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89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89A
KR20170082589A KR1020177015527A KR20177015527A KR20170082589A KR 20170082589 A KR20170082589 A KR 20170082589A KR 1020177015527 A KR1020177015527 A KR 1020177015527A KR 20177015527 A KR20177015527 A KR 20177015527A KR 20170082589 A KR20170082589 A KR 2017008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avity insert
contact
shel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428B1 (ko
Inventor
존 웨슬리 주니어 홀
스콧 스티븐 듀스터호프트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8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104)는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0)에 종단되도록 구성되는 중앙 컨택트(180)를 포함한다. 유전체(182)는 중앙 컨택트를 유지한다. 외부 컨택트(184)는 유전체 및 중앙 컨택트를 둘러싼다. 외부 컨택트는 정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정합 세그먼트, 케이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 및 정합 세그먼트와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를 갖는다.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의 브레이드(174)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중간 세그먼트는 정합 세그먼트 및 종단 세그먼트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캐비티 삽입부는 경계에서 서로 결합되는 수용 쉘 및 폐쇄 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명세서의 발명의 주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커넥터 조립체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안테나, 라디오, 휴대전화,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은, 군사용 응용 및 차량용 응용을 포함하는 수많은 응용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의 끝단(end)에 제공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이다.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 조립체들을 표준화하기 위해, 특히 그러한 커넥터 조립체들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해 특정 산업 표준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표준들 중 하나는 FAKRA로 지칭되며, 이는 독일 용어인 "Fachnormenausschuss Kraftfahrzeugindustrie"의 약어이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화에 대한 관심을 대표하는 독일 표준화 협회의 자동차 표준 위원회이다. FAKRA 표준은 키잉(keying)과 색상 부호화(color coding) 에 기초하여, 적절한 커넥터 부착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정 잭 키(jack key)는 FAKRA 커넥터의 플러그 타입으로만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안전한 위치 설정 및 잠금은, 제1 조립체 또는 잭 하우징 상의 FAKRA지정 걸쇠(FAKRA defined catch)와, 제2 조립체 또는 플러그 하우징 상의 협동 래치(cooperating latch)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중앙 컨택트(center contact) 및 상기 중앙 컨택트에 대한 차폐를 제공하는 외부 컨택트(outer contact)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mating interface)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outer housing)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 컨택트 및 외부 컨택트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하는 중앙 컨택트 및 외부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에 중앙 콘택트를 갖는 외부 콘택트는 외부 하우징의 공동(cavity) 내에 수용된다. 캐비티 삽입부(cavity insert)는 보통 외부 하우징의 공동 내에 외부 접점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외부 컨택트가 다양한 다른 외부 하우징과 호환되도록 하는 어댑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외부 컨택트의 일 단부(end) 상으로 상기 캐비티 삽입부를 슬리이딩 시킴으로써, 상기 캐비티 삽입부가 상기 외부 컨택트 상에 적재된다(loaded). 보통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전단부(front end) 또는 정합 단부(mating end)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후단부(rear end) 또는 케이블 단부(cable end) 상에 적재된다. 상기 외부 컨택트의 케이블 단부는 케이블로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컨택트로 종단되는 케이블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외부 컨택트의 케이블 단부의 직경 또한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증가하여여 한다. 그러나, 상기 외부 하우징 내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케이블 단부 및/또는 정합 단부에 맞도록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이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큰 직경의 케이블을 수용 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여전히 외부 하우징 내 외부 컨택트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컨택트에 케이블 삽입부(cable insert)를 적재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중앙 컨택트, 유전체(dielectric), 외부 컨택트 및 캐비티 삽입부를 갖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중앙 컨택트는 케이블의 중앙 도체(center conductor)에 종단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중앙 컨택트를 유지한다. 상기 외부 컨택트는 상기 유전체 및 중안 컨택트를 둘러싼다. 상기 외부 컨택트는 정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정합 세그먼트(mating segment), 케이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terminating segment), 및 상기 정합 세그먼트와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middle segment)를 갖는다.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상기 케이블의 브레이드(braid)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 및 종단 세그먼트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인터페이스에서 함께 결합되는 수용 쉘(receiving shell) 및 폐쇄 쉘(closing shell)을 포함한다.
커넥터 조립체(104)는 중앙 컨택트(180), 유전체(182), 외부 컨택트(184) 및 캐비티 삽입부(188)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컨택트는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0)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중앙 컨택트를 유지한다. 상기 외부 컨택트(184)는 상기 유전체 및 상기 중앙 컨택트를 둘러싼다. 상기 외부 콘택트는 정합 단부(208)로부터 연장하는 정합 세그먼트(240), 케이블 단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236), 및 상기 정합 세그먼트와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를 갖는다.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상기 케이블의 브레이드(braid, 174)에 종단되고,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 및 종단 세그먼트의 각 직경(244, 248)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경계(267)에서 서로 결합되는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은 상기 경계(267)에서 초음파 용접(ultrasonically welded)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통 형상(barrel-shaped)일 수 있다. 상기 수용 쉘(264)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둘레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폐쇄 쉘(266)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둘레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250), 후방 단부(252) 및 상기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를 관통하는 채널(254)을 정의하는 내면(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되며, 상기 내면은 상기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 각각의 직경(244, 248)보다 작은 직경(268)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 컨택트(180), 유전체(182), 외부 컨택트(184) 및 캐비티 삽입부(188)는 부조립체(196)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부조립체를 수용하는 공동(198)을 갖는 외부 하우징(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부조립체의 축 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56, 257, 25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상기 캐비티 삽입부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플랜지들(256, 257) 사이에 형성되는 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내부에 리테이너(194)의 암(arm, 374)을 수용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외부 하우징(192)과 결합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의 공동(198) 내에서 상기 부조립체(196)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컨택트(184)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240)를 상기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숄더(224) 및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상기 종단 세그먼트(236)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숄더(225)를 갖는, 단차를 갖는 통 형상(stepped barrel shape)으로 스탬프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상기 수용 쉘(264)은 제1 단부(31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쉘(266)은 제1 단부(32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쉘의 제1 단부는 제1 이음매(352)에서 상기 폐쇄 쉘의 제1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수용 쉘의 제2 단부는 제2 이음매(354)에서 상기 폐쇄 쉘의 제2 단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104)는 