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74A - 캠 래치 - Google Patents

캠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74A
KR20170082574A KR1020177015231A KR20177015231A KR20170082574A KR 20170082574 A KR20170082574 A KR 20170082574A KR 1020177015231 A KR1020177015231 A KR 1020177015231A KR 20177015231 A KR20177015231 A KR 20177015231A KR 20170082574 A KR20170082574 A KR 2017008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am
trigger
strik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881B1 (ko
Inventor
그레고리 길버트 가네아우
Original Assignee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트라이커(striker)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는, 래치 캠, 트리거, 구동 캠, 구동 캠에 커플링된 모터, 및 모터에 커플링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래치 캠은,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그리고 폐쇄 포지션의 스트라이커를 캡쳐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캠은 트리거에 접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사용하고, 스위치는 트리거 또는 구동 캠을 감지할 때 구동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액츄에이션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구동 캠이 회전하여 트리거가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되고(urge), 래치 캠으로부터 트리거가 맞물림해제되고(disengage), 그리고 래치 캠으로 하여금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스트라이커를 캡쳐하는 방법 및 래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캠 래치{CAM LATCH}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1월 7일자로 출원된 일련 번호 제14/535,790호를 갖는 미국 실용신안 출원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래치 어셈블리들은, 패널들, 도어들, 및 도어프레임들과 같은 아이템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수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 의존한다. 예컨대, 컨테이너들, 캐비넷들, 클로젯들, 서랍들, 컴파트먼트들 등은 래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유형의 래치 어셈블리는 회전 멈춤쇠(rotary pawl) 또는 캠(cam)을 포함하는데, 이 멈춤쇠 또는 캠은 이들이 볼트에 닿을(impinge)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볼트에 대한 어셈블리의 상대적 변위는 회전 멈춤쇠 또는 캠으로 하여금 볼트를 회전시켜 캡쳐하도록 야기한다.
수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원격 또는 푸시-버튼 입력, 코딩된 액세스, 키가 없는 액세스, 또는 액세스의 모니터링의 필요로 인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래치가 바람직하다. 스윙 도어, 서랍 등과 같은 패널들 중 하나가 고정 패널, 도어프레임, 캐비넷, 또는 컴파트먼트 본체에 잠겨지는(fastened) 또는 고정되는(secured) 다양한 패널 폐쇄(panel closure)용 래치들이 채용되어 왔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더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갖는 전기 동작의 옵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회전 멈춤쇠 또는 캠 래치 어셈블리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래치 캠, 트리거, 구동 캠, 구동 캠에 커플링된 모터, 및 모터에 커플링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striker)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를 제공한다. 래치 캠은, 폐쇄 포지션과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를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는, 잠금 포지션과 잠금해제 포지션 사이를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데, 이 트리거는 예컨대, 잠금 포지션을 향해 회전하도록 스프링(spring)에 의해 바이어싱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에 있을 때 래치 캠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되며, 이에 의해 래치 캠이 폐쇄 포지션에서 보유될 수 있다. 구동 캠은 트리거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는 트리거 및 구동 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스위치는, 트리거 또는 구동 캠을 감지할 때 구동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액츄에이션을 허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동 캠이 회전하여,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되고(urge), 래치 캠으로부터 트리거가 맞물림해제되고(disengage), 래치 캠으로 하여금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래치는, 래치 캠, 트리거, 구동 캠, 모터, 및 스위치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enclosing)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는,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연장부에 가해지는 힘이 트리거를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장착 브래킷은 또한, 트리거의 연장부로의 부착을 위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선택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캠은, 캠이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 표면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또한, 스트라이커가 래치 캠에 의해 캡쳐되는 시기 또는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인접하게 되는 시기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된 센서, 이를테면, 자기 리드 스위치(magnetic reed switch)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래치 시스템은, 래치형 구성(latched configuration) 및 비래치형 구성(unlatched configuration)을 갖도록 제공되며,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래치, 및 래치형 구성과 비래치형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스트라이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는 고정(stationary)될 수 있고 그리고 스트라이커는 래치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는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래치는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스트라이커는, 래치형 구성에서 래치에 의해 맞물리도록 포지셔닝되는, 예컨대, 볼트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맞물림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래치 상태는 스위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개방 스위치는 래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폐쇄 스위치는 래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releasing)하기 위한 방법은:
단일 스위치를 통해 래치의 구동 캠 및 트리거 중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을 감지하는 단계 - 감지하는 단계는 트리거 또는 구동 캠과 스위치에 접촉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함 - ;
트리거 또는 구동 캠이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동안 래치의 구동 캠을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액츄에이팅하는 단계;
구동 캠의 회전에 의해 잠금 포지션에서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래치의 트리거를 회전시키는 단계;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트리거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 및
예컨대,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래치 캠을 바이어싱함으로써, 래치의 래치 캠으로 하여금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이에 의해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스트라이커가 래치로부터 릴리징되는 시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좌측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좌측 도면이다.
도 3a는, 래치 캠이 개방 포지션에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래치 캠이 개방 포지션에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래치형 구성의 래치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며, 여기서 래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치된 상태(installed condition)로 포함한다.
도 5a는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5b는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되고 래치가 다른 포지션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5c는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되고 래치가 다른 포지션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5d는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되고 래치가 다른 포지션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래치에 통합될 수 있는 래치 캠의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래치 캠의 정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래치 캠의 후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의 래치 캠의 평면도이다.
도 7e는 도 7a의 래치 캠의 저면도이다.
도 7f는 도 7a의 래치 캠의 좌측 도면이다.
도 7g는 도 7a의 래치 캠의 우측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래치에 통합될 수 있는 트리거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트리거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라 래치에 통합될 수 있는 구동 캠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구동 캠의 정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구동 캠의 후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구동 캠의 평면도이다.
