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370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370B1
KR102073370B1 KR1020187023970A KR20187023970A KR102073370B1 KR 102073370 B1 KR102073370 B1 KR 102073370B1 KR 1020187023970 A KR1020187023970 A KR 1020187023970A KR 20187023970 A KR20187023970 A KR 20187023970A KR 102073370 B1 KR102073370 B1 KR 10207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ontact
outer contact
cavity insert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686A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임스 레인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0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93Moulded interconnect devices, i.e. moulded articles provided with integrated circuit tr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외측 접촉부(184)와 캐비티 삽입부(188)를 포함한다. 외측 접촉부는, 정합 세그먼트(240), 종단 세그먼트(236), 및 정합 세그먼트와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를 갖는다. 정합 세그먼트는 정합 커넥터 조립체의 정합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삽입부는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캐비티 삽입부는 오버몰드 본체(306)를 갖는다. 오버몰드 본체의 내면은, 외측 접촉부의 외면과 맞물리고,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외면의 윤곽을 따른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본원의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F) 커넥터 조립체는, 군사용 응용분야와 자동차 응용분야를 포함한 수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RF 커넥터 조립체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안테나, 무전기, 이동 전화,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이다.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 조립체, 특히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해, 소정의 업계 표준이 확립되었다. 이러한 표준들 중 하나는 FAKRA라고 하며, 이는 독일어 Fachnormenausschuss Kraftfahrzeugindustrie의 약자이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에서의 국제 표준화 관심사를 나타내는 독일 표준 협회의 자동차 표준 위원회이다. FAKRA 표준은, 적절한 커넥터 부착을 위해 키잉 및 색상 코딩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정한 잭 키는 FAKRA 커넥터의 유사한 플러그 키 경로에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안전한 위치설정과 고정은, 잭 또는 제1 조립체의 하우징 상의 FAKRA 정의된 캐치 및 플러그 또는 제2 조립체의 하우징 상의 협력 래치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중에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외측 접촉부를 포함한다. 캐비티 삽입부(cavity insert)라고 하는 어댑터는,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외측 접촉부를 보유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는 동일한 외측 접촉부가 다양하고 상이한 외측 하우징과 양립될 수 있게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캐비티 삽입부의 제조 및 캐비티 삽입부와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에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는 다수의 캐비티 삽입부를 유지하는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 상에 몰딩될 수 있다. 몰딩 공정 후에,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 상에 있는 캐비티 삽입부는 운반을 위해 캐비티 삽입부를 패키징하도록 릴링(reel)된다. 커넥터 조립체의 외측 접촉부도 캐리어 스트립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형성 후에 릴링될 수 있어서, 외측 접촉부와 캐비티 삽입부 모두의 릴들은, 대응하는 외측 접촉부 상에 캐비티 삽입부를 탑재하도록 풀리지 않는다. 이어서, 조립 공정의 다음 단계를 위해 또는 고객에게 출하하기 위해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 상에 외측 접촉부의 캐비티 삽입부 조합을 다시 릴링할 수 있다.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은 내구성이 좋지 않으며, 반복되는 릴링 및 릴링 해제 단계는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의 손상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캐비티 삽입부에 대한 다른 문제점은, 통상적으로 캐비티 삽입부가 외측 접촉부를 둘러싸고 또한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끼워지도록 캐비티 삽입부의 허용가능 치수가 엄격히 제한된다는 점이다. 외측 접촉부의 단부의 직경에 따라, 캐비티 삽입부는, 외측 접촉부의 단부에 끼워지지 않아 외측 접촉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위치로 활주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접촉부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외측 접촉부의 캐리어 스트립에 고정될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은, 캐리어 스트립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외측 접촉부 상으로 캐비티 삽입부가 탑재되는 능력을 차단할 수 있다.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에 대한 내구성 문제 및 외측 접촉부 둘레에 캐비티 삽입부를 끼워 탑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여전히 필요하다.
해결책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측 접촉부와 캐비티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외측 접촉부는, 정합 세그먼트, 종단 세그먼트, 및 정합 세그먼트와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를 갖는다. 정합 세그먼트는 정합 커넥터 조립체의 정합 외측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삽입부는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캐비티 삽입부는 오버몰드 본체를 갖는다. 오버몰드 본체의 내면은, 외측 접촉부의 외면과 맞물리고,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외면의 윤곽을 따른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커넥터 조립체와 제2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외측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접촉부 상에 탑재된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캐비티 삽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삽입부와 외측 접촉부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커넥터 조립체(102)와 제2 커넥터 조립체(10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와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이들 간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게끔 함께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중심 접촉부 및 외측 접촉부는, 커넥터 조립체(102, 104)를 가로지르는 도전성 신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각 중심 접촉부 및 외측 접촉부와 맞물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중심 접촉부는, 정합 단부(114)에서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중심 접촉부의 소켓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핀을 정합 단부(110)에서 갖는다. 대안으로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가 핀을 가질 수 있고, 제1 커넥터 조립체(102)가 핀을 수용하는 소켓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와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FAKRA 커넥터를 구성한다. FAKRA 커넥터는, FAKRA 자동차 전문가 그룹이 확립한 균일한 커넥터 시스템의 표준을 준수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RF 커넥터이다. FAKRA 커넥터는, 자동차 응용분야의 높은 기능 및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표준화된 키잉 시스템과 고정 시스템을 갖는다. FAKRA 커넥터는, 스냅-온 결합을 특징으로 하며 50, 75, 93, 및/또는 125 Ohms와 같은 특정 임피던스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초소형 버전 B 커넥터(SMB 커넥터)를 기반으로 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FAKRA 커넥터 이외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정합 중,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단부(110)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정합 단부(114) 내로 플러깅된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대응 래칭 기능부(124)와 맞물려 커넥터 조립체들(102, 104) 간의 정합 연결을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된 래칭 기능부(12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칭 기능부(122)는 캐치이고, 래칭 기능부(124)는 제1 및 제2 커넥터 조립체(102, 104)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캐치와 맞물리는 래치이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케이블(106)에 종단되는 케이블 단부(112)를 갖는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마찬가지로 케이블(108)에 종단되는 케이블 단부(116)를 갖는다. 케이블(106, 108)은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06, 108)은 RG-59, RG-62, RG-71 유형 등의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106, 108)을 따라 전송되는 신호는, 제1 및 제2 커넥터 조립체가 정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커넥터 조립체(102, 104)를 통해 전달된다.
