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651A -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651A
KR20170087651A KR1020160007481A KR20160007481A KR20170087651A KR 20170087651 A KR20170087651 A KR 20170087651A KR 1020160007481 A KR1020160007481 A KR 1020160007481A KR 20160007481 A KR20160007481 A KR 20160007481A KR 20170087651 A KR20170087651 A KR 2017008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present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김상찬
장미희
서혜림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651A/ko
Publication of KR2017008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 보호작용을 통한 간세포보호효과가 우수하고, 간보호작용을 보이며 정상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간질환 치료제 또는 간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의 치료제 또는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runella spica extracts for protection liver disease}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그러나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정상 간으로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또한, 간은 물질대사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며, 간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는 외부에서 섭취된 영양소들을 분해하여 생체가 필요로 하는 물질들의 구성단위를 생성하고, 대사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는 ROS의 주요 생성 장소이며, 과도하게 생성된 ROS가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유발하는 것이 간세포의 산화적 손상 기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간세포 및 미토콘드리아 손상은 염증, 섬유화, 경화, 암 등의 간질환 발생 및 진행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간은 인체대사에 필수성분인 철이 많이 저장되는 곳으로 과도한 철 축적은 철 촉매-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지질 과산화를 촉진하고, phospholipase A2를 활성화시켜 전염증성 매개체인 arachidonic acid (AA)의 분비를 자극하고, 간 실질세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 대식세포에서는 염증을 유발한다. 또한, AA가 지방산의 산화와 세포의 신호전달과 phospholipases 활성을 촉진시키는 과정에서 생성한 많은 ROS는 미토콘드리아의 막 투과 비정상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팽창과 막전위 붕괴 및 cytochrome c, apoptosis inducing factor 같은 apoptosis 관련 분자들을 cytosol로 방출시켜 apoptosis 를 유발한다. 따라서, AA와 철(iron)은 간세포 손상 기전 연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유도 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간의 손상 및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2가지 방법이 병용되고 있다. 또한, 대표적인 간 질환 치료제로는 실리마린(silymarin)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BDD)가 있으나, 이들 약물 역시 근본적인 치료제가 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이 외 개발된 화합물에 의한 치료제는 체내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제품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치료효과가 우수하며,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 시에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하고초(夏枯草, Prunellae Spica)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고 한의학에서는 이뇨, 소염, 해열,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효능 연구로 항알레르기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하고초가 간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지의 연구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4455호 한국공개특허 제10-13831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간경화, 간섬유증,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 보호작용을 통한 간세포보호효과가 우수하고, 간보호작용을 보이며 정상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간질환 치료제 또는 간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규명한 것으로, 1a는 HepG2 세포에 하고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분석한 것이고, 1b는 AA+철 이온 처리에 따른 세포 스트레스를 유도에 대해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분석한 것이며, 1c는 하고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AA+철 이온을 처리하여 세포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후, 하고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H2O2의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하고초 추출물의 미토콘드리아 보호 활성을 확인한 결과로서, 3a는 HepG2 세포를 Rho123으로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기로 형광강도를 측정한 것이고, 3b는 하고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AA+철 이온 처리시 증가된 Rn1분획의 감소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하고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AMPK 신호경로의 활성화를 웨스턴 블럿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AMPK의 억제제인 Compound C를 전처리 한 후, 하고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RN1분획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이 간세포 보호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및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질환 치료제들의 경우 근본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약학적 효능이 미비하며 체내 부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를 발굴하려고 노력하던 중, 본 발명자들은 하고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고초(夏枯草)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전초로서, 한의학에서 이뇨, 소염, 해열,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항균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하고초의 다른 기능 및 활성 성분 규명과 효능 연구는 많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하고초 추출물이 가지는 생리활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보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항산화 활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실시예 1 및 2 참조).
