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446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446A
KR20170085446A KR1020170004941A KR20170004941A KR20170085446A KR 20170085446 A KR20170085446 A KR 20170085446A KR 1020170004941 A KR1020170004941 A KR 1020170004941A KR 20170004941 A KR20170004941 A KR 20170004941A KR 20170085446 A KR20170085446 A KR 2017008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oating
heart
fix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023B1 (ko
Inventor
쇼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4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rovision for free supply; using w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65D47/44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combined with slits opening when container is deformed or when pad is pressed against surface to which contents are to be appli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6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brush or comb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Abstract

[과제]용이하게 도포체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포액의 유로를 확보하여 고정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도포체를 가지는 도포부를 마련한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부는 도포체를 장착하는 심받침대와, 본체로부터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정 부재를 가지고, 고정 부재의 돌기를 상기 도포체에 찌른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상기 심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심받침대에 도포체를 고정하고, 그 도포체의 고정 상태에서, 도포부를 선축에 장착한 도포구이다.

Description

도포구{APPLICATOR}
본 발명은 도포액을 모세관(毛細管) 작용에 의해서 유도 가능한 다공질심(多孔質芯)이나 섬유를 굳힌 도포심(塗布芯) 등의 도포체(塗布體)를 고정한 도포구(塗布具)에 관한 것이다.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심의 고정 수단은, 종래, 도포심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선축(先軸)에 볼록부를 마련하여 오목부에 볼록부를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키던지, 도포심을 단단히 조여 고정하는 등이 있었다.
전자와 같이 도포심에 오목부를 마련하는 방식에서는 도포심의 단면적(斷面積)이 감소하고, 또, 후자와 같이 도포심을 단단히 조이는 방식에서는,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한 유로(流路) 폐색(閉塞)이 생겨, 모두 스무스한 송액(送液)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에서는, 복수의 도포심을 수지제의 선축에 핀을 박아 넣어 고정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는, 상기 선축에 형성한 도포심 삽통공(揷通孔)에 삽입 통과하여 복수의 도포심을 동일 평면상에 배열하고, 침모양의 핀을 그 선축측면에 대해서 박아 넣음으로써 상기 복수의 도포심에, 그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동일한 핀을 일련으로 관통시켜 선축에 상기 복수의 도포심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도포구에서는, 수지 성형품의 도포심에 핀을 관통시키기 위해, 힘껏 박아 넣고, 또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게 하여, 곧게 핀을 박아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그와 같이 박아 넣을 수 없는 경우, 도 10 (a)에 도시하는 것처럼, 핀(a)이 도포심(b)에 대해서 어긋나 박혀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도포심(b)을 선축(c)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없다. 그때 생기는 어긋남에는, 위치 결정 실패에 의한 핀(a)의 어긋남(부호 「a1」으로 나타냄)이나, 비스듬하게 박아 넣음에 의한 어긋남(부호 「a2」로 나타냄)으로 있다. 어긋남을 없애기 위해서, 작업자가 손으로 조립(수작업으로 조립)하는 것으로는 대응할 수 없으므로, 전용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있으며, 작업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또, 핀 구멍 부근은 도 10 (b)에 도시하는 것처럼, 핀(a)을 박아 넣었을 때 도포심(b)이 불룩해져, 핀(a)과 선축(c) 내벽의 사이에 낀 도포심(b)의 부분(b1)으로 도포심(b)의 유통로를 제한하므로, 도포액의 충분한 공급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 2605023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용이하게 도포체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포액의 유로를 확보하여 고정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포체를 가지는 도포부를 마련한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부는 도포체를 장착하는 심(芯)받침대와, 본체(本體)로부터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의 돌기를 상기 도포체에 찌른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상기 심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심받침대에 도포체를 고정하고, 그 도포체의 고정 상태에서, 도포부를 선축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는, 그 일방에 핀체를 마련하고, 타방에 장착공을 마련하여, 핀체를 장착공에 감입(嵌入, 끼워 넣음)함으로써,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끼리를 고정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 대상인 모발을 빗어 도포체로 유도하는 빗체를 마련하고, 당해 빗체를 심받침대에 일체로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받침대에 홈이 마련되어 있고, 그 홈에 도포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포체에 돌기를 찔러 심받침대에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도포체의 외경(外徑)과 돌기의 외경의 합계가, 상기 심받침대의 홈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력이 10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력은 20N 이상이다.
