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45B1 -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45B1
KR102109945B1 KR1020187029803A KR20187029803A KR102109945B1 KR 102109945 B1 KR102109945 B1 KR 102109945B1 KR 1020187029803 A KR1020187029803 A KR 1020187029803A KR 20187029803 A KR20187029803 A KR 20187029803A KR 102109945 B1 KR102109945 B1 KR 10210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upper shell
shell
lower shel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999A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임스 레인
더글라스 존 하디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2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외부 콘택트 및 공동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공동 인서트는 외부 콘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고 있다. 공동 인서트는 계면(194)에서 함께 결합하는 상부 쉘(188) 및 하부 쉘(190)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부 쉘은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 쉘은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상부 쉘은 계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제1 스트랩(218)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스트랩은 상부 쉘을 하부 쉘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부 쉘의 대응 제1 캐치(284)와 맞물리는 래칭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본 명세서 내에서의 대상물은 대체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F) 커넥터 조립체는 전 세계 위치 파악 시스템(GPS), 안테나, 라디오, 이동 전화,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은, 군용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 왔다.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의 말단에 제공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이다.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 조립체, 특히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해 특정 산업 표준이 수립되었다. 이 표준들 중 하나는 FAKRA로 지칭되며, 이는 독일 용어 "Fachnormenausschuss Kraftfahrzeugindustrie"의 약어이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화 관심사를 대표하는 독일 표준 연구소(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의 자동차 표준위원회(Automotive Standards Committee)이다. FAKRA 표준은 적절한 커넥터 부착을 위해 키잉 및 색상 코딩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정 잭 키는 FAKRA 커넥터 내의 동일 플러그 키 방식으로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안전한 위치 설정 및 록킹은 잭 또는 제1 조립체의 하우징 상의 FAKRA-한정된 캐치 및 플러그 또는 제2 조립체의 하우징 상의 협력 래치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계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의 대응하는 상대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트 조립체를 유지한다.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 또는 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콘택트 조립체가 벗어나지 않도록 콘택트 조립체의 공동 인서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하우징 내에 콘택트 조립체를 고정시킨다. 공동 인서트는 콘택트 조립체의 외부 콘택트와 하우징의 내부 부분 둘 모두와 맞물리는 어댑터이다. 공동 인서트는 콘택트 조립체가 다양한 상이한 하우징과 호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 인서트는 원통형이며 외부 콘택트의 말단 위로 공동 인서트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외부 콘택트 위에 끼워진다. 예를 들어, 공동 인서트는 외부 콘택트의 전방 말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외부 콘택트의 후방 말단 위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콘택트의 말단 위로 공동 인서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거나 적어도 일부 커넥터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공지된 외부 콘택트는 외부 콘택트의 후방 말단에서 비교적 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 콘택트의 후방 말단은 너무 커서 공동 인서트 내에 수용될 수 없다. 하우징 내의 공간 제한으로 인하여, 외부 콘택트의 넓은 후방 말단을 수용하기 위해 공동 인서트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 공지된 외부 콘택트는 캐리어 스트립 상에 형성되며, 외부 콘택트가 캐리어 스트립 상에 남아있는 동안 외부 콘택트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다. 외부 콘택트의 후방 말단이 공동 인서트 내에 수용될 만큼 충분히 작더라도, 후방 말단은 공동 인서트가 후방 말단 위에 끼워질 수 있는 능력을 차단하는 캐리어 스트립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하우징 내의 공간 제한 및 적용 가능한 산업 표준 사양을 지키면서 다양한 외부 콘택트를 안에 수용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하여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외부 콘택트 및 공동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는 결합 세그먼트, 종단 세그먼트 및 이들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를 갖고 있다. 결합 세그먼트는 상대 커넥터의 결합 콘택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공동 인서트는 안에 외부 콘택트를 수용하는 채널을 한정한다. 공동 인서트는 외부 콘택트의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고 있다. 공동 인서트는 계면에서 함께 결합하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에 의해 한정된다. 상부 쉘은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하부 쉘은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상부 쉘은 계면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스트랩은 상부 쉘을 하부 쉘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부 쉘의 대응하는 제1 캐치와 맞물리는 래칭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암 커넥터 및 케이블의 분리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콘택트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콘택트 조립체의 측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5-5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암 커넥터의 공동 인서트의 전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선 5-5를 따라 절취한, 공동 인서트와 외부 콘택트의 조립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공동 인서트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콘택트 및 외부 콘택트를 둘러싸는 공동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공동 인서트는 커넥터의 외부 콘택트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어 외부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서 외부 콘택트를(및 외부 콘택트 내의 또는 외부 콘택트에 결합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유지시킨다. 공동 인서트는 공동 인서트를 한정하도록 함께 결합되는 2개의 쉘로 형성된 2개-편(two-piece) 구성을 갖는다. 2개의 쉘은 2개의 쉘 사이의 외부 콘택트와 함께 결합되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따라서, 외부 콘택트를 둘러싸기 위하여 공동 인서트는 외부 콘택트의 말단 위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지 않는다.
