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980A - 블로우 아웃 - Google Patents

블로우 아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980A
KR20170087980A KR1020157033697A KR20157033697A KR20170087980A KR 20170087980 A KR20170087980 A KR 20170087980A KR 1020157033697 A KR1020157033697 A KR 1020157033697A KR 20157033697 A KR20157033697 A KR 20157033697A KR 20170087980 A KR20170087980 A KR 2017008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retchable
linear
throttle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케미 가리야
히로카즈 야마모토
요시오 후지무라
요시카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루피너스
아케미 가리야
가부시키가이샤 후키모도시노사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루피너스, 아케미 가리야, 가부시키가이샤 후키모도시노사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루피너스
Publication of KR2017008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0Windmills; Other toys actuated by air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66Passive resis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정밀도 높게 설정한다.
통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신축체(2)와, 탄성을 가지고 신축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설치된 선 형상체(3)와, 통 형상으로 신축체(2)의 단부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넣는 구취체(5)를 구비하고,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으면 신축체(2)가 펴지고,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 형상체(3)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체(2)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리는 블로우 아웃(1)으로서,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취체(5) 내에 신축체(2)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공기 조정체(6)를 구비함으로써,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블로우 아웃{BLOW OUT}
본 발명은, 블로우 아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블로우 아웃에 관한 것이다.
블로우 아웃은, 이전부터 블로우 아웃 완구로서 알려져 있다. 이 블로우 아웃은, 통 형상의 신축체(자루 형상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 형상의 스프링재가 배치 설치되고, 신축체의 일단부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으면 신축체가 펴지고,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재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블로우 아웃은, 종래, 주로 아이의 완구로서 사용되고 있었으나,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블로우 아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블로우 아웃은, 항균성의 유연 재료로 형성된 마우스 피스를, 취입(吹入)부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 의해서도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7944호 공보
그런데,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부는 힘(필요 호기력(呼氣力))은, 주로 스프링재의 탄성력에 의존하지만, 이 필요 호기력(탄성력)은, 종래, 주된 사용자인 아이가 용이하게 신축체를 펼 수 있는 것을 주요건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이나, 사용자의 구강 기능 상태나 몸 상태 등의 사용자 상황 등에 의해,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예를 들면, 건강 촉진에 적합한 필요 호기력과, 미용에 적합한 필요 호기력과는 다른 것이며,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적합한 필요 호기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바꾸려면, 스프링재의 탄성력을 바꾸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목적 등에 따라서 필요 호기력을 미묘하게 바꿀 필요가 있는 한편, 스프링재의 탄성력을 바꾸는 것만으로는 원하는 필요 호기력으로 미세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스프링재의 탄성력이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힘과 동일한 값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정밀도 높게 설정 가능한 블로우 아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통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신축체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신축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설치된 선 형상체와, 통 형상으로 상기 신축체의 일단부에 접속된 전관(專管)체와, 통 형상으로 상기 전관체의 신축체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넣는 구취(口吹)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으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고,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 형상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신축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리는 블로우 아웃으로서, 상기 선 형상체의 탄성력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구취체 내에 상기 신축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필요 호기력·호기압)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블로우 아웃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구취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부와, 환상(環狀)으로 상기 구취체에 장착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블로우 아웃에 있어서, 상기 신축체는, 대략 사각형의 시트 형상의 제 1 소재와 띠 형상의 제 2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소재의 일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당해 일단부와 타단부를 포개어 통 형상으로 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포개지는 포개짐부의 표면측에 상기 선 형상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소재가 상기 포개짐부의 표면측을 덮도록 하여 상기 제 1 소재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선 형상체가 상기 신축체에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부터 3에 기재된 블로우 아웃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선 형상체가 배치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선 형상체의 탄성력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취체 내에 신축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선 형상체의 탄성력과, 유량 조정 수단에 의한 공기량의 조정과의 쌍방에 의해,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 형상체와 유량 조정 수단과의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유량 조정 수단에 스로틀부와 스로틀체를 구비하기 때문에, 스로틀부와 스로틀체의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신축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보다 정밀도 높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선 형상체가 신축체에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 형상체의 탄성력이 그대로 신축체에 전해진다. 이 결과, 선 형상체에 설정되어 있는 탄성력이 그대로,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 형상체의 탄성력을 소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원하는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제 1 소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포개짐부에 선 형상체가 배치되고, 또한, 선 형상체의 위에 제 2 소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 형상체가 2개의 소재에 의해 강고하게 협지, 유지되며, 선 형상체가 신축체에 강고하게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선 형상체가 배치 설치되어, 신축체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 형상체의 배치 설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원하는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블로우 아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로우 아웃의 신축체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로우 아웃의 선 형상체의 배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블로우 아웃의 구취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블로우 아웃(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블로우 아웃(1)은, 특히,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블로우 아웃이며, 주로, 신축체(2)와, 선 형상체(3)와, 전관체(4)와, 구취체(5)와, 공기 조정체(유량 조정 수단)(6)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체(2)는, 통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자루 형상부이며, 소정의 두께, 강도, 밀도(단위면적당 중량), 내구성 등의 재질(특성)을 가지는 종이재가, 소재(21, 22)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신축체(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불어넣어져 불룩해진 상태에서, 단면이 원형이 되고, 그 내경이 전관체(4)의 외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축체(2)는, 대략 장방형(대략 사각형)의 시트 형상의 제 1 소재(2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구부림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신축체(2)의 길이(선 형상체(3)가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길이)(L)는,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블로우 아웃(1)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의 구강 기능 상태나 몸 상태 등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즉, 신축체(2)를 전체 길이(L)에 걸쳐 펴는데 필요로 하는 공기량이,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정 공기량이 되도록, 신축체(2)의 길이(L)가 설정되어 있다.