도 9e는 도 9a의 구동 캠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의 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래치에 통합될 수 있는 구동 캠의 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이러한 실시예들의 변형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원에 예시되고 그리고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청구항들의 범위 및 그 등가물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이 세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 볼트, 캐치, 키퍼, 또는 래치(일반적으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스트라이커 또는 래치 스트라이커로서 지칭됨)에 의해 캡쳐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보유될 수 있는 다른 유사 컴포넌트 또는 구조체를 캡쳐하고, 그리고 트리거의 전기적 액츄에이션 또는 수동 액츄에이션 중 하나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는 트리거의 일부를 직접 끌어당김으로써 또는 트리거의 일부에 부착된 가요성 케이블을 원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수동으로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기계적 동작을 위해, 액츄에이터 메커니즘은 메커니즘을 에너자이징할 때 트리거를 밀고 회전시킬 수 있다. 래치 스트라이커를 보유하는 물체, 이를테면, 서랍 또는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래치는 푸시-투-클로즈 기능(push to close functionality)을 갖는다. 래치는, 개방 포지션에 로딩된 스프링인 래치 캠 및 잠금 포지션에 로딩된 스프링인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츄에이터 시스템은 래치의 어셈블리에 통합된다. 또한, 더욱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치의 모터 및 기어들은, 사전에-패키징될 필요는 없지만, 그 대신에 최종 래치 어셈블리의 개별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이밍 또는 로직 피쳐들을 위해, 또는 회로 보호, 포지션 감지 또는 모터 전압 조절들을 위해 전자장치들이 사용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반대 극성 보호를 위해 단일 다이오드가 회로에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구동 캠 및 트리거의 모터 제어 및 포지션 감지는, 단일 스위치, 이를테면,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기계적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즉, 래치의 포지션 감지 및 모터 제어는, 복수의 스위치들 또는 센서들을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달성되는데; 예컨대, 단일 스위치 또는 센서, 이를테면, SPDT 마이크로 스위치는, 이를테면, 구동 캠 포지션 감지, 트리거 포지션 감지, 및 모터 전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태스크들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동일한 스위치 또는 센서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래치 상태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포지션으로 선택적으로 바이어싱되며, 트리거는 단일 컴포넌트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래치 캠은 단일 컴포넌트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에는 선택적으로, 자석을 갖는 도어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가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스위치, 이를테면, 자기 리드 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연장된(extended) 하우징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1f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이제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100)는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하우징(102), 래치 캠(106), 그리고 연장부(108)를 갖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개구(104)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 개구(104) 내에서는, 래치 캠(106)의 U자-형상 부분이 노출된다. 스트라이커가 래치 캠(106)에 닿아 래치 캠(106)으로 하여금 도 1a 내지 1f에 예시된 것과 같이 폐쇄 포지션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게 하도록, 개구(104)는 래치 스트라이커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래치 캠(106)은 폐쇄 포지션에 유지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해, 트리거의 연장부(108)는 래치 캠(106)의 개방 포지션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수동으로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저부(bottom)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회로 보드와의 연결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power supply)은 이 액세스 포인트(114)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자들은,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14)를 통해 회로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또한 설명될 것이다.
선택적인 케이블 장착 브라켓(110)이 하우징(102)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한다. 가요성 케이블이 종방향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연장부(108)의 말단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 장착 브라켓(110)은 종방향 개구를 포함한다. 그후, 사용자는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원격 위치로부터 트리거를 액츄에이팅할 수 있다. 래치 메커니즘을 원격으로 액츄에이팅하기 위한 케이블의 사용은, 특정 애플리케이션들, 예컨대, 운전석으로부터 자동차의 트렁크를 여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래치 어셈블리(120)의 제 2 실시예는, 도 2a 내지 2f에 예시된다. 제 2 실시예의 컴포넌트들은, 제 2 실시예의 하우징(122)이 선택적인 상부 부분(123)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우징(122)의 상부 부분(123)은, 래치 스트라이커가 장착되는 도어 또는 패널이 래치 어셈블리의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센서를 하우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당업자들에 의해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예컨대 자기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인접하게 있을 때 자기장이 자기 리드 스위치로 하여금 폐쇄되어 신호를 생성하게 하도록, 자기 리드 스위치는 도어 또는 패널에 자석 또는 몇몇 자기장 생성 컴포넌트를 요구할 것이다.
도 3a 및 3b에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은 래치 스트라이커를 수용할 준비가 된 개방 포지션에서의 래치 캠(106, 126)으로 예시된다. 도 4는 설치된 상태의 래치 어셈블리(120)의 제 2 실시예를 예시한다. 래치 어셈블리(120)는, 복수의 피봇 핀들(162a, 162b)에 의해 제공된 대응 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131a, 131b)를 삽입함으로써 패널에 부착된다. 래치 어셈블리(120)는, 래치 캠(126)이 래치 스트라이커(140)를 향하도록 배향된다. 이 예시에서 래치 스트라이커(140)는 슬라이딩 서랍(142)의 후면에 부착된다.
래치 캠(126)은, 서랍(142)이 래치 캠(126)을 향하여 밀어질 때, 래치 스트라이커(140)가 래치 캠(126)을 접촉하여 래치 캠(126)으로 하여금 회전하여 스트라이커(140)를 캡쳐하게 하는, 개방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단 캡쳐되면, 서랍(142)은 그 포지션에서 잠겨지고 래치 어셈블리(120)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질 수 없다. 서랍(142)을 릴리징하기 위해, 래치 어셈블리(120) 내의 모터는 래치 캠(126)을 개방 포지션으로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적 커넥션(144)을 통해 에너자이징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어셈블리를 개방 포지션으로 전기적으로 액츄에이팅하기 위한 수단은 도 5a 내지 5d에 예시된다. 도 5a에서, 래치 어셈블리(120)의 후면도는, 기어박스(152) 이외에 후방 커버(132)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c와 유사하게 예시된다. 통상적으로, 후방 커버(132)는, 패스너들, 이를테면, 복수의 스크류들(150a, 150b, 및 150c)을 사용하여 하우징(122)의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a의 래치 캠(126)은 폐쇄 포지션에 있는데, 이 포지션은, 래치 캠(126)이 래치 캠(126)의 U자-형상 보유면(U-shaped retaining surface)(141) 내에서 래치 스트라이커를 캡쳐할 수 있게 하는 포지션이다. 래치 캠(126)은, 제 1 스프링(139),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개방 포지션으로 바이어싱된다. 코일 스프링(139)은, 도 5a에서 배향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래치 캠(126)을 회전시킬 것이다. 코일 스프링(139)의 하나의 레그는 하우징(122)의 내벽에 맞닿게 가압되는 한편, 제 2 레그는 래치 캠(126)의 코너(166)에 맞닿게 가압된다.