상기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와 상기 케이브(108)의 브레이드(174)를 둘러싸는 외부 페룰(1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외부 페룰과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에 끼이며, 상기 외부 페룰은 크림프 되어 상기 종단 세그먼트를 상기 브레이드에 종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컨택트(184)는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캐비티 삽입부에 대한 상기 외부 컨택트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상호 보완적인 고정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큰 직경의 케이블을 수용 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여전히 외부 하우징 내 외부 컨택트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컨택트에 케이블 삽입부(cable insert)를 적재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제 1 커넥터 조립체 및 제 2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외부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캐비티 삽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서로 결합된 복수의 캐비티 삽입부 몸체들의 격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의 수용 쉘에 적재된 유전체 및 외부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에 적재된 유전체 및 외부 컨택트의 사시도로서,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의 수용 쉘과 폐쇄 쉘이 결합 된 위치에 있는 것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 내의 유전체 및 외부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및 제2 커넥터 조립체(10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및 제 2 커넥터 조립체(104)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그들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중앙 컨택트 및 외부 컨택트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중앙 컨택트 및 외부 컨택트와 각각 결합하여, 커넥터 조립체들(102, 104)에 걸쳐 도전성 신호 경로(conductive signal path)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커넥터 조립체(102)는 잭 조립체(jack assembly)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중앙 컨택트와 결합되는 정합 단부에서 중앙 컨택트가 핀을 가질 수 있다. 정반대로, 제2 커넥터(104)는, 중앙 컨택트가 정합 단부에서 소켓을 형성하도록 하는 플러그 조립체(plug assembly)일 수 있으며, 소켓 내부에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상기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커넥터 조립체(102)가 플러그 조립체를 구성하고, 제2 커넥터 조립체(104)가 소켓 조립체일 수도 있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케이블(106)에 종단된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케이블(108)에 종단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케이블(106, 108)은 동축 케이블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106, 108)은 RG-59, RG-62, RG-71 타입의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106, 108)을 따라 전송되는 신호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및 제2 커넥터 조립체(104)가 연결되면 이들을 통해 전달된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정합 단부(110) 및 케이블 단부(112)를 갖는다. 제1 커넥터 조립체는 케이블 단부(112)에서 케이블(106)에 종단된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정합 단부(114) 및 케이블 단부(116)를 갖는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케이블 단부(116)에서 케이블(108)에 종단된다. 결합 중에,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단부(110)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정합 단부(114) 내로 플러그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및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FAKRA 자동차 전문가 그룹에 의해 확립된 단일 커넥터 시스템 표준을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RF 커넥터인, FAKRA 커넥터를 구성한다. FAKRA 커넥터는 자동차 응용의 고 기능 및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표준화된 키잉 시스템(keying system) 및 잠금 시스템을 갖는다. FAKRA 커넥터는 스냅-온 결합(snap-on coupling)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버전 B 커넥터(subminiature version N connector; SMB 커넥터)를 기반으로 하며, 50, 75, 93 및/또는 125 Ohms와 같은 특정 임피던스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여기에서 설명된 FAKRA 커넥터 이외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하나 이상의 키잉부(keying feature; 118)를 갖고,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키잉부(118)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잉부(120)를 갖는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키잉부(118)는 리브(rib)이고 키잉부(120)는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채널(channel)이다. 임의의 수의 키잉부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키잉부들은 표준화된 FAKRA 커넥터 설계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래칭부(latching feature; 122)를 갖고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래칭부(124)를 갖는다. 래칭부(122)는 걸쇠(catch)에 의해 정의되고, 래칭부(124)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와 제2 커넥터 조립체(104)가 서로 정합된 채로 유지되도록 상기 걸쇠를 결합하는 래치(latch)에 의해 정의된다.
도 2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 및 케이블(108)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외부 컨택트(184)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캐비티 삽입부(188)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중앙 컨택트(180), 유전체(182), 외부 컨택트(184), 외부 페룰(outer ferrule, 186), 캐비티 삽입부(188) 및 외부 하우징(19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커넥터 조립체(104)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나열된 구성 요소들 전부 포함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케이블(108)은 유전체(172)로 둘러싸인 중심 도체(170)를 갖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 브레이드(cable braid, 174)는 유전체(172)를 둘러싸고 있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케이블(1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 도체(170)를 위한 차폐를 제공한다. 케이블 재킷(17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둘러싸고, 케이블 브레이드(174), 유전체(172) 및 중심 도체(170)를 외력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중앙 컨택트(18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핀 컨택트를 수용하고 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소켓 컨택트를 구성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다른 유형의 컨택트 또한 가능하다. 중앙 컨택트(180)는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0)에 종단된다. 예를 들어, 중앙 컨택트(180)는 중심 도체(170)에 크림프(crimp) 될 수 있다.
유전체(182)는 중앙 컨택트(180)를 유지 및 수용하고, 가능하면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의 일부를 유지 및 수용한다. 외부 컨택트(184)는 내부에 유전체(182)를 수용한다. 유전체(182)는 중앙 컨택트(180)를 외부 컨택트(18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외부 컨택트(184)는 유전체(182) 및 중앙 컨택트(180)를 둘러싼다. 외부 컨택트(184)는, 예를 들어 전자 방해 또는 무선 주파수 간섭에 대한 차폐를 중앙 컨택트(180)에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는 스탬프 되고(stamped) 형성된다. 외부 컨택트(184)는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페룰(186)은 케이블(108) 및 외부 컨택트(184)에 크림프 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페룰(186)은 외부 컨택트에 대한 브레이드의 전기적 종단 및 케이블(108)의 변형 방지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페룰(186)은 케이블(108)의 케이블 브레이드(174) 및 케이블 재킷(176) 모두에 크림프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페룰(186)은 바이패스 크림프(bypass crimp) 또는 다른 유형의 크림프를 사용하여 케이블 브레이드(174) 및 케이블 재킷(176)에 크림프 될 수 있다.
케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184)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외부 컨택트(184)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내부에 외부 컨택트(184)를 유지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하우징(192) 내에 수용되고, 리테이너(retainer, 194)에 의해 그 내부에 유지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하우징(192) 내에서 외부 컨택트(184)의 실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하우징(192)에 대응하는 소정의 외부 둘레를 가지며,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부 하우징(192)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중앙 컨택트(180), 유전체(182), 외부 컨택트(184), 외부 페룰(186) 및 캐비티 삽입부(188)는, 유닛으로서 외부 하우징(192) 내로 적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를 구성한다. 다른 구성 요소들은 또한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의 일부분일 수 있다. 외부 하우징(192)은 내부에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를 수용하는 공동(198)을 포함한다. 리테이너(194)는 제 2 커넥터 부조립체(196)를 공동(198) 내에 유지시킨다.