2개의 쉘은 래칭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래칭 메커니즘은 쉘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쉘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및 스트랩 상에서 래칭 표면과 맞물리는 다른 쉘 상의 캐치를 포함하고 있다. 래칭 메커니즘은 다수의 스트랩 및 대응하는 캐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쉘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래칭 스트랩을 포함하는 암수 일체형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 쉘의 래칭 구성 요소(예를 들어, 래칭 스트랩 및 캐치)는 예를 들어, 성형 공정 동안에 각각의 쉘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욱이, 2개의 쉘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결합되어 공동 인서트를 형성하는 양 쉘을 만들기 위해 동일 몰드 또는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둘러싸는"은 물체의 길이의 세그먼트를 따라 물체를 에워싸는 것과 같이, 적어도 한 치수에서 다른 물체의 주변부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둘러싸는"은 둘러싸인 물체가 모든 치수에서 주변 물체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이거나 싸여 있는 것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전기 커넥터(102) 및 제2 전기 커넥터(104)를 포함하며, 이 커넥터들은 그들 간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2)는 수 커넥터이고, 제2 전기 커넥터(104)는 암 커넥터이며, 따라서 결합 조작 동안에 제1 전기 커넥터(102)의 일부분은 제2 전기 커넥터(104)의 공동(106) 내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102)의 수 하우징(108)(예를 들어, 노우즈 콘)의 일부분은 암 커넥터(104)의 암 하우징(110)에 의하여 한정된 공동(106) 내에 수용된다. 도 1에서 분리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제1 및 제2 커넥터(102, 104)들은 결합 축(112)을 따라 결합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2)는 수 커넥터(102) 또는 상대 커넥터(102)로 지칭되고, 제2 전기 커넥터(104)는 암 커넥터(104) 또는 단순히 커넥터(104)로 지칭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자동차 산업, 가전 산업, 항공 산업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수많은 적용에 사용되어 2개 이상의 장치 및/또는 전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 커넥터(102, 104)는 안테나를 제어기 및/또는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과 같은 무선 주파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 커넥터(102) 및 암 커넥터(104)는 각각 상이한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응하는 전기 부품들 전도성 경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 및 암 커넥터(104)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대응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와이어(114, 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 및/또는 암 커넥터(104)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장착(예를 들어, 에지-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114)은 수 커넥터(102)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전기적으로 종결(예를 들어, 압착, 납땜 등)된다. 케이블(116)은 암 커넥터(104)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전기적으로 종결된다. 커넥터(102, 104)들이 결합될 때 수 커넥터(102)의 전기 콘택트는 암 커넥터(104)의 전기 콘택트와 맞물린다. 전력, 제어 메시지, 데이터 등을 운반하는 다양한 전기 신호가 케이블(114)과 케이블(116) 사이의 커넥터(102, 10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두 인-라인(in-line) 형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축(112) 즉, 이를 따라 수 커넥터(102)가 공동(106) 내로 끼워지는 결합 축은 수 커넥터(102)에서 나오는 케이블(114)과 암 커넥터(104)에서 나오는 케이블(116)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 및/또는 암 커넥터(104)는 직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는 FAKRA 자동차 전문가 그룹에 의해 구축된 균일한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표준을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RF 커넥터인 FAKRA 커넥터를 구성한다. FAKRA 커넥터는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의 높은 기능 및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표준화 된 키잉(keying) 시스템과 록킹 시스템을 갖고 있다. FAKRA 커넥터는 스냅-온(snap-on) 결합을 특징으로 하며 50, 75, 93 및/또는 125 옴(Ohms)과 같은 특정 임피던스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초소형 버전 B 커넥터(SMB 커넥터)를 기반으로 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FAKRA 커넥터 이외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 동안에, 수 커넥터(102)의 전방 말단(126)은 결합 축(112)을 따라 이동되며, 암 커넥터(104)의 전방 말단(128)을 통해 암 커넥터(104)의 공동(106) 내로 끼워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방", "후방", "최상부" 또는 "최하부"와 같은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는 단지 기준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커넥터 시스템(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특정 위치 또는 방향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 커넥터(102)는 하나 이상의 키잉 부분(118)을 갖고 있으며, 암 커넥터(104)는 수 커넥터(102)의 키잉 부분(118)을 보완하는 하나 이상의 키잉 부분(120)을 갖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잉 부분(118)은 리브이며, 키잉 부분(120)은 리브(118)를 수용하는 채널이다. 임의의 수의 키잉 부분(118, 120)이 제공될 수 있다. 키잉 부분(118, 120)은 FAKRA 커넥터의 표준화된 설계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잉 리브(118)와 키잉 채널(120)은 하나 이상의 특정 상대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102, 104) 각각의 결합 능력을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 커넥터(102)는 암 커넥터(104)의 상보적인 래칭 특징부(12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칭 특징부(122)를 갖고 있어(커넥터(102, 104)의 원하지 않는 결합 해제를 제한함으로써) 2개의 커넥터(102, 104) 간의 결합 연결을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칭 특징부(122)는 캐치이고, 래칭 특징부(124)는 커넥터(102, 104)가 함께 결합될 때 캐치(122)와 맞물리는 편향 가능한 래치이다. 래치(124)는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를 분리하기 위하여 캐치(122) 위로 들어올려 지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4) 및 케이블(116)의 분해도이다. 암 커넥터(104)는 암 하우징(110)(여기서는 외부 하우징(110)이라고도 칭함) 및 콘택트 조립체(130)를 포함하고 있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외부 하우징(110) 내에 유지된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중심 콘택트(132), 유전체 몸체(134), 외부 콘택트(136), 공동 인서트(138) 및 선택적인 페룰(140)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암 커넥터(104)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열거된 구성 요소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116)은 유전체 층(172)으로 둘러싸인 중심 도체(170)(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유전체 층(172)을 둘러싼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케이블(116)의 길이를 따라 중심 도체(170)를 위한 차폐를 제공한다. 케이블 재킷(17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둘러싸며 케이블 브레이드(174), 유전체 층(172) 및 중심 도체(170)에 대하여 외부 힘 및 오염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 케이블(116)은 압착, 남땜 등을 통해 콘택트 조립체(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트 조립체(130)의 중심 콘택트(132)는(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의 핀 콘택트를 수용하고 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소켓 콘택트를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중심 콘택트(132)는 핀 콘택트 또는 다른 유형의 콘택트일 수 있다. 중심 콘택트(132)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중심 콘택트(132)는 예를 들어, 압착을 통하여 케이블(116)의 중심 전도체(170)에 대해 종결된다.
유전체 몸체(134)는 중심 콘택트(132)를 둘러싸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몸체(134)는 그 내부에 중심 콘택트(132)를 수용하는 통로(142)를 한정한다. 유전체 몸체(134)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물질로 구성된다. 유전체 몸체(134)는 중심 콘택트(132)와 외부 콘택트(136)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2개의 콘택트(132, 136)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외부 콘택트(136)는 유전체 몸체(134) 및 유전체 몸체(134) 내에 있는 중심 콘택트(132)를 둘러싸고 있다. 외부 콘택트(136)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외부 콘택트(136)는 전자기 또는 무선 주파수 간섭과 같은, 중심 콘택트(132)를 위한 차폐를 제공한다. 외부 콘택트(136)는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콘택트(136)는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연장되며,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외부 콘택트(136)를 통하여 연장되는 챔버(148)를 한정한다. 유전체 몸체(134)는 챔버(148) 내에 수용되며, 중심 콘택트(132)에 대해 종결된 케이블(116)은 외부 콘택트(136)의 후방 말단(146)으로부터 돌출된다. 외부 콘택트(136)는 대체로 원통형 또는 배럴 형상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는 판금 패널을 스탬핑한 후 롤링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스탬핑되고 성형된다.
