 관한 효과는, 후술하는 제3층이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는, 제3층에 관한 효과로서 얻어진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층과 제1 접합부 사이의 박리 강도는, 1.0N/㎜ 이상이다. 여기서,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과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층과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도, 충분히 크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제1층과 제1 접합부 사이의 박리 강도를 1.0N/㎜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 접합부를 통한 제1층과 제2층 사이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층 및 제1 접합부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1층 및 제2 접합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는, 바람직하게는 제1층과 제2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되고,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3층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층과 제3층과의 접합 계면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 접합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식성이 낮은 제1층이,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 및 제3층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므로,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내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층과 제3층과의 접합 계면에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 접합부를 배치함으로써, 제1 접합부와 마찬가지로, 제1층과 제3층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가, Al기 합금으로 구성된 제2층,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된 제1층 및 Al기 합금으로 구성된 제3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제1층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층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클래드재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하우징에 사용하는 경우 등, 평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한 클래드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클래드재는, 바람직하게는 제1층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은, 6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의 Li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Mg-Li기 합금이 6질량% 이상의 Li를 함유함으로써, Mg-Li기 합금에 있어서 Li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층을 충분히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Mg-Li기 합금이 6질량% 이상의 Li를 함유함으로써, 제1층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의 프레스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g-Li기 합금이 15질량% 이하의 Li를 함유함으로써,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Li가 Mg-Li기 합금에 많이 포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한 전자 기기용 하우징은, 상기한 클래드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경량이며, 또한, 내식성이 높은 전자 기기용 하우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전자 기기용 하우징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에 특히 적합한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클래드재 및 그 클래드재를 사용한 전자 기기용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클래드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클래드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비교예 1의 단면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단면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실시예 2의 단면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의 단면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실시예 4의 단면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단면 관찰에 있어서의 비교예 2의 단면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Cu 존재율과 접합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박리면의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실시예 2의 박리면의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의 박리면의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실시예 4의 박리면의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Mg-Li층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의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Mg-Li층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의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Mg-Li층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의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전자 기기의 구성>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100)는, 예를 들어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이다. 이 전자 기기(100)는, 전자 기기(100)의 구조용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 위에 배치되는 기판(2)과, 기판(2)에 접속되고, 화상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은, 청구범위의 「전자 기기용 하우징」의 일례이다.
(클래드재의 구성)
하우징(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래드재(10)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은, Mg-Li층(11)과, Al층(12)과, 접합부(13)를 구비하는 클래드재(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래드재(10)는, Z1측으로부터 Z2측을 향하여, Mg-Li층(11) 및 Al층(1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클래드재(10)를 두께 방향(Z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부(13)는, Mg-Li층(11)과 Al층(12)과의 접합 계면(l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Mg-Li층(11), Al층(12) 및 접합부(13)는, 각각, 청구범위의 「제1층」, 「제2층」 및 「제1 접합부」의 일례이다.
Mg-Li층(11)은,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Mg-Li기 합금으로서는, 14질량%의 Li와 잔부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Mg-Li 합금, LZ91(9질량%의 Li와 1질량%의 Zn과 잔부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Mg-Li-Zn 합금), 및 LA141(14질량%의 Li와 1질량%의 Al과 잔부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Mg-Li-Al 합금) 등이 있다. 여기서, Mg-Li기 합금은, 약 6질량% 이상 약 15질량% 이하의 L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g-Li기 합금의 일례로서의 LZ91의 비중은, 약 1.5이다.
클래드재(10)의 표층에 위치하는 Al층(12)은, Mg-Li기 합금보다도 내식성이 우수하며, 또한, 알루마이트 처리 등에 의해 표면 가공이 용이한 Al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Al기 합금에는, 순 Al과 Al 합금이 포함된다. 순 Al로서는, 99.5질량% 이상의 Al과 그 밖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A1050 및 99.8질량% 이상의 Al과 그 밖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A1080 등이 있다. 또한, Al 합금으로서는, Al-2Si(2질량%의 Si와 잔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Al-Si 합금) 등의 A4000번대의 Al-Si 합금 및 A5000번대의 Al-Mg 합금 등이 있다. 여기서, Al층(12)을 구성하는 Al기 합금으로서는, 연성이 높은 순 A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층(12)을 구성하는 Al기 합금의 비중은, Mg-Li층(11)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의 비중보다도 크다. 여기서, Al기 합금의 일례로서의 A1080의 비중은, 약 2.7이다.
접합부(13)는, Cu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Cu기 합금에는, 순 Cu와 Cu 합금이 포함된다. 순 Cu로서는, C1020(무산소 구리), C1100(터프 피치 구리), C1201(인탈산 구리) 및 C1220(인탈산 구리) 등이 있다. 또한, Cu 합금으로서는, Cu-Ni 합금 등이 있다.
