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02A - 변압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02A
KR20170082502A KR1020177008018A KR20177008018A KR20170082502A KR 20170082502 A KR20170082502 A KR 20170082502A KR 1020177008018 A KR1020177008018 A KR 1020177008018A KR 20177008018 A KR20177008018 A KR 20177008018A KR 20170082502 A KR20170082502 A KR 2017008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witch
circuit
loa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나카하타
사토시 하츠카와
겐이치 히로츠
다카시 오히라
교헤이 야마다
다이야 에가시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도요하시 기쥬쯔 가가꾸 다이가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도요하시 기쥬쯔 가가꾸 다이가꾸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Ac-Ac Conversion (AREA)

Abstract

전단 회로로서,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직렬체와,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양단점 중 어느 한쪽을 접지 노드로 하여,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접지 노드를 제외한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커패시터와,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접지 노드를 제1 출력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접지 전로를 구비한다. 또한, 후단 회로로서,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제1 출력 포트 및 부하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가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소자 직렬체와, 소자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를 부하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을 부하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각각 설치된 인덕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변압 장치{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 교류의 송배전 계통에는 변압기가 이용된다. 수요가의 직근(直近)에서는, 예컨대 6600 V(50 Hz 또는 60 Hz)를 200 V로 변압하는 주상(柱上) 트랜스가 이용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주상 트랜스는, 도선이 되는 굵은 코일이 철심에 둘러 감아져 있고, 상응하는 중량이 있다. 또한, 더욱이 절연유나 케이스를 포함시키면, 예컨대 직경 40 cm, 높이 80 cm의 타입에서는 200 kg 정도의 중량이 있다.
한편, 차세대 전력 시스템인 스마트 그리드의 실현을 위해, SST(Solid-State Transformer)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SST에는 고주파 트랜스가 이용된다(예컨대, 비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최근, 예컨대 태양광 발전의 출력 전압(직류)을 강압하여, 저압의 계측용 전원 등에 사용하려고 하는 수요가 있다. 태양광 발전의 출력 전압은 1000 V나 되는 고전압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을 100∼200 V 정도로 강압하려면, 교류 회로와 마찬가지로, 강압 트랜스와 같은 장치가 도중에 필요해진다.
Chubu Electric Power Co., Inc. 홈페이지, 「주상 변압기」, [online], [2014년 9월 12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chuden.co.jp/kids/kids_denki/home/hom_kaku/index.html> Falcones, S.: et al.,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2010 IEEE, pp.1-8, Minneapolis, July 2010
종래의 주상 트랜스는 무겁고, 따라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그 외형 치수를 수용할 만한 큰 장착 공간이 주상에 필요하다.
한편, 고주파 트랜스는, 기생 용량의 영향을 회피할 수 없고, 설계상의 곤란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소형 경량으로, 종래의 트랜스와 같은 자기 결합이나 전자 유도, 상호 인덕턴스용의 코일이나 철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획기적인 차세대 변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전원은 교류, 직류의 어느 경우나 있다.
본 발명의 변압 장치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고, 전단 회로 및 후단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 회로는, (a) 2의 배수인 복수의 스위치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상기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직렬체와, (b)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상기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상기 양단점 중 어느 한쪽을 접지 노드로 하여, 상기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m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電路),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지 노드를 제외한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커패시터와, (c)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접지 노드를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접지 전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단 회로는, (d)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소자 직렬체와, (e) 상기 소자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를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상기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을 상기 부하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각각 설치된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압 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변압 장치에 의하면, 소형 경량으로, 종래의 트랜스와 같은 자기 결합이나 전자 유도, 상호 인덕턴스용의 코일이나 철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획기적인 차세대 변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변압 장치는 입출력 공통 접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압 장치의 원형(原形)으로서의 변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있어서의 4개의 스위치 중, 상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가 온이고, 하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가 오프일 때의, 실체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또한, (b)는, (a)와 동일한 회로도를, 계단형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있어서의 4개의 스위치 중, 하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가 온이고, 상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가 오프일 때의, 실체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또한, (b)는, (a)와 동일한 회로도를, 계단형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도 4는, 위의 그래프가 변압 장치에 대한 입력 전압, 아래의 그래프가 입력 전류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변압의 중간 단계에서의 전압(vm), 전류(im)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위의 그래프가 변압 장치로부터의 출력 전압, 아래의 그래프가 출력 전류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보다 실용적으로 발전시킨 변압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2C2L」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의 주요부에 관한,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후단 회로의 주요부에 관한,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4C2L」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의 주요부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로부터 커패시터 총수를 감하지 않는 경우의, 제1 전로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로부터 커패시터 총수를 감하지 않는 경우의, 제1 전로의 다른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로부터 커패시터 총수를 1개 감하는 경우의, 제1 전로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에 있어서의 제2 전로(파선)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6C2L」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의 주요부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 또는 제2 전로(파선)로부터 커패시터를 1개 감하는 경우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전단 회로에 관한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의 변형 요령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8은, 부하에 접속되는 후단 회로에 관한,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의 변형 요령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9는,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0은,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의 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되고, 다시 온으로 될 때의 스위치 전압(드레인-소스간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오프로부터 온으로의 데드 타임의 길이를 대·중·소의 3종류로 설정하고, ZVT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데드 타임(τ)을 사이에 두고 오프로부터 온으로 변화할 때의 여러가지 양의 변화를, 횡축의 시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19에 있어서의 스위치가 각각 갖는 부유 커패시턴스를 기재한 후에, 스위치보다 후단측의 회로에 관한 전반 시간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19에 있어서의 스위치가 각각 갖는 부유 커패시턴스를 기재한 후에, 스위치보다 후단측의 회로에 관한 후반 시간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의 (a)는, 변압 장치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인덕터의 양단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스위치 전압(VSW)(실선) 및 전류(IQ)(파선)의 각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은, 도 26에 있어서의 오른쪽 위의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8은, 직선 근사한 전류(IQ)의 정점 부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파형을 시간축 방향(우방향)으로 연장한 도면이다.
도 30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τ가 2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35는, τ가 5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36은, τ가 1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37은, τ가 2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38은, τ가 27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39는, τ가 3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도 40은,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2C2L」의 변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2는, 도 4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3은, 도 4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4는, 도 4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5는,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4C2L」의 변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7은, 도 45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8은, 도 45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9는, 도 45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0은,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6C2L」의 변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2는, 도 5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3은, 도 5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4는, 도 50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형태의 요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요지로서는, 적어도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1) 이것은,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변압 장치로서, 전단 회로 및 후단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 회로는, (a) 2의 배수인 복수의 스위치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상기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직렬체와, (b)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상기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상기 양단점 중 어느 한쪽을 접지 노드로 하여, 상기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m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지 노드를 제외한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커패시터와, (c)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접지 노드를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접지 전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단 회로는, (d)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소자 직렬체와, (e) 상기 소자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를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상기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을 상기 부하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각각 설치된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변압 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1)과 같이 구성된 변압 장치에서는, 전단 회로 및 후단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과 스위칭에 의해 변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 장치를 전력용의 변압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코일이나 철심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트랜스는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변압기의 비약적인 소형 경량화, 및 그것에 수반하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트랜스에서 과제가 되는 기생 용량, 누설 자계 발생의 문제도 해소되어, 저손실의 변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원은 교류, 직류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 변압 장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까지 입출력 공통 접지가 가능하다. 이 경우, 접지선의 공용이라는 이점이 있다.