트리거(121)는 래치 캠(126)이 개방 포지션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는 트리거(121) 상의 보유 부분(125)이 래치 캠(126)의 바깥쪽 부분에 접촉하는 블로킹 표면(blocking surface)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트리거(121)는 트리거 피봇 핀(1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된다. 바이어싱 힘은, 트리거(121)의 아암 부분(137)과 같이, 액츄에이터에 맞닿는(bear against) 제 2 스프링(138),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기 리드 스위치(156)는 하우징(122)의 상부 부분(123)에 위치될 수 있다. 자기 리드 스위치(156)는, 래치 스트라이커를 보유하는 도어 또는 패널이 래치 어셈블리 가까이에 있는 시기를 나타내기 위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된다. 보호 발포 패드(158)는 자기 리드 스위치(156)와 함께 하우징(122)의 상부 부분(123) 내부로 로딩될 수 있다.
트리거(121)의 아암 부분(137)의 팁은, 폐쇄 회로를 유지하기 위해 “상시 개방(Normally Open)” 스위치(136), 바람직하게는 SPDT 스위치와 맞물린다. 전기적 액츄에이션은, 래치 커넥터(144)의 접지 커넥션과 전력 커넥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회로가 폐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회로는, 스위치(136)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예컨대, 스위치 레버가 눌려질 때 폐쇄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136)는 회로 보드(16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일 다이오드가 또한 반대 극성 보호를 위해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어셈블리(120)의 래치 해제(unlatch)를 희망할 때, 모터(129)는 원격으로 에너자이징될 수 있다.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는 모터(129)는, 웜 기어(133)가 회전하도록 야기하고, 이는 결국 구동 캠(135)이 일련의 기어들(119a, 119b)을 통해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모터(129), 기어들(119a, 119b), 및 구동 캠(135)은 기어박스(152) 내에 하우징될 수 있다. 기어박스(152)는 또한, 일련의 기어 샤프트들(154a, 154b, 및 154c)의 일 말단이 상주하는 위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 샤프트들(154a, 154b, 154c)은 기어들(119a, 119b) 및 구동 캠(135)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로, 구동 캠(135)은, 바람직하게 서로 180도 이격된 2개의 로브들(143a, 143b)을 포함한다. 구동 캠(135)이 회전함에 따라, 제 1 로브(143b) 상의 캠 표면은 트리거(121)의 아암 부분(137)에 접촉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아암 부분(137)의 팁은, 스위치(136)로부터 결국 맞물림 해제되지만; 트리거(12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캠(135)의 제 2 로브(143a) 상의 캠 표면은 스위치(136)와 맞물린다.
전기적 액츄에이션 동안 폐쇄 포지션에서 “상시 개방” 스위치(136)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암 부분(137)의 단부는 구동 캠(135)의 로브들(143a, 143b)의 스위핑 모션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낫(sickle)-형상이다. 그후, 로브들(143a, 143b)은, 트리거(121)의 회전 동안 아암 부분(137)의 단부가 스위치(136)와 맞물림해제함에 따라, 스위치 레버를 누르는 기능을 취할 수 있다. 이는, 전류를 모터(129)에 전달하기 위해, 이 전류가 전달될 때, 폐쇄 회로를 유지한다.
도 5c를 이제 참조하면, 트리거(121)의 회전의 정도는, 래치 캠(126)의 바깥쪽 부분이 보유 부분(125)에 의해 더 이상 블로킹되지 않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 트리거(121) 및 구동 캠(135)의 구성은, 래치 캠(126)의 회전에 대한 장애물로서 트리거(121)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오직 약간의 회전 정도만이 필요하고 최소량의 전력이 요구된다. 일단 자유로워지면, 코일 스프링(139)은 래치 캠(126)을 개방 포지션으로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할 것이다.
회전되면, 래치 캠(126)의 베어링 표면(127)은 트리거(1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며, 이는 베어링 표면(127)이 보유 부분(125)에 접촉하고 본질적으로는 블로킹할 것이기 때문이다. 로브(143a)가 스위치(136)와 계속해서 맞물려있기 때문에, 모터(129)는 계속해서 구동 캠(135)이 회전하도록 야기할 것이다.
구동 캠(135)이 스위치(136)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을 때, 스위치(136)의 레버는 릴리징되고, 회로는 개방되어 모터(129)로의 전류를 차단(cut)할 것이다.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 어셈블리(120)의 전기적 액츄에이션이 완료될 때 구동 캠(135)은 대략적으로 180도 회전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구동 캠(135)의 대칭적 설계는 구동 캠(135)의 모든 각각의 1/2 턴(turn) 동안의 액츄에이션 사이클을 제공한다.