선 형상체(3)는, 탄성을 가지고 신축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곧게 배치 설치된 선재(線材)이다. 즉, 스테인리스제의 철사로 구성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신축체(2)에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용돌이 형상·코일 형상으로 말리고, 곧게 펴서 외력을 해제하면, 소용돌이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이며, 그 탄성력(탄성 계수)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이,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설정된 적정값이 되도록, 바꿔 말하면,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호기압)이 적정값(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도록, 탄성력이 소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건강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구강 기능 상태나 몸 상태(연령) 등에 따라서, 낮은 순서대로 레벨 0, 레벨 1, 레벨 2 등의 다른 적정값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즉,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서, 불어넣는 힘(호기압)의 적정값이 상세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1개의 선 형상체(3)에서는 소정값의 탄성력이 정확하게 얻어지지 않는 경우나, 복수의 선 형상체(3)에 의해 소정값의 탄성력이 보다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얻어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선 형상체(3)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선 형상체(3)가 배치 설치됨으로써,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적정값(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벨 1에 대해서는, 소정값의 탄성력의 선 형상체(3)가 1개 배치 설치되고, 레벨 2에 대해서는, 동일 소정값의 탄성력의 선 형상체(3)가 2개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 형상체(3)는, 신축체(2)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리는 내륜측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신축체(2) 내에 수용, 배치 설치되어 있다. 즉, 신축체(2)는, 대략 장방형의 제 1 소재(21)와 띠 형상의 제 2 소재(22)로 구성되며, 제 1 소재(21)의 일단부(21a)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일단부(21a)와 타단부(21b)를 포개어 접착하여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부(21a)와 타단부(21b)가 포개지는 포개짐부(21c)의 표면측(외면측)에 선 형상체(3)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2 소재(22)가 포개짐부(21c)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하여 제 1 소재(21)에 접착·접속됨으로써, 선 형상체(3)가 신축체(2)에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소재(21)의 일단부(21a)와 타단부(21b)의 포개짐부(21c) 위에 선 형상체(3)가 배치되고, 또한, 선 형상체(3)의 위에 제 2 소재(2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 형상체(3)가 2개의 소재(21, 22)에 의해 강고하게 협지,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선 형상체(3)가 신축체(2)와 강고하게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에서는, 2개의 선 형상체(3)가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선 형상체(3)의 배치 설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다.
전관체(4)는, 통 형상으로 신축체(2)의 일단부에 접속된 전관부이다. 즉, 소정의 재질을 가지는 종이재로 구성된 원통체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신축체(2)의 일단부 내에 삽입되어, 비닐 테이프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전관체(4)의 내경과 길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들 수 있고, 또한, 구취체(5)로부터 신축체(2)에 공기를 불어넣기 쉽게 설정되어 있다.
구취체(5)는, 통 형상으로 전관체(4)의 신축체(2) 반대측의 단부(타단부)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넣는 구취부이며, 내부에는, 신축체(2)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공기 조정체(6)를 구비한다.
즉, 구취체(5)는, 수지제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몸통부(51)와, 제 2 몸통부(52)와, 제 3 몸통부(53)를 구비하고, 제 1 몸통부(51)는, 일단측이 약간 좁은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몸통부(52)는, 제 1 몸통부(5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제 1 몸통부(51)측의 외경이 작은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3 몸통부(53)는, 제 2 몸통부(52)의 제 1 몸통부(51) 반대측에 설치되고, 그 외경이 전관체(4)의 내경과 거의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관체(4) 내에 제 3 몸통부(53)가 삽입·압입됨으로써, 구취체(5)가 전관체(4)에 접속되어 있다.