제1 커넥터 조립체(102)는 하나 이상의 키잉 기능부(118)를 갖는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키잉 기능부(118)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잉 기능부(120)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키잉 기능부(118)는 리브이고,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대응하는 키잉 기능부(120)는 리브를 수용하는 채널이다. 키잉 기능부(118, 1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형상, 크기, 및/또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키잉 기능부(118, 120)는 FAKRA 커넥터 표준의 표준화된 설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분해도이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중심 접촉부(180), 유전체(182), 외측 접촉부(184), 캐비티 삽입부(188), 및 외측 하우징(192)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에 종단되는 케이블(108)도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108)을 제2 커넥터 조립체(104)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조립체(104)는,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앞에서 열거된 구성요소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은 제2 커넥터 조립체(104)에 관한 것이지만, 설명은 제1 커넥터 조립체(102)(도 1에 도시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108)은 유전층(172)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도전체(170)를 갖는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유전층(172)을 둘러싼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케이블(108)의 길이를 따라 중심 도전체(170)에 대한 차폐를 제공한다. 케이블 자켓(176)은, 외부 힘과 오염으로부터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둘러싸고, 케이블 브레이드(174), 유전층(172), 및 중심 도전체(170)를 보호한다.
중심 접촉부(180)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중심 접촉부(18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핀 접촉부를 수용하고 이러한 핀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소켓 접촉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 중심 접촉부(180)는 다른 유형의 접촉부일 수 있다. 중심 접촉부(180)는 케이블(108)의 중심 도전체(170)에 종단된다. 예를 들어, 중심 접촉부(180)는 중심 도전체(170)에 크림핑될 수 있다.
유전체(182)는, 중심 접촉부(180)를 수용 및 유지하고, 또한 케이블(108)의 중심 도체(170)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유전체(182)는 조립 중에 외측 접촉부(184) 내에 수용된다. 유전체(182)는 외측 접촉부(184)로부터 중심 접촉부(18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유전체(182)는 전방(200)과 후방(202) 사이에서 연장된다. 유전체(182)는 중심 접촉부(180)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티(204)를 갖는다. 유전체(182)는 유전체(18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06)를 포함한다. 플랜지(206)는 외측 접촉부(184) 내에 유전체(182)를 위치시키고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외측 접촉부(184)는 유전체(182)(및 내부의 중심 접촉부(180))를 둘러싼다. 외측 접촉부(184)는 예컨대 전자기 간섭 또는 무선 주파수 간섭으로부터 중심 접촉부(180)를 차폐한다. 외측 접촉부(184)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는, 금속의 패널 또는 시트와 같이 대체로 편평한 워크피스에 의해 스탬핑되고 형성된다. 외측 접촉부(184)는, 케이블 브레이드(174) 또는 케이블(108)의 다른 도전성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접촉부(184)의 적어도 축방향 일부를 따라 외측 접촉부(184)의 둘레를 둘러싼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하우징(192) 내에 수용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하우징(192) 내에 외측 접촉부(184)를 유지시키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하우징(192)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외경을 가질 수 있어서,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하우징(192)과 맞물리고 외측 하우징(192) 내에 고정된다.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측 둘레는 외측 접촉부(184)와 맞물리며 외측 접촉부(184)를 캐비티 삽입부(188)에 고정한다. 따라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하우징(192)의 외측 접촉부(184)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다수의 상이한 외측 접촉부가 단일 외측 하우징 내에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및/또는 단일 외측 접촉부가 다수의 상이한 외측 하우징 내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어댑터 부재일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다른 중합체와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접촉부(180), 유전체(182), 외측 접촉부(184), 및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하우징(192) 내로 탑재되도록 구성된 접촉 부조립체(196)를 한정한다. 접촉 부조립체(196)는,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외측 하우징(192) 내에 일체형으로 탑재될 수 있다. 접촉 부조립체(196)는, 중심 접촉부(180)를 유전체(182)의 캐비티(204) 내에 탑재하고 캐비티 삽입부(188)에 의해 둘러싸인 외측 접촉부(184) 내에 유전체(182)를 탑재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조립 순서는 하나의 특정 순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외측 하우징(192)은 접촉 부조립체(196)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티(198)를 한정한다. 보유지지부(194)는, 외측 하우징(192)에 설치되어 캐비티(198) 내에 접촉 부조립체(196)를 유지하고 위치 보증을 제공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92)은 전방(290)과 후방(292) 사이에서 연장된다. 보유지지부(194)는 외측 하우징(192)의 측면(294)을 통해 탑재된다.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래칭 기능부(124)는 외측 하우징(192)의 최상부(296)를 따라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최상부", 또는 "최하부"와 같은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는, 참조되는 요소들을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되며, 반드시 커넥터 시스템(100)(도 1에 도시함)에서, 커넥터 조립체(104)에서, 또는 주변 환경에서 특정 위치나 배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외측 하우징(192)은 대략 박스 형상의 외측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는 외측 하우징(192)을 통해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어이다. 