외부 하우징(192)은 전방부(290)와 후방부(292) 사이에서 연장된다. 리테이너(194)는 외부 하우징(192)의 측면부(294)를 통해 적재된다. 래칭부(latching feature, 124)는 외부 하우징(192)의 상부(296)를 따라 제공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전방부", "후방부", "상부" 또는 "하부"와 같은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는 참조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었으며, 커넥터 시스템(100) 또는 그 주변에서 특정 위치 또는 배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다. 외부 하우징(192)은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의 외부 윤곽을 갖는다.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은 일반적으로 외부 하우징(192)을 통해 연장되는 원통형 구멍이다. 공동(198)은 캐비티 삽입부(188)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step), 숄더(shoulder) 및/또는 채널(channel)을 가질 수 있다.
유전체(182)는 전방부(200)와 후방부(202) 사이에서 연장한다. 유전체(182)는 그 내부에 중앙 컨택트(180)를 수용하는 공동(204)을 갖는다. 유전체(182)는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flange, 206)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플랜지(206)는 전방부(200)과 후방부(202)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206)는 외부 컨택트(184) 내에 유전체(182)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외부 컨택트(184)는 그 전방부(210)에 정합 단부(208)를 갖고 그 후방부(214)에 케이블 단부(212)를 갖는다. 외부 컨택트(184)는 전방부(210)와 후방부(214)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동(216)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는 계단이 있는 배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럴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거나 상이한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따라 원통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는 정합 세그먼트(240), 종단 세그먼트(236), 그리고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를 포함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정합 단부(20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종단 세그먼트(236)는 케이블 단부(21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또는 다른 정합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외부 정합 컨택트(미도시)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합 세그먼트(240)는 복수의 접촉 빔들(228)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빔들(228)은 편향 가능하고(deflectable), 상기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외부 정합 컨택트에 대해 스프링 적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정합 컨택트는 정합 세그먼트(240)가 외부 정합 컨택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정합 세그먼트(240)를 따라 공동(216) 내에 수용 될 수 있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외부 정합 컨택트의 말단부를 공동(216) 내에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244)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빔(228)은 정합 단부(208)에서 감소된 직경의 영역을 갖도록 프로파일링되어, 접촉 빔(228)이 외부 정합 컨택트와 결합하는 것을 보장한다. 개별적인 접촉 빔(228) 각각은 따로따로 편향될 수 있으며, 외부 정합 컨택트에 법선력(normal force)을 가하여 외부 정합 컨택트와 외부 컨택트(184)의 결합을 보장한다.
정합 단부(208)는 전방부(210)에 링(230)을 포함할 수있다. 접촉 빔(228)은 링(230)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와 링(230) 사이에 배치된다. 외부 컨택트(229)가 외부 하우징(192)에 적재되는 동안 및/또는 외부 컨택트(229)가 제1 커넥터 조립체(102)에 정합되는 동안 접촉 빔(228)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링(230)은 접촉 빔(228)의 전방에 위치한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정합 단부(208)는 링(230)을 포함하지 않고, 접촉 빔(228)은 정합 단부(208)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한다. 정합 단부(208)는 또한 정합 세그먼트(240)로부터 공동(216) 내 반경 내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1)들은 접촉 빔(228)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접촉 빔(228)과 마찬가지로, 제 1 커넥터 조립체(102)와 같은 다른 상대 커넥터 조립체의 외부 정합 컨택트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4개의 접촉 빔(228)과 4개의 돌출부(231)가 제공되어 외부 정합 컨택트와의 8개의 접촉점을 정의한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정합 세그먼트(240)의 후방에 있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의해 둘레가 둘러싸이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한 외부 컨택트(184)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중간 세그먼트(242)는 캐비티 삽입부(188) 상의 상호 보완적인 고정부(securing feature, 234, 도 4에 도시됨)와 결합하는 고정부(232)를 포함 할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32)는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 설정 탭(positioning tab)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 탭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부 표면을 따라 정의되어 고정부(234)를 형성하는 구멍(aperture)에 수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중간 세그먼트(242)는 정합 세그먼트(240)의 직경(244)보다 작은 직경(246)을 갖는다. 감소된 직경(246)은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가 캐비티 삽입부(18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허용하면서,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 전체가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 내에 끼워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이 정합 세그먼트(240)에 비해 감소되지 않으면,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184) 상에 끼워져 외부 컨택트(184)를 둘러싸도록 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더 큰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 내에 적절하게 맞지 않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동(198) 및 외부 하우징(192)의 크기는 산업 표준 및 규격에 기초하여 고정되거나 미리 정의되므로, 보다 큰 캐비티 삽입(188)를 수용하기 위해 공동(198)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커넥터 부조립체(196)가 미리 결정된 공동(198)의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외부 하우징(192) 내에 유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은 좁은 범위의 사이즈로 제한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236)는 케이블(108)의 케이블 브레이드(cable braid, 174)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중앙 컨택트(180) 및 유전체(172)는 케이블 단부(212)를 통해 공동(216) 내에 수용 될 수 있고, 종단 세그먼트(236)가 유전체(172)와 케이블 브레이드(174) 사이에 끼이도록,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종단 세그먼트(236)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종단 세그먼트(236)는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보다 큰 직경(248)을 갖는다.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248)은 종단 세그먼트(236)에 종단되는 케이블(108)의 크기 또는 치수(guage)에 기초 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236)는,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이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과 같거나 그보다 작으면, 종단 세그먼트(236) 내에 맞지 않는 케이블로 종단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236)의 보다 큰 직경(248)과 중간 세그먼트(242)의 보다 작은 직경(246) 간의 차이는 외부 콘택트(184)가 더 큰 케이블을 수용하면서도,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가 여전히 외부 하우징(192)의 고정된 공동(198)에 맞도록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은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 각각의 직경(244, 248)보다 작다. 외부 컨택트(184)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적어도 제1 숄더(224) 및 제2 숄더(225)가 정의된다. 제1 숄더(224)는 정합 세그먼트(240)를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분리시킨다. 제2 숄더(225)는 중간 세그먼트(242)를 종단 세그먼트(236)로부터 분리시킨다. 외부 컨택트(18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숄더(224)는 정합 세그먼트(240)로부터 중간 세그먼트(242)로 스텝-하강한다(step-down). 제2 숄더(225)는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종단 세그먼트(236)까지 스텝-상승한다(step-up).