외부 콘택트(136)는 전방 말단(14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세그먼트(150) 및 후방 말단(146)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 세그먼트(15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와 같은 상대 커넥터의 외부 결합 콘택트(미도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결합 세그먼트(150)는 외부 콘택트(136)의 결합 세그먼트(150)와 외부 결합 콘택트 간의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하여 편향 가능한 빔, 범프, 바브(barbs)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지 특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152)는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둘러싸고 있으며, 페룰(140)을 통해 종단 세그먼트(152)에 압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콘택트(136)는 외부 콘택트(136)의 길이를 따라 결합 세그먼트(150)와 종단 세그먼트(152)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156)는 결합 세그먼트(150)와 종단 세그먼트(152) 중 적어도 하나와는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156)는 결합 세그먼트(15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종단 세그먼트(152)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다. 외부 콘택트(136)는 길이를 따라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적어도 제1 단차부(158) 및 제2 단차부(160)를 한정한다. 제1 단차부(158)는 중간 세그먼트(156)로부터 결합 세그먼트(150)를 분리한다. 제2 단차부(160)는 종단 세그먼트(152)로부터 중간 세그먼트(156)를 분리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152)가 케이블(116)보다 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었다면, 종단 세그먼트(152)는 중간 세그먼트(15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전방 말단(162)과 후방 말단(164)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방 말단(162)과 후방 말단(164) 사이에서 공동 인서트(138)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166)을 한정한다. 외부 콘택트(136)는 채널(166) 내에 유지된다.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는 외부 콘택트(136)의 중간 세그먼트(156)를 둘러싸며, 따라서 공동 인서트(138)의 내부 표면(168)이 중간 세그먼트(156)와 맞물린다. 공동 인서트(138)는 선택적으로 결합 세그먼트(150) 및/또는 종단 세그먼트(152)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의 내부 표면(168)은 제1 단차부(158) 및/또는 제2 단차부(160)와 맞물릴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채널(166) 내에서 축 방향으로 외부 콘택트(136)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 콘택트(136)는 공동 인서트(138)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가 공동 인서트(138)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하우징(110)과 맞물려 하우징(110)의 공동(106) 내의 고정된 축 방향 위치에 콘택트 조립체(130)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어댑터이다. 예를 들어, 공동 인서트(138)는 공동 인서트(138)의 주변부를 따라 원주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8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86)는 콘택트 조립체(13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공동(106) 내에서 외부 하우징(1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페룰(140)은 케이블(116) 위에서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페룰(140)은 외부 콘택트(136)에 대한 브레이드(174)의 전기적 종결 및 케이블(116)을 위한 스트레인 릴리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페룰(140)은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와 케이블 재킷(176) 모두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암 외부 하우징(110)은 전방 말단(128)과 후방 말단(129) 사이에서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110)은 대체로 박스 형상의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다. 외부 하우징(110)의 공동(106)은 외부 하우징(110)을 통해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 보어일 수 있다. 공동(106)은 안에서 공동 인서트(138)와 맞물리고 공동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해 안에 형성된 단차부, 숄더 및/또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측면 벽면(184)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리테이너 클립(18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 클립(182)은 콘택트 조립체(130)를 하우징(110)에 고정하기 위해 콘택트 조립체(130) 뒤에 하우징(110)에 끼워지도록 된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클립(182)은 공동 인서트(138)의 하나 이상의 플랜지(186)와 맞물려져 공동(106) 내에서의 콘택트 조립체(13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커넥터(104)가 도 2에 나타나 있고 설명되었지만,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는 암 커넥터(104)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및/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0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하우징(108) 내에 수용된 콘택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02)의 콘택트 조립체는 도 2에서 설명된 콘택트 조립체(130)의 구성 요소와 적어도 유사한 중심 콘택트, 유전체 몸체, 외부 콘택트 및 공동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02)는 아래에 나타나 있고 설명된 암 커넥터(104)의 공동 인서트(138)와 유사한 공동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동 인서트(138)는 제1 쉘(188) 및 제2 쉘(190)을 포함하는 2개-편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쉘 및 제2 쉘(188, 190)은 함께 결합하여 공동 인서트(138)를 한정하는 별개의 개별 부품이다. 예를 들어, 제1 쉘(188)은 외부 콘택트(136)의 주변부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쉘(190)은 외부 콘택트(136)의 주변부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쉘 및 제2 쉘(188, 190)은 계면(194)에서 서로 맞물려 도 2에 나타나 있는 조립된 그리고 온전한 공동 인서트(138)를 형성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4)의 콘택트 조립체(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전체 몸체(134) 내의 (도 2에 나타나 있는) 중심 콘택트(132)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수직 또는 승강 축(191), 측 방향 축(193) 및 결합 축(112)에 대해 배향된다. 축(191, 193, 112)은 서로 수직이다. 승강 축(191)이 중력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축(191, 193, 112)은 중력에 대해 임의의 특정 방향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3에서, 제1 쉘(188)은 (수직 축(191)을 따라서) 외부 콘택트(136) 위로 연장되며, 제2 쉘(190)은 외부 콘택트(136) 아래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쉘(188)은 상부 쉘(188)로 지칭되고, 제2 쉘(190)은 하부 쉘(190)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는 단지 기준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암 커넥터(104)의 주변 환경에 대한 특정 위치 또는 방향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택트 조립체(130)가 180도 회전되는 경우 상부 쉘(188)은 하부 쉘(190) 아래에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동 인서트(138)가 외부 콘택트(136) 주위에 조립될 때 외부 콘택트(136)는 금속 캐리어 스트립(196)에 연결된다.