캐비티(198)는, 캐비티 삽입부(188) 및/또는 접촉 부조립체(196)의 다른 구성요소를 맞물고 유지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단차, 숄더, 및/또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108)과 외측 접촉부(184)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와 외측 접촉부(184)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외측 페룰(186)은, 또한, 케이블(108)을 외측 접촉부(184)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계면에서 응력 완화를 제공한다. 외측 페룰(186)은, 예컨대 바이패스 크림프 또는 다른 유형의 크림프를 통해 케이블 브레이드(174)와 케이블(108)의 케이블 자켓(176) 모두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측 페룰(186)은 평평한 워크피스에 의해 스탬핑되고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페룰(186)은 개방된 최상부(274)를 갖는 개방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108)과 외측 접촉부(184)를 내부에 수용하는 채널(276)을 한정한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외측 접촉부(184)에 크림핑하도록 구성된 외측 페룰(186)의 전방(270)에 브레이드 세그먼트(278)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 자켓(176)과 맞물려 응력 및 변형 완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외측 페룰(186)의 후방(272)에 있는 자켓 세그먼트(280)도 포함한다. 외측 페룰(186)은 케이블(108) 상의 외측 페룰(186)의 그립을 향상시키는 홈 또는 톱니 모양부(286)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104)(도 2에 도시됨)의 외측 접촉부(184)의 사시도이다. 외측 접촉부(184)는 전방(210)과 후방(214) 사이에서 연장된다. 외측 접촉부(184)는, 전방(210)과 후방(214) 간의 외측 접촉부(184)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216)을 한정한다. 외측 접촉부(184)는 대략 원통 형상일 수 있지만, 외측 접촉부(184)의 상이한 세그먼트 또는 부분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접촉부(184)는 상이한 축방향 일부를 따라 상이한 직경으로 단차형으로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는 정합 세그먼트(240), 종단 세그먼트(236), 및 중간 세그먼트(242)를 포함한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정합 세그먼트(240)와 종단 세그먼트(236) 사이에 배치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전방(210)으로부터 중간 세그먼트(242)까지 연장된다. 종단 세그먼트(236)는 후방(214)으로부터 중간 세그먼트(242)까지 연장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외측 접촉부(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합 세그먼트(240)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외측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복수의 편향가능한 접촉 빔(228)을 포함한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외측 접촉부(184)의 채널(216) 내에 정합 외측 접촉부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충분히 큰 외경(244)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빔(228)은, 접촉 빔(228)이 정합 외측 접촉부와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채널(21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바이어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합 세그먼트(240)는, 외측 접촉부(184)를 (도 2에 도시한) 외측 하우징(192) 내에 탑재하는 동안 및/또는 제1 커넥터 조립체(102)와의 정합 동안 접촉 빔(22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 빔(228)의 앞에 위치하는 전방(210)에 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정합 세그먼트(240)는, 또한, 채널(216) 내로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1)는, 접촉 빔들(228)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 있으며, 접촉 빔(228)과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외측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정합 세그먼트(240)의 뒤에 있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캐비티 삽입부(188)(도 2에 도시됨)에 의해 둘레에서 둘러싸이도록 구성된다. 중간 세그먼트(242)는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조(2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능부(232)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한 외측 접촉부(184)의 축방향 배향과 회전 배향을 유지하기 위해 캐비티 삽입부(188) 상의 상보적 고정 기능부(234)(도 4에 도시됨)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 기능부(232)는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위치설정 탭일 수 있다. 위치설정 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 삽입부(188)의 고정 기능부(234)를 형성하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애퍼처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고정 기능부(232)는 외측 접촉부(184)의 채널(216)을 향해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242)는 정합 세그먼트(240)의 외경(244)보다 작은 외경(246)을 갖는다. 직경(246)은,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하우징(192)(도 2)의 캐비티(198)(도 2) 내에 끼워지는 동안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가 캐비티 삽입부(188)(도 2에 도시됨)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이 정합 세그먼트(240)에 비해 감소되지 않는다면,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접촉부(184) 위에 끼워져 외측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더욱 큰 지경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더욱 큰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 내에 적절하게 끼워지지 않게 된다.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의 크기는 산업 표준 및 규격에 기초하여 미리 한정될 수 있으므로, 더욱 큰 캐비티 삽입부(188)를 수용하도록 캐비티(198)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실현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은,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하우징(192)의 미리 한정된 캐비티(198)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좁은 범위의 크기로 제한된다.