유전체(182)가 공동(216) 내로 적재될 때, 플랜지(206)는 외부 컨택트(184)에 대해 유전체(182)를 축 방향으로 위치 시키도록 제1 숄더(224)와 결합할 수다. 유전체(182)를 외부 컨택트(184)에 유지시키기 위해, 외부 컨택트(184)는 공동(216) 내로 연장되어 유전체(182)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 탭(retention tab, 226)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206)의 후방 표면은 외부 컨택트(184)의 후방부(214)를 향한 유전체(182)의 추가 이동을 금지하는 제1 숄더(224)와 결합할 수 있다. 유지 탭(226)은 외부 컨택트(184)에 대해 유전체(182)의 전방 이동을 금지하는 플랜지(206)의 전방 표면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206)는 외부 컨택트(184) 내에서 유전체(182)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숄더(224)와 유지 탭(226) 사이에 잡혀있게 된다(captured). 유전체(182)를 외부 컨택트(184)에 위치시키거나 고정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고정 요소 또는 위치 설정 요소가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컨택트(184)는 편평한 소재가 통 형상으로 말려지면서 스탬핑-성형될 수있다. 편평한 소재는 제1 및 제2 단부(218, 220)가 서로 대향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압연되어 제1 단부(218) 및 제2 단부(220)를 갖는다. 이음매(seam, 222)는 제1 및 제2 단부(218, 220) 사이의 경계에서 생성된다. 제1 및 제2 단부(218, 220)는 이음매(222)의 경계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218, 220)는 이음매(222)에서 함께 고정되어 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부(220)는 제1 단부(218)에 형성된 상호 보완적인 포켓(190) 내에 수용되어 유지되는 탭(178)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탭(178) 및 포켓(190)은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는 스탬핑-형성되는 대신에, 다이 캐스팅(die casting), 압출(extrusion), 나사 절삭 등과 같은 다른 가공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갭(gap, 238)은 종단 세그먼트(236)의 제1 및 제2 단부(218, 220) 사이의 이음매(222)를 따라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238)은 선택적으로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을 변경하기 위해, 갭(238)의 크기는 가변적이다. 갭(238)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중심 도체(170) 및/또는 중앙 컨택트(180)를 둘러싸는 외부 컨택트(184)의 반경을 변화시키며, 그에 따라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의 캐패시턴스에 영향을 미치며, 임피던스를 제어한다. 갭(238)의 크기는 외부 페룰(18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236) 둘레로 외부 페룰(186)을 크림핑함(crimping)으로써, 종단 세그먼트(236)가 압착되어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는 갭(238)을 폐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참조에 이어 도 4를 참조하면,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250) 및 후방 단부(252)를 포함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영역을 갖는 배럴(barrel) 형태일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250)와 후방 단부(252) 사이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를 관통하는 채널(254)을 정의하는 내면(253)을 갖는다. 채널(254)은 내부에 외부 컨택트(18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채널(254)은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를 수용하여, 캐비티 삽입부(188)가 중간 세그먼트(242)를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비티 삽입부(188)는 중간 세그먼트(242)에 추가하여, 외부 컨택트(184)의 정합 세그먼트(240) 및/또는 종단 세그먼트(236)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가 중간 세그먼트(242)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 싸도록, 채널(254)을 정의하는 내면(253)은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보다 적어도 약간 큰 직경(268)을 갖는다. 그러나,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부 하우징(192)의 캐비티(198) 내에 맞도록 하기 위해, 직경(268)은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의 직경(244, 248) 각각보다 적어도 약간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188)가 직경(244, 248)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둘 모두보다 큰 직경(268)을 갖는 경우, 캐비티 삽입부(188)의 외부 표면(255)은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 내에 적절하게 맞지 않을 수 있다. 직경(268)은 중간 세그먼트(242)를 초과하는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의 직경(244, 248)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를 전방부(210) 또는 후방부(214)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외부 컨택트(184) 상에 적재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제1 쉘(264) 및 제2 쉘(266)을 포함하는 2-피스의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쉘(264)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둘레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쉘(266)은 상기 둘레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쉘(264, 26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188)를 형성하기 위해 경계(267)에서 서로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외부 컨택트(184)는 제1 및 제2 쉘(264, 266) 중 어느 하나에서 먼저 수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쉘(264, 266) 중 다른 하나는 외부 컨택트(184)의 나머지 둘레에서 닫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쉘(264)은 외부 컨택트(184)를 먼저 수용하는 수용 쉘(264)로 지칭되고, 제2 쉘(266)은 폐쇄 쉘(266)로 지칭되며, 수용 쉘(264)과 접합되어 외부 컨택트(184)의 둘레를 에워싼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제2 쉘(266)이 수용 쉘일 수 있고 제1 쉘(264)이 폐쇄 쉘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쉘(264, 266)은 동시에 외부 컨택트(184)를 향해 이동하여 두 쉘(264, 266)이 외부 컨택트(184)를 수용하고 동시에 외부 컨택트(184)를 폐쇄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를 조립하는 동안, 캐비티 삽입부(188)는 처음에 분해 될 수 있다.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수용 쉘(264)에 수용될 수 있고, 그 뒤에 폐쇄 쉘(266)은 수용 쉘(264)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2-피스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세그먼트(242)에 도달하기 위해 캐비티 삽입부(188)가 정합 세그먼트(240) 또는 종단 세그먼트(236) 중 어느 하나 위에 적재될 필요가 없고, 캐비티 삽입부(188)는 중간 세그먼트(242)의 보다 작은 직경(246)에 기초한 사이즈가 부여될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 둘레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외부 하우징(192) 내에 수용되어 외부 하우징(192) 내의 표면과 결합하여, 외부 하우징(192)에 대한 캐비티 삽입부(188)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적어도 전방 플랜지(256), 중간 플랜지(257) 및 후방 플랜지(258)를 포함한다. 플랜지(256-258)는 캐비티 삽입부(188)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플랜지(256-258) 각각이 캐비티 삽입부(188)의 전방 단부(250), 축 방향 중앙 지점 및 후방 단부(252)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인식된다. 