전력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캠이 시작 포지션으로 복귀된 후 그리고 전기적 액츄에이션 사이클이 완료된 후에 제거된다. 전력이 제거되지 않으면, 래치는 래치 캠(126)이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할 때 새로운 사이클을 개시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120)를 도 5a에 예시된 원래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래치 스트라이커는 래치 캠(126)에 닿아 래치 캠(126)이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바람직하게, 래치 캠(126)은 폐쇄 방향에서의 래치 스트라이커의 과도한 이동(over travel)을 수용하기 위해 과회전하도록(over-rotate)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표면(127)이 보유 부분(125)을 더 이상 블로킹하지 않을 때, 보유 부분(125)의 단부 표면이 래치 캠(126)의 바깥쪽 부분을 다시 블로킹하고 그리고 트리거(121)의 아암 부분(137)의 팁이 스위치(136)와 다시 맞물릴 때까지, 압축 스프링(138)은 트리거(121)로 하여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할 것이어서, 모터(129)는 사용자에 의해 촉구될 때 에너자이징될 수 있다. 래치 캠(126)의 U자-형상의 보유 표면(141)은, 래치 스트라이커가 개구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래치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서랍 또는 다른 물체를 고정시킨다.
래치 어셈블리(120)는 또한 수동으로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거(121)의 연장부(128)는 하우징(122)을 넘어까지 연장한다. 가요성 케이블(미도시)은, 케이블 브라켓(130)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연장부(128)에 부착될 수 있다. 연장부(128)는 래치 어셈블리(120)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액츄에이팅하도록 허용한다. 이는, 보유 부분(125)이 래치 캠(126)을 더 이상 블로킹하지 않도록, 충분한 정도로 트리거(121)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장부(128)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힘을 수동으로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회전하는데 일단 자유로워지면, 코일 스프링(139)은 래치 캠(126)을 개방 포지션으로 회전시킬 것이어서, 래치 스트라이커는 더 이상 캡쳐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는,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시스템 제어기들, 이를테면, 자기 잠금장치/전기 스트라이크 래칭 릴레이 유형 제어장치들(magnetic lock/electric strike latching relay type controls),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제어기들, 또는 간단한 스위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할 수 있다. 래치는, 충분한 시간 지속기간 동안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그리고 소정의 사이클, 예컨대, 래치 캠을 개방 포지션으로 릴리징하기 위한 구동 캠의 회전을 완료한 이후에, 전력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에 래치를 연결하고 그리고 래치를 제어하기 위해 오직 2개의 배선들만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래치들은 또한 래치 상태 피드백 및 도어 감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트리거의 포지션은, 모터를 제어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단일 스위치, 바람직하게는 SPDT 스위치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d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 포지션은 캠 포지션에 의존한다.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에 있다면, 스위치는 폐쇄되고, 예컨대, 스위치 레버가 눌려지면, 래치 캠은 폐쇄 포지션에 있게 되며, 래치는 고정된다. 트리거가 잠금해제 포지션에 있고 스위치가 개방되는 경우, 래치 캠은 개방 포지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 상태는 스위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개방 스위치는 래치가 고정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폐쇄 스위치는 래치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자기 리드 스위치는 또한 도어 또는 패널의 존재를 감지하고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다. 자기 리드 스위치는, 자기장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폐쇄 회로를 접지에 제공할 것이다. 래치 스트라이커를 보유하는 도어 또는 패널에는 자석이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자석이 스트라이커에 의해 보유될 수 있으며, 도어 또는 패널이 폐쇄 포지션에 있는 경우, 자기 리드 스위치는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전기적 커넥터 상에서 도어 상태 핀을 통해 접지에 폐쇄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자기 리드 스위치는, 도어 또는 패널이 이동될 때 개방할 것이고, 자석은 충분히 멀리 있어서, 자기 리드 스위치는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컴포넌트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들 및 재료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재료들일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래치 캠 및 트리거를 위한 보다 더 강하고(stronger), 단단한(rugged) 금속 재료는, 래치 메커니즘의 수명 동안 다수의 사이클들에 걸쳐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용상의 이유들로, 일부 실시예들은 플라스틱 재료들로 제조된 캠 및/또는 트리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금속으로 스탬핑되거나 또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d에 예시된 래치 메커니즘의 실시예에 대한 변동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콤팩트 디자인을 갖는 래치 어셈블리(200)를 제공하는, 도 10에 예시된다. 래치 어셈블리(200)의 컴포넌트들 모두는, 래치 캠(206) 및 트리거(210)를 제외하고는, 위에 설명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모터(229), 기어들(219a, 219b), 구동 캠(235), 스위치(236), 및 압축 스프링(238)의 위치 및 배향은 트리거(210)의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에 변했다.
