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34B1 -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34B1
KR102345334B1 KR1020200102783A KR20200102783A KR102345334B1 KR 102345334 B1 KR102345334 B1 KR 102345334B1 KR 1020200102783 A KR1020200102783 A KR 1020200102783A KR 20200102783 A KR20200102783 A KR 20200102783A KR 102345334 B1 KR102345334 B1 KR 10234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wick
dye
hair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0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는 내부에 염색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구는 도포구몸체와 상기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빗살돌기 및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포심지는 빗살돌기의 내측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Hair dye container with applicator}
본 발명은 모발 염색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포구의 도포심지가 빗살돌기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도포심지가 삽입된 빗살돌기가 지그재로로 배치됨에 따라, 도포심지의 휘어짐 또는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머리카락에 염색제를 충분히 도포할 수 있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염색(染色)이란 염료나 안료 또는 그 밖의 약품을 사용하여 피염물에 색채를 염착(染着) 시키는 것으로, 특히 모발염색(毛髮染色)은 케라틴 단백질로 되어 있는 머리카락의 색소(흑갈색의 멜라린 색소와 적갈색 또는 황갈색의 페오멜라닌 색소)를 과산화수소 수용액으로 탈색하여 그 색깔을 엷게 만든 후에 적당한 색상의 염료를 적용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발 염색은 검은 모발 사이에 드문드문 섞여서 난 흰 모발(새치)이나, 백모(白毛)를 감추기 위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물들이거나, 또는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 들어 다양한 염료의 개발로 황갈색, 밤색, 노랑, 갈색, 오렌지, 빨강, 녹색 등 거의 모든 색상으로 모발을 염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모발 전체를 단일 색상 또는 여러 색상으로 염색하는 것에서부터 모발의 일부만을 염색(브릿지 염색이라고 함)하는 등 매우 다양하게 자신의 스타일을 추구하기 위해 모발염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발염색은 미용실이나 이발소와 같은 전문 머리 관리 업체에 의해 맡기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전문 업체는 염색을 할 때마다 적지 않은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염색제 또는 염색기구를 구입하여 염색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 염색제와 염색기구로 사용자가 직접 모발을 염색하기 위해서는 모발에 골고루 염색제가 도포되도록 빗질을 하기 위한 염색용 브러시와 옷이나 피부 및 주위에 염색약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한 보호구를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별도의 용기에 염색제와 산화제를 각각 일정량을 담아 휘저어 혼합한 후, 상기 염색용 브러시에 염색제와 산화제의 혼합물을 묻혀 모발에 골고루 바르거나, 브러시 몸체 내에 염색제와 산화제를 수용시켜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염색제와 산화제가 혼합 분출되도록 하는 에어졸 타입의 염색용 브러시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염색 방법은 염색 작업시 염색용 브러시의 빗질에 의해 과도하게 뭉쳐진 염색약이 바닥이나 다른 곳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염색제가 낭비되고, 모발 이외의 피부, 옷 등에 묻어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염색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염색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057호로 염색약 압출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젤 타입의 모발 염색제가 튜브용기 내에 내장된 것으로 모발을 염색할 때 튜브용기를 손으로 쥐어짜면서 튜브용기에 설치된 염색 빗을 통해 젤 타입의 모발 염색제를 토출하면서 모발을 염색하기 때문에 염색제가 옷이나 피부에 묻을 염려가 없어서 별도의 보호장구가 필요치 않고, 염색제가 내장된 염색 용기의 일측 외주면 전체에 브러시를 배치하여 모발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염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브러시가 측면에 넓게 분포되어 있어서 모발의 넓은 면적에 염색을 할 때에는 편리하지만, 블리치 염색과 같이 모발의 일부분에만 염색을 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좁은 빗을 준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오랜 시간 사용 시 토출구에 남아 있는 염색제가 굳으면서 상기 토출구가 막히게 되어 염색제가 원활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사용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빗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염색제가 토출되는 구조로 빗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빗을 때 상기 빗의 단부로 토출된 염색제가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적으로 닿게 되기 때문에, 상기 두피가 염색제의 독한 성분에 의해 손상되거나, 염색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염색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60204호로 모발 염색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염색약이 수용되는 약액수용공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약액수용공에 삽입되어 약액을 흡수하고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약액흡수심지가 중앙돌출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심지고정부재가 있고, 상기 중앙돌출부 상부 쪽으로 돌출되는 약액흡수심지의 도포심지부 외측으로 도포심지부의 끝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으로 더 높게 돌출되는 다수의 빗살돌기를 중앙돌출부에 구비한 약액도포수단 및 상기 약액도포수단이 은폐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빗살돌기의 내측에 별도로 도포심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 시 상기 도포심지부가 쉽게 휘어지거나 훼손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빗살돌기와 도포심지부가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어 빗살돌기 사이의 틈새와 도포심지부 사이의 틈새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빗살돌기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이 빗살돌기의 틈새와 도포심지부의 틈새를 그냥 지나쳐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약이 충분히 도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도포심지부의 내구성이 보완됨은 물론,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로 염색약이 충분히 도포되는 모발 염색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057호(2006. 