예를 들어, 중간 플랜지(257)는 후방 단부(252)보다 전방 단부(250)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플랜지(256-258)는 그들 사이에 형성된 홈(groove)들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홈(260)은 전방 플랜지(256)와 중간 플랜지(257)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262)은 중간 플랜지(257)와 후방 플랜지(258) 사이에 형성될 수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가 외부 하우징(192)에 삽입 될 때, 리테이너(194)의 암(arm, 374, 도 10에 도시됨)은 제1 홈(260) 내에 수용된다. 암(374)의 후면은 중간 플랜지(257)와 접촉할 수 있고, 암(374)의 전면은 전방 플랜지(256)와 접촉하여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184)의 고정부(232)와 결합하는 고정부(234)에 의해 외부 컨택트(184)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34)는 내부에 외부 컨택트(184)의 위치 설정 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일 수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컨택트(184)가 캐비티 삽입부(188)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구멍(234)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184)의 숄더(224, 225)와 결합함으로써 외부 컨택트(184)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숄더(224)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해 외부 컨택트(184)가 후방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캐비티 삽입부(188)의 전방 단부(250)와 결합할 수 있고, 제2 숄더(225)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해 외부 컨택트(184)가 전방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후방 단부(252)와 결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를 위치시키거나 고정하기 위한 캐비티 삽입부(188) 내 다른 유형의 고정 요소 또는 위치 설정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페룰(186)은 전방부(270) 및 후방부(272)를 갖는 편평한 소재로부터 스탬핑-성형될 수 있다. 외부 페룰(186)은 개방 상부(274)를 갖는 U-자 모양과 같은 개방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있다. 외부 페룰(186)은 케이블(108) 및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 도 3에 도시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276)을 형성한다. 외부 페룰(186)은 브레이드 세그먼트(braid segment, 278) 및 재킷 세그먼트(jacket segment, 280)를 포함한다. 브레이드 세그먼트(278)는 외부 페룰(186)의 전방부(270)에 제공되고 재킷 세그먼트(280)는 외부 페룰(186)의 후방부(272)에 제공된다. 외부 컨택트(184)는 외부 페룰(186)을 사용하여 케이블(108)에 종단된다. 예를 들어, 일단 케이블(108)의 유전체(172) 및 중앙 컨택트(180)가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 내에 수용되고 케이블 브레이드(174)가 종단 세그먼트(236) 주위로 적재되면, 브레이드 세그먼트(278)는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적재되어, 케이블 브레이드(174)가 외부 페룰(186)과 종단 세그먼트(236) 사이에 끼워 지도록 한다. 브레이드 세그먼트(278)는 케이블(108)의 브레이드(174)를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에 종단시키기 위해 크림프될 수 있다. 재킷 세그먼트(280)는 케이블 재킷(176) 주위에 크림프 될 수 있다. 브레이드 세그먼트(278) 및 케이블 세그먼트(280) 모두를 케이블(108)에 크림핑하는 것은 케이블(108)의 변형 방지를 제공한ㄷ다. 외부 페룰(18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 및/또는 케이블 재킷(176)과 결합하는 표면을 정의하는 노치(notch) 또는 톱니 모양(286)을 포함하여, 케이블(108)에 대한 외부 페룰(186)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의 사시도이다.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는 도 4에 도시된 캐비티 삽입부(188)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는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을 포함한다.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는 수용 쉘(264)을 폐쇄 쉘(266)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bridge, 302)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는 2개의 브릿지(302)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릿지(302)는 수용 쉘(264)을 폐쇄 쉘(266)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쉘(264, 26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수용 쉘(264), 폐쇄 쉘(266),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302) 및 임의의 레일은 단일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의 일부로서 함께 성형된다(co-molded).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성형 공정 중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쉘(264)은 전방부(306) 및 후방부(308)를 포함한다. 수용 쉘(264)은 또한 제1 단부(31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12)를 포함한다. 수용 쉘(264)은, 제1 및 제 2 단부(310, 312)가 서로를 향해 만곡되고(curved) 그들 사이에서 채널(314)을 정의하도록, 만곡될 수있다. 채널(314)은 전방부(306)로부터 후방부(308)까지 연장되고, 내부에 외부 컨택트(184, 도 3)의 중간 세그먼트(242, 도 3에 도시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폐쇄 쉘(266)은 전방부(316) 및 후방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쉘(266)은 또한 제 1 단부(32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부(320, 322)는 서로를 향해 만곡되어 그들 사이에 채널(324)을 정의할 수 있다. 채널(324)은 전방부(316)로부터 후방부(318)까지 연장된다. 채널(324)은 내부에 중간 세그먼트(2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은 모두 캐비티 삽입부 축을 따라 배향된다.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는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및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 예에서, 2개의 전방 레일(328) 및 2개의 후방 레일(330)을 포함하는 4개의 레일이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레일(328)은 일반적으로 수용 쉘(264)의 전방부(306)에 근접하여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하고, 후방 레일(330)은 일반적으로 후방부(308)에 근접하여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한다. 레일(328, 330)은 캐비티 삽입부 축(326)을 횡단하는 각도로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한다. 예를 들어, 레일(328, 330)은 캐비티 삽입부 축(326)에 직각인 각도로 수용 쉘(264)로부터 옆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시된 실시 예에서, 2개의 전방 레일(332) 및 2개의 후방 레일(334)은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레일(332)은 전방부(316)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후방 레일(334)은 후방부(318)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레일(332, 334)은 캐비티 삽입부 축(326)을 횡단하는 각도로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한다. 선택적으로, 레일(332, 334)은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하는 레일(328, 330)에 평행하게 연장 될 수있다. 브릿지(302)는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하는 전방 레일(328)을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하는 후방 레일(334)에 연결시킨다. 