또, 구취체(5) 내에는, 제 1 몸통부(51)와 제 2 몸통부(52)에 위치하는 제 1 구멍부(54)와, 제 2 몸통부(52)와 제 3 몸통부(53)에 위치하는 제 2 구멍부(55)와, 제 3 몸통부(53)에 위치하는 제 3 구멍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부(54∼56)는, 구취체(5)와 동심(同心)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내경은, 신축체(2)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쉽게 설정되어, 제 1 구멍부(54), 제 2 구멍부(55), 제 3 구멍부(56)의 순으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공기 조정체(6)는, 구취체(5)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부(61)와, 원환(円環)상으로 구취체(5)에 장착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체(62)를 구비한다. 스로틀부(61)는, 제 1 구멍부(54)와 제 2 구멍부(55)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중심부에 제 1 스로틀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구멍부(54)측으로부터의 공기가, 제 1 스로틀 구멍(61a)을 통과함으로써 스로틀되어, 소정 유량의 공기가 제 2 구멍부(55)측으로 유입되게 되어 있다.
스로틀체(62)는, 금속제의 원판으로, 그 외경은, 제 3 구멍부(56)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설정되며, 제 3 구멍부(56) 내에 삽입·압입되어, 제 2 구멍부(55)와 제 3 구멍부(56)의 단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스로틀체(62)의 중심부에는, 제 2 스로틀 구멍(62a)이 형성되고, 제 5 구멍부(55)측으로부터의 공기가, 제 2 스로틀 구멍(62a)을 통과함으로써 스로틀되어, 소정 유량의 공기가 제 3 구멍부(56)측으로 유입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스로틀 구멍(61a) 및 제 2 스로틀 구멍(62a)의 직경은, 제 1 구멍부(54)의 직경의 절반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불어넣어진 공기를 스로틀부(61)와 스로틀체(62)에서 스로틀하여, 공기를 신축체(2)로 보내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호기압)이,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설정된 적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도록, 스로틀부(61)와 스로틀체(62)의 스로틀량(스로틀 구멍(61a, 62a)의 직경)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축체(2)나 전관체(4)의 재질, 내경, 길이 등을 고려한 다음,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이,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설정된 적정값이 되도록, 선 형상체(3)의 탄성력(탄성 계수), 배치 설치수와, 공기 조정체(6)에 의한 스로틀량(조정 공기량)이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호기압)이 적정값(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도록,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이나 공기 조정체(6)에 의한 스로틀량이 조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구취체(5)에는, 마우스 피스(7)를 자유롭게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마우스 피스(7)는, 항균 가공이 실시된 유연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로 구성되며,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투명한 원통 형상으로, 통 내에 구취체(5)를 삽입하여 전관체(4)를 압입함으로써,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우스 피스(7)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에 문 심지가 양호해짐과 함께, 장기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블로우 아웃(1)에서는, 사용자가 구취체(5)(마우스 피스(7))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으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신축체(2)로 유입되어 신축체(2)가 펴지고,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체(3)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체(2)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려 되돌아간다. 이때,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호기압)이,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설정된 적정값(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계속하여 펴지지 않으며, 또,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공기량만큼 불어넣지 않으면, 신축체(2)가 전체 길이(L)에 걸쳐 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블로우 아웃(1)을 사용하여 신축체(2)의 신축(블로우 아웃)을 반복함으로써,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한 취입력에서의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블로우 아웃(1)에 의하면,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신축체(2)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공기 조정체(6)를 구비함으로써, 구취체(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호기압)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신축체(2)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선 형상체(3)의 탄성력과, 공기 조정체(6)에 의한 공기량의 조정(공기의 스로틀)과의 쌍방에 의해,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필요 호기압)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 형상체(3)와 공기 조정체(6)와의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건강 촉진이나 치료, 미용 등의 목적이나, 사용자의 구강 기능 상태나 몸 상태 등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서, 불어넣는 힘(호기압)의 적정값이 상세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이 