(2) 또한, (1)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수번째의 스위치 및 상기 짝수번째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가 모두 오프가 된 데드 타임 개시 시각부터, 어느 한쪽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가 온이 되는 데드 타임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데드 타임(τ)으로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드 타임 개시 시각 후,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한쪽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전반 시간(τ1)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다른쪽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후반 시간(τ2)을 구하고, 전반 시간(τ1) 및 후반 시간(τ2)에 기초하여, 상기 데드 타임(τ)을 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데드 타임에 있어서의 전하의 이동에 착안하여 구한 시간(τ1, τ2)에 기초하여, 적절한 데드 타임(τ)을 정하고, 제로 전압 천이(ZVT: Zero Volt Transition)를 실현할 수 있다.
(3) 또한, (2)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 되돌아오기 이전에 상기 데드 타임(τ)을 끝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한 전하가 되돌아오면 스위치 전압이 재상승하지만, 그 이전에 데드 타임(τ)을 끝냄으로써, 스위치 전압의 재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4) 또한, (3)의 변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를 T,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L1, 상기 부하의 저항치를 R3으로 한 경우, 상기 데드 타임(τ)은,
τ12 ≤ τ ≤ τ01
의 관계에 있어서,
Figure pct00001
이고, 단, n은 부유 커패시턴스(CDS)의 개수, CnDS는 n번째의 부유 커패시턴스, 상기 루트 기호 안의 값은 부호가 플러스로서 τ1 < τ2이다.
이 경우, 데드 타임(τ)의 적합 범위를 명확히 정하고, 확실하게 제로 전압 천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τ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 인덕턴스는 인덕터(L1)뿐이기 때문에, 정밀한 인덕턴스를 가져야 하는 저손실의 인덕터가 L1만이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실시형태의 상세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형 회로예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변압 장치의 원형으로서의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변압 장치(1)는, 교류 전원(2)과, 부하(R)(R은, 저항치이기도 함)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변압 장치(1)는, 한쌍의 커패시터(C1, C2)와, 한쌍의 인덕터(L1, L2)와, 4개의 스위치(Sr1, Sr2, Sb1, Sb2)와, 이들 스위치(Sr1, Sr2, Sb1, Sb2)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의 스위칭 주파수는, 예컨대 1 MHz 정도이다.
또, 한쌍의 커패시터(C1, C2)의 커패시턴스값은 동일한 값이어도 좋고, 서로 상이한 값이어도 좋다. 한쌍의 인덕터(L1, L2)의 인덕턴스값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위치(Sr1, Sr2, Sb1, Sb2) 및 제어부(3)에 의해, 변압 장치(1)의 회로 접속의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 장치(4)가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Sr1, Sr2)는 서로 동기하여 동작하고, 또한, 스위치(Sb1, Sb2)는 서로 동기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스위치(Sr1, Sr2)의 쌍과, 스위치(Sb1, Sb2)의 쌍은, 배타적으로 교대로 온이 되도록 동작한다. 스위치(Sr1, Sr2, Sb1, Sb2)는, 예컨대, SiC 소자 또는 GaN 소자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이다. SiC 소자 또는 GaN 소자는, 예컨대 Si 소자에 비해, 보다 고속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또한, 소자를 다단으로 접속하지 않아도, 충분한 내압(예컨대 6 kV/1개도 가능)이 얻어진다.
도 1에 있어서, 한쌍의 커패시터(C1, C2)는, 접속점(M1)에 있어서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직렬체의 양단에, 교류 전원(2)이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커패시터(C1, C2)의 직렬체에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고, 입력 전류(iin)가 흐른다.
또한, 한쌍의 인덕터(L1, L2)는, 접속점(M2)에 있어서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직렬체의 양단에, 커패시터(C1, C2)를 통한 입력 전압(vm)이 인가되고, 입력 전류(im)가 흐른다. 부하(R)에는, 스위치(Sr2, Sb2) 중 어느 것이 온일 때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부하(R)에 인가되는 전압을 vout, 변압 장치(1)로부터 부하(R)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iout으로 한다.
도 2의 (a)는, 도 1에 있어서의 4개의 스위치(Sr1, Sr2, Sb1, Sb2) 중, 상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Sr1, Sr2)가 온이고, 하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Sb1, Sb2)가 오프일 때의, 실체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 도 1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4)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는, (a)와 동일한 회로도를, 계단형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한편, 도 3의 (a)는, 도 1에 있어서의 4개의 스위치(Sr1, Sr2, Sb1, Sb2) 중, 하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Sb1, Sb2)가 온이고, 상측에 있는 2개의 스위치(Sr1, Sr2)가 오프일 때의, 실체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한, 도 3의 (b)는, (a)와 동일한 회로도를, 계단형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도 2, 도 3의 상태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커패시터(C1, C2)의 직렬체의 접속점(M1)을 통해 취득되는 전압은, 또한, 인덕터(L1, L2)의 직렬체의 접속점(M2)을 통해 취득되는 전압이 된다. 즉, 한쌍의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하는 전단 회로와, 한쌍의 인덕터(L1, L2)를 포함하는 후단 회로를 구비한 회로 구성이며, 또한, 각 단에 있어서, 스위칭에 의해, 입력에 대한 출력의 극성이 반전한다. 또, 커패시터(C1, C2)에 관해서는 스위칭에 의해 교대로 전류의 방향이 반전하고, 인덕터(L1, L2)에 관해서는 스위칭에 의해 교대로 전압의 방향이 반전한다.
여기서, 입력 전압은 1/4이 되어 출력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하, 이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한다.
도 2에 있어서,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vin, 부하(R)에 인가되는 전압을 vout, 커패시터(C1)에 인가되는 전압을 v1, 커패시터(C2)에 인가되는 전압을 v2,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를 i1, 인덕터(L2)에 흐르는 전류를 i2로 하면,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또, 계산의 간략화를 위해, 커패시터(C1, C2)의 커패시턴스는 모두 동일한 값 C, 인덕터(L1, L2)의 인덕턴스는 모두 동일한 값 L로 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은, v1, i1, i2의 식으로 변형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i1 = v3, Ri2 = v4로 치환하면, 이하의 방정식 1이 얻어진다.
(방정식 1)
Figure pct00004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교류 전원(2)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vin, 부하(R)에 인가되는 전압을 vout, 커패시터(C1)에 인가되는 전압을 v1, 커패시터(C2)에 인가되는 전압을 v2,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를 i1, 인덕터(L2)에 흐르는 전류를 i2로 하면,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은, v1, i1, i2의 식으로 변형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i1 = v3, Ri2 = v4로 치환하면, 이하의 방정식 2가 얻어진다.
(방정식 2)
Figure pct00007
여기서, 상기 2개의 상태로부터 엄밀해(嚴密解)의 도출은 곤란하다. 그래서, 실용상 문제 없다고 생각되는 범위에서 이하의 조건을 설정한다.
(1) 입력 전압의 주파수(fo)에 있어서의 L의 임피던스(리액턴스)는, 저항치에 대하여 충분히 작다. 즉, 2πfoL << R이다. 부등호로 나타내는 차는, 예컨대, 1자릿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자릿수 이상의 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왜곡이 적은, 보다 안정된 변압 동작이 얻어진다.
(2) C의 임피던스(리액턴스)는, 스위칭 주파수(fs)에 있어서는, 저항치(R)에 대하여 충분히 작지만, 입력 전압의 주파수(fo)에 있어서는, 저항치에 대하여 충분히 크다. 즉, 1/(2πfsC) << R << 1/(2πfoC)이다. 부등호로 나타내는 차는, 예컨대, 1자릿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자릿수 이상의 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왜곡이 적은, 보다 안정된 변압 동작이 얻어진다.