본 발명의 도포구에 의하면, 고정 부재의 돌기를 상기 도포체에 찌른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상기 심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심받침대에 도포체를 고정하고, 그 도포체의 고정 상태에서, 도포부를 선축에 장착했으므로, 종래와 같은 도포체에 핀을 박아 넣어 고정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를 심받침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돌기를 도포체에 찌르는데, 핀을 관통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도포체의 불룩해짐이 적으므로 도포액의 유로 제한이 생기기 어려워,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도포체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포액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는, 그 일방에 핀체를 마련하고, 타방에 장착공을 마련하여, 핀체를 장착공에 감입함으로써,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끼리를 고정하는 구조로 하면, 핀체를 장착공에 감입함으로써 고정 부재를 고정할 수 있어, 도포체의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심받침대와 빗체가 일체의 것으로 하면, 조립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또, 도포체의 외경과 돌기의 외경의 합계가, 고정 부재의 도포체측의 홈 사이의 폭보다 큰 것으로 하면, 홈 안에서 도포체가 불룩해져 긴밀하게 끼어 고정력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전체도로, (a)가 선방(先方)에서 본 도면, (b)가 정면도, (c)가 (a)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구의 도포부를 떼어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포구에 마련하는 도포부의 부품도이며, (a)가 선방에서 본 도면, (b)가 상방(上方)(덮개부측)으로부터의 사시도, (c)가 측방(側方)에서 본 도면, (d)가 상면도, (e)가 (a)의 E-E선을 따르는 단면도, (f)가 (a)의 F-F선을 따르는 단면도, (g)가 (d)의 G-G선을 따르는 단면도, (h)가 (d)의 H-H선을 따르는 단면도, (i)가 (d)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 (j)가 후방(後方)에서 본 도면, (k)가 하방(下方)(본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포부의 조립 상태의 설명도로, (a)가 사시도, (b)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포부의 심받침대의 부품도로, (a)가 선방에서 본 도면, (b)가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 (c)가 측방에서 본 도면, (d)가 상면도, (e)가 (a)의 E-E을 따르는 단면도, (f)가 (a)의 F-F을 따르는 단면도, (g)가 후방에서 본 도면, (h)가 하방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도포부의 고정 부재의 부품도로, (a)가 사시도, (b)가 평면도, (c)가 정면도, (d)가 하방도, (e)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도포구의 선축의 부품도로, (a)가 선방으로부터의 사시도, (b)가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c)가 평면도, (d)가 정면도, (e)가 (c)의 E-E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f)가 하방에서 본 도면, (g)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포구에 있어서의 비교예와 실시예의 작용 설명이며, (a)가 심받침대, (b)가 비교예, (c)가 실시예의 각 설명도이다.
도 9는 도포구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예로, 돌기를 도포체에 찌르지 않은 비교예와, 찌른 실시예의 작용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도포부의 설명도로, (a)가 핀의 위치 결정을 실패한 상태도, (b)가 핀에 의한 유로 제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의 설명도, 도 3, 도 4는 도포부의 설명도, 도 5는 심받침대의 설명도, 도 6은 심고정구의 설명도, 도 7은 선축, 도 8, 도 9는 작용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는, 복수의 도포체(10)를 가지는 도포부(12)를 마련한 것이다.