다른 실시 예에서,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의 상대적인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고, 브릿지(302)는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하는 후방 레일(330)을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하는 전방 레일(332)에 연결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브릿지(302)는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을 연결하기 위해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로부터 직접 연장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로 결합된 복수의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들의 격자(340)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격자(340)는 몸체(304B)가 몸체(304A, 304C) 사이에 배치된, 3개의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A, 304B, 304C)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A-C)는 연속 성형 공정(continuous molding process)에 의해 격자(340)에 함께 형성 될 수있다. 하나의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의 수용 쉘(264)의 후방 레일(330)은 인접한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의 폐쇄 쉘(266)의 전방 레일(332)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로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들 대신에,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들은 몸체(304)들을 함께 보유하는 캐리어 스트립(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캐비티 삽입부 몸체(304A-C)는 성형 공정(molding process)의 결과로서, 한 줄로(end-to-end) 연결되는 대신에 나란하게(side-by-side)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188)를 조립하는 단계들을 설명한다. 도 7은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의 수용 쉘(264)에 적재된 유전체(182) 및 외부 컨택트(184)의 사시도이다.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수용 쉘(264)의 채널(314) 내에 수용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수용 쉘(264)의 전방에, 수용 쉘(264)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레일(328),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레일(334) 및 브릿지(302)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공간(342) 내로 연장된다.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의 수용 쉘(264)은 키잉부(keying feature, 344)를 가지며, 폐쇄 쉘(266)은 상호 보완적인 키잉부(346)를 가지며, 키잉부(346)는 쉘들(264, 266)이 결합될 때 키잉부(344)와 결합되어 쉘들(264, 266)이 정렬되는 것을 지원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키잉부(344)는 스터브(stub)이고 키잉부(346)는 쉘들(264, 266)이 결합될 때 상기 스터브를 수용하는 슬롯(slot)이다. 도시된 실시 예의 수용 쉘(264)은 2개의 스터브(344)를 포함하고, 폐쇄 셀(266)은 2개의 대응하는 슬롯(346)을 포함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에 적재된 유전체(182) 및 외부 컨택트(184)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6)은 결합된 위치에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브릿지(302)는 폐쇄 쉘(266)이 수용 쉘(264)과의 경계(267)에서 수용 쉘(264) 상으로 접힐 수 있게 하는 작동 힌지(living hinge)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폐쇄 쉘(266)은 일반적으로 캐비티 삽입부 축(326) 내에서 곡선 궤적(350)을 따라 이동하여 수용 쉘(264)과 결합한다. 폐쇄 쉘(266)의 전방부(316, 도 5에 도시됨)는 수용 쉘(264)의 후방부(308, 도 5)와 정렬되고, 폐쇄 쉘(266)의 후방부(318, 도 5)는 수용 쉘(264)의 전방부(306, 도 5)와 정렬된다. 브릿지(302)는 구부러져 수용 쉘(264)에 대한 폐쇄 쉘(266)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쉘(264, 266)이 서로 가압되고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188, 도 4에 도시됨)의 채널(254, 도 4)을 정의하도록 조합되면서, 폐쇄 쉘(266)의 채널(324, 도 7에 도시됨)은 수용 쉘(264)의 채널(314, 도 7)을 반영할 수 있다.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은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 도 7에 도시됨)의 전체 둘레를 함께 둘러싼다.
폐쇄 쉘(266)이 수용 쉘(264)을 향해 접히면서, 폐쇄 쉘(266)의 제1 단부(320, 도 5에 도시됨)는 수용 쉘(264)의 제1 단부(310, 도 5)에 접합되거나 결합되고, 폐쇄 쉘(266)의 제2 단부(322)는 수용 쉘(264)의 제2 단부(312)와 결합된다. 제1 이음매(352)는 각각의 쉘(264, 266)의 제1 단부(310, 320) 사이의 경계(267)에 정의된다. 제2 이음매(354)는 각각의 쉘(264, 266)의 제2 단부(312, 322) 사이의 경계(267)에 형성된다. 폐쇄 쉘(266)이 수용 쉘(264)과 결합되면서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 각각의 키잉부(344, 346)는 정합된다. 예를 들어 슬롯(346)은, 쉘(264, 266)의 적절한 정렬을 지원하고 또한 쉘(264, 266)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쉘을 약간 유지하는, 스터브(344)를 수용한다. 또한, 폐쇄 쉘(266)로부터 연장된 전방 레일(332)은 수용 쉘(264)의 후방 레일(330)과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고, 후방 레일(334)은 전방 레일(328)과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
폐쇄 쉘(266)이 수용 쉘(264)과 정렬되고 결합되어 외부 컨택트(184)가 그들 사이에 배치되면, 결합 프로세스 또는 메커니즘에 의해 쉘(264, 266)은 경계(267)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쉘(264, 266)은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과 같은 용접 공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쉘(264, 266)은 접착제, 래치 기구(latching mechanism), 마찰 결합(friction fit)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프로세스 또는 메커니즘 후에, 쉘(264, 266)은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 도 7에 도시됨)의 주위에서 함께 고정된다.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여, 2개의 쉘(264, 266)은 영구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188) 내의 유전체(182) 및 외부 컨택트(184)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쉘(264)과 폐쇄 쉘(268)을 결합한 후에 캐비티 삽입부 조립체(300, 도 8)로부터 브릿지(302, 도 8에 도시됨) 및 레일(328- 266)을 제거하여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188)가 완성된다. 레일(328-334)이 쉘(264, 266)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서 절단 또는 트리밍(trimming)에 의해 브릿지(302) 및 레일(328-334)이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일(328-334) 및/또는 브릿지(302)가 구부러지고 및 비틀리거나, 화학적으로 분쇄(chemically milled)되거나 하여 레일(328-334) 및 브릿지(302)를 쉘(264, 266)로부터 제거할 수있다. 레일(328-334) 및 브리지(302)가 제거되면, 조립된 캐비티 삽입부(188)는 하나 이상의 절단 영역(cut region, 360)을 가질 수 있다. 절단 영역(360)은 쉘(264, 266)로부터 레일(328-334)을 제거하기 위해 트리밍이 발생한 영역을 가리킨다. 절단 영역(360)은 쉘(264, 266) 사이의 경계(267)에 위치할 수 있다. 절단 영역(360)은, 원통 형상의 둘레를 갖는 캐비티 삽입부(188)를 따라 만곡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외부 컨택트(184)가 캐비티 삽입부(188) 내에 있을 때, 외부 컨택트(184)의 정합 세그먼트(240)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제2 커넥터 조립체(104, 도 1에 도시됨)를 외부 하우징(192, 도 2)에 적재하는 동안 및/또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를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도 1)에 적재하는 동안 접촉 빔(228)을 보호하기 위해,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250)에서 외부 컨택트(184)의 정합 세그먼트(240) 주변을 에워 싸는 슬리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후방 단부(25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단면도이다.