또한, 접합부(13)를 구성하는 Cu기 합금의 비중은, Mg-Li층(11)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의 비중, 및 Al층(12)을 구성하는 Al기 합금의 비중보다도 크다. 또한, Cu기 합금의 일례로서의 C1020의 비중은, 약 8.9이다.
또한, 클래드재(10)에서는, 접촉하는 층끼리가 원자 확산이나 화합물 형성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래드재(10)에 있어서, Mg-Li층(11)과 Al층(12)과의 접합 계면(la)에서는, Al층(12)과 접합부(13)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Mg-Li층(11)과 접합부(13)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Mg-Li층(11)과 Al층(12)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10)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l인 A1080의 판재의 비중(약 2.7)보다도 대폭 작은 2.10 이하이다. 또한, 경량화를 위해서 클래드재(10)의 비중은, 약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클래드재(10)에서는, 비중이 작은 Mg-Li층(11)의 두께를 t2로 한 경우에, Mg-Li층(11)의 판 두께 비율((t2/t1)×100(%))을 클래드재(10)의 두께 t1의 약 60%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g-Li층(11)의 판 두께 비율을 클래드재(10)의 두께 t1의 약 9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부(13)는, 접합 계면(la)에 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접합부(13)는,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섬 형상 부분(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합부(13)가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부(13)를 구성하는 Cu기 합금의 비율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섬 형상 부분(13a)은, 접합 계면(la)의 일부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보다, 접합 계면(la)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부(13)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10% 이상 약 9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단면에서 보았을 때, 약 10% 이상 약 90% 이하의 존재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합부(13)의 존재율은,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래드재(10)를 두께 방향(Z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소정의 단면에 있어서, Mg-Li층(11)과 Al층(12)과의 접합 계면(la)을 따르는 방향의 어느 정도 길이 L(예를 들어, L=1000㎛)의 측정 범위 내에 있어서, 접합부(13)의 섬 형상 부분 (13a)이 존재하고 있는 합계의 길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합계의 길이를 L로 나눔으로써, 접합부(13)의 존재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 접합부(13)의 존재율(%)은, ((L1a+L1b+L1c)/L)×100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접합부(13)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20% 이상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부(13)의 복수의 서로 다른 측정 위치(예를 들어, 3개소 이상 10개소 이하의 측정 위치)에서 상기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을 접합부(13)의 존재율(%)로 한다.
또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클래드재(10)를 박리했을 때, 접합부(13)는, 박리된 Al층(12)의 접합 계면(la)측인 표면(박리면) 중, 약 4% 이상 약 7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클래드재(10)를 박리할 때에 있어서의, Mg-Li층(11)과 접합부(13)와의 박리 강도(peel strength)는, 약 1.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Mg-Li층(11)과 접합부(13)의 박리 강도는, 약 1.7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3.5N/㎜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클래드재(10)에 있어서, Mg-Li층(11)의 두께 t2는, Al층(12)의 두께 t3 및 접합부(13)의 두께 t4 중 어느 쪽의 두께보다도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2는, 클래드재(10)의 두께 t1의 약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2는, 두께 t1의 약 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9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13)의 두께 t4는, Mg-Li층(11)의 두께 t2 이하, 또한, Al층(12)의 두께 t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래드재(10) 전체의 비중을 작게 하기 위해서, 두께 t4는, 약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4는, 약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클래드재(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Mg-Li 판재(111)와,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Al 판재(112)와,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Cu 판재(113)를 준비한다. 또한, Mg-Li 판재(111), Al 판재(112) 및 Cu 판재(113)는, 소정의 온도 조건하에서 소정 시간 어닐링됨으로써 제작된 어닐링재이다.