도포부(12)는 도포체를 장착하는 심받침대(16)와, 평판(平板) 모양의 본체와 복수의 돌기(14) 및 가이드 핀(24)이 돌출된 고정 부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당해 고정 부재(18)의 돌기(14)를 상기 도포체(10)에 찌른 상태에서, 심받침대(16)에 가이드 핀(24)의 장착에 의해서 고정 부재(18)를 고정하고, 이것에 의해서 심받침대(16)및 상기 고정 부재(18)에 도포체(10)를 고정한 도포부(12)를 부분 조립(subassemble)한다. 이 후에, 부분 조립한 도포부(12)를 선축(28)에 장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포구는 도포액을 수용하는 용기(20)와, 도포체(10)를 가지는 도포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도포부(12)는 그 용기(20) 내의 도포액을 함침(含浸)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도포체(10)와, 그 도포체(10)를 사이에 두도록 병설(竝設)된 복수의 판 모양의 빗체(22)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구는 이들 빗체(22)에 의해서 빗은 모발에 상기 도포체(10)로부터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모발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도포액에는, 염색료 예를 들면 액상의 모발용 화장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발용 도포구는 용기(20)의 선방부에, 미사용시에 도포체(10) 및 빗체(22)를 덮는 캡(도시 생략)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다. 또, 당해 모발용 도포구는, 사용시에,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상기 캡을 떼어내어, 도포체(10) 및 빗체(22)를 노출시킨 상태로 한다.
각 부를 설명한다.
〔용기(20)〕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용 도포구는, 용기(20)의 선단부에 마련한 복수의 빗체(22)가 형성되고, 그 빗체(22)에 의해서 모발을 빗어 도포체(10)에 닿기 쉽게 함과 아울러, 장착되는 용기(20) 내의 도포액을, 도포체(10)를 매개로 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모발용 도포구에 있어서, 수지제인 용기(20)는, 후단(後端)이 폐쇄되고, 선단이 개구(開口)된 통 모양으로 성형된 용기 본체(20a)와, 용기 본체(20a)의 외부를 덮는 커버체(20b)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0a) 내에는, 저류체(貯溜體)(26)가 삽입 수용된다. 당해 저류체(26)에는 화장료인 도포액이 담지(擔持)(저류)된다.
용기 본체(20a)에는, 그 전단(前端) 외주(外周)에 플랜지(20a1)가 지름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0b)는 그 플랜지(20a1)의 후면에, 커버체(20b)의 전단(前端)이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 용기 본체(20a) 외주의 오목부(또는 볼록부)에, 커버체(20b) 내주(內周)의 볼록부(또는 오목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빠짐 방지됨으로써, 용기 본체(20a)에 대해서 커버체(20b)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 플랜지(20a1)의 선방의 외주면에는, 캡(도시 생략)이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산(20a2)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체(20b)는 외주면에 할로우(hollow)(20b1)의 형성으로 쥐기 쉽게 되어 있고, 또한 할로우나 그 외의 모양, 슈링크(shrink) 등 외면(外面)에 디자인적인 장식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저류체(26)는 도포액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인 한, 그 재료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중면(中綿), 다공질체 등을 들 수 있다.
〔빗체(22)〕
빗체(22)는 개개가 판 모양이며, 복수의 빗체(22)가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에서, 그 빗체(22) 사이에 2개의 도포체(10)가 끼워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 빗체(22)는 선단부로부터 후방에 위치한 지점이 폭이 좁게 되어 개략 표주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심받침대(16)의 선단에 일체로 세워서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3 ~ 도 5 참조).
〔선축(28)〕
도 1,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용기(20)의 선단부에는, 도포체(10)와 빗체(22)를 가지는 도포부(12)를 장착하기 위한 선축(28)이 당해 용기(20)의 선방(先方)의 개구를 막도록 끼워 장착된다.