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는 캐리어 스트립(19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캐리어 스트립(196)이 종단 세그먼트(152)에 연결되기 때문에, 미리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를 둘러싸도록 종단 세그먼트(152) 위에 수용될 수 없다. 공동 인서트(138)의 (도 2에 나타나 있는) 채널(166)은 결합 세그먼트(150)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공동 인서트(138) 또한 결합 세그먼트(150) 위로 끼워질 수 없다. 따라서, 사전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를 둘러싸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동 인서트(138)는 2개-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 주위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쉘(188, 190)이 함께 결합됨에 따라 2개의 쉘(188, 190) 사이에 외부 콘택트(136)가 배치되도록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 주위에 현장(in-situ) 조립된다.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은 각각의 플라스틱 캐리어 스트립(198)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198)은 측 방향 축(193)을 따라서 각각의 쉘(188, 19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크(200)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136)를 둘러싸도록 쉘(188, 190)들이 서로 결합되기 전 또는 결합된 후에 링크(200)는 쉘(188, 190)에서 절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쉘(188, 190)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물질로 각각 구성된다. 쉘(188, 190)은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198)은 동일 성형 공정 동안에 각각의 쉘(188, 190)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은 단일의 단일-편 몸체(202)를 가지며, 하부 쉘(190)은 단일의 단일-편 몸체(204)를 갖는다. 따라서, 쉘(188, 190)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데 사용된 상부 및 하부 쉘(188, 190) 상의 래칭 특징부는 쉘(188, 190)의 각각의 몸체(202, 20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쉘(188, 190)을 형성한 후, 예를 들어 접합, 접착제, 패스너 등을 통해 하나 이상의 래칭 특징부 또는 다른 구성 요소가 대응하는 쉘(188, 190)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쉘(188)의 몸체(202)는 제1 에지(206)와 제2 에지(208) 사이에서 굽어져 있다. 제1 에지(206)는 제2 에지(208)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부 쉘(188)은 전방 말단(210)과 후방 말단(212) 사이에서 결합 축(11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에지 및 제2 에지(206, 208)는 전방 말단(210)과 후방 말단(212) 사이에서 상부 쉘(188)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만곡진 몸체(202)는 내부 표면(214)과 외부 표면(216)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 인서트(138)가 조립될 때 내부 표면(214)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채널(166)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외부 표면(216)은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의 외부 주변부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의 몸체(202)는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의 외부 주변부의 약 절반을 한정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동 인서트(138)의 외부 주변부의 절반 이상 또는 이하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방향에서, 몸체(202)는 몸체(202)로부터 연장된 링크(200)에 대해 볼록한 곡선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몸체(202)는 에지(206, 208)로부터 위를 향하여 아치형으로 구부러진다.
상부 쉘(188)은 상부 쉘(188)을 하부 쉘(190)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된 래칭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은 상부 쉘(188)의 제1 에지(206)를 지나 하부 쉘(190)을 향하여 연장된 스트랩(218)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랩(218)은 대체로 제1 에지(206)로부터 수직적으로 하향 연장된다. 스트랩(218)은 하부 쉘(190)의 대응하는 캐치(284)와 맞물려 상부 쉘(188)을 하부 쉘(19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래칭 표면(220)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쉘(188)은 또한 상부 쉘(188)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다수의 캐치(222)를 포함하고 있다. 캐치(222)들은 하부 쉘(190)의 대응 스트랩(248)의 래칭 표면(250)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은 전방 말단(210)에 근접한 제1 캐치(222A), 후방 말단(212)에 근접한 제2 캐치(222B) 및 제1 그리고 제2 캐치(222A, 222B)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캐치(222C)를 포함하는 3개의 캐치(222)를 포함하고 있다. 3개의 캐치(222A 내지 222C)는 모두 상부 쉘(188)의 제2 에지(208)에 근접한 외부 표면(216)을 따라 배치된다. 상부 쉘(188)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2 에지(208)에 근접한 3개의 캐치(222) 이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의 캐치(222)는 외부 표면(21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탭(224)의 후크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탭(224)은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의 (도 2에 나타나 있는) 플랜지(186)의 부분을 한정하는 대응 플랜지 세그먼트(226)와 정렬될 수 있다. 상부 쉘(188)의 외부 표면(216)은 제2 에지(208)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평면 영역(228)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영역(228)을 따른 외부 표면(216)은 만곡진 것과는 대조적으로 편평하거나 평면이다. 캐치(222)는 평면 영역(228)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탭(224)은 외부 표면(216)의 평면 영역(228)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하부 쉘(190)의 몸체(204)는 서로에 대해 측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에지(236)와 제2 에지(238) 사이에서 굽어져 있다. 하부 쉘(190)은 전방 말단(240)과 후방 말단(242) 사이에서 결합 축(11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에지 및 제2 에지(236, 238)는 전방 말단(240)과 후방 말단(242) 사이에서 하부 쉘(190)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만곡진 본체(204)는 내부 표면(244) 및 외부 표면(246)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표면(244)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채널(166)의 일부분을 한정하며, 상부 쉘(188)의 내부 표면(214)은 공동 인서트(138)가 조립될 때 채널(166)의 나머지 부분을 한정한다. 외부 표면(246)은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의 외부 주변부의 일부분을 한정하며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의 외부 표면(216, 246)이 공동 인서트(138)의 외부 주변부 전체를 한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방향에서, 몸체(204)는 몸체(204)로부터 연장된 링크에 링크(200)에 대해 오목한 만곡부를 가지며 따라서 몸체(204)는 에지(236, 238)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아치형으로 구부러진다.