이때, Mg-Li 판재(111), Al 판재(112) 및 Cu 판재(113)의 각각의 두께를, 접합 후의 클래드재(10)의 비중이 2.10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Mg-Li 판재(111), Cu 판재(113) 및 Al 판재(112)를 이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오버레이형의 클래드재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판재를 적층시킨다. 그리고, 적층된 3장의 금속판을, 압연롤(101)을 사용해서 연속적으로 열간 압연한다. 또한, 열간 압연의 온도 조건 T는, 약 150℃ 이상 약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g-Li층(11) 및 Al층(1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11)과 Al층(12)과의 접합 계면(la)에 접합부(13)가 배치된 클래드재(10)가 제작된다. 또한, 접합부(13)의 두께 t4가 어떤 일정값 이하의 두께인 경우에는, 열간 압연 중의 접합부(13)의 신장이 Mg-Li층(11) 및 Al층(12)의 신장에 추종할 수 없게 되어, 접합부(13)가 파단한다. 이에 의해, 접합부(13)에 섬 형상 부분(13a)이 형성된다. 그 후, 클래드재(10)에 대하여, 약 100℃ 이상 약 30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약 5분) 확산 어닐링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100)(도 1 참조)의 구조용 부재(하우징 1)에 사용되는 클래드재(10)가 제작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Mg-Li층(11)이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됨으로써, Li가 포함된 Mg-Li기 합금에 의해,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층이 AZ80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Mg-Li층(11)의 비중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래드재(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해서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10)가 Al층(12)을 구비함으로써, 클래드재(10)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의 결과, 경량이며, 또한, 내식성이 높은 클래드재(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g-Li층(11)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은, Mg 이외에 Al을 주로 하여 함유하는 Mg 합금과 비교하여,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13)와 접합하기 쉽다. 이에 의해, 접합 계면(la)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Mg-Li층(11)과 Al층(12)이 서로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100)에 특히 적합한 하우징(1)[클래드재(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13)를 접합 계면(la)에 섬 형상으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접합부(13)가 접합 계면(la)의 전체에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13)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13)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10% 이상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의 부분)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합 계면(la)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13)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90% 이하의 부분(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13)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10)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13)의 두께 t4를 약 0.5㎛ 이상으로 하면, 접합부(13)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두께 t4를 약 6㎛ 이하로 하면, Mg-Li기 합금 및 Al기 합금에 비해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13)가 과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10)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Li층(11)의 두께 t2를 클래드재(10)의 두께 t1의 약 60% 이상으로 함으로써, Mg-Li기 합금, Al기 합금 및 Cu기 합금 중, 가장 비중이 작은 Mg-Li기 합금의 비율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10)를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두께 t2를 두께 t1의 약 90% 이하로 함으로써,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Al층(12)의 두께 t3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클래드재(10)의 내식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13)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접합 계면(la)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Li층(11)과 접합부(13) 사이의 박리 강도를 약 1.0N/㎜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합부(13)를 통한 Mg-Li층(11)과 Al층(12) 사이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Li층(11)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이 약 6질량% 이상의 Li를 함유함으로써, Mg-Li기 합금에 있어서 Li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Mg-Li층(11)을 충분히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Mg-Li기 합금이 약 6질량% 이상의 Li를 함유함으로써, Mg-Li층(11)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클래드재(10)의 프레스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g-Li기 합금이 약 15질량% 이하의 Li를 함유함으로써,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Li가 Mg-Li기 합금에 많이 포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Mg-Li층(11)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210)가 5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래드재의 구성>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210)는, Mg-Li층(211)과, Al층(212)과, 접합부(213)에 추가하여, Al층(214)과 접합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래드재(210)는, Z1측으로부터 Z2측을 향하여, Al층(214), Mg-Li층(211) 및 Al층(21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클래드재(210)를 두께 방향(Z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부(213)는, Mg-Li층(211)과 Z2측의 Al층(212)과의 접합 계면(l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부(215)는, Mg-Li층(211)과 Z1측의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Mg-Li층(211), Al층(212, 214), 접합부(213 및 215)는, 각각, 청구범위의 「제1층」, 「제2층」, 「제3층」,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의 일례이다.
Mg-Li층(211)은,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래드재(210)의 표층에 위치하는 Al층(212 및 214)은, 모두, Al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Al층(212 및 214)은, 대략 동일한 조성을 갖는 Al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층(212)의 두께 t13 및 Al층(214)의 두께 t15는,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클래드재(210)의 표리를 엄밀하게 구별할 필요가 없어진다.
접합부(213 및 215)는, Cu기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래드재(210)에 있어서, Mg-Li층(211)과 Al층(212)과의 접합 계면(la)에서는, Al층(212)과 접합부(213)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Mg-Li층(211)과 접합부(213)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Mg-Li층(211)과 Al층(212)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Mg-Li층(211)과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서는, Al층(214)과 접합부(215)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Mg-Li층(211)과 접합부(215)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Mg-Li층(211)과 Al층(214)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l인 A1080의 판재의 비중(약 2.7)보다도 대폭 작은 2.10 이하이다. 또한, 경량화를 위해서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약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클래드재(210)에서는, 비중이 작은 Mg-Li층(211)의 두께를 t12로 한 경우에,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t12/t11)X100(%))을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의 약 60%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의 약 9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부(213 및 215)는, 각각, 접합 계면(la 및 lb)에 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접합부(213 및 215)는, 각각, 접합 계면(la 및 lb)에 있어서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섬 형상 부분(213a 및 215a)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213)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10% 이상 약 9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단면에서 보았을 때, 약 10% 이상 약 90% 이하의 존재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접합부(215)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b)의 약 10% 이상 약 9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 접합부(215)의 존재율(%)은, ((L2a+L2b+L2c+L2d)/L)×100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접합부(213 및 215)의 복수의 서로 다른 측정 위치에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을 각각 접합부(213 및 215)의 존재율(%)로 한다.