선축(28)은, 부품으로서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개략 통 모양이며, 선방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의 벽부(28a)가 중심축 부근을 덮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도포부(12)는 선축(28)의 벽부(28a) 내에 끼워 장착하여, 용기(20)의 선단부에 선축(28)을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선축(28)의 벽부(28a)는 선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그 벽부(28a)의 내면의 홈의 걸림부(28b)에 심받침대(16) 외부의 걸림 돌기(16a)가 맞물려, 도포부(12)가 선축(28)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축(28)은 그 외 벽면이 용기 본체(20a)의 통 모양 개구부의 내벽면과 액밀(液密)하게 밀착하고 있다. 또, 상기 선축(28)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착탈 가능해도, 완전하게 고정되어도 된다.
〔도포부(12)〕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복수의 도포체(10)를 가지는 도포부(12)가, 복수의 도포체(10)를 열 모양으로 심받침대(16)에 설치되고, 그 심받침대(16)를 두께 방향으로 양측으로부터 고정 부재(18)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각각의 도포체(10)에 돌기(14)를 찔러 고정해서 마련된 것이다. 도 4에 도포부(12)의 조립 설명을, 도 5에 심받침대(16)를, 도 6에 고정 부재(18)를, 각각의 부품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선축(28)의 부품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포체(10)〕
상기 도포체(10)는 막대 모양을 나타내고, 사용하는 도포체(10)의 액(液)유지력이 일본 특허 제4726439호 공보에 기재된 것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도포체(10)의 소재를 예로 들면, 슬리버펜(sliver pen)심, 펠트 모양 물질, 연속 기포 스펀지모양 물질 등이 바람직하다.
〔심받침대(16), 고정 부재(18)〕
상기 심받침대(16)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개략 사각형 모양의 두꺼운 판 모양의 본체(16b)에 판 모양의 빗체(22)가 복수, 선방으로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다. 본체(16b)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단면 사각형 모양이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삽통공(16c)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6b)의 후방부에는, 깎아서 마련된 홈을 사이에 두고 벽부(16d)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홈은 상기 삽통공(16c)에 연속하고 당해 삽통공(16c)과 거의 같은 내경의 바닥부를 가지고 있다. 그 바닥부에 표리(表裏)에 관통하는 관통공(16d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벽부(16d)에는, 심받침대(16)의 두께 방향으로 가이드 핀(24)을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장착공(16d1)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선방에서 보면, 도 5 (a)에 도시하는 것처럼, 빗체(22) 사이에 삽통공(16c)이 위치하고, 후방에서 보면, 도 5 (g)에 도시하는 것처럼, 그 삽통공(16c)이 벽부(16d, 16d)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이루어져 있다.
고정 부재(18)는,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평탄한 사각형 모양의 판부의 본체(18a)로부터 기둥 모양으로 2개의 가이드 핀(24)이 세워서 마련되어 있고, 돌기(14)도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부재(18)의 본체에는, 반대측의 고정 부재(18)의 가이드 핀(24)이 장착되는 삽입공(18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핀(24)의 선단부에는, 삽입공(18b)에 넣었을 때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약간 큰 지름으로 된 팽출경부(膨出徑部)(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받침대(16) 및 고정 부재(18)는, 재질로서는 각종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도포부(12)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복수의 도포체(10)를 심받침대(16)에 장착하여 조립된다.
우선, 도포체(10)를 심받침대(16)의 삽입공(16c)에 길이 방향(화살표 F방향)을 따라서 넣는다. 이 경우, 도포체(10)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 가지런히 하여, 열방향으로 또 복수 개의 도포체(10)를 상기 심받침대(16)의 삽통공(16c)에 넣는다. 따라서 심받침대(16)는 도포체(10)를 정렬하여 넣는 치구(治具)의 기능 작용을 달성한다.
그 다음에, 상하 각각으로부터 고정 부재(18)를, 도포체(10)를 장착한 심받침대(16)의 두께 방향(화살표 G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당해 심받침대(16)에 장착한다. 이 장착 동작에 의해서, 고정 부재(18)의 복수의 돌기(14)를 복수의 도포체(10)에 지름 방향으로부터 각각 찔러 고정하고, 또 당해 고정 부재(18)의 복수의 가이드 핀(24)을 심받침대(16)의 복수의 장착공(16d1)에 넣어서 당해 고정 부재(18)를 심받침대(16)에 장착 고정하고, 따라서 도포체(10)를 당해 심받침대(16)에 긴밀하고 고정시킨다.
