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607A -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607A
KR20170083607A KR1020177016134A KR20177016134A KR20170083607A KR 20170083607 A KR20170083607 A KR 20170083607A KR 1020177016134 A KR1020177016134 A KR 1020177016134A KR 20177016134 A KR20177016134 A KR 20177016134A KR 20170083607 A KR20170083607 A KR 2017008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sides
feather
cheek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085B1 (ko
Inventor
트렌 우페
Original Assignee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린코 푸드 시스템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8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2Plucking mechanism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2Plucking mechanisms for poultry
    • A22C21/022Plucking mechanisms for poultry with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8Scalding; Scraping; Dehairing; Singe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살된 가금류(11)의 깃털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에서 가금류(11)의 발이 매달린 채 자유롭게 이송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이송부(12) 및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채널(13)을 형성하는 양측의 치크부(14, 15)로 구성되며, 양측의 치크부 내에서 서로 마주보며 이송 경로로 향할 때, 각각의 치크부는 채널(13)을 통해 이송된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깃털 제거부(16)를 갖추고, 상기 깃털 제거부는 깃털이 제거되도록 가금류(11)와 접촉시켜줄 수 있으며 이는 깃털 제거 장치(10)가 양측의 치크부(14, 15)와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구별되고, 정류 지지부는 채널(13) 내에 가금류(11)의 진입 영역(E)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feathering Slaughtered Poultry}
본 발명은 도살된 가금류의 깃털을 자동으로 제거(automatic defeathering of slaughtered poultry)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으로 가금류(11)의 발이 매달린 채 자유롭게 이송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이송부(a transport means) 및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채널을 형성하는 양측의 치크부(cheeks)로 구성되고, 양측의 치크부 내에서 서로 마주하며 이송 경로로 향할 때, 각각의 치크부는 채널을 통해 이송된 가금류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깃털 제거부(defeathering means)를 구비하며, 상기 깃털 제거부는 깃털이 제거되도록 가금류와 접촉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도살된 가금류의 깃털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송부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으로 가금류의 발이 매달린 채 자유롭게 이송되는 단계, 양측의 치크부 내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에 의해 서로 간격을 두어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배치된 양측 치크부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따라 가금류가 이송되는 동안 가금류의 깃털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깃털 제거부는 채널을 통해 가금류 이송 시 가금류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도살된 가금류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가금류 가공 산업에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도살된 가금류는 발이나 다리가 매달려 수직 하향(oriented vertically downwards)의 채널을 통해 이송된다. 채널 내로 진입 시, 채널의 양측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는 가금류의 깃털과 맞물리게 된다. 가금류는 보통 이송 경로를 따라 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이송된다. 가금류는 채널 전체에 걸친 깃털 제거부를 통과한다. 처리할 가금류를 깃털 제거부와 접촉시키기 위해, 채널 안 가금류의 크기에 따라 좁게 형성된다. 가금류의 발이 매달려 자유롭게 이송되기 때문에 좁은 채널 안으로 밀어 넣기가 어려운데, 구속이 없는 가금류의 머리 단부에서(at their free head end) 가금류가 채널 내부의 깃털 제거부와 접촉할 때 이송 방향에 대해 편향(deflected)되기 때문이다. 깃털 제거 공정으로 인해, 가금류가 이송 방향에 대해 뒤로 밀려나거나 또는 이송 방향으로 활발히 밀려 이송부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가금류가 너무 멀리 이동되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깃털 제거부와 맞물리지 못하게 되어 깃털 제거 효율(the efficiency)이 현저하게 감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장치 내로 가금류를 밀어 넣고(threading) 장치 내에서 가금류를 이송하도록 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채널 입구 영역(the channel inlet region)의 전방에 가이드 레일(guiide rails)을 배치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 졌는데, 이 가이드 레일은 양측의 치크부 간격의 폭에 거의 상응하는 폭으로 이송 방향에서 가늘어진다(taper). 