또한, 접합부(213)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20% 이상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접합부(215)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b)의 약 20% 이상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클래드재(210)를 박리했을 때, 접합부(213)는, 박리된 Al층(212)의 접합 계면(la)측인 표면(박리면) 중, 약 4% 이상 약 7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접합 계면(lb)에 있어서 클래드재(210)를 박리했을 때에, 접합부(215)는, 박리된 Al층(214)의 접합 계면(lb)측인 표면 중, 약 4% 이상 약 7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계면(la)에 있어서 클래드재(210)를 박리할 때에 있어서의, Mg-Li층(211)과 접합부(213)의 필 강도(박리 강도)는, 약 1.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접합 계면(lb)에 있어서 클래드재(210)를 박리할 때에 있어서의, Mg-Li층(211)과 접합부(215)의 필 강도(박리 강도)는, 약 1.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계면(la 및 lb)에 있어서, Mg-Li층(211)과 접합부[213(215)]의 필 강도는, 약 1.7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약 3.5N/㎜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클래드재(210)에 있어서, Mg-Li층(211)의 두께 t12는, Al층(212)의 두께 t13, 접합부(213)의 두께 t14, Al층(214)의 두께 t15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의 어느 쪽의 두께보다도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12는,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의 약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12는, 두께 t11의 약 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약 9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비중이 큰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은, 모두, Mg-Li층(211)의 두께 t12 이하, Al층(212)의 두께 t13 이하, 또한 Al층(214)의 두께 t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래드재(210) 전체의 비중을 작게 하기 위해서, 두께 t14 및 t16은, 모두, 약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t14 및 t16은, 모두, 약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클래드재(210)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클래드재(1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클래드재(210)의 제조 방법은, Al 판재, Cu 판재, Mg-Li 판재, Cu 판재 및 Al 판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시키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클래드재(10)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Mg-Li층(211)이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됨과 함께, 클래드재(210)가 Al층(212 및 214)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경량이며, 또한, 내식성이 높은 클래드재(2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합부(213 및 215)에 의해, 접합 계면(la)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Mg-Li층(211)과 Al층(212)이 서로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접합 계면(lb)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Mg-Li층(211)과 Al층(214)이 서로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213 및 215)를 각각 접합 계면(la 및 lb)에 섬 형상으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하여 클래드재(21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213)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10% 이상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의 부분)에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접합부(215)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b)의 약 10% 이상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의 부분)에 배치한다. 이들과 같이 구성하면, 접합 계면(la 및 lb)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213)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a)의 약 90% 이하의 부분(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접합부(215)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접합 계면(lb)의 약 90% 이하의 부분(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한다. 이들과 같이 구성하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을 약 0.5㎛ 이상으로 하면, 접합 계면(la 및 lb)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두께 t14 및 t16을 약 6㎛ 이하로 하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Mg-Li층(211)과 접합부(213) 사이의 박리 강도를 약 1.0N/㎜ 이상으로 함과 함께, Mg-Li층(211)과 접합부(215) 사이의 박리 강도를 약 1.0N/㎜ 이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접합부(213)를 통한 Mg-Li층(211)과 Al층(212) 사이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접합부(215)를 통한 Mg-Li층(211)과 Al층(214) 사이의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래드재(210)가, Mg-Li층(211)의 Al층(212)과는 반대측(Z1측)의 표면에 접합되고,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Al층(214)과, 단면에서 보았을 때, Mg-Li층(211)과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21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내식성이 낮은 Mg-Li층(211)이,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Al층(212) 및 Al층(214)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므로, 클래드재(210)에 있어서의 내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210)가, Al기 합금으로 구성된 Al층(212),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된 Mg-Li층(211) 및 Al기 합금으로 구성된 Al층(214)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211)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층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클래드재(210)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평탄성이 요구되는 하우징(1)에 적합한 클래드재(2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험으로서, 접합부의 존재율의 측정과, 박리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으로서, 클래드재의 두께 및 접합부의 두께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했을 때의, Mg-Li층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의 비중을 구하였다.
<실시예의 클래드재 제작>
우선,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LZ91(Mg-Li-Zn 합금)로 구성되는 Mg-Li 판재와, A1080(순 Al)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Al 판재와, C1020(순 Cu)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Cu 판재를 준비하였다. 여기서, LZ91의 비중은 1.50이며, A1080의 비중은, 2.70이며, C1020의 비중은, 8.94이다.