그리고 가이드 핀(24)의 선단을 반대측의 고정 부재(18)의 삽입공(18b)에 장착한다(장착시는 토글 프레스((toggle press) 등으로 수직으로 압압(押壓)하여 장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24)의 팽출경부(24a)가 고정 부재(18)의 삽입공(18b)에 감입되어, 빠짐 방지가 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18)가 도포체(10)의 고정구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조립시에는, 상기 가이드 핀(24)이 장착공(16d1)에 찔러 넣어지므로, 심받침대(16)에 대한 고정 부재(18)의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되어, 돌기(14)를 도포체(10)의 폭방향 중심에 찌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고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포부(12)를 조립한 상태가,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된다. 도포체(10)의 선단은 빗체(22) 선단보다도 조금 안으로 들어가므로, 도포할 때에 도포체(10)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포체(10)의 외경(φD)과, 돌기(14)의 외경(x)의 합계가, 심받침대(16)의 벽부(16d)끼리의 간격 w2(도포체(10)측의 홈의 폭)보다 큰 것으로 한다(D+x>w2).
이것에 의해, 장착한 도포체(10)가, 그 홈 안에서 도포체(10)가 팽창하여 벽부(16d)의 내벽에 맞닿아 당해 홈에 감입되어, 도포체(10)의 고정력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도포구에 의하면, 고정 부재(18)를 심받침대(16)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돌기(14)를 상기 도포체(10)에 찔러, 당해 심받침대(16)에 도포체(10)를 고정한 후,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포부(12)를 선축(28)에 장착한다.
따라서 도포구는 종래와 같은 도포체에 핀을 박아 넣어 고정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위치 결정이 용이하다. 또, 돌기(14)를 도포체(10)에 찌르지만, 핀을 관통시키는 것에 비하여, 도포체(10)가 불룩해지지 않으므로 도포액의 유로 제한이 생기기 어려워,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도포체(10)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포액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심받침대(16)와 빗체(22)가 일체의 것으로 하므로, 조립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또, 도포체(10)의 외경 D와 돌기(14)의 외경 x의 합계가, 심받침대(16)의 도포체(10)측의 홈 사이의 폭 w2보다 큰 것이므로, 홈 안에서 도포체(10)가 끼워져 고정력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포체(10)의 고정력의 향상에 관해서 구체적인 구조를 예를 들어,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8 (a)에 외관을 나타내는 심받침대(16)에 대해서, B, C-B, C선을 따르는 단면에 대해 (b)에 비교예를, (c)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b)와 (c)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인 치수의 도포체(10)를 심받침대(16)와 고정 부재(18)에 의해서(돌기(14)를 찔러서) 고정했을 때의 도포체(10)의 불룩해짐 및 고정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고정시에 도포체(10)에 의해서 생긴 홈 내벽으로의 압력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 (b)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도포구(도포부)에서는, 심받침대(16)가 홈의 폭(벽부(16d, 16d) 사이) W를 3.7mm, 깊이 H를 2.4mm, 도포체(10)의 직경 φD를 2.55mm, 돌기(14)의 폭 x를 0.8mm로 했다.