그러나 상기 문제는 이러한 방법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추가로 장치의 양측의 치크부가 약간 수렴하도록 배치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즉, 알려진 해결책으로, 가금류를 채널 내로 삽입 또는 진입(the insertion or entry)을 단순화하기 위해 가금류 진입 영역의 양측의 치크부의 간격(the spacing)이 배출 영역(the outlet region)에서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알려진 배치는 양측의 치크부의 확대된 간격으로 인해 모든 깃털 제거부가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금류와 맞물리지 않아 장치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살된 가금의 깃털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단순하고 강력한 장치를 만드는 목적에 기초하는데, 이는 양측의 치크부와 깃털 제거부 사이에 개선된 가금류의 공급을 보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은 상응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은, 상기 언급된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장치는 양측의 치크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 사이에 가급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a stationary means)를 구비하며, 이 정류 지지부는 채널 내의 가금류 진입 영역에 배치된다. 채널 진입 영역, 즉 이송 방향(T)의 채널 바로 전방에 정류 지지부를 제공함으로써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를 삽입 또는 밀어 넣기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정류 지지부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제품을 보호하는 동안에 가금류를 채널 내로 자동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는 가금류의 이송 방향(T)에 기계적 힘 성분(a mechanical force component)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설계된다. 이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진입 할 때, 가금류가 정류 지지부에 의해 파지된(gripped) 가금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송 방향(T)으로 능동적 및 기계적 충격이 가해짐을 의미한다. 문맥에서 '파지된gripped)'이라는 용어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가 가금류에 능동적으로 연결되어 가금류에 힘의 성분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점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서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가 수직 하향하는 힘 성분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설계된다는 점에서 구별이 된다. 따라서, 가금류 본체가 지지 되므로, 양측의 치크부와 깃털 제거부 사이에 진입할 때, 가금류는 가금류 전체에 걸쳐 깃털 제거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하향 힘 성분은 가금류가 섀클(shackle)에 단단히 고정되고, 특히 이송 방향(T)에 대한 충격으로, 섀클로부터 밀려 올라가지 않는 것을 보장해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가금류가 모든 깃털 제거부와 항상 접촉하게 하여 깃털 제거부의 효율이 향상된다.
적합하게는, 양측의 치크부는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향되며, 내부에는 깃털 제거부로서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된 몇 개의 정류 지지부 깃털 제거 헤드부를 구비한다. 이동 방향(T)으로 가금류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지지식(stationary) 깃털 제거 헤드부로 인해, 채널 전체에 걸쳐 효과적인 깃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채널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져 양측의 치크부가 전체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된 모든 깃털 제거 헤드부는 동일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가금류와 맞물리게 되어 증가 된 성능은 가금류가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 달성된다.
유리하게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는 회전 구동되고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회전체를 구비한다. 두 개의 대향하는 회전체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이뤄질 수 있다. 정류 지지부를 형성하는 두 회전체는 깃털이 제거 되도록 가금류와 동시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설계된다. 회전체의 회전은 이송 방향(T) 및/또는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으로 가금류에 힘 성분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점은 회전체가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배향된 회전 축 주위로 구동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회전체가 이송 경로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의 방향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수직 회전축 주위의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최대 힘 성분이 이송 방향(T)에서 생성될 수 있다. 수평 회전축 주위의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최대 힘 성분이 수직 방향에서 생성될 수 있다. 회전축은 분명하게 수직 또는 수평 정렬 이외의 각도로도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그래서 다른 방향에서 힘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체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금류에 이송 방향(T) 및/또는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에서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회전체는 특히 생산하기에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모든 회전체는 케이싱 표면(casing surface) 영역에 유연한 푸시 구성 요소(flexible push elements)를 구비하고, 그래서 먼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그리고 두 번째로 푸시 구성 요소에 의해 가금류가 연속해서 개별적으로 파지 될 수 있도록 해주며, 깃털 제거 헤드부(the defeathering heads) 사이의 채널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유연한 푸시 구성 요소,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제조된 핑거(fingers) 또는 러그(lugs)의 경우, 회전부에 의해 발생된 힘 성분을 가금류에 직접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의 이송 방향(T)에서의 구동 속도는 이송부의 구동 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채널로 전이 영역에서 즉시 가금류에 가해지는 충격은 가금류가 섀클에 매달려있는 채널을 통해 이송되는 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더 빠른 속도로 발생한다.