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는 외부 하우징(192)의 후방부(292)로부터 적재 방향(368)을 따라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 내로 적재된다. 캐비티 삽입부(188)의 후방 플랜지(258)는 외부 하우징(192)의 내면(372)을 따라 숄더(370)와 접촉하여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가 적재 방향(368)으로 더욱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테이너(194)의 암(374)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제1 홈(260) 내에서 전방 플랜지(256)와 중간 플랜지(257) 사이에 수용된다. 리테이너(194)의 암(374)은 제2 커넥터 부조립체(196)의 리테이너(194)에 대한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전방 플랜지(256) 및/또는 중간 플랜지(257)와 접촉한다. 리테이너(194)는 외부 하우징(192)에 결합되고, 따라서 리테이너(194)는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부 하우징(192)의 공동(198)에 고정하여 공동(198) 내 부조립체(196)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 시킨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가 제2 커넥터 조립체(104)에 정합될 때 외부 하우징(192)의 래칭부(124) 및/또는 제1 커넥터 조립체(도 1)의 래칭부(122, 도1)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제2 홈(262)에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컨택트(184)의 제1 숄더(224)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나팔형 전방 단부(flared front end, 376)와 결합하고, 제2 숄더(225)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나팔형 후방 단부(flared rear end, 378)와 결합하여, 부착된 케이블(108), 외부 페룰(186), 유전체(182) 및 중앙 컨택트(180)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부 컨택트(184)의 축 방향 위치를 캐비티 삽입부(188) 및 외부 하우징(192)에 대하여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부 컨택트(184)의 정합 세그먼트(240)와 종단 세그먼트(236)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예들(및/또는 그들의 측면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수, 재료의 유형,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량 및 위치는 특정 실시 예의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서, 이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 예들일 뿐이다.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 예 및 수정은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청구항에 대한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시스템 102: 제1 커넥터 조립체
104: 제2 커넥터 조립체 106, 108: 케이블
110: 정합 단부 112, 116: 케이블 단부
118, 120: 키잉부 122, 124: 래칭부

Claims (10)

  1.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0)에 종단되도록 구성되는 중앙 컨택트(180);
    상기 중앙 컨택트를 유지하는 유전체(182);
    상기 유전체 및 상기 중앙 컨택트를 둘러싸는 외부 컨택트(184) - 상기 외부 컨택트는 정합 단부(208)로부터 연장하는 정합 세그먼트(240), 케이블 단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236), 및 상기 정합 세그먼트와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를 갖고,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상기 케이블의 브레이드(braid, 174)에 종단되고,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 및 종단 세그먼트의 각 직경(244, 248)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 - ; 및
    상기 외부 컨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는 캐비티 삽입부(188) -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경계(267)에서 서로 결합되는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쉘(264) 및 폐쇄 쉘(266)은 상기 경계(267)에서 초음파 용접되는(ultrasonically welded), 커넥터 조립체(104).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통 형상이고(barrel-shaped), 상기 수용 쉘(264)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둘레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폐쇄 쉘(266)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둘레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250), 후방 단부(252) 및 상기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를 관통하는 채널(254)을 정의하는 내면(253)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컨택트(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되며, 상기 내면은 상기 정합 및 종단 세그먼트(240, 236) 각각의 직경(244, 248)보다 작은 직경(268)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104).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컨택트(180), 유전체(182), 외부 컨택트(184) 및 캐비티 삽입부(188)는 부조립체(196)를 정의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부조립체를 수용하는 공동(198)을 갖는 외부 하우징(19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 삽입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부조립체의 축 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56, 257, 258)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상기 캐비티 삽입부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플랜지들(256, 257) 사이에 형성되는 홈(260)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내부에 리테이너(194)의 암(374)을 수용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외부 하우징(192)과 결합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의 공동(198) 내에서 상기 부조립체(196)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택트(184)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240)를 상기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숄더(224) 및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상기 종단 세그먼트(236)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숄더(225)를 갖는, 단차를 갖는 통 형상(stepped barrel shape)으로 스탬프 성형되는, 커넥터 조립체(104).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상기 수용 쉘(264)은 제1 단부(31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쉘(266)은 제1 단부(320)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쉘의 제1 단부는 제1 이음매(352)에서 상기 폐쇄 쉘의 제1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수용 쉘의 제2 단부는 제2 이음매(354)에서 상기 폐쇄 쉘의 제2 단부와 결합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택트(184)의 종단 세그먼트(236)와 상기 케이브(108)의 브레이드(174)를 둘러싸는 외부 페룰(18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외부 페룰과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에 끼이며, 상기 외부 페룰은 크림프 되어 상기 종단 세그먼트를 상기 브레이드에 종단시키는, 커넥터 조립체(104).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택트(184)는 고정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상기 외부 컨택트의 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캐비티 삽입부에 대한 상기 외부 컨택트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상호 보완적인 고정부(234)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04).