종단 세그먼트(236)는 케이블(108)의 케이블 브레이드(174)(도 2)와 같은 케이블(108)(도 2에 도시됨)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종단 세그먼트(236)는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보다 큰 외경(248)을 갖는다.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248)은 외측 접촉부(184)에 종단되는 케이블(108)의 크기 또는 게이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236)는, 더욱 큰 크기의 케이블(108)을 수용하기 위해 중간 세그먼트(242)의 직경(246)보다 큰 직경(248)을 가질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248)은, 외측 접촉부(184)가 큰 직경의 케이블(108) 및 외측 하우징(192)(도 2)의 미리 한정된 캐비티(198)(도 2) 내에 끼워지는 작은 직경의 캐비티 삽입부(188)(도 2에 도시됨) 모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은 정합 세그먼트(240)와 종단 세그먼트(236)의 각 외경(244, 248) 모두보다 작다. 외측 접촉부(184)는, 길이를 따라 단차형으로 형성되어 제1 숄더(224) 및 제2 숄더(225)를 한정한다. 제1 숄더(224)는 정합 세그먼트(240)를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분리한다. 제2 숄(225)는 중간 세그먼트(242)를 종단 세그먼트(236)로부터 분리한다. 외측 접촉부(184)의 전방(210)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숄더(224)는 정합 세그먼트(240)에서 중간 세그먼트(242)로 단차식으로 내려가고, 제2 숄더(225)는 중간 세그먼트(242)에서 종단 세그먼트(236)로 단차식으로 올라간다. 대체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은, 각 정합 세그먼트(240)와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244, 248) 중 적어도 하나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측 접촉부(184)는 채널(216)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지지 탭(226)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지지 탭(226)은, 유전체(182)를 외측 접촉부(184) 내에 유지하기 위해 조립 중에 채널(216) 내에 탑재되는 유전체(182)(도 2에 도시됨)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182)가 채널(216) 내로 탑재되는 경우, 플랜지(206)(도 2)는 보유지지 탭(226)과 제1 숄더(224) 사이의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플랜지(206)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제1 숄더(224)와 맞물릴 수 있고, 플랜지(206)의 전방을 향하는 면은 보유지지 탭(226)과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206)는, 외측 접촉부(184)에 대한 유전체(182)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숄더(224)와 보유지지 탭(226) 사이에 포획된다. 외측 접촉부(184)에 유전체(182)를 위치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대체 실시예에서는 다른 유형의 고정 또는 위치설정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는 평평한 시트 또는 패널과 같은 워크피스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스탬핑되고 형성된다. 워크피스는, 구리, 은, 또는 다수의 상이한 금속의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워크피스는 제1 단부(218) 및 제2 단부(220)를 갖는다. 제1 및 제2 단부(218, 220)는, 제1 및 제2 단부(218, 220)가 서로 대향될 때까지 원통 형상으로 서로를 향해 휘어지고 압연될 수 있다. 이음부(seam; 222)는 제1 및 제2 단부(218, 220)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다. 이음부(222)는 외측 접촉부(184)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고 내측 채널(216)에 유체 결합된다. 제1 및 제2 단부(218, 220)는 이음부(222)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218, 220)는 이음부(222)에서 함께 고정되어 배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부(220)는, 제1 단부(218)에 한정된 또는 그 반대로 한정된 상보적 컷아웃 포켓(190) 내에 수용되고 보유지지되는 탭(178)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탭(178)과 포켓(190)은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축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제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는, 스탬핑되고 형성되기보다는 다이 캐스팅, 압출, 스크류 가공 등의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음부(222)는 제1 및 제2 단부(218, 220) 간의 종단 세그먼트(236)를 따라 갭(238)을 한정한다. 갭(2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갭(238)의 크기는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을 변경하도록 가변적이다. 갭(238)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종단 세그먼트(236)의 직경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중심 접촉부(180)와 외측 접촉부(184)와 외측 접촉부(184) 간의 커패시턴스에 영향을 미치고 임피던스를 제어하게 된다. 갭(238)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외측 페룰(18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236) 둘레로 외측 페룰(186)을 크림핑함으로써,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는 갭(238)을 감소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는 캐리어 스트립(208)에 고정된다. 캐리어 스트립(208)은 외측 접촉부(184)와 같이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외측 접촉부(184)는 캐리어 스트립(208)과 일체형일 수 있다. 외측 접촉부(184) 이외에도, 캐리어 스트립(208)은, 캐리어 스트립(208)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측 접촉부(도시되지 않음)를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측 접촉부는, 커넥터 조립체(104)(도 2에 도시됨)의 외측 접촉부(18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외측 접촉부(184)는, 동일한 캐리어 스트립(208) 상의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유사한 외측 접촉부와 함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접촉부(184)는, 외측 접촉부(184)를 외측 하우징(192)(도 2에 도시됨) 내에 삽입하기 전에 및/또는 외측 접촉부(184)를 케이블(108)(도 2)에 종단하기 전에 캐리어 스트립(208)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스트립(208)은 외측 접촉부(184)의 종단 세그먼트(236)에 결합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하여, 캐리어 스트립(208)은 외측 접촉부(184)의 정합 세그먼트(2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측 접촉부(184) 상에 탑재된 제2 커넥터 조립체(104)(도 2에 도시됨)의 캐비티 삽입부(188)의 사시도이다. 유전체(182)는 외측 접촉부(184)의 채널(216) 내에 도시되어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전방 단부(302)와 후방 단부(304)를 포함한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가 중간 세그먼트(242)의 둘레 주위로 연장되도록 중간 세그먼트(242)를 둘러싼다. 선택적으로, 캐비티 삽입부(188)는, 중간 세그먼트(242)에 더하여 외측 접촉부(184)의 종단 세그먼트(236) 및/또는 정합 세그먼트(24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오버몰드 본체(306)를 갖는다. 오버몰드 본체(306)에는 이음부가 없다. 오버몰드 본체(306)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영역을 갖는 배럴 형상이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내면(308)을 갖는다. 내면(308)은,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과 맞물리고,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외면(254)의 윤곽을 따른다.