바람직한 개선점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서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가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이다. 즉, 먼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를 고정적으로 배치하고 두 번째로 독립적인 제어로 인해,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서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활성화와 이송부의 구동 속도 사이의 제어의 시간적 및/또는 위치 관련 정합(matching)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양측의 치크부와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 사이에 가금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는 이송부의 구동 속도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회전으로 영구히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생산 및 작동을 더욱 간단하고 유리하도록 해준다.
상기 목적은 또한 상기에 언급된 단계를 갖춘 방법에 의해 달성이 되는데, 양측의 치크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 사이로 진입 시, 각각의 가금류는 채널 내로 가금류의 진입 영역(E)에 위치된 정류 지지부에 의해 능동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가금류는 정류 지지부를 이용하여 기계적 힘 성분이 가금류의 이송 방향(T)으로 가금류에 가해지거나 및/또는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으로 가해져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진입 시 능동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각각의 가금류는 채널로 진입하기 직전 아래로 뻗어있고 및/또는 뻗어있는 위치에서 채널 안으로 가압(pressed)된다.
유리하게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는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는 공정 제어를 위해 당김부 및/또는 밀기부(the means for pulling and/or pushing)와 이송부 사이에 강제적인 의존성 또는 동기화가 필요 없으므로 유연하고 안전한 공정 제어가 보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른 이점은, 본 방법의 성과에 대해 특히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응하는 구절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적합한 및/또는 유리한 특징 및 개선점은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에 나타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개방된 대기 위치에서 양측의 치크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작동 위치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깃털 제거부를 갖춘 양측의 치크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의 제1 실시 예이다.
도 4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는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6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7은 양측의 치크부 사이에 가금류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여러 회전체의 선택 사항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도살된(slaughtered) 닭과 같은 가금류의 깃털을 뽑거나(plucking) 또는 깃털을 제거(defeathering)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오리나 거위와 같은 다른 가금류의 깃털을 뽑거나 제거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도살된 가금(11)의 깃털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깃털 제거 장치(10, an apparatus)를 나타낸다. 깃털 제거 장치(10)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에서 가금류(11)가 발이 매달린 채 자유롭게 이송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이송부(12, a transport means)를 구비한다. 깃털 제거 장치(10)는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하나의 채널(13, a channel)을 이루는 양측의 치크부(14, 15)를 구비하는데, 양측의 치크부가 서로 마주하고 이송 경로의 내부로 향할 때, 양측의 치크부는 채널을 통해 이송된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깃털 제거부(16)를 구비하며, 상기 깃털 제거부(16)는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접촉시키고 있다.
이 깃털 제거 장치(10)는 본 발명에 따라 양측의 치크부(14, 15)와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 the defeathering means)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 a stationary means)를 구비하며, 채널(13) 내의 가금류(11) 진입 영역(E)에 배치된다.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elements)로 구성될 수 있고, 이송 방향(T)에서 채널(13)의 바로 전방에 배치되는데, 이송 방향(T)으로 이송될 때 채널(13)로 들어가기 전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의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먼저 정류 지지부(17)와 접촉시키며 이송 방향(T)에서 정류 지지부(17)에 의해 밀린다.
하기에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설명된 특징 및 개선점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성한다. 청구 범위 및/또는 명세서에 요약되거나 보통의 실시 예에 기술된 특징들은 또한 상기 깃털 제거 장치(10)를 기능상 독립되도록 개선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지적한다.