래치 어셈블리(200)에서, 트리거(210)에 대한 별도의 피봇 핀은 제거되었다. 대신에, 트리거(210)는 래치 어셈블리(200)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패스너 보어를 갖는 피봇 핀(26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트리거(210)는 또한 별도의 보유 부분이 없다. 그 대신에, 스위치(236)에 또한 접촉하는 아암 부분(230) 상에 블로킹 표면이 제공된다. 트리거(210)를 구동 캠(235)과 전기적으로 또는 연장부(220)에서 수동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블로킹 표면을 이동시킬 것이며, 래치 캠(206)이 개방 포지션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개방 포지션에서, 래치 캠(206)의 베어링 표면(227)은, 아암 부분(230)에 접촉할 것이며, 압축 스프링(238)이 트리거(2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트리거(210)의 연장부(220)는 하우징(222)의 저부 넘어까지 연장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연장부(220)는 제 1 및 제 2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하우징(222)의 측을 지나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메커니즘의 제 4 실시예는 도 11에 예시된다. 래치 메커니즘의 엘리먼트들은,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캠(새로운 구동 캠(335)의 형상 및 트리거(새로운 트리거(321))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a 내지 5d에 예시된 실시예의 엘리먼트들과 유사하다. 트리거(321)의 아암 부분(337)의 팁은, 이 팁이 “상시 개방” 스위치(336)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도록, 짧아졌다. 스위치(336)는, 여전히 바람직하게는 SPDT 스위치이며, 구동 캠(335)의 액츄에이션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로, 원격 신호가 래치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래치(320)에 의해 수신될 때, 구동 캠(33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캠(335)의 Ÿ‡지 부분(343a)이 스위치(336)를 누른다. 반시계-방향 회전 동안, Ÿ‡지(343a)의 선단 에지(343b)는 트리거(321)의 아암 부분(337)에 닿아 트리거(321)가 트리거 피봇 핀(36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할 것이다. 구동 캠(335)의 회전은, Ÿ‡지(343a)가 스위치(336)를 더 이상 누르지 않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며, 스위치(336)는 구동 캠(335)의 감소된 직경 부분(343c)으로 인해 개방되도록 허용된다. 일단 스위치(336)가 개방되면, 모터(329)는 구동 캠(335)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더 이상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구동 캠(335)은, 보유 부분(325)이 시계 방향에서 래치 캠(326)이 회전하는 것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도록, 트리거(321)의 포지션을 변경시키기에 충분하게 회전되어야 한다. 일단 자유로워지면, 래치 캠(326)은, 베어링 표면(327)이 보유 아암(325)에 인접하는 포지션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구동 캠(335) 상의 Ÿ‡지(343a)의 선단 에지 부분(343b)은 Ÿ‡지(343a)의 나머지보다 더 두꺼운 치수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는, 반복적인 래치해제 동작들 동안, 트리거에 영향을 주기 위한 추가적인 재료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320)를 로킹하기 위해서, 원격 신호가 전송되어 구동 캠(335)으로 하여금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Ÿ‡지(343a)가 트리거(321)의 아암 부분(337)에 더 이상 접촉하지 않고 그 대신에 스위치(336)를 다시 누를 때, 모터(329)로의 전력이 차단되어 구동 캠(335)의 반시계 방향 회전이 정지될 것이다. 래치 캠(326)은, 스트라이커(미도시)에 접촉함으로써 회전될 때까지, 개방 포지션에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래치가 폐쇄되어 잠금해제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또는 래치가 개방되어 잠금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스위치(336)가 눌려질 수 있기 때문에,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도 11의 실시예에서의 스위치(336)는 래치의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별도의 스위치 및/또는 센서는, 트리거(321) 또는 래치 캠(326)의 포지션을 검출함으로써 래치(32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 11의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전력은 도 11의 실시예들에 따라 래칭 시스템들에 무기한으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력은 간헐적으로 그리고 요구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 11에 따른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 전력을 래치(320)에 전달하기 위한 그리고 스위치(336)가 개방 또는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구동 캠(335)이 액츄에이팅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해 2개의 회로들 사이에서의 스위칭을 위해 3개의 배선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도 11의 실시예는 래치(320)를 수동으로 릴리징하기 위한 케이블을 부착하기 위한 트리거(321)의 연장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래치들은 기계식 오버라이드를 통해 푸시-투-클로즈 회전식 캠 래치들로 전기기계적으로 동작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래치들은 2개의 상이한 하우징 길이들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된 하우징 버전이 개방 포지션의 캠에 일부 보호를 제공하고, 그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는 표준 버전은 래치가 도어와 같은 다른 구조체에 더 가깝게 있게 허용한다. 자기 도어 센서를 위한 옵션은, 예컨대, 연장된 하우징 버전에서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치들의 동작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동 동작이 먼저 설명된 다음 전기기계적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수동 동작에 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치는, 트리거 컴포넌트의 노출된 부분 상에서 직접 당김으로써 수동으로 또는 트리거 상에서 당기기 위해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원격으로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래치 하우징은 기계적 오버라이드 케이블들에 대한 장착 피쳐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래치 볼트 또는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서랍 또는 도어 또는 다른 시스템 컴포넌트는 래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래치는 푸시-투-클로즈(래치) 기능을 갖는다. 래치 메커니즘이 개방 포지션으로 스프링 로딩된 회전식 캠 및 잠김 포지션으로 스프링 로딩된 회전식 트리거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랍과 같은 컴포넌트는 밀어져 폐쇄될 수 있고, 래치 스트라이커는 개방 포지션에 있는 동안 이 캠을 가격할 것이며 캠 상의 토션 스프링 힘에 대하여 폐쇄 포지션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할 것이다. 캠이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트리거 압축 스프링은 잠김 포지션으로 트리거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고, 캠은 트리거 상의 보유 치형부 또는 표면 뒤에서 맞물린다. 보유 치형부는 개방 방향으로 캠의 모션을 블로킹한다. 캠은, 폐쇄 방향에서의 래치 스트라이커의 과도한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폐쇄 방향에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폐쇄 및 잠김 포지션에서, 캠의 U자-형상은 래치 스트라이커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서랍 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고정시킨다.
고정 포지션으로부터, 트리거의 노출된 단부가 수동으로 이동되어, 트리거 상의 보유 치형부가 캠을 지나 슬라이딩하여 캠의 모션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을 때까지 트리거 피봇 핀을 중심으로 트리거의 본체를 회전시킨다. 캠 상의 토션 스프링 힘과 같은 바이어스는, 캠이 개방 포지션 내부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고, 래치 스트라이커와 맞물림해제한다.
전기기계적 동작과 관련하여, 래치 커넥터의 접지 커넥션과 전력(Vin) 커넥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모터 회로가 폐쇄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는 전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모터 회로는, 상시 개방 스위치 콘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스위치 레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폐쇄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시퀀스가 이하의 표에서 요약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전술한 표에 언급된 바와 같이, 포지션들 1, 4, 5, 및 7의 예시들은 도 5a-5d 각각에 예시된다. 표에 열거된 나머지 포지션들(즉, 포지션들 2, 3, 6 및 8)이 도면들에서 별도로 예시되지 않지만, 이러한 포지션들은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액츄에이터 메커니즘에 관련하여, 이는 SPDT 제어 스위치, 소형 DC 모터, 구동 캠을 갖는 기어 트레인 단부 및 트리거/액츄에이터 아암으로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기어 트레인은, 모터 출력 샤프트 상의 웜 프레스 핏(worm press fit), 웜 기어/감속 기어, 복합 감속 기어, 및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동일한 로브들을 갖는 구동 캠을 포함하는 피동(driven)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캠 로브들 중 하나는, 180도의 1 사이클 동안 정확한 회전 포지션에서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구동 캠의 회전 포지션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레버와 연결되는 캠으로서 사용된다. 구동 캠이 스위치 레버를 릴리징할 때, 상시 개방 콘택은 개방되고 모터는 정지한다. 캠의 다른 로브는 트리거의 액츄에이터 아암 부분을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전기적 동작 동안 래치 릴리즈를 위해 트리거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트리거 포지션은 또한, 트리거 액츄에이터 아암의 단부가 트리거 폐쇄 포지션의 스위치 레버에 접촉함에 따라서,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검출된다.