(3) 또한, 스위칭의 1주기 중에서, 입력 전압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vin(t+Δt) = vin(t) (0 ≤ Δt ≤ 1/fs)
(4) 계는 정상이고, 주기 (1/fs)로 동등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vx(t+(1/fs)) ≒ vx(t) (x = 1, 2, 3, 4)
스위치(Sr1, Sr2)가, 0 ≤ t ≤ (1/2fs)의 시간에서 온, 스위치(Sb1, Sb2)가, (1/2fs) ≤ t ≤ (1/fs)의 시간에서 온이 된다고 하면, 방정식 1에 관해서는 t = 0의 주위에서 1차 근사하여 이하의 방정식 3이 얻어진다. 또한, 방정식 2에 관해서는, t = (1/2fs)의 주위에서 1차 근사하여 이하의 방정식 4가 얻어진다.
(방정식 3)
Figure pct00008
또, 상기한 방정식 3에서, 셋째 단의 식에서의 우변의 제3항, -(1/2){vin(1/2fs)-vin(0)}은 충분히 0에 가까운 값이다.
(방정식 4)
Figure pct00009
또, 상기한 방정식 4에서, 셋째 단의 식에서의 우변의 제3항, -(1/2){vin(1/fs)-vin(1/2fs)}는 충분히 0에 가까운 값이다.
여기서, 방정식 3, 4에서의 v1, v3, v4를 각각 연결시키면, 즉, v1(0) = v1(1/fs), v3(0) = v3(1/fs), v4(0) = v4(1/fs)를 이용하고, 또한, ΔT = 1/(2fs)로 두면, 이하의 식이 얻어진다.
Figure pct00010
또한, 상기(직전)의 식의 첫째 단과 둘째 단의 합을 취하면,
vin = -2{v3(0)+v4(0)+v3(ΔT)+v4(ΔT)}+v1(0)-v1(ΔT)
여기서, 방정식 3의 셋째 단의 식으로부터, v1(0)-v1(ΔT) = (1/(4fsCR))v4(0)
또한, -vout = R(i1+i2) = v3+v4이고, 항상 성립하는 식이기 때문에, 이하의 결론식이 얻어진다.
Figure pct00011
또,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각 C, 각 L은 동일 값으로서 취급했지만, 이들이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식 전개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론식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식의 우변의 제2항은 제1항에 비해 충분히 작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변동(R 값의 변동)에 관계없이 vin ≒ 4vout이 되고,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약 1/4이 된다. 또, 부하(R) 이외에서의 손실은 없기 때문에, 출력 전류는 입력 전류의 약 4배, 입력 임피던스는 저항치(R)의 16배가 된다.
또, 회로 파라미터 조건으로서, 인덕턴스에 관해서는, 2πfoL << R이다. 또한, 커패시턴스에 관해서는, 1/(2πfsC) << R << 1/(2πfoC)이다. 이 회로 파라미터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부하 변동에 대하여 변압비가 일정한 것을 확실하게 실현하여, 왜곡이 적은, 보다 안정된 변압 동작이 얻어진다. 또, 부등호로 나타내는 차는, 예컨대, 1자릿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자릿수 이상의 차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위의 그래프가 변압 장치(1)에 대한 입력 전압, 아래의 그래프가 입력 전류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변압의 중간 단계에서의 전압(vm), 전류(im)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것은 실제로는, 스위칭에 의한 펄스열에 의해 구성되고, 전체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된다.
또한, 도 6은, 위의 그래프가 변압 장치(1)로부터의 출력 전압, 아래의 그래프가 출력 전류를 각각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도 6의 대비로 분명한 바와 같이, 전압은 1/4로 변압되고, 그에 따라, 전류는 4배가 된다.
또, 도 1의 변압 장치(1)는, 스위치(Sr1, Sb1) 및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하는 전단 회로(1f)와, 스위치(Sr2, Sb2) 및 인덕터(L1, L2)를 포함하는 후단 회로(1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전단 회로(1f) 및 후단 회로(1r)는, 각각, 회로 구성의 토폴로지로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전단 회로(1f)는 하기의 「스위치 직렬체」와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직렬체」는, 2개의 스위치(Sr1, Sb1)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예컨대 상단측)으로부터 보아 홀수번째의 스위치(Sr1)와 짝수번째의 스위치(Sb1)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전원(2)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커패시터(C1, C2)」는,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N2) 및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N1, N3)을 합계 3개의 노드로 하여,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3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N1, N3)를 묶어 제1 출력 포트(Px)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N2)를 제2 출력 포트(Py)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2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한다.
또한, 후단 회로(1r)는, 하기의 「소자 직렬체(element series)」와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소자 직렬체」는,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스위치(Sr2, Sb2)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제1 출력 포트(Px)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된다.
「인덕터(L1, L2)」는, 소자 직렬체의 양단점인 2개의 노드(N11, N13)를 묶어 부하(R)의 일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한쌍의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인 1개의 노드(N12)를 부하(R)의 타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합계 3개의 노드 중 2개의 노드(N11, N13)에 대응하여 존재한다.
《원형 회로예 2》
다음으로, 전술한 원형 회로에 기초하여, 이것을 더욱 실용적으로 발전시킨 변압 장치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이러한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이 변압 장치(1)는, 전원(2)과 부하(R) 사이에 설치되고, 전단 회로(1f), 후단 회로(1r), 및 제어부(3)에 의해 구성된다. 전원(2)은, 예컨대 직류 전원이고, 전압은 1 kV이다. 부하(R)는, 등가 회로 요소로서 저항(R3)과, 커패시턴스(C6)를 갖는다.
전단 회로(1f)는, 블리더 저항(bleeder resistor)(R1, R2)과, 스위치(SW1∼SW4) 및 이들에 내재한 다이오드(D1∼D4)와, 커패시터(C1∼C5)를 갖고, 이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후단 회로(1r)는, 다이오드(D11, D12)와, 인덕터(L1, L2)를 갖고, 이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SW1∼SW4)에 관해서,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5개의 커패시터(C1∼C5)가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중 1개의 커패시터는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의 회로는, 스위치수와 동수의 「4」를 이용하여, 전단 4C, 후단 2L의 「4C2L」의 회로라고 칭한다. 이에 대하여, 도 1의 회로는 「2C2L」이다.
또, 다이오드(D1∼D4)는, 스위치(SW1∼SW4)에 내재한 보디 다이오드 외에, 스위치(SW1∼SW4)의 타입에 따라서, 별도로 설치하는 외부 장착의 다이오드여도 좋다. 이들 다이오드(D1∼D4)는, 환류 다이오드로서 기능하고, 스위칭 손실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결과, 인덕터(L1, L2)의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어 소형화에 기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하게 회로 구성의 토폴로지를 표현하면, 전단 회로(1f)로서, 「스위치 직렬체」와 「커패시터(C1∼C5)」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직렬체」는, 스위치(SW1∼SW4)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예컨대 상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SW1, SW3)와 짝수번째의 스위치(SW2, SW4)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전원(2)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커패시터(C1∼C5)」는,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N2, N3, N4) 및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N1, N5)을 합계 5개의 노드로 하여,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5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N1, N3, N5)를 묶어 제1 출력 포트(Px)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N2, N4)를 묶어 제2 출력 포트(Py)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5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한다.
또한, 후단 회로(1r)로서는, 「소자 직렬체」와 「인덕터(L1, L2)」를 구비하고 있다.
「소자 직렬체」는,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D11, D12)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제1 출력 포트(Px)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된다.
「인덕터(L1, L2)」는, 소자 직렬체의 양단점인 2개의 노드(N11, N13)를 묶어 부하(R)의 일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인 1개의 노드(N12)를 부하(R)의 타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합계 3개의 노드 중 2개의 노드(N11, N13)에 대응하여 존재한다.