도 1에 도시된 깃털 제거 장치(10)는 이송부(12)로써 소위 오버 헤드 컨베이어(overhead conveyor)를 구비한다. 오버 헤드 컨베이어 또는 루프 컨베이어(roof conveyor)는 수직 배향된 가금류(11)의 다리를 매달아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금류(11)는 섀클(18, shackle)에 발 또는 다리가 매달린 채 이송될 수 있다. 그러한 다수의 섀클(18)은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체인과 같은 무한 컨베이어 부재(19)에 배치된다. 컨베이어 부재(19)는 구동부(drive means,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 속도와 관련하여 제어 유닛(또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의 깃털 제거 장치(10)는 이송부(12)가 배치되는 프레임(20)을 구비한다. 양측의 치크부(14, 15)는 또한 프레임(20)에 배치되는데, 즉 양측의 치크부(14, 15)의 수직(화살표(V) 참조) 및 수평(화살표(H) 참조) 조정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대기 및 유지 위치(도 1 참조)에서 작동 위치(도 2 참조) 및 뒤로 이동하고, 다양한 가금류의 크기에 맞춰 깃털 제거 장치(10)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치크부(14, 15)의 내부에는 채널(13) 전체 대부분에 걸쳐 뻗어있는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깃털 제거부(16)가 다수의 열로 배치되어있다.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서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가금류(11)의 이송 방향(T)에 기계적 힘 성분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설계된다. 대안으로 또는 누적으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서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수직 하향 힘 성분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설계된다. 각각의 힘 성분 자체는 가금류(11)의 채널(13)로의 투입 또는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힘 성분의 조합은 특히나 바람직하다. 힘 성분은 각각 개별의 가금류(11)에 능동적 기계식 충격을 가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 가금류(11)는 진입 영역(E)을 통과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가금류를 늘어뜨린 방식으로 채널(13) 내로 밀어 넣는다.
양측의 치크부(14, 15)는 이송 방향(T)으로, 즉 진입 영역(E)에서만, 또는 채널(13) 전체에 걸쳐 배향되어 수렴할 수 있다. 양측의 치크부(14, 15)는 서로 실질적으로는 평행하게만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치크부(14)가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향된다. 다수의 정류 지지부(stationary) 깃털 제거 헤드부(21)가 각각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깃털 제거부(16)처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는, 작동 위치에서, 즉 처리과정 중 깃털 제거 헤드부(21) 위치에 고정되어 가금류(11)와 함께 이송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깃털 제거 헤드부(21)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핑거(22, finger) 또는 고무 또는 고무와 유사한 재질로 제조된 일종의 회전 디스크이다. 다수의 깃털 제거 헤드부(21)는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깃털 제거 헤드부(21)의 세 열(three rows)은 가금류(11)의 전체에 걸쳐 깃털을 뽑기 위해 아래 쪽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깃털 제거부(21)는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동은 개별 구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열에 대해 공통 구동부가 제공된다. 특히 깃털 제거 헤드부(21)의 경사 위치는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양측의 치크부(14, 15)는 연속하는 벽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깃털 제거 헤드부(21)의 열의 수에 따라, 개별적인 바(23, individual bars) - 본 실시 예에서는 세 개의 바(23) -가 하나의 양측의 치크부(14, 15)를 형성한다. 양측의 치크부(14, 15)의 바(23)는 바람직하게는 그 위치 및 서로에 대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서 가금(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24),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체(24)를 포함하고,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회전체(24)가 채널(13)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고, 이들은 함께 정류 지지부(17)를 형성한다. 두 개의 회전체(24)는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회전체(24)는 이송 방향(T)에서 채널(13)의 전방에 배치되고, 가금류가 채널(13)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체와 가금류(11)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 및 설계된다. 이를 위해, 양측의 치크부(14, 15)와 함께 회전체(24)는 예를 들어 H(도 1 참조) 방향으로도 조정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회전체(24)는 또한 양측의 치크부(14, 15)에 대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회전체(24)만이 능동적 지지를 위한 정류 지지부(17)를 형성하고 이송 경로의 한쪽 면에만 배치된 후에, 선택적으로 카운터홀드부(a counterhold)가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금류(11) 자체 또는, 예를 들어 섀클(18)을 고정해 줄 수 있다. 능동적인 지지를 위한 정류 지지부(17)를 형성하는 회전체(24)의 수와 위치는 적용되는 힘의 크기에 달려있을 수 있다.