하부 쉘(190)은 하부 쉘(190)을 상부 쉘(188)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래칭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하부 쉘(190)의 제1 에지(236)를 지나 상부 쉘(188)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랩(248)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랩(248)은 대체로 제1 에지(236)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다. 스트랩(248)들은 상부 쉘(188)의 대응 캐치(222)와 맞물려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래칭 표면(250)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전방 말단(240)에 근접한 제1 스트랩(248A), 후방 말단(242)에 근접한 제2 스트랩(248B) 및 제1 스트랩 그리고 제2 스트랩(248A, 248B)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스트랩(248C)을 포함하는 3개의 스트랩(248)을 포함하고 있다. 쉘(188, 190)들이 결합될 때, 제1, 제2 및 제3 스트랩(248A 내지 248C)의 래칭 표면(250)들은 상부 쉘(188)의 제1, 제2 및 제3 캐치(222A 내지 222C)와 각각 정렬되고 맞물린다. 하부 쉘(190)의 3 개의 스트랩(248A 내지 248C) 모두는 하부 쉘(190)의 제1 에지(236)를 따라 배치 (그리고 이로부터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제1 에지(236)를 따라 3개의 총 스트랩(248) 이외의 및/또는 3개의 스트랩(248) 이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248A 내지 248C)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스트랩(248)은 제1 에지(236)를 지나 또는 제1 에지(236)로부터 각각의 자유 말단(252)으로 돌출된 캔틸레버식 빔 또는 림(limb)이다. 스트랩(248)은 적어도 반강성이며, 따라서 스트랩(248)에 대한 편향력이 제거될 때 스트랩(248)은 편향되고 초기 휴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각 스트랩(248)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채널(166)을 향하는 내부 측면(254) 및 채널(166)로부터 떨어져 외측을 향하는 대향 외부 측면(256)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측면(254)은 대략 평면일 수 있으며, 외부 측면(256)은 만곡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트랩(248) 각각은 내부 측면(254)과 외부 측면(256) 사이에서 각각의 스트랩(248)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258)을 한정한다. 구멍(258)은 제1 에지(236)를 지나 연장되는 스트랩(248)의 일부분을 따라 한정된다. 래칭 표면(250)은 구멍(258)의 원위 벽면이다. 원위 벽면(250)은 각각의 스트랩(248)의 자유 말단(252)에 근접해 있다. 원위 벽면(250)은 스트랩(248)이 연장되는 제1 에지(236) 쪽을 향할 수 있으며 및/또는 대체로 수직적으로 아래로 향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구멍(258)은 각각의 스트랩(248)을 완전히 통하여 연장되지 않으며, 오히려 스트랩(248)의 내부 측면(254)을 따라 한정된 오목부 또는 만입부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래칭 표면(250)은 오목부의 원위 벽면일 수 있다.
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제2 에지(238)에 근접한 외부 표면(246)으로부터 연장된 (도 4나타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캐치(284)를 포함하고 있다. 캐치(284)는 형상, 크기 및/또는 특징이 상부 쉘(188)의 캐치(222)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지만, 상부 쉘(188)의 스트랩(218)은 선택적으로 형상, 크기 및/또는 특징이 하부 쉘(190)의 스트랩(248)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쉘(188, 190)이 적어도 하나의 캐치 및 래칭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하도록 상부 쉘(188)과 하부 쉘(190) 모두는 암수 일체형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이 스트랩(218)만을 또는 캐치(222)만을 포함하고, 하부 쉘(190)은 상보적인 래칭 특징부, 예를 들어 다수의 캐치(284)만을 또는 단지 다수의 스트랩(248)만을 포함하도록, 쉘(188, 190)은 암수 일체형이 아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의 스트랩(218, 248)들은 쉘(188, 190)의 각각의 제1 에지(206, 236)들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스트랩(218, 248)은 각각의 제2 에지(208, 238)를 따라 위치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 4에 나타나 있는) 각각의 캐치(222, 284)는 쉘(188, 190)의 제2 에지(208, 238)에 근접하게 배치되지만, 제1 에지(206, 236)에는 근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은 제1 에지 및 제2 에지(206, 208)의 각각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218) 및/또는 제1 에지 및 제2 에지(206, 208)의 각각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캐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제1 에지 및 제2 에지(236, 238)의 각각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248) 및/또는 제1 에지 및 제2 에지(236, 238)의 각각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캐치(28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과 하부 쉘(190)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부 쉘(188)의 크기, 외형 및 특징부는 하부 쉘(190)의 크기, 외형 및 특징부와 동일하다. 상부 쉘(188)과 하부 쉘(190)은 같은 또는 동일한 몰드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쉘(188) 및 하부 쉘(190) 모두는 단일 금형만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결합 축(112)을 중심으로 상부 쉘(188)에 대해 180도 배향된다. 예를 들어, 상부 쉘(188)이 하부 쉘(190)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3에서 볼 수 있는 상부 쉘(188)의 스트랩(218)은 하부 쉘(190)의 제1 스트랩(248A)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동일한"의 사용은 하나 또는 양 쉘(188, 190)이 (예를 들어, 제조 공정 또는 후속 취급으로부터 발생하는) 양 쉘(188, 190)에 의해 공유되지 않는 결함, 결점, 및 다른 미미한 불규칙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콘택트(136)는 외부 콘택트(136)의 중간 세그먼트(15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쉘(190)은 내부 표면(244)을 따라 만입부(262)를 한정한다.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이 결합되어 공동 인서트(138) 내에서 외부 콘택트(136)를 고정할 때 만입부(262)는 그 내부에 돌출부(260)를 수용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쉘(190)은 2 개의 만입부(262)를 한정하며, 한 만입부는 제1 에지(236)에 근접하고, 다른 만입부(262)는 제2 에지(238)에 근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외부 콘택트(136)와 하부 쉘(190)의 배향에 기초하여, 돌출부(260)는 제1 에지(236)에 근접한 만입부(262) 내에 수용되고, 중간 세그먼트(156)의 다른 돌출부(미도시)는 제2 에지(238)에 근접한 다른 만입부(262) 내에 수용된다. 대응하는 만입부(262) 내의 돌출부(260)의 수용은 공동 인서트(138)에 대하여 외부 콘택트(136)를 축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적으로 록킹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상부 쉘(188)은 만입부(262)와 상호 접속되어 더 넓은 오목부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만입부를 한정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세그먼트(156)는 함몰부를 한정할 수 있으며, 공동 인서트(138)는 함몰부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의 제1 단차부(158) 및/또는 제2 단차부(160) 또는 외부 콘택트(136)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과의 맞물림을 통하여 외부 콘택트(136)의 축 방향 위치를 부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콘택트 조립체(130)의 측면 사시도이다. 