그리고, Al 판재, Cu 판재, Mg-Li 판재, Cu 판재 및 Al 판재를 이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기재한 온도 조건에서 적층된 도 4의 금속판을, 압연롤(도 3 참조)을 사용해서 연속적으로 열간 압연함과 함께,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기재한 온도 조건에서 확산 어닐링을 행한다. 이에 의해, Al층(214), Mg-Li층(211) 및 Al층(21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211)과 Al층(212)과의 접합 계면(la) 및 Mg-Li층(211)과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 각각, 접합부(213 및 215)가 배치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을 480㎛로 했을 때, Mg-Li층(211)의 두께 t12가 318㎛, Al층(212)의 두께 t13 및 Al층(214)의 두께 t15가 모두 80㎛,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이 모두 1㎛가 되도록, Mg-Li 판재, 한 쌍의 Al 판재 및 한 쌍의 Cu 판재의 각각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1.93이었다.
또한, 실시예 2의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이 실시예 2에서는, 두께 t12를 317㎛, 두께 t14 및 t16을 모두 1.5㎛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1.95였다.
또한, 실시예 3의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이 실시예 3에서는, 두께 t12를 314㎛, 두께 t14 및 t16을 모두 3㎛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1.99였다.
또한, 실시예 4의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이 실시예 4에서는, 두께 t12를 308㎛, 두께 t14 및 t16을 모두 6㎛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210)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클래드재(210)의 비중은, 2.09였다.
한편, 비교예 1의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이 비교예 1에서는, Mg-Li층의 두께를 320㎛로 하는 한편, 한 쌍의 접합부를 설치하지 않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클래드재 비중은, 1.90이었다.
또한, 비교예 2의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이 비교예 2에서는, Mg-Li층의 두께를 296㎛로, 한 쌍의 접합부 두께를 모두 12㎛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의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이 비교예 3에서는, Mg-Li층의 두께를 272㎛로, 한 쌍의 접합부 두께를 모두 24㎛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2 및 3의 클래드재 비중은, 각각, 2.27 및 2.64이며, 모두, 본 발명의 클래드재 비중의 상한(2.10)을 상회하고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이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1의 LZ91로 구성되는 Mg-Li층(211) 대신에 3질량%의 Al과 1%의 Zn과 잔부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 원소로 이루어지는 AZ31로 구성된 Mg층을 사용함과 함께, 실시예 1의 Al층(212 및 214)을 구성하는 A1080 대신에 A1050을 사용하였다. 즉, 비교예 4에서는, Li를 포함하는 Mg 합금을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Mg층의 두께를 320㎛, 한 쌍의 Al층의 두께를 모두 80㎛, 한 쌍의 접합부 두께를 모두 20㎛로 하였다. 그것들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클래드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래드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4의 클래드재 비중은, 2.61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의 판 두께 비율 및 비중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의 존재율의 측정>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클래드재에 대하여, 클래드재를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후, 단면 사진으로부터,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 계면에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클래드재에 대하여, 접합 계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측정 범위의 길이 L(도 4 참조)을 1000㎛로 설정했을 때의, 접합부의 섬 형상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합계의 길이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합계의 길이를 1000으로 나누고, 100을 곱함으로써, 소정의 측정 범위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각각에 있어서, 4개소의 서로 다른 측정 범위에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을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로 하였다.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의 존재율의 측정 결과)
도 5 내지 도 10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클래드재에 대한 단면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클래드재에서는, Al층과 Mg-Li층과의 접합 계면에 순 Cu로 구성된 접합부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의 사진에서는, 백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이 접합부에 해당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에서는, Al층과 Mg-Li층과의 접합 계면의 일부에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아, 그 결과, 접합부(섬 형상 부분)가 접합 계면에 섬 형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에서는, 접합부의 섬 형상 부분이 접합 계면의 전체에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클래드재에서는, Al층과 Mg-Li층과의 접합 계면의 전체에 층 형상으로 접합부가 존재하고 있다. 즉, 비교예 2의 클래드재에서는, 접합부가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비교예 2의 클래드재에서는, 12㎛라는 충분히 큰 두께가 되도록 접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4 등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합부에서는, 접합부의 재질이나 열간 압연의 조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섬 형상이 아니라 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 1의 4개소의 소정의 측정 범위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각각, 18.2%, 15.1%, 18.6% 및 17.2%로 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의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평균하여 17.3%로 되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 2의 4개소의 소정의 측정 범위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각각, 21.7%, 27.4%, 19.0% 및 28.4%로 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2의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평균하여 24.1%로 되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 3의 4개소의 소정의 측정 범위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각각, 59.7%, 54.7%, 53.4% 및 34.6%로 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3의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평균하여 50.6%가 되었다. 또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 4의 4개소의 소정의 측정 범위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각각, 92.6%, 70.7%, 87.3% 및 67.5%로 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4의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평균하여 79.4%로 되었다.