회전체(24)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향된 회전 축(R)에 대하여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양쪽 모두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는 수직으로 배향된 회전 축(R)을 갖춘 추가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채널(13)의 한쪽 측면의 회전체(24)만이 도시되어있다. 명백하게, 회전체(24)는 양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이송 경로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4에서, 예를 들어 두 개의 회전체(24)가 채널(13) 각각의 측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 배향된 회전 축(R)을 갖는 하나의 회전체(24)와 수평 배향된 회전 축(R)을 갖는 하나의 회전체(24)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회전 축(R)은 또한 수직 및 수평 배향 사이에서 각도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회전 축(R)은 예를 들면, 가공할 제품의 종류나 가금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회전 축(R)은 예를 들어,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축(R)은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이송 경로를 향하거나 또는 이송 경로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다른 경사 및 방향 또한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체(24)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그러나, 회전체(24)의 다른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피라미드형, 또는 볼록 또는 오목한 회전체(24) 또한 적합하다. 특히 비대칭의 회전체(24)가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체(24) 대신, 다른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삽입 보조기구 예를 들어 선회 가능한 플랩(flaps), 패들(paddles) 또는 유사물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회전체(24)는 형상 및 배향에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표면(casing surface)의 영역에서 유연한 푸시 구성 요소(25, flexible push element)를 구비하는데, 가금류(11)는 먼저 회전체(24)의 회전에 의해, 두 번째로 푸시 구성 요소(25)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속해서 파지할 수 있고, 깃털 제거 헤드부(21) 사이의 채널(13) 내로 밀어 넣어진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푸시 구성 요소(25)는 깃털 제거 헤드부(21)의 핑거부(22)와 유사한 핑거부(26)이다. 핑거부(26)의 수와 배치와 배향은 다양할 수 있다. 나선형(a spiral) 및/또는 틸트형(tilted) 및/또는 웜 스크류형(worm-screw) 배치 및 배향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핑거부(26)는 또한 케이싱 표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회전체(24)가 도 8 a) 내지 도 8 f)에 도시된다. 핑거부(26) 대신, 가금류(11)의 깃털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스터드(studs) 또는 돌출부 또는 다른 표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질 또는 경질(soft or hard(硬質))의 핑거부(26)와 같은 푸시 구성 요소(25)의 구성은 적용될 힘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핑거부(26)의 배치 및 배향 그리고 핑거부(26)의 상호 간격은 섀클(18) 또는 매달린 가금류(11)의 이송 속도와 대응할 수 있다.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서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의 이송 방향(T)에서의 구동 속도는 이송부(12)의 구동 속도와 같거나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정류 지지부(17)에 대한 두 회전체(24)의 구동 속도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향면에서 또한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체(24)의 구동 속도는 이송부(12)의 구동 속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송부(12)의 구동부는 예를 들어 웜 기어를 통해 상기 또는 각각의 회전체(24)를 종속적으로 또는 동기화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양측의 치크부(14, 15)와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이송부(12)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회전체(24) 및 이송부(12)의 동기화 작동(synchronous operation)을 보장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명확히 포함한다. 회전체(24)의 회전 속도와 이송부(12)의 구동 속도를 서로 일치, 즉 동기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첫째는 회전체(24)와 둘째로 이송부(12)의 완전하게 독립적인 작동 또한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원리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 된다.