도 7의 변압 장치는, 도 1의 변압 장치(1)와 동일한 조건에서 스위치(SW1, SW3)와, 스위치(SW2, SW4)가 교대로 온이 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변압비 1/8의 강압 회로로서 동작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입력 전압 1 kV를, 직류의 125 V로 강압할 수 있다.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
다음으로, 변압 장치(1)(도 1, 도 7 외)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에 관해서 설명한다.
(2C 전단 회로의 토폴로지)
도 8은, 「2C2L」의 변압 장치(1)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1f)의 주요부에 관한,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a)∼(e)의 각 도면의 회로는, 한쌍의 스위치 및 한쌍의 커패시터(부호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a)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3)와, 한쌍의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의 노드(N2)에 대응하여 커패시터가 존재한다. (b)는 도 1의 토폴로지이다. (c)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와, 한쌍의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의 노드(N2)에 대응하여 커패시터가 존재한다. (d)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3)에 대응하여 2개의 커패시터가 존재하고, 노드(N1)에 대응하여 출력 방향으로 1개의 커패시터가 존재하는 예이다. (e)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에 대응하여 2개의 커패시터가 존재하고, 노드(N3)에 대응하여 출력 방향으로 1개의 커패시터가 존재하는 예이다.
또, 어느 회로나 커패시터는 2개이지만, 모든 노드(N1∼N3)에 각각 대응하여 커패시터가 존재해도 좋다.
(2L 후단 회로의 토폴로지)
도 9는, 후단 회로(1r)의 주요부에 관한, 토폴로지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a)∼(e)의 각 도면의 회로는, 부하에 접속되는 후단 회로(1r)가, 한쌍의 스위치 및 한쌍의 인덕터(부호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대신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3)와, 한쌍의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의 노드(N12)에 대응하여 인덕터가 존재한다. (b)는 도 1의 토폴로지이다. (c)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1)와, 한쌍의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의 노드(N12)에 대응하여 인덕터가 존재한다. (d)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3)에 대응하여 2개의 인덕터가 존재하고, 노드(N11)에 대응하여 출력 방향으로 1개의 인덕터가 존재하는 예이다. (e)는 스위치 직렬체의 노드(N11)에 대응하여 2개의 인덕터가 존재하고, 노드(N13)에 대응하여 출력 방향으로 1개의 인덕터가 존재하는 예이다.
또, 어느 회로나 인덕터는 2개이지만, 모든 노드(N11∼N13)에 각각 대응하여 인덕터가 존재해도 좋다.
(4C 전단 회로의 토폴로지)
도 10은, 「4C2L」의 변압 장치(1)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1f)의 주요부의 도면이다.
여기서, 스위치 직렬체의 일단부에서 볼 때 홀수 노드(N1, N3, N5)를 묶어 제1 출력 포트(Px)에 유도하는 제1 전로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짝수 노드(N2, N4)를 묶어 제2 출력 포트(Py)에 유도하는 제2 전로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표시의 편의상이고, 제1 전로와 병존하는 전로이다.
이 토폴로지는, 도 7의 전단 회로(1f)와 동일하다.
여기서, 5개 커패시터 중, 1개만을 생략하고, 「4C」로 할 수 있다. 노드의 수를 m(= 5)로 하면, 대응하는 커패시터의 수는 적어도 4개 필요하다.
또한, 5개의 노드(N1∼N5) 중, 제1 전로(실선) 또는 제2 전로(파선)로 서로 묶여지고, 연결되는 노드 사이에는 직류적인 절연을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1개의 커패시터를 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로부터 커패시터 총수를 감하지 않는 경우의, 제1 전로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의 회로에서는, 1개로 묶기 전의 3 전로에 각각 커패시터가 설치되어 있다(도 10과 동일). (b), (c), (d)의 회로에서는, 1개로 묶기 전의 3 전로 중 2 전로에 각각 커패시터가 설치되고, 묶은 후의 1개의 전로에도 커패시터가 설치된다.
도 12의 (a), (b), (c), (d)의 회로에서는, 전로를 묶는 방법이 2단계로 되고, 묶기 전 또는 후에 커패시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로부터 커패시터 총수를 1개 감하는 경우의, 제1 전로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e)의 회로에서는, N1, N3, N5 중 어느 1개의 노드는, 제1 출력 포트(Px)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 이외의 노드는, 커패시터를 1개 또는 2개 개재하여, 제1 출력 포트(Px)에 접속되어 있다.
도 14는, 도 10에 있어서의 제2 전로(파선)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b)는, 제1 전로로부터 커패시터를 감하지 않고, 제2 전로로부터 커패시터를 1개 감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a)의 경우, 노드(N2)는 제2 출력 포트(Py)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노드(N4)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되어 있다. (b)의 경우, 노드(N4)는 제2 출력 포트(Py)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노드(N2)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되어 있다.
(c), (d), (e)는, 제1 전로로부터 커패시터를 1개 감하고, 제2 전로로부터는 커패시터를 감하지 않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c)(도 10과 동일), (d), (e)의 어느 경우나, 노드(N2, N4)는 모두, 1개 또는 2개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되어 있다.
(6C 전단 회로의 토폴로지)
또한, 강압비 증대 방향으로의 변형으로서 「6C2L」도 가능하다.
도 15는, 「6C2L」의 변압 장치(1)에 있어서의 전단 회로(1f)의 주요부의 도면이다.
여기서, 스위치 직렬체의 일단부에서 볼 때 홀수 노드(N1, N3, N5, N7)를 묶어 제1 출력 포트(Px)에 유도하는 제1 전로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짝수 노드(N2, N4, N6)를 묶어 제2 출력 포트(Py)에 유도하는 제2 전로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표시의 편의상이고, 제1 전로와 병존하는 전로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6C2L」에 있어서는, 7개 커패시터 중, 1개만을 생략하고, 「6C」로 할 수 있다. 노드의 수를 m(= 7)로 하면, 대응하는 커패시터의 수는 적어도 6개 필요하다.
또한, 7개의 노드(N1∼N7) 중, 제1 전로(실선) 또는 제2 전로(파선)로 서로 묶여지고, 연결되는 노드 사이에는 직류적인 절연을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1개의 커패시터를 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제1 전로(실선) 또는 제2 전로(파선)로부터 커패시터를 1개 감하는 경우의, 회로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의 회로에서는, 노드(N3)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제1 출력 포트(Px)에 직접 연결된다. (b)의 회로에서는, 노드(N7)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제1 출력 포트(Px)에 직접 연결된다. (c)의 회로에서는, 노드(N4)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제2 출력 포트(Py)에 직접 연결된다.
《토폴로지의 총괄》
또, 더욱 「8C」 이상으로도 동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이상 예시한 각종 회로로부터, 전단 회로(1f)의 토폴로지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전단 회로(1f)(도 1, 도 8, 도 10∼16)는, (a) 2의 배수인 복수의 스위치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직렬체와, (b)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여,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m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후단 회로(1r)(도 1, 도 7, 도 9)는, (c)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제1 출력 포트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소자 직렬체와, (d) 소자 직렬체의 양단점인 2개의 노드를 묶어 부하의 일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인 1개의 노드를 부하의 타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합계 3개의 노드 중 적어도 2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단 회로(1r)의 반도체 소자가 다이오드인 경우에는, 통전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직렬 접속함으로써 소자 직렬체를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가 스위치인 경우에는, 한쌍의 스위치를 직렬 접속하여 소자 직렬체를 구성하고, 한쌍의 스위치를 교대로 온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은 변압 장치(1)에서는, 전단 회로(1f) 및 후단 회로(1r)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과 스위칭에 의해 변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 장치(1)를 전력용의 변압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코일이나 철심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트랜스는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변압기의 비약적인 소형 경량화, 및 그것에 수반하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트랜스에서 과제가 되는 기생 용량, 누설 자계 발생의 문제도 해소되어, 저손실의 변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원은 교류, 직류 모두 적용 가능하다.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말하자면 본제(本題)로서의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7의 변압 장치(1)는, 전원(2)으로부터 부하(R)까지, 입출력 공통 접지가 불가능하다. 입출력 공통 접지를 할 수 있다면 접지가 용이해진다. 그래서,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로의 변형을 생각한다.