12. 07.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760204호(2017. 07. 2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색제를 흡수하여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연질의 도포심지를 경질의 빗살돌기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도포심지가 빗살돌기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포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에 의해 감싸지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어 쉽게 휘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한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심지가 삽입된 빗살돌기를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빗살돌기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이 빗살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도포심지를 휘감으면서 스치게 되어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제가 충분히 도포될 수 있도록 한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염색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구는 도포구몸체와 상기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빗살돌기 및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포심지는 빗살돌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염색제 수용공간에는 염색제가 담지된 담지체가 수용되고, 상기 담지체에는 다수의 도포심지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구의 빗살돌기에는 심지삽입홀이 형성되어 도포심지가 심지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도포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에 의해 감싸지면서 지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구의 도포심지가 삽입된 빗살돌기는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구의 도포심지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포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염색제를 흡수하여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연질의 도포심지를 경질의 빗살돌기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도포심지가 빗살돌기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포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에 의해 감싸지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어 쉽게 휘어지거나 훼손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포심지가 삽입된 빗살돌기를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빗살돌기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이 빗살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도포심지를 휘감으면서 스치게 되어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제가 충분히 도포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포구로 머리카락을 염색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도포심지에 도포홈이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는 용기본체(10)와 도포구(20) 및 용기뚜껑(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본체(10)는 경질의 원통 형태로써, 모발 염색 용기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가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염색제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염색제 수용공간(12)에는 염색제 또는 염색제가 담지된 담지체(40)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색제(艶色劑)는 머리털, 옷감 따위를 염색하는 데 쓰이는 약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담지체(40)의 어느 일면 즉, 용기본체(10)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일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도포심지 삽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심지 삽입공(42)으로 도포심지(26)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담지체(40)의 외측에는 표면으로 염색제가 새어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 재질의 담지체커버(4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는 개방된 입구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4)로 염색제가 주입되거나 담지체(40)가 삽입되며, 상기 입구부(14)의 외측에는 제1체결돌기(14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포구(20)에 형성된 제2체결돌기(28c)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16)이 중앙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6)은 염색제 수용공간(12)에 수용된 담지체(40)의 외주연에 밀착되거나, 담지체(40)의 표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담지체(40)가 염색제 수용공간(12) 내에서 헛돌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가 외형의 심미감을 위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타원형이고, 담지체(40)가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동일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형태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편(16)을 통해 담지체(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16)은 용기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형상이고, 함침부재(40)의 표면에 형성된 홈은 상기 고정편(16)과 대응되도록 