상부 쉘(188)이 하부 쉘(190)에 결합되어 외부 콘택트(136)를 둘러싸도록 공동 인서트(138)가 도 4에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동 인서트(138)가 공동 인서트(138)의 길이를 따라 3개 대신에 2개의 래칭 특징부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 인서트(138)의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와 약간 다르다. 공동 인서트(138)는 전방 말단(264)과 후방 말단(266)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 말단(264)은 상부 쉘(188)의 전방 말단(210)과 하부 쉘(190)의 전방 말단(240)에 의해 한정된다. 후방 말단(266)은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의 각각의 후방 말단(212, 242)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은 공동 인서트(138)의 전방 말단(264)에 근접한 제1 스트랩(218A) 및 후방 말단(266)에 근접한 제2 스트랩(218B)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스트랩(218B)은 제1 스트랩(218A)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스트랩(218A, 218B) 모두는 쉘(188, 190) 사이에 한정된 계면(194)을 가로 질러 연장되어 하부 쉘(190)의 대응하는 캐치(284A, 284B)와 맞물린다. 쉘(188, 190)들 사이의 계면(194)은 상부 쉘(188)의 제1 에지(206)와 하부 쉘(190)의 제2 에지(238) 사이의 제1 시임(seam)(268)을 한정한다. 제1 시임(268)은 공동 인서트(138)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스트랩(218A, 218B)은 제1 시임(268)을 가로 질러 연장된다. 스트랩(218A, 218B)은 캐치(284A, 284B)에 근접한 하부 쉘(190)의 외부 표면(246)의 부분과 겹쳐진다. 도 4에는 보이지 않지만, 계면(194)은 또한 상부 쉘(188)의 제2 에지(208)와 하부 쉘의 제1 에지(236) 사이의 공동 인서트(138)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도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제2 시임(270)을 한정한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선 5-5를 따라 절취된 공동 인서트(138)의 분해 횡단면도이다. 상부 쉘(188)은 하부 쉘(190)에 결합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쉘(188)의 만곡진 몸체(202)는 제1 에지(206)에서의 제1 숄더(272) 및 제2 에지(208)에서의 제2 숄더(274)를 포함하고 있다. 숄더(272, 274)는 대체로 각각의 에지(206, 208)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평평한 표면이다. 상부 쉘(188)의 스트랩(218)은 제1 숄더(272)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1 숄더(272)를 지나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숄더(272)가 에지(206)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스트랩(218)이 에지(20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스트랩(218)은 숄더(27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부 쉘(188)의 캐치(222)는 제2 숄더(274)에 근접한 외부 표면(216)의 평면 영역(228)을 따라 배치된다.
스트랩(218)은 몸체(202)에서 고정 말단(276)으로부터 자유 말단(302)까지 연장된다. 고정 말단(276)은 제1 에지(206)에 있을 수 있거나 상부 쉘(188)의 외부 표면(216)의 주변부를 따라 제1 에지(206)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트랩(218)은 스트랩(218)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278)을 한정한다. 구멍(278)은 하부 쉘(190)의 스트랩(248)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258)과 유사하다. 구멍(278)은 스트랩(218)의 팁 세그먼트(280)와 제1 에지(206)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팁 세그먼트(280)는 자유 말단(302)을 포함하고 있다. 팁 세그먼트(280)는 또한 래칭 표면(220)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래칭 표면(220)은 구멍(278)의 원위 벽면일 수 있다.
상부 쉘(188)의 캐치(222)는 외부 표면(21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탭(224)의 후크 표면이다. 실시예에서, 후크 표면(222)은 탭(224) 위의 평면 영역(228)에 대해 예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표면(222)은 수직 축(191)을 따라 에지(208)로부터 적어도 약간 떨어져 연장되도록 각이 져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후크 표면(222)은 평면 영역(228)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에지(208)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탭(224)은 외부 표면(216)의 평면 영역(22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져 경사진 경사 표면(282)을 포함하고 있다. 경사 표면(28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에지(208)로부터 연장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탭(224)은 에지(208)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후크 표면(222)은 경사 표면(282)에 대해 탭(224)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다.
하부 쉘(190)의 만곡진 몸체(204)는 제1 에지(236)에 있는 제1 숄더(292) 및 제2 에지(238)에 있는 제2 숄더(294)를 포함하고 있다. 숄더(292, 294)는 대체로 각각의 에지(236, 238)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평면 표면이다. 하부 쉘(190)의 스트랩(248)은 제1 숄더(292)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1 숄더(292)를 지나 연장된다. 하부 쉘(190)의 캐치(284)는 제2 숄더(294)에 근접한 외부 표면(246)의 평면 영역(286)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쉘(190)은 상부 쉘(188)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하부 쉘(190)이 180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5에 나타나 있는 하부 쉘(190)은 상부 쉘(188)과 정렬될 것이다. 따라서, 하부 쉘(190)의 래칭 특징부는 상부 쉘(188)의 래칭 특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트랩(248)은 스트랩(218)과 동일할 수 있으며, 캐치(284)는 탭(224)과 동일한 탭(296)의 후크 표면일 수 있다.
상부 쉘(188)과 하부 쉘(190)을 결합하기 위해, 쉘(188, 190)은 결합 축(298)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상부 쉘(188)의 스트랩(218)의 원위 말단(302)은 하부 쉘(190)의 평면 영역(286)을 따라 및/또는 평면 영역에 평행하게 이동되어 탭(296)의 경사 표면(300)과 맞물린다. 스트랩(218)은 탭(296)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랩(218)의 자연적인 휴지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편향된다. 원위 말단(302)은 래칭 표면(220)이 탭(296)의 후크 표면(284)에서 빠져나갈 때까지 탭(296)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래칭 표면(220)이 후크 표면(284)을 빠져나간 후, 탭(296)은 스트랩(218)의 자연적인 휴지 위치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스트랩(218)이 탭(296)과 맞물리고 그의 주위에서 편향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랩(248)의 원위 말단(252)은 탭(224)의 경사 표면(282)과 맞물리고 탭(224) 주위에서 편향된다.