도 17은, 전단 회로(1f)에 관한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의 변형 요령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a)는, 도 7, 도 10에도 기재한 전단 회로(1f)이다. (b)는, (a)의 전단 회로(1f)와 동등한 입출력 동작을 하는 전단 회로(1f)이다. 이것은, 도 13의 (e)의 토폴로지, 및 도 14의 (d)의 토폴로지가 사용되고 있다. 도 17의 (b)의 전단 회로(1f)에 의하면, 노드(N5)를,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그대로 제1 출력 포트(Px)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b)의 전단 회로(1f)는, 입출력 공통 접지에 알맞다.
도 18은, 부하(R)에 접속되는 후단 회로(1r)에 관한,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의 변형 요령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a)는 후단 회로(1r)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3개의 인덕터(L1∼L3)를 이용한 회로이다. 이로부터, 인덕터(L2)를 생략하고 (b)의 회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b)의 회로는, 회로의 가장 아래에 있는 전로를 접지하려는 경우에 알맞지 않다. 그래서, (a)로부터 인덕터(L3)를 생략하며, 또한, 다이오드(D11, D12)의 극성을 반전하여 (c)의 회로로 한다. (c)의 회로는, 회로의 가장 아래에 있는 전로에 회로 소자가 없기 때문에, 입출력 공통 접지형에 알맞다. 또, (c)의 회로는 인덕터(L1)의 위치를 바꾸어 표현하면 (d)의 회로가 된다. (c)의 회로와 (d)의 회로는 회로 접속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이다.
도 19는,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이 변압 장치(1)는, 도 17, 도 18에서 나타낸 변형 요령을 도 7의 회로에 적용한 것이다.
도 19에 있어서, 변압 장치(1)는 전원(2)과 부하(R) 사이에 설치되고, 전단 회로(1f) 및 후단 회로(1r)에 의해 구성된다.
전단 회로(1f)는, 하기의 「스위치 직렬체」와 「커패시터」와 「접지 전로」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직렬체」는, 4개의 스위치(SW1∼SW4)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예컨대 상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SW1, SW3)와 짝수번째의 스위치(SW2, SW4)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전원(2)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N2, N3, N4) 및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N1, N5)을 합계 5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양단점의 한쪽을 접지 노드(N5)로 하여, 스위치 직렬체의 상단측으로부터 본 홀수 노드(N1, N3, N5)를 묶어 제1 출력 포트(Px)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N2, N4)를 묶어 제2 출력 포트(Py)에 유도하는 제2 전로가 존재한다.
그리고, 제1 전로에는 커패시터(C1, C3), 제2 전로에는 커패시터(C2, C4)가 설치된다. 다만, 커패시터는, 접지 노드(N5)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출력 방향으로 존재한다. 이 대응 관계는 이하와 같다.
N1 : C1, C3
N2 : C2, C4
N3 : C3
N4 : C4
또, 접지 전로(G)는,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접지 노드(N5)를 제1 출력 포트(Px)에 직접 연결한다.
각종 토폴로지를 상정하여 일반적인 표현을 하면, 「스위치 직렬체」는, 2의 배수인 복수의 스위치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상기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커패시터」는,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상기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상기 양단점 중 어느 한쪽을 접지 노드로 하여, 상기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m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지 노드를 제외한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한다.
한편, 후단 회로(1r)는, 「다이오드 직렬체」와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오드 직렬체」는,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다이오드(D11, D12)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노드(N13))가 제1 출력 포트(Px) 및 부하(R)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노드(N11))가 제2 출력 포트(Py)에 접속된다.
인덕터(L1)는, 다이오드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노드(N11))를 부하(R)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덕터(L2)는, 한쌍의 다이오드(D11, D12)의 상호 접속점(노드(N12))을 부하(R)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다이오드(D11, D12)는,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제어되는 스위치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하면, 후단 회로(1r)는, 「소자 직렬체」와 「인덕터」를 구비하고 있다.
「소자 직렬체」는,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인덕터」는, 상기 소자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를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상기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을 상기 부하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1)에서는, 도 7과 마찬가지로, 전단 회로(1f) 및 후단 회로(1r)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과 스위칭에 의해 변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 장치(1)를 전력용의 변압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코일이나 철심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트랜스는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변압기의 비약적인 소형 경량화, 및 그것에 수반하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트랜스에서 과제가 되는 기생 용량, 누설 자계 발생의 문제도 해소되어, 저손실의 변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원은 교류, 직류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 변압 장치(1)는, 전원(2)으로부터 부하(R)까지 입출력 공통 접지가 가능하다. 이 경우, 접지선을 공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품 개수가 적다는 이점도 있다.
《데드 타임의 설계》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내는 변압 장치(1)에 있어서의 데드 타임의 설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데드 타임이란, 도 19에 있어서 홀수번째의 스위치(SW1, SW3)와, 짝수번째의 스위치(SW2, SW4)가 교대로 온이 되는 사이의, 모든 스위치에 대한 제어가 오프가 된 순간부터, 어느 한쪽의 스위치의 제어가 온이 되기까지의 과도적인 시간이다.
도 20은,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의 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되고, 다시 온으로 될 때의 스위치 전압(드레인-소스간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온일 때, 스위치 전압은 0 V, 오프일 때는 예컨대 500 V이다. 온으로부터 오프 또는 오프로부터 온으로 바뀌는 사이의 데드 타임(τ)에 과도적인 전압 변화가 있다. 오프로부터 온으로 변화될 때는, 스위치 전압이 0 V까지 저하된 후, 온으로 되는 제로 전압 천이(ZVT: Zero Voltage Transition)가, 스위칭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21은, 오프로부터 온으로의 데드 타임의 길이를 대·중·소의 3종류로 설정하고, ZVT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데드 타임(τ)이 적정치(중)보다 작으면,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전압 변화가 되어, 0 V에 도달하기 전에 다음의 온이 개시되어 버린다. 즉, 이것은 ZVT가 아니다. 또한, 데드 타임(τ)이 적정치(중)보다 크면,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압 변화가 되어, 일단 0 V에 도달하기는 하지만, 그 후 다시 전압이 상승하고, 결국 그대로 다음의 온이 개시되어 버린다. 즉, 이것도 ZVT가 아니다. 따라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τ에는, 지나치게 크지 않고, 지나치게 작지 않은, 적절한 범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22는, 데드 타임(τ)을 사이에 두고 오프로부터 온으로 변화될 때의 여러가지 양의 변화를, 횡축의 시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하고 있는 것은, 어느 하나의 스위치 전압(VSW)(실선),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IL1)(파선), 다이오드(D11)에 흐르는 전류(ID11), 다이오드(D12)에 흐르는 전류(ID12)의 4가지 양의 변화이다.
도 22에 있어서, 데드 타임(τ)에는, 500 V부터 250 V까지의 전반 시간(τ1)과, 그것에 계속되는, 250 V부터 0 V까지의 후반 시간(τ2)이 포함되어 있다는 지견이 얻어졌다. 즉,
τ ≥ τ12 ···(1)
이다. 전반 시간(τ1)과 후반 시간(τ2)은 구배가 서로 조금 상이하고, τ1 < τ2이다. 따라서, 데드 타임(τ)을, 전반 시간(τ1)과 후반 시간(τ2)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변압 장치(1)의 출력 전압 125 V를 Vout으로 하면,
τ1: 전압이 4 Vout∼2 Vout까지,
τ2: 전압이 2 Vout∼0까지이다.