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접촉부(184) 상의 제 위치에서(in situ) 형성되도록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 둘레에 몰드를 배치하고 몰드 내에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외측 접촉부(184) 둘레에 몰딩될 수 있다.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는, 몰드와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 사이의 공간에서 다양한 구석(nook)과 틈으로 흐를 수 있다.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각된 후, 이음부 없는 오버몰드 본체(306)를 형성하고, 몰드가 중간 세그먼트(24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오버몰딩 공정으로 인해,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의 실질적인 전체가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188)가 외측 접촉부(184) 둘레에 몰딩되므로, 내면(308)이,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 둘레에 형성되고 그 외면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오버몰드 본체(306)의 실질적으로 전체 내면(308)이 외면(254)과 맞물리고, 외측 접촉부(184)과 캐비티 삽입부(188) 사이에 방사상 틈새가 없거나 거의 없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접촉부(184) 상의 제 위치에서 오버몰딩되므로, 캐비티 삽입부(188)는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에 결코 결합될 수 없다. 오버몰딩된 캐비티 삽입부(188)는, 파괴를 야기할 수 있는 견고성과 탄력성의 부재 및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캐비티 삽입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 조립 단계에 대한 필요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에 연관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 둘레로 방사상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오버몰드 본체(306)의 외면(310)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는, 외측 하우징(192)(도 2에 도시됨) 내에 수용되어 외측 하우징(192)의 면과 맞물려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도 2) 내에서 접촉 부조립체(196)(도 2)의 축방향 위치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적어도 전방 플랜지(312), 중간 플랜지(314), 및 후방 플랜지(316)를 포함한다. 플랜지(312 내지 316)는 각각 캐비티 삽입부(188)의 전방 단부(302), 축방향 중간 지점, 및 후방 단부(304)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고 인식된다. 예를 들어, 중간 플랜지(314)는 후방 단부(304)보다 전방 단부(302)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플랜지(312 내지 316)는,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홈(318)은 전방 플랜지(312)와 중간 플랜지(3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320)은 중간 플랜지(14)와 후방 플랜지(31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부조립체(196)가 외측 하우징(192) 내에 탑재되는 경우, 보유지지부(194)(도 2)의 일부는 제1 홈(260) 내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192) 내에 캐비티 삽입부(188)를 유지하도록, 보유지지부(194)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중간 플랜지(314)와 맞물릴 수 있고, 보유지지부(194)의 전방을 향하는 면은 전방 플랜지(312)와 접촉할 수 있다.
내면(308)은, 대략 원통 형상이며,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경(322)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경(322)은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의 외경(246)(도 3에 도시됨)과 대략 동일하다. 내경(322)은 최소 직경을 갖는 오버몰드 본체(306)의 축방향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경(322)은 정합 세그먼트(240)의 외경(244)(도 3에 도시됨)과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248)(도 3) 모두보다 작을 수 있다. 내경(322)이 중간 세그먼트(242)를 양측에서 지지(bookend)하는 정합 세그먼트(240)와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들(244, 248) 모두보다 작으므로,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측 접촉부(184)의 전방(210) 또는 후방(214) 위로 활주시킴으로써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측 접촉부(184) 상에 탑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캐비티 삽입부가 개별적으로 몰딩되고 전방(210) 및/또는 후방(214)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면, 내경이 증가되어야 하며, 이것은 캐비티 삽입부의 크기를 캐비티 삽입부가 외측 하우징(192)(도 2)의 캐비티(198)(도 2) 내에 적절하게 끼워지기 위한 매우 큰 크기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외측 접촉부(184) 상의 제 위치에서 오버몰딩되며, 이는 외측 접촉부(184)의 단부 위에 예비 몰딩된 캐비티 삽입부(188)를 끼워 넣는 문제를 피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248)(도 3에 도시됨)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경(322)보다 크지 않다(반면 정합 세그먼트(240)의 외경(244)은 내경(322)보다 크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세그먼트(236)는 캐리어 스트립(208)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예비 몰딩된 캐비티 삽입부는 여전히 종단 세그먼트(236)에 끼워지지 않는다. 캐리어 스트립(208)은 다양한 조립 단계 동안 많은 외측 접촉부를 함께 유지하도록 패키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외측 접촉부(184) 상에 탑재될 예비 몰딩된 캐비티 삽입부를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캐리어 스트립(208)으로부터 외측 접촉부(184)를 조기에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스트립이 미리 형성된 캐비티 삽입부를 외측 접촉부(184) 상에 탑재하는 것에 간섭하는 문제를 피하도록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 상의 제 위치에서 캐비티 삽입부(188)의 오버몰드 본체(306)를 오버몰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삽입부(188)와 외측 접촉부(184)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일부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전방 플랜지(312)와 후방 플랜지(316) 사이의 캐비티 삽입부(188)의 축방향 길이 및 중간 세그먼트(242)(도 4에 도시됨)를 따른 외측 접촉부(184)의 축방향 길이를 도시한다. 