한편, 생명체는 필수적으로 산소를 이용하므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세포의 노화 및 암,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유산소 대사과정에서 체내에 존재하는 oxidant와 anti-oxidant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은 세포내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tumase,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등의 다양한 항산화 효소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과도하게 생성된 ROS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생체막 내 인지질의 변성 및 세포나 조직의 손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와 조직의 비특이적 손상을 야기하고 유전자의 변형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세포의 성장, 생존 및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원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세포 내에서 과도한 활성산소종의 생성 및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를 보호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실시예 3에 의하면 AA+iron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미토콘드리아 이상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는 oxidative phosphorylation을 통하여 ATP를 생성하여 세포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공급하는데, 이러한 미토콘드리아가 활성산소종에 노출되면, 미토콘드리아 막투과성 변이공(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mPTP)이 열리고, 수소이온(H+) 이동의 동력인 미토콘드리아 막전위(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와 pH 차이가 사라져 oxidative phosphorylation이 방해를 받아 ATP 합성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ATP가 감소한다. 또한, 칼슘이온(Ca2+)이 축적되어 세포사를 일으키는데,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mPTP에 있는 Ca2 + 결합 부위의 민감도가 변하여 쉽게 Ca2 + 축적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AA와 iron 처치로 유도된 미토콘드리아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하고초 추출물의 간 세포 보호 활성이 AMPK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는데,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세린/트레오닌 계열의 단백질 인산화 효소(serine/threonine kinase)로서 지질과 포도당 대사의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α, β, γ의 3개 소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α 소단위의 N-말단(N-terminal) 내 catalytic site에 있는 Thr-172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AMPK는 정상 환경에서는 비활성 상태로 있다가 과격한 운동, 저혈당 및 저산소증 등 AMP/ATP 비율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기전과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하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AMPK는 지방산 합성을 유도하는 AMPK 하위 인자인 acetyl CoA carboxylase (ACC)를 억제하여 체내 지질 대사를 조절하거나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을 억제하여 포도당 대사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화반응(catabolism)을 유도하여 ATP 생성을 증가시키고, ATP를 소모하는 세포성장 및 세포증식을 억제하여 세포내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한다. AMPK의 상위 인산화 효소에는 liver kinase B1 (LKB1), Ca2 +/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kinase β (CaMKKβ), 그리고 TGFβ-activated kinase (TAK-1) 등이 있다. 이 중 LKB1은 AMP의 γ 소단위 부착을 강화시켜, 세포증식을 조절하고, 종양억제 효과를 가지고, Ca2 +에 의해 활성화되는 CaMKKβ에 의한 AMPK 활성화는 신경세포, 혈관내피세포, T 임파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cytokine 수용체와 연결된 하위 인산화 효소인 TAK-1은 JNK와 NF-κB 신호전달의 상위 인산화 효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AMPK 활성화가 미토콘드리아 막의 보호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의 기전 연구로서 AMPK 신호전달경로를 매개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PSE를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면역블럿팅을 수행한 결과, AMPK의 인산화가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아가 AMPK의 상·하위인자인 LKB1과 ACC의 인산화도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하고초 추출물과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함께 처리한 후 MMP를 측정한 결과, 하고초 추출물의 미토콘드리아 보호 효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하고초 추출물이 AMPK 활성에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고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하고초를 대상으로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하고초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여 하고초 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이 치료,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상기 간질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간경화, 간섬유증,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일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간질환 중, 간경화는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조직이 광범위하게 파괴된 결과로 섬유조직의 증식과 재생성 결절 형성의 형태학적 특징을 보이며, 2차적으로 간 내 혈관의 변형 및 간기능의 저하가 초래되는 질병이다(Bataller B, Brenner DA. Hepatic Fibrosis. In : Arias IM et al., The liver biology and pathobiology. 5th ed. Wiley-Blackwell, 2009, p.433-452). 간경화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피부에 거미상 혈관이 나타나거나,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손바닥이 정상인보다 붉어지고, 남성에서는 여성호르몬이 파괴되지 않아 가슴이 커지며 성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비장이 커지면서 왼쪽 옆구리에서 만져질 수 있고, 복수가 차고 양쪽 다리가 부을 수 있으며, 피부 바깥쪽까지 확장된 혈관이 튀어나올 수 있다. 또한 간기능의 저하로 황달이 나타날 수 있고, 간성혼수(hepatic coma)로 인해 인격이 변하거나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식도정맥류 출혈 등이 발생하면 피를 토하거나 흑변, 혈변이 보일 수도 있다(Goldmann DR, Complete home medical guide, DK publishing, 2003, p.643-651).
이러한 간경화는 섬유조직의 증식 및 재생성 결절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정상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며, 간경화에 대한 치료는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현재의 간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이러스 성 간경화의 경우, 그 원인을 억제하기 위한 페그인터페론(Peginterferon)이나 항바이러스제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간경화를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또한, 간섬유화(간섬유증)는 결합조직의 합성 및 분해 과정의 균형이 상실된 상태로서, 간 조직 내에 결합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되며 괴사나 염증이 동반된다. 특히 간에서 간기능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비타민 A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s : HSCs)는 급 만성 간 손상에 의해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 형태로 전이되고 급속히 증식하여 콜라겐(collage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히알유로난(hyaluronan) 등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동시켜 과도한 결합조직을 생성함으로써 간의 섬유화 과정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iedma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8681, 1985. and Gressner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1: 222, 1988. and Gressner et al., J. Hepatol., 22: 28, 1995.).