전반 시간(τ1)에는, 다이오드(D12)가 도통하고, 전류(ID12)가 흐른다. 후반 시간(τ2)에는, 다이오드(D11)가 도통하고, 전류(ID11)가 흐른다.
도 23은, 도 19에 있어서의 스위치(SW1∼SW4)가 각각 갖는 부유 커패시턴스(C11∼C14)를 기재한 후에, 스위치(SW1∼SW4)보다 후단측의 회로에 관한 전반 시간(τ1)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유 커패시턴스(C11∼C14)는, 공통의 커패시턴스(CDS)를 갖는 것으로 한다.
전반 시간(τ1)에 있어서는, 다이오드(D12)가 도통하고, 다이오드(D11)는 불도통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후단 회로(1r)로부터 전단 회로(1f)의 부유 커패시턴스(C11∼C14)에 유입되는 전류(IQ)는,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고,
IQ = IL1
이다.
마찬가지로, 도 24는, 도 19에 있어서의 스위치(SW1∼SW4)가 각각 갖는 부유 커패시턴스(C11∼C14)를 기재한 후에, 스위치(SW1∼SW4)보다 후단측의 회로에 관한 후반 시간(τ2)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반 시간(τ2)에 있어서는, 다이오드(D11)가 도통하고, 다이오드(D12)는 불도통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후단 회로(1r)로부터 전단 회로(1f)의 부유 커패시턴스(C11∼C14)에 유입되는 전류(IQ)는,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부하의 저항(R3)에 흐르는 전류(IR)를 감한 것이고,
IQ = IL1-IR
이다.
여기서, 이하의 해석의 근사 조건을 이용한다.
(근사 조건 1)
우선, 강압비는 1/8로 일정하게 한다. 즉, 변압 장치(1)의 입력 전압을 Vin, 출력 전압을 Vout으로 하면,
Vout ≒ Vin/8 = 125[V]
이다.
(근사 조건 2)
인덕터(L1, L2)의 양단의 전압 파형은 듀티비 50%의 직사각형파이다.
(근사 조건 3)
그리고, 인덕터(L1)의 양단 전압(VL)의 절대치는, 출력 전압의 2배이다. 즉, 전압(VL)의 최대치를 VLmax, 최소치를 VLmin으로 하면,
VLmax ≒ 2Vout
VLmin ≒ -2Vout
이다.
도 25의 (a), 변압 장치(1)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출력 전압(Vout)은 입력 전압(Vin)(= 1 kV)의 1/8로, 125 V가 된다. (b)는 인덕터(L1)의 양단 전압(VL1)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압(VL1)은 ±250 V를 나타내고 있고,
|VL1| ≒ 2Vout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계산에서는,
VL1 ≒ ±2Vout
으로 한다.
도 26은, 스위치 전압(VSW)(실선) 및 전류(IQ)(파선)의 각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인덕터(L1)의 양단 전압(VL1)은,
VL1 = L1(dIL(t)/dt) = L1·a
이다. a는 전류(IQ)의 근사 직선의 기울기이다.
따라서,
a = 2Vout/L1 ···(2)
이다.
또한, 부하에 흐르는 전류(IR)는,
IR = Vout/R3 ···(3)
이다.
도 26에 있어서의 오른쪽 위의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면, 도 27과 같이 된다. 데드 타임(τ)에 있어서 스위치 전압(실선)의 구배가 변화되는 전반 시간(τ1)과 후반 시간(τ2)의 경계에 있어서, 전류(IQ)의 변화 특성이 변한다. 그래서, 전류(IQ)의 변화를, 전반 시간(τ1)과, 후반 시간(τ2)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도 28은, 직선 근사한 전류(IQ)의 정점 부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반 시간(τ1) 동안에 부유 커패시턴스(CDS)(C11∼C14의 총칭)에 유입되는 전하(Q1)는, 도면의 좌측의 해칭 면적이 된다. 도중의 계산을 생략하고 결과를 나타내면,
Q1 = (Vout·τ1/2){(T/L1)+(1/R3)}-(Vout·τ1 2/L1) ···(4)
이다.
또한, 후반 시간(τ2) 동안에 부유 커패시턴스(CDS)에 유입되는 전하(Q2)는, 도면의 우측의 해칭 면적이 된다. 즉,
Q2 = (Vout·τ2/2){(T/L1)-(1/R3)}-(Vout·τ2 2/L1) ···(5)
이다.
또한, 전하(Q1)에 의해, 4개의 부유 커패시턴스(CDS)(C11∼C14)에 대하여 Vin(= 1 kV)/4, 즉 250 V(= 2Vout) 분의 전하가 이동하기 때문에,
Q1 = 4CDS·2Vout = 8CDS·Vout ···(6)
이다. 식 (4), (6)으로부터 얻어지는 2차 방정식을 τ1에 관해서 풀면,
τ1 = (T/4)+(L1/4R3)-(1/4)[{T+(L1/R3)}2-128L1CDS]1/2 ···(7)
이 된다.
마찬가지로, 전하(Q2)에 의해, 4개의 부유 커패시턴스(CDS)(C11∼C14)에 대하여 Vin(= 1 kV)/4, 즉 250 V(= 2Vout) 분의 전하가 이동하기 때문에,
Q2 = 4CDS·2Vout = 8CDS·Vout ···(8)
이다. 식 (5), (8)로부터 얻어지는 2차 방정식을 τ2에 관해서 풀면,
τ2 = (T/4)-(L1/4R3)-(1/4)[{T-(L1/R3)}2-128L1CDS]1/2 ···(9)
이 된다.
또한, 데드 타임(τ)의 최소치(τmin)는,
τmin = τ12 ···(10)
이다.
다음으로, 데드 타임(τ)의 최대치에 관해서 생각한다.
도 29는, 도 28의 파형을 시간축 방향(우방향)으로 연장한 도면이다. 후반 시간(τ2)의 후반 영역에 들어가면, 전류의 구배는 (-a)가 된다. 따라서, 피크로부터 IQ = 0이 되기까지의 시간(τ0)이 존재한다. 시간(τ0)을 경과하면, 마이너스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것은, 부유 커패시턴스(CDS)로부터 인덕터(L1)로 전하가 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그렇게 되면, 스위치 전압이 재상승하기 때문에, 시간(τ0)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τ0을 넘지 않기 위한 데드 타임의 최대치를 τmax로 하면,
τmax = τ10 ···(11)
이다. 또, 스위칭의 온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τmax는, τmax < (T/2)이어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9에 있어서, 전류(IQ) = 0의 식을 세우면,
{(aT/4)-(Vout/2R3)}-aτ0 = 0 ···(12)
이다. 이로부터 또한,
τ0 = (T/4)-(L1/4R3) ···(13)
이 된다.
상기의 결과, 데드 타임(τ)의 범위는 이하와 같이 설정해야 한다.
τ12 ≤ τ ≤ τ01 ···(14)
여기서, τ0, τ1, τ2는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12
···(15)
또, 상기 루트 기호 안의 값은 부호가 플러스로서 τ1 < τ2이다.
또한, τ0, τ1, τ2는, 전단 회로의 다단화를 고려하여 일반화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또, 식 (14)는 다단화를 고려해도 불변이다.
부유 커패시턴스(CDS)의 개수(즉 스위치 직렬체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개수와 동일)를 n, 1부터 순서대로 세어 n번째의 부유 커패시턴스를 CnDS로 하면, τ0, τ1, τ2는 이하와 같이 일반화된다.