<박리 시험>
다음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에 대하여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이 박리 시험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펜치 등의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해서 클래드재(210)의 단부의 접합 계면을 강제적으로 박리시켰다. 또한, 접합 강도가 높아 강제적인 박리가 곤란한 클래드재에 대해서는, 열간 압연 시에 단부를 미리 박리하기 쉽도록 클래드재를 접합시켰다.
그리고, 클래드재(210)에 대해 도 12에 도시한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박리한 계면[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접합 계면(lb)]의 일방측[도 12에 도시한 Mg-Li층(211), Al층(212) 및 접합부(213)]을 고정 부재(102)에 고정함과 함께, 박리한 계면의 타방측[도 12에 도시한 Al층(214) 및 접합부(215)]을 Z1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더 박리시켰다. 그리고, 박리 시에 요한 하중을 클래드재(210)의 폭[지면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클래드재(210)의 폭]으로 나눔으로써, Mg-Li층(211)과 접합부(215) 사이의 박리 강도(접합 강도) F를, 단위 폭당 하중으로서 구하였다. 또한, Al층과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Mg-Li층과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도 크므로, Mg-Li층과 접합부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g-Li층(211)과 접합부(213) 사이의 박리 강도도, Mg-Li층(211)과 접합부(215) 사이의 박리 강도와 대략 동일한 결과가 되리라 생각된다.
여기서, 박리 강도는, 5㎜ 내지 10㎜의 길이 범위에 있어서의 하중의 평균으로서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 강도는, 5개소 측정하고, 그 평균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 박리 강도로 하였다.
(박리 시험의 결과)
상기 표 1 및 도 13에 도시한 박리 시험의 결과로서는, 순 Cu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Al층과 Mg-Li층과의 접합 계면에 설치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박리 강도가 1.0N/㎜ 미만으로 작아진 한편, 순 Cu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접합 계면에 설치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4에서는, 박리 강도가 1.2N/㎜ 이상(1.0N/㎜ 이상)으로 커지게 되었다. 이에 의해, 순 Cu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접합 계면에 설치함으로써, 접합 강도를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비중이 1.93으로 꽤 작은 데도 불구하고, 박리 강도가 1.217N/㎜로 되어,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진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또한, 실시예 4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의 존재율이 79.4%로 접합 계면의 전체에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라도, 박리 강도가 5N/㎜ 이상으로 되어, 매우 큰 접합 강도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에서는, 박리를 할 수 없었다(박리 불가). 또한, 비교예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라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 접합부였다고 해도, Mg-Li기 합금이 아니라 Li를 함유하지 않는 Mg-Al기 합금을 Mg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박리 강도가 1.5N/㎜로 작아지게 되었다. 이 박리 강도는, 1.5㎛라는 작은 두께밖에 갖지 않는 실시예 2의 박리 강도(1.741N/㎜)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Mg-Li기 합금은, AZ31과 같이 Li를 함유하지 않는 Mg 합금보다도,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접합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리면의 관찰>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에 있어서, 박리 시험에서 박리한 표면 중, Al층측의 표면(박리면)을 관찰하였다. 도 14 내지 도 17에,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 박리면의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 박리면에서는, 모두, 접합부(섬 형상 부분)가 접합 계면(박리면)의 전체에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리면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의 측정>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클래드재에 있어서의 평면 사진으로부터, 박리면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을 측정하였다.
(박리면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의 측정 결과)
상기 표 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 박리면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존재율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접합부의 존재율보다도 작아지게 되었다. 이것은, 박리 시험에 있어서 접합부(섬 형상 부분)가 탈락하거나, Mg-Li층측에 남거나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으로서, A1080으로 구성된 Al층(214), LZ91로 구성된 Mg-Li층(211) 및 A1080으로 구성된 A1층(21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211)과 Al층(212)과의 접합 계면(la) 및 Mg-Li층(211)과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 각각, C1020으로 모두 구성된 접합부(213 및 215)가 배치된, 도 4에 도시한 클래드재(210)를 상정하였다. 그리고, 상정한 클래드재(210)에 있어서,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구하였다.
이때,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을 0.6㎜로 설정함과 함께,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을 모두 1㎛, 5㎛ 또는 10㎛로 설정했을 때의,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구하였다. 또한, 이 때의 접합부(213 및 215)의 판 두께 비율은, 각각, 0.017(=(1/600)×100)%, 0.83 (=(5/600)×100)% 및 1.67(=(10/600)×100)%이다.