도 6은 선 5-5를 따라 절취된 공동 인서트(138)와 외부 콘택트(136)의 조립된 횡단면도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쉘(188)의 제1 에지(206)는 하부 쉘(190)의 제2 에지(238)와 정렬되고, 스트랩(218)의 래칭 표면(220)은 탭(296)의 후크 표면(284)과 맞물린다. 더욱이, 상부 쉘(188)의 제2 에지(208)는 하부 쉘(190)의 제1 에지(236)와 정렬되며, 스트랩(248)의 래칭 표면(250)은 탭(224)의 후크 표면(222)과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래칭 표면(220, 250)과 대응 후크 표면(222, 284)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있을 수 있다. 상부 쉘(188)의 제1 숄더(272)는 하부 쉘(190)의 제2 숄더(294)를 향하고 이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부 쉘(188)의 제2 숄더(274)는 하부 쉘(190)의 제1 숄더(292)를 향하고 이와 맞물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쉘(188)의 숄더(272, 274)와 하부 쉘(190)의 대응 숄더(294, 292) 사이에 약간의 갭(306)이 있을 수 있다. 계면(194)은 숄더(272, 274, 292, 294)들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194)의 제1 시임(268)은 숄더(272)와 숄더(294) 사이에서 한정되며, 제2 시임(270)은 숄더(274)와 숄더(292) 사이에서 한정된다. 스트랩(218)은 상부 쉘(188)로부터 제1 시임(268)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하부 쉘(190)의 탭(296)과 맞물린다. 스트랩(248)은 하부 쉘(190)로부터 제2 시임(270)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상부 쉘(188)의 탭(224)과 맞물린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콘택트(136)는 공동 인서트(138)의 채널(166)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공동 인서트(138)의 내부 표면(168) 상에 내부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콘택트(136)는 공동 인서트(138)의 조립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의 내부 지지체 없이, 상부 쉘(188)을 한 방향(310)으로 그리고 하부 쉘(190)을 반대 방향(312)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부 쉘(188)은 하부 쉘(19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콘택트(138)가 채널(166) 내에 없거나 채널(166)에 관하여 너무 작은 직경을 갖는 경우 공동 인서트(138)가 분해될 수 있도록 공동 인서트(138)가 구성되어 (도 2에 나타나 있는) 콘택트 조립체(130)가 적절하게 조립되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공동 인서트(138)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상부 쉘(188)의 캐치(222)에 결합된 하부 쉘(190)의 스트랩(248)의 래칭 표면(250)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외부 표면(21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탭(318)의 후크 표면인 캐치(222) 대신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치(222)는 외부 표면(216)을 따라 한정된 오목부(316)의 벽면이다. 벽면(222)은 외부 표면(216)으로부터(도 6에 나타나 있는) 채널(166)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스트랩(248)의 래칭 표면(250)은 스트랩(248)의 내부 측면(320)으로부터 돌출된 탭(318)의 후크 표면이다. 후크 표면은 대체로 스트랩(248)의 고정 말단(322) 및/또는 하부 쉘(190)의 제1 에지(236) 쪽을 향한다. 상부 및 하부 쉘(188, 190)이 결합될 때 탭(318)은 오목부(316) 내로 연장된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및/또는 그의 측면)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치수, 물질의 유형,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방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매개 변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이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그러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102)의 결합 콘택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결합 세그먼트(150), 케이블(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종단 세그먼트(152) 및 상기 결합 세그먼트와 상기 종단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156)를 갖는 외부 콘택트(136); 및
    전방 말단(264)과 후방 말단(266)을 가지며, 상기 외부 콘택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채널(166)을 한정하며, 상기 외부 콘택트의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둘러싸고, 계면(194)에서 함께 결합된 상부 쉘(188)과 하부 쉘(190)에 의해 한정된 공동 인서트로서, 제1 스트랩(218A)이 상기 공동 인서트의 상기 전방 말단(264)에 배치되고, 제2 스트랩(218B)은 상기 제1 스트랩(218A)과 이격되어 상기 후방 말단(266)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부 쉘은 상기 외부 콘택트의 주변부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상부 쉘은 제1 에지(206)와 제2 에지(208) 사이에서 만곡된 몸체(202)를 가지며,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1 에지(206)로부터 상기 계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스트랩(218A) 및 제2 스트랩(218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2 에지(208)에 근접한 제1 캐치(222A) 및 제2 캐치(222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과 상기 캐치들은 상기 상부 쉘의 몸체(20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 쉘은 상기 상부 쉘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쉘은 상기 채널(166)에 평행한 결합 축(112)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쉘에 대하여 180도 배향된 것이고, 상기 상부 쉘의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의 래칭 표면(220)은 상기 하부 쉘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캐치와 맞물리고, 상기 하부 쉘의 제1 및 제2 스트랩의 래칭 표면은 상기 상부 쉘에 대응하는 제1 캐치 및 제2 캐치와 맞물려 상기 상부 쉘을 상기 하부 쉘에 결합시키는 공동 인서트(138)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188)은 제1 숄더(272)와 제2 숄더(274) 사이에서 연장된 상기 만곡진 몸체(202)를 가지며, 상기 제1 숄더 및 제2 숄더는 상기 계면(194)에서 상기 하부 쉘(190)의 대응 숄더(294, 292)와 맞물리고, 상기 제1 스트랩(218A)은 상기 제1 숄더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숄더를 지나 상기 하부 쉘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2 숄더에 근접한 상기 상부 쉘의 외부 표면(216)으로부터 연장된 제1 캐치(2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캐치는 상기 하부 쉘의 제1 스트랩(248)의 대응 래칭 표면(250)과 맞물려 상기 상부 쉘을 상기 하부 쉘에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104).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쉘(190)은 제1 숄더(292)와 제2 숄더(294) 사이에서 연장된 만곡진 몸체(204)를 가지며, 상기 하부 쉘의 상기 제1 캐치(284)는 상기 제2 숄더에 근접한 상기 하부 쉘의 외부 표면(246)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캐치는 상기 외부 표면의 평면 영역(286)을 따라 위치되며, 상기 제1 캐치는 상기 채널(166)에 대해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탭(296)의 후크 표면 또는 상기 채널에 대하여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오목부(316)의 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한정된 전기 커넥터(10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188)의 제1 스트랩(218A)은 캔틸레버식이며 자유 말단(302)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채널(166)을 향하는 내부 측면(254) 및 대향 외부 측면(25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은 내부 측면과 외부 측면 사이에서 관통하는 구멍(278)을 한정하며, 상기 래칭 표면(220)은 상기 제1 스트랩의 자유 말단에 근접한 상기 구멍의 원위 벽면인 전기 커넥터(10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188)의 제1 스트랩(218A)은 캔틸레버식이고 고정 말단(276)에서 자유 말단(302)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채널(166)을 향하는 내부 측면(3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탭(31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래칭 표면(220)은 상기 제1 스트랩의 고정 말단(276)을 향하는 상기 탭의 표면인 전기 커넥터(104).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콘택트(136)의 상기 중간 세그먼트(156)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공동 인서트(138)는 상기 채널(166)을 한정하는 그의 내부 표면(244)을 따라 만입부(262)를 한정하고,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188, 190)이 함께 결합되어 상기 공동 인서트 내에서 상기 외부 콘택트를 고정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만입부 내에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104).