간암 역시 상기 기술된 간손상 질환인 간경화 및 간섬유화와 같은 증상이 악화되고 간 손상의 지속적인 원인 작용으로 발병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간암의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이외에도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간손상을 개선 및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하고초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고초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로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은 다발성경화증, 뇌척수염, 뇌신경근염, 말초신경변증, 라이증후군,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알퍼 질환, 뇌졸중, 편두통, 정신병, 우울증, 발작, 치매, 중풍, 시신경위축, 시신경병증, 녹내장, 망막색소변성, 백내장, 고알도스테론혈증, 부갑상선기능저하증, 근육병증, 근육위축, 미오글로빈뇨,근육긴장저해, 근육통, 운동내성저하, 세뇨관증, 신장기능부전, 간부전, 간기능부전, 간비대, 철적혈구 빈혈,호중성백혈구 감소증, 저혈소판증, 설사, 융모위축, 다발성구토, 연하곤란, 변비, 감각신경 난청, 정신지체, 간질,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헌팅턴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참고예 1>
1. 시약
Anti-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ti-procaspase 3, anti-phospho acetyl-CoA carboxylase (p-ACC), anti-phospho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anti-phospho liver kinase B1 (p-LKB1),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mouse IgG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에서 구입하였고,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는 Thermo (Rockford, IL,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rachidonic acid (AA), rhodamine123 (Rho123)은 Calbiochem (San Diego, CA, USA)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2',7'-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H2DCF-DA), ferric nitrilotriacetic acid (Fe-NTA), anti-β-actin 항체 시약들은 Sigma (St. Louis, M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하고초 물추출물(PSE)의 제조
하고초는 대원약업사(Daegu,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하고초 100 g을 물 1 L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전탕액을 여과페이퍼(filter paper: Toyo Roshi Kaisha Ltd, Tokyo, Japan)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LABCONCO, USA)하여 분말화 하였다. 분말화된 하고초 추출물의 수율은 10.8 %였으며, 이를 물에 녹인 후 0.22 μm filter (Millipore, USA)로 여과한 다음,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3. 세포배양 및 처리
실험에 사용한 인체 유래 간 실질세포주인 HepG2 cell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에서 구입하였으며,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100 units/mL penicillin, 100 /mL streptomycin을 첨가하였고, 37°C, 5% CO2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serum free DMEM으로 교체하여 12시간 serum-starvation 후, 10~300 /mL 농도의 PSE와 10 AA를 12시간 동시 처리한 후, 5 iron을 1~4시간 처리하였다.
4. 세포 생존율 검사 ( MTT assay )
HepG2 cell을 24 well plate에 2×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0, 1, 3, 10, 30, 100 /mL의 PSE와 10 AA를 12시간 처리한 후, 5 iron을 1시간 더 처리하였다. 3-(4,5-dimethylthiazo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시약을 0.1 mg/mL로 처리하고 37°C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formazan crystal을 dimethylsulfoxide로 용해시켰으며. microplate 측정기(Tecan Infinite M200 PRO, U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Immunoblot analysis
HepG2 cells을 6 well plate에 배양한 후, PSE 100 μg/mL과 AA 10 μM을 12시간 처리한 후, iron 5 μM을 2시간 더 처리한 후, 이전 연구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5,12) 자세하게는 다음과 같은데,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2회 washing 후, lysis buffer (Thermo, Rockford, IL, USA)를 첨가하여, 세포를 모아 sonicator (Sonics, USA)로 세포를 균질화하였다. 15,000 xg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 취하여 bicinchoninic acid (BCA) protein assay kit (Pierce,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그런 후, 세포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여 enhanced chemiluminoscent system (Amersham, Buckinghamshire, UK)을 사용하여 image analyzing system (Ultra-Violet Products Ltd., Upland, CA, USA), 또는 X-ray 필름에 감광하였고, Image J 1.42 software (NIH Bethesda,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6. 세포 내 ROS 측정
PSE의 세포 내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H2DCF-DA 실험법을 이용하여 이전 연구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5,12) HepG2세포를 10 H2DCF-DA로 30분 동안 37°C에서 세포 반응을 유도하였고,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Tecan Infinite M200 PRO)를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과 emission 535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7.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 MMP ) 측정
PSE의 미토콘드리아 보호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MP는 이전 연구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5,12) 막 투과성 형광 dye인 rhodamine123 (Rho123, 0.05 /mL)으로 30분간 염색한 후,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모은 후, PBS에 재부유하여 flow cytometer (FACS, Partec, M, Germany)로 MMP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20,000개 의 세포를 분석하였다.
8. 통계처리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3회 이상 반복 실험한 결과의 평균값±표준 편차(mean±S.D.)로 표시하였다. 각 처리군의 비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방법을 이용하였고,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p<0.05 또는 p<0.01).