적정값에 맞춰 필요 호기력을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공기 조정체(6)에 스로틀부(61)와 스로틀체(62)를 구비하기 때문에, 스로틀부(61)와 스로틀체(62)의 쌍방의 스로틀량을 조정함으로써, 신축체(2)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보다 정밀도 높게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른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로틀체(62)가 구취체(5)와는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스로틀 구멍(62a)의 직경이 다른 스로틀체(62)를 구취체(5)에 장착함으로써, 구취체(5)를 바꾸지 않고 용이하게, 공기 조정체(6)에 의한 스로틀량(조정 공기량)을 조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 형상체(3)가, 2개의 소재(21, 22)에 의해 강고하게 협지, 유지된 상태에서, 신축체(2)에 강고하게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이 그대로 신축체(2)에 전해진다. 이 결과, 선 형상체(3)에 설정되어 있는 탄성력이 그대로,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을 소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원하는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선 형상체(3)를 신축체(2)를 따르게 하여 접착, 배치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선 형상체(3)와 신축체(2)가 별개의 상태가 되어, 선 형상체(3)의 탄성력이 그대로 신축체(2)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 결과, 신축체(2)의 탄성력(말려 되돌아가는 힘)이 선 형상체(3)의 탄성력과는 달라져,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이 영향, 변화된다. 이것에 비하여, 이 블로우 아웃(1)에서는, 선 형상체(3)가 신축체(2)에 강고하게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영향, 변화가 없어, 필요 호기력을 원하는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복수의 선 형상체(3)를 배치 설치하여, 신축체(2)를 펴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호기력을 조정, 설정함으로써, 필요 호기력을 원하는 적정값으로, 보다 정밀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전관체(4)에 대하여 1개의 신축체(2)를 설치하고 있으나, 블로우 아웃(1)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 상황 등에 따라서, 1개의 전관체(4)에 대하여 복수의 신축체(2)를 설치해도 된다. 또, 신축체(2)에 눈금을 붙여, 어느 정도 신축체(2)를 펼 수 있는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도 된다.
1: 블로우 아웃
2: 신축체
21: 제 1 소재
21a: 일단부
21b: 타단부
21c: 포개짐부
22: 제 2 소재
3: 선 형상체
4: 전관체
5: 구취체
6: 공기 조정체(유량 조정 수단)
61: 스로틀부
61a: 제 1 스로틀 구멍
62: 스로틀체
62a: 제 2 스로틀 구멍
7: 마우스 피스

Claims (4)

  1. 통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신축체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신축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설치된 선 형상체와, 통 형상으로 상기 신축체의 일단부에 접속된 전관체와, 통 형상으로 상기 전관체의 신축체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넣는 구취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으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고, 공기를 불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 형상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신축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말리는 블로우 아웃으로서,
    상기 선 형상체의 탄성력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구취체 내에 상기 신축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아웃.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구취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부와, 환상으로 상기 구취체에 장착되어 공기를 스로틀하는 스로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아웃.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체는, 대략 사각형의 시트 형상의 제 1 소재와 띠 형상의 제 2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소재의 일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당해 일단부와 타단부를 포개어 통 형상으로 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포개지는 포개짐부의 표면측에 상기 선 형상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소재가 상기 포개짐부의 표면측을 덮도록 하여 상기 제 1 소재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선 형상체가 상기 신축체에 일체적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아웃.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선 형상체가 배치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취체로부터 공기를 불어넣는 힘이 소정값 이상이 아니면, 상기 신축체가 펴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아웃.
KR1020157033697A 2014-09-03 2014-10-20 블로우 아웃 KR20170087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8704 2014-09-03
JP2014178704A JP5656238B1 (ja) 2014-09-03 2014-09-03 吹き戻し
PCT/JP2014/077778 WO2016035220A1 (ja) 2014-09-03 2014-10-20 吹き戻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80A true KR20170087980A (ko) 2017-08-01

Family

ID=5243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697A KR20170087980A (ko) 2014-09-03 2014-10-20 블로우 아웃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16356B2 (ko)