또한,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을 0.4㎜로 설정함과 함께,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을 모두 1㎛, 5㎛ 또는 10㎛로 설정했을 때의,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구하였다. 또한, 이 때의 접합부(213 및 215)의 판 두께 비율은, 각각, 0.025(=(1/400)×100)%, 1.25 (=(5/400)×100)% 및 2.50(=(10/400)×100)%이다. 또한, Al층(212 및 214)의 판 두께 비율(%)은, 모두, (100-(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접합부(213)의 판 두께 비율+접합부(215)의 판 두께 비율))/2로 된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도 18 내지 도 20에, 각각, 접합부(213)의 두께 t14 및 접합부(215)의 두께 t16이 1㎛인 경우, 5㎛인 경우, 및 10㎛인 경우에 있어서의,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에 대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한 두께 t14 및 t16이 1㎛인 경우이며, 또한,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이 0.6㎜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이 약 50% 이상이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2.10 이하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클래드재(210)의 두께 t11이 0.6㎜인 경우에는, Mg-Li기 합금(LZ91)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약 50%로 작게 하였다고 해도, 상기 박리 실험의 결과로부터 충분한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작게 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t1이 0.4㎜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약 53%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접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작게 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두께 t14 및 t16이 10㎛인 경우이며, 또한, 두께 t1이 0.6㎜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이 약 72% 이상이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2.10 이하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두께 t14 및 t16이 10㎛이며, 접합부(213 및 215)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한 경우라도,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약 67% 이상으로 함으로써,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작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이 결과, 두께 t14 및 t16을 크게 함으로써, 비록 접합부(213 및 215)가, 각각, Mg-Li층(211)과 Al층(212 및 214)과의 접합 계면(la 및 lb)에 층 형상으로 형성되었다고 해도,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작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t1이 0.4㎜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약 74% 이상으로 함으로써,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 10 이하로 작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또한, 두께 t14 및 t16을 10㎛보다도 크게 하였다고 해도,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클래드재(210)의 비중을 2.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두께 t14 및 t16이 5㎛인 경우이며, 또한, 두께 t1이 0.6㎜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이 약 59% 이상이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2.10 이하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두께 t1이 0.4㎜인 경우에서는, Mg-Li층(211)의 판 두께 비율이 약 62% 이상이면, 클래드재(210)의 비중이 2.10 이하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변형예]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변형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10)가, Mg-Li층(11) 및 Al층(12)(제2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11)과 Al층(12)과의 접합 계면(la)에 접합부(13)(제1 접합부)가 배치된 클래드재인 예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서는, 클래드재(210)가, Al층(214)(제3층), Mg-Li층(211)(제1층) 및 Al층(212)(제2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Mg-Li층(211)과 Al층(212)과의 접합 계면(la) 및 Mg-Li층(211)과 Al층(214)과의 접합 계면(lb)에, 각각, 접합부(213)(제1 접합부) 및 접합부(215)(제2 접합부)가 배치된 클래드재인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클래드재는, 제1층과 제2층이 적층되고, 제1층과 제2층과의 접합 계면에 제1 접합부가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으면, 다른 금속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클래드재에서는, 제2층의 제1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다른 금속층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클래드재(10)를 전자 기기(100)의 하우징(1)으로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클래드재를 전자 기기의 하우징 이외의 자동차 및 바이크 등의 구조재 용도로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용도로 본 발명의 클래드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서는, 접합부[13(213) 및 215]{섬 형상 부분[13a(213a) 및 215a]}가, 각각, 접합 계면(la 및 lb)의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제2) 접합부를 접합 계면의 일부에만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클래드재를, 오버레이형의 클래드재가 아니라, 접합부를 접합 계면의 일부에만 배치한 인레이형의 클래드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때, 접합부를 중심부를 제외한 주연부에만 형성함으로써, 제1층과 제2층(제3층)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접합부는,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클래드재의 비중이 2.10 이하이면 접합부는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 하우징(전자 기기용 하우징)
10, 210: 클래드재
11, 211: Mg-Li층(제1층)
12, 212: Al층(제2층)
13, 213: 접합부(제1 접합부)
100: 전자 기기
214: Al층(제3층)
215: 접합부(제2 접합부)
la: (제1층과 제2층과의) 접합 계면
lb: (제1층과 제3층과의) 접합 계면

Claims (10)

  1.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층(11, 211)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12, 212)과,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과의 접합 계면(1a)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13, 213)를 구비하며,
    비중이 2.10 이하인, 클래드재(10, 2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접합 계면에 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클래드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합 계면의 10% 이상 9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클래드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합 계면의 20% 이상 80% 이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클래드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제1 접합부의 두께는, 0.5㎛ 이상 6㎛ 이하인, 클래드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클래드재의 두께의 60% 이상 90% 이하인, 클래드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1 접합부 사이의 박리 강도는, 1.0N/㎜ 이상인, 클래드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상기 제2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되고,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3층(214)과,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과의 접합 계면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 접합부(215)를 더 구비하는, 클래드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Mg-Li기 합금은, 6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의 Li를 함유하는, 클래드재.