가금류(11)는 발이나 다리가 이송부의 섀클(18)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매달려질 수 있다. 컨베이어부(19)를 이용하여, 가금류(11)는 이송 방향(T)으로 바람직하게는 계속해서 이동된다. 아래를 향해 구속이 없이 매달려 있는 가금류(11)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으로 이송된다. 채널(13)을 통해 이송될 때, 가금류(11)가 이송되는 동안, 가금류(11)는 양측의 치크부(14, 15) 내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에 의해 깃털이 제거 되는데, 깃털 제거부(16)는 채널(13)을 통해 가금류(11) 이송 시 가금류(11)와 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의 치크부(14, 15) 및 양측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 사이에 진입 시 각각의 가금류(11)는 채널(13) 안으로 가금류(11)의 진입 영역(E)에 위치한 정류 지지부(17)에 의해 능동적으로 지지가 된다. 상기 지지는 이송 방향(T) 및/또는 수직 하향으로 가금류(11)에 힘 성분을 적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힘 성분은 가금류(11)의 한 쪽 또는 양 쪽 모두에서 가금류(1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 예에서, 회전체(24)는 원뿔형으로 구성되며, 푸시 구성 요소(25)와 같은 고무 핑거를 구비한다. 고무 핑거는 섀클(18)의 간격에 상응하는 상호 간격을 가지며 웜 스크류(a worm screw)의 형태로 배치된다. 회전체(24)가 구동되어 이송 방향(T) 및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에서 힘 성분 모두를 가한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는 또한 회전체(24)가 경사를 갖는데, 이는 이송 방향(T) 및 수직 하향으로의 힘 성분을 유도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회전 축(R)은 수평으로 배향되거나 또는 수평 배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가 진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회전 축(R)은 수직으로 배향 된다. 웜 스크류 같은 고무 핑거(fingers)의 배열은 이송 방향(T) 및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에서 발생되는 힘 성분을 유도한다. 도 4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기능이 분화된다. 이송 방향(T)에서 제1 회전체(24)에 의해 수평 배향된 회전 축(R) 및 고무 핑거의 규칙적인 배치로 인해 배타적으로 수직 하향의 힘 성분이 발생된다. 이송 방향(T)에서 같은 측면에 다음 회전체(24)에 의해 수직 배향된 회전 축(R) 및 고무 핑거의 규칙적인 배치로 인해, 배타적으로 이송 방향(T)에 힘 성분이 발생된다.

Claims (13)

  1. 도살된 가금류(11)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장치로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으로 가금류의 발을 매단 채 자유롭게 이송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이송부(12) 및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임의의 채널(13)을 형성하는 양측의 치크부(14, 15)를 포함하되,
    양측의 치크부가 서로 마주하며 이송 경로를 향할 때, 각각은 채널(13)을 통해 이송된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기 위한 깃털 제거부(16)를 구비하며, 깃털 제거부는 가금류(11)의 깃털이 제거되도록 접촉시킬 수 있는, 도살된 가금류(11)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해 구성되고 설계된 장치에 있어서,
    깃털 제거 장치(10)가 양측의 치크부(14, 15) 및 깃털 제거부(16)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정류 지지부는 채널(13) 안의 가금류(11) 진입 영역(E)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가 가금류(11)의 이송 방향(T)에서 기계적인 힘 성분을 적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가 수직 하향의 힘 성분을 적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는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 및 배향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깃털 제거부(16)로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몇 개의 정류 지지부 깃털 제거 헤드부(2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체(24)를 포함하고, 이 회전체는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체(24)는 수직 및/또는 수평 배향된 회전 축(R) 주위에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회전체(24)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중 한 가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 표면의 영역에서 모든 회전체(24)는 유연한 푸시 구성 요소(25, push elements)를 구비하여, 가금류(11)가 첫째 회전체(24)의 회전 및 둘째로 푸시 구성 요소(25)에 의해 계속해서 개별적으로 파지 되고, 깃털 제거 헤드부(21) 사이에서 채널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의 이송 방향(T)에서 구동 속도는 이송부(12)의 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크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 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는 이송부(12)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털 제거 장치(10).