도 5는, 캐비티 삽입부(188)의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이 어떻게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의 윤곽과 맞물리고 이러한 윤곽을 따르는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의 실질적인 전체는 외측 접촉부(184)의 프로파일을 따라 외면(254)과 맞물린다. 따라서,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측 프로파일은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의 프로파일에 의해 한정된다. 플랜지(312 내지 316)를 포함하는 오버몰드 본체(306)의 외측 프로파일은, 중간 세그먼트(242)의 둘레 주위에 오버몰드 본체(306)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의 프로파일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오버몰드 본체(306)는,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측 접촉부(184)에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고정하도록 외측 접촉부(184)의 하나 이상의 고정 기능부(232)의 윤곽을 따른다. 따라서, 일단 오버몰드 본체(306)가 외측 접촉부(184)를 둘러싸면, 외측 접촉부(184)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해 회전 또는 병진 이동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도 4에 도시됨)는 돌출부(232A)와 함몰부(232B)를 포함하는 2개의 고정 기능부(232)를 포함한다. 함몰부(232B)가 (외측 접촉부(184)의 채널(216)을 향해)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고 돌출부(232A)가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지만, 양측 고정 기능부(232)는 외면(254)으로부터 연장된다. 돌출부(232A)는 또한 도 4의 돌출부(232)로서 도시되어 있다. 캐비티 삽입부(188)의 형성 중, 오버몰드 본체(306)는, 함몰부(232B)를 재우고,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측 접촉부(184)에 고정하는 돌출부(232A)의 적어도 대부분을 둘러싼다. 함몰부(232B)를 채우고 돌출부(232A)를 둘러싸는 오버몰드 본체(306)의 부분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고정 기능부(234)를 형성한다. 고정 기능부(232, 234)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캐비티 삽입부(188) 또는 외측 접촉부(184)는 (구성요소(184, 188)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캐비티 삽입부(188)는 캐비티 삽입부(188)에 대한 외측 접촉부(184)의 위치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접촉부(184)는, 외측 접촉부(184)의 제1 및 제2 단부(218, 220)(도 3) 사이의 계면에서 이음부(222)(도 3에 도시됨)를 한정할 수 있다. 외측 접촉부(184)는, 외측 접촉부(184)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고 채널(216)에 유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다른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구멍 또는 다른 개구는 이음부(222)에 추가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이음부의 대안일 수 있다. 이음부(222) 및/또는 구멍은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그러나, 어느 것도 도 5의 단면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선택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04)(도 2에 도시됨)는,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과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면(308)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도 4에 도시됨)를 따라 배치되는 충전 층(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충전 층은, 캐비티 삽입부(188)의 오버몰드 본체(306)가 이음부(222) 및/또는 구멍을 통해 채널(216) 내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음부(222) 및/또는 구멍을 막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충전 층은, 오버몰드 본체(306)를 외측 접촉부(184)에 몰딩하기 전에 외면(254)에 도포될 수 있다.
충전 층은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가 채널(216)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이렇게 흐르는 것은 예를 들어 채널(216) 내로의 유전체(182)의 적절한 삽입을 차단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104)의 조립에 간섭할 수 있다. 충전 층은, 이음부(222) 및/또는 구멍에 직접 도포되어 개구를 충전하는 땜납 또는 에폭시일 수 있다. 충전 층은, 대안으로, 중간 세그먼트(242)의 둘레 둘레에 도포된 다음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외면(254)과 일치하도록 수축되는 열 수축 튜브일 수 있다. 충전 층을 도포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측 접촉부(184)의 제1 및 제2 단부(218, 220)는, 단부(218, 220) 사이의 계면에서 이음부(222)를 충전하도록 함께 중첩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조립체(104)의 단면도이다. 조립 중에, 접촉 부조립체(196)는, 탑재 방향(368)으로 외측 하우징(192)의 후방(292)으로부터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 내로 탑재된다. 캐비티 삽입부(188)의 후방 플랜지(316)는, 외측 하우징(192)의 내면(372)을 따라 숄더(370)와 접촉하여 탑재 방향(368)으로의 접촉 부조립체(196)의 추가 이동을 방지한다. 보유지지부(194)의 아암(374)은, 전방 플랜지(312)와 중간 플랜지(314) 사이의 캐비티 삽입부(188)의 제1 홈(318) 내에 수용된다. 보유지지부(194)의 아암(374)은, 보유지지부(194)에 대한 접촉 부조립체(196)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전방 플랜지(312) 및/또는 중간 플랜지(314)와 접촉한다. 보유지지부(194)는 외측 하우징(192)에 결합되어, 보유지지부(194)가 캐비티 삽입부(188)를 외측 하우징(192)의 캐비티(198)에 고정하여 캐비티(198) 내에서 부조립체(196)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한다. 보유지지부(194)는, 또한, 접촉 부조립체(196)가 완전히 탑재되고 제1 홈(318)이 보유지지부(194)의 아암(374)과 정렬되지 않는 한 보유지지부(194)가 외측 하우징(192)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위치 보증을 제공한다.