선택적인 래치 상태 포지션 피드백 스위치와 관련하여, 트리거의 포지션은 모터를 제어하는데 또한 사용되는 단일 SPDT 스위치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트리거 포지션은 캠 포지션에 의존하며; 이에 따라,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에 있는 경우, 캠은 폐쇄되고 래치는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고정 가능성만이 존재한다.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래치 상태는, 래치가 고정되어 있는지 또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지를 나타낸다. 스위치의 콘택은 래치 상태 포지션 피드백을 위해 사용된다. 트리거가 잠금 포지션에 있을 때, 스위치 레버는 눌려지고 콘택은 개방된다.
래치는,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시스템 제어기들, 이를테면, 자기 잠금장치/전기 스트라이크 릴레이 유형 제어장치들,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제어기들, 또는 간단한 스위치 제어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하다. 래치는, 충분한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그리고 그 사이클을 완료한 이후에 전력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어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래치를 동작시키는데 오직 2개의 배선들만이 요구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자기 리드 스위치는 선택된 래치들에 포함되어 있다. 자기 스위치는, 자기장의 존재를 검출할 것이고, 폐쇄 회로를 접지에 제공할 것이다. 도어 스트라이커에는 자석이 장착될 수 있으며, 도어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자기 스위치는 래치 커넥터 상의 도어 상태 핀을 통해 접지에 폐쇄 회로를 제공할 것이다. 스위치는, 도어가 개방되고 자석이 멀리 있을 때 개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오직 예시로써만 제공됨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들에게는 수많은 변형들, 변경들 및 치환들이 상기될 것이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변화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3)

  1.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로서,
    폐쇄 포지션(closed position)과 개방 포지션(open position)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래치 캠(latch cam) ― 상기 래치 캠은, 상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그리고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스트라이커를 캡쳐하도록 구성됨 ― ;
    잠금 포지션(locked position)과 잠금해제 포지션(unlocked position) 사이를 회전하도록 장착된 트리거 ―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잠금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래치 캠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되며, 이에 의해, 상기 래치 캠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 보유됨 ― ;
    상기 트리거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갖는 구동 캠(drive cam);
    상기 구동 캠에 커플링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커플링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구동 캠의 상기 캠 표면 및 상기 트리거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구동 캠을 검출할 때 상기 구동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의 액츄에이션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상기 구동 캠이 회전하여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되고(urge), 상기 래치 캠으로부터 상기 트리거가 맞물림해제되고(disengage), 그리고 상기 래치 캠으로 하여금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허용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캠, 상기 트리거, 상기 구동 캠, 상기 모터, 및 상기 스위치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enclosing)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트리거를 상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상기 연장부에 부착하기 위한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포지셔닝된 케이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캠의 베어링 표면은, 상기 래치 캠이 상기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SPDT 마이크로 스위치인,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트리거를 바이어싱하도록 포지셔닝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상기 트리거의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포지셔닝된 압축 스프링인,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 캠에 의해 캡쳐되는 시기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기 리드 스위치(magnetic reed switch)를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11. 래치형 구성(latched configuration) 및 비래치형 구성(unlatched configuration)을 갖는 래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래치형 구성과 상기 비래치형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래치 및 스트라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형 구성에서 상기 래치에 의해 맞물리도록 포지셔닝된 맞물림 표면을 가지며,
    상기 래치는,
    폐쇄 포지션과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래치 캠 ― 상기 래치 캠은, 상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그리고 상기 래치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래치형 구성에 있고 상기 래치 캠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스트라이커를 캡쳐함 ― ;
    잠금 포지션과 잠금해제 포지션 사이를 회전하도록 장착된 트리거 ―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잠금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래치 캠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되며, 이에 의해 상기 래치 캠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보유됨 ― ;
    상기 트리거에 접촉하도록 포지셔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갖는 구동 캠;
    상기 구동 캠에 커플링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커플링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구동 캠의 상기 캠 표면 및 상기 트리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포지셔닝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구동 캠의 상기 캠 표면을 감지할 때 상기 구동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의 액츄에이션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상기 구동 캠이 회전하여,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되고, 상기 래치 캠으로부터 상기 트리거가 맞물림해제되고, 상기 래치 캠으로 하여금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허용되고, 그리고 상기 래치형 구성으로부터 상기 비래치형 구성을 향하여 상기 래치가 이동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캠, 상기 트리거, 상기 구동 캠, 상기 모터, 및 상기 스위치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트리거를 상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상기 연장부에 커플링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캠의 베어링 표면은, 상기 래치 캠이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금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SPDT 마이크로 스위치인,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트리거를 바이어싱하도록 포지셔닝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상기 트리거의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포지셔닝된 압축 스프링인,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에 인접하게 되는 시기를 감지하도록 포지셔닝된 센서를 더 포함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기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래치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23. 제 11 항에 있어서,
    래치 상태는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표시되며, 개방 스위치는 상기 래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폐쇄 스위치는 상기 래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24.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일 스위치를 통해 상기 래치의 트리거 및 구동 캠 중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구동 캠이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동안 상기 래치의 구동 캠을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액츄에이팅하는 단계;
    상기 구동 캠의 회전에 의해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잠금해제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래치의 트리거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 및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래치의 래치 캠을 회전시키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구동 캠과 상기 스위치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캠을 회전시키도록 허용하는 단계는, 상기 래치 캠을 상기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바이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로부터 릴리징되는 시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래치의 래치 캠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릴리징하기 위한 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눌려진 상태(depressed condition)와 릴리징된 상태(released condition) 사이를 교번하도록 구성된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캠은,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눌려진 상태와 상기 릴리징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을 때 회전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캠은, 상기 레버 아암이 오직 상기 눌려진 상태에 있을 때에만 회전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상기 눌려진 상태는, 상기 래치 캠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발생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김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를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캠의 상기 캠 표면을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스트라이커를 캡쳐하기 위한 래치.