EP (1) EP3009175A4 (ko)
JP (1) JP5656238B1 (ko)
KR (1) KR20170087980A (ko)
CN (1) CN105611976A (ko)
HK (1) HK1223881A1 (ko)
TW (1) TWI572400B (ko)
WO (1) WO2016035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8229B1 (ja) * 2014-12-15 2016-03-08 良男 藤村 吹き戻し
JP5890058B1 (ja) * 2015-08-12 2016-03-22 株式会社吹き戻しの里 吹き戻し
US10842214B2 (en) * 2016-03-29 2020-11-24 Kenneth G. Colbo Extending ornamental device
JP2017205227A (ja) * 2016-05-17 2017-11-24 株式会社ルピナス 吹き戻し用支持具および吹き戻し
JP6295477B1 (ja) * 2017-08-23 2018-03-20 弓場商事株式会社 呼気圧測定器
US20190105534A1 (en) * 2017-10-11 2019-04-11 Joseph Patrick Lundquist Apparatus for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s
JP7350278B2 (ja) * 2018-05-22 2023-09-26 吉川英男 美容器具
JP6966820B1 (ja) * 2021-05-24 2021-11-17 株式会社ルピナス 吹き戻し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1669A (en) * 1928-11-13 Musical instrument
US530909A (en) * 1894-12-11 Pneumatic toy
US2282056A (en) * 1940-12-10 1942-05-05 American Merri Lei Corp Toy
US2851270A (en) * 1956-10-04 1958-09-09 John H Ball Toy whistle attachment
US3321976A (en) * 1964-08-17 1967-05-30 William C Jones Expired air coll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559330A (en) * 1969-04-11 1971-02-02 Marvin L Matlock Toy
BE794580A (fr) * 1971-07-28 1973-05-16 Connor Michael J O Respirateur
JPS48104496U (ko) * 1972-03-09 1973-12-06
GB1548130A (en) * 1978-02-17 1979-07-04 Lr Ind Ltd Inflatable toy
JPS584544Y2 (ja) * 1980-03-24 1983-01-26 株式会社トミー 動物玩具
US4533137A (en) * 1982-01-19 1985-08-06 Healthscan Inc. Pulmonary training method
US4395933A (en) * 1982-01-21 1983-08-02 Shepley Joseph J Mouthpiece for brass-wind instruments
US4447250A (en) * 1983-04-04 1984-05-08 John Wolens Novelty headband
US4579826A (en) * 1983-09-30 1986-04-01 Bolton Craig E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human breath
GB2219751B (en) * 1988-06-18 1992-07-08 David Shaw Practical joke or display device
US5165393A (en) * 1991-03-21 1992-11-24 Kawaei Co., Ltd. Deep breathing exercise apparatus
JP2000237343A (ja) * 1999-02-18 2000-09-05 Shuji Kishi 息吹込み鍛練具
USD441033S1 (en) * 2000-01-11 2001-04-24 Kord Gifts Manufactory Limited Noisemaker
JP3137944U (ja) 2007-10-02 2007-12-13 株式会社ルピナス 吹き戻し
KR100940103B1 (ko) * 2007-12-18 2010-02-02 이혜영 파티용 블로우아웃
TWM337383U (en) 2008-02-27 2008-08-01 Galemed Corp Respiratory training device
KR20110031847A (ko) * 2009-09-21 2011-03-29 이승수 블로우아웃
CN203447775U (zh) * 2013-05-29 2014-02-26 浙江万得福塑胶有限公司 一种带有2个纸龙的会发光的吹龙玩具
JP3191062U (ja) * 2014-03-26 2014-06-05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栓付き筒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9230A (zh) 2016-03-16
US9616356B2 (en) 2017-04-11
TWI572400B (zh) 2017-03-01
CN105611976A (zh) 2016-05-25
HK1223881A1 (zh) 2017-08-11
JP2016052375A (ja) 2016-04-14
JP5656238B1 (ja) 2015-01-21
EP3009175A1 (en) 2016-04-20
WO2016035220A1 (ja) 2016-03-10
EP3009175A4 (en) 2017-01-04
US20160296852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7980A (ko) 블로우 아웃
MX2017013952A (es) Dispositivo y método de entrenamiento de instrumento pulmonar.
DE602005001928D1 (de) Verformbare Zwischenwirbelprothese
WO2011139442A3 (en) Configurable pliable air ducts
US426944A (en) The art of boxing
JP3194714U (ja) 吹き戻し
US8878036B2 (en) Device for muting the sound of a musical instrument
JP2019522524A5 (ko)
KR20170095719A (ko) 블로우 아웃
HRP20191024T1 (hr) Sklop katetera i govorne proteze
US3020673A (en) Expanding toy
JP5890058B1 (ja) 吹き戻し
JP6966820B1 (ja) 吹き戻し
US8686267B2 (en) Brass instrument practice device
CA2903592A1 (en) Blowout
JP2017205227A (ja) 吹き戻し用支持具および吹き戻し
MX2016008960A (es) Instrumento ludico flexible e inflable.
US2720809A (en) Exercising device for lungs and diaphragm
TH1601000872A (th) โบลเอาต์
WO2016082817A3 (de) Dämpfer für ein blechblasinstrument und übungsgerät
JP2023157160A (ja) 吹き戻し及び吹き戻しシステム
CN202244043U (zh) 呼吸装置
ATE523389T1 (de) Luftsackanordnung
RU20041376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просвета трубчатого органа
RU2008138009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дувания слуховой трубы 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