도 7은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400)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방법(400)은, 제1 커넥터 조립체(102) 및/또는 제2 커넥터 조립체(104)(양측 모두 도 1에 도시됨)를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402)에서는, 외측 접촉부를 형성한다. 평평한 워크피스를 스탬핑하고 구부림으로써 외측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워크피스는 채널을 한정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크피스는 캐리어 스트립에 고정될 수 있고, 형성된 외측 접촉부는 선택적으로 형성 단계 후에 캐리어 스트립에 고정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외측 접촉부는 정합 세그먼트, 종단 세그먼트, 및 정합 세그먼트와 종단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 중간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단계(404)에서는, 캐비티 삽입부가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도록 외측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 캐비티 삽입부를 오버몰딩한다. 캐비티 삽입부는, 외측 접촉부의 외면과 맞물리는 내면을 갖는다. 내면은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외면의 윤곽을 따른다. 캐비티 삽입부를 오버몰딩하는 단계는,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 둘레에 몰드를 위치시키고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를 몰드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열가소성 재료가 냉각된 후에 중간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냉각된 열가소성 재료는 캐비티 삽입부의 오버몰드 본체를 형성한다.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는, 이음부 및/또는 구멍이 외측 접촉부의 채널에 유체 결합되도록 외측 접촉부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이음부 또는 구멍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할 수 있다. 방법(400)은, 외측 접촉부 상에 캐비티 삽입부를 오버몰딩하기 전에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외측 접촉부의 외면에 충전 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층은, 캐비티 삽입부의 오버몰드 본체(예를 들어, 가열된 열가소성 재료)가 이음부 또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음부 또는 구멍 중 적어도 하나를 막는다. 충전 층의 도포는, 이음매 및/또는 구멍을 막기 위해 솔더링, 에폭시 도포, 또는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외측 접촉부의 외면에 열수축 튜브를 도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법(400)은, 캐비티 삽입물이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오버몰딩된 후에 외측 접촉부를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외측 접촉부는 후술하는 단계(406) 또는 단계(408) 후에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단계(406)에서는, 유전체와 중심 접촉부를 외측 접촉부의 채널 내에 탑재한다. 유전체는 채널 내의 중심 접촉부를 둘러싼다. 중심 접촉부, 유전체, 외측 접촉부, 및 캐비티 삽입부는 접촉 부조립체를 함께 한정한다. 단계(408)에서는, 조립된 접촉 부조립체를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탑재한다. 캐비티 삽입부의 오버몰드 본체는 캐비티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서 접촉 부조립체의 축방향 위치를 보유지지하도록 외측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방법(400)은 접촉 부조립체를 케이블에 종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접촉부와 외측 접촉부는 종단될 때 케이블의 상이한 도전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 양태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맞추도록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치수, 재료의 유형, 다양한 구성요소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의 개수와 위치는, 소정의 실시예의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의 다른 많은 실시예와 변형예는 상기한 설명을 검토하는 경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러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커넥터 조립체(104)로서,
    정합 세그먼트(240), 종단 세그먼트(236), 및 상기 정합 세그먼트와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242)를 갖는 외측 접촉부(184)로서, 상기 정합 세그먼트는 정합 커넥터 조립체(102)의 정합 외측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108)에 종단되도록 구성된, 외측 접촉부; 및
    상기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고, 오버몰드 본체(306)를 갖는 캐비티 삽입부(188)로서, 상기 오버몰드 본체의 내면(308)은 상기 외측 접촉부의 외면(254)과 맞물리며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상기 외면의 윤곽을 따르는, 캐비티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상기 정합 세그먼트(240)의 외경(244)보다 작고 상기 종단 세그먼트(236)의 외경(248)보다 작은 외경(246)을 갖고, 상기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경(322)은 상기 정합 세그먼트 및 상기 종단 세그먼트의 각 외경들보다 작은, 커넥터 조립체(104).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의 종단 세그먼트(236)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외측 접촉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측 접촉부를 유지하는 캐리어 스트립(208)에 고정된, 커넥터 조립체(10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오버몰드 본체(306)에는 이음부가 없는(seamless), 커넥터 조립체(10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184)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242)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정 기능부(232)를 포함하고, 각 고정 기능부는 상기 외면(254)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또는 함몰부이고, 상기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를 상기 외측 접촉부에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각 고정 기능부의 윤곽을 따르는, 커넥터 조립체(10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184)는, 유전체(182)와 중심 접촉부(180)를 내부에 수용하는 채널(216)을 한정하고, 상기 외측 접촉부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상기 외측 접촉부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채널에 유체 결합된 이음부(222) 또는 구멍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외측 접촉부의 외면(254)과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내면(308) 사이에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된 충전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층은,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오버몰드 본체(306)가 상기 이음부 또는 상기 구멍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를 막는, 커넥터 조립체(104).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드 본체(306)의 내면(308)의 전체가 상기 외측 접촉부(184)의 외면(254)과 맞물리는, 커넥터 조립체(104).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184)는, 유전체(182)와 중심 접촉부(180)를 내부에 수용하는 채널(216)을 한정하고, 상기 중심 접촉부, 상기 유전체,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접촉 부조립체(196)를 함께 한정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접촉 부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티(198)를 갖는 외측 하우징(19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오버몰드 본체(306)는, 상기 캐비티 삽입부의 외면(310)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312, 314, 316)를 한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캐비티 내의 상기 접촉 부조립체의 축방향 위치를 보유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104).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184)의 중간 세그먼트(242)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의 오버몰드 본체(306)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측 접촉부의 외면(254) 상의 제 위치에서 몰딩되는, 커넥터 조립체(104).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184)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티 삽입부(188)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104).