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188)은 제1 에지(206)와 제2 에지(208) 사이에서 연장된 상기 만곡진 몸체(202)를 가지며, 상기 제1 에지 및 제2 에지는 그의 전방 말단(264)과 후방 말단(266) 사이에서 상기 공동 인서트(138)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1 에지로부터 상기 계면(194)을 가로질러 돌출된 다수의 스트랩(218)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들은 상기 공동 인서트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하부 쉘(190)의 대응 캐치(284)와 맞물리는 상기 래칭 표면(2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2 에지에 근접한 상기 상부 쉘의 외부 표면(216)으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탭(2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쉘의 탭들은 상기 공동 인서트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며, 상기 상부 쉘의 상기 탭들은 상기 하부 쉘의 대응 스트랩(248)과 맞물리는 각각의 후크 표면(222)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4).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188)과 상기 하부 쉘(190)은 단일의 1-편 몸체(202, 204)를 갖는 전기 커넥터(104).
KR1020187029803A 2016-03-17 2017-03-15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10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3,060 US9787017B1 (en) 2016-03-17 2016-03-17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piece cavity insert
US15/073,060 2016-03-17
PCT/IB2017/051494 WO2017158524A1 (en) 2016-03-17 2017-03-15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piece cavity ins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99A KR20180121999A (ko) 2018-11-09
KR102109945B1 true KR102109945B1 (ko) 2020-05-13

Family

ID=5839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803A KR102109945B1 (ko) 2016-03-17 2017-03-15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87017B1 (ko)
JP (1) JP6688903B2 (ko)
KR (1) KR102109945B1 (ko)
CN (1) CN108780963B (ko)
DE (1) DE112017001355T5 (ko)
MX (1) MX2018011055A (ko)
WO (1) WO2017158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0970B2 (en) * 2018-04-04 2021-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1527846B2 (en) 2016-02-12 2022-12-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6750525B2 (ja) * 2017-02-02 2020-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雄側シールド端子
JP6855280B2 (ja) * 2017-02-28 2021-04-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
EP3396793B1 (de) * 2017-04-28 2020-08-2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körper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7006767B4 (de) * 2017-07-15 2019-10-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CN111989828B (zh) 2018-04-04 2022-12-02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配合的连接器组件
US10862228B2 (en) * 2018-05-08 2020-12-08 Amphenol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terminating a cable
JP7135836B2 (ja) * 2018-12-21 2022-09-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体、及びコネクタ構造体の製造方法
JP6879649B2 (ja) * 2019-02-27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FR3098025B1 (fr) * 2019-06-26 2021-10-29 Radiall Sa Module de connexion de puissance, à système de verrouillage/déverrouillage de terminaisons de câbles électriques dans le module, Bornier comprenant une pluralité de modules de connexion indépendants
EP3905443A1 (de) * 2020-04-30 2021-11-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ssenleiterkontaktelement, steckverbinderanordnung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steckverbinderanordnung
JP7189178B2 (ja) 2020-05-27 2022-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569609B2 (en) * 2020-07-22 2023-01-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able clamp and charging connector
JP2022153116A (ja) * 2021-03-29 2022-10-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24059340A (ja) * 2022-10-18 2024-05-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3777A1 (en) 2011-06-01 2012-12-06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tact cavity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and/or equipping an electric connecting device, electric connecting device and electr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3964A (en) * 1983-03-15 1986-06-10 Amp Incorporate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ple outer conductor coaxial cable
US5695357A (en) * 1996-09-09 1997-12-09 Osram Sylvania Inc. Cable connector kit,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6450829B1 (en) * 2000-12-15 2002-09-17 Tyco Electronics Canada, Ltd. Snap-on plug coaxial connector
US6609931B2 (en) * 2001-10-25 2003-08-26 Tyco Electronics Corp.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US7285011B2 (en) 2005-10-24 2007-10-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exi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366483B2 (en) * 2011-02-04 2013-02-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US9142895B2 (en) * 2014-02-17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3777A1 (en) 2011-06-01 2012-12-06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tact cavity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and/or equipping an electric connecting device, electric connecting device and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71807A1 (en) 2017-09-21
KR20180121999A (ko) 2018-11-09
CN108780963A (zh) 2018-11-09
JP6688903B2 (ja) 2020-04-28
CN108780963B (zh) 2021-02-19
DE112017001355T5 (de) 2018-11-22
WO2017158524A1 (en) 2017-09-21
MX2018011055A (es) 2019-01-17
JP2019508859A (ja) 2019-03-28
US9787017B1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945B1 (ko)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EP3108544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9595795B2 (en) Header assembly
KR101910283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CN109155469B (zh) 电缆安装的电连接器
US7785129B2 (en) RF connector having sealing member
US9882317B1 (e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KR102073370B1 (ko) 커넥터 조립체
CN106922204B (zh) 连接器组件
JP5808043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N109075505A (zh) 具有连接器位置保证的连接器系统
JP2001035565A (ja) 同軸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9692168B1 (en) Header assembly
CN107863634B (zh) 具有可旋转壳体的电缆连接器
CN109831928B (zh) 同轴连接器组件
US6340312B1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 complete EMI shielding
US9948019B2 (en) Cable assembly
CN115882300A (zh) 同轴连接器
CN113823969A (zh) 同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