함침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는 위에 나열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구(20)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4)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빗과 같은 염색제 도포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모발 염색 시 도포구에 염색제를 덜어내는 번거로움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염색제를 도포구에 덜어내는 과정에서 염색제가 바닥이나 다른 곳으로 떨어져 낭비되거나, 모발 이외의 피부, 옷 등에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구(20)는 도포구몸체(22)와, 상기 도포구몸체(22)의 일면에 형성된 빗살돌기(24) 및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심지(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구몸체(22)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폐쇄된 형상인데, 개방된 부분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4)와 연결되고, 폐쇄된 부분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4)를 덮에 막게 된다. 상기 도포구몸체(22)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즉, 상부 외주연이 경사진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발 염색 시 도포구몸체(22)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머리카락이나 두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포구몸체(22)의 상면에는 심지관통홀(22a)이 다수로 형성되어 도포심지(26)가 관통하고, 하부에는 밀폐편(22b)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4) 내주연에 밀착되면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의 기밀을 향상 또는 보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포구몸체(22)의 내측에는 심지삽입관(22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지삽입관(22c)은 도포심지(26)가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으로, 도포구몸체(22)에 형성된 심지관통홀(22a)의 외측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그 중앙으로 도포심지(26)가 삽입, 관통된다. 이때, 상기 심지삽입관(22c)은 도포구몸체(22)의 내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구몸체(22)의 하부 외측에는 체결부(28)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28)는 도포구몸체(22)의 외주연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연장편(28a)과 상기 수평연장편(28a)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연장편(28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연장편(28b)의 내주연에는 제2체결돌기(28c)가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돌기(14a)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도면에서는 용기본체(10)와 도포구(20)가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 등 상기 용기본체(10)와 도포구(20)가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도포구몸체(22)의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입구부(14) 내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밀폐시키고, 이와 동시에 도포구몸체(22)의 체결부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4) 상단과 외주연을 덮으면서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살돌기(24)는 도포구몸체(22)의 상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빗는 데 사용되며, 상기 빗살돌기(24)는 각각의 심지관통홀(22a) 외측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빗살돌기(24)에는 심지삽입홀(24a)이 형성되는데, 상기 심지삽입홀(24a)에 도포심지(26)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도포심지(26)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24)에 의해 감싸지면서 지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빗살돌기(24)의 심지삽입홀(24a)은 빗살돌기(24)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포구몸체(22)의 심지관통홀(22a)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심지(26)는 머리카락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용기본체(10)로부터 흡수한 염색제를 도포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발 염색 시 상기 도포심지(26)가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포심지(26)의 단부는 도포구몸체(22)의 상면을 기준으로 빗살돌기(24)의 단부보다 더 낮게 형성되며, 상기 도포심지(26)가 빗살돌기(24)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포심지(26)의 직경은 빗살돌기(24)의 두께보다 상대적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심지(26)는 도포영역(26a)과 흡수영역(26b)으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도포영역(26a)은 도포구몸체(22)의 심지관통홀(22a)을 관통하면서 빗살돌기(24)의 심지삽입홀(24a)로 삽입되고, 흡수영역(26b)은 도포구몸체(22)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담지체(40)의 도포심지 삽입공(42)으로 삽입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도포영역(26a)은 도포구몸체(22)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빗살돌기(24)에 의해 감싸지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는 동시에 심지삽입홀(24a)을 통해 빗살돌기(24)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빗질을 할 때 머리카락의 표면과 접촉되고, 상기 흡수영역(26b)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담지체(40)와 밀착되어 상기 담지체(40)에 담지된 염색제를 흡수하고 도포영역(26a)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빗살돌기(24)와 도포심지(26)는 서로 짝을 이루어 도포구몸체(2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출부로써,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빗질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에 염색제를 도포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빗살돌기의 내측에 별도로 다수의 도포심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 