KR1020187023970A 2016-01-22 2016-12-20 커넥터 조립체 KR102073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03,966 US9991650B2 (en) 2016-01-22 2016-01-22 Connector assembly
US15/003,966 2016-01-22
PCT/US2016/067649 WO2017127199A1 (en) 2016-01-22 2016-12-20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86A KR20180104686A (ko) 2018-09-21
KR102073370B1 true KR102073370B1 (ko) 2020-02-04

Family

ID=5786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970A KR102073370B1 (ko) 2016-01-22 2016-12-20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91650B2 (ko)
JP (1) JP6719566B2 (ko)
KR (1) KR102073370B1 (ko)
CN (1) CN108475871B (ko)
DE (2) DE112016007671B4 (ko)
MX (1) MX2018008835A (ko)
WO (1) WO2017127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931B2 (en) * 2017-02-02 2018-12-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BE1025310B1 (de) * 2017-06-12 2019-01-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verstemmten Kontaktelementen
JP7038006B2 (ja) * 2017-12-21 2022-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8134288B (zh) * 2017-12-30 2023-12-26 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转接器
US10826234B2 (en) * 2018-04-23 2020-1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rect mount housing
US10862228B2 (en) * 2018-05-08 2020-12-08 Amphenol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terminating a cable
US10700450B2 (en) 2018-09-21 2020-06-30 Winchester Interconnect Corporation RF connector
EP3660986A1 (de) * 2018-11-28 2020-06-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und kabelkonfektions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kabelsteckverbinders
CN109687238B (zh) * 2019-01-10 2024-02-06 东莞宇典铭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fakra连接器及其制作方法
DE102019203142A1 (de) * 2019-03-07 2020-09-10 Elringklinger Ag 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teils
JP7189178B2 (ja) 2020-05-27 2022-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2153116A (ja) * 2021-03-29 2022-10-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1646510B2 (en) * 2021-04-29 2023-05-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ing electrical terminal with knurling on inner contact walls
DE102021211805B3 (de) 2021-10-19 2022-09-29 Robert Kars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Außenleiterteil mit nach innen versetzten Plateaus
JP2023114581A (ja) * 2022-02-07 2023-08-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2372A1 (en) * 2011-02-04 2012-08-09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09719A (en) 1973-01-29 1977-05-03 Harold G. Hutter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JPH0741108Y2 (ja) 1992-10-08 1995-09-20 エス・ディ・ケイ株式会社 ピンプラグ
US20110003507A1 (en) 2008-08-14 2011-01-06 Andrew Llc Multi-shot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798847B2 (en) * 2008-10-07 2010-09-21 Andrew Llc Inner conductor sealing insulator for coaxial connector
US8336483B2 (en) 2009-04-06 2012-12-25 Sika Technology Ag System and method for glazing
US8449311B2 (en) * 2010-10-19 2013-05-28 Ppc Broadband, Inc. Locking audio plug
US8887388B2 (en) * 2010-11-22 2014-11-18 Andrew Llc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with a solid outer conductor coaxial cable
DE102011076881A1 (de) 2011-06-01 2012-12-06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kammereinsatz, verfahren zum herstellen und/oder bestück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seinrichtung,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und elektrischer verbinder
US8647128B2 (en) * 2011-12-20 2014-02-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KR20140126603A (ko) * 2013-04-23 2014-10-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어폰용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9142895B2 (en) 2014-02-17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9537231B2 (en) * 2014-11-12 2017-01-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2372A1 (en) * 2011-02-04 2012-08-09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6271B4 (de) 2024-06-06
JP2019503055A (ja) 2019-01-31
DE112016007671B4 (de) 2024-06-06
DE112016006271T5 (de) 2018-09-27
CN108475871B (zh) 2020-07-14
JP6719566B2 (ja) 2020-07-08
KR20180104686A (ko) 2018-09-21
US9991650B2 (en) 2018-06-05
WO2017127199A1 (en) 2017-07-27
US20170214191A1 (en) 2017-07-27
MX2018008835A (es) 2018-09-17
CN108475871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70B1 (ko) 커넥터 조립체
JP6322340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8366483B2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KR102109945B1 (ko)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EP3586406B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882317B1 (e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JP5808043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N107658656A (zh) 同轴连接器组件
EP1608045B1 (en) A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shielded conductor path
EP1744409B1 (en) A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shielded cable
US9929519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893291B2 (en) Coaxial plug connector having a longitudinally divided shield housing, and coaxial angled plug connector
CN107863634B (zh) 具有可旋转壳体的电缆连接器
US9799983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161914B1 (ko) 전기 케이블 상에 장착되고 오버 몰딩된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연결 조립체, 및 관련 제조 방법
EP1378971B1 (en) Coaxial angled plug connector
US8961223B2 (en) F-connector with chamfered lock ring
EP3376597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wire to wir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