  11. 도살된 가금류(11)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방법은
    이송부(12)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방향(T)에서, 가금류(11)의 발이 구속 없이 매달려 이송되는 단계,
    이송 양측의 치크부(14, 15)의 내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에 의해, 이송 경로의 대향면에 간격을 두어 배치된 양측의 치크부(14, 15)에 의해 형성된 채널(13)을 따라 가금류(11)가 이송되는 동안 가금류(11)의 깃털을 제거하는 단계,
    깃털 제거부(16)가 채널(13)을 통해 가금류(11) 이송 시 가금류(11)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양측의 치크부(14, 15) 및 양측의 치크부에 배치된 깃털 제거부(16) 사이에 진입 시, 각각의 가금류(11)는 채널(13)의 가금류(11) 진입 영역(E)에 위치한 정류 지지부(17)에 의해 능동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살된 가금류(11)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진입 시, 가금류(11)가 능동적으로 지지되며, 정류 지지부(17)는 가금류(11)의 이송 방향 및/또는 수직 하향으로 향한 방향으로 가금류(11)에 기계적인 힘 성분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양측의 치크부(14, 15) 사이에 가금류(11)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정류 지지부(17)가 이송부(12)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7016134A 2014-12-29 2015-12-14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70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9340.3 2014-12-29
DE102014019340.3A DE102014019340A1 (de) 2014-12-29 2014-12-2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ntfiedern von getöteten Geflügeltieren
PCT/EP2015/079632 WO2016107731A1 (de) 2014-12-29 2015-12-1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ntfiedern von getöteten geflügeltie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607A true KR20170083607A (ko) 2017-07-18
KR101970085B1 KR101970085B1 (ko) 2019-04-17

Family

ID=5488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134A KR101970085B1 (ko) 2014-12-29 2015-12-14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045545B2 (ko)
EP (1) EP3240427B1 (ko)
JP (1) JP6639499B2 (ko)
KR (1) KR101970085B1 (ko)
CN (1) CN106998711B (ko)
BR (1) BR112017011781B1 (ko)
CA (1) CA2964330C (ko)
DE (1) DE102014019340A1 (ko)
DK (1) DK3240427T3 (ko)
ES (1) ES2918850T3 (ko)
MY (1) MY184407A (ko)
PL (1) PL3240427T3 (ko)
RU (1) RU2669011C1 (ko)
WO (1) WO2016107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989A (zh) * 2016-10-27 2017-02-15 安徽徽名山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生猪屠宰去毛装置
CN107751332B (zh) * 2017-11-27 2021-05-07 泗县强英食品有限公司 一种家禽打毛机
CN108391711A (zh) * 2018-05-22 2018-08-14 湖州展旺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脱毛设备
CN108669205B (zh) * 2018-05-31 2020-07-21 潍坊和盛园食品有限公司 一种鸡毛去除装置
CN112913901B (zh) * 2021-03-12 2023-09-29 玖兴农牧(涞源)有限公司 一种家禽屠宰用烫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24A (en) * 1966-06-16 1968-09-24 Gainesville Machine Company In Closed channel defeathering apparatus
DE2021144A1 (de) * 1970-04-30 1971-11-18 Johnson Co Gordon Gefluegel-Entfederungsvorrichtung
US4179772A (en) * 1978-02-03 1979-12-25 Harben Grover S Jr Drum/disk poultry picker
US20080293346A1 (en) * 2005-12-21 2008-11-27 Linco Food Systems A/S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WO2012175083A1 (en) * 2011-06-24 2012-12-27 Linco Food System A/S A picking row for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and such a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9148A (en) * 1965-10-19 1968-10-02 Gainesville Machine Company In Picking machine with multiple finger action
NL6515996A (ko) * 1965-12-09 1967-06-12
US3538540A (en) * 1968-02-14 1970-11-10 Johnson Co Gordon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GB1263374A (en) * 1968-06-15 1972-02-09 Baromfiipari Orszagos Vall Poultry plucking machine