  3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리거가 상기 잠김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를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캠의 상기 캠 표면을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래치형 구성 및 비래치형 구성을 갖는 래치 시스템.

KR1020177015231A 2014-11-07 2015-11-06 캠 래치 KR102369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35,790 2014-11-07
US14/535,790 US9915082B2 (en) 2014-11-07 2014-11-07 Cam latch
PCT/US2015/059489 WO2016073865A1 (en) 2014-11-07 2015-11-06 Cam la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74A true KR20170082574A (ko) 2017-07-14
KR102369881B1 KR102369881B1 (ko) 2022-03-02

Family

ID=5454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231A KR102369881B1 (ko) 2014-11-07 2015-11-06 캠 래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915082B2 (ko)
EP (1) EP3215697B1 (ko)
JP (1) JP6702992B2 (ko)
KR (1) KR102369881B1 (ko)
CN (1) CN107075872B (ko)
BR (1) BR112017009357B1 (ko)
WO (1) WO20160738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2440A1 (de) 2017-06-29 2019-01-03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r variablen Ventilzeitsteuerung des Freilaufkupplungstyps und Motorsystem mit derselb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002413U1 (de) * 2014-03-18 2015-06-22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Türanordnung
US9915082B2 (en) * 2014-11-07 2018-03-13 Southco, Inc. Cam latch
JP6372395B2 (ja) * 2015-02-27 2018-08-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ドロワ装置
CN106930625B (zh) * 2015-12-30 2019-02-15 因特瓦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锁闩的释放致动器
WO2017201029A1 (en) 2016-05-20 2017-11-23 Southco, Inc. Dynamic key access control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D858253S1 (en) * 2016-10-18 2019-09-03 International Door Closers, Inc. Door closer
US10185109B2 (en) * 2016-12-29 2019-01-22 Mellanox Technologies, Ltd. Modular system for datacenter switch systems and routers
TWI641883B (zh) 2017-03-03 2018-11-21 英屬維京群島商祥茂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收發器
TWI616696B (zh) * 2017-03-03 2018-03-01 英屬維京群島商祥茂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收發器
US10550601B2 (en) * 2017-08-03 2020-02-04 Schlage Lock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a condition of a door
US10288824B2 (en) 2017-10-02 2019-05-14 Prime World International Holdings Ltd. Optical transceiver
PL3714093T3 (pl) * 2017-11-23 2022-02-14 Elettrotecnica Rold S.R.L. Urządzenie do zamykania i otwierania paneli, w szczególności paneli elektrycznych urządzeń gospodarstwa domowego takich, jak pralki i tym podobne
WO2020060901A1 (en) 2018-09-17 2020-03-26 Southco, Inc. Latch
US11359417B2 (en) * 2018-10-29 2022-06-14 Allegis Corporation Electronic trigger rotary pawl latch
US20220251878A1 (en) * 2018-11-16 2022-08-11 The Eastern Company Latch apparatus
US11346129B1 (en) * 2018-11-16 2022-05-31 The Eastern Company Latch apparatus
CN109441253A (zh) * 2018-12-18 2019-03-08 厦门汉凌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箱柜电子锁
US10914098B2 (en) * 2019-05-30 2021-02-09 Digilock Asia Ltd. Enclosure latch system
JP2022536863A (ja) * 2019-06-21 2022-08-19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コンパートメントドアの解放用電子ストライカ及びその使用方法
EP4028618B1 (en) * 2019-09-12 2024-01-03 Southco, Inc. Rotary latch assembly with multiple striker engagements
CN110670957B (zh) * 2019-09-27 2021-07-06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车锁、开锁方法及闭锁方法
CN212656686U (zh) * 2020-03-05 2021-03-05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箱柜的电动锁
TR202005084A2 (tr) * 2020-03-31 2021-10-21 Serdar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Kendini Sıfırlayan Kilit Mekanizması
DE102021109734A1 (de) * 2020-05-18 2021-11-18 Magna Closures Inc. 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mit kraftentriegelungsmechanismus mit optimierter öffnungsfunktionalität und reduziertem rückstellgeräusch
US20230167658A1 (en) * 2020-05-22 2023-06-01 Southco, Inc.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 striker within a rotary latch
ES2968858T3 (es) * 2020-12-07 2024-05-14 Liebherr Hausgeraete Lienz Gmbh Dispositivo de bloqueo para un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y/o de congelación
TR202021105A1 (tr) * 2020-12-21 2022-07-21 Mesan Kilit Anonim Sirketi Geliştirilmiş bir tetik tertibatı içeren kancalı elektronik kilit.