도 8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상기의 비교예에서 돌기(14)로 도포체(10)를 찌르면, 그 도포체(10)가 돌기(14)의 폭 x분(分)인 0.8mm 불룩해져, 파선으로 도시하는 이미지와 같이 거의 3.35mm였다. 홈의 폭 w1이 3.7mm이므로, 도포체(10)가 홈의 벽부(16d, 16d)의 내면에 맞닿지 않아, 헐거워져, 도포체(10)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도 8 (c)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심받침대(16)에 있어서의 홈(벽부(16d, 16d) 사이)의 폭 w2가 비교예와 달리 폭 w2=3.0mm였다. 그 외는, 깊이 H가 2.4mm, 도포체(10)의 직경 φD가 2.55mm, 돌기(14)의 폭 x가 0.8mm로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돌기(14)로 도포체(10)를 찌르면, 그 도포체(10)가 돌기(14)의 폭 x분인 0.8mm 불룩해져, 파선으로 도시하는 이미지와 같이 거의 3.35mm였다. 홈의 폭 w2가 3.0mm이므로, 도포체(10)가 홈의 벽부(16d, 16d)의 내면에 맞닿아, 도포체(10)를 단단하고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었다.
상기의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해서, 홈 안에 있어서의 도포체(10)에 대한 압압력을 도 9에 도시한다. 또한, 돌기(14)의 치수가 폭 x가 0.8mm이고, 세로 길이 y가 1.5mm, 돌출 방향의 길이 z가 3.6mm였다. 자세한 것은, 선단 쐐기 부분까지의 길이 z1가 2.9mm, 쐐기 부분의 길이 z2가 0.7mm, 쐐기 모양의 각도 θ가 59.5˚, 선단 폭t=0.5mm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것처럼, 비교예(도 8 (b) 참조)에서는 홈폭 w1이 넓어 3.7mm이므로, 도포체(10)가 찌그러지지 않고, 고정력이 9.5N(뉴턴)였다.
이것에 대해, 실시예(도 8 (c) 참조)에서는 홈폭 w2가 3.0mm이므로, 도포체(10)의 눌러 찌그러짐량이 0.35mm로 찌그러지고, 고정력이 28N(뉴턴)였다.
이상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헐거워 도포체를 고정할 수 없었지만, 실시예에서는 강하게 압압할 수 있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실시예는 일례이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체(10)를 2개씩 4열로 하여 심받침대(16)에 장착해 도포부(12)에 마련하고 있었지만, 도포부(12)의 도포체(10)의 배열 상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포체를 1개도 복수 개도 배열해도 되고, 또, 심받침대의 편측면에 도포체를 마련하여 고정 부재로 고정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도포구로 한정되지 않고, 모발용 이외의 다양한 도포구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도포구의 구조나 도포체의 형상, 재질, 갯수 및 배치 등의 도포부의 구성은,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도포구는, 모발용 도포구 등의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일반적으로 필기용 필기구에도 이용할 수 있다.
10: 도포체
12: 도포부
14: 돌기
16: 심받침대
16c: 삽통공
16d: 벽부
16d1: 장착공
18: 고정 부재
18b: 삽입공
20: 용기
22: 빗체
24: 가이드 핀
26: 저류체
28: 선축

Claims (5)

  1. 도포체(塗布體)를 가지는 도포부를 마련한 도포구(塗布具)에 있어서,
    도포부는 도포체를 장착하는 심(芯)받침대와, 본체로부터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의 돌기를 상기 도포체에 찌른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상기 심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심받침대에 도포체를 고정하고, 그 도포체의 고정 상태에서, 도포부를 선축(先軸)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는, 그 일방에 핀체를 마련하고, 타방에 장착공을 마련하여, 핀체를 장착공에 감입(嵌入, 끼워 넣음)함으로써, 고정 부재 및 심받침대끼리를 고정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도포 대상인 모발을 빗어 도포체로 유도하는 빗체를 마련하고, 당해 빗체를 심받침대에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심받침대에 홈이 마련되고, 그 홈에 도포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포체에 돌기를 찔러 심받침대에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도포체의 외경(外徑)과 돌기의 외경의 합계가, 상기 심받침대의 홈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정력이 10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70004941A 2016-01-14 2017-01-12 도포구 KR102626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5439 2016-01-14
JP2016005439 2016-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446A true KR20170085446A (ko) 2017-07-24
KR102626023B1 KR102626023B1 (ko) 2024-01-18

Family