  10. Mg-Li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층과,
    Al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2층과,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과의 접합 계면에 배치되고, Cu기 합금으로 구성되는 제1 접합부를 구비하고, 비중이 2.10 이하인 클래드재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용 하우징(1).
KR1020177019161A 2015-12-28 2016-12-15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KR101808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6343 2015-12-28
JPJP-P-2015-256343 2015-12-28
PCT/JP2016/087352 WO2017115661A1 (ja) 2015-12-28 2016-12-15 クラッド材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008A true KR20170089008A (ko) 2017-08-02
KR101808999B1 KR101808999B1 (ko) 2017-12-13

Family

ID=5922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161A KR101808999B1 (ko) 2015-12-28 2016-12-15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32422B2 (ko)
KR (1) KR101808999B1 (ko)
CN (1) CN107206747B (ko)
WO (1) WO2017115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0491B2 (ja) * 2018-03-22 2023-01-10 富士通株式会社 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EP3932663A4 (en) * 2019-03-14 2022-05-04 Hitachi Metals, Ltd. MAGNESIUM PLATED MATERIAL,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ONENT FOR MOVING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5140A (en) * 1966-01-03 1969-10-28 Texas Instruments Inc Composite printing plate with a magnesium alloy bonded to an aluminum layer
JPS5830727B2 (ja) * 1976-05-10 1983-07-01 富士通株式会社 バブルドメイン用ガ−ネツト磁性薄膜
JPS5830727A (ja) * 1981-08-18 1983-02-2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328617A (ja) * 1993-05-18 1994-11-29 Nippon Steel Corp マグネシウム−アルミニウムクラッド材
BE1014308A5 (nl) * 2001-07-20 2003-08-05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turen van een opwikkelinrichting.
JP4117127B2 (ja) * 2001-12-21 2008-07-16 新潟県 アルミニウム被覆マグネシウム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81824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Metal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とアルミニウムとのクラッ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530860B (zh) 2009-04-13 2011-05-04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铝镁超细晶多层结构复合板的制备方法
JP5830727B2 (ja) * 2010-06-10 2015-12-09 富山県 結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3575B2 (ja) * 2012-07-03 2016-08-03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ノートブッ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6364910B2 (ja) * 2014-04-16 2018-08-01 日立金属株式会社 クラッド材および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6530A1 (en) 2018-11-15
KR101808999B1 (ko) 2017-12-13
US10532422B2 (en) 2020-01-14
CN107206747B (zh) 2018-11-30
CN107206747A (zh) 2017-09-26
WO2017115661A1 (ja)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5835B1 (ja) クラッド材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JP4961512B2 (ja) アルミニウム銅クラッド材
US20180111232A1 (en) Brazing sheet formed from aluminum alloy
KR101808999B1 (ko) 클래드재 및 전자 기기용 하우징
JP2015503448A (ja) 異種材を接合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8006496A (ja) 複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9705B2 (ja) クラッド材とその製造方法
JP6364910B2 (ja) クラッド材および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TWI636527B (zh) 氣密密封用蓋材、氣密密封用蓋材之製造方法及電子零件收納用包裝
US11015234B2 (en) Aluminum alloy cladding material for heat exchanger
WO2020049885A1 (ja) 金属部材の溶接構造、及び金属部材の溶接構造の製造方法
JP7147985B2 (ja) 銅複合板材、銅複合板材を用いたベーパーチャンバーおよびベーパーチャンバーの製造方法
KR102001288B1 (ko) 전지용 리드재 및 전지용 리드재의 제조 방법
JP4588735B2 (ja) 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およびクラッド材
WO2019021623A1 (ja) 金属部材の溶接構造の製造方法、及び金属部材の溶接構造
KR20170024578A (ko) 세라믹스/알루미늄 접합체의 제조 방법, 파워 모듈용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세라믹스/알루미늄 접합체, 파워 모듈용 기판
JP2020117804A (ja) マグネシウムクラッド材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WO2017209157A1 (ja) 銅及びマグネシウムからなる金属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200491B2 (ja) 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JP5954072B2 (ja) コネクタ端子用材料、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端子用材料の製造方法
JP6958760B1 (ja) クラッド材
JP2005339923A (ja) 導電部品用クラ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932663A1 (en) Magnesium clad material,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onent for mobile objects
FR3093449A1 (fr) Bande en alliage d’aluminium pour la fabrication d’échangeurs de chaleur brasés
WO2017159356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