Figure pct00013
···(16)
또, 상기 루트 기호 안의 값은 부호가 플러스로서 τ1 < τ2이다.
(정리)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9에 있어서, 변압 장치(1)의 제어부(3)는, 데드 타임 개시 시각 후, 다이오드(D11, D12)의 한쪽(D12)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인덕터(L1)로부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CDS)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전반 시간(τ1)과, 다이오드(D11, D12)의 다른쪽(D11)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인덕터(L1)로부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CDS)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후반 시간(τ2)을 구하고, 전반 시간(τ1) 및 후반 시간(τ2)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을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드 타임에 있어서의 전하의 이동에 착안하여 구한 시간(τ1, τ2)에 기초하여, 적절한 데드 타임(τ)을 정하고, 제로 전압 천이(ZVT)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부유 커패시턴스(CDS)로 이동한 전하가 인덕터(L1)로 되돌아오기 이전에 데드 타임(τ)을 끝냄으로써, 스위치 전압의 재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7), (9), (13), (14)에 의해, 데드 타임(τ)의 적합 범위를 명확히 정하고, 확실하게 제로 전압 천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τ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 인덕턴스는 인덕터(L1)뿐이기 때문에, 정밀한 인덕턴스를 가져야 하는 저손실의 인덕터가 L1만이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데드 타임(τ)의 효과의 검증》
다음으로, 상기한 범위에서 데드 타임(τ)을 설계한 경우의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에 관해서,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조건 1>
회로 구성: 「입출력 공통 접지형(도 19)」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5[pF]
상기한 조건 1의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249[ns]
최대치(τmax) = 2372[ns]
가 된다.
도 30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1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 2>
회로 구성: 「입출력 공통 접지형」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10[pF]
상기한 조건 2의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512[ns]
최대치(τmax) = 2489[ns]
가 된다.
도 32는,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3은,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데드 타임(τ)을, 식 (14)에 나타내는 관계로 정함으로써, 변압 장치는, 우수한 효율과 안정된 고출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의 회로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에서, τ의 수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ZVT에 관한 전압 파형 관측을 행했다.
C1, C2, C3, C4, C6: 10 nF
R1, R2: 330 kΩ
L1: 2.2 mH
L2: 100 mH
R3: 15000 Ω
스위칭 주파수(fs): 100 kHz
D1∼D4: 보디 다이오드
Vin: 20 V
상기한 조건에서의 τmin 및 τmax의 계산치는, 식 (14)에 의하면,
τmin = 449 ns
τmax = 2685 ns
이다.
도 34는, τ가 200 ns인 경우의, 스위치(SW4)에 관한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도면 중의 동그라미표 부근에서 제어가 온이 된다. 그러나 이 때, 전압은 아직 0 V까지 내려가지 않았다. 따라서, τ = 200 ns에서는 ZVT가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35는 τ가 5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제어가 온이 될 때, 전압은 이미 0 V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τ = 500 ns에서 ZVT가 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계산치 449 ns와 대략 일치한다.
도 36은, τ가 1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ZVT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7은, τ가 2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ZVT로 되어 있다.
즉, τ가, 449∼2685 ns에서 ZVT가 된다는 이론대로의 결과이다.
도 38은, τ가 27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제어가 온이 될 때, 전압이 재상승하기 시작한다.
도 39는, τ가 3000 ns인 경우의 스위치 전압의 실측 파형이다. 이 경우, 제어가 온이 될 때, 전압의 재상승이 발생한다.
즉, τmax가 2685 ns라는 계산치와 잘 일치한다.
《데드 타임(τ)의 효과의 검증·보충》
또한, 참고를 위해, 여러가지 토폴로지의, 입출력 공통 접지형의 변압 장치에 관해서, 데드 타임(τ)의 범위와, 그 경우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40은,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2C2L」의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다만, 다이오드나 블리더 저항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간략화한 회로도이다. 또한, 후단 회로(1r)의 반도체 소자(D11, D12)는, 서로 역극성의 다이오드 또는 교대로 온 동작하는 스위치이다(이하 동일).
도 40의 변압 장치(1)에 관해서,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조건 1>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7000[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10[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259[ns]
최대치(τmax) = 2065[ns]
가 된다.
도 41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2는,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 2>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30[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10[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531[ns]
최대치(τmax) = 2229[ns]
가 된다.
도 43은,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4는,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5는,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4C2L」의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도 19와 동등한 회로이지만, 커패시터(C3)의 위치가 도 19와 약간 상이하다.
이 변압 장치(1)에 관해서,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조건 1>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5, 8, 13, 14[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512[ns]
최대치(τmax) = 2489[ns]
가 된다.
도 46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7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 2>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4, 7, 12, 9[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405[ns]
최대치(τmax) = 2441[ns]
가 된다.
도 48은,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9는,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0은, 입출력 공통 접지형으로 「6C2L」의 변압 장치(1)의 회로도이다.
이 변압 장치(1)에 관해서,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조건 1>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10[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792[ns]
최대치(τmax) = 2611[ns]
가 된다.
도 51은,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2는, 조건 1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 2>
인덕터(L1)의 인덕턴스(L1) = 15[mH]
부하의 저항(R3) = 15625[Ω]
부유 커패시턴스(CDS) = 5[pF]
이 경우, 식 (14)에 기초하여 데드 타임(τ)의 최소치 및 최대치를 계산하면,
최소치(τmin) = 378[ns]
최대치(τmax) = 2429[ns]
가 된다.
도 53은,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효율이 좋은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4는, 조건 2의 경우의 데드 타임(τ)[ns]과 변압 장치로서의 출력 전력[W]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계산상의 τmin 및 τmax를 그래프 상에서 나타내면, 그래프의 특성 상에서 안정된 고출력이 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식 (14)에 의해 결정되는 데드 타임(τ)의 범위가 적절한 것은, 상기 보충 내용에 의해서도 뒷받침되고 있다.
《추기》
또,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변압 장치 1f: 전단 회로
1r: 후단 회로 2: 교류 전원, 전원
3: 제어부 4: 스위치 장치
C1∼C6: 커패시터 C6: 커패시턴스
D1∼D4, D11, D12: 다이오드 G: 접지 전로
L1, L2: 인덕터 M1, M2: 접속점
N1∼N7, N11∼N13: 노드 Px: 제1 출력 포트
Py: 제2 출력 포트 R: 부하
R1, R2: 블리더 저항 R3: 저항
Sr1, Sr2, Sb1, Sb2: 스위치 SW1∼SW6: 스위치

Claims (4)

  1.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변압 장치에 있어서, 전단 회로 및 후단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전단 회로로서,
    2의 배수인 복수의 스위치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에서 볼 때 홀수번째의 스위치와 짝수번째의 스위치는 교대로 온 동작하고, 전체로서는 상기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직렬체와,
    각 스위치의 상호 접속점 및 상기 스위치 직렬체의 양단점을 합계 m개의 노드로 하며, 또한, 상기 양단점 중 어느 한쪽을 접지 노드로 하여, 상기 스위치 직렬체 중 어느 일단측으로부터 1∼m의 순서로 보았을 때, 홀수 노드를 묶어 제1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1 전로(電路), 및 짝수 노드를 묶어 제2 출력 포트에 유도하는 제2 전로 중 적어도 한쪽의 전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지 노드를 제외한 (m-1)개의 노드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커패시터와,
    커패시터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접지 노드를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접지 전로를 구비하고,
    상기 후단 회로로서,
    서로 역극성의 통전 동작을 하는 한쌍의 반도체 소자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직렬체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접속되고, 직렬체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소자 직렬체와,
    상기 소자 직렬체의 비접지 단부를 상기 부하의 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3 전로, 및 상기 한쌍의 반도체 소자의 상호 접속점을 상기 부하의 비접지 단부에 유도하는 제4 전로에 각각 설치된 인덕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번째의 스위치 및 상기 짝수번째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가 모두 오프가 된 데드 타임 개시 시각부터, 어느 한쪽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가 온이 되는 데드 타임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데드 타임(τ)으로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드 타임 개시 시각 후,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한쪽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전반 시간(τ1)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다른쪽이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하는 전하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후반 시간(τ2)을 구하고, 전반 시간(τ1) 및 후반 시간(τ2)에 기초하여, 상기 데드 타임(τ)을 정하는 것인 변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유 커패시턴스로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로 되돌아오기 이전에 상기 데드 타임(τ)을 끝내는 것인 변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를 T, 상기 제3 전로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L1, 상기 부하의 저항치를 R3으로 한 경우, 상기 데드 타임(τ)은,
    τ12 ≤ τ ≤ τ01
    의 관계에 있어,
    Figure pct00014

    이고, 단, n은 부유 커패시턴스(CDS)의 개수, CnDS는 n번째의 부유 커패시턴스, 상기 루트 기호 안의 값은 부호가 플러스로서 τ1 < τ2인 것인 변압 장치.