ID=5933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941A KR102626023B1 (ko) 2016-01-14 2017-01-12 도포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5869B2 (ko)
KR (1) KR102626023B1 (ko)
CN (1) CN106966038B (ko)
TW (1) TWI7182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623B1 (ko) * 2020-07-02 2021-10-12 주식회사 한경희 모발염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334B1 (ko) * 2020-08-14 2021-12-30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804U (ko) * 1989-01-18 1990-08-07
JPH0631604U (ja) * 1992-09-30 1994-04-26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2004148761A (ja) * 2002-10-31 2004-05-27 Pilot Ink Co Ltd ペン先取付構造
JP2006102319A (ja) * 2004-10-07 2006-04-20 Mitsubishi Pencil Co Ltd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KR102605023B1 (ko) 2022-09-27 2023-11-23 주식회사 워터베이션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Y2 (ja) * 1990-10-03 1996-01-10 三菱鉛筆株式会社 頭髪用液体化粧料の塗布具
US5325878A (en) * 1992-07-17 1994-07-05 Mckay William D Fluid dispensing comb
JP3255060B2 (ja) * 1997-01-07 2002-02-12 凸版印刷株式会社 塗布容器
FR2842440B1 (fr) * 2002-07-17 2006-06-02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comportant un embout moule d'une seule piece
JP4726439B2 (ja) * 2004-06-04 2011-07-20 三菱鉛筆株式会社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FR2956332B1 (fr) * 2010-02-18 2012-01-20 Figie Luxembourg Sa Dispositif d'application d'un fluide
CN105310245A (zh) * 2014-08-01 2016-02-10 黄庆 染发剂施用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804U (ko) * 1989-01-18 1990-08-07
JPH0631604U (ja) * 1992-09-30 1994-04-26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2004148761A (ja) * 2002-10-31 2004-05-27 Pilot Ink Co Ltd ペン先取付構造
JP2006102319A (ja) * 2004-10-07 2006-04-20 Mitsubishi Pencil Co Ltd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KR102605023B1 (ko) 2022-09-27 2023-11-23 주식회사 워터베이션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623B1 (ko) * 2020-07-02 2021-10-12 주식회사 한경희 모발염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55869B2 (ja) 2021-10-27
CN106966038A (zh) 2017-07-21
TW201729715A (zh) 2017-09-01
KR102626023B1 (ko) 2024-01-18
CN106966038B (zh) 2020-06-30
JP2017127634A (ja) 2017-07-27
TWI718230B (zh)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2942B (zh) 化妆材料用涂敷工具
US7762270B2 (en) Instrument having walls for applying a composition on eyelashes or eyebrows
JP4499656B2 (ja) 角質ファイバに対して製品を適用するための櫛およびこの櫛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セットならびにこのアプリケータセットの使用方法
US20080006287A1 (en) Kit for applying makeup to keratinous fibers
US20120103361A1 (en) Applicator with application from the front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KR20170085446A (ko) 도포구
JP5258004B2 (ja) 化粧料塗布具
JP6187848B2 (ja) 塗布具
JP2012101395A (ja) 塗布具
TWI692326B (zh) 化妝用塗搽工具
JP2009219630A (ja) マスカラ塗布具
TW202327899A (zh) 筆尖單元、筆尖單元的製造方法及使用筆尖單元之液體塗佈用具
WO2021215256A1 (ja) 薬液塗布容器の中栓、およびそれを備える薬液塗布容器
JP6580876B2 (ja) 塗布具
JP6152967B2 (ja) 塗布体
JP2017104310A (ja) 塗布具
JP2007229138A (ja) 液塗布具
WO2020157941A1 (ja) 液状化粧料の塗布体
JP6532693B2 (ja) 髪用塗布具
JP2014033720A (ja) 液状化粧料塗布体
US20240008632A1 (en) Cosmetic applicator
JP6843566B2 (ja) 液体塗布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塗布具
JP7101559B2 (ja) 塗布具
JPH0621586Y2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