GB1241460A (en) * 1968-12-24 1971-08-04 Cope Whelon And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oultry plucking apparatus
US3599278A (en) * 1969-07-15 1971-08-17 Int Agri Systems Method for picking poultry
CA1002712A (en) * 1973-01-25 1977-01-04 Johannes J. Smorenburg Poultry processing equipment
GB1437370A (en) * 1973-07-20 1976-05-26 Cope Whelon Co Ltd Apparatus for plucking feathers from poultry
HU169294B (ko) * 1973-12-05 1976-11-28
US4217678A (en) * 1978-11-06 1980-08-19 Simon-Johnson Inc. Poultry picking machine
US4514879A (en) * 1983-01-26 1985-05-07 Hazenbroek Jacobus E Suspended feather picker with rotatable sections
US6001012A (en) * 1997-12-12 1999-12-14 Ford; Ronald B. Poultry defeathering device
US20040147211A1 (en) * 2003-01-24 2004-07-29 Mostoller Charles R. Poultry defeathering process and apparatus
CN203872890U (zh) * 2014-06-04 2014-10-15 江西丰城华英禽业有限公司 一种禽类宰杀自动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24A (en) * 1966-06-16 1968-09-24 Gainesville Machine Company In Closed channel defeathering apparatus
DE2021144A1 (de) * 1970-04-30 1971-11-18 Johnson Co Gordon Gefluegel-Entfederungsvorrichtung
US4179772A (en) * 1978-02-03 1979-12-25 Harben Grover S Jr Drum/disk poultry picker
US20080293346A1 (en) * 2005-12-21 2008-11-27 Linco Food Systems A/S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WO2012175083A1 (en) * 2011-06-24 2012-12-27 Linco Food System A/S A picking row for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and such a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7355A1 (en) 2017-12-28
DK3240427T3 (da) 2022-08-15
CA2964330C (en) 2019-04-16
EP3240427B1 (de) 2022-05-18
US10045545B2 (en) 2018-08-14
KR101970085B1 (ko) 2019-04-17
CN106998711B (zh) 2019-06-18
BR112017011781A8 (pt) 2019-11-05
JP6639499B2 (ja) 2020-02-05
BR112017011781A2 (pt) 2018-07-24
RU2669011C1 (ru) 2018-10-05
CN106998711A (zh) 2017-08-01
PL3240427T3 (pl) 2022-09-12
CA2964330A1 (en) 2016-07-07
ES2918850T3 (es) 2022-07-20
EP3240427A1 (de) 2017-11-08
WO2016107731A1 (de) 2016-07-07
MY184407A (en) 2021-04-01
BR112017011781B1 (pt) 2022-09-27
DE102014019340A1 (de) 2016-06-30
JP2017536125A (ja)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085B1 (ko) 도살된 가금류 자동 깃털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070493B2 (en) Skinner for poultry carcasses
EP3485735B1 (en) Deski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skinning a poultry leg or part of a poultry leg
US9687005B2 (en) Skinn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kin from slaughtered poultry parts
PL1988805T3 (pl) Sposób podawania jaj do urządzenia rozbijającego jaja oraz urządzenie rozbijające jaja
AU2014267772A1 (en) A method, a system and a guide assembly for separating viscera sets eviscerated from slaughtered poultry
GB2510461A (en) A straightening plate for Nephrops Norvegicus or similar crustacea
JP2015177792A (ja) 屠殺される家禽から取り出される臓器を機械的に加工する方法、加工デバイス、及び加工装置
EP3424335B1 (en) A pin bone removal apparatus
KR101773598B1 (ko) 양파 박피 장치
DK1804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pin bones from a fish fillet
KR101197293B1 (ko) 어류 포의 뼈 제거장치
NL1033082C2 (nl) Inrichting voor het positioneren van de langsas van een uivormig product.
US5192241A (en) Apparatus for deboning dark meat of fowl
EP4111867A1 (en) Fish head cutting machine
JP2022097557A (ja) 除水または除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