KR20230167101A (ko) * 2021-04-08 2023-12-07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액추에이터, 포지션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및 포지션 센서를 갖는 래치 시스템
US11759538B2 (en) * 2021-04-27 2023-09-19 Scican Ltd. Door locking mechanism for a sterilizer
US20230011232A1 (en) 2021-07-12 2023-01-12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Lockable cabinet system and locking assembly therefor
CN113900408B (zh) * 2021-09-18 2023-10-20 北京理工大学 一种多级凸轮互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76A (ja) * 1982-04-26 1983-10-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ツチ内蔵式ロツク装置
JP2000027515A (ja) * 1998-06-24 2000-01-25 Mannesmann Vdo Ag 動力支援式閉鎖装置
US20090235767A1 (en) * 2008-03-10 2009-09-24 Southco, Inc. Rotary Pawl Latch
JP2012516958A (ja) * 2009-02-06 2012-07-26 ▲じゃい▼ 曉明 自動復帰し電力が鍵から供給される知能回転シリンダー、マッチング錠前及び鍵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1573A (en) * 1919-09-19 1921-09-20 Nixon Leroy Milking apparatus
JPS5189624A (en) * 1975-01-31 1976-08-05 Rotsukusochino enkakuseigyosochi
FR2518621B1 (fr) 1981-12-21 1986-03-14 Kiekert Gmbh Co Kg Serrure pou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US5007261A (en) 1989-07-20 1991-04-16 Quantz Norman G Electrically actuated lock mechanism with electrical failure protection
DE4015522A1 (de) * 1989-09-14 1991-03-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sperren und entsperren von geschlossenen tueren zu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2530516Y2 (ja) * 1992-03-31 1997-03-2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DE19505779A1 (de) * 1995-02-20 1996-08-29 Bocklenberg & Motte Bomoro Kraftfahrzeug-Klappenschloß,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ß
DE19530726C5 (de) * 1995-08-18 2009-07-02 Kiekert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mit baugleichen Kraftfahrzeugtürverschlüssen
US5938252A (en) * 1996-08-22 1999-08-17 Asmo Co., Ltd. Door member locking/unlocking apparatus
DE19747211C2 (de) * 1997-10-25 2000-02-17 Bosch Gmbh Robert Kleine motorisch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Funktionselement in einem Kraftfahrzeug
US6027148A (en) * 1998-06-12 2000-02-22 Shoemaker; Rodney Security device for a movable closure and method therefor
US6089626A (en) * 1998-06-12 2000-07-18 Shoemaker; Rodney Security device for a movable closure and method therefor
DE10009391A1 (de) * 2000-02-29 2001-09-13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ss
US6659515B2 (en) * 2001-10-30 2003-12-09 Kiekert Ag Power-closing motor-vehicle door latch
DE10234782A1 (de) 2002-07-30 2004-02-1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EP1428959B1 (de) * 2002-12-11 2005-08-10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schloss
US7235901B2 (en) 2003-07-11 2007-06-26 Clark Equipment Company Sensor and interlock on an industrial vehicle
DE10358139A1 (de) * 2003-12-10 2005-07-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insbesondere für einen Kofferdeckel oder eine Hecktür eines Kraftfahrzeugs
US7156430B2 (en) * 2004-06-22 2007-01-02 Tri/Mark Corporation Latch assembly
GB2423333B (en) * 2005-02-18 2010-02-1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assembly
US7455335B2 (en) 2005-05-29 2008-11-25 Southco, Inc. Electromechanical push to close latch
DE202006015093U1 (de) 2006-09-30 2006-11-30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Einpunkt-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insbesondere Schaltschränke
DE112007002774T5 (de) * 2006-11-20 2009-10-29 Southco, Inc. Elektromechanisches Schloss mit drehbarer Sperrklinke
JP5554401B2 (ja) 2009-04-27 2014-07-23 アキュライ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引出しスライド及び錠止機構
JP5423207B2 (ja) * 2009-07-24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8672368B2 (en) 2010-03-16 2014-03-18 Southco, Inc. Electromechanical compression latch
DE102011012999A1 (de) * 2011-03-04 2012-09-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US9915082B2 (en) * 2014-11-07 2018-03-13 Southco, Inc. Cam la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76A (ja) * 1982-04-26 1983-10-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ツチ内蔵式ロツク装置
JP2000027515A (ja) * 1998-06-24 2000-01-25 Mannesmann Vdo Ag 動力支援式閉鎖装置
US20090235767A1 (en) * 2008-03-10 2009-09-24 Southco, Inc. Rotary Pawl Latch
JP2012516958A (ja) * 2009-02-06 2012-07-26 ▲じゃい▼ 曉明 自動復帰し電力が鍵から供給される知能回転シリンダー、マッチング錠前及び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2440A1 (de) 2017-06-29 2019-01-03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r variablen Ventilzeitsteuerung des Freilaufkupplungstyps und Motorsystem mit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9357A2 (pt) 2017-12-19
CN107075872B (zh) 2020-06-16
KR102369881B1 (ko) 2022-03-02
CN107075872A (zh) 2017-08-18
US10294695B2 (en) 2019-05-21
US20160130840A1 (en) 2016-05-12
EP3215697B1 (en) 2019-05-01
US9915082B2 (en) 2018-03-13
EP3215697A1 (en) 2017-09-13
BR112017009357B1 (pt) 2022-08-09
US20180163432A1 (en) 2018-06-14
JP6702992B2 (ja) 2020-06-03
JP2017534010A (ja) 2017-11-16
WO2016073865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881B1 (ko) 캠 래치
TWI458884B (zh) 旋轉爪式閂鎖
US7766397B2 (en) Electromechanical rotary pawl latch
US20100123323A1 (en) Electric latch retraction bar
WO2006096600A2 (en) Rotary pawl latch and rocker switch
MX2011004254A (es) Cerraduras electromecanicas y disposiciones de cerrojo.
EP0379273A1 (en) Vehicle door locking system
CN107923196B (zh) 具有监测保持器的电锁口系统
CA2895850C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JP2832235B2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US20180291651A1 (en) Fenestration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JP4614681B2 (ja) 電気錠
CN111827807B (zh) 用于动力闩锁系统的联接器-致动器组件
CN114245840B (zh) 用于门锁的安装组件
JP5334872B2 (ja) 収納庫の施錠装置
SK7680Y1 (sk) Elektromechanický zám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