< 실시예 1>
하고초 추출물이 간 실질 세포주( HepG2 cell ) 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 in vitro 시험)
상기 참고예에서 수득한 하고초 물추출물이 간 실질 세포주(HepG2 cell)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하고초 물추출물의 농도는 각각 1, 3, 10, 30, 100 /mL로 24시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하고초 물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과 10 의 아라키돈산(AA)를 12시간 동안 동시 처리하고, 5 철(iron)을 4시간 더 처리한 결과, AA+iron 단독 처리군은 대조군인 정상세포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21.9%로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하고초 물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했으며, AA+iron 처리군과 비교하였을 때, PSE 1~100 /mL의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1)(도 1a 및 1b 참조).
특히 30 μg/mL에서는 대조군과 거의 비슷한 정도까지 세포 손상을 방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 실험에서는 하고초 물추출물을 30 μg/mL의 농도로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세포사(Apoptosis)에 대한 하고초 물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poptosis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면역블롯(immunoblot)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는데, HepG2 cell에 AA+iron 처리 시, pro-caspase 3와 PARP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도 1c 참조),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의 처리가 이들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정상화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하고초의 물 추출물이 체내에 안정하며, 정상적인 간세포에는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간 질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치료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하고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규명
세포 내 과도한 ROS 생성 및 축적은 대표적 항산화물질인 GSH의 결핍을 통하여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하므로 산화적 손상의 좋은 지표로 사용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하고초 물추출물의 세포 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HepG2 cell에 AA+iron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추출물 처리에 따른 H2O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H2O2의 농도는 H2DCF-DA가 세포 내 생성된 H2O2와 반응하여 형광물질인 2’,7’-dichlorofluorescin (DCF)로 산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AA+iron는 HepG2 cell에서 H2O2의 생성을 2배 가량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p<0.01), 본 발명의 하고초 물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AA+iron에 의한 H2O2 생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Fig. 2)(도 2 참조).
< 실시예 3>
미토콘드리아 장애 억제 효과
AA+iron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는 미토콘드리아 막전위(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감소와 미토콘드리아 막투과성(mitochondria membrane permeability) 증가 및 세포사(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하고초 물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HepG2 cell을 Rho123으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AA+iron는 RN1 fraction(파괴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세포 숫자)을 증가시킨 반면, 하고초 물추출물의 처리군은 AA+iron에 의해 증가된 RN1 fraction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Fig. 3A~B)(도 3 참조). 이러한 결과는 하고초 물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이상 현상(mitochondrial dysfunction)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4>
하고초 물추출물의 AMPL 활성화 분석 효과
AA+iron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apoptosis)의 보호기전으로 AMPK 경로의 활성화를 제시한 내용이 보고된 바 있고, 활성화된 AMPK는 인산화를 통하여 세포 내 다양한 효소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하고초 물 추출물이 세포 보호의 분자기전으로서 AMPK 경로를 매개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HepG2 cell에 30 μg/mL 하고초 물추출물을 시간 의존적으로 10분에서 6시간까지 처리해본 결과, 하고초 물추출물은 AMPK의 인산화를 6시간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4 참조), AMPK 상위 인산화효소(upstream kinase)인 LKB1은 3시간에서 6시간까지 증가하였다(data not shown). 그리고, 이와 더불어 AMPK의 하위 기질인 ACC의 인산화도 30분부터 6시간까지 증가하였다(도 4 참조).
나아가 하고초 물 추출물의 AMPK 활성화가 미토콘드리아 보호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사용하였는데, Compound C를 전 처리한 경우 하고초 물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하고초의 물추출물이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AMPK의 활성화를 통해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간경화, 간섬유증,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60007481A 2016-01-21 2016-01-21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70087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81A KR20170087651A (ko) 2016-01-21 2016-01-21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81A KR20170087651A (ko) 2016-01-21 2016-01-21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651A true KR20170087651A (ko) 2017-07-31

Family

ID=5941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481A KR20170087651A (ko) 2016-01-21 2016-01-21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977A (ko) 2022-05-17 2023-11-27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5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977A (ko) 2022-05-17 2023-11-27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5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2346A (ja) 虚血性疾患および脳変性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のためのイネ科植物(Gramineaeplant)からのでんぷんまたは食物繊維を含む組成物
JP2019019143A (ja) Vcam−1発現抑制剤
KR20100042414A (ko) 오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1831981B1 (ko) 상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9483B1 (ko)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JP2001247470A (ja) 肝保護剤
KR20170087651A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60085149A (ko)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39733A (ko) 초음파 처리된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54891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섬유화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5512999A (ja) 川椒抽出物を含む脳細胞保護及び記憶力増進用組成物
KR20140064505A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20153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8411B1 (ko)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6180B1 (ko)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2381B1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4970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1212A (ko) 알코올 유도 만성 간독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81984A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Abd-Elhakim et al. Opuntia spp. Benefits in Chronic Diseases
KR100783205B1 (ko) 운지버섯 추출물과 운지버섯 조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70023405A (ko)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