KR1020177015527A 2014-11-12 2015-11-05 커넥터 조립체 KR101918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39,713 US9537231B2 (en) 2014-11-12 2014-11-12 Connector assembly
US14/539,713 2014-11-12
PCT/US2015/059128 WO2016077128A1 (en) 2014-11-12 2015-11-05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89A true KR20170082589A (ko) 2017-07-14
KR101918428B1 KR101918428B1 (ko) 2018-11-13

Family

ID=5454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527A KR101918428B1 (ko) 2014-11-12 2015-11-0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37231B2 (ko)
EP (1) EP3218965B1 (ko)
JP (1) JP6322340B2 (ko)
KR (1) KR101918428B1 (ko)
CN (1) CN106922204B (ko)
MA (1) MA40828A (ko)
MX (1) MX366291B (ko)
WO (1) WO20160771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38B1 (ko) * 2018-09-28 2020-02-10 현대자동차(주) 커넥터
KR20200045406A (ko) * 2018-10-19 2020-05-04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차폐 케이블 조립체 및 차폐 케이블용 전자기 차폐 단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650B2 (en) * 2016-01-22 2018-06-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O2017144071A1 (de) * 2016-02-26 2017-08-3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ssenleiteranordnung für einen koaxial-steckverbinder
US9667000B1 (en) * 2016-06-09 2017-05-30 Delphi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960550B2 (en) * 2016-07-25 2018-05-01 Delphi Technologies, Inc.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0008786B2 (en) * 2016-10-28 2018-06-26 Delphi Technologies, Inc. Coaxial-cable-assembly, ferr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750525B2 (ja) * 2017-02-02 2020-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雄側シールド端子
JP6855280B2 (ja) * 2017-02-28 2021-04-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
EP3410543B1 (en) 2017-05-31 2023-04-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plice connector assemblies
JP6913524B2 (ja) * 2017-06-14 2021-08-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同軸コネクタ
FR3079077B1 (fr) * 2018-03-16 2020-09-18 Raydiall Ensemble de connexion electrique a connecteur electrique monte et surmoule sur un cable electrique, procede de realisation associe
US10826234B2 (en) * 2018-04-23 2020-1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rect mount housing
EP3567681B1 (en) * 2018-05-08 2023-04-19 Amphenol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terminating a cable
US10700450B2 (en) 2018-09-21 2020-06-30 Winchester Interconnect Corporation RF connector
USD924143S1 (en) * 2018-10-29 2021-07-0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ion plug
EP3726667A1 (en) 2019-04-15 2020-10-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onnector for high-frequency transmissions in the automotive field, impedance improving element, connection assembly, method of improving the impedance in a connector
DE102020102059A1 (de) * 2020-01-29 2021-07-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or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Steckverbinderanordn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fektionieren eines elektrischen Kabels
US11239611B2 (en) * 2020-04-15 2022-02-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US11569609B2 (en) * 2020-07-22 2023-01-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able clamp and charging connector
DE102020119624B4 (de) * 2020-07-24 2024-05-2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Crimpen einer elektrischen Hf-Verbindungseinrichtung
US11394159B2 (en) 2020-09-04 2022-07-19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Positioning adapter for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7031723B1 (ja) * 2020-12-08 2022-03-08 Smk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22153116A (ja) 2021-03-29 2022-10-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1646510B2 (en) * 2021-04-29 2023-05-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ing electrical terminal with knurling on inner contact walls
JP2023004646A (ja) * 2021-06-28 2023-01-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US11824319B2 (en) 2022-02-10 2023-11-21 Aptiv Technologies AG Electrical cable terminal with two piece coaxial crimped outer ferrule
KR20240047903A (ko) 2022-10-05 2024-04-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38A (ja) * 1991-04-05 1994-03-11 Amp Inc 同軸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接続方法
KR940002226Y1 (ko) * 1991-05-11 1994-04-11 주식회사 한국전자진흥 동축케이블 콘넥터
US5704809A (en) * 1995-07-26 1998-01-06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34170A (ko) * 1998-01-15 2001-04-25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복구 가능한 커넥터와 방법
US20110139592A1 (en) * 2009-12-10 2011-06-1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ower adapter with switch
US20120202372A1 (en) * 2011-02-04 2012-08-09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58B2 (ja) * 1980-12-22 1984-03-28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同軸ケ−ブルのコネクタ−
US5037328A (en) 1990-05-31 1991-08-06 Amp Incorporated Foldable dielectric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US5195906A (en) * 1991-12-27 1993-03-23 Production Products Company Coaxial cable end connector
US5730622A (en) * 1996-06-06 1998-03-24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ax connector
US5695357A (en) * 1996-09-09 1997-12-09 Osram Sylvania Inc. Cable connector kit,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JP2001326034A (ja) * 2000-05-16 2001-1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6827615B2 (en) * 2001-06-01 2004-12-07 Panduit Corp. Terminal carrier cut-off design
DE20109367U1 (de) 2001-06-06 2001-10-04 Harting Automotive Gmbh & Co Gehäuse für einen Stecker, insbesondere für einen Antennenstecker
US6809265B1 (en) * 2003-04-15 2004-10-26 Delphi Technologies, Inc. Terminal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JP4543410B2 (ja) 2005-06-09 2010-09-15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DE102011076881A1 (de) * 2011-06-01 2012-12-06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kammereinsatz, verfahren zum herstellen und/oder bestück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seinrichtung,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und elektrischer verbind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38A (ja) * 1991-04-05 1994-03-11 Amp Inc 同軸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接続方法
KR940002226Y1 (ko) * 1991-05-11 1994-04-11 주식회사 한국전자진흥 동축케이블 콘넥터
US5704809A (en) * 1995-07-26 1998-01-06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34170A (ko) * 1998-01-15 2001-04-25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복구 가능한 커넥터와 방법
US20110139592A1 (en) * 2009-12-10 2011-06-1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ower adapter with switch
US20120202372A1 (en) * 2011-02-04 2012-08-09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38B1 (ko) * 2018-09-28 2020-02-10 현대자동차(주) 커넥터
US10873152B2 (en) 2018-09-28 2020-12-22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KR20200045406A (ko) * 2018-10-19 2020-05-04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차폐 케이블 조립체 및 차폐 케이블용 전자기 차폐 단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4032A1 (en) 2016-05-12
MA40828A (fr) 2017-09-20
CN106922204A (zh) 2017-07-04
KR101918428B1 (ko) 2018-11-13
WO2016077128A1 (en) 2016-05-19
JP6322340B2 (ja) 2018-05-09
MX366291B (es) 2019-07-04
CN106922204B (zh) 2020-03-03
EP3218965A1 (en) 2017-09-20
JP2017534154A (ja) 2017-11-16
US9537231B2 (en) 2017-01-03
EP3218965B1 (en) 2020-09-30
MX2017006135A (es)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428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073370B1 (ko) 커넥터 조립체
EP3108544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6688903B2 (ja) ツーピースキャビティインサー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8366483B2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US8029324B1 (en) RF connector assembly
JP3356301B2 (ja) 同軸コンタクト及びそれの同軸ケーブルへの接続方法
US7980894B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cable receptor with an outer contact
US7785129B2 (en) RF connector having sealing member
US9882317B1 (e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EP1548899A1 (en) A shielded connector
EP2761700B1 (en) Shiel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hield connector
KR102627870B1 (ko) 커넥터 조립체
US20200235531A1 (en) Shield connector and male shield terminal
JP6994880B2 (ja) 回転可能なハウジング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コネクタ
US20180090891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