KR1020177008018A 2014-11-05 2015-10-09 변압 장치 KR201700825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5469 2014-11-05
JP2014225469A JP6297963B2 (ja) 2014-11-05 2014-11-05 変圧装置
PCT/JP2015/078731 WO2016072212A1 (ja) 2014-11-05 2015-10-09 変圧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02A true KR20170082502A (ko) 2017-07-14

Family

ID=5590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018A KR20170082502A (ko) 2014-11-05 2015-10-09 변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16197B2 (ko)
EP (1) EP3217528B1 (ko)
JP (1) JP6297963B2 (ko)
KR (1) KR20170082502A (ko)
CN (1) CN107078649B (ko)
TW (1) TWI682618B (ko)
WO (1) WO2016072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550B2 (ja) 2018-10-18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及び回転電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64891A (fr) 1952-10-18 1954-05-18 Csf Perfectionnements aux réseaux transformateurs d'impédances
US4203151A (en) * 1978-09-21 1980-05-13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High-voltage converter circuit
US5570062A (en) 1994-10-12 1996-10-29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AM-FM transmitter power amplifier using class-BC
US5850337A (en) 1997-07-25 1998-12-15 Lucent Technologies Inc. Magnetic-free DC/DC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400544B1 (en) * 1999-07-23 2002-06-0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urrent limiting using capacitor charge measurement
CN1129227C (zh) * 2000-07-12 2003-11-26 美禄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圈式交直流电源
US6462962B1 (en) 2000-09-08 2002-10-08 Slobodan Cuk Lossless switching DC-to-DC converter
JP3391773B2 (ja) 2000-09-14 2003-03-31 敏久 清水 イミタンス変換回路及びこれを使用したコンバータ
FR2818463B1 (fr) 2000-12-18 2003-02-28 Eisenmann France Sarl Generateur de haute tension pour equipement de peinture electrostatique
US6775155B2 (en) * 2002-11-05 2004-08-10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 voltage regulation in primary controlled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WO2005015717A2 (en) * 2003-08-09 2005-02-17 Astec International Limited A circuit for reducing losses at light load in a soft switching full bridge converter
JP2005124126A (ja) * 2003-09-24 2005-05-12 Seiko Epson Corp インピーダンス回路網、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増幅回路、半導体集積回路、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装置
CN2798411Y (zh) 2004-12-02 2006-07-19 吴观晖 一种使用电场耦合变压器构成的直流变换器
CN101523710B (zh) 2006-06-06 2014-03-05 威廉·亚历山大 通用功率变换器
DE102007030577A1 (de) * 2007-06-29 2009-01-02 Sma Solar Technology Ag Wechselrichter zur Einspeisung elektrischer Energie in ein Energieversorgungsnetz
EP2023475B1 (de) * 2007-08-04 2016-10-12 SMA Solar Technology AG Wechselrichter für eine geerdete Gleichspannungsquelle, insbesondere einen Photovoltaikgenerator
AT505801B1 (de) * 2007-09-20 2012-09-15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nisch gesteuerten wechselrichters
US8212541B2 (en) * 2008-05-08 2012-07-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wer converter with capacitive energy transfer and fast dynamic response
JP5152511B2 (ja) * 2008-09-18 2013-02-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圧変換回路
KR101046026B1 (ko) * 2008-10-30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CN102150342B (zh) 2009-03-05 2014-08-20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不间断电源设备
DE202011102068U1 (de) 2011-06-07 2012-09-10 Voltwerk Electronics Gmbh Hochsetzsteller
JP5927826B2 (ja) 2011-09-28 2016-06-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9248747B2 (en) 2011-11-29 2016-02-02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Converter for an electrical circuit designed to supply electrical propulsion power on board a motor vehicle
US8829866B2 (en) * 2011-12-14 2014-09-09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DC to DC converter designed to mitigate problems associated with low duty cycle operation
JP5758866B2 (ja) * 2011-12-16 2015-08-0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および負荷駆動システム
JP5598513B2 (ja) 2012-08-29 2014-10-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JP5626293B2 (ja) 2012-08-29 2014-11-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バータ装置
US8693224B1 (en) * 2012-11-26 2014-04-08 Arctic Sand Technologies Inc. Pump capacitor configuration for switched capacitor circuits
JP5878495B2 (ja) 2013-06-11 2016-03-0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5695712B2 (ja) 2013-08-29 2015-04-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変圧装置
JP5727561B2 (ja) 2013-08-29 2015-06-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変圧装置
JP5695782B1 (ja) 2013-09-12 2015-04-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変圧装置
WO2015040564A1 (en) * 2013-09-19 2015-03-26 Koninklijke Philips N.V. Compact driver, notably for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auxiliary out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2982A (ja) 2016-05-23
EP3217528A4 (en) 2018-07-04
JP6297963B2 (ja) 2018-03-20
EP3217528B1 (en) 2021-08-25
CN107078649B (zh) 2019-05-03
TWI682618B (zh) 2020-01-11
US10116197B2 (en) 2018-10-30
CN107078649A (zh) 2017-08-18
WO2016072212A1 (ja) 2016-05-12
EP3217528A1 (en) 2017-09-13
TW201626707A (zh) 2016-07-16
US20170294829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617B1 (en) Active snubber topology
EP2063520A1 (en) Dc/dc power converting apparatus
KR20160057379A (ko) 변압 장치
JP5695712B2 (ja) 変圧装置
WO2015029720A1 (ja) 変圧装置
WO2020195276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70082502A (ko) 변압 장치
KR100931844B1 (ko) 막스 발생기를 이용한 구형파 펄스 발생 방법 및 장치
CN105075094A (zh) 交流电源装置
JP6359950B2 (ja) 変圧装置
CN109120168B (zh) 功率变换装置
JP7247247B2 (ja) 電力変換装置
JP6565485B2 (ja) 給電装置
JP6144709B2 (ja) 変圧装置
Laugner et al. Influence of the parasitic series inductance of the coupling capacitor of a SEPIC to the coil current waveforms with coupled inductors
JP2005295667A (ja) 高電圧パルス発生回路
KR101472448B1 (ko) 고전압용 dc/dc 컨버터
Adler et al. Design and operation of a 700 kV arbitrary waveform generator
JP2017143453A (ja) 半導体スイッチ用電荷引き抜き回路、半導体スイッチ駆動回路、及び、変圧装置