시 상기 도포심지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훼손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는 용기본체(10)의 일측에 도포구(20)를 결합하되,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염색제를 흡수하여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연질의 도포심지(26)를 경질의 빗살돌기(24)의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도포심지(26)가 빗살돌기(24)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모발 염색 시 상기 도포심지(26)를 스쳐지나가는 머리카락의 표면에 고르게 염색제를 도포함은 물론, 상기 도포심지(26)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24)에 의해 감싸지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어 쉽게 휘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포심지(26)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염색제를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해 싸인펜이나 매직펜 촉과 같이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나일론(nylon) 섬유, 우레탄(urethane) 섬유,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 도포구(20)의 도포심지(26)가 삽입된 빗살돌기(24)는 도포구몸체(22)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포심지(26)가 내측으로 삽입된 빗살돌기(24)를 도포구몸체(2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분포하되, 상기 빗살돌기(24)를 상대적으로 넓은 폭(w) 방향을 따라 위, 아래로 번갈아가며 배치하여, 위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빗살돌기(24)와 인접한 빗살돌기(24) 간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빗살돌기와 도포심지부가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어 빗살돌기 사이의 틈새와 도포심지부 사이의 틈새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빗살돌기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이 빗살돌기의 틈새와 도포심지부의 틈새를 그냥 지나치면서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약이 충분히 도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는 도포심지(26)가 삽입된 빗살돌기(24)를 도포구몸체(22)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빗살돌기(24)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이 상기 빗살돌기(24)의 외측으로 돌출된 도포심지(26)를 휘감으면서 스치게 되어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제가 충분히 도포되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도포심지에 도포홈이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도포구(20)의 도포심지(26)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포홈(26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홈(26c)은 도포심지(26)의 표면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포홈(26c)을 통해 도포심지(26)의 표면적을 더 넓히는 동시에, 빗살돌기(24)로 빗는 머리카락을 한 지점으로 모으는 효과를 갖게 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도포심지(26c)의 표면에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도포홈(26c)을 형성함으로써, 빗살돌기(24)로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염색을 할 때 머리카락과 도포심지(26)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은 물론, 일부 머리카락이 상기 도포홈(26c)으로 들어가면서 한 곳으로 모여 도포심지(26c)를 더욱 휘감으면서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제가 꼼꼼하게 도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용기뚜껑(30)은 용기본체(10) 또는 도포구(2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포구(20)를 개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 또는 도포구(20)와 용기뚜껑(30)이 돌기와 홈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체결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위 체결 방식 중 나사 결합과 같은 경우에는 결합되는 양 구성 간의 형태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30)의 내측에는 도포구(20)의 도포심지(26)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32)는 용기뚜껑(30)의 안쪽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빗살돌기(24)와 도포심지(26)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32)의 하부에는 밀폐돌륜(32a)이 형성되는데, 용기뚜껑(30)을 닫을 때 상기 밀폐부재(32)의 하단이 도포구몸체(22)의 테두리 상면을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밀폐돌륜(32a)이 도포구몸체(22)의 경사진 상부 측면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모발 염색 용기의 보관 또는 휴대 시 도포심지(26)에 흡수된 염색제의 휘발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32)는 용기뚜껑(30)의 내측에 초음판 접합, 고주파 접합, 열 접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3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포구로 머리카락을 염색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뚜껑(30)을 분리하여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 도포구(2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도포구(20)를 이용하여 빗질을 하면서 머리카락에 염색제를 골고루 바른다. 이러한 모발 염색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용기본체(10)를 잡고 뒤집어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 도포구(20)가 모발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도포구(20)의 일측에 형성된 빗살돌기(24)로 머리카락을 따라 빗질을 하는데, 이때 상기 빗살돌기(26)의 안쪽에는 도포심지(26)가 삽입되고, 상기 도포심지(26)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24)에 의해 감싸지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이다. 이와 동시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이 상기 빗살돌기(24)의 외측으로 돌출된 도포심지(26)를 휘감으면서 스치게 되어 상기 머리카락의 표면 전체에 염색제가 도포된다.
이후, 모발 염색이 끝난 후에는, 용기뚜껑(30)으로 도포구(20)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용기뚜겅(30)을 용기본체(10) 또는 도포구(20)와 결합하여 보관 또는 휴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2: 염색제 수용공간
14: 입구부 16: 고정편
20: 도포구 22: 도포구 몸체
22a: 심지관통홀 22b: 밀폐편
24: 빗살돌기 24a: 심지삽입홀
26: 도포심지 26a: 도포영역
26b: 흡수영역 28: 체결부
30: 용기뚜껑 40: 담지체

Claims (5)

  1. 내부에 염색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구는 다수의 심지관통홀이 형성된 도포구몸체와 상기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빗살돌기 및 상기 도포구몸체의 심지관통홀을 관통하여 염색제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도포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포심지는 빗살돌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의 개방된 측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도포구의 빗살돌기에는 심지삽입홀이 형성되어 도포심지가 상기 심지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빗살돌기는 도포심지가 관통하는 각각의 심지관통홀 외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지삽입홀은 빗살돌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심지관통홀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도포심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빗살돌기에 의해 감싸지면서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염색제 수용공간에는 염색제가 담지된 담지체가 수용되고, 상기 담지체에는 다수의 도포심지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의 도포심지가 삽입된 빗살돌기는 도포구몸체의 일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의 도포심지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포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KR1020200102783A 2020-08-14 2020-08-14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KR10234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83A KR102345334B1 (ko) 2020-08-14 2020-08-14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83A KR102345334B1 (ko) 2020-08-14 2020-08-14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34B1 true KR102345334B1 (ko) 2021-12-30

Family

ID=7917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83A KR102345334B1 (ko) 2020-08-14 2020-08-14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687Y1 (ko) * 1988-09-05 1991-04-26 박성관 머리염색용 도포구
JP2003259911A (ja) * 2002-03-12 2003-09-16 Nonogawa Shoji Kk 櫛付き容器
KR200433057Y1 (ko) 2006-09-26 2006-12-07 전기평 염색약 압출장치
KR200469450Y1 (ko) * 2012-04-20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새치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KR101760204B1 (ko) 2016-02-23 2017-07-20 천경자 모발 염색용기
JP2017127634A (ja) * 2016-01-14 2017-07-27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687Y1 (ko) * 1988-09-05 1991-04-26 박성관 머리염색용 도포구
JP2003259911A (ja) * 2002-03-12 2003-09-16 Nonogawa Shoji Kk 櫛付き容器
KR200433057Y1 (ko) 2006-09-26 2006-12-07 전기평 염색약 압출장치
KR200469450Y1 (ko) * 2012-04-20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새치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JP2017127634A (ja) * 2016-01-14 2017-07-27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KR101760204B1 (ko) 2016-02-23 2017-07-20 천경자 모발 염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7694A1 (ja) 毛元塗布具
JP2001515737A (ja) 毛髪化粧料付着システム
AU2008266264A1 (en)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 hair treatment composition to a hair bundle
JP2018508297A (ja) 液体塗布が可能な頭皮ケア容器用栓
US6976495B2 (en) Cosmetic applicator and storage container
KR20180036677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20140051254A (ko) 머리카락에 모발관리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기구
JPH0560403U (ja) 頭髪美容溶液を含有する櫛
KR200441849Y1 (ko) 화장품 용기
KR102141962B1 (ko) 모발 염색용 빗
KR102345334B1 (ko) 도포구를 갖는 모발 염색 용기
KR200452020Y1 (ko) 다용도 머리빗
US20040237986A1 (en) Manicure
KR102219425B1 (ko) 헤어스타일링 및 헤어케어용 헤어브러쉬
KR20130016697A (ko) 헤어 염색기
KR101315538B1 (ko) 모발용 미용용기
KR20080024942A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54100Y1 (ko) 염색용 빗
KR20170000528U (ko) 보조 빗살이 구비된 염색 빗
JP4535248B2 (ja) 塗布容器
KR101196200B1 (ko) 새치 염색기구
KR20029761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
KR101458310B1 (ko) 도포 기능이 개선된 모발 거품 염색장치
US3015836A (en) Fluid applicators
KR200492202Y1 (ko